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640A -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640A
KR20020089640A KR1020010028445A KR20010028445A KR20020089640A KR 20020089640 A KR20020089640 A KR 20020089640A KR 1020010028445 A KR1020010028445 A KR 1020010028445A KR 20010028445 A KR20010028445 A KR 20010028445A KR 20020089640 A KR20020089640 A KR 2002008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shuffle
servo circuit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만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8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9640A/ko
Publication of KR2002008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64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0Moving record carrier backwards or forwards by finite amounts, i.e. backspacing, forward sp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드럼모터와 캡스턴 모터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서보 회로부와; 드럼헤드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신호 처리부와; 입력되는 재생 모드에 맞게 적절하게 서보 회로부와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와; 사용자에 의해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동작모드를 입력받는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서보 회로부로부터 트랙 상태신호(Track OK)를 입력받고, 데이터 요구신호(Request Data) 및 셔플 저장신호(N Shuffle Stored)를 출력하여 서보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그 방법에 있어서 테이프의 정상 재생중에 저속 재생키(Slow Key)가 입력될 경우, 캡스턴 모터는 메모리에 소정량의 셔플이 저장될 때 까지 정상 속도로 계속 구동하는 제1단계와; 메모리에 소정량의 셔플이 저장되면 캡스턴 모터를 정지하고, 모터의 관성에 의해 더 이송된 테이프량 만큼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메모리에 저장된 셔플이 소정 임계값 이하로 감소하여 데이터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캡스턴 모터를 정상속도로 회전시켜 소정량의 셔플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계속 반복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내지 제3단계의 과정을 거쳐 저장된 데이터를 저속으로 출력하여 재생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SLOW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느린화면 재생을 위해 메모리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시, 정상속도로 테이프를 이송시켜 그때 출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느린화면 재생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느리게 출력함으로써, 느린화면을 재생시키는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방송환경은 아날로그 방송에서 점차 위성 등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DTV)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디지털 방송신호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포함하여 최대 19.14 Mbps의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갖는 엠펙(MPEG2: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신호로서, 가정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송출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신호를 녹화하거나 재생하기 위해서 디지털 브이씨알(DVCR)이 등장하고 있으며, 미국,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D-VHS 규격의 디지털 브이씨알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브이씨알에서는 고성능의 산화철 자기 테이프(D-VHS 또는 S-VHS 카셋트 테이프)에, 14.1 Mbps의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갖는 디지털 데이터에 서브 코드 데이터, 오류 정정 데이터 등을 추가한 후, 1800 rpm으로 회전하는 한 개 채널 두 개의 헤드를 이용하여 19.14 Mbps의 레이트로 기록하거나, 28.2Mbps의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디지털 데이터를 1800 rpm으로 회전하는 두 개 채널 네 개의 헤드를 이용하여 38.28 Mbps의 레이트로 기록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디지털 브이씨알은 압축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방식을 이용하는데, 이와 같이 압축되어 기록된 디지털 정보를 재생할 경우에는 그 디지털 정보의 압축방식에 의해서 변속이 한정된다.
통상 변속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테이프의 기록 방식과 프레임이 정확히 동기 되도록 기록하는 방식이 있고, 엠펙 압축 방식과 같이 필드 또는 프레임 정보가 정보의 복잡도에 따라서 압축된 정보의 양이 가변적이어서 트랙과 동기되지 않는 방식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디지털 브이씨알의 변속 방법은 전자의 방식을 따르며 D-VHS는 엠펙 전송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재생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엠펙 전송 스트림은 브이씨알 내부에 트랙과 관련된 정보가 없어서, 기록시 입력되는 정보는 단지 입력되는 시간에 맞춰서 적절히 기록되었다가 재생시 입력되는 시간정보에 맞추어 재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재 엠펙 전송 스트림을 기록/재생하는 브이씨알 관련 제품은 출시되지 않았으며, D-VHS를 중심으로 변속에 대한 포맷이 일부 나오고 있다.
도1은 종래 브이씨알의 일반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모터와 캡스턴 모터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서보 회로부(1)와; 드럼헤드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신호 처리부(2)와; 입력되는 재생 모드에 맞게 적절하게 서보 회로부(1)와 신호 처리부(2)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3)와; 사용자에 의해 브이씨알의 동작을 입력받는 모드 설정부(5)로 구성된다.
여기서, 설명이 생략된 메모리부(4)는 테이프에서 리드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사용자가 저속 또는 프레임 전진키(미도시)를 누르면, 모드 설정부(5)는 설정된 모드를 시스템 제어부(3)에 전달하고, 시스템 제어부(3)는 서보 회로부(1)를 제어하여 저속 재생 상태로 캡스턴 모터를 동작시킨다.
이때, 신호 처리부(2)는 드럼헤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소정의 필드/프레임 영상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면, 서보 회로부(1)에 신호를 보내어 캡스턴 모터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
그리고, 메모리가 비게되면 다시 저속 모드로 진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저속(Slow)과 정지(Still)의 반복을 통하여 저속 또는 프레임 전진을 구현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기록시 복수개의 필드(m Fields)에 해당하는 정보를 복수개의 트랙(n Tracks)에 기록되도록 하여, 재생시 신호 처리부(2)에서 서보 회로부(1)로 보내는 제어신호를 단순화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도2는 종래의 브이씨알 재생시 캡스턴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캡스턴 속도(Capstan Speed)는 캡스턴 모터의 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테이프의 이송속도를 의미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캡스턴 속도는 정상 재생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진행하다가 정지하다가 하는 동작을 반복하며 동작하게 하였다.
그리고, 재생 데이터 량은 캡스턴 모터가 진행하면서 그 진행량에 비례하는 테이프상의 헬리컬 트랙을 읽게되고, 그것은 신호 처리부(2)로 전달되어 재생된 데이터가 필요한 프레임 이상 읽어졌을 때, 그것을 검출하여 그 정보를 프레임 저장신호(Frame Stored)를 통해 서보 회로부(1)에 알려 캡스턴 모터를 정지시킨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기술은 캡스턴 모터가 재생 데이터의 양에 따라 저속재생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저속 또는 프레임 전진을 구현하기 때문에, 엠펙으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 필드(m Fields)의 영상을 다수의 트랙(n Tracks)에 기록되도록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디지털 위성방송이나 디지털 지상파 방송의 전송은, 전송 스트림 포맷에 따라 전송되고 다채널이 먹싱되어 방송되며, 기록시 그 중 한 개의 프로그램만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시간 변동이 심하고, 먹싱된 프로그램을 두 개 이상 기록할 경우에는 종래의 방식과 같이 기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저속 재생과 프레임 전진시에 캡스턴 모터를 저속과 정지를 반복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도3과 같이 저속 재생시 드럼헤드는 복수개의 트랙을 동시에 읽게 되므로, 신호 처리부(2)에서 드럼헤드의 재생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정속 재생과 다른 별도의 회로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서 저속 재생과 프레임 전진시 캡스턴 모터가 안정되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기구적으로 상당한 안정을 요구하고 특히 재생시 CTL 펄스를이용하는 VHS 시스템의 경우 정확한 트래킹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느린화면 재생을 위해 메모리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시, 정상속도로 테이프를 이송시켜 그때 출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느린화면 재생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느리게 출력함으로써, 느린화면을 재생시키는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브이씨알의 일반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브이씨알 재생시 캡스턴 모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3은 저속 재생시와 정속 재생시 드럼헤드의 트랙 리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브이씨알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시 캡스턴 모터 및 각 신호의 동작 상태를 보인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정속 재생에서 저속으로 절환할 경우의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저속 재생에서 정속으로 절환할 경우의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캡스턴 모터가 정상 동작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정속 재생키가 입력될 경우의 타이밍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 과정을 보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서보 회로부 20 : 신호 처리부
30 : 시스템 제어부 40 : 메모리부
50 : 모드 설정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럼모터와 캡스턴 모터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서보 회로부와; 드럼헤드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신호 처리부와; 입력되는 재생 모드에 맞게 적절하게 서보 회로부와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와; 사용자에 의해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동작모드를 입력받는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서보 회로부로부터 트랙 상태신호(Track OK)를 입력받고, 데이터 요구신호(Request Data) 및 셔플 저장신호(N Shuffle Stored)를 출력하여 서보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생신호의 제어를 위해서 사용하는 메모리의 기록 단위를 프레임 또는 필드 단위가 아닌 셔플(Shuffle) 단위로 설정하고, 셔플 단위의 메모리 크기를 충분히 크게하여 기구계의 동작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속과 프레임 전진시 캡스턴 모터를 정상속도 재생과 되감기 동작에 의해 수행하도록 하고, 신호 처리부가 정속 재생기능 만을 수행하도록 하여 회로구성을 단순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리 내에 쌓여있는 데이터량을 일정 수준 유지하도록 하여 메모리가 버퍼 역할을 하도록 하며, 저속 또는 정지 상태에서 재생 절환시 특별한 기구적, 신호적 추가없이 절환을 안정하게 구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브이씨알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구적인 구성은 도1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서보 회로부(10)와 신호 처리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다.
즉, 종래의 신호 처리부(2)에서는 프레임 저장신호(Frame Stored) 하나를 출력하여 서보 회로부(1)를 제어하였으나, 본 발명의 신호 처리부(20)에서는 서보 회로부(10)로부터 트랙 상태신호(Track OK)를 입력받고, 데이터 요구신호(Request Data) 및 셔플 저장신호(N Shuffle Stored)를 출력하여 서보 회로부(10)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브이씨알의 저속 재생시 캡스턴 모터 및 각 신호의 동작 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설정부(50)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서 시스템제어부(30)에 전달하고, 그러면 시스템 제어부(30)는 입력된 모드를 서보 회로부(10)와 신호 처리부(2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초기에는 메모리부(40)에 저장된 데이터가 없으므로 신호 처리부(20)는 드럼헤드로부터 데이터를 받기위해 데이터 요구신호(Request Data)를 서보 회로부(10)로 출력한다.
그러면, 서보 회로부(10)는 캡스턴 모터를 구동하여 테이프를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테이프가 정지상태에서 정속 재생상태로 동작하지만, 드럼헤드가 정속 재생시 필요한 위치로 트래킹 하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그 동안은 정상적인 데이터를 읽을 수 없다.
따라서, 그 기간 동안에는 트랙 상태신호(Track OK)가 디세이블(Disable) 된다.
다음, 테이프가 정상 상태로 트래킹되어 재생되기 시작하면, 트랙 상태신호(Track OK)는 활성화되어 신호 처리부(20)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부(20)는 정속 재생때와 마찬가지로 셔플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부(40)에 저장한다.
여기서, 셔플(Shuffle)이란 디지털 기록에서는 기록 채널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수정하기 위해서 기록시 데이터에 에러정정코드(Ecc : Error Correction Code)를 부가하는 방식으로, 내부(Inner) 혹은 외부(Outer)의 2차원 에러정정코드(Ecc)를 적정 데이터 구간에 붙이게 된다.
통상의 브이씨알에서 외부 에러정정코드(Outer Ecc)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간은 수개의 트랙 데이터를 포함하게 된다. 특히, D-VHS 시스템은 6트랙을 하나의 셔플 단위로 하고 있다.
즉, 셔플 단위가 아니면 정상적인 데이터를 얻기 어렵다.
D-VHS의 경우 셔플과 트랙은 프레임/필드와 관계가 없다.
그래서 종래의 방식처럼 복수 필드(n Fields) 또는 복수 프레임(n Frames)의 데이터를 이용하면 이에 해당하는 필드와 프레임의 양은 계속적으로 가변되기 때문에, 종래의 방식으로는 D-VHS에서 구현이 어려운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신호 처리부(20)는 내부에 있는(미도시) 셔플수 카운터부에서 입력되는 셔플의 숫자를 계수하면서 적정수의 셔플을 메모리에 저장 한다.
메모리의 용량에 비례하여 적정량의 셔플이 저장되면 신호 처리부(20)는 셔플 저장신호(N Shuffle Stored)를 서보 회로부(10)로 보낸다. 상기 신호를 받은 서보 회로부(10)는 즉시 캡스턴 모터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트랙 상태신호(Track OK)도 디세이블 된다.
이때, 캡스턴 모터는 관성에 의해 소정시간 회전을 계속하여 테이프를 이송시키고, 그에 따라 드럼헤드에서 데이터를 읽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다음 재생시 정상 트래킹까지 걸리는 여분의 테이프량 만큼을 캡스턴 모터를 역 주생시켜 위치시킨다.
이상과 같은 진행을 하는 동안 신호 처리부(20)는 재생되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디코딩 할 데이터가 쌓이면,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속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소정시간 마다 화면을 갱신시킨다.
도5의 메모리 저장 데이터에서 처럼 메모리 내의 데이터량이 재생과 더불어 증가되다가 메모리 저장 데이터가 소정의 임계점(P1)에 도달하면, 셔플 저장신호(N Shuffle Stored) 출력과 동시에 캡스턴 모터가 정지되어, 더 이상 데이터를 입력받지 못하는 구간에서는 저장 데이터가 감소되기 시작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데이터가 감소되기 시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점(P2)에 도달하면, 다시 데이터 요구신호(Request Data)를 서보 회로부로 보내어 재생 데이터를 공급받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면서 저속재생을 실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 전진 구현은 저속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즉,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이 구성되는 주기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바뀔 뿐이고, 나머지 부분의 동작은 저속 재생과 동일하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해 정속 재생에서 저속으로 절환할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재생시에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량은 적은량이지만 일정하게 유지를 하고 있다.
이때, 저속키(Slow Key)가 입력되면 그 시점부터는 드럼헤드를 통해 읽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소정 임계점(P1)까지 저장하게 되면 이하 동작은 저속 재생시와 동일하다.
다음, 도7은 본 발명에 의해 저속 재생에서 정속으로 절환할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속 재생키가 입력되는 시점에서 캡스턴 모터가정상 동작하고 있을 경우, 정상 속도를 화면을 디코딩해도 메모리 저장 데이터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약, 정속 재생키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스턴 모터가 정상 동작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입력되면, 즉시 데이터 요구신호(Request Data)가 출력되고 캡스턴 모터가 정상 속도로 동작할 때까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해 디코딩하고, 캡스턴 모터가 정상 속도로 된 이후에는 도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상 속도로 화면을 디코딩해도 메모리 저장 데이터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재생중에는 테이프 이송을 제어하는 캡스턴 모터도 정상 속도로 회전을 하고 있다(S11).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저속 재생키(Slow Key)가 입력되면, 종래의 경우 캡스턴 모터를 저속 상태로 하고 프레임이 저장되기를 기다리고 있다가 저장이 완료되면 캡스턴 모터를 정지 시키고, 다시 저장된 데이터가 적어지면 캡스턴 모터를 저속으로 구동하는 일을 반복하여 저속 재생을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저속 재생을 하더라도 캡스턴 모터는 정상 속도로 계속해서 구동하여(S12) 소정량의 셔플이 저장될 때 까지 저장하고(S13), 정지와 되감기 동작(S14∼S16)에 의해 캡스턴 모터의 관성으로 더 이송된 테이프를 되감는다.
그리고, 다시 데이터 요구신호가 입력되면(S17) 캡스턴 모터를 정상속도로 회전시켜 소정량의 셔플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재생하는 과정을 계속 반복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정속 화면이던 저속 화면이던 실시간 재생을 위해 정속 재생일 경우에는 캡스턴 모터도 정속으로 회전하고, 저속 재생일 경우에는 캡스턴 모터도 저속으로 회전하였으나, 이와 같이 저속으로 재생과 정지를 반복해서 데이터를 읽어내는 기술은 구현이 매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 저장 수단에 비해 많은 양의 정보 저장이 가능한 셔플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종래에 비해 소정의 메모리를 더 구비하여 정속으로 데이터를 읽어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기술의 구현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은, 엠펙 데이터를 기록하는 디지털 방식 브이씨알(D-VHS)에서 저속과 프레임 전진(Frame Advance)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스턴 모터의 동작을 정속 재생만으로 구현하여서, 캡스턴 모터의 저속 구동으로 인한 문제점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속 재생 모드에서만 구현함으로서 복수개의 트랙을 동시에 읽을 경우, 신호 처리부에 필요한 부분을 추가없이 구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드럼모터와 캡스턴 모터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서보 회로부와; 드럼헤드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신호 처리부와; 입력되는 재생 모드에 맞게 적절하게 서보 회로부와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와; 사용자에 의해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동작모드를 입력받는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서보 회로부로부터 트랙 상태신호(Track OK)를 입력받고, 데이터 요구신호(Request Data) 및 셔플 저장신호(N Shuffle Stored)를 출력하여 서보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회로부는 정지상태에서 정속 재생상태로 동작할 때 드럼헤드가 정속 재생시 필요한 위치로 트래킹 하여 정상적인 데이터를 읽기 전까지는 트랙 상태신호(Track OK)를 디세이블(Disable)시키고, 정상적인 데이터를 읽게되면 셔플 저장신호가 입력될 때 까지 트랙 상태신호를 인에이블 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재생 데이터는 기록 단위를 셔플(Shuffle)로 설정하고, 기구계의 동작을 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메모리 용량을 더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4.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를 이용한 느린화면 재생 방법에 있어서, 테이프의 정상 재생중에 저속 재생키(Slow Key)가 입력될 경우, 캡스턴 모터는 메모리에 소정량의 셔플이 저장될 때 까지 정상 속도로 계속 구동하는 제1단계와; 메모리에 소정량의 셔플이 저장되면 캡스턴 모터를 정지하고, 모터의 관성에 의해 더 이송된 테이프량 만큼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메모리에 저장된 셔플이 소정 임계값 이하로 감소하여 데이터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캡스턴 모터를 정상속도로 회전시켜 소정량의 셔플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계속 반복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내지 제3단계의 과정을 거쳐 저장된 데이터를 저속으로 출력하여 저속 재생을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방법.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 모터는 느린 화면이나 정상 화면의 재생 속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방법.
KR1020010028445A 2001-05-23 2001-05-23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 KR20020089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445A KR20020089640A (ko) 2001-05-23 2001-05-23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445A KR20020089640A (ko) 2001-05-23 2001-05-23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640A true KR20020089640A (ko) 2002-11-30

Family

ID=2770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445A KR20020089640A (ko) 2001-05-23 2001-05-23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96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2981B1 (en) Recording of trick play signals on a record carrier
CA2472244A1 (en) Trick modes for compressed video streams
EP0671105B1 (en) Multiple program digital playback system and method
JPH09261593A (ja) パケットデータ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KR20010050137A (ko) 디지털신호 기록장치 및 기록매체
KR20020089640A (ko)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느린화면 재생장치 및 방법
JP2962067B2 (ja) ディジタルvtrの信号処理装置
US7532803B2 (en) Reproducing apparatus
EP0500358B1 (en) Signal processing method of digital VTR
US5892883A (en) Recording of a data reduced digital video signal in slant tracks on a record carrier
KR0185799B1 (ko) 디지틀데이터기록방법
JP2001143390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2002135728A (ja) 録画再生装置
JP3322160B2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記録方法、記録再生方法、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KR100192346B1 (ko) 디지탈 브이 씨 알의 변속재생장치
JP3262035B2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再生方法、再生装置及び復号装置
KR0174450B1 (ko)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기록/재생 장치
JP2613242B2 (ja) 複数信号方式の記録再生装置
KR20020072108A (ko) 디지털 엠펙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재생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JP2689981B2 (ja) 再生装置
KR20010033389A (ko) 탐색 재생 모드를 가진 재생 장치
JP2000243027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9198794A (ja) 提供情報の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情報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2542693A (ja) 磁気テープ上に記録されたテレビジョン番組の再生の実際の開始部を可能にする再生装置
JPH07307924A (ja) ディジタル磁気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