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617A -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617A
KR20060101617A KR1020050023120A KR20050023120A KR20060101617A KR 20060101617 A KR20060101617 A KR 20060101617A KR 1020050023120 A KR1020050023120 A KR 1020050023120A KR 20050023120 A KR20050023120 A KR 20050023120A KR 20060101617 A KR20060101617 A KR 2006010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oor
guide
bracke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080B1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A.N.D 오토모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A.N.D 오토모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A.N.D 오토모빌
Priority to KR102005002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08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컨테이너는 일측으로 도어가 형성되어 있어 화물을 상·하차시킬 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사이드패널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부가 루프패널의 하면에 형성시키게 됨으로 적재되는 화물량이 줄어드는 문제점과, 사이드패널과 루프패널을 열고 닫는 구조가 매우복잡하고, 특히 컨테이너의 측면을 개폐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이드패널과 루프패널의 작업반경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7 에 표현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 골격을 이루는 루프·플로어사이드프레임(110)(120)에 지지레일(112)과 가이드레일(122)을 설치하고, 상기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한 쌍의 절첩식 도어(200)를 설치하며, 상기 절첩식 도어(200)의 내측 상·하부에 지지수단(210)과 가이드수단(220)을 설치하여 일측단이 회전하면서 타측단은 슬라이드되어 절첩식 도어(200)의 개폐 작업반경을 최소화 하면서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Container}
도 1 의 (a)(b)(c)(d)는 일반적인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컨테이너의 측면에 개폐도어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b)는 컨테이너의 측면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컨테이너의 사시도,
(c)는 컨테이너의 측면이 스윙식으로 개폐되는 컨테이너의 사시도,
(d)는 컨테이너의 측면이 접히는 윙바디식으로 개폐되는 컨테이너의 사시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측면에 절첩식도어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3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절첩식도어에 설치된 지지수단과 가이드수단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절첩식도어에 설치된 가이드수단과 가이드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절첩식도어에 설치된 가이드수단과 가이드수단의 종단면도,
도 6 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도어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7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도어의 다른 일예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컨테이너 본체,
110 - 루프사이드프레임, 112 - 지지레일,
120 - 플로어사이드프레임, 122 - 슬라이드레일,
200 - 절첩식 도어, 201 - 힌지도어,
202 - 절첩도어, 203 - 슬라이드도어,
204 - 슬라이드절첩도어,
210 - 지지수단, 211 - 슬라이드연결브라켓,
212 - 상부지지브라켓, 213 - 하부지지브라켓,
214 - 지지브라켓, 215 - 지지로울러,
220 - 가이드수단, 221 - 가이드연결브라켓,
222 - 수직면, 223 - 수평면,
224 - 지지면, 225 - 가이드브라켓,
226 - 슬라이드로울러, 227 - 가이드로울러.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컨테이너의 측 면에 회전반경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 쌍의 접이식도어를 설치하여 일단은 수직프레임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하고, 타단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하여 접이식도어가 절첩되면서 슬라이드되어 컨테이너의 측면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적층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주로 화물수송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간이 창고용이나 임시 주거용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상기 화물수송용 컨테이너로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플로어사이드프레임과 플로어 크로스프레임 및 루프사이드프레임과 루프 크로스프레임, 그리고 프런트·리어측의 수직프레임으로 골격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의 육면에 플로어패널과 루프패널 및 프런트패널과 리어패널, 그리고 양측으로 사이드패널이 부착되어 직육면체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특허공보 특허 제89-700471호(명칭 "컨테이너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채용한 컨테이너"이하 "종래발명1"이라고 함)에 표현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의 사이드패널(2) 중앙에 다수의 힌지연결브라켓(3)을 이용하여 한 쌍의 도어(4)를 설치하고, 도어(4)의 외면에 손잡이기능을 하는 수직봉형의 스톱바(5)를 설치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화물의 상·하차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발명1은 화물을 상차시킬 때에는 도어(4)를 통해 컨테이너의 내부 양측으로 다시 넣어야 하고, 또한 화물을 하차시킬 때에는 컨테이 너의 내부 양측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끌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예시도 1 참조)
상기 컨테이너의 다른 예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9-475 호(명칭 "컨테이너의 도어경첩 조립체" 이하 "종래고안1"이라고 함)에 표현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의 리어패널(6)에 한 쌍의 도어(4)를 설치하고, 도어(4)의 외면에 손잡이기능을 하는 수직봉형의 스톱바(5)를 설치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고안1은 화물을 상차시킬 때에는 도어(4)를 통해 컨테이너의 내부 양측으로 다시 넣어야 하고, 또한 화물을 하차시킬 때에는 컨테이너의 내부 양측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끌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예시도 2 참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9-18781 호(명칭 "탑차의 컨테이너 개폐구조"이하 "종래고안2"이라고 함)에 표현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의 내부 루프패널(7)에 가이드레일(8)을 갖춘 수납공간부(9)를 형성하여 양측의 도어용 사이드패널(10)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화물의 상·하차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고안2는 사이드패널(10)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부(9)가 루프패널(7)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어 컨테이너(10) 내부의 공간을 축소시키게 됨으로 운송되는 화물의 적재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사이드패널(1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9)을 형성해야 함으로 차체 하중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예시도 3 참조)
또한, 특허출원 제 2001-17426 호(명칭 "측면 접이식 윙바디 컨테이너"이하 "종래발명2"라고 함)에 표현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의 루프패널(7)은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설치된 루프레일(11)과 힌지결합을 이루면서 좌우로 분할되어 좌·우측루프패널(12)(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측루프패널(12)(12')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양측의 사이드패널(13)은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분리되어 상·하부사이드패널(14)(15)로 이루어져 경첩(16)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양분된 좌·우측루프패널(12)(12')은 그 구성이 동일함으로 일측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루프레일(7)과 좌측루프패널(12) 사이에 유압실린더(17)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7)의 작동과 연동되는 와이어로프(18)가 설치되어 지되, 와이어로프(18)는 하부사이드패널(15) 하단부에 설치된 견인로울러(19)에 일단이 일체를 이루고, 타단은 루프크로스프레임(20)에 설치된 링고리(21)와 일체를 이루며, 상부사이드패널(14)에 다수 설치된 가이드로울러(22)를 거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발명2는 유압실린더(17)에 유압이 가해지게 되어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일체를 이루고 있는 상부사이드패널(14)을 포함한 좌·우측루프패널(12)(12')을 들어 올림과 동시에 와이어로프(18)가 하부사이드패널(15)을 당겨주게 되어 경첩(16)에 의해 하부사이드패널(15)은 접히면서 컨테이너의 측면은 개방되어 화물의 상·하차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유압실린더(17)에 유압이 차단되면 상·하부사이드패널(14)(15)과 좌·우측루프패널(12)(12')의 자중에 의해 유압실린더(17)의 길이가 서서히 수축되면서 컨 테이너의 측면은 폐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발명2는 사이드패널(13)과 루프패널(7)을 열고 닫는 구조가 매우복잡하고, 특히 컨테이너의 측면을 개폐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이드패널(13)과 루프패널(7)의 작업반경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고안1과 종래발명1은 화물을 상·하차시킬 때, 컨테이너의 내부 양측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끌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종래고안2는 사이드패널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부가 루프패널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어 컨테이너 내부의 공간을 축소시키게 됨으로 운송되는 화물의 적재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발명2는 사이드패널과 루프패널을 열고 닫는 구조가 매우복잡하고, 특히 컨테이너의 측면을 개폐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이드패널과 루프패널의 작업반경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고안1·2와 종래발명1·2가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컨테이너의 측면에 회전반경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 쌍의 접이식도어를 설치하여 일단은 수직프레임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하고, 타단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하여 접이식도어가 절첩되면서 슬라이드되어 컨테이너의 측면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컨테이너본체의 측면에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된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측면 골격을 이루는 루프·플로어사이드프레임에 지지레일과 가이드레일을 설 치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측면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한 쌍의 절첩식 도어를 설치하며, 상기 절첩식 도어의 내측 상·하부에 지지수단과 가이드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수단은 절첩식 도어의 내측 상부에 보울트결합을 이루는 슬라이드연결브라켓과; 상·하부지지브라켓으로 이루어져 보울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지지브라켓과; 상부사이드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지지로울러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수단은 절첩식 도어의 내측 하부에 보울트결합을 이루는 가이드연결브라켓과; 수직면과 수평면 및 지지면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브라켓과; 하부사이드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로울러와 가이드로울러로 이루어 짐으로서, 컨테이너본체의 측면에 설치된 절첩식 도어는 일측단이 회전하면서 타측단은 슬라이드되어 컨테이너본체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측면에 절첩식도어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예시도 3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절첩식도어에 설치된 지지수단과 가이드수단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예시도 4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절첩식도어에 설치된 가이드수단과 가이드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예시도 5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절첩식 도어에 설치된 가이드수단과 가이드수단의 종단면도이며, 예시도 6 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도어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고, 예시도 7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도어의 다른 일예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 예시도 이다.
상기 예시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컨테이너본체의 측면에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된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 골격을 이루는 루프·플로어사이드프레임(110)(120)에 지지레일(112)과 가이드레일(122)을 설치하고, 상기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한 쌍의 절첩식 도어(200)를 설치하며, 상기 절첩식 도어(200)의 내측 상·하부에 지지수단(210)과 가이드수단(220)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수단(210)은 절첩식 도어(200)의 내측 상부에 보울트결합을 이루는 슬라이드연결브라켓(211)과; 상·하부지지브라켓(212)(213)으로 이루어져 보울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지지브라켓(214)과; 상부사이드프레임(110)에 설치된 지지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지지로울러(215)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수단(220)은 절첩식 도어(200)의 내측 하부에 보울트결합을 이루는 가이드연결브라켓(221)과; 수직면(222)과 수평면(223) 및 지지면(224)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브라켓(225)과; 하부사이드프레임(12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22)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로울러(226)와 가이드로울러(22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절첩식 도어(200)는 일예로 힌지도어(201)와 절첩도어(202) 및 슬라이드도어(203)로 구분되어 각각 내측으로 공지의 경첩(5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힌지도어(201)는 그 일측에 설치된 공지의 힌지연결브라켓(52)에 의해 컨테이너본체 (100)의 수직프레임(53)과 힌지결합을 이루어 절첩도어(202)와 같이 ??270ㅀ 회전된다.
상기 절첩식 도어(200)의 다른 일예로 힌지도어(201)와 슬라이드절첩도어(204)로 구분되어 내측으로 공지의 경첩(5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힌지도어(201)는 그 일측에 설치된 공지의 힌지연결브라켓(52)에 의해 컨테이너본체(100)의 수직프레임(53)과 힌지결합을 이루어 슬라이드절첩도어(204)와 같이 약??135ㅀ 회전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54는 슬라이드연결브라켓(211)과 축결합되어 지지브라켓(214)의 하부지지브라켓(213)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상부연결브라켓이고, 56은 슬라이드연결브라켓(211)과 상부연결브라켓(54)을 축결합시키는 상부힌지보울트이며, 58은 가이드연결브라켓(221)과 축결합되어 가이드브라켓(225)의 수직면(222)과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하부연결브라켓이고, 60은 가이드연결브라켓(221)과 하부연결브라켓(60)을 축결합시키는 하부힌지보울트, 62는 절첩식 도어(200)의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잠금기능과 개폐시 손잡이기능을 하는 수직봉형의 스톱바 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이 양분되어 한 쌍의 절첩식 도어(200)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절첩식 도어(200)는 그 일측에 설치된 다수의 힌지연결브라켓(52)에 의해 컨테이너본체(100)의 수직프레임(53)과 힌지결합을 이루어 컨테이너본체(100)와 일체를 이루면서 회전되어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이 개폐된다.
상기 컨테이너본체(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컨테이너본체(100)의 양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절첩식 도어(200)는 그 구조와 그에 따른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여 일측의 절첩식 도어(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특히 슬라이드도어(203)와 절첩도어(202) 및 힌지도어(201)로 구분되어 경첩(50)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절첩식 도어(20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컨테이너본체(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을 이루는 루프사이드프레임, 루프크로스프레임, 플로어사이드프레임, 플로어크로스프레임과 프런트·리어측의 수직프레임으로 직육면체의 골격을 이루고, 상기와 같은 직육면체의 골격에 루프패널, 플로어패널, 프런트패널, 리어패널, 한 쌍의 사이드패널이 부착되어 박스형의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에 다단계로 분할되어 내측면에 설치된 경첩(5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면서 절첩가능한 절첩식 도어(200)가 설치되고, 상기 절첩식 도어(200)의 외면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직봉 형상의 스톱바(6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톱바(62)는 그 상하단이 승강되면서 루프사이드프레임과 플로어사이드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에 걸리거나 풀리도록 된 잠금장치로서 그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스톱바(62)는 절첩식 도어(200)의 장금장치의 작용 외에 부수적으로 절첩식 도어(200)를 열고 닫을때 손잡이로 사용된다.(예시도 2 참조)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에 설치된 절첩식 도어(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이 힌지연결브라켓(62)에 의해 수직프레임(53)과 회전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다른 일측은 내측면 상하부에 지지로울러(215)를 갖춘 지지수단(210)과 가이드로울러(227) 및 슬라이드로울러(226)를 갖춘 가이드수단(220)이 설치되어 루프사이드프레임(110)과 플로어사이드프레임(120)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절첩식 도어(200)의 지지수단(210)은 예시도 3의 (a)와 예시도 4의 (a) 및 예시도 5(a)에 표현된 바와 같이, 절첩식 도어(200)의 슬라이드도어(203) 내측 상부에 보울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슬라이드연결브라켓(211), 상·하부지지브라켓(212)(213)으로 이루어져 보울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지지브라켓(214), 그리고 상부지지브라켓(212)과 축결합을 이루는 지지로울러(215)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로울러(215)는 루프사이드프레임(110)에 설치된 지지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드도어(203)의 내측 상부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슬라이드연결브라켓(211)과 루프사이드패널(110)의 지지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지지로울러(215)와 일체를 이루는 지지브라켓(214)은 상부연결브라켓(54)과 상부힌지보울트(56)에 의해 힌지결합을 이루게 되어 절첩식 도어(200)가 개폐되는 정도에 따라 회전됨으로 지지로울러(215)의 슬라이드 방향이 지지레일(112)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어 원활하게 지지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드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214)은 상·하부지지브라켓(212)(213)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절첩식 도어(200)를 개폐시키는 작동을 반복사용하다 보면 상부지지브라켓 (212)과 축결합을 이루고 있는 지지로울러(215)가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지지로울러(215)의 유지보수를 원활히 할 수 있고, 특히 절첩식 도어(200)의 대부분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14)은 그 강성을 갖추기 위해 상·하부지지브라켓(212)(213)이 단면상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절첩식 도어(200)의 가이드수단(220)은 예시도 3의 (b)와 예시도 4의 (b) 및 예시도 5의 (b)에 표현된 바와 같이, 절첩식 도어(200)의 슬라이드도어(203) 내측 하부에 보울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가이드연결브라켓(221), 수직면(222)과 수평면(223) 및 지지면(224)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브라켓(225), 그리고 가이드브라켓(225)의 수직면(222)과 수평면(223)에 각각 축결합을 이루는 슬라이드로울러(226)와 가이드로울러(227)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로울러(226)와 가이드로울러(227)는 플로어사이드프레임(120)에 설치된 슬라이드레일(122)의 밑면과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 된다.
상기 슬라이드도어(203)의 내측 하부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가이드연결브라켓(221)과 플로어사이드패널(120)의 슬라이드레일(122)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로울러(226)와 가이드로울러(227)와 일체를 이루는 가이드연결브라켓(221)은 하부연결브라켓(58)과 하부힌지보울트(60)에 의해 힌지결합을 이루고 있으므로, 절첩식 도어(200)가 개폐되는 정도에 따라 회전되어 슬라이드로울러(226)와 가이드로울러(227)의 슬라이드 방향이 슬라이드레일(122)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어 원활하게 슬라이드 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225)의 수평면(223)에 축결합을 이루고 있는 가이드로울 러(227)는 편심형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컨테이너본체(100)에 화물을 상·하차착업시 작업자의 부주위로 플로어사이드패널(120)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레일(122)에 충격을 가해 변형이 생길경우, 또는 슬라이드레일(122)에 이물질이 끼어 슬라이드레일(122)의 내측면이 평탄하지 않을 경우 가이드로울러(227)의 닿는 면이 보정되어 원활하게 슬라이드 된다.
상기와 같이 절첩식 도어(200)의 슬라이드도어(203) 내측 상·하부에 지지수단(210)과 가이드수단(220)이 설치되어 지지레일(112)과 슬라이드레일(122)을 따라 슬라이드 됨으로, 예시도 6의 (a)(b)(c)에 표현된 바와 같이, 도면상 미도시 되었으나 절첩식 도어(200)의 외면에 다수 설치된 잠금장치의 작용과 동시에 손잡이의 작용을 하는 스톱바(62)를 잡고 양측으로 잡아 당기면, 힌지도어(201)는 힌지연결브라켓(52)에 의해 회전되면서 절첩도어(202)와 슬라이드도어(203)를 당기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도어(203)는 내측 상하단에 설치된 지지수단(210)과 가이드수단(220)에 의해 지지레일(112)과 슬라이드레일(122)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결과적으로 힌지도어(201)와 절첩도어(202)는 내측면이 맞닿은 상태로 회전이 된다.
즉, 힌지도어(201)의 외측면이 도면상 컨테이너본체(100)의 리어패널측에 닿게 될 정도로 ??270ㅀ 회전되어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이 완전히 개방됨으로, 화물의 상·하차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개방된 절첩식 도어(200)를 닫으려 할 경우, 스톱바(62)를 상기와는 반대로 끌어당기면 절첩되어 있던 힌지도어(201)와 절첩도어(202)는 펼쳐지면서 컨테이더본체(100)의 측면을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첩식 도어(200)의 다른 일예로서 예시도 7의 (a)(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첩식 도어(200)는 힌지도어(201)와 슬라이드절첩도어(204)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공지의 경첩(5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슬라이드절첩도어(204)는 그 내측 상·하부에 전술한 지지수단(210)과 가이드수단(220)이 설치되어 지지레일(112)과 슬라이드레일(122)을 따라 슬라이드 되고, 힌지도어(201)는 그 일측에 설치된 공지의 힌지연결브라켓(52)에 의해 컨테이너 본체(100)의 수직프레임(53)과 힌지결합을 이루어 ??135ㅀ 회전되어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을 개폐시킬 수 있어 화물의 상·하차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 골격을 이루는 루프·플로어사이드프레임(110)(120)에 지지레일(112)과 가이드레일(122)을 설치하고, 상기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한 쌍의 절첩식 도어(200)를 설치하며, 상기 절첩식 도어(200)의 내측 상·하부에 지지수단(210)과 가이드수단(220)을 설치하여 일측단이 회전하면서 타측단은 슬라이드되어 절첩식 도어(200)의 개폐 작업반경을 최소화 하면서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화물의 상·하역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어 작업성과 안전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컨테이너본체의 측면에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된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 골격을 이루는 루프·플로어사이드프레임(110)(120)에 지지레일(112)과 가이드레일(122)을 설치하고, 상기 컨테이너본체(100)의 측면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한 쌍의 절첩식 도어(200)를 설치하며, 상기 절첩식 도어(200)의 내측 상·하부에 지지수단(210)과 가이드수단(220)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수단(210)은 절첩식 도어(200)의 내측 상부에 보울트결합을 이루는 슬라이드연결브라켓(211)과; 상·하부지지브라켓(212)(213)으로 이루어져 보울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지지브라켓(214)과; 상부사이드프레임(110)에 설치된 지지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지지로울러(215)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수단(220)은 절첩식 도어(200)의 내측 하부에 보울트결합을 이루는 가이드연결브라켓(221)과; 수직면(222)과 수평면(223) 및 지지면(224)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브라켓(225)과; 하부사이드프레임(12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22)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로울러(226)와 가이드로울러(2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절첩식 도어(200)는 힌지도어(201)와 절첩도어(202) 및 슬라이드도어(203)로 구분되어 각각 내측으로 공지의 경첩(5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힌지도어(201)는 그 일측에는 공지의 힌지연결브라켓(52)에 의해 컨테이너본체 (100)의 수직프레임(53)과 힌지결합을 이루어 절첩도어(202)와 같이 ??270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절첩식 도어(200)는 힌지도어(201)와 슬라이드절첩도어(204)로 구분되어 내측으로 공지의 경첩(5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힌지도어(201)는 그 일측에는 공지의 힌지연결브라켓(52)에 의해 컨테이너본체(100)의 수직프레임(53)과 힌지결합을 이루어 슬라이드절첩도어(204)와 같이 약??135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연결브라켓(211)과 지지브라켓(214)은 상부연결브라켓(54)과 상부힌지보울트(56)에 의해 힌지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연결브라켓(221)과 가이드브라켓(225)은 하부연결브라켓(58)과 하부힌지보울트(60)에 의해 힌지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브라켓(225)의 수평면(223)에 축결합을 이루고 있는 가이드로울러(227)는 편심형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슬라이드레일(122)의 내측면이 평탄하지 않을 경우 가이드로울러(227)의 닿는 면이 보정되어 원활하게 슬라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KR1020050023120A 2005-03-21 2005-03-21 컨테이너 KR10064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120A KR100641080B1 (ko) 2005-03-21 2005-03-21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120A KR100641080B1 (ko) 2005-03-21 2005-03-21 컨테이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687U Division KR200387811Y1 (ko) 2005-03-22 2005-03-22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617A true KR20060101617A (ko) 2006-09-26
KR100641080B1 KR100641080B1 (ko) 2006-11-03

Family

ID=3763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120A KR100641080B1 (ko) 2005-03-21 2005-03-21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0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0140A (zh) * 2010-03-12 2011-09-21 南相宇 集装箱
KR101231470B1 (ko) * 2012-07-12 2013-02-07 홍정선 절첩식 컨테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2131A2 (ko) * 2008-07-01 2010-01-07 Nam Sang Woo 컨테이너
KR101205175B1 (ko) * 2010-01-28 2012-11-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주조설비 몰드의 탕면 속도 저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0140A (zh) * 2010-03-12 2011-09-21 南相宇 集装箱
US8381927B2 (en) 2010-03-12 2013-02-26 Sang Woo Nam Container
CN102190140B (zh) * 2010-03-12 2014-07-30 南相宇 集装箱
KR101231470B1 (ko) * 2012-07-12 2013-02-07 홍정선 절첩식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080B1 (ko) 200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817B2 (en) Tonneau cover
US20070257507A1 (en) Tonneau cover
US9896017B1 (en) Convertible trailer
KR100641080B1 (ko) 컨테이너
JP2022172372A (ja) 折り畳み式インターモーダルコンテナ
US6899372B1 (en) Pickup bed cover
DE102005011680B4 (de) Heckklappe für ein Fahrzeug mit zusätzlichem Ladegutträger
KR20120063052A (ko) 화물차 적재함의 리어게이트 장치
KR101445314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US11136183B2 (en) Container
KR101299671B1 (ko)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US20180126830A1 (en) Cargo Containment Structure Double Swing Door System
KR101595310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EP2379399A1 (en) Door system for sides of a load platform of a truck
KR200387811Y1 (ko) 컨테이너
CN210174866U (zh) 顶盖装置及铁路货车
EP3601105B1 (en)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JP5639629B2 (ja) 建造物における床スラブの開口開閉装置
CN106985729B (zh) 载货汽车及其载货车箱
KR101701095B1 (ko) 적재함 보호 덮개장치
JP5604363B2 (ja) 貨物車両の荷箱の扉装置
KR101411388B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
KR200482911Y1 (ko)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US20170022741A1 (en) Door assembly for vehicles
JP2552409Y2 (ja) 貨物自動車のリ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