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354A - 영상 기록 시스템, 비디오 카메라, 영상 기록 장치, 비디오카메라에 의한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 방법, 영상 기록장치에서의 영상 신호의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기록 시스템, 비디오 카메라, 영상 기록 장치, 비디오카메라에 의한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 방법, 영상 기록장치에서의 영상 신호의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354A
KR20060101354A KR1020060024807A KR20060024807A KR20060101354A KR 20060101354 A KR20060101354 A KR 20060101354A KR 1020060024807 A KR1020060024807 A KR 1020060024807A KR 20060024807 A KR20060024807 A KR 20060024807A KR 20060101354 A KR20060101354 A KR 20060101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recording
control information
signal
video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643B1 (ko
Inventor
진 야마시따
다다시 후지와라
히로후미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1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having means for adapting to batteries or cells of different types or different siz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3Process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2Demultiplexing isochronously with video sync, e.g. according to bit-parallel or bit-serial interface formats, as SD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상을 하나 이상의 VTR 등에 녹화시킬 때에,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공급하는 기록 등의 제어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된 영상 기록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영상 기록 시스템에서, 비디오 카메라는, 비디오 카메라의 조작부의 조작 상태에 따라서 VTR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 및 비디오 카메라의 촬상부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다중화하고, 그 결과를 전송용 직렬 디지털 신호로서 VTR에 전송한다. VTR은 직렬 디지털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제어 정보를 분리하고, 이러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VTR의 영상 기록계를 제어한다.
영상 기록 시스템, 비디오 카메라, 영상 기록 장치, 제어 정보, 전송 데이터

Description

영상 기록 시스템, 비디오 카메라, 영상 기록 장치,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 방법, 영상 기록 장치에서의 영상 신호의 기록 방법{VIDEO RECORDING SYSTEM, VIDEO CAMERA, VIDEO RECORD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VIDEO RECORDING APPARATUS BY VIDEO CAMERA, AND METHOD OF RECORDING VIDEO SIGNAL IN VIDEO RECORDING APPARATUS}
도 1은 대표취재를 위한 종래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대표취재를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비디오 카메라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타입 2의 ANC 패킷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작성하기 위해 도 3의 CPU가 부여하는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VTR 제어 커맨드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단독의 "VTR 제어 패킷"을 작성하기 위해 도 3의 CPU가 부여하는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단독의 "VTR 제어 패킷"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단독의 "VTR 제어 패킷"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각 VTR의 기록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PU가 VTR 제어 커맨드에 기초하여 실행하는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도 12의 "REC 커맨드 실행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도 11의 "STOP 커맨드 실행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단독의 "VTR 제어 패킷"을 작성하는 경우의 도 12의 처리의 변경 개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시스템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카메라
1a : HD-SDI 출력 단자
2 : VTR
2a : HD 직렬 디지털 입력 단자
3 : HD-SDI 분배기
3a : HD 직렬 디지털 입력 단자
3b : HD 직렬 디지털 출력 단자
4, 5 : BNC 케이블
11 : 촬상부
12 : 영상 신호 처리부
13 : SDI 인코더
14 : CPU
15 : 조작부
16 : 병렬/직렬 변환 회로
17 : VTR부
21 : 직렬/병렬 변환 회로
22 : SDI 디코더
23 : 화상 압축 처리 회로
24 : CPU
25 : 버퍼 메모리
26 : 전환 스위치
27 : 신호 처리 회로
28 : 기록 앰프
29 : 기록 헤드
[특허 문헌1] 일본 공개 특허출원 2003-224808호 공보(단락 번호0027∼39, 도 1∼ 2)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05년 3월 17일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JP 2005-077965호에 관련된 청구대상을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된다.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와, 그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서 원격 제어되는 영상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기록 장치의 오동작이 방지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방송국이 동일한 현장에서 취재를 행하는 경우, "대표취재(pool coverage)"라 불리우는 모드가 있다. 이것은, 복수의 방송국 중 하나의 방송국을 간사국(managing station)으로 결정하고, 간사국의 카메라맨이 비디오 카메라를 취재현장에 가지고 들어가는 것과 함께, 다른 방송국은 VTR를 준비해 두고, 간사국의 카메라맨이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 및 녹화한 영상을, 다른 각 방송국의 VTR에도 분배하고 녹화시키는 것이다. 이 대표취재는, 예를 들면 야구장과 같이 취재용 기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좁은 장소에서 행해지고 있다.
도 1은, 이 대표취재를 행하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디오 카메라(51)는, 26-핀 커넥터(멀티 커넥터의 일종)(51a)를 갖는 VTR 일체형의 비디오 카메라이며, 간사국의 카메라맨이 취재현장에 가지고 들어간다.
비디오 카메라(51)의 26-핀 커넥터(51a)는, 26-핀 커넥터용의 케이블(53)에 의해서, 분배기(54)의 복수의 26-핀 커넥터(54a) 중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각 VTR(52)은, 26-핀 커넥터(52a)를 갖는 VTR이며, 간사국 이외의 각 방송국(A 국∼D 국)에 의해서 한대씩 준비되어 있다. 각 VTR(52)의 26-핀 커넥터(52a)도, 각각 26-핀 커넥터용의 케이블(53)에 의해서, 분배기(54)의 복수의 26-핀 커넥터(54a) 중의 하나씩에 접속되어 있다.
분배기(54)는, 복수의 26-핀 커넥터(54a) 중, 카메라 입력용으로 할당한 1개의 26-핀 커넥터(54a)에 입력한 아날로그 합성 신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VTR 용으로 할당한 남은 26-핀 커넥터(54a)에 분배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분배기(54)는, 각 26-핀 커넥터(54a)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tallyman 램프(54b)를 갖추고 있다.
취재시에는, 간사국의 카메라맨이 비디오 카메라(51)로 녹화 조작을 행하면, 그 트리거 펄스가 비디오 카메라(51)로부터 분배기(54)를 통하여 각 VTR(52)에 공급됨과 함께, 비디오 카메라(51)로부터의 아날로그 합성 신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분배기(54)를 통하여 각 VTR(52)에 공급된다. 그 후, 카메라맨이 비디오 카메라(51)로 녹화 정지 조작을 행하면, 그 트리거 펄스가 비디오 카메라(51)로부터 분배기(54)를 통하여 각 VTR(52)에 공급된다.
각 VTR(52)은, 분배기(54)를 통하여 트리거 펄스가 공급될 때마다, 기록/기록 정지의 토글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기록을 행하고 있는 VTR(52)로부터는 tallyman 신호가 분배기(54)의 26-핀 커넥터(54a)에 공급되고, 그 26-핀 커넥터(54a)에 대응하는 tallyman 램프(54b)가 점등된다.
한편, 영상 신호의 출력 형태로서는, 아날로그 합성 신호 이외에, SDI(serial data interface) 신호가 알려져 있다. SDI는, SMPTE(US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전 미국 영화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에 의한 직렬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규격이며, SD-SDI 에 대해서는 SMPTE259M으로서 규정되고, HD-SDI에 대해서는 SMPTE292M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또한, SDI에 적용 가능한 보조 데이터 패킷의 포맷이, SMPTE291M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종래, SDI에서의 보조 데이터 패킷의 이용 방법으로서는, SDI 신호로서 전송하는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보조 데이터 패킷으로 설정하고, 편집 장치가, 이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영상에 대하여 편집 동작을 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대표취재의 시스템에는, 예를 들어 다음의 (a) 및 (b)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a) 케이블(53)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노이즈가 혼입된 경우, VTR(52)가 그 노이즈를 비디오 카메라(51)로부터의 트리거 펄스로서 취급하여 버리는 것에 의해, VTR(52)의 기록 개시 동작과 기록 정지 동작이 반전하고, 현재 촬영 중의 영상이 VTR(52)에 녹화되어 없어지는 적이 있다. 이와 같이, VTR(52)에 기록/기록 정지의 제어 정보(펄스)를 공급하는 쪽의 요인에 의해, 시스템의 신뢰성이 저하한다. 이 경우, 카메라맨이나 간사국의 다른 스텝이 분배기(54)의 tallyman 램프(54b)를 확인하면, 녹화가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VTR(52)를 발견하여, 그 자리에서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확인을 행하여야 하는 것은, 간사국 측의 작업의 부담이 커져 버린다.
(b) 26-핀 커넥터용의 케이블(53)은 연장 거리가 3∼5미터 정도이기 때문에, 비디오 카메라(51)와 근접한 위치에 각 VTR(52)을 설치해야 한다. 그 때문에, 전술의 야구장과 같이 취재용 기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좁은 경우에는, 복수대의 VTR(52)를 모두 그 좁은 스페이스에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각 VTR(52)의 비디오 테이프를 교환하는 작업 등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특허 문헌1에 기재된 기술은, 이미 소재로서 VTR에 녹화한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에서의 기술이며, 취재현장에서 VTR에 영상을 녹화하는 단계에서의 기술이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감안,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상을 VTR 등의 영상 기록 장치에 녹화시킬 때에,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공급하는 기록/기록 정지 등의 제어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과제로서 이루어진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와 적어도 한대의 영상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기록 시스템에서, 이 비디오 카메라는, 소정의 기간마다, 이 비디오 카메라의 조작부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이 영상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제어 정보 작성 수단과, 이 제어 정보와 이 비디오 카메라의 촬상부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다중화함으로써 전송용의 직렬 디지털 신호를 작성하는 전송 데이터 작성 수단을 구비하고, 이 직렬 디지털 신호를 이 영상 기록 장치에 전송하고, 이 영상 기록 장치는, 이 직렬 디지털 신호로부터 이 영상 신호와 이 제어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이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 영상 기록 장치의 영상 기록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영상 기록 시스템에서는, 비디오 카메라의 측에서, 조작부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영상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가 소정 기간마다 작성되어, 그 제어 정보와 영상 신호를 다중화한 직렬 디지털 신호가 영상 기록 장치에 전송된다.
그리고, 영상 기록 장치의 측에서, 이 전송된 직렬 디지털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와 제어 정보를 분리하여, 분리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기록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이 영상 기록 시스템에서는,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그 조작에 따라서 영상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가, 직렬 디지털 신호의 일부로서 정기적으로 영상 기록 장치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 중의 영상을 영상 기록 장치에 기록시킬 때에,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영상 기록 장치에 공급하는 제어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영상 기록 시스템에서, 일례로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영상 신호의 1 필드 기간, 1 프레임 기간 중의 어느 한쪽의 기간마다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 적합이다. 그것에 따라, 영상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항상 영상 기록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 영상 기록 시스템에서, 일례로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비디오 카메라에 부속된 영상 기록계(예를 들면 VTR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VTR)로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따라서, 영상 기록 장치의 영상 기록계에 영상 신호를 기록시키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여, 비디오 카메라에 부속된 영상 기록계에서의 영상 신호의 기록을 정지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따라서, 영상 기록 장치의 영상 기록계에 영상 신호의 기록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 적합이다.
이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에 부속된 영상 기록계의 기록/기록 정지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어 정보가 영상 기록 장치에 공급되므로, 비디오 카메라 자신으로 녹화하는 것과 동일한 영상을 영상 기록 장치에 녹화시킬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비디오 카메라에 부속된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 상의 이미 영상을 기록한 위치를 다시 트래킹하는 조작(예를 들면 VTR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비디오 테이프의 되감기 조작)이 행하여진 것에 따라서, 영상 기록 장치의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 상의 이미 영상을 기록한 위치를 다시 트래킹하게 하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것도 적합이다.
그에 따라,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 자신에게 이미 기록한 영상을 덮어쓰기 소거하는 경우에, 영상 기록 장치의 쪽에 기록된 동일한 영상도 덮어쓰기 소거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영상 기록 시스템에서, 일례로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또한,어느 하나의 영상 기록 장치를 지정하는 식별 정보를 작성하고, 비디오 카메라의 전송 데이터 작성 수단은, 이 식별 정보를 제어 정보와 함께 다중화하며, 각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 수단은, 분리 수단에 의해서 제어 정보와 함께 분리된 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자기의 영상 기록 장치가 지정된 경우에만 제어 정보 에 기초하고 영상 기록계를 제어하는 것이 적합이다.
그에 따라, 복수대의 영상 기록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 속의 일부의 영상 기록 장치만을 지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영상 기록 시스템에서, 일례로서, 영상 기록 장치는, 영상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 수단은, 영상 기록계에 영상 신호를 기록시키는 제어 정보가 분리 수단에 의해서 분리되고, 또한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에 미기록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영상 신호를 이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그 후, 영상 기록계에 미기록 영역이 있는 기록 매체가 장착된 경우에, 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영상 신호를 그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것이 적합이다.
그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상을 영상 기록 장치에 녹화시키고 있는 한창일 때에 영상 기록 장치의 측에서 기록 매체의 미기록 영역(예를 들면 VTR에서는 비디오 테이프의 잔량)이 없어진 경우에도, 그 후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상이 교환후의 기록 매체에 시차를 갖아 기록되므로, 영상을 도중에서 끊기는 일없이 영상 기록 장치에 녹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영상 기록 시스템에서, 일례로서, 비디오 카메라의 전송 데이터 작성 수단은, SDI 신호를 작성함과 함께, 제어 정보를 보조 데이터 패킷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합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는, 소정의 기간마다, 조작부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영상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제어 정보 작 성 수단과, 이 제어 정보와 촬상부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다중화함으로써 전송용의 직렬 디지털 신호를 작성하는 전송 데이터 작성 수단을 구비하고, 이 직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비디오 카메라는, 전술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비디오 카메라 이며, 촬영 중의 영상을 영상 기록 장치에 기록시킬 때에, 영상 기록 장치에 공급하는 제어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입력된 직렬 디지털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와 제어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이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기록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영상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이 제어 수단은, 영상 기록계에 영상 신호를 기록시키는 제어 정보가 분리 수단에 의해서 분리되고, 또한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의 미기록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영상 신호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그 후, 영상 기록계에 미기록 영역이 있는 기록 매체가 장착된 경우에, 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영상 신호를 그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영상 기록 장치는, 전술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 기록장치서, 신뢰성이 높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비디오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비디오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녹화하고 있는 한창일 때에 기록 매체의 미기록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도, 그 후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이 교환후의 기록 매체에 시차를 갖아 기록되므로, 영상을 도중에서 끊기는 일없이 녹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정의 기간마다, 비디오 카메라의 조작부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영상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와, 이 제어 정보와 비디오 카메라의 촬상부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다중화함으로써 전송용의 직렬 디지털 신호를 작성하는 단계와, 이 직렬 디지털 신호를 이 영상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어 방법은, 전술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해서 비디오 카메라에 실시시키는 제어 방법이며, 촬영 중의 영상을 영상 기록 장치에 기록시킬 때에, 영상 기록 장치에 공급하는 제어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에서의 영상 신호의 기록 방법은, 입력한 직렬 디지털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와 제어 정보를 분리하는 제1 단계와, 이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기록계를 제어하는 제2 단계를 갖고, 제2 단계에서는, 영상 기록계에 영상 신호를 기록시키는 제어 정보가 제1 단계에서 분리되고, 또한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의 미기록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영상 신호를 다른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그 후, 영상 기록계에 미기록 영역이 있는 기록 매체가 장착된 경우에, 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영상 신호를 그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록 방법은, 전술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해서 영상 기록 장치에 실시시키는 기록 방법이며, 신뢰성이 높은 제어 정보에 기초 하여 비디오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비디오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녹화하고 있는 한창일 때에 기록 매체의 미기록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도, 그 후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이 교환후의 기록 매체에 시차를 갖아 기록되므로, 영상을 도중에서 끊기는 일없이 녹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대표취재를 위해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대표취재를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디오 카메라(1)는, 디지털 HD에 대응하여, HD-SDI 출력 단자(1a)를 갖는 VTR 일체형의 비디오 카메라이며, 간사국의 카메라맨에 의해서 취재현장에 가지고 들어 가지고 있다.
비디오 카메라(1)의 HD-SDI 출력 단자(1a)는, BNC 케이블(4)에 의해서 HD-SDI 분배기(3)의 HD 직렬 디지털 입력 단자(3a)에 접속되어 있다.
각 VTR(2)은, HD 직렬 디지털 입력 단자(2a)를 갖는 VTR 이며, 간사국 이외의 각 방송국(A 국∼D 국)에 의해 한대씩 준비되어 있다. 각 VTR(2)의 HD 직렬 디지털 입력 단자(2a)는, 각각 BNC 케이블(5)에 의해서, HD-SDI 분배기(3)의 복수의 HD 직렬 디지털 출력 단자(3b) 중의 하나씩에 접속되어 있다.
HD-SDI 분배기(3)는, 앰프 및 PLL을 내장하고 있어, HD 직렬 디지털 입력 단자(3a)로의 입력 신호를, 증폭 및 리클록킹하여 각 HD 직렬 디지털 출력 단자(3b) 로부터 출력한다.
BNC 케이블에는 연장 거리가 100미터인 것도 존재하기 때문에, 각 VTR(2)은, 비디오 카메라(1)와 근접한 위치가 아니라, 조금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비디오 카메라(1)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비디오 카메라(1)의 촬상부(CCD 촬상 소자)(11)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가, 영상 신호 처리부(12)로 보내어 진다. 영상 신호 처리부(12)는, 이 촬상 신호를 디지털 변환한 후 각종 신호 처리(휘도 신호 처리, 색 신호 처리, 감마 보정, Y, Pb, Pr로의 변환 등) 등을 실시하는 것에 따라, 디지털 HDTV 신호를 생성한다. 이 디지털 HDTV 신호는, 병렬 방식으로, SDI 인코더(13)에 보내어짐과 동시에 비디오 카메라(1) 자신의 VTR부(기록 재생계)(17)로 보내어 진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비디오 카메라(1)에 부속한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디지털 변환되어, 병렬 방식으로 VTR부(17) 및 SDI 인코더(13)로 보내어 진다.
SDI 인코더(13)는, 이 디지털 HDTV 신호 및 디지털 음성 신호를, SMPTE292M의 규정(HD-SDI)에 따라 포맷 변환하는 프로세서이다. 또한, SDI 인코더(13)는, 비디오 카메라(1)의 각 부를 제어한다. CPU(14)의 제어를 기초로, SMPTE291M의 규정에 따라 보조 데이터 패킷를 작성하RH, 그 보조 데이터 패킷를 HD-SDI의 보조 데이터 스페이스FH 다중화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보조 데이터 패킷를 ANC 패킷이라 표기한다.
SMPTE291M은, 타입 1, 타입 2라는 두 가지의 ANC 패킷을 규정하고 있다. 타 입 1은, 1 워드의 데이터 ID(DID)만을 사용하는 것이며, 타입 2는, DID 및 세컨더리 ID(SDID)부터 이루어지는 2 워드의 데이터 ID를 사용하는 것이다.
각 타입의 ANC 패킷의 DID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도록(User Application) 할당된 값이 존재한다. 타입 2에 대해서는, 그 값의 범위는 50h∼5Fh(h는 16진수를 나타냄)이다.
도 4는, 타입 2의 ANC 패킷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의 ANC 패킷은, ANC 패킷의 시작을 나타내는 보조 데이터 플래그(ADF)와, 데이터 ID(DID)와, 세컨더리 데이터 ID(SDID)와, 사용자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카운트(DC)와, 최대 255 워드의 사용자 데이터 워드(UDW)와, 체크썸(CS)으로 구성된다.
CPU(14)는, 이 타입 2의 ANC 패킷을 작성 및 다중화하기 위한 파라미터(ANC 패킷을 다중화하는 수평 라인 번호나, 도 3의 DID, SDID, DC의 값) 및 데이터(도 3의 UDW)를, SDI 인코더(13)에 부여한다.
HD-SDI 신호를 출력하는 기존의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통상적으로, ANC 패킷에 음성 제어 패킷이나 메타 데이터용의 패킷으로서의 용도가 할당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CPU(14)는, 이러한 음성 제어 패킷이나 메타 데이터용의 패킷을 작성하기 위한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SDI 인코더(13)에 부여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도 1의 각 VTR(2)을 제어하는 "VTR 제어 패킷"을 작성하기 위한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디지털 HDTV 신호의 1 필드 기간마다 SDI 인코더(13)에 부여한다.
이 "VTR 제어 패킷"을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도 4의 UDW)로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1) 자신의 VTR부(17)를 조작하기 위해 조작부(15)에 설치되어 있는 REC(녹화 개시) 버튼(15a), STOP(녹화 정지) 버튼(15b), PLAY(비디오 테이프의 재생) 버튼(15c), F.FWD × 5(비디오 테이프의 5 배속 앞으로 감기) 버튼(15d), REW × 5(비디오 테이프의 5 배속 되감기) 버튼(15e), EJECT(비디오 카세트의 배출) 버튼(15f)의 현재의 조작 내용에 따라서, 그 조작 내용과 일치하도록 각 VTR(2)을 제어하는 데이터(VTR 제어 커맨드)가 SDI 인코더(13)에 공급된다.
또한, SDI 인코더(13)로 작성 가능한 ANC 패킷의 수는, SDI 인코더(13)를 구성하는 프로세서의 처리 능력 등에 의해서 일정 이하(예를 들면 최대로 5개)에 제약된다. 따라서, CPU(14)는, 통상은 음성 제어 패킷으로서 사용되는 ANC 패킷 중 하나(여기서는, CH1∼CH4용, CH5∼CH8용의 2개의 음성 제어 패킷 중의, CH5∼CH8용의 음성 제어 패킷으로 한다)를, "VTR 제어 패킷"을 겸한 ANC 패킷인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으로서 사용한다.
도 5는, 이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작성하기 위해 CPU(14)가 SDI 인코더(13)에 부여하는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나타낸다. Line No.(HD-SDI의 보조 데이터 스페이스 중, ANC 패킷을 다중화하는 수평 라인 번호)로서, 홀수 필드에는 9번째 라인이 지정되고, 짝수 필드에는 571번째 라인이 지정된다. DID로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50h∼5Fh) 내의 값인 52h가 지정된다. SDID로서는 4Dh가 지정되고, DC로서는 0Bh가 지정된다.
UDW는, UDW0∼8(1번째 워드∼9번째 워드)이 통상의 음성 제어 패킷의 UDW와 동일한 내용이 되고, UDW9(10번째 워드)의 값인 CMD0와 UDW10(11번째 워드)의 값인 CMD1이 조합되어 1개의 VTR 제어 커맨드가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VTR 제어 커맨드의 내용(CMD0, CMD1의 구체적 수치)은, 도 2의 조작부(15)의 버튼(15a∼15f)의 조작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5는, 각 버튼(15a∼15f)의 조작과 대응시켜, 이 VTR 제어 커맨드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STOP 버튼(15b)가 조작되었을 때는, CMD0, CMD1의 값이 각각 20h, 00h가 되고, VTR 제어 커맨드는, 각 VTR(2)에 비디오 테이프에의 기록을 정지시키는 커맨드(STOP 커맨드)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다.
PLAY 버튼(15c)이 조작되었을 때는, CMD0, CMD1의 값이 각각 20h, 01h가 되고, VTR 제어 커맨드는, 각 VTR(2)에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을 행하게 하는 커맨드(PLAY 커맨드)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다.
REC 버튼(15a)가 조작되었을 때는, CMD0, CMD1의 값이 각각 20h, 02h가 되고, VTR 제어 커맨드는, 각 VTR(2)에 비디오 테이프에의 기록을 행하게 하는 커맨드(REC 커맨드)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다.
F.FWD × 5 버튼(15d)가 조작되었을 때는, CMD0, CMD1의 값이 각각 20h, 03h가 되고, VTR 제어 커맨드는, 각 VTR(2)에 비디오 테이프의 5 배속 앞으로 감기를 행하게 하는 커맨드(F.FWD × 5 커맨드)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다.
REW × 5 버튼(15e)가 조작되었을 때는, CMD0, CMD1의 값이 각각 21h, 03h가 되고, VTR 제어 커맨드는, 각 VTR(2)에 비디오 테이프의 5 배속 되감기를 행하게 하는 커맨드(REW × 5 커맨드)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다.
EJECT 버튼(15f)가 조작되었을 때는, CMD0, CMD1의 값이 각각 20h, 0Fh가 되고, VTR 제어 커맨드는, 각 VTR(2)에 비디오 카세트를 배출시키는 커맨드(EJECT 커 맨드)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다.
SDI 인코더(13)는, 이 CPU(14)로부터의 파라미터 및 데이터에 기초하여, VTR 제어 커맨드를 세트한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작성 및 다중화한다. 도 6은, SDI 인코더(13)가 작성하는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UDW에는, 음성 제어용의 데이터로서 AF(음성 프레임 번호 데이터), RATE(샘플링 주파수 데이터), ACT(액티브 채널 데이터), DEL5-6(CH5,6 음성 지연 정보 데이터) 및 DEL7-8(CH7,8 음성 지연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는 와 함께, VTR 제어 커맨드(CMD0 및 CMD1)이 포함되어 있다. 각 데이터의 구체적 수치는, 제어 내용에 의해서 다르기 때문에, 도 6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SDI 인코더(13)는, 디지털 HDTV 신호의 1 필드 기간마다, ANC 패킷의 1개로서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작성하고, 이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HD-SDI의 보조 데이터 스페이스에 다중화한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SDI 인코더(13)로 작성 가능한 ANC 패킷의 수에 여유가 있는 등의 경우에는,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작성하는 대신, 음성 제어 패킷과는 별도로 단독의 ANC 패킷으로서 "VTR 제어 패킷"을 작성하여도 된다.
도 8은, 단독의 ANC 패킷으로서"VTR 제어 패킷"을 작성하는 경우에 CPU(14)가 SDI 인코더(13)에 부여하는 파라미터 및 데이터를, 도 5와 대응시켜 나타내는 도면이다. Line No. 및 DID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SDID로서는, 4Eh가 지정되어 있다.
UDW는, 1 또는 복수의 VTRID와, 각 VTRID에 일-대-일 대응한 VTR 제어 커맨 드(도 5 및 도 6에 도시한 CMD0와 CMD1와의 조합)를 포함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UDW의 워드 수는, 일정이 아니라, VTRID의 개수에 의해서 상이하다. 그 때문에, DC의 값도, 일정이 아니라, 개개의"VTR 제어 패킷"에 의해서 상이하다.
VTRID는, 도 2의 각 VTR(2) 중 제어 대상으로 삼는 VTR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각 VTR(2)에는, 각각 01h, 02h, 03h, 04h 등의 고유의 식별 부호가 부여되고, VTR(2)를 개별로 제어 대상으로 삼아 지정하는 경우에는, 그 VTR에 부여되어 있는 식별 부호를 VTRID로서 설정한다. 또한, 모든 VTR(2)을 제어 대상으로 삼아 지정하는 경우에는, VTRID로서 00h를 지정한다.
도 9 및 도 10은, SDI 인코더(13)가 단독의 ANC 패킷으로서 작성하는 "VTR 제어 패킷"의 구조를, 도 7과 대응시켜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중, 도 9는, VTRID로서 00h를 설정한(모든 VTR(2)을 지정) 예이다. 한편, 도 10은, VTRID로서 01h, 03h를 각각 지정한 (2대의 VTR(2)를 개별로 지정) 예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SDI 인코더(13)에 의해서 포맷 변환되어 ANC 패킷을 다중화된 디지털 신호는, 병렬/직렬 변환 회로(16)에 의해서 직렬 방식의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병렬/직렬 변환 회로(16)의 출력 신호(HD-SDI 신호)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1)의 HD-SDI 출력 단자(1a)에서 분배기(3)를 통하여 각 VTR(2)에 각각 전송된다.
도 11은, 각 VTR(2)의 기록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HD 직렬 디지털 입력 단자(2a)(도 2)에 입력한 HD-SDI 신호는, 직렬/병렬 변환 회로(21)에 의해서 병렬 방식의 신호로 변환되어, SDI 디코더(22)에 보내어 진다.
SDI 디코더(22)는, HD-SDI 신호로부터 디지털 HDTV 신호와 디지털 음성 신호와 ANC 패킷과 분리하는 프로세서이다. SDI 디코더(22)에 의해서 분리된 디지털 HDTV 신호는, 화상 압축 처리 회로(23)에 보내어지고, 비트 레이트를 압축한다. 화상 압축 처리 회로(23)로 압축된 영상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25)에 보내어지는 것과 함께, 2 입력 1 출력의 전환 스위치(26)의 한 쪽의 입력단으로 보내어 진다.
버퍼 메모리(25)는, 이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1∼2분간 정도(후술하는 비디오 카세트의 교환 작업에 요하는 시간 정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갖고 있다. 버퍼 메모리(25)로부터 판독된 영상 데이터는, 전환 스위치(26)의 다른 한쪽의 입력단으로 보내어 진다.
전환 스위치(26)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는, 신호 처리 회로(27)에 의해서 오류 정정 부호화 및 기록 부호화의 처리를 실시된 후, 기록 앰프(28)를 지나서 기록 헤드(29)에 보내어지고, 비디오 테이프(도시 생략)에 기록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SDI 디코더(22)에 의해서 분리된 디지털 음성 신호도, 기록 헤드(29)에 보내어져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된다.
한편, SDI 디코더(22)에 의해서 분리된 ANC 패킷은, VTR(2)의 각 부를 제어하는 CPU(24)에 보내어 진다. 도 12는, 이 ANC 패킷에 포함되는 VTR 제어 커맨드(도 6, 도 7)에 기초하여 CPU(24)가 실행하는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디지털 HDTV 신호의 1 필드 기간마다 실행하는 것이며, 최초로, SDI 디코더(22)로부터의 ANC 패킷의 송부의 유무를 확인하고(단계 S1), ANC 패킷이 보내어진 가 아닌가를 판단한다(단계 S2).
"아니오"이면, 처리를 종료하는 한편 "예"이면, 보내어진 ANC 패킷을 판독한다(단계 S3). 그리고, 그 ANC 패킷의 데이터 ID 및 세컨더리 데이터 ID에 기초하고, 그 ANC 패킷이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도 7)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
"아니오"이면, 처리를 종료한다. 다른 쪽 "예"이면, 그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으로부터 VTR 제어 커맨드(도 7의 CMD0 및 CMD1)을 분리하고 (단계 S5), 그 VTR 제어 커맨드의 내용(도 6)을 판별한다(단계 S6).
그리고, 그 VTR 제어 커맨드가 REC 커맨드(도 6)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예"이면, 후술하는"REC 커맨드 실행 처리"를 실행하여 (단계 S8),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7에서 "아니오"이면, 그 VTR 제어 커맨드가 STOP 커맨드(도 6)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예"이면, 후술하는 "STOP 커맨드 실행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10),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9에서 "아니오"이면, 그 VTR 제어 커맨드가 PLAY 커맨드(도 6)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예"이면, VTR(2)의 재생계(도시 생략)을 제어하여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시키고(단계 S12),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1에서 "아니오"이면, 그 VTR 제어 커맨드가 F.FWD × 5 커맨드(도 6)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예"이면, VTR(2)의 재생계를 제어하여 비디 오 테이프의 5 배속 앞으로 감기를 행하게 하고(단계 S14),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3에서 "아니오"이면, 그 VTR 제어 커맨드가 REW × 5 커맨드(도 6)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 "예"이면, VTR(2)의 재생계를 제어하여 비디오 테이프의 5 배속 되감기를 행하게 하고(단계 S16),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5에서도 "아니오"이면, 그 VTR 제어 커맨드는 EJECT 커맨드이기 때문에, VTR(2)의 로딩 기구(도시 생략)를 제어하여 비디오 카세트를 배출시키고(단계 17),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도 13은, 도 12에 단계 S8로서 나타낸 "REC 커맨드 실행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최초로, VTR(2)에의 비디오 카세트의 장착의 유무를 확인하고(단계 S21), 비디오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단계 S22).
"아니오"이면, "REC 커맨드 실행 처리"를 종료하는 한편 "예"이면, 그 비디오 카세트의 비디오 테이프의 잔량(미기록 부분의 량)을 확인하고(단계 S23), 아직 잔량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4).
"예"이면, 버퍼 메모리(25)(도 11)에 기억하고 있지만 비디오 테이프의 쪽에는 아직 기록하지 않은 영상 데이터의 유무를 체크한다[또한, 버퍼 메모리(25)에 영상 데이터를 기억시킨 후 도 12의 단계 S15, S16에서 REW × 5 커맨드에 기초하여 비디오 테이프의 되감기를 행한 경우에는, 버퍼 메모리(25) 내의 영상 데이터는, 이러한 미기록의 데이터로서는 취급하지 않는다](단계 S25). 그리고, 그러한 비디오 테이프에의 미기록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25)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다(단계 S26).
"아니오"이면, 전환 스위치(26)(도 11)를 화상 압축 처리 회로(23)측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VTR(2)에 입력하고 화상 압축 처리 회로(23)로 현재 압축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시킨다(단계 S27). 그리고 "REC 커맨드 실행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26에서 "예"이면, 버퍼 메모리(25)로부터 그 미기록 데이터를 FIFO 방식으로 판독함 과 동시에 전환 스위치(26)를 버퍼 메모리(25)측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그 미기록 데이터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시킨다(단계 S28). 그리고"REC 커맨드 실행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24에서 "NO" 경우에는, 버퍼 메모리(25)의 빈 용량을 체크한다(또한,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 영역이더라도, 단계 S28에서 그 영상 데이터를 이미 판독하고 있는 영역은, 덮어쓰기 가능한 빈 영역으로서 취급한다)(단계 S29). 그리고, 빈 용량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
"예"이면, 화상 압축 처리 회로(23)로부터 버퍼 메모리(25)에 보내어지는 영상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25)에 기억시킨다(단계 S31). 그리고"REC 커맨드 실행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30에서 "아니오"이면, 그대로 "REC 커맨드 실행 처리"를 종료한다.
도 14는, 도 12에 단계 S10로서 나타낸 "STOP 커맨드 실행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버퍼 메모리(25)(도 11)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버퍼 메모리(25)에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종료한 뒤에, 버퍼 메모리(25) 내에 저장되어 있지만 비디오 테이프의 쪽에 아직 기록되어 있지 않은 영상 데이터의 유무를 체크한다(단계 S41). 그리고, 그러한 비디오 테이프에의 미기록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25)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2).
"예"이면, 버퍼 메모리(25)로부터 그 미기록 데이터를 FIFO 방식으로 판독함과 동시에 전환 스위치(26)를 버퍼 메모리(25) 측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그 미기록 데이터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시킨다(단계 S43). 그리고 "STOP 커맨드 실행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42에서 "아니오"이면, 비디오 테이프에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정지시킨다(단계 S44). 그리고 "STOP 커맨드 실행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처리는, 비디오 카메라(1)의 SDI 인코더(13)(도 3)가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도 7)을 작성하는 경우의 처리이다. 이것에 대하여, SDI 인코더(13)가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독의 ANC 패킷으로서의 "VTR 제어 패킷"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VTR 제어 패킷"의 UDW 중의 VTRID에서 자기의 VTR(2)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VTR 제어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처리를 변경하면 된다.
도 15는, 이 경우의 처리의 변경 개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단계 S1∼S3는 도 12의 단계 S1∼S3와 전부 동일한 내용의 처리이다. 이 경우에는, 단계 S3에 후속하여, ANC 패킷의 데이터 ID 및 세컨더리 데이터 ID에 기초하고, 그 ANC 패킷이 "VTR 제어 패킷"(도 9, 도 1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
"아니오"이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예"이면, 그 "VTR 제어 패킷"의 UDW 중의 VTRID를 확인하고(단계 S52), 관련 VTR(2)에 부여되어 있는 식별 부호와 일치하거나, 또는 모든 VTR(2)을 지정한다(VTRID = 00h임)’라는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3).
"아니오"이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예"이면, 도 12의 단계 S5 이후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이상으로 설명한 대표취재를 위한 시스템에서, 간사국의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되어 있는 영상이 다른 각 방송국의 VTR에 녹화되는 것에 대하여 진술한다.
간사국의 카메라맨이, 조작부(15)의 REC 버튼(15a)(도 3)을 조작함으로써 비디오 카메라(1)(도 2)에서의 녹화를 개시하면, 1 필드 기간마다, REC 커맨드(도 6)를 포함한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도 7)이 SDI 인코더(13)(도 3)에 의해서 작성 및 다중화되고, 그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다중화한 HD-SDI 신호가,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HD-SDI 분배기(3)(도 2)를 통하여 다른 각 방송국의 VTR(2)(도 2)에 전송된다.
각 VTR(2)에서는, 1 필드 기간마다, SDI 디코더(22)(도 11)에 의해서 이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이 분리되고, 이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 중의 REC 커맨드에 기초하는 "REC 커맨드 실행 처리"(도 12 및 13의 단계 S1∼S8)가 CPU(24)(도 11)에 의해서 실행된다.
그리고, 비디오 테이프의 잔량이 있는 경우에는, VTR(2)에 입력되고 화상이 압축 처리 회로(23)(도 11)에서 현재 압축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가, 비디오 테이프 에 기록된다(도 12의 단계 S21∼S27).
한편, 비디오 테이프의 잔량이 없는 경우(즉, 비디오 카세트를 교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화상 압축 처리 회로(23)에 압축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25)의 쪽에 기록되기 시작한다(도 13의 단계 S21∼S24, S29∼S31).
그리고, 비디오 카세트의 교환 작업이 완료되면, 그때까지 버퍼 메모리(2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교환후의 비디오 테이프의 쪽에 기록된다(도 13의 단계 S21∼S26, S28). 이에 의해, 비디오 카세트의 교환 작업 중에 비디오 카메라(1)로 촬영되어 있던 영상이, 교환 작업 시간 분만의 시차를 갖고, VTR(2)에 녹화되어 간다.
그 후, 간사국의 카메라맨이, 조작부(15)의 STOP 버튼(15b)(도 3)을 조작함으로써 비디오 카메라(1)에서의 녹화를 종료하면, 1 필드 기간마다, STOP 커맨드(도 6)를 포함한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도 7)이 SDI 인코더(13)(도 3)에 의해서 작성 및 다중화되고, 그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다중화한 HD-SDI 신호가,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HD-SDI 분배기(3)를 통하여 각 VTR(2)에 전송된다.
각 VTR(2)에서는, 1 필드 기간마다, SDI 디코더(22)에 의해서 이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이 분리되고, 이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 중의 STOP 커맨드에 기초하는 "STOP 커맨드 실행 처리"(도 12 및 도 14의 단계 S1∼S7, S9,
S10)가 CPU(24)에 의해서 실행된다.
그리고, 그때까지 실행하고 있었던 "REC 커맨드 실행 처리"로 시차 기록(도 13의 단계 S21∼S26, S28)을 행하지 않는 경우(즉 테이프의 잔량이 있는 것으로 비 디오 카세트를 교환하지 않는 경우)에는, 즉시 비디오 테이프에의 기록이 정지된다(도 14의 단계 S41, S42, S44).
한편, 그때까지 실행하고 있었던 "REC 커맨드 실행 처리"로 시차 기록(도 13의 단계 S21∼S26, S28)을 행하고 있었던 경우(비디오 카세트를 교환한 경우)에는, 버퍼 메모리(2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아직 비디오 테이프의 쪽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영상 데이터가 모두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고(도 14의 단계 S41∼S43), 그 후 비디오 테이프에의 기록이 정지된다(도 14의 단계 S41, S42, S44).
또한, "REC 커맨드 실행 처리"로 버퍼 메모리(25)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개시된 후라도, 비디오 카메라(1)에서의 녹화가 종료하면, "STOP 커맨드 실행 처리"로 우선 버퍼 메모리(25)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정지(도 14의 단계 S41)되기 때문에, 비디오 카메라(1) 측에 녹화되어 있지 않은 영상이 VTR(2)로 녹화되는 것은 없다.
이와 같이, 이 시스템에서는, 비디오 카메라(1) 자신의 기록/기록 정지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각 VTR(2)을 제어하는 커맨드가,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각 VTR(2)에 전송되는 HD-SDI 신호에 다중화된 ANC 패킷으로서, 1 필드 기간마다(즉, 항상) 각 VTR(2)에 공급된다.
따라서, 간사국의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다른 각 방송국(A 국∼D 국)의 VTR(2)에 공급하는 커맨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VTR(2)의 설정의 부족이나 고장이라고 했던 것 같은 다른 방송국의 측의 책임에 귀속되는 사정이 없고, 비디오 카메라(1) 자신으로 녹화하는 것과 동일한 영상을 각 VTR(2)에 녹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대표취재의 시스템에 대하여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란에서 진술한 문제점(a)를 해소하여, 대표취재에 있어서의 간사국측의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1)로 촬영하는 영상을 VTR(2)에 녹화시키고 있는 한창일 때에 VTR(2)의 측에서 비디오 테이프의 잔량이 없어진 경우에도, 그 후 비디오 카메라(1)로 촬영하는 영상이 교환후의 비디오 테이프에 시차를 갖아 기록되므로, 영상을 도중에서 끊기는 일없이 VTR(2)에 녹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BNC 케이블에는 연장 거리가 100미터인 것도 존재하여, 각 VTR(2)을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란에서 진술한 문제점(b)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에서는, 간사국의 카메라맨이, 비디오 카메라(1)로 녹화를 개시한 후에, 예를 들면 본래 녹화해야 할이 아닌 영상을 녹화한 것을 알아차려, 그 영상을 덮어쓰기 소거하기 위해 조작부(15)의 REW × 5 버튼(15e)(도 3)을 조작하여 비디오 카메라(1)의 VTR부(17)(도 3)에서 비디오 테이프를 되감으면, 1 필드 기간마다, REW × 5 커맨드(도 6)를 포함한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도 7)이 SDI 인코더(13)(도 3)에 의해서 작성 및 다중화되어, 그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다중화한 HD-SDI 신호가,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HD-SDI 분배기(3)(도 2)를 통하여 다른 각 방송국의 VTR(2)(도 2)에 전송된다.
각 VTR(2)에서는, 1 필드 기간마다, SDI 디코더(22)(도 11)에 의해서 이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이 분리되고, 이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 중의 REW × 5 커맨드에 기초하여 비디오 테이프가 되감아진다(도 12의 단계 S1∼S7, S9, S11, S13, S15, S16).
따라서, 비디오 카메라(1) 자신에게 이미 녹화한 영상을 덮어쓰기 소거하는 경우에, 각 VTR(2)의 쪽에 녹화된 동일한 영상도 덮어쓰기 소거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에서는, 간사국의 카메라맨이, 조작부(15)의 PLAY 버튼(15c)이나 F.FWD × 5 버튼(15d)나 EJECT 버튼(15f)(도 3)을 조작하고 비디오 카메라(1)의 VTR부(17)(도 3)에서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이나 비디오 테이프의 앞으로 감기나 비디오 카세트의 배출을 행하면, 1 필드 기간마다, PLAY 커맨드나 F.FWD × 5 커맨드나 EJECT 커맨드(도 6)를 포함한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도 7)이 SDI 인코더(13)(도 3)에 의해서 작성 및 다중화되어, 그"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다중화한 HD-SDI 신호가,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HD-SDI 분배기(3)(도 2)를 통하여 다른 각 방송국의 VTR(2)(도 2)에 전송된다.
각 VTR(2)에서는,1 필드 기간마다, SDI 디코더(22)(도 11)에 의해서 이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이 분리되고, 이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 중의 PLAY 커맨드나 F.FWD × 5 커맨드나 EJECT 커맨드에 기초하여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도 12의 단계 S1∼S7, S9, S11, S12)이나 비디오 테이프의 앞으로 감기(도 12의 단계 S1∼S7, S9, S11, S13, S14)나 비디오 카세트의 배출(도 12의 단계 S1∼S7, S9, S11, S13, S15, S17)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비디오 카메라(1)로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이나 비디오 테이프의 앞으로 감기나 비디오 카세트의 배출을 행할 때에, 각 VTR(2)에도 동일한 동작을 행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1)의 SDI 인코더(13)가 단독의 패킷으로서의"VTR 제어 패킷"(도 9, 도 10)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각 VTR(2)은, "VTR 제어 패킷"의 UDW 중의 VTRID를 확인하여, 자기의 VTR(2)에 부여되어 있는 식별 부호와 일치하거나, 또는 모든 VTR(2)을 지정하고 있는 경우에만, VTR 제어 커맨드를 실행한다(도 15).
따라서, 간사국 이외의 각 방송국이 준비한 VTR(2) 중, 일부의 방송국의 VTR(2)에만 영상을 녹화시키면 좋은 것 같은 경우에도, 그 일부의 방송국의 VTR(2)만을 지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시스템 구성에서는, 비디오 카메라(1)에 부속한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HD-SDI 신호로서 각 VTR(2)에 전송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야구장에서 대표취재를 행하는 경우에는, hero 인터뷰의 때 등에, 다른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성을 각 VTR(2)에 기록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마이크로폰(31, 32)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믹서(33)로 믹싱하고, A/D 컨버터(34)로 AES/EBU 포맷의 직렬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멀티플렉서(HD-SDI 신호에, AES/EBU 포맷의 직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하는 기기)(35)에 입력시킴과 함께,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의 HD-SDI 신호도 멀티플렉서(35)에 입력시켜, 멀티플렉서(35)에서 이 직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한 HD-SDI 신호를, HD-SDI 분배기(3)에 입력시키도록 하면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시스템 구성에서는,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HD-SDI 분배기(3)를 통하고 각 VTR(2)에 HD-SDI 신호를 전송하고 있다. 그러나,다른 예 로서, 비디오 카메라(1)에 데이지·체인(회로) 방식으로 각 VTR(2)을 접속함으로써, HD-SDI 분배기(3)를 통하지 않고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각 VTR(2)에 HD-SDI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비디오 카메라(1)의 측에서 1 필드 기간마다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작성 및 다중화하고 있지만, 다른 예로서 1 프레임 기간마다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작성 및 다중화하거나, 혹은 3 필드 이상의 기간마다 "음성 제어 겸 VTR 제어 패킷"을 작성 및 다중화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도, VTR 제어 커맨드가,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각 VTR(2)에 전송되는 HD-SDI 신호에 다중화된 ANC 패킷으로서 정기적으로 각 VTR(2)에 공급되므로, 역시,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각 VTR(2)에 공급하는 커맨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HD-SDI 신호를 각 VTR(2)에 전송함과 함께, 그 HD-SDI 신호에 다중화하는 ANC 패킷에 VTR 제어 커맨드를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SD-SDI 신호, SDDI(serial digital data interface) 신호 또는 SDTI(Serial Data Transport Interface) 신호를 각 VTR(2)에 전송함과 함께, 그 신호에 다중화하는 ANC 패킷에 VTR 제어 커맨드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비디오 카메라(1)의 조작부(15)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VTR(2)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정기적으로 작성하고, 그 제어 정보와 비디오 카메라(1)로 촬영한 영상 신호와 다중화함으로써 적절한 포맷의 직렬 디지털 신호를 작성하여, 그 직렬 디지털 신호를 각 VTR(2)에 전송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VTR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 및 VTR를 이용한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비디오 테이프 이외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광 디스크)에 영상을 녹화하는 비디오 카메라 및 영상 기록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예로서는 대표취재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백업 수록(비디오 카메라로 녹화하는 영상을 백업용에 다른 VTR에도 녹화하는 것)이나, 리모트 수록(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상을 떨어진 장소의 VTR에 녹화하는 것)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상을 다른 영상 기록 장치에 녹화시키는 모든 케이스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 중의 영상을 영상 기록 장치에 기록시킬 때에,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영상 기록 장치에 공급하는 제어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8)

  1. 영상 기록 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 카메라 및 적어도 한대의 영상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소정의 기간마다,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조작부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제어 정보 작성 수단과,
    상기 제어 정보와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촬상부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다중화함으로써 전송용의 직렬 디지털 신호를 작성하는 전송 데이터 작성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직렬 디지털 신호를 상기 영상 기록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 직렬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제어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기록 장치의 영상 기록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기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상기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영상 신호의 1 필드 기간 또는 1 프레임 기간 중 어느 하나의 시간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영상 기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상기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부속된 영상 기록계에서 상기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따라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의 상기 영상 기록계에 상기 영상 신호를 기록시키는 제어 정보, 및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부속된 영상 기록계에서의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을 정지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따라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의 상기 영상 기록계에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
    를 작성하는 영상 기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상기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부속된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에서 이미 영상을 기록한 위치를 다시 트래킹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따라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의 상기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에서 이미 영상을 기록한 위치를 다시 트래킹하게 하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영상 기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상기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영상 기록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식별 정보를 더 작성하며,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상기 전송 데이터 작성 수단은,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제어 정보와 함께 다중화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 각각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어 정보와 함께 분리된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서, 관련 영상 기록 장치가 지정된 경우에만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기록계를 제어하는 영상 기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영상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기록계에 상기 영상 신호를 기록시키는 제어 정보가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서 분리되고, 또한 상기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에 미기록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그 후,
    상기 영상 기록계에 미기록 영역이 있는 기록 매체가 장착된 경우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것을 영상 기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상기 전송 데이터 작성 수단은, SDI 신호를 작성함과 함께, 상기 제어 정보를 보조 데이터 패킷에 설정하는 영상 기록 시스템.
  8.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마다, 조작부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영상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제어 정보 작성 수단과,
    상기 제어 정보와 촬상부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다중화함으로써 전송용의 직렬 디지털 신호를 작성하는 전송 데이터 작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직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영상 신호의 1 필드 기간 또는 1 프레임 기간 중 어느 하나의 시간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비디오 카메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부속된 영상 기록계에서 상기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따라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의 상기 영상 기록계에 상기 영상 신호를 기록시키는 제어 정보, 및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부속된 영상 기록계에서의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을 정지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따라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의 상기 영상 기록계에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을 정지시키는 제어 정보
    를 작성하는 비디오 카메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부속된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에서 이미 영상을 기록한 위치를 다시 트래킹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따라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의 상기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에서 이미 영상을 기록한 위치를 다시 트래킹하게 하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비디오 카메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영상 기록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식별 정보를 더 작성하며,
    상기 전송 데이터 작성 수단은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제어 정보와 함께 다중화하는 비디오 카메라.
  13.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직렬 디지털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와 제어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기록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영상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기록계에 상기 영상 신호를 기록시키는 제어 정보가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서 분리되고, 상기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의 미기록 영역이 없는 경우에,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그 후,
    상기 영상 기록계에 미기록 영역이 있는 기록 매체가 장착된 경우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영상 기록 장치.
  14.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소정의 기간마다, 비디오 카메라의 조작부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영상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정보와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촬상부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다중화함으로써 전송용의 직렬 디지털 신호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직렬 디지털 신호를 상기 영상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영상 신호의 1 필드 기간 또는 1 프레임 기간 중 어 느 하나의 간격인 소정 간격으로 작성되는 방법.
  16. 영상 기록 장치에서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입력된 직렬 디지털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와 제어 정보를 분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기록계를 제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영상 기록계에 상기 영상 신호를 기록시키는 제어 정보가 상기 제1 단계에서 분리되고, 상기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의 미기록 영역이 없는 경우에, 상기 영상 신호를 다른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그 후,
    상기 영상 기록계에 미기록 영역이 있는 기록 매체가 장착된 경우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방법.
  17.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마다, 조작부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영상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작성하는 제어 정보 작성기와,
    상기 제어 정보와 촬상부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다중화함으로써 전송용의 직렬 디지털 신호를 작성하는 전송 데이터 작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직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메라.
  18.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직렬 디지털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와 제어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기록계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영상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영상 기록계에 상기 영상 신호를 기록시키는 제어 정보가 상기 분리기에 의해서 분리되고, 상기 영상 기록계에 장착된 기록 매체의 미기록 영역이 없는 경우에,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그 후,
    상기 영상 기록계에 미기록 영역이 있는 기록 매체가 장착된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영상 기록 장치.
KR1020060024807A 2005-03-17 2006-03-17 영상 기록 시스템,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장치에서의 영상 신호의 기록 방법 KR101251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77965 2005-03-17
JP2005077965A JP4264655B2 (ja) 2005-03-17 2005-03-17 映像記録システム,映像記録装置,映像信号の記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354A true KR20060101354A (ko) 2006-09-22
KR101251643B1 KR101251643B1 (ko) 2013-04-05

Family

ID=3620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807A KR101251643B1 (ko) 2005-03-17 2006-03-17 영상 기록 시스템,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장치에서의 영상 신호의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08785B2 (ko)
EP (1) EP1703728A3 (ko)
JP (1) JP4264655B2 (ko)
KR (1) KR101251643B1 (ko)
CN (1) CN10057440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9445B2 (en) 2007-11-22 2012-10-16 Sony Corporation Signal transmitting device and signal transmitt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5483B2 (ja) 2006-09-12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生成装置,映像信号受信装置及び映像信号生成・受信システム
JP4702402B2 (ja) * 2008-06-05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送信装置、信号送信方法、信号受信装置及び信号受信方法
US20100321474A1 (en) * 2009-06-18 2010-12-2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s
US20100321476A1 (en) * 2009-06-18 2010-12-23 Sony Corporation Camera for capturing three-dimensional images
US9466148B2 (en) * 2010-09-03 2016-10-11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dynamically adjust an image on a display monitor represented in a video feed
JP2012151795A (ja) 2011-01-21 2012-08-09 Sony Corp 映像記録装置と映像記録制御方法
JP5899643B2 (ja) * 2011-04-08 2016-04-06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伝送装置、映像受信装置及び映像伝送システム
JP2012253689A (ja) * 2011-06-06 2012-12-20 Sony Corp 信号送信装置、信号送信方法、信号受信装置、信号受信方法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
JP5973766B2 (ja) * 2012-03-30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9781576B2 (en) * 2013-04-05 2017-10-03 Iheartmedia Management Services, Inc. Segmented WANcasting
JP6221606B2 (ja) * 2013-10-08 2017-11-01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
JP6355392B2 (ja) * 2014-04-02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6311411B2 (ja) 2014-04-02 2018-04-18 ソニー株式会社 接続制御装置および接続制御方法
WO2021029165A1 (ja) * 2019-08-09 2021-02-18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CN110620903B (zh) * 2019-08-28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头模组、图像采集系统和输出图像数据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3650A (en) * 1988-10-05 1990-04-11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Teletext decoder prevents over-writing of special character codes
JP2941867B2 (ja) * 1989-12-15 1999-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EP0501343A3 (en) * 1991-02-28 1994-09-07 Toshiba Kk Use management apparatus for a plurality of cassettes
JPH05292447A (ja) 1992-04-10 1993-11-05 Teac Corp ビデオ信号記録又は再生装置
US20020100052A1 (en) * 1999-01-06 2002-07-25 Daniels John J. Methods for enabling near video-on-demand and video-on-request services using digital video recorders
JPH07203265A (ja) 1993-12-28 1995-08-04 Sony Corp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US5579183A (en) * 1994-04-08 1996-11-26 U.S. Philips Corpor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n MPEG information signal on/from a record carrier
JP3870486B2 (ja) * 1997-06-06 2007-01-17 ソニー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3545912B2 (ja) * 1997-07-11 2004-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形成装置
JPH11112919A (ja) * 1997-10-03 1999-04-23 Canon Inc 撮像装置
JP3652125B2 (ja) * 1998-07-10 2005-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撮像制御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GB2356099B (en) 1999-11-05 2004-04-14 Sony Uk Ltd SDTI systems
JP4273636B2 (ja) 2000-06-30 2009-06-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システム
JP2002157824A (ja) 2000-11-17 2002-05-31 Toshiba Corp 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
JP2003069977A (ja) * 2001-08-28 2003-03-07 Sony Corp ネット配信によるデータ送出方法、及びネット配信の受信方法、及びネット配信によるデータ送出システム、及びネット配信の受信システム
JP3949431B2 (ja) 2001-11-12 2007-07-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記録装置および撮像記録システム
EP1445944A4 (en) 2001-11-12 2008-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ICTURE TAKER DEVICE
US20030185302A1 (en) * 2002-04-02 2003-10-02 Abrams Thomas Algie Camera and/or camera converter
JP4332364B2 (ja) 2003-04-04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記録システム,映像記録方法
US7668099B2 (en) 2003-06-13 2010-02-23 Apple Inc. Synthesis of vertical blanking signal
US7079028B2 (en) * 2004-03-11 2006-07-18 Robert Bosch Gmbh Modular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20060171667A1 (en) * 2005-02-03 2006-08-03 David C. Bruce Real time recording system and method
US7492821B2 (en) * 2005-02-08 2009-0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image capture, transmission and reconstr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9445B2 (en) 2007-11-22 2012-10-16 Sony Corporation Signal transmitting device and signal transmit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64655B2 (ja) 2009-05-20
CN1867053A (zh) 2006-11-22
CN100574404C (zh) 2009-12-23
KR101251643B1 (ko) 2013-04-05
US20060210254A1 (en) 2006-09-21
US8208785B2 (en) 2012-06-26
EP1703728A3 (en) 2008-07-16
EP1703728A2 (en) 2006-09-20
JP2006262194A (ja)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643B1 (ko) 영상 기록 시스템,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장치에서의 영상 신호의 기록 방법
AU710297B2 (en) Portable moving picture recording device including switching control for multiple data flow configurations
US4575772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dditional video signals in a helical scan operation
EP1365401B1 (en)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70133943A1 (en) Broadcast record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ording method
US5889916A (en) Video data recording apparatus
US6977673B1 (en) Portable moving picture recording device including switching control for multiple data flow configurations
KR20010023666A (ko) 수신장치 및 송수신장치
US6888998B1 (en)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data transferring device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data between multiple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s
US7631333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100539996B1 (ko) 데이터 기록 장치와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편집 장치와데이터 편집 방법
EP0777383B1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EP0685967B1 (en) Compressed television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8081864B2 (en) Captured image recording apparatus, captured image recording method, capture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captured image reproducing method, and captured image recording/reproducing system
CN1276655C (zh) 记录再现装置以及记录再现控制方法
EP1024671B1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KR100292397B1 (ko) 멀티채널기록재생장치
CA2213627C (en) Portable moving picture recording device including switching control for multiple data flow configurations
US7298958B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20010043791A1 (en) Arrangement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standard and slow-motion video signals
KR100209795B1 (ko) 디지탈 브이 씨 알의 다채널 기록 장치
JP2000175094A (ja) 映像データ送出装置及びその方法
JPH089320A (ja) 再生装置
KR20020089640A (ko)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