KR200224178Y1 - 실내 바닥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바닥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178Y1
KR200224178Y1 KR2020000033821U KR20000033821U KR200224178Y1 KR 200224178 Y1 KR200224178 Y1 KR 200224178Y1 KR 2020000033821 U KR2020000033821 U KR 2020000033821U KR 20000033821 U KR20000033821 U KR 20000033821U KR 200224178 Y1 KR200224178 Y1 KR 200224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drain
indoor floor
gutter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주식회사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주식회사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00033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1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178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품수를 감소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조립공정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실내 바닥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실내 바닥 배수장치는, 상부 및 좌우가 개구되며 일측 개구부에 막음판이 결합된 배수홈통과, 배수홈통의 타측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며 상부 및 배수홈통측이 개구되는 배수트랩과, 배수홈통과 배수트랩의 상부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의 도입공이 구비된 그리드로 구성되며, 배수홈통의 장변에는 타일안착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각 부품을 결합하여 모듈화한 후, 이 모듈을 한번의 시공작업으로 바닥에 시공할 수 있으며, 모든 타일이 동일한 높이로 시공되어 오수가 원활하게 배수홈통에 유입된다.

Description

실내 바닥 배수장치 {DEVICE FOR DRAINING WATER IN INDOOR FLOOR}
본 고안은 실내 바닥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생산 작업공정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실내 바닥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또는 화장실에는 바닥의 중앙이나 바닥의 구석진 부분(예컨대, 세면대와 변기와의 사이의 부분)에 고이는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배수구에는 여과망에 의하여 배수구에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그리드 망, 배수트랩이 설치된다.
배수트랩은 통상적으로 바닥 타일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설치되며, 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바닥 타일들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배수트랩의 외곽선 형상으로 바닥 타일을 절취하여 시공할 수 밖에 없다. 바닥 타일을 배수트랩의 외곽선 형상으로 절취할 때에는 정밀한 가공을 하지 않고 공구로 바닥 타일에 충격을 가하여 바닥 타일을 절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절취면이 깨끗하지 못하다. 이 때문에 배수트랩의 주변과 바닥 타일과의 사이의 면적은 모르타르 등으로 마감할 수밖에 없으므로 배수트랩 주변의 바닥이 지저분해지고 미관상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더욱이 욕실 또는 화장실 바닥이 넓은 데 비하여 배수트랩의 면적은 좁고, 이 좁은 면적의 배수트랩이 특히 실내 바닥의 구석진 부분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실내 바닥의 요철부에 의하여 오수가 배수트랩쪽으로 모두 빠지지 않고 실내 바닥에 잔류하여 악취나 물때가 많이 발생하므로 위생상 좋지 못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 상부가 개방되고 긴 길이를 갖는, 이른바 트랜치(tranch)형 배수홈통을 배수트랩과 연계되도록 설치하여 실내 바닥의 오수가 배수구로 잘 배수되도록 한 배수장치가 제안되었지만, 이 장치에 있어서는 배수홈통이 전체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져 있어 무겁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더욱이, 배수홈통과 배수트랩의 연결구조가 별도로 없기 때문에 배수홈통 및 배수트랩을 별도로 시공할 수밖에 없어 시공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배수트랩의 경우에는 각 구성요소들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아 배수트랩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배수통로를 막고 있는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전체적인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줄이면서 저가의 원재료를 사용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제조공정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실내 바닥 배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오수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 바닥재인 타일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오수가 배수홈통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내 바닥 배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바닥 배수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내 바닥 배수장치에 적용된 타일안착부의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실내 바닥 배수장치에 의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는 상태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발췌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바닥 배수장치 200 : 배수홈통
210 : 배수홈통 본체 213,214 : 타일안착부
300 : 배수트랩 400 : 그리드
500 : 타일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바닥 배수장치는, 내부에 상측 및 좌우측이 개구된 배수로가 구비되며 전후벽면에 길이방향의 그리드안착부가 구비된 합성수지 재질의 채널형 배수홈통과; 상기 배수홈통의 일측 개구부에 끼워 결합되며 내부에 배수부 및 여과부가 형성되어 오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합성수지재의 배수트랩과; 그리고, 상기 배수홈통의 상측 개구부를 덮으면서 전후 양측부가 상기 배수홈통의 그리드안착부에 안착되며 다수의 도입공이 구비된 그리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홈통은, 그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타일의 저면과 측면이 안착되는 타일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바닥 배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내 바닥 배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바닥 배수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내 바닥배수장치에 적용된 타일안착부의 다른 예시도이며,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실내 바닥 배수장치에 의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는 상태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발췌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바닥 배수장치(100)는, 크게,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는 배수홈통(200), 합성수지의 배수트랩(300) 및 그리드(400)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수홈통(200)은, 상부 및 좌우부가 개구된 배수로가 구비된 채널형 배수홈통 본체(210)와, 배수홈통 본체(210)의 좌우 개구부중 어느 일측부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막는 막음판(220)으로 구성되며, 배수홈통 본체(210)의 양측 벽면에는 상하로 결합홈(211)(212)이 각각 형성되고, 막음판(220)의 전후 양측에는 결합홈(211)(212)에 끼워지는 결합리브(221)(222)가 각각 형성되어 막음판(220)은 배수홈통 본체(210)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배수홈통 본체(210)의 일측 장변에는 바닥 타일(500)이 안착되는 타일안착부(213)가 형성되며, 이 타일안착부(213)는 배수홈통 본체(210)의 상면에서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213a)와, 경사부(213a)에서 다시 수평으로 형성되어 타일(500)의 저면이 안착되는 수평 지지부(213b)로 구성되며, 수평 지지부(213b)에서 배수홈통 본체(210) 사이의 높이는 오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타일(500)이 시공상태에서 배수홈통 본체(210)의 상면보다 약간 높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타일(500)의 시공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경사부(213a)에는 눈금자(213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일안착부(213)가 배수홈통 본체(210)의 장변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타일안착부(213)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타일안착부(214)는 경사지지 않고 수평부와 수직부가 연이어지는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트랩(300)은, 상부 및 우측부가 개방된 사각틀형으로 이루어져 배수홈통 본체(210)의 좌측부에 결합되어 완전한 배수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배수통(310)과, 배수통(310)의 저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이 개구된 안내슬리브(320)와, 안내슬리브(320)에 상단이 지지되어 안내슬리브(320)를 통하여 배수통(310) 아래로 삽입되고 상측이 개구됨과 아울러, 안내슬리브(320)의 우측 개구부와 통하는 배수공(331)이 형성되며 내주면 상단 일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상태로 경사판(332)이 설치된 여과통(330)과, 그리고, 여과통(330)의 상부를 막도록 여과통(330)의 상부에 지지됨과 아울러, 여과통(330)의 내부와 통하는 다수의 여과공(341)이 형성된 여과판(34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배수트랩(300)은 막음판(220)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수홈통 본체(210)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며, 배수트랩(300)의 배수통(310)의 우측 개구부의 양측에는 결합홈(211)(212)에 결합되는 결합리브(311)(312)가 각각 형성되고, 부가적으로, 바닥부에는 배수홈통 본체(210)의 저부 양측에 형성된 결합리브(215)에 양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리브(313)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수홈통(200), 막음판(220) 및 배수트랩(300)의 연결부에는 실링부재가 도포된다.
그리드(400)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을 재질로 하면서 다수의 도입공(410)이 천공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의 양측에 하향 절곡부(411)가 구비된 구성을 가지며, 이 절곡부(411)가 배수홈통 본체(210)의 전후 벽면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그리드안착턱(216)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그리드(400)가 배수홈통(200)에 단순 삽입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여과통이 배수구에 삽입되어 이들의 결합부둘레가 수밀구조로 밀봉되도록 시공될 수 있지만, 실내 바닥의 오수를 가장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수홈통을 배치하고자 할 때 배수홈통과 배수구의 중심선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여과통과 배수구를 연계하면서 배수트랩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하여 배수홈통과 배수구의 중심선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트랜치 슬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트랜치 슬리브(600)는, 상부가 개방되며, 그 저면에는 배수관(620)이 삽입 고정되는 이중연결관부(611)가 돌출 형성된 본체(610)와, 본체(610)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어 배수트랩(300)을 지지함과 아울러, 위치를 조절하는 덮개(630)로 구성된다.
덮개(630)는 배수트랩(300)을 감싸는 제 1미닫이(631) 및 제 2미닫이(632)로 이루어지며, 제 1미닫이(631)의 양단에는 결합레일(631a)이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제 2미닫이(632)의 양단에는 결합레일(631a)에 길이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리브(63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레일(631a)은 쐐기형 홈을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결합리브(632a)는 쐐기형 홈에 알맞게 삽입될 수 있는 쐐기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치 슬리브(600)의 내부에 여과통(330)이 삽입되도록 트랜치 슬리브(600)의 상부에 배수트랩(300)을 배치한 다음, 두 미닫이(631)(632)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면 두 미닫이(631)(632)의 마주보는 면에 여과통(330)이 접하여 트랜치 슬리브(600)에 배수트랩(300)이 결합될 수 있고, 두 미닫이(631)(632)의 상대적 결합길이에 따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부의 크기 및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배수트랩(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수관(620)의 위치와 배수홈통(200)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시공상 어려움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실내 바닥 배수장치의 작용상태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배수장치(100)는, 배수홈통(200)에 막음판(220), 배수트랩(300)을 결합리브, 결합홈에 의해 끼움방식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완전한 배수구조로를 형성하고, 이 모듈에 그리드(400)를 올림으로써 배수장치 모듈을 완성하며, 완성된 배수장치 모듈을 바닥에 매립하는 한번의 작업으로 시공할 수 있다.
화장실이나 욕실 등의 배수구와 연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바닥 배수장치(100)를 설치하며, 이어서, 실내 바닥면을 타일(500)로 마감처리하고, 이때, 배수홈통(200)의 타일안착부(213)에 표시된 눈금자(213a)와 맞춰 타일을 올리면, 타일(500)의 저면은 타일안착부(213)의 수평 지지부(213b)에 접하는 동시에, 측면은 경사부(213a)의 하단부에 접하여 타일(500)이 정위치에 놓일 수 있으며, 타일의 안착이 완료되면, 타일(500)의 측면과 타일안착부(213)의 경사부(213a) 사이에 모르타르 채움부가 자연발생되고, 이 모르타르 채움부에 모르타르를 채워 타일(500)과 본 고안에 의한 배수장치(100)를 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바닥 배수장치(100)가 설치된 화장실이나 욕실과 같은 물을 많이 사용하는 실내에서 바닥에 오수가 배수되면 본 고안에서는 배수홈통(200)이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량의 오수가 배수되더라도 오수가 원활히 배수될 수 있다.
배수과정에서 오수는 바닥을 타고 흐르다가 그리드(400)의 도입공(410)을 통하여 배수홈통(200) 또는 배수통(310)으로 유입되며, 이 과정에서 도입공(410)들의 크기보다 큰 이물질들은 여과되어 배수홈통(200) 내부 또는 배수통(310) 내부에 유입되지 않는다.
배수홈통(200)의 내부에 도입된 오수는 배수통(310) 쪽으로 유동하여 배수통 (310) 내부에 유입된 오수와 함께 여과판(340)의 여과공(341) 들을 통하여 여과통(330)으로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여과공(341) 보다 크기가 큰 이물질들은 여과된다.
그리고, 여과통(330)으로 유입되는 오수는 여과통(330)의 경사판(332)을 따라 여과통(330)의 바닥쪽으로 낙하하며, 여과통(330)의 수위가 배수공(331)까지 차오르면 배수공(331) 및 이와 대응하는 안내슬리브(320)의 개구부를 통하여 오수가 배출되어 트랜치 슬리브(600)의 내부를 통하여 배수관(620)에 배출된다.
그리고, 그리드(400)에 의하여 여과된 이물질들은 그리드(400) 상부에 잔류한 채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고, 배수통(310)에 잔류하는 이물질은 그리드(400)를 탈거한 다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홈통(200), 배수트랩(300), 트랜치 슬리브(600)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며, 합성수지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배수홈통(200), 배수트랩(300), 그리드(400) 및 트랜치 슬리브(600)가 서로 끼우는 작업에 의해 결합되어 각 부품을 결합하여 일체화한 후, 이 모듈을 한번의 작업으로 바닥에 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리드(400)가 배수홈통(200)에 단순 삽입된 상태인 바, 그리드(400)를 빼내어 배수홈통(200)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모든 타일(500)이 타일안착부(213 또는 214)에 안착되어 종래와 같이 근접하는 타일과 높이가 다르거나, 배수홈통의 상면보다 낮게 시공되지 않고, 모든 타일(500)의 높이가 동일함과 아울러, 타일(500)의 상면이 배수홈통(200)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어 오수가 배수홈통(200)으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바닥 배수장치에 의하면, 배수홈통, 배수트랩, 트랜티 슬리브 등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금속재보다 원자재 구입비용이 감소되므로 전체적인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성부품의 조립이 가능해져 각 부품이 결합된 모듈을 한번의 작업으로 바닥에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작업이 편리해진다.
또한, 실내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재인 타일과 배수장치의 그리드의 상면이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미관상 좋으며, 오수가 타일을 따라 원활하게 배수장치에 유입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상측 및 좌우측이 개구된 배수로가 구비되며 전후벽면에 길이방향의 그리드안착부가 구비된 합성수지 재질의 채널형 배수홈통과;
    상기 배수홈통의 일측 개구부에 끼워 결합되며 내부에 배수부 및 여과부가 형성되어 오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합성수지재의 배수트랩과; 그리고,
    상기 배수홈통의 상측 개구부를 덮으면서 전후 양측 길이방향에 형성된 절곡부가 상기 배수홈통의 그리드안착부에 안착되며 다수의 도입공이 구비된 그리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홈통은, 그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타일의 저면과 측면이 안착되는 타일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바닥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안착부는,
    상기 배수홈통의 상면에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바닥 배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안착부는,
    수평부 및 수직부가 연이어 형성되는 계단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바닥 배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바닥 배수장치는,
    상기 여과부와 배수부와 연계하여 상기 배수트랩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트랜치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랜치 슬리브는, 상부가 개구됨과 아울러 그 저면에 배수관이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트랩이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는, 서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트랩을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본체에 안내수단을 따라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2미닫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20000033821U 2000-12-02 2000-12-02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224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821U KR200224178Y1 (ko) 2000-12-02 2000-12-02 실내 바닥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821U KR200224178Y1 (ko) 2000-12-02 2000-12-02 실내 바닥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178Y1 true KR200224178Y1 (ko) 2001-05-15

Family

ID=7309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821U KR200224178Y1 (ko) 2000-12-02 2000-12-02 실내 바닥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1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98U (ko) 2021-07-05 2023-01-12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KR20240115019A (ko) 2023-01-18 2024-07-25 김동식 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98U (ko) 2021-07-05 2023-01-12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KR20240115019A (ko) 2023-01-18 2024-07-25 김동식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629B2 (en) Floor drain and sanitary installation with such a floor drain, and method of fitting such a sanitary installation
NL1027175C1 (nl) Afvoergoot met rooster.
EP2759647B1 (en) Drain
RU2727725C1 (ru) Напольный слив для отвода воды от проходимого пола в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й трубопровод
DK1865117T3 (en) Drain with upright edge
DE3536691A1 (de) Wasserspareinrichtung zur toilettenspuelung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KR200224178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10078654A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JP2006328772A (ja) 浴室ユニット
EP1566497A1 (en) Assembly of a drain hole member and a stench trap, as well as a floor provided with such an assembl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ch trap
KR20019121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101632899B1 (ko)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
NL1025765C2 (nl) Goot met stankafsluiter.
EP2319997A1 (en) Drain without grating
EP1956154A1 (en) Narrow siphon
KR20020078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262382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EP2302143B1 (en) Gutter drain
KR100473604B1 (ko)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KR200327221Y1 (ko) 바닥 배수장치
KR200327222Y1 (ko) 실내 바닥배수장치
KR102332765B1 (ko) 배수장치
KR100951028B1 (ko) 배수구용 악취 차단구
KR200352198Y1 (ko) 트랜치형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