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904B1 -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 Google Patents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904B1
KR101131904B1 KR1020090036033A KR20090036033A KR101131904B1 KR 101131904 B1 KR101131904 B1 KR 101131904B1 KR 1020090036033 A KR1020090036033 A KR 1020090036033A KR 20090036033 A KR20090036033 A KR 20090036033A KR 101131904 B1 KR101131904 B1 KR 101131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ip
video
hom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341A (ko
Inventor
배형호
김종희
김중배
김성국
송창호
이영모
노민호
박명근
김준기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네트웍스
세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네트웍스, 세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90036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90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인 침입시 댁내의 보안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영상 및 음성을 원격지의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은 VoIP기반의 댁내의 외부인 침입을 감지하고 음성 및 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보안카메라와; 상기 보안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IP망 및 상기 IP망과 통신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화상전화기에 상기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무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댁내의 외부인 침입시 보안카메라의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서 이미지장치를 온(ON)시켜 댁내의 현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미디어서버에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상황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고, 보다 안전하게 댁내의 안전 및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VoIP, 센서, 경보, 방범, 카메라

Description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REAL TIME SECURITY SYSTEM USING VoIP}
본 발명은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인 침입시 댁내의 보안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영상 및 음성을 원격지의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종래 유선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나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던 통화서비스가 인터넷망과 같은 IP(Internet Protocol) 망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 시스템은 공용망인 인터넷망을 통해 양방향 음성 서비스를 가입자들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나 개인정보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각종 사용자 단말이 IP 망에 연결되어 서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현재 VoIP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발표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에서 제정한 H.323 등이 있다.
여기서, SIP는 영상이나 음성 등의 통신을 위한 세션이나 호의 설정과 종료 등을 수행하는 텍스트 기반의 응용계층 제어 프로토콜로서, 원격 회의, 전화, 면회, 인스턴트 메시징 등 각종 응용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최근 댁내의 각종 전자기기 및 가사를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치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는 외출 중 전자기기의 컨트롤뿐만 아니라 댁내에 외부인의 침입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단문메시지를 보내어 댁내에 외부인이 침입한 사실을 경고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는 댁내에 침입한 외부인의 신상, 즉 외부인의 인상 착의, 외부인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서 알 수 없으며, 단지 댁내의 외부인이 침입했다는 사실만을 인지하고서 관리사무실에 전화를 걸어 조치를 취해 주도록 요구하거나 댁으로 조속히 귀가하여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따라서 가정내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가입자가 외출 시에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외부인의 침입을 확인하거나 댁내의 상황에 대하여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 및 음성을 전송할 수 있는 VoIP가 적용된 보안카메라를 이용하여 댁내에 외부인 침입감지시, 댁내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실시간 방범 시스템 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은 VoIP기반의 댁내의 외부인 침입을 감지하고 음성 및 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보안카메라와; 상기 보안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IP망 및 상기 IP망과 통신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화상전화기에 상기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무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안카메라는, 상기 외부인의 침입을 감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외부인 감지시 댁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장치와; 상기 댁내의 침입감지시 음성을 획득 및 출력하기 위한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댁내의 침입감지시 발신하기 위한 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침입감지시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발신하여 상기 음성 및 영상을 전송하는 VoIP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센서, 위치감지센서, 열감지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안카메라는, 상기 외부인의 침입시 경보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부와; 상기 IP망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이미지장치에서 획득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야간시 상기 이미지장치가 선명한 영상 촬영하기 위한 적외선LED와; 상기 보안카메라에 기본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유무선망과 연결되어 DTMF신호를 해석할 수 있는 DTMF디코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P망은, 상기 보안카메라의 VoIP모듈을 통해 전송된 영상 및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IP-SCX와; 상기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미디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은 댁내의 외부인 침입시 보안카메라의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서 이미지장치를 온(ON)시켜 댁내의 현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미디어서버에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상황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고, 보다 안전하게 댁내의 안전 및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은 VoIP기반의 댁내의 외부인 침입을 감지하고 음성 및 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보안카메라(110)와, 보안카메라(11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IP망(120) 및 IP망(120)과 통신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화 상전화기(140)에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무선망(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안카메라(110)는 VoIP 영상 전화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 외부인 침입감지시 사용자에게 호출을 해줄 뿐만 아니라 보안카메라(110)에 부여된 전화번호(예 : 070으로 부여된 인터넷 전화번호)로 사용자가 직접 전화를 걸어 댁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안카메라(110)는 외부인의 침입을 감시하는 센서부(220)와, 센서부(220)의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210)와, 센서부(220)에서 외부인 감지시 댁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장치(230)와, 댁내의 침입감지시 음성을 획득 및 출력하기 위한 음성입출력부(240)와, 댁내의 침입감지시 발신하기 위한 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부(250) 및 침입감지시 제어부(210)의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발신하여 상기 음성 및 영상을 전송하는 VoIP모듈(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보안카메라(110)는 외부인의 침입시 경보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부(280)와, IP망(120)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90)와, 이미지장치(230)에서 획득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00)와, 야간시 이미지장치(230)의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적외선 발광소자(330)와, 보안카메라(110)에 기본 설정을 하기 위한 입력부(320) 및 유무선망(130)과 연결되어 DTMF신호를 해석할 수 있는 DTMF디코더(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부(220)는 외부인 침입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보안카메라(110) 의 일 영역에 구비된다. 여기서, 센서부(220)는 댁내에 외부인 침입시 이를 감지한 후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이때, 센서부(220)는 모션센서, 위치감지센서, 열감지센서, 초음파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댁내에서 외부인 침입에 대한 센서부(22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한다. 여기서, 제어부(210)는 보안카메라(110)를 제어하고, 센서부(220)의 감지신호에 따라 이미지장치(230)가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이미지장치(230)는 댁내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이미지장치(230)는 센서부(220)에서 외부인 침입 감지 후 발생시킨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210)에서 지시한 제어신호에 따라 댁내에서 취득한 영상을 도시되지 않은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IP망(120)의 미디어서버(150)에 공급한다. 이때, 이미지장치(230)는 어두운 공간에서도 선명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적외선 발광소자(330)를 구비한다.
적외선 발광소자(330)는 이미지장치(230)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LED를 이용하여 촬영영역에 균일한 적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음성입출력부(240)는 댁내의 침입 감지 후 구동되는 이미지장치(230)의 영상과 함께 음성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음성입출력부(240)는 사용자가 보안카메라(110)에 전화를 걸어 사용자의 음성이 침입자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음성입출력부(240)는 수집된 음성을 제어부(210)에 공급하여 이미지장치(230)에서 수집된 영상과 함께 IP망(120)의 미디어서버(150)에 제공한다. 이 때, 음성입출력부(240)는 흔히 이용되는 마이크와 스피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250)는 보안카메라(110)의 설정 및 전화번호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메모리부(250)는 보안카메라(110)의 기본적인 설정(보안카메라(110)의 전화번호, IP, 이름 등)과 외부인 침입시 발신하고자하는 발신전화번호를 제어부(210)에 공급한다.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디코더(270)는 제어부(210)에서 DTMF신호를 해석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DTMF디코더(270)는 사용자가 일반전화기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유무선망을 통해 접속할 경우 DTMF신호를 해석하여 제어부(210)에 공급한다.
경보부(280)는 외부인 침입감지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경보부(280)는 외부인의 침입 발생 후 댁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비상버튼이 눌러지거나 센서부(220)에서 제어부(210)에 감지신호 전달시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발신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댁내의 비상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인터페이스부(290)는 보안카메라(110)와 IP망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인터페이스부(290)는 RJ-45 포트, RJ-19 포트, RJ-xx 포트 등과 같은 네트워크와 연결가능한 통신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300)는 입력부(320)를 통해 보안카메라(110)에 설정하기 위한 기본값 설정시 또는 이미지장치(23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출력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표시부(300)는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Panel), 전계방출 표시패 널(Field Emission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sy Panel), 발광 표시패널(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자종이(e-paper) 및 터치 패널 등이 있다.
입력부(320)는 보안카메라(110)에 명령 및 설정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입력부(320)는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VoIP모듈(260)은 보안카메라(110)의 인터페이스부(290)와 연결된 IP망(120) 즉, VoIP망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VoIP모듈(260)은 이미지장치(230) 및 음성입출력부(240)를 통해 얻어진 음성 및 영상을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망(120)에 전송한다.
IP망(120)은 보안카메라(110)의 VoIP모듈(260)을 통해 전송된 영상 및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IP-SCX(160)와,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미디어서버(150)를 포함한다.
IP-SCX(160)는 호처리 및 라우팅하기 위한 제 1 소프트 스위치(Soft-Switch)(제1SSW)(170)와 IP기반의 구내 교환 시스템인 센트렉스(Centrex)(1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센트렉스(180)는 VoIP서비스를 제공하려는 통신사들이 기업고객 등 고객사에 별도의 교환기를 설치하지 않고 중앙에서 관련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IP기반의 구내교환시스템이다.
제 1 소프트 스위치(제1SSW)(170)는 보안카메라(110)의 신호를 수신하고, 보안카메라(110)와 IP망(120) 간의 호 설정을 중계한다. 여기서, 호 설정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SIP프로토콜이며, 이때, 소프트 스위치는 서로 다른 망의 인터페이스를 통합시켜 IP기반의 통합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는 장비 C4(Class-4)급의 교환기가 제공하는 서비스로, 망 관리, 호 제어/처리, 과금통계 SSS7의 신호처리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VoIP의 메인 시스템으로 멀티 프로토콜을 지원하므로 이러한 호 설정 중계가 가능한 것이다.
미디어서버(150)는 보안카메라(1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미디어서버(150)는 제 1 소프트 스위치(제1SSW)(170)에서 처리되어 전송된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한다. 그리고, 미디어서버(150)는 사용자가 화상전화기(150)를 통해 저장된 영상 및 음성 요청시 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미디어서버(150)는 자동 안내방송(ARS:Automated Response System), 링고(Ringo)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유/무선망(130)은 IP망(120)의 음성 및 화상을 사용자의 화상전화기(140)에서 통해 확인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유/무선망(130)은 IP망(120)의 제 1 소프트 스위치(제1SSW)(170)와 같이 화상전화기 및 3G 단말기의 호 설정 중계 및 SIP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한 제 2 소프트 스위치(제2SSW)(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화상전화기(140)는 음성과 화상이 출력되는 3G 단말기, 화상 전화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은 댁내의 외부인 침입시 보안카메라의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서 이미지장치를 온(ON)시켜 댁내의 현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미디어서버에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상황에 대 하여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고, 보다 안전하게 댁내의 안전 및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카메라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보안카메라 120 : IP망
130 : 유/무선망 140 : 화상전화기
150 : 미디어서버 160 : IP-SCX
170 : 제1SSW 180 : 센트렉스(Centrex)
190 : 제2SSW 210 : 제어부
220 : 센서부 230 : 이미지장치
240 : 음성입출력부 250 : 메모리부
260 : VoIP모듈 270 : DTMF디코더
280 : 경보부 290 : 인터페이스부
300 : 표시부 320 : 입력부
330 : 적외선 발광소자

Claims (5)

  1. 삭제
  2. VoIP기반의 댁내의 외부인 침입을 감지하고 음성 및 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보안카메라와, 상기 보안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IP망과, 상기 IP망과 통신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화상전화기에 상기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무선망을 포함하되,
    상기 보안카메라는,
    상기 외부인의 침입을 감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외부인 감지시 댁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장치와;
    상기 댁내의 침입감지시 음성을 획득 및 출력하기 위한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댁내의 침입감지시 발신하기 위한 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침입감지시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발신하여 상기 음성 및 영상을 전송하는 VoIP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센서, 위치감지센서, 열감지센서, 초음파센서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안카메라는,
    상기 외부인의 침입시 경보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부와;
    상기 IP망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이미지장치에서 획득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야간시 상기 이미지장치가 선명한 영상 촬영하기 위한 적외선LED와;
    상기 보안카메라에 기본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유무선망과 연결되어 DTMF신호를 해석할 수 있는 DTMF디코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IP망은,
    상기 보안카메라의 VoIP모듈을 통해 전송된 영상 및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IP-SCX와;
    상기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미디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KR1020090036033A 2009-04-24 2009-04-24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KR101131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33A KR101131904B1 (ko) 2009-04-24 2009-04-24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33A KR101131904B1 (ko) 2009-04-24 2009-04-24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341A KR20100117341A (ko) 2010-11-03
KR101131904B1 true KR101131904B1 (ko) 2012-05-09

Family

ID=4340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033A KR101131904B1 (ko) 2009-04-24 2009-04-24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654B1 (ko) * 2012-12-05 2013-06-27 주식회사 시큐인포 아이피 카메라가 부착된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473A (ko) * 2000-07-14 2002-01-05 정해욱 인터넷을 이용한 안전 경비 시스템
KR20020079266A (ko) * 2001-04-14 2002-10-19 (주)크립토텔레콤 네트워크 상에서의 영상 모니터링 및 홈 오토메이션 장치및 방법
KR20030078272A (ko) * 2002-03-29 2003-10-08 아이넷쿨닷컴(주) 디지틀 비디오 레코더와 보이스 오버 아이피 텔레포니모듈을 이용한 방범정보 시스템
KR20050005139A (ko) * 2003-07-03 2005-01-13 (주)아이커머테크놀러지 양방향통신 시큐리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473A (ko) * 2000-07-14 2002-01-05 정해욱 인터넷을 이용한 안전 경비 시스템
KR20020079266A (ko) * 2001-04-14 2002-10-19 (주)크립토텔레콤 네트워크 상에서의 영상 모니터링 및 홈 오토메이션 장치및 방법
KR20030078272A (ko) * 2002-03-29 2003-10-08 아이넷쿨닷컴(주) 디지틀 비디오 레코더와 보이스 오버 아이피 텔레포니모듈을 이용한 방범정보 시스템
KR20050005139A (ko) * 2003-07-03 2005-01-13 (주)아이커머테크놀러지 양방향통신 시큐리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654B1 (ko) * 2012-12-05 2013-06-27 주식회사 시큐인포 아이피 카메라가 부착된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341A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99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itor reception service in absence
KR100624690B1 (ko) 화상 통신 망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7274177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5228551B2 (ja) ドアインターフォン装置とip型携帯電話との連携方式
CN1997142A (zh) 一种可视电话及实现安全监控的方法和系统
KR100647819B1 (ko)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CN101291413A (zh) 可视通信系统及其主装置
JP4965771B2 (ja) 集合住宅用通信システム
JP5281505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131904B1 (ko) VoIP를 이용한 실시간 방범 시스템
JP2014229915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5302023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3134268A (ja) 構内通信システム
JP4871825B2 (ja) 遠隔地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491717B2 (ja) 留守監視装置
KR20070010635A (ko) 아이피 기반의 구내 교환기를 이용한 광고 및 보안 감시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5775999B2 (ja) ネットワーク対応型の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5032294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通話路確立方法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ならびに転送装置
JP2009117916A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816047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7067639A (ja) VoIP電話システム、VoIP電話装置及びサーバ
JP2004072441A (ja) 画像表示機能付きipカメラ電話機
JP2003032375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10119057A (ko)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 가능한 제어 유닛을 구비한 이동로봇 및 이를 활용한 홈 케어링 시스템
KR200362050Y1 (ko) 네트워크 카메라 서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