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367A -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 - Google Patents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367A
KR20060100367A KR1020067005646A KR20067005646A KR20060100367A KR 20060100367 A KR20060100367 A KR 20060100367A KR 1020067005646 A KR1020067005646 A KR 1020067005646A KR 20067005646 A KR20067005646 A KR 20067005646A KR 20060100367 A KR20060100367 A KR 20060100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l position
distribution system
channel height
local effect
b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9864B1 (ko
Inventor
클라우스 게바우어
Original Assignee
지이 헬스케어 바이오-사이언시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헬스케어 바이오-사이언시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지이 헬스케어 바이오-사이언시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6010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4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feed to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0Construction of the colum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0Construction of the column
    • G01N30/6004Construction of the column end pieces
    • G01N30/6017Fluid distribu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Abstract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101)는 평판의 중심 근처의 안쪽, 첫번째 반경 위치(R1)로부터 평판의 주변부에 더 가까운 바깥쪽 반경 위치까지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 (107) 한 세트 및 중간 반경 위치(R2, R3)에서 시작하여 평판 (101)의 주변부 (109)에 더 가까운 바깥쪽 반경 위치로 뻗어있는 중간 베드 지지 뼈대 (117, 119) 한 세트 이상을 포함하고, 여기서 채널은 인접한 베드 지지 뼈대 (107, 117, 119) 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효과 국부 채널 높이는 상기 첫번째 반경 위치 R1으로부터 상기 바깥쪽 반경 위치까지 예정된 공식에 따라 변화하도록 의도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뼈대 (107, 117, 119) 또는 상기 채널의 횡단면적을 조정하여 상기 첫번째 반경 위치(R1) 및 상기 바깥쪽 반경 위치 사이에 위치한 분배 계의 부분에 대해,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가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의 15% 이내가 되고, 여기서 상기 부분의 총 길이는 상기 첫번째 반경 위치(R1) 및 상기 바깥쪽 반경 위치 사이의 거리의 80% 이상에 해당한다.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 평판, 베드 지지 뼈대

Description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CHROMATOGRAPHY COLUMN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위한 액체 분배 계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대규모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위한 측정가능한 액체 분배 계에 관한 것이다.
분리 방법, 특히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유체 분배 계는 전체적인 성능에 중요하고,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의 단면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그러하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되는 칼럼은 전형적으로 운반 액체가 관통해 흐르면서 운반 액체와 고체상 다공성 매질 사이의 물질 분배에 의해 분리가 일어나는, 다공성 매질을 둘러싸고 있는 몸체 형성 구조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다공성 매질은 전형적으로 분리 입자 현탁액의 고화에 의해 형성된 충전된 베드로써 칼럼에 들어있다. 충전된 베드에 대한 대안은 이른바 팽창 또는 유동화 베드로, 여기서 팽창 베드의 효과적인 다공도 및 부피는 유체 속도에 의존한다. '충전물'이라는 용어는 이하, 모든 형태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의 다공성 고체 상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효율은 충전물의 유체 유입구 및 배출구에 대한 액체 분배 및 수집 계 양쪽 모두에 강하게 의존한다.
이상적으로, 운반 액체는 충전물 상부의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도입되어, 충 전물 단면 전체적으로 동일한 직선 속도로 충전물을 통과해 흐르고, 충전물의 바닥면에서 균일하게 제거된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분배 계는 칼럼의 분리 효율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몇몇 내재된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러한 문제들 중, 충전물 배출구에서의 불균일한 유체 수집 문제뿐 아니라 충전물 상부에서의 불균일한 초기 유체 분배 문제가 있다. 불균일한 초기 유체 분배 문제는 일반적으로 충전물의 단면 위에 동시적으로 표본 부피를 가해야하는 문제를 말한다. 충전물 상부면에 유체의 동시적 도입 없이, 충전물을 통과하는 균일한 유량 분배를 이루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것은 유체와 함께 계 전체로 운반된 미량 물질의 대류 체류 시간 분배를 넓혀서 크로마토그래피 계 내의 분산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액체 분배 계에 의해 발생된 분산은 확산 및 혼합 효과라는 수단에 의해 크로마토그래피 충전물 자체에 의해 도입된 분산액의 양과 관련하여 조절되어야 한다.
표준 유체 분배 계는 칼럼의 유입구 말단 쪽의 필터(그물 짜임 또는 소결물) 또는 베드 지지체 뒤의 박막 분배 채널(갭) 및 칼럼의 배출구 말단 쪽의 유사한 유체 수집 계와 함께, 이동 상을 위하여 칼럼의 말단 평판에 형성된 하나의 중앙 유입구로 구성된다. 필터 또는 베드 지지체는 말단 평판의 안쪽 표면에서부터 말단 평판을 향하는 필터 또는 베드 지지체까지 뻗어있는 뼈대에 의해 지지된다. 뼈대는 방사상으로 뻗어있고, 뼈대들 사이의 공간은 유체를 분배시키기 위한 분배 채널을 형성한다. 각 뼈대는 칼럼의 중앙을 향하며 차차 좁아지는 말단 구획 및 차차 좁아지는 구획에서 칼럼 벽 쪽으로 뻗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의 몸체를 가진다. 특정한 반경 위치에서, 뼈대의 개수는 필터/베드 지지체의 필수적인 기계적 지지를 유지하기 위해 두 배로 된다. 칼럼 내에서, 반경 위치 r에서의 분배 채널 내 유체 흐름을 위한 국부 효과 단면적은 채널의 깊이 h, 채널의 폭 w 및 채널의 개수로 정의된다. 칼럼 내에서 유체 흐름을 위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 (즉, 칼럼의 중심으로부터의 특정 반경 거리 위치에서의 높이)는 동일한 반경 거리에서 유체 흐름을 위해 실제 칼럼 내 채널의 총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대응하는 개방형 채널 (즉, 뼈대없는 채널)의 국부 높이로 정의된다. 따라서, 특정 칼럼에서, 칼럼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R에서 채널 높이가 4 mm이고, 거리 R에서 단면적의 절반을 뼈대가 차지하고 있다면, 거리 R에서의 효과 채널 높이는 2 mm이다. 국부 효과 채널 높이는 필터 또는 베드 지지체 위로 원하는 유체 분배를 주기 위해 칼럼 중심으로부터 칼럼 쪽으로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 뼈대의 크기 및 개수가 국부 효과 채널 높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어떠한 설명도 효과적이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데, 실선은 R = 55 mm 및 R = 110 mm에서 시작하는 뼈대를 가지는 전형적인 선행기술 칼럼에 대해 칼럼 중심으로부터의 중심거리(R)에 대한 효과 채널 높이 (ECH)를 계산한 것을 나타내고, 점선은 국부 효과 채널 높이에서 바람직한 비례 변화를 나타낸다. R = 55 mm에서,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는 3.8 mm인 반면,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는 3.2 mm, 즉, 바람직한 수치의 84 % 이고, R = 112 mm에서, 실제 효과 국부 채널 높이는 1.4 mm, 즉 바람직한 높이인 2.5 mm의 겨우 56 %이다. 분명하게, 효 과 채널 높이에는 국부적 감소가 있으며, 따라서 뼈대 개수가 두 배로 되는 곳의 반경 위치에서 분배 채널 내의 흐름에 조름현상(throttling)이 있다. 이는 크로마토그래피 성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국부 압력 상승을 야기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의 특징기술 부분에 제시된 특징을 가지는 장치에 의해 선행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가 해결된다.
도 1 a)는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위한 선행기술 분배 평판의 평면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 b)는 도 1 a) 중에서 I-I 선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c)는 도 1 a)의 평면도 일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 d)는 도 1 c)에서 나타낸 선행기술 분배 평판 일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a)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평판의 첫번째 실시태양의 평면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 b)는 도 2 a)의 평면도 일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 c)는 도 2 b)에 나타낸 선행기술 분배 평판 일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선행기술 칼럼에 대해, 중심거리(R)에 대한 효과 채널 높이(ECH)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칼럼의 실시태양에 대해 중심거리(R)에 대한 효과 채널 높이(ECH)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a) 내지 1 d)는 선행기술 분배 계를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분배 평판 (1)은 중앙 유입구 오리피스 (5)와 함께 디스크 형태로 몸체 (3)을 구성한다. L1 길이의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 (7) 다수는 오리피스 (5) 둘레의 중심으로부터 R1 거리인 위치에서부터 실질적으로 몸체 (3)의 주변부 (9)까지 방사상으로 뻗어있다. 각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 (7)은 오리피스 (5) 또는 그 가까이에 있는 첫번째 말단 (6)에서 최대 높이 h1을, 몸체 (3)의 주변부 (9) 또는 그 가까이에 있는 두번째 말단 (8)에서 최소 높이 h2를 갖는다. 각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 (7)의 높이는 첫번째 말단 (6)으로부터 두번째 말단 (8)까지 직선적으로 변화한다. 각 첫번째 말단 (6)은 중앙 유입구 오리피스 (5) 쪽을 향하는 길이 t1의 차츰 좁아지는 부분 (10)과 함께 차츰 가늘어진다. 각 첫번째 뼈대는 연장된 뼈대 몸체 (11) 길이 (L1 - t1), 및 각 첫번째 말단 (6)과 두번째 말단 (8)의 좁아지는 부분 (10) 사이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 w1을 가진다.
오리피스 (5) 및 주변부 (9) 사이에 위치한 첫번째 중간 반경 위치 R2에서 시작하여, L1 미만의 길이 L2의 다수의 두번째, 중간, 베드 지지 뼈대 (17)이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들 (7) 사이에 위치한다. 각 두번째 베드 지지 뼈대 (17)은 중앙 유입구 오리피스 (5) 쪽을 향하는 길이 t2의 점차 좁아지는 부분 (16), 및 실제로 일정한 폭 w1와 함께 길이 (L2 - t2)의 연장된 뼈대 몸체 (18)을 가진다. 이 두번째 베드 지지 뼈대 (17)은 첫번째 중간 반경 위치 R2로부터 실질적으로 몸체 (3)의 주변부 (9)까지 뻗어있다.
오리피스 (3) 및 주변부 (9) 사이, 오리피스 (3)으로부터 R2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 두번째 중간 반경 위치 R3에서 시작하여, 길이 L3인 다수의 세번째, 중간, 베드 지지 뼈대 (19)가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 (7) 및 두번째 베드 지지 뼈대 (17) 사이에 위치한다. 각 세번째 베드 지지 뼈대 (19)는 중앙 유입구 오리피스 (5) 쪽을 향하는 길이 t3인 점차 좁아지는 부분 (21), 및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 w1과 함께 길이 (L3 - t3)인 연장된 뼈대 몸체 (23)을 가진다. 이 세번째 베드 지지 뼈대 (19)는 두번째 중간 반경 위치 R3로부터 몸체 (3)의 주변부 (9) 가까이까지 뻗어있다.
채널 13은 뼈대 (7), (17), (19) 사이의 간극에 의해 형성된다.
도 1 a) 내지 1 d)에서 알 수 있듯이, 중심 위치 R2 및 R3의 근처 지역에서, 각각 두번째와 세번째 지지 뼈대들의 존재로 인해 채널 (13)의 국부 단면적에 감소가 있다. 이러한 국부 단면적의 감소는 국부 압력 증가로 나타나는 채널 (13)을 통과하는 흐름의 국부적인 조름현상을 야기한다. 이것은 분배 계를 통과하는 흐름을 방해하고,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 2 a) 내지 2 c)는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실시태양의 분배 평판 (101)을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분배 평판 (101)은 중심 유입구 오리피스 (105)와 함께 디스크 형태의 몸체 (103)을 구성한다. 길이 LL1인 다수의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 (107)은 오리피스 (105) 근처의 안쪽 첫번째 반경 위치 R1으로부터 몸체 (103)의 주변부 (109) 근처의 바깥쪽 반경 위치까지 뻗어있다. 각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 (107)은 오리피스 (105) 또는 그 가까이의 첫번째 말단 (106)에서 최대 높이를, 몸체 (103)의 주변부 (109) 또는 그 가까이의 두번째 말단 (108)에서 최소 높이를 갖는다. 각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 (107)의 높이는 첫번째 말단 (106)으로부터 두번째 말단 (108)까지 직선적으로 변화한다. 각 첫번째 말단 (106)은 중앙 유입구 오리피스 (105) 쪽을 향하는 길이 t11의 점차 좁아지는 부분 (110)과 함께 점차 좁아진다. 각 첫번째 뼈대 (107)은 점차 좁아지는 부분 (110)의 최대 너비점으로부터 두번째 말단 (108)까지 뻗어있는 길이(LL1 - t11)의 연장된 뼈대 몸체 (111)를 갖는다. 아래 설명된 것과 같이, 연장된 뼈대 (111) 몸체는 길이 방향에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지 않는다.
오리피스 (105) 및 주변부 (109) 사이에 위치한 첫번째 안쪽 중간 반경 위치 R2에서 시작하여, 길이가 LL2(LL1 미만인)인 다수의 첫번째 중간 베드 지지 뼈대 (117)이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들 (107) 사이에 위치한다. 각 첫번째 중간 베드 지지 뼈대 (117)은 중앙 유입구 오리피스 (105) 쪽을 향하는 뾰족한 말단을 가지는 길이 t12의 점차 좁아지는 부분 (116), 및 아래에 설명된 것과 같이 변하는 폭과 함께 길이(LL2 - t12)의 연장된 뼈대 몸체 (118)을 가진다. 이러한 첫번째 중간 베드 지지 뼈대 (117)은 첫번째 중간 반경 위치 R2로부터 몸체 (103)의 주변부 (109) 가까이의 바깥쪽 반경 위치까지 뻗어있다.
오리피스 (105) 및 주변부 (109) 사이에 오리피스 (103)으로부터 R2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 두번째 안쪽 중간 반경 위치 R3에서 시작하여, 길이 LL3인 다수의 두번째 중간, 베드 지지 뼈대 (119)가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 (7)과 첫번째 중간 베드 지지 뼈대 (117) 사이에 위치한다. 각 두번째 베드 지지 뼈대 (119)는 중앙 유입구 오리피스 (105) 쪽을 향하는 뾰족한 말단을 가진 길이 t13인 점차 좁아지는 부분 (121), 및 변하는 폭과 함께 길이 (LL3 - t13)인 연장된 뼈대 몸체 (123)을 가진다. 이 두번째 중간 베드 지지 뼈대 (119)는 두번째 안쪽 중간 반경 위치 R2로부터 몸체 (103)의 주변부 (109) 가까이의 바깥쪽 반경 위치까지 뻗어있다.
채널 (113)은 뼈대 (107), (117), (119) 사이의 간극에 의해 형성된다. 이 실시태양에서, 효과 국부 채널 높이는 R1 위치로부터 칼럼의 주변부까지 선행기술 장치에서보다 좀 더 직선적으로 감소한다(즉,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와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의 최대 차이가 바람직한 국부 채널 높이의 15.5% 미만이다). 이것은 뼈대 사이에 형성된 채널 (113)의 단면적에서 불연속성(즉, 갑작스러운 국부적 변화)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하기 위해 연장된 뼈대 몸체 (111), (118) 및 (123)의 폭을 길이방향에 따라 변화시킴으로 성취되었다. 이는 첫번째 중간 지지 뼈대 (117) 및(또는) 두번째 중간 지지 뼈대 (119)의 좁아지는 부분 (116)에 인접한 위치의 각 첫번째 지지 뼈대 (107)의 연장된 몸체 (111)의 폭을 길이방향에 따라 조정하거나, 및(또는) 두번째 중간 지지 뼈대 (119)의 좁아지는 부분 (121)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각 첫번째 중간 지지 뼈대 (117)의 연장된 몸체 (118)의 폭을 길이방향에 따라 조정하여 실제 효과 국부 채널 높이가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의 적어도 15% 이내, 바람직하게는 10%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와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첫번째 및 두번째 중간 지지 뼈대 (117), (119)가 있는 반경 위치에서 채널의 단면적의 불연속성을 줄이기 위해서, 모든 반경 위치에서 각 연장된 몸체 (111)의 폭은 중간 지지 몸체 (117)의 존재에 의해 야기되는 채널 단면적 감소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보상하여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가 바람직한 국부 채널 높이의 적어도 15% 이내가 되도록 조정된다. 바람직하게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는 최장 뼈대의 길이의 대부분에 대해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의 10% 이내, 더 바람직하게 5%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와 동일하다. 이것은 반경 위치 Rx에서 각 연장된 뼈대 몸체 (111)의 접선 단면적을, 동일한 반경 위치 Rx에서 인접한 중간 지지 뼈대 (117)의 접선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약간 넓거나, 또는 약간 좁게 조절하여 성취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태양에서, 첫번째의, 첫번째 중간 및 두번째 중간 지지 뼈대가 있는 반경 위치에서 채널 단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두번째 중간 지지 뼈대 (119)의 존재에 의해 야기되는 채널 단면적 감소는, 첫번째 및 두번째 중간 지지 뼈대 (107) 및 (117)의 폭을 모든 반경 위치 Rx에서 동등하도록 두번째 중간 지지 뼈대 (117)의 존재에 의해 야기되는 채널 단면적의 감소의 절반과 동일한 양만큼 조절함으로써 보상된다.
도 4는 분배 계가 두 세트의 뼈대, 즉,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R = 55 mm 에서 시작하는 첫번째 세트 및 R = 110 mm에서 시작하는 두번째 세트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칼럼 분배 계에 대해 반경 위치(R)에 대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ECH)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 바람직한 국부 효과 칼럼 높이(점선 표시)에서 실제 국부 효과 칼럼 높이(실선 표시)를 뺀 최대 편차는 실제 효과 채널 높이가 1.6 mm이고 바람직한 효과 채널 높이가 1.5 mm, 즉 차이가 6.7 % 밖에 되지 않는 R = 110 m에서 일어난다. 이 칼럼에서, 최장 뼈대의 길이에 대해,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의 5% 이내인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를 가지는 채널 부분의 길이는, 더하면 이들 최장 뼈대 길이의 80% 이상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분배 계가 기계화되면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가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의 5% 이내인 분배 계의 부분은 최장 뼈대 길이의 90% 이상에 해당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분배 계가 기계화되면 이 뼈대 길이의 95% 이상에 대해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가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의 5% 이내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분배 계가 기계화되면 뼈대 길이의 100%에 대해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가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의 5% 이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서, 연장된 뼈대 몸체 (111) 및 (118) 양쪽의 폭을 조정하여 세번째 지지 뼈대 (119)의 존재에 의해 야기되는 채널 폭 감소를 보상하는 대신에, 한 종류의 연장된 뼈대 몸체, 예를 들면 연장된 뼈대 몸체 (118)의 폭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태양에서, 더 긴 뼈대 몸체의 폭을 조정하여 두번째 및 추가의 지지 뼈대의 존재에 의해 야기되는 채널 폭 감소를 보상하는 대신에, 뼈대들 사이의 채널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국부 효과 채널이 방사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변화하도록(즉, 국부 효과 칼럼 높이는 칼럼 중앙으로부터의 반경 거리의 역에 비례한다) 의도된 칼럼용 분배 계의 실시태양에 의해 예시되긴 하지만, 본 발명을 국부 효과 채널 높이가 직선적이 아닌, 예를 들면, 국부 효과 칼럼 높이가 칼럼 중앙으로부터의 반경 거리의 제곱의 역수에 비례하는 다른 공식에 따라 곡선적으로 변화하도록 의도된 칼럼용 분배 계에 적용하는 것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뼈대의 공간을 더욱 정확하게 조정함으로써, 뼈대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가 바람직한 채널 높이의 5% 이내가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 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고도로 정확한 컴퓨터로 조절되는 생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뼈대 전체의 길이에 대하여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를 가지는 분배 계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언급된 실시태양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의도이고, 하기에 청구한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Claims (6)

  1. 평판의 중심 가까이의 안쪽, 첫번째 반경 위치(R1)로부터 평판의 주변부에 더 가까운 바깥쪽 반경 위치까지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첫번째 베드 지지 뼈대 (107) 한 세트 및 중간 반경 위치(R2, R3)에서 시작하여 평판 (101)의 주변부 (109)에 더 가까운 바깥쪽 반경 위치까지 뻗어있는 중간 베드 지지 뼈대 (117, 119) 한 세트 이상을 포함하고, 여기서 채널은 인접한 베드 지지 뼈대 (107, 117, 119) 사이에 형성되고, 바람직한 효과 국부 채널 높이는 상기 첫번째 반경 위치 R1으로부터 상기 바깥쪽 반경 위치까지 예정된 공식에 따라 변화하도록 의도되는 것인, 상기 뼈대 (107, 117, 119) 또는 상기 채널의 횡단면적이 조정되어 상기 첫번째 반경 위치(R1) 및 상기 바깥쪽 반경 위치 사이에 위치한 분배 계의 부분에 대해,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가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의 15% 이내이고, 여기서 상기 부분의 총 길이는 상기 첫번째 반경 위치(R1) 및 상기 바깥쪽 반경 위치 사이의 거리의 80%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10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뼈대 (107, 117, 119) 또는 상기 채널의 횡단면적이 조정되어서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가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의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 (10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뼈대 (107, 117, 119) 또는 상기 채널의 횡단면적이 조정되어서 실제 국부 효과 채널 높이가 바람직한 국부 효과 채널 높이의 5%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 (10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효과 채널 높이가 반경 거리(R1)에 역비례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10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이 상기 첫번째 반경 위치(R1) 및 상기 바깥쪽 반경 위치 사이 거리의 90%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10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이 상기 첫번째 반경 위치(R1) 및 상기 바깥쪽 반경 위치 사이 거리의 95%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101).
KR1020067005646A 2003-09-23 2004-09-22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 KR101119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322144.7 2003-09-23
GBGB0322144.7A GB0322144D0 (en) 2003-09-23 2003-09-23 Chromatography column distribution system
PCT/EP2004/010599 WO2005028064A1 (en) 2003-09-23 2004-09-22 Chromatography column distribu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367A true KR20060100367A (ko) 2006-09-20
KR101119864B1 KR101119864B1 (ko) 2012-03-14

Family

ID=2926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646A KR101119864B1 (ko) 2003-09-23 2004-09-22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분배 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7534345B2 (ko)
EP (1) EP1684885B1 (ko)
JP (1) JP4477007B2 (ko)
KR (1) KR101119864B1 (ko)
CN (1) CN1856346B (ko)
AU (1) AU2004273611B2 (ko)
CA (1) CA2539574C (ko)
GB (1) GB0322144D0 (ko)
WO (1) WO2005028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22144D0 (en) * 2003-09-23 2003-10-22 Amersham Biosciences Ab Chromatography column distribution system
EP2366104B1 (en) 2008-11-18 2017-12-27 CC Biotech LLC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rotor
EP2239029A1 (en) * 2009-04-08 2010-10-13 Biotage AB Chromatography column
US9950277B2 (en) 2010-06-03 2018-04-24 Ge Healthcare Bioprocess R&D Ab Parallel assembly of chromatography column modules
CN103638692B (zh) * 2013-11-29 2016-03-02 源创精科生物科技(长沙)有限公司 具有二级流道的层析柱的液体分配器
CN104436757B (zh) * 2014-11-26 2017-10-27 源创精科生物科技(长沙)有限公司 压力耦合式层析柱流体分配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47329A (en) * 1985-05-06 1988-12-28 Craig J. Brown Fluid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JPS6253342A (ja) 1985-09-03 1987-03-09 Mitsubishi Gas Chem Co Inc エポキシ樹脂積層板の製造法
US4894152A (en) * 1987-08-13 1990-01-16 Cerex Corporation Fluid control device
US4894162A (en) 1988-04-27 1990-01-16 Ciba-Geigy Corporation Treatment of volatile organic substances at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US5324426A (en) * 1992-03-20 1994-06-28 Kontes Glass Corp. Chromatography column
SE9702169D0 (sv) * 1997-06-06 1997-06-06 Pharmacia Biotech Ab Chromatography column end arrangements
US6576124B2 (en) 2001-03-09 2003-06-10 Amersham Biosciences Ab Chromatography device
GB0116345D0 (en) 2001-07-04 2001-08-29 Amersham Pharm Biotech Ab Chromatography column
US6942794B2 (en) 2003-03-21 2005-09-13 Millipore Corporation High velocity chromatography column flow distributor
GB0322144D0 (en) * 2003-09-23 2003-10-22 Amersham Biosciences Ab Chromatography column distribution system
WO2006124895A2 (en) 2005-05-16 2006-11-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utations for enhanced tyrosine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44293A1 (en) 2016-05-26
JP2007506079A (ja) 2007-03-15
CN1856346B (zh) 2010-06-16
CA2539574C (en) 2012-03-20
US20150160170A1 (en) 2015-06-11
US20060243650A1 (en) 2006-11-02
US7534345B2 (en) 2009-05-19
US9279789B2 (en) 2016-03-08
EP1684885A1 (en) 2006-08-02
AU2004273611B2 (en) 2009-01-15
CA2539574A1 (en) 2005-03-31
JP4477007B2 (ja) 2010-06-09
CN1856346A (zh) 2006-11-01
US8986543B2 (en) 2015-03-24
WO2005028064A1 (en) 2005-03-31
KR101119864B1 (ko) 2012-03-14
US20090188853A1 (en) 2009-07-30
AU2004273611A1 (en) 2005-03-31
EP1684885B1 (en) 2018-11-21
GB0322144D0 (en) 2003-10-22
US10183236B2 (en)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3236B2 (en) Chromatography column distribution system
US6905595B2 (en) Scalable liquid distribution system for large scale chromatography columns
US4636315A (en) Fluid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US4537217A (en) Fluid distributor
US5324426A (en) Chromatography column
US8778059B2 (en) Differential acceleration chromatography
US3657864A (en) Separation system for the resolving of volatile mixtures
US4743227A (en) Column for continuous particle fractionation apparatus utilizing centrifugal field
CA2446080C (en) Scalable inlet liquid distribution system for large scale chromatography columns
US343689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hromatographic separations
US3494103A (en) Chromatographic method and apparatus
Vangelooven et al. Computer aided design optimisation of microfluidic flow distributors
JP2004525384A5 (ko)
US3422605A (en) Chromatographic columns
US4036429A (en) Bowl of centrifugal separator
JP2002504227A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カラムの末端部材
WO1985005285A1 (en) Head for a preparative column
WO1999062609A1 (en) Fluid flow distributor
JPH0194938A (ja) 液体の分散方法
Gebauer et al. Efficiency of preparative and process column distribution systems
JPH03194465A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のカラム用液体案内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