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795A -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795A
KR20060093795A KR1020050014541A KR20050014541A KR20060093795A KR 20060093795 A KR20060093795 A KR 20060093795A KR 1020050014541 A KR1020050014541 A KR 1020050014541A KR 20050014541 A KR20050014541 A KR 20050014541A KR 20060093795 A KR20060093795 A KR 20060093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iece
fabric
roller
du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6808B1 (ko
Inventor
차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50014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8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7Combined feeding and 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편공급부(a2)로부터 철편(100)을 공급받아 길이방향으로 절곡시켜서 단면이 대략 "U"자형이 되도록 하는 철편가공부(a)와; 원단공급부(b2)로부터 원단(200)을 공급받아 길이방향으로 접어주는 원단가공부(b)와; 보강사(補强絲)(600)를 상기 원단가공부(b)를 통과한 접힌 원단(204)에 길이방향으로 개재시키는 보강사 공급부(c)와; 상기 철편가공부(a)를 통과한 "U"자형 철편(104)의 상부에 접힌 원단(204)를 얹고 그 상부에 보강사(600)를 얹은 후 상기 보강사(600)와 접힌 원단(204)을 가압하여 "U"자형 철편(104)의 내측으로 밀어넣는 가이드레일(d)과; 상기 가이드레일(d)을 통과한 "U"자형 철편(104)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압착시키는 압착장치(f)와; 상기 압착장치(f)를 통과한 "U"자형 철편(104)을 연속적으로 권회시켜서 나선형 관체가 되도록 유도하는 헤드부(g)와; 상기 헤드부(g)를 통해서 완성된 덕트를 수납하는 거치대(h2)가 구비된 이송부(h);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접이식, 덕트, 주름관, 원단, 철편, 압착, 보강

Description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accordion duct manufactu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철편공급부에 대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서 교정가이드에 대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서 코너링장치에 대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서 밴딩장치에 대한 도면.
도 8은, 도 7a 및 도 7b의 밴딩장치의 작동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에서 폴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0a와 도 10b 및 10c는, 도 1에서 가이드레일에 대한 도면.
도 11은, 도 1에서 압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대한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 대한 측면도.
도 14는, 도 11에 대한 정면도.
도 15a 내지 15c는, 도 11에서 가압기에 의한 압착동작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에서 헤드부에 대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철편가공부 b : 원단가공부
c : 보강사 공급부 d : 가이드 레일
f : 압착장치 g : 헤드부
h : 이송부 100: 철편
200 : 원단 600 : 보강사
본 발명은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을 철편에 결합시켜서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하여 절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송기 및 환기를 위해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덕트가 설치되는데, 대개 함석판을 가공하여 직선형의 관체로 제작된다.
그런데, 이렇게 관체로 된 종래 덕트는 절첩성과 유연성이 없고 부피가 커서 제작 및 운반은 물론 시공작업도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접이식(자바라 형태)으로 만든 덕트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나선형으로 성형된 철편에 부직포 및 알루미늄의 원단을 접착시켜서 나선형의 주름관 형태로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는 덕트는 접착제에서 유해물질이 발생되므로, 작업환경이 오염되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도차가 심한 지역에서 자주 접었다 폈다하게 되면 상기 철편과 원단의 접착부위가 쉽게 떨어지게 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원단과 철편을 접착시키지 않고, 철편을 접어서 원단과 함께 압착시킴으로써 보다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접이식 덕트를 제작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단과 철편을 압착에 의해 결합시켜서 나선형의 주름관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한 접이식 덕트를 제조할 수 있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편이 권회된 릴로 구성된 철편공급부와, 상기 철편공급부로부터 유입된 철편에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도포장치와, 상기 오일도포장치를 통과한 철편의 수평을 교정하는 교정가이드와, 상기 교정가이드를 통과한 철편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코너링장치와, 상기 코너링장치를 통과한 철편을 절곡시키는 밴딩장치로 구성된 철편가 공부와; 원단이 권회된 릴로 구성된 원단공급부와, 상기 원단공급부로부터 이동되는 원단을 접어주어서 공급하는 폴딩장치와, 상기 폴딩장치를 통과한 원단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롤러를 갖는 가이드장치로 구성된 원단가공부와; 보강사(補强絲)가 권회된 릴로 구성된 보강사 공급부와; 상기 가이드장치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안내하는 원단이송롤러와, 상기 밴딩장치로부터 공급된 철편을 안내하는 서포터와, 상기 보강사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보강사를 안내하는 핑거로 구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통과한 원단의 수평상태를 교정하면서 이송시키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밴딩장치를 통과한 철편을 상기 원단과 함께 압착하는 가압기로 구성된 압착장치와; 상기 가압기를 통과하여 원단과 보강사가 결합된 철편을 일정한 직경으로 권회시킴으로써 연속적인 나선형 관체가 되도록 유도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통해서 완성된 덕트를 수납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철편공급부에 대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서 교정가이드에 대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서 코너링장치에 대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서 밴딩장치에 대한 도면, 도 8은 도 7a 및 도 7b의 밴딩장치의 작동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에서 폴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에서 가이드레일에 대한 도면, 도 11은 도 1에서 압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대한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 대한 측면도, 도 14는 도 11에 대한 정면도, 도 15a 내지 15c는 도 11에서 가압기에 의한 압착동작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에서 헤드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철편가공부(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철편(100)이 권회된 릴로 구성된 철편공급부(a2)와; 상기 철편공급부(a2)로부터 유입된 철편(100)에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도포장치(a4)와; 상기 오일도포장치(a4)를 통과한 철편(100)의 수평을 교정하는 교정가이드(a6)와; 상기 교정가이드(a6)를 통과한 철편(100)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코너링장치(a8)와; 상기 코너링장치(a8)를 통과한 철편(100)을 절곡시키는 밴딩장치(a9);로 구성된다.
상기 철편공급부(a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5 mm, 두께가 0.5t의 철편(100)을 권회시키는 회동축(a222)에 두장의 원판(a220)이 설치되어 구성된 릴(a22)과, 상기 릴(a2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판(300)과, 상기 릴(a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조임장치(a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장치(a24)는 회동축(a22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판(300)에 지지되는 고정링(a240)과, 상기 릴(a22)의 회동축(a222)의 타측에 나사결합된 복수개의 핸들(a242)과, 상기 핸들(a242)의 일측에 지지되게 하여 상기 릴(a22)의 회동축(a222)에 끼움결합된 코일스프링(a244)과, 상기 회동축(a222)의 단부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a244)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a24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릴(a22)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핸들 (a24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코일스프링(a244)의 장력이 느슨해지면서 상기 회동축(a222)이 전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고정링(a240)과 거치판(300)의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상기 릴(a22)이 더욱 빨리 회동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릴(a22)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핸들(a24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코일스프링(a244)의 장력이 증가되면서 상기 회동축(a222)이 후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고정링(a240)과 거치판(300)의 마찰력이 증가되므로 상기 릴(a22)의 회전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회전속도의 조절에 의해 공급되는 철편의 텐션조절이 가능하므로, 적정하게 당겨진 상태로 철편이 공급될 수 있어 후술하는 밴딩과정에서 접힌 상태가 불량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일도포장치(a4)는, 오일이 담긴 오일통(a42)이 내재된 몸체(a40)와, 상기 오일통(a42)에 일부가 잠기도록 설치된 하부롤러(a43)와, 이 하부롤러(a43)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롤러(a44)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부 및 상부롤러(a43)(a44) 사이로 철편(100)이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저면에 오일이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도 1참조).
상기 교정가이드(a6)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편공급부(a2)로부터 유입된 철편(100)을 평평하게 펼쳐주기 위한 것으로, 내측에 공간부(a600)를 갖는 본체(a60)와, 외주면에 홈(a620)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a6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롤러(a62)와, 상기 홈(a620)에 대응되는 돌출부(a642)가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롤러(a6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소정 길이의 축봉(a660)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a60) 내에 승강이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체(a66)와, 상기 본체(a60)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축봉(a660)에 나사결합되는 캡(a672)과 그 일측에 부착된 핸들(a674)로 구성된 높이조절장치(a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홈(a620)은 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시키며, 그 폭은 철편(100)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출부(a642)는 상기 홈(a62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하부롤러(a62)와 상부롤러(a64)가 외접하였을때 상기 홈(a620)의 내측에 인입된 철편(100)을 상기 돌출부(a642)가 압지해줌으로써 이를 평평하게 펴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장치(a67)의 핸들(a67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축봉(a660)이 상승하게 되어 고정체(a66)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하부롤러(a62)와 상부롤러(a64)가 이격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핸들(a674)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하부롤러(a62)와 상부롤러(a64)가 외접하게 된다.
상기 코너링장치(a8)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편(100)의 모서리에 잔존하는 찌꺼기(burr)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철편(100)의 두께에 해당되는 높이를 가지며 내측 모서리에 만곡부(a88)를 갖는 요홈(a84)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1판형롤러(a814)와, 상기 제1판형롤러(a814)가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편(a812)을 고정시킨 제1기대(a81)와,
상기 제1판형롤러(a814)와 동일한 형상이되 이와 외접하도록 설치된 제2판형롤러(a824)와, 상기 제2판형롤러(a824)가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구비된 핸들(a826)에 의해 전후진이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편(a822)과, 상기 가동편(a822)이 슬라이드되게 결합되는 제2기대(a82)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기대(a81,a82)는 제1 및 제2판형롤러(a814,a824)가 외접하도록 대향되게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 및 제2판형롤러(a814,a824)의 요홈(a84,a86)의 간격은 철편(100)의 폭과 일치되게 함으로써 철편(100)이 상기 요홈(a84,a86)을 통과하면서 상기 만곡부(a88)의 가압에 의해 철편(100)에 붙어있던 찌꺼기(burr)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밴딩장치(a9)는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링장치(a8)를 통과하여 모서리가 가공된 철편(100)을 접어서 그 단면이 대략 " U "자 형상을 이루도록 가공하는 장치로서, 상기 코너링장치(a8)를 통과한 철편(100)을 평평하게 펼쳐주는 제1밴딩기(a91)와, 상기 제1밴딩기(a91)를 통과한 철편(100)을 끼인각이 90°를 이루도록 접어주는 제2밴딩기(a92)와, 상기 제2밴딩기(a92)를 통과한 철편(100)을 끼인각이 60°를 이루도록 접어주는 제3밴딩기(a93)와, 상기 제3밴딩기(a93)를 통과한 철편(100)을 더 접어서 그 단면이 대략 " U "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제4밴딩기(a94)와, 상기 제3밴딩기(a93)를 통과한 "U"자형 철편(100)을 유출시키면서 그 길이를 측정하는 엔코더(a952)가 부착된 제5밴딩기(a95)와, 상기 제 1 내지 제4밴딩기(a91~a94)의 구동기어(a924)와 치차결합된 구동모터(a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5밴딩기(a91~a95)는 전술한 교정가이드(a6)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공간부(a900)를 갖는 본체(a901)와, 외주면에 홈(a903)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a90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롤러(a902)와, 상기 홈(a903)에 대응되는 돌출부(a905)가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롤러(a90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소정 길이의 축봉(a910)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a901) 내에 승강이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체(a906)와, 본체(a901)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축봉(a910)에 나사결합되는 캡(a907)과 그 일측에 부착된 핸들(a908)로 구성된 높이조절장치(a9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제2밴딩기(a92)의 상부롤러(a904)의 돌출부(a905)는 각도(θ1)가 90°를 갖는 것이며, 제3밴딩기(a93)의 상부롤러(a904)의 돌출부(a905)는 각도(θ2)가 60°를 갖는 것이고, 제4밴딩기(a94)의 상부롤러(a904)의 돌출부(a905)는 그 단면이 "U"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롤러(a902)의 축상에 구동기어(a924)를 설치하고, 이 구동기어(a924)에 종동기어(a922)가 치차결합되며, 상기 종동기어(a922)는 구동모터(a90)의 스프라킷(a920)과 치차결합되어 구성된 구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롤러(a902)가 회동됨에 따라 철편(100)이 연속적으로 인입되면서 가공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밴딩기(a91~a94) 중 어느 하나의 구동기어를 상기 종동기어(a922)와 치차결합시키고, 나머지의 구동기어를 치차결합시키면 상기 4개의 밴딩기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밴딩기(a95)는, 하부롤러(a902)의 축에 설치된 엔코더(a952)에 의해 "U"자형 철판(104)의 이동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굳이 제1 내지 제4밴딩기(a91~a94)와 치차결합시킬 필요없이 아이들링(idling)되도록 한다.
상기 원단가공부(b)는, 원단(200)이 권회된 릴(b22)로 구성된 원단공급부(b2)와; 상기 원단공급부(b2)로부터 이동되는 원단(200)을 접어주어서 공급하는 폴딩장치(b4)와; 상기 폴딩장치(b4)를 통과한 원단(200)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장치(b6);로 구성된다.
상기 원단공급부(b2)는, 폭이 44 mm인 부직포 원단(200)을 권회시킨 것으로, 전술한 철편공급부(a2)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부호를 상이하게 부여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200)이 권회되는 회동축(b222)에 두장의 원판(b220)이 설치되어 구성된 릴(b22)과, 상기 릴(b2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판(300)과, 상기 릴(b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조임장치(b24)로 구성되며, 상기 조임장치(b24)는 회동축(b22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판(300)에 지지되는 고정링(b240)과, 상기 회동축(b222)의 타측에 나사결합된 복수개의 핸들(b242)과, 상기 핸들(b242)의 일측에 지지되게 하여 상기 회동축(b222)에 끼움결합된 코 일스프링(b244)과, 상기 회동축(b222)의 단부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b244)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b246)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회전속도의 조절에 의해 공급되는 원단(200)의 텐션조절이 가능하므로, 적정하게 당겨진 상태로 원단(200)이 공급될 수 있어 후술하는 폴딩장치(b4)를 통과할 때 접힌 상태가 불량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딩장치(b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단공급부(b2)로부터 공급된 원단(200)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롤러(b42)와, 원단(200)의 중간부위를 외측으로 밀어주어서 약간만 접어질 수 있도록 단면이 "∧" 형상의 돌출부(b430)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반롤러(b43)와, 평면이 "∧"자 형상의 복수개의 탄성편(b440)을 대향설치하고, 그 사이로 상기 원반롤러(b43)를 통과한 원단(200)이 지나도록 하여 완전히 절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폴딩부재(b44)와, 상기 폴딩부재(b44)를 통과하면서 접힌 원단(204)을 재차 눌러주는 접지롤러(b45)와, 상기 접지롤러(b45)를 통과한 접힌 원단(204)을 걸어주어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한 가이드봉(b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사(補强絲)(600)는, "U"자형 철편(104)과 접힌 원단(204)을 압착시켜서 결합시켰을때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U"자형 철편(104)과 접힌 원단(204)이 분리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U"자형 철편(104) 내에 접힌 원단(204)과 함께 인입되어 압착시킴으로써 "U"자형 철편(104) 내에 접힌 원단(204)의 결합력이 증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실(絲)(이하 보강사라 함)을 사용하였으나 그 재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보강사 공급부(c)는 전술한 철편공급부(a2) 및 원단공급부(b2)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식별이 용이하도록 부호를 상이하게 부여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사(600)가 권회되는 회동축(c222)에 두장의 원판(c220)이 설치되어 구성된 릴(c22)과, 상기 릴(c2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판(300)과, 상기 릴(c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조임장치(c24)로 구성되며, 상기 조임장치(c24)는 회동축(c22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판(300)에 지지되는 고정링(c240)과, 상기 회동축(c222)의 타측에 나사결합된 복수개의 핸들(c242)과, 상기 핸들(c242)의 일측에 지지되게 하여 상기 회동축(c222)에 끼움결합된 코일스프링(c244)과, 상기 회동축(c222)의 단부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c244)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c246)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회전속도의 조절에 의해 공급되는 보강사(600)의 텐션조절이 가능하므로, 적정하게 당겨진 상태로 보강사(600)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d)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딩장치(a9)를 통과한 "U"자형 철편(104)이 삽입되는 이송홈(d20)이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작업대(500)에 수직으로 설치된 장방형의 서포터(d2)와; 상기 서포터(d2)의 일측에 평행 으로 설치되는 레일(d4)과; 단면이 대략 "ㄱ"자 형상이며, 수평부(d62)의 끝단에는 상기 이송홈(d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롤러(d622)가 구비되고, 수직부(d64)의 끝단에는 상기 레일(d4)에 결합되는 홈볼트(d64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레일(d4)을 타고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편(d6)과; 외주면에 상기 폴딩장치(b4)를 통과한 원단(200)이 지지되도록 외주면에 요홈(d80)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편(d7)의 전방에 설치된 원단이송롤러(d8)와; 전단에 고정되며, 상기 보강사 공급부(c)로부터 유입된 보강사(600)를 "U"자형 철편(104) 내로 균일하게 공급하면서 압지시키는 핑거(d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d2)의 이송홈(d20)은 단면이 "U"자형으로 절곡된 철편(104)이 수용될 수 있도록 "U"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편(d7)의 수평부(d62)에 구비된 롤러(d622)는 상기 이송홈(d20)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이송홈(d20)을 따라 이동되는 "U"자형 철편(104)을 눌러주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해주게 된다(도 10c 참조).
상기 핑거(d9)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장공(d930)이 형성된 몸체(d93)와, 상기 몸체(d93)의 일단부에는 내측에 관통홀(d90)을 가지며, 저면에 길이방향의 홈(d920)을 갖는 호형의 압지편(d92)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가이드레일(d)의 전단에 탈착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공(d930)에 캠볼트(d94)가 체결된다.
상기 관통홀(d90)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봤을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서 봤을때,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보강사(600)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캠볼트(d94)는 외주면에 편심된 캠(d940)이 형성됨으로써, 회동에 의해 캠(d940)이 장공(d930)의 내주면을 밀어줌으로써 핑거(d9)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착장치(f)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d)을 통과한 접힌 원단(204)의 수평상태를 교정하면서 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드판(f2)과; 상기 가이드판(f2)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밴딩장치(a9)를 통과한 "U"자형 철편(104)을 상기 접힌 원단(200)과 함께 압착하는 가압기(f4)와; 상기 가압기(f4)를 통과한 "U"자형 철편(104)의 권회되는 관경과 피치를 조절하는 관경조절기(f5)와 피치조절기(f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f2)은, 상기 가압기(f4)의 전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금속박편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d)을 통과한 접힌 원단(200)의 사이에 삽입되어 이를 팽팽하게 펼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기(f4)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상기 "U"자형 철편(104)이 삽입되는 안내홈(f430)이 형성된 제3압착롤러(f43)가 내측 중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기대(f40)와, 상기 기대(f40)의 상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3압착롤러(f43)의 안내홈(f430)에 접하도록 한 제1압착롤러 (f41)와, 이에 대향되도록 기대(f40)의 상면 타측에 설치된 제2압착롤러(f42)를 갖는 구동편(f44)과, 상기 구동편(f44)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조절장치(f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압착롤러(f41)와 제2압착롤러(f42)는 그 외주면에 대향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압착롤러(f43)의 안내홈(f430)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안내홈(f430)을 통과하는 "U"자형 철편(104)의 양측면을 상기 제1압착롤러(f41)와 제2압착롤러(f42)의 경사부가 눌러주게 되어 압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절장치(f45)는, 기대(f40)에 나사결합된 소정 길이의 축봉(f452)의 일단부에 상기 구동편(f44)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축봉(f452)의 타단부에 핸들(f454)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핸들(f454)을 돌려줌으로써 구동편(f44)이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압착롤러(f41)와 제2압착롤러(f4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관경조절기(f5)는, 상기 제3압착롤러(f43)과 일직선상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U"자형 철편(104)이 삽입되는 홈(f540)이 형성된 롤러(f54)와, 상기 롤러(f54)의 전면에 설치되며 기대(f40)에 나사결합된 축봉 및 핸들로 구성되어, 상기 롤러(f54)를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롤러(f54)를 가압기(f4)와 가깝게 밀어주면 권회되는 "U"자형 철편(104)의 관경이 작아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하면 관경이 커지게 된다.
상기 피치조절기(f6)는, 상기 관경조절기(f5)의 롤러(f54)의 측면에 설치되 며 기대(f40)에 나사결합된 축봉 및 핸들로 구성되어, 상기 롤러(f54)를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권회되는 "U"자형 철편(104)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축봉 및 핸들의 구조는 상기 조절장치(f45)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헤드부(g)는, 상기 가압기(f4)를 통과하여 접힌 원단(204)과 보강사(600)가 결합된 "U"자형 철편(104)을 일정한 직경으로 권회시킴으로써 연속적인 나선형 관체가 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내주면에 "U"자형 철편(104)이 삽입되는 나선홈(g20)이 형성된 원형틀(g2)과, 상기 나선홈(g20)을 압지하는 롤러(g42)가 구비되어 상기 원형틀(g2)에 설치된 누름부재(g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선홈(g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시작부가 상기 제3압착롤러(f43)의 안내홈(f430)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압착이 끝난 "U"자형 철편(104)이 곧바로 상기 나선홈(g20)으로 삽입되게 하여 상기 헤드부(g)를 통과하면서 나선형 관체로 권회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부(h)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롤러(h20)가 설치된 2개의 거치대(h2)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거치대(h2)의 일단은 상기 헤드부(g)에 접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헤드부(g)를 통해서 완성된 나선형의 덕트가 수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작업대(500)의 일측에 거치판(300)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 거치판(300)의 상부와 하부에 원단공급부(b2)와 철편공급부(a2)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작업대(500)에는 상기 철편공급부(a2)와 인접되게 오일도포장치(a4)와, 교정가이드(a6), 코너링장치(a8), 밴딩장치(a9), 가이드레일(d), 압착장치(f)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d)의 일측에는 보강사 공급부(c)를 별도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50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판넬(400)에는 상기 원단공급부(b2)와 인접되도록 폴딩장치(b4)와 가이드장치(b6)를 설치한 후, 상기 압착장치(f)에 헤드부(g)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이송부(h)를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A)의 결합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철편공급부(a2)로부터 철편(100)이 공급되면, 상기 오일도포장치(a4)를 통과하면서 저면에 오일이 도포되고, 상기 교정가이드(a6)를 지나면서 수평의 상태로 바로잡게 되며, 상기 코너링장치(a8)를 지나면서 철편(100)의 모서리에 잔존하는 찌꺼기(burr)가 제거된다.
이후 철편(100)이 상기 밴딩장치(a9)에 유입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밴딩기 내지 제5밴딩기(a91~a95)를 통과하면서 절곡되어 단면이 "U"자형으로 성형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d)의 서포터(d2)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원단공급부(b2)로부터 원단(200)이 공급되면, 상기 폴딩장치(b4)를 통과하면서 반으로 접혀지고, 접힌 원단(204)은 상기 가이드장치(b6)를 거쳐서 가이드레일(d)의 원단이송롤러(d8)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보강사 공급부(c)로부터 보강사(600)가 공급되면, 수작업에 의해 상기 핑거(d9)의 관통홀(d90)에 보강사(600)를 관통시켜서 그 끝단이 상기 압지편(d92)에 오도록 한다.
이후, 수작업에 의해 상기 가이드판(f2)에 상기 원단이송롤러(d8)로부터 공급된 접힌 원단(204)을 끼워넣는다. 이때,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힌 원단(200)의 낱장부분의 상면에 상기 보강사(600) 및 핑거(d9)의 압지편(d92)이 배치되며, 상기 접힌 원단(204)의 낱장부분의 하면 즉, 상기 가압기(f4)의 제3압착롤러(f43)에는 "U"자형 철편(104)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U"자형 철편(104) 내에 상기 접힌 원단(204)의 낱장부분과 보강사(600)가 핑거(d9)에 의해 압입된 채 상기 제1 및 제2압착롤러(f41,f42)에 의해 압착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접힌 원단(200)과 보강사(600)가 결합된 "U"자형 철편(104)은 상기 헤드부(g)의 나선홈(g20)을 타고 이동하면서 나선형으로 가공되며, 1회전 후에 철편(104)의 끝단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A)를 정지시킨 후, 앞서 한바퀴 회전한 접힌 원단(204)의 하면의 끝선과 뒷부분에서 연속되어 유입되는 접힌 원단의 낱장부분의 끝선과 일치시킨 다음, 수작업에 의해 앞서 회전된 접힌 원단(204)의 접힌 부위 사이에 핑거(d9)의 압지편(d92) 을 끼워넣어서 "U"자형 철편(104)위에 오도록 배치한다.
이후, 다시 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장치를 작동시키면, 전술한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나선형 주름관 형태의 접이식 덕트가 완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는, 원단과 철편을 동시에 공급하고 이들을 보강사와 함께 압착에 의해 결합시켜서 나선형의 주름관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한 접이식 덕트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5)

  1. 철편공급부(a2)로부터 철편(100)을 공급받아 길이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철편가공부(a)와;
    원단공급부(b2)로부터 원단(200)을 공급받아 길이방향으로 접어주는 원단가공부(b)와;
    보강사(補强絲)(600)를 상기 원단가공부(b)를 통과한 접힌 원단(204)에 길이방향으로 개재시키는 보강사 공급부(c)와;
    상기 철편가공부(a)를 통과한 "U"자형 철편(104)의 상부에 접힌 원단(204)를 얹고 그 상부에 보강사(600)를 얹은 후 상기 보강사(600)와 접힌 원단(204)을 가압하여 "U"자형 철편(104)의 내측으로 밀어넣는 가이드레일(d)과;
    상기 가이드레일(d)을 통과한 "U"자형 철편(104)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압착시키는 압착장치(f)와;
    상기 압착장치(f)를 통과한 "U"자형 철편(104)을 연속적으로 권회시켜서 나선형 관체가 되도록 유도하는 헤드부(g)와;
    상기 헤드부(g)를 통해서 완성된 덕트를 수납하는 거치대(h2)가 구비된 이송부(h)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편가공부(a)는, 철편(100)이 권회된 릴(a22)로 구성된 철편공급부(a2)와; 상기 철편(100)을 길이방향으로 절곡시키는 밴딩장치(a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장치(a9)는, 상기 코너링장치(a8)를 통과한 철편(100)을 평평하게 펼쳐주는 제1밴딩기(a91)와; 상기 제1밴딩기(a91)를 통과한 철편(100)을 끼인각이 90°를 이루도록 접어주는 제2밴딩기(a92)와; 상기 제2밴딩기(a92)를 통과한 철편(100)을 끼인각이 60°를 이루도록 접어주는 제3밴딩기(a93)와; 상기 제3밴딩기(a93)를 통과한 철편(100)을 더 접어서 그 단면이 대략 " U "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제4밴딩기(a94)와; 상기 제3밴딩기(a93)를 통과한 "U"자형 철편(104)을 유출시키면서 그 길이를 측정하는 엔코더(a952)가 부착된 제5밴딩기(a95)와; 상기 제1 내지 제4밴딩기(a91~a94)의 구동기어(a924)와 치차결합된 구동모터(a09)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밴딩기(a91~a95)는, 내측에 공간부(a900)를 갖는 본체(a901)와, 외주면에 홈(a903)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a90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롤러(a902)와; 상기 홈(a903)에 대응되는 돌출부(a905)가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롤러(a90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소정 길이의 축봉(a910)이 형성되 어 상기 본체(a901) 내에 승강이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체(a906)와; 본체(a901)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축봉(a910)에 나사결합되는 캡(a907)과 그 일측에 부착된 핸들(a908)로 구성된 높이조절장치(a909)와; 상기 하부롤러(a902)의 축상에 구동기어(a924)를 설치하고, 이 구동기어(a924)에 종동기어(a922)가 치차결합되며, 상기 종동기어(a922)는 구동모터(a90)의 스프라킷(a920)과 치차결합되어 구성된 구동부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편가공부(a)는, 상기 오일도포장치(a4)를 통과한 철편(100)의 수평을 교정하는 교정가이드(a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가이드(a6)는, 내측에 공간부(a600)를 갖는 본체(a60)와; 외주면에 홈(a620)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a6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롤러(a62)와; 상기 홈(a620)에 대응되는 돌출부(a642)가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롤러(a6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소정 길이의 축봉(a660)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a60) 내에 승강이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체(a66)와; 상기 본체(a60)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축봉(a660)에 나사결합되는 캡(a672)과 그 일측에 부착된 핸들(a674)로 구성된 높이조절장치(a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편가공부(a)는, 상기 교정가이드(a6)를 통과한 철편(100)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코너링장치(a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링장치(a8)는, 철편(100)의 두께에 해당되는 높이를 가지며 내측 모서리에 만곡부(a88)를 갖는 요홈(a84)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1판형롤러(a814)와, 상기 제1판형롤러(a814)가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편(a812)을 고정시킨 제1기대(a81)와; 상기 제1판형롤러(a814)와 동일한 형상이되 이와 외접하도록 설치된 제2판형롤러(a824)와, 상기 제2판형롤러(a824)가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구비된 핸들(a826)에 의해 전후진이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편(a822)과, 상기 가동편(a822)이 슬라이드되게 결합되는 제2기대(a82);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가공부(b)는 원단(200)이 권회된 릴(b22)로 구성된 원단공급부(b2)와, 상기 원단공급부(b2)로부터 공급된 원단(200)을 접어주는 폴딩장치(b4)를 포함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장치(b4)는, 다수개의 롤러(b42)와; 소정의 돌출부(b430)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반롤러(b43)와; 평면이 "∧"자 형상의 복수개의 탄성편(b440)을 대향설치하여 된 폴딩부재(b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d)은, "U"자형 철편(104)이 삽입되는 이송홈(d20)이 형성된 서포터(d2)와; 상기 서포터(d2)의 일측에 설치되는 레일(d4)과; 일측에 상기 이송홈(d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롤러(d62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레일(d4)에 결합되는 홈볼트(d642)가 구비된 다수개의 가이드편(d6)과; 외주면에 요홈(d80)이 형성된 원단이송롤러(d8)와; 일측에 상기 이송홈(d20)에 대응되는 압지편(d92)이 일체로 형성된 핑거(d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d9)는, 소정의 장공(d930)이 형성된 몸체(d93)와, 상기 몸체(d93)의 일단부에는 내측에 관통홀(d90)을 가지며, 저면에 길이방향의 홈(d920)을 갖는 호형의 압지편(d9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d)의 전단에 탈착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편심된 캠(d940)이 형성된 캠볼트(d94)가 상기 장공(d930)에 체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d9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장치(f)는,
    가압기(f4)의 전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금속박편으로 된 가이드판(f2)과;
    외주면에 안내홈(f430)이 형성된 제3압착롤러(f43)가 설치된 기대(f40)와, 상기 기대(f4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압착롤러(f43)의 안내홈(f430)에 접하도록 한 제1압착롤러(f41)와, 이에 대향되도록 기대(f40)의 상면 타측에 설치된 제2압착롤러(f42)를 갖는 구동편(f44)과, 상기 기대(f40)에 나사결합된 소정 길이의 축봉(f452)에 상기 구동편(f44)이 결합되고, 상기 축봉(f452)의 타단부에 핸들(f454)이 구비된 조절장치(f45)로 구성된 가압기(f4)와;
    상기 제3압착롤러(f43)과 일직선이 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홈(f540)이 형성된 롤러(f54)와, 상기 롤러(f54)의 전면에 설치되며 기대(f40)에 나사결합된 축봉 및 핸들로 구성된 관경조절기(f5)와;
    상기 관경조절기(f5)의 롤러(f54)의 측면에 설치되며 기대(f40)에 나사결합된 축봉 및 핸들로 구성된 피치조절기(f6)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g)는, 내주면에 "U"자형 철편(104)이 삽입되는 나선홈(g20)이 형성된 원형틀(g2)과; 상기 나선홈(g20)을 압지하는 롤러(g42)가 구비되어 상기 원형틀(g2)에 설치된 누름부재(g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KR1020050014541A 2005-02-22 2005-02-22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KR100646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541A KR100646808B1 (ko) 2005-02-22 2005-02-22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541A KR100646808B1 (ko) 2005-02-22 2005-02-22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795A true KR20060093795A (ko) 2006-08-25
KR100646808B1 KR100646808B1 (ko) 2006-11-23

Family

ID=3760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541A KR100646808B1 (ko) 2005-02-22 2005-02-22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8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795B1 (ko) * 2007-03-06 2008-06-05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나선형 덕트 제조장치의 다관절 지그
KR100862014B1 (ko) * 2007-03-06 2008-10-07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나선형 덕트의 엘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511524A (zh) * 2013-09-30 2015-04-15 哈尔滨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管体弯曲压扁一次成型方法
WO2021045471A1 (ko) * 2019-09-05 2021-03-11 노성근 엘보형덕트 제조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342A1 (en) * 2008-05-22 2009-11-26 Jinwoong Technology Co., Ltd. Joint jig of spiral duct manufacturing apparatus
BRPI0822718A2 (pt) * 2008-05-22 2015-07-07 Jinwoong Technology Co Ltd Aparelho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duto espiral que inclui cotovelo
KR101351764B1 (ko) 2013-10-22 2014-01-14 (주)선주에어테크 접이식 덕트제조용 원단마킹장치
KR101351673B1 (ko) 2013-10-22 2014-01-14 (주)선주에어테크 나선형 덕트제조장비용 원단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2282A (en) 1992-01-13 1993-06-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reducing thickness of a high-strength low-ductility metal foil on thin strip element
JPH07180899A (ja) * 1993-12-22 1995-07-18 Kurimoto Ltd 複合スパイラルダク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270236B1 (ko) * 1997-09-30 2000-10-16 남태경 플렉시블 관의 자동 제조장치
KR100317545B1 (ko) * 1998-04-10 2002-04-24 남태경 블렉시블관자동제조장치및그플렉시블관
KR100878641B1 (ko) * 2002-07-08 2009-01-15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를 구비한 접이식 집진덕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795B1 (ko) * 2007-03-06 2008-06-05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나선형 덕트 제조장치의 다관절 지그
KR100862014B1 (ko) * 2007-03-06 2008-10-07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나선형 덕트의 엘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511524A (zh) * 2013-09-30 2015-04-15 哈尔滨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管体弯曲压扁一次成型方法
WO2021045471A1 (ko) * 2019-09-05 2021-03-11 노성근 엘보형덕트 제조장비
US11975373B2 (en) 2019-09-05 2024-05-07 Sung Keun NOH Elbow-shaped duct manufact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808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808B1 (ko) 접이식 덕트의 제조장치
JP4873176B2 (ja) 化粧枠取り付け装置
BRPI1001397A2 (pt) máquina de bandeamento de bordas
KR101279280B1 (ko) 포장장치
CN107600931A (zh) 能够适用于不同宽度板材的输送机构
KR101407277B1 (ko) 원 스톱 핀 가공장치
CN109936263A (zh) 插绝缘纸装置
KR101711547B1 (ko) 누비원단 자동공급장치
JP2010089262A (ja) 生タイヤのトレッドジョイント圧着装置およびトレッドジョイント圧着方法
KR200468962Y1 (ko) 냅킨 자동 포장장치
CN205590075U (zh) 多层铺布机及其自动送布装置
CN115318974A (zh) 一种保护器发热丝s型折弯装置
CN211339635U (zh) 一种不锈钢带退火炉用导向张紧装置
CN210914619U (zh) 一种卷布机
KR101194845B1 (ko) 비닐하우스용 골조 성형기 및 그를 통해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골조
CN207580989U (zh) 覆膜机的卷纸张紧机构
KR100601365B1 (ko) 스테플러 철침의 직선 보정장치
KR101320123B1 (ko) 와이어 유도장치
CN208543328U (zh) 一种全自动立柱砂光机
CN220313632U (zh) 一种全自动直线封边机的涂胶封边机
KR101005025B1 (ko) 복층유리 제작장치
CN219405434U (zh) 一种地暖板的覆膜机
CN210338398U (zh) 一种钢筋打捆装置
KR200321586Y1 (ko) 환봉의 나사산 전조장치
CN218560596U (zh) 一种布料收卷用纠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