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221Y1 - 바닥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바닥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221Y1
KR200327221Y1 KR20-2003-0018218U KR20030018218U KR200327221Y1 KR 200327221 Y1 KR200327221 Y1 KR 200327221Y1 KR 20030018218 U KR20030018218 U KR 20030018218U KR 200327221 Y1 KR200327221 Y1 KR 200327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drain
floor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훈
Original Assignee
오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주훈 filed Critical 오주훈
Priority to KR20-2003-0018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2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고 실내 구석진 부분의 생활폐수를 실내 중앙 부분에 설치된 메인배수조를 통하여 함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바닥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닥슬라브(200) 중앙부분에는 생활폐수를 배수시키는 메인배수조(100)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 슬라브(200)의 구석진 부분에는 배수틀(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틀(60)은 바닥의 생활폐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수홈(61)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61)을 통해 배출되는 생활폐수가 경유하며 측면에 연결공(65)이 형성된 배수통(64)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수틀(60)은 예컨대, 욕조의 외측 하단 가장자리에 설치되어진다. 메인배수조(100)와 배수통(64)은 연결관(120)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관(120)은 바닥슬라브(200)에 매설되어 진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며, 배수틀(60)을 통하여 배출되는 생활폐수를 상기 메인배수조(100)의 배수관(110)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이 배수장치는 바닥슬래브(200)의 상면에 각각 분리되어서 메인배수조(100)와 배수틀(60)이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바닥슬래브의 저부에는 메인배수관(100)과 연결된 배수관(110)만이 노출되므로 바닥슬래브의 외관 마감공정이 간단하게 된다.

Description

바닥 배수장치 {An apparatus for draining}
본 고안은 실내 바닥의 생활폐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바닥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의 구석진 곳에 설치된 배수틀을 통한 생활폐수가 바닥의 중앙에 설치된 메인배수조를 통하여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바닥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또는 화장실의 구석진 부분(예컨대 세면대와 변기와의 사이의 부분)에는 바닥에 고이는 생활폐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이 배수구에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배수트랩이 설치된다.
도 1 및 도 2는 실용신안등록 제0191219호에 개시된 배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는 상부 및 전후가 개방된 채널형 배수홈통 본체(11)를 가지는 트랜치(trench)형 배수홈통(1)과, 배수홈통 본체(11)의 전방에 결합되는 배수트랩(3)과, 배수홈통 본체(11)의 전방 개방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수홈통(1)과 함께 상부가 개방된 배수통(4)과, 상단이 배수통(4)의 안내슬리브(43)의 상단 가장자리에 지지되어 배수통(4)의 안내슬리브(43)를 통하여 배수통(4) 아래로 설치되는 여과통(5)과, 여과통(5)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판(51)과, 배수홈통본체(11)의 상면 가장자리 플랜지(111)에 결합되는 금속틀(8)과, 큰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거르기 위한 그리드(9)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여과통(5)의 상단 내주면 일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판(53)이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여과통(5)의 상단부 일측에는 배수구(10)와 통하는 배수공(54)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판(53)은 그 하단 높이가 배수공(54)의 최하 높이보다 낮게 아래로 연장됨으로써 봉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수장치는 바닥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메인배수조(미도시)와는 별도로 실내 구석진부분의 배수를 위해 설치됨으로써, 바닥의 배수구조가 복잡하다. 즉, 바닥 콘크리트의 저면부에는 구석진부분의 배수구(10)와, 중앙부분에 위치되는 메인배수조(미도시)의 배수구(미도시)가 별도로 설치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다.
또한, 구석진부분의 배수장치에는 중앙부분의 배수장치와 함께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여과통(5)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다.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실내 구석진 부분의 생활폐수를 실내 중앙 부분에 설치된 메인배수조를 통하여 함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바닥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또한, 여과판의 분리 및 결합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바닥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배수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 배수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배수장치를 나타낸 설치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배수틀 64...배수통
70...여과판 100...메인배수관
110...배수관 120...연결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바닥슬라브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생활폐수를 배수시키는 메인배수조를 구비하는 바닥 배수장치에 있어서,
바닥 슬라브의 구석진 부분에 설치되며 바닥의 생활폐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을 통해 배출되는 생활폐수가 경유하며 측면에 연결공이 형성된 배수통을 가지는 배수틀과;
상기 연결공과 상기 메인배수조를 연결시키는 연결관과;
상기 배수틀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그리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통의 상부에 결합되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에 수직하게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한쌍의 손잡이부를 가지는 여과판이 더구비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배수장치를 분리 사시도로 나타낸 도 3 및 설치상태 단면을 나타낸 도 4를 참조하면, 바닥슬라브(200) 중앙부분에는 생활폐수를 배수시키는 메인배수조(100)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 슬라브(200)의 구석진 부분에는 배수틀(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틀(60)은 바닥의 생활폐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수홈(61)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61)을 통해 배출되는 생활폐수가 경유하며 측면에 연결공(65)이 형성된 배수통(64)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수틀(60)은 예컨대, 욕조의 외측 하단 가장자리에 설치되어진다.
상기 배수틀(60)의 테두리(62)에는 금속틀(90)이 결합되어지며, 상면에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그리드(80)가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배수조(100)와 배수통(64)은 연결관(120)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관(120)은 바닥슬라브(200)에 매설되어 진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며, 배수틀(60)을 통하여 배출되는 생활폐수를 상기 메인배수조(100)의 배수관(110)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배수통(64)의 상부에는 상기 그리드(90)에서 걸러내지 못한 비교적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판(7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여과판(70)은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부(71)와, 상기 여과부(71)에 수직하게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한쌍의 손잡이부(7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여과판(70)의 한쌍의 손잡이부(72)를 파지함으로써 분리 및 결합이 편리해진다.
상기와 같은 배수장치는 배수통(64)의 연결공(65)과 메인배수조(100)를 연결관(120)으로 연결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슬래브(200)를 형성한다.
따라서 배수틀(60)의 배수홈(61)에 진입되는 생활폐수는 그리드(80)에서 1차적으로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여과판(70)을 경유하면서 비교적 작은 이물질이 걸러진후 연결관(120)을 통하여 메인배수조(100)의 배수관(11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수장치는 바닥슬래브(200)의 저부에는 배수관(110)만이 노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수장치는 바닥슬래브(200)의 상면에 각각 분리되어서 메인배수조(100)와 배수틀(60)이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바닥슬래브의 저부에는 메인배수관(100)과 연결된 배수관(110)만이 노출되므로 바닥슬래브의 외관 마감공정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배수틀(60)을 통한 생활폐수의 배출을 메인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한다.
또한, 여과판에 손잡이부가 형성됨으로써 분리 및 결합이 편리하다.

Claims (2)

  1. 바닥슬라브(200)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생활폐수를 배수시키는 메인배수조(100)를 구비하는 바닥 배수장치에 있어서,
    바닥 슬라브(200)의 구석진 부분에 설치되며 바닥의 생활폐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수홈(61)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61)을 통해 배출되는 생활폐수가 경유하며 측면에 연결공(65)이 형성된 배수통(64)을 가지는 배수틀(60)과;
    상기 연결공(65)과 상기 메인배수조(100)를 연결시키는 연결관(120)과;
    상기 배수틀(60)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그리드(8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64)의 상부에 결합되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부(71)와, 상기 여과부(71)에 수직하게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한쌍의 손잡이부(72)를 가지는 여과판(7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수장치.
KR20-2003-0018218U 2003-06-07 2003-06-07 바닥 배수장치 KR200327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218U KR200327221Y1 (ko) 2003-06-07 2003-06-07 바닥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218U KR200327221Y1 (ko) 2003-06-07 2003-06-07 바닥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221Y1 true KR200327221Y1 (ko) 2003-09-19

Family

ID=4941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218U KR200327221Y1 (ko) 2003-06-07 2003-06-07 바닥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2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3690C2 (ru) Водяной затвор дл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327221Y1 (ko) 바닥 배수장치
CN210737746U (zh) 一种干湿通用防臭地漏
KR200206787Y1 (ko)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KR200153759Y1 (ko) 배수구
JPH03450Y2 (ko)
KR200327222Y1 (ko) 실내 바닥배수장치
KR20019121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CN206448329U (zh) 一种节水型蹲便装置
JPS6227572Y2 (ko)
KR101846988B1 (ko)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JPS6014865Y2 (ja) 集合排水トラップ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200218248Y1 (ko) 집수정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CN220847947U (zh) 一种装配式建筑的防臭地漏
KR20020078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262382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CN210946974U (zh) 一种生活废水自动收集装置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JPS6115104Y2 (ko)
KR200224178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