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602A -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602A
KR20060096602A KR1020050017256A KR20050017256A KR20060096602A KR 20060096602 A KR20060096602 A KR 20060096602A KR 1020050017256 A KR1020050017256 A KR 1020050017256A KR 20050017256 A KR20050017256 A KR 20050017256A KR 20060096602 A KR20060096602 A KR 20060096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hom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7819B1 (ko
Inventor
한상옥
이우승
심상수
김석균
이윤수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8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출 모드 상태에서 댁내의 화상 전화기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며, 댁내에 카메라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화상 전화기 등과 같은 저렴한 기기로 댁내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가입자가 외출 시에 화상 전화기에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확인하거나 댁내의 상황, 예를 들어 어린 아이의 행동 등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
화상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홈 모니터링, SIP, 콜백 메시지(callback URL), 동영상, 사진

Description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ome using the IP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전화기 20 : 보안 기기
30 : 홈 게이트웨이 40 : 홈 관리 서버
50 : SIP 시스템 60 : 미디어 서버
70 ; MMS 센터 80 :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외출 모드 상태에서 댁내의 화상 전화기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홈 오토메이션은 전자 기술을 활용하여 댁내에서의 각종 전기전자 기기들의 제어를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댁내에 설치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는 방문객을 비디오 화면으로 보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비디오 도어폰, 허가 받지 않은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여 외부 침입자를 촬영 및 녹화하는 보안 기기(방범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는 가스 누출 감지 및 차단, 화재 발생 감지 및 통보 기능이 포함된다. 더욱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실내 조명 조절 및 각종 계량기의 원격 검침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하면 외출한 후에도 댁내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누출, 화재, 불법 침입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가입자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외출 모드로 설정하고서 외부에 있을 경우에 보안 기기는 카메라, 각종 센서를 통하여 댁내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그러다가, 외부인이 댁내에 침입하게 되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보내어 댁내에 외부인이 침입한 사실을 경고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댁내에 외부인이 침입했더라도 가입자는 댁내에 침입한 외부인의 신상, 즉 외부인의 인상 착의, 외부인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서 알 수 없으며, 단지 댁내에 외부인이 침입했다는 사실만을 인지하고서 관리 사무실에 전화를 걸어 조치를 취해 주도록 요구하거나 댁으로 조속히 귀가하여 조치를 취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댁내에 카메라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화상 전화기 등과 같은 저렴한 기기를 설치하여 댁내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가입자가 외출 시에 화상 전화기에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확인하거나 댁내의 상황, 예를 들어 어린 아이의 행동 등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외출 모드 상태에서 댁내의 화상 전화기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각 댁내에 설치된 화상 전화기, 보안 기기 및 홈 게이트웨이(RG)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홈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홈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인의 댁내 침입이 감지되면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홈 관리 서버로 외부인 침입 사실을 보고하는 상기 보안 기기; 외출 모드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성립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인증이 성공되면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화상 전화기; 상기 보안 기기로부터 외부인 침입 사실이 보고되면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외부인 침입 사실 및 상기 화상 전화기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는 상기 홈 관리 서버; 상기 화상 전화기로부터 동영상 또는 사진을 수신받으면 해당 동영상 또는 사진을 특정 URL로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 및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동영상 또는 사진 전송 요청을 받으면 단말기의 기종, 사양에 적합하게 동영상 또는 사진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MMS 센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각 댁내에 설치된 화상 전화기 및 홈 게이트웨이(RG)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홈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홈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외출 모드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성립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인증이 성공되면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화상 전화기; 상기 화상 전화기로부터 동영상 또는 사 진을 수신받으면 해당 동영상 또는 사진을 특정 URL로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 및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동영상 또는 사진 전송 요청을 받으면 단말기의 기종, 사양에 적합하게 동영상 또는 사진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MMS 센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각 댁내에 설치된 화상 전화기가 외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보안 기기에서 외부인 댁내 침입이 감지되면 홈 관리 서버로 외부인 댁내 침입 사실을 보고하는 제 1 단계; 상기 홈 관리 서버에서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외부인 침입 사실 및 상기 화상 전화기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는 제 2 단계; 상기 MMS 센터에서 외부인 침입 사실 및 상기 화상 전화기 전화번호가 삽입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화상 전화기간의 통화호가 성립되면 상기 화상 전화기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가입자 인증이 성공되면 상기 화상 전화기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 5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에서 동영상 또는 사진을 특정 URL로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MMS 센터에서 단말기의 기종, 사양에 적합하게 동영상 또는 사진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각 댁내에 설치된 화상 전화기 가 외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화상 전화기간의 통화호가 성립되면 상기 화상 전화기에서 상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가입자 인증이 성공되면 상기 화상 전화기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에서 동영상 또는 사진을 특정 URL로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MMS 센터에서 단말기의 기종, 사양에 적합하게 동영상 또는 사진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댁내에는 화상 전화기(일명 IP 전화기)(10), 보안 기기(일명 방범 장치)(20), 홈 게이트웨이(RG; Residential Gateway)(3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신망은 홈 관리 서버(HOMS)(40), SIP 시스템[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하여 단말기간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 미디어 서버(60), MMS 센터(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센터)(70) 및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입자가 화상 전화기(10)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고서 외출한 경우에 외부인이 댁내에 침입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80)를 통하여 외부인 침입 사실 및 화상 전화기(10)의 전화번호가 첨부된 단문 메시지(SMS)를 받게 된다. 그에 따라, 가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80)를 통하여 화상 전화기(10)로 전화를 걸고 나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화상 전화기(10)에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MMS 센터(70)로부터 제공받게 된다. 여기서, 화상 전화기(10)는 비밀번호 인증 성공 후에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미디어 서버(60)로 전송하게 되며, 미디어 서버(60)는 동영상 또는 사진을 MMS 센터(70)로 전송하며, MMS 센터(70)에서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80)의 기종, 사양에 맞게 콜백 메시지(callback URL) 또는 메일 형태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이동통신 단말기(80)로 전송한다. 위와 같은 예는 가입자가 외출 시에 외부인의 침입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한편, 가입자가 외출 시에 댁내의 상황을 모니터링, 예를 들어 댁내의 어린 아이의 행동을 주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80)를 통하여 외출 모드로 기 설정된 화상 전화기(10)로 전화를 걸고 나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화상 전화기(10)에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MMS 센터(70)로부터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화상 전화기(10)는 비밀번호 인증 성공 후에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미디어 서버(60)로 전송하게 되며, 미디어 서버(60)는 동영상 또는 사진을 MMS 센터(70)로 전송하며, MMS 센터(70)에서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80)의 기종, 사양에 맞게 콜백 메시지(callback URL) 또는 메일 형태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이동통신 단말기(80)로 전송한다. 위와 같은 서비스에서는 가 입자가 화상 전화기(10)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고서 어린 아이가 자주 다니는 장소 또는 자고 있는 어린 아이에게 카메라의 포커스를 맞춘 후에 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화상 전화기(10)는 동영상 또는 사진을 획득하는 카메라(11), 카메라(11)에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 규격에 적합하게 인코딩하는 동영상 인코더(12), 홈 게이트웨이(30)와 연결되어 인터넷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 모듈(13), 외출 모드, 기본 모드, 취침 모드 등이 설정되는 모드 설정부(14)[이러한 모드 설정부(14)는 핫 키와 같은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15), 음성 등을 입력받는 마이크(16), 안내 멘트, 비밀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는 멘트/비밀번호 저장부(17) 및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모드 설정부(14)의 모드를 제어하고, 외출 모드 시에 외부 단말기[특히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면 비밀번호 입력 요구 및 그에 따라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인증 성공되면 카메라(11)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외부 단말기(특히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로 전송해 주도록 미디어 서버(60)에게 요청하는 제어부(18)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스피커(15), 마이크(16)는 화상 전화기(10)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지만 본 발명의 서비스 특성 상 반드시 구비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 화상 전화기(10)는 공지의 SIP 기반의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특히 화상 전화기(10)는 기존의 공중 전화망, 이동통신망과 같은 이기종망에 속한 단말기에서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도록 인터넷 전화 서비스 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갖는다.
위와 같은 화상 전화기(10)의 전화번호는 홈 관리 서버(40) 및 SIP 시스템(50)에 등록되며, 화상 전화기(10)의 IP 주소[특히 홈 게이트웨이(30)의 IP 주소]와 SIP URL 및 인터넷 전화 서비스 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가 매핑되어 등록된다.
여기서, SIP 시스템(50)은 이기종망에 각각 속한 단말기간의 통화호 성립을 위한 보이스 게이트웨이(51), 각 가입자의 위치 정보(또는 라우팅 정보, 예를 들어 IP 주소, SIP URL,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위치 서버(52)로 이루어지며, 이외에도 공지의 SIP 교환기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SIP 시스템(50)에 구비되어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화상 전화기(10)는 공지의 H.323 기반의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SIP 시스템(50)은 게이트웨이(Gateway), 엠씨유(MCU) 및 게이트키퍼(Gatekeeper) 등으로 이루어진 H.323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H.323 시스템은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화상 전화기로의 음성호 연결 요청을 받으면 상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화상 전화기간의 통화호를 성립해 준다. 참고적으로, H.323은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제정한 VOIP Protocol이며, SIP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MMUSIC WG에서 제정한 VOIP Protocol이다. 이하, SIP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며, H.323 시스템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홈 게이트웨이(30)는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 홈 오토메이션 기기[화상 전화기(10), 보안 기기(20) 등]의 인터넷 접속 기능, 각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추가/갱신/등록/삭제 기능 및 홈 관리 서버(40)의 제어 통신에 의해 각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관리/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30)는 홈 관리 서버(40)와 연계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는데 고정 IP 주소 또는 동적 IP 주소를 할당받으며, 자체적인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 & Play) 기능을 통하여 홈 관리 서버(40)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추가/갱신/등록/삭제 등을 수행한다. 즉, 홈 게이트웨이(30)는 DHCP 기능을 통하여 화상 전화기(10)로 가상 IP 주소 또는 특정 포트번호를 할당하며, 홈 게이트웨이(30)가 각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정보를 홈 관리 서버(40)로 등록/갱신할 때에 화상 전화기(10)의 정보가 등록된다.
부가적으로, 홈 게이트웨이(30)는 화상 전화기(10) 및 보안 기기(20)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 게이트웨이(30)는 지그비(ZigBee)로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지그비는 저속 전송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로서, 이는 듀얼 물리계층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GHz, 868/915 MHz를 사용하고, 모뎀 방식은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MAC은 CSMA/CA를 사용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는 20kbps에서 250kbps까지 가능하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80)에서 화상 전화기(10)로 전화를 거는 경우를 간략 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80)에서 화상 전화기(10)의 전화번호로 음성호 통화 연결 요청을 하게 되면, 이동통신 교환기(도면에 미도시)에서는 이 전화번호가 SIP 기반 통화 서비스 전화번호임을 인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80)의 음성호 통화 연결 요청을 SIP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SIP 교환기로 전달한다. 그러면, SIP 교환기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80)의 음성호를 화상호로 전환시켜 화상 전화기(10)로 화상호 연결 요청을 하게 된다. 그에 따라, 화상 전화기(10)에서는 전화벨이 울리게 되며 가입자의 수화기를 드는 행위에 의해 통화호가 성립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화상 전화기(10)에 외출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화상 전화기(10)는 가입자의 수화기 드는 행위 없이도 기존의 부재중 안내와 같이 전화가 걸려오면 비밀번호 입력 안내 멘트를 보내게 된다.
한편, 화상 전화기(10)에서 카메라(11)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의 사양, 기종에 적합하게 인코딩하거나 미디어 서버(60)에서 화상 전화기(10)로부터 수신받은 동영상 또는 사진을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의 사양, 기종에 적합하게 변환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전화기(10), 특히 제어부(18)는 비밀번호 인증 성공 후에 카메라(11)를 구동시켜 실시간으로 댁내 상황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안 기기(20)는 외부인이 댁내에 침입하는지를 감시하는 기기로서 마그네틱 센서, 동체 감시 센서 등과 같은 센서로 구현된다. 예를 들어, 댁내의 현관에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에서 도어에 실장되어 있는 자석의 이탈을 감지하는 경우 에 외부인이 댁내에 침입했다고 판정한다. 이러한 보안 기기(20)는 외부인의 댁내 침입을 감지하면 홈 게이트웨이(30)를 통하여 홈 관리 서버(40)로 접속하여 외부인의 침입 사실을 보고한다. 그에 따라, 홈 관리 서버(40)는 MMS 센터(70)(또는 SMS 센터)를 통하여 기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로 외부인의 침입 사실 및 화상 전화기(10)의 전화번호가 첨부되는 단문 메시지를 보내 주도록 요청한다.
상기 홈 관리 서버(40)는 각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홈 게이트웨이(30)와 통신을 하면서 각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홈 관리 서버(40)에는 각 댁내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의 전화번호 및 화상 전화기(10)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며, 보안 기기(20)로부터 침입 사실이 보고되면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로 외부인 침입 사실 및 화상 전화기(10)의 전화번호가 첨부된 단문 메시지가 보내지도록 한다.
상기 미디어 서버(60)는 화상 전화기(10)로부터 동영상 또는 사진을 수신받으면 해당 가입자의 정보에 매핑되게 동영상 또는 사진을 특정 URL로 DB(61)에 저장시킨다. 여기서, 미디어 서버(60)는 이동통신 단말기(80)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직접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MMS 센터(70)를 통하여 특정 URL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사진 전송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MS 센터(70)는 미디어 서버(60)로부터 특정 URL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사진 전송을 요청받으면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한다. 여기서, MMS 센터(70)는 이동통신 단말기(80)가 MMS 기능이 지원되는 단말기인 경우에는 푸쉬(push) 방식으로 특정 URL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사진을 메일 형태로 전송한다. 한편, MMS 센터(70)는 이동통신 단말기(80)가 MMS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기(예; 포토 단말기 등)인 경우에는 동영상 또는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 URL 정보를 콜백 메시지에 삽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8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80)에서는 콜백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여 해당 URL로 접속하여 동영상 또는 사진을 재생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이다.
먼저, 화상 전화기(10)에서 외출 모드가 설정된다(200). 여기서, 사용자는 외출 시에 화상 전화기(10)의 버튼 등을 눌러 외출 모드를 설정하거나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80) 또는 컴퓨터(도면에 미도시) 등을 통하여 홈 관리 서버(40)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댁내의 화상 전화기(10)를 외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에서 사용자가 화상 전화기(10)로 전화를 걸어 외출 모드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댁내의 보안 기기(20)에서 외부인의 침입이 감지되면(201), 상기 보안 기기(20)가 홈 게이트웨이(30)를 통하여 홈 관리 서버(40)로 외부인 침입 사실을 보고한다(202).
그러면, 상기 홈 관리 서버(40)는 위 보안 기기(20)가 속한 댁내의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80)의 전화번호 및 위 댁내의 화상 전화기(10)의 전화번호를 DB(도면에 미도시)를 통하여 확인한다(203).
그리고 나서, 상기 홈 관리 서버(40)가 외부인 침입 사실 및 화상 전화기(10)의 전화번호가 첨부된 단문 메시지(바람직하게는 전화번호가 삽입된 콜백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80)로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또는 SMS 센터)(70)에게 요청한다(204).
그러면, 상기 MMS 센터(70)가 외부인 침입 사실 및 화상 전화기(10)의 전화번호가 삽입된 콜백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80)로 전송한다(205).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80)에서는 콜백 메시지가 수신되며, 가입자는 자신의 댁내에 외부인이 침입된 사실을 인지하고서 화상 전화기(10)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게 된다.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80)가 이동통신 교환기, SIP 교환기 등을 통하여 SIP 시스템(50)으로 화상 전화기(10)로의 음성호 연결을 요청한다(206).
그러면, 상기 SIP 시스템(50)은 이동통신 단말기(80)의 음성호 연결 요청을 SIP에 적합하게 처리하여 화상 전화기(10)로 이동통신 단말기(80)로부터 화상호 연결 요청이 있음을 통보한다(207).
그에 따라, 상기 화상 전화기(10)에서는 외출 모드 설정에 따라 특정인의 수화기 드는 행위 없이도 SIP 시스템(50)으로 화상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준다(208). 여기서, 화상 전화기(10)에서는 화상호 연결 요청을 받는 경우에 공지의 SIP 호처리 절차에 따라 전화벨을 울려야 하지만 외출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외부인이 전화가 걸려온 것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전화벨을 울리지 않고서 응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SIP 시스템(50)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80)와 화상 전화기(10)간에 통화호가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전화기(10)는 비밀번호 입력 안내 멘트를 송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한다(209).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된다(210). 그러면, 상기 화상 전화기(10)에서는 입력된 비밀번호를 인증하여 인증 성공한 경우에 정상 가입자로 인지하여 카메라(11)를 구동시켜 댁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인코딩한다(211). 여기서, 화상 전화기(10)에서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의 기종, 사양에 적합하게 동영상 또는 사진을 인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화상 전화기(211)가 인코딩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미디어 서버(60)로 전송하여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로 보내주도록 요청한다(212).
그러면, 상기 미디어 서버(60)는 수신된 동영상 또는 사진을 특정 URL로 저장한다(213). 여기서, 미디어 서버(60)에서 화상 전화기(10)로부터 수신받은 동영상 또는 사진을 이동통신 단말기(80)의 기종, 사양에 적합하게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인코딩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미디어 서버(60)가 댁내의 동영상 또는 사진이 저장된 특정 URL을 콜백 메시지로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로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70)로 요청한다(214).
그러면, 상기 MMS 센터(70)가 댁내의 동영상 또는 사진이 저장된 특정 URL을 콜백 메시지에 삽입하여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로 전송한다(215).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80)에서는 콜백 메시지가 수신되며, 가입자는 자신의 댁내 동영상 또는 사진이 저장된 URL을 인지하고서 콜백 메시지에 응답하여 해당 URL로 접속하여 댁내 화상을 시청하게 된다(216).
다른 예로, MMS 센터(70)는 동영상 또는 사진을 받아 볼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80)의 기종, 사양 등을 판별하여 MMS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예; 포토 단말기 등)인 경우에 위와 같은 "215" 과정 및 "216" 과정을 거치지만, MMS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인 경우에는 콜백 메시지 형태가 아닌 푸쉬 방식으로 메일에 동영상 또는 사진을 첨부시켜 이동통신 단말기(80)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80)에서는 URL 접속을 하지 않고서도 동영상 또는 사진을 바로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즉 가입자가 외출 시에 댁내의 상황을 모니터링, 예를 들어 댁내의 어린 아이의 행동을 주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안 기기(20)는 반드시 구비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가입자는 외출 시에 화상 전화기(10)의 모드를 외출 모드로 설정해 두면 된다. 즉, 가입자는 화상 전화기(10)를 외출 모드로 설정해 두고서 외부에서 원격으로 댁내 상황을 확인하고 싶을 경우에 위 "206" 과정과 같이 화상 전화기(10)로 전화를 걸어서 이후 과정을 진행하면 된다. 여기서, 가입자는 화상 전화기(10)의 전화번호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의 예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에 카메라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화상 전화기 등과 같은 저렴한 기기로 댁내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가입자가 외출 시에 화상 전화기에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확인하거나 댁내의 상황, 예를 들어 어린 아이의 행동 등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각 댁내에 설치된 화상 전화기, 보안 기기 및 홈 게이트웨이(RG)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홈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홈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인의 댁내 침입이 감지되면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홈 관리 서버로 외부인 침입 사실을 보고하는 상기 보안 기기;
    외출 모드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성립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인증이 성공되면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화상 전화기;
    상기 보안 기기로부터 외부인 침입 사실이 보고되면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외부인 침입 사실 및 상기 화상 전화기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는 상기 홈 관리 서버;
    상기 화상 전화기로부터 동영상 또는 사진을 수신받으면 해당 동영상 또는 사진을 특정 URL로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 및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동영상 또는 사진 전송 요청을 받으면 단말기의 기종, 사양에 적합하게 동영상 또는 사진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MMS 센터
    를 포함하는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2. 각 댁내에 설치된 화상 전화기 및 홈 게이트웨이(RG)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홈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홈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외출 모드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성립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인증이 성공되면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화상 전화기;
    상기 화상 전화기로부터 동영상 또는 사진을 수신받으면 해당 동영상 또는 사진을 특정 URL로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 및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동영상 또는 사진 전송 요청을 받으면 단말기의 기종, 사양에 적합하게 동영상 또는 사진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MMS 센터
    를 포함하는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전화기는 외출 모드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성립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그에 따라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이 성공되면 카메라를 구동시켜 실시간으로 댁내 상황을 촬영하여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MS 센터는 미디어 서버로부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영상 또는 사진 전송 요청을 받으면 단말기의 기종, 사양을 판별하여, MMS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이면 동영상 URL 또는 사진 URL이 삽입된 콜백 메시지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MMS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이면 메일에 동영상 또는 사진을 첨부시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5. 각 댁내에 설치된 화상 전화기가 외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보안 기기에서 외부인 댁내 침입이 감지되면 홈 관리 서버로 외부인 댁내 침입 사실을 보고하는 제 1 단계;
    상기 홈 관리 서버에서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외부인 침입 사실 및 상기 화상 전화기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 는 제 2 단계;
    상기 MMS 센터에서 외부인 침입 사실 및 상기 화상 전화기 전화번호가 삽입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화상 전화기간의 통화호가 성립되면 상기 화상 전화기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가입자 인증이 성공되면 상기 화상 전화기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 5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에서 동영상 또는 사진을 특정 URL로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MMS 센터에서 단말기의 기종, 사양에 적합하게 동영상 또는 사진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방법.
  6. 각 댁내에 설치된 화상 전화기가 외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화상 전화기간의 통화호가 성립되면 상기 화상 전화기에서 상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가입자 인증이 성공되면 상기 화상 전화기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동영상 또는 사진을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에서 동영상 또는 사진을 특정 URL로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해 주도록 MMS 센터에 요청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MMS 센터에서 단말기의 기종, 사양에 적합하게 동영상 또는 사진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방법.
KR1020050017256A 2005-03-02 2005-03-02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KR100647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256A KR100647819B1 (ko) 2005-03-02 2005-03-02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256A KR100647819B1 (ko) 2005-03-02 2005-03-02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02A true KR20060096602A (ko) 2006-09-13
KR100647819B1 KR100647819B1 (ko) 2006-11-23

Family

ID=3762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256A KR100647819B1 (ko) 2005-03-02 2005-03-02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8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07B1 (ko) * 2006-09-08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응급 시 화상통화의 자동연결 방법
KR100883935B1 (ko) * 2007-08-02 2009-02-18 (주)제너시스템즈 근거리 호 라우팅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52775A1 (en) * 2012-08-14 2014-02-20 Kt Corporation Forwarding information to designated user terminal
US9491567B2 (en) 2013-03-05 2016-11-08 Kt Corporation Providing M2M data to unregistered terminal
WO2018070768A1 (ko) * 2016-10-11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링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291712B2 (en) 2013-02-26 2019-05-14 Kt Corporation Sharing control right of M2M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216B1 (ko) * 1999-12-22 2002-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경비 서비스 시스템
KR100394834B1 (ko) * 2000-12-16 2003-08-19 박찬준 영상 수신 및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원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
KR20010079026A (ko) * 2001-06-07 2001-08-22 정연백 웹사이트를 중간 매개체로 한 동영상 정보를 송수신하는방법
KR20020096486A (ko) * 2001-06-20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전화기를 이용한 원격감시 장치 및 방법
KR20030004857A (ko) * 2001-07-06 2003-01-15 이화용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방문자 확인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7772B1 (ko) * 2004-03-19 2006-09-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웹서버를 이용한 감시 장치의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07B1 (ko) * 2006-09-08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응급 시 화상통화의 자동연결 방법
US8036631B2 (en) 2006-09-08 2011-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video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stations during an emergency
KR100883935B1 (ko) * 2007-08-02 2009-02-18 (주)제너시스템즈 근거리 호 라우팅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52775A1 (en) * 2012-08-14 2014-02-20 Kt Corporation Forwarding information to designated user terminal
US9801049B2 (en) 2012-08-14 2017-10-24 K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ly forwarding monitored information of machine-to-machine devices by a subscriber's registered terminals to a designated user terminal
US10291712B2 (en) 2013-02-26 2019-05-14 Kt Corporation Sharing control right of M2M device
US9491567B2 (en) 2013-03-05 2016-11-08 Kt Corporation Providing M2M data to unregistered terminal
WO2018070768A1 (ko) * 2016-10-11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링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012814B2 (en) 2016-10-11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819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8052B2 (en) Multimedia emergency services
CN100484240C (zh) 网络终端化门铃系统和方法
US20080092610A1 (en) Protective lock structure
JP2002125059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および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転送方法
WO20060677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a cellular network
KR100647819B1 (ko)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00422B1 (ko) 통화 단말과 다른 단말로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감시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7274177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1339521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040448B1 (ko) 부재중 방문자 응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997142A (zh) 一种可视电话及实现安全监控的方法和系统
JP5281505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4965771B2 (ja) 集合住宅用通信システム
JP4044824B2 (ja)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KR20020013646A (ko) 인터넷 초인종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5032294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通話路確立方法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ならびに転送装置
CN107404591B (zh) 智能门铃监控方法和装置
JP200816047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131904B1 (ko)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KR10216537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1039434B1 (ko) 계정차용에 의한 통화 장치 및 방법
KR20090116148A (ko) 자동발수신이 가능한 아이피기반의 에스아이피 카메라폰
KR100437287B1 (ko) 영상 전화기 및 일반 모뎀에 접속되는 원격 감시카메라의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6906B1 (ko) 화상 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출입문 원격 감시 서비스 방법
JP2001076273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