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324A -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324A
KR20060091324A KR1020067013238A KR20067013238A KR20060091324A KR 20060091324 A KR20060091324 A KR 20060091324A KR 1020067013238 A KR1020067013238 A KR 1020067013238A KR 20067013238 A KR20067013238 A KR 20067013238A KR 20060091324 A KR20060091324 A KR 20060091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roller
elevator
emergency stop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차다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1324A/ko
Publication of KR2006009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카실(1)에 설치되고, 카실(1)을 유도하는 가이드레일(2)을 압압해서 카실(1)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레일(2) 근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이드레일(2)과 회전축(15a)의 간격이 단경보다 넓고, 또 장경보다도 좁은 타원형상의 롤러(15)와, 카실(1)이 소정 속도내에서 이동하고 있는 동안은 가이드레일(2)의 연재방향과 롤러(15)의 장경방향을 대략 일치시키는 동시에 카실(1)이 소정 속도를 초가해서 이동한 경우에는 롤러(15)를 회전시켜서 가이드레일(2)을 롤러(15)로 압압시키는 레버(13)를 구비하고 있다.
카실, 금속제 홀더, 롤러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EMERGENCY STOPPER OF ELEVATOR}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의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된 카실을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의 비상정지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의 비상정지장치를 A-A선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카실이 하향으로 가속되는 경우의 비상정지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도 5은 카실이 상향으로 가속되는 경우의 비상정지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도 6은 금속제 홀더에 설치된 수용홈의 우측벽을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한 변형예를 표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7은 롤러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변형시킨 변형예를 표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8은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판을 금속제 홀더의 우측벽에 교환가능하게 부착한 변형예를 표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9는 종래의 비상정지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종래의 비상정지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종래의 비상정지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실이 상향으로 가속되는 경우에도 쉽게 정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예로써 일본국 특공소 52-1897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아래에 이 종래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비상정지장치(20)는 승강로내의 가이드레일 (21)에 의해 가이드되는 카실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카실의 속도는 승강로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속기로프(22)를 통해서 조속기에 검출되고, 이 속도데이터는 조속기로프(22)에 연결된 비상정지장치(23)에 부여된다.
비상정지장치(23)는 속도데이터가 사전에 정해진의 속도를 초과한 경우에 레버(24)를 끌어올린다. 이 인상동작에 맞추어 레버(24)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25)가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지고, 가이드레일(21)의 양측방에 설치된 금속제 홀더(26)와 가이드레일(21) 사이에 롤러(25)가 끼워진다. 그리고,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롤러(25)가 금속제 홀더(26)와 가이드레일(21)과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카실은 비상정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정지장치(20)는 카실이 하향으로 가속했을 때만 기능하므로 카실이 상향으로 가속되는 경우에는 카실을 비상정지시킬 수가 없었다.
그래서, 상하 양방향의 카실의 증속에 유효한 비상정지로서 특허 제2698765 호(일본)공보에 표시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특허 제2698765호 공보에 개시된 비상정지장치(30)는 카실을 정지시키는 한쌍의 웨지 (31),(32)를 구비하고, 카실이 하향으로 가속되는 경우에는 웨지(31)가 상방으로 접동해서 가이드레일(33)과 프레임(34) 사이에 웨지(31)가 끼워짐으로써 카실은 비상정지한다. 마찬가지로, 카실이 상향으로 가속되는 경우에는 웨지(32)가 하방으로 접동해서 가이드레일(33)과 프레임(35)과의 사이에 웨지(32)가 끼워짐으로써 카실은 비상정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정지장치(30)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내구성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특히, 통상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에서는 비상정지장치가 사용되는 일은 없으므로 비상정지장치의 구동부분에 녹이나 먼지 등이 부착해서 움직임이 나빠지는 염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고, 비상시에 확실하게 동작하는 비상정지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실에 설치되고, 카실을 유도하는 가이드레일을 가압해서 카실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서 카실이 상하 어느 한방향으로 사전에 정해진 속도를 초과해서 이동한 경우에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롤러전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 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실에 설치되고, 카실을 유도하는 가이드레일을 가압해서 카실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서 가이드레일의 근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이드레일과 회전축의 간격이 단경보다 넓게, 또 장경보다 좁은 타원형상의 롤러와 카실이 사전에 정해진 속도 내에서 이동하고 있는 동안은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과 롤러의 장경방향을 대략 일치시키는 동시에 카실이 사전에 정해진 속도를 초과해 이동한 경우에는 롤러를 회전시켜서 가이드레일을 롤러로 가압시키는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레버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과 롤러의 단경상의 테두리부에 설치되고, 장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핀과 카실이 상향으로 사전에 정해진 속도를 초과해 이동한 경우에 레버의 선단을 하방으로 내리는 동시에 카실이 하향으로 사전에 정해진 속도를 넘어서 이동한 경우에 레버의 선단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레버구동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가이드레일 및 롤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설치된 금속제 홀더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수용홈의 홈폭은 가이드레일의 폭과 롤러의 단경과의 합보다 넓고, 또 가이드레일의 폭과 롤러의 장경과의 합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수용홈의 측벽이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수용홈의 측벽에 교환가능하게 부착되고,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상정지장치(10)가 설치된 카실(1)을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정지장치(10)는 승강로 내의 가이드레일(2)에 의해 가이드되는 카실(1)의 하부에 부착되고, 카실(1)이 비정상적으로 가속되는 경우에 가이드레일(2)을 가압해서 카실(1)을 정지시키도록 기능을 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상정지장치(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의 비상정지장치(10)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의 비상정지장치(10)를 A-A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11은 카실(1)의 하부에 부착된 프레임, 12는 프레임(11)의 중앙부에 부착되고, 가이드레일(2)을 수용홈(12a)에 수용하는 凹형상의 금속제 홀더, 13은 프레임(11)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레버, 14는 레버(13)에 부착되고, 레버(13)의 선단을 상하로 스윙시키는 조속기로프, 15는 회전축(15a)에 의해 금속제 홀더(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금속제 홀더(12)의 수용벽(12a)에 가이드레일(2)과 함께 수용되는 타원형상의 롤러, 16은 레버(13)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레버(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17은 롤러(15)의 단경상의 테두리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장공(16)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핀이다.
여기서, 롤러(15)는 가이드레일(2)과 회전축(15a)의 간격이 단경보다 넓고, 또 장경보다 좁은 타원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레일(2)의 연장방향과 롤러(15)의 장경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롤러(15)를 배치한 경우, 롤러(15)와 가이드레일(2)과의 사이에 사전에 정해진의 간격이 형성된다. 또, 가이드레일(2)의 연장방향과 롤러(15)의 단경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근접시킨 경우, 롤러(15)는 가이드레일(2)에 접한다.
또, 수용홈(12a)의 홈폭은 가이드레일(2)의 폭과 롤러(15)의 단경과의 합보다 넓고, 또 가이드레일(2)의 폭과 롤러(15)의 장경의 합보다 좁게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다음,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상정지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카실(1)이 사전에 정해진의 속도내에서 이동하고 있는 동안은 조속기로프(14)도 카실(1)과 같은 속도로 이동하므로 조속기로프(14)가 레버(13)를 끌어당기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항상 레버(13)는 수평방향을 유지하는 레버(13)에 형성된 장공(16)도 수평이 되므로 장공(16)에 삽입된 핀(17)은 장공(16)의 하단에 위치한다. 여기서, 핀(17)은 롤러(15)의 단경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롤러(15)의 단경이 수평이 된다. 이 결과, 롤러(15)와 가이드레일(2)과의 사이에 사전에 정해진의 간격이 형성되므로 롤러가 가이드레일(2)를 가압하는 일은 없다.
다음, 카실(1)이 하향으로 가속되어 사전에 정해진의 속도를 초과해 이동하는 경우, 조속기(도시않음)가 카실(1)의 가속을 검출하고, 카실(1)과 같은 속도로 하방으로 나와 있는 조속기로프(14)를 파지하고 있다. 조속기로프(14)의 파지에 의해 조속기로프(14)에 고정된 레버(13)가 인상되어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레버(13)선단의 장공(16)에 삽입된 핀(17)은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진다. 핀(17)은 롤러(1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롤러(15)는 회전축(15a)을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롤러(15)는 원형이 아니고, 상하방향으로 긴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롤러(15)가 금속제 홀더(12)와 가이드레일(2)과의 사이에 끼워져 롤러(15)가 금속제 홀더(12)와 가이드레일(2)에 끼어들기(가압하는) 때문에 카실(1)을 비상정지시킨다.
다음, 카실(1)이 상방향으로 증속해서 사전에 정해진의 속도를 초과해 이동한 경우, 조속기(도시않음)가 카실(1)의 증속을 검출하고, 카실(1)과 같은 속도로 상방으로 밀어내어져 있는 조속기로프(14)를 파지한다. 조속기로프(14)의 파지에 의해 조속기로프(14)에 고정된 레버(13)가 아래로 당겨져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레버(3)선단의 장공(16)에 삽입된 핀(17)은 하방향으로 밀어내려진다. 핀(17)은 롤러(1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롤러(15)는 회전축(15a)을 중심으로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롤러(15)가 금속제 홀더(12)와 가이드레일(2)과의 사이에 끼워지고, 롤러(15)가 금속제 홀더(12)와 가이드레일(2)에 끼워짐(가압한다)으로 인해 카실(1)을 비상정지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상정지장치(10)에 의하면, 레버(13)가 상하방향으로 가속되는 경우에는 중력도 하방향으로 가해지므로 카실(1)을 정지시키기 위해 강한 정지력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카실(1)이 상향으로 가속되는 경우에는 중력은 반대방향으로 가해지므로 상기한 경우에 비해 약한 정지력으로도 카실(1)은 정지한다. 이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같은 정지력이 경우에는 하향으로 가속해서 급정지한 경우에 비해 카실(1)이 상향으로 가속해서 급정지한 경우쪽이 보다 강한 반동이 발생한다. 이 반동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본 변형예와 같이 금속제 홀더 (12)의 우측벽(40)을 경사시킴으로써 급정지에 의해 발생하는 강한 반동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제1의 변형예에서는 금속제 홀더(12)의 우측벽(40)의 하반부분을 수용홈 (12a)의 홈폭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경사시키고 있으나, 금속제 홀더(12)의 우측벽(40)의 상반부분을 수용홈(12a)의 홈폭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경사시켜도 된다.
이 경우도 제1의 변형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상정지장치 10의 제2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나, 도 7은 롤러(41)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변형시킨 예를 표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롤러(41)의 우상측면부(41a)가 깎여 있으므로 카실(11)의 하향의 가속에 따라서 롤러(41)가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롤러(41)의 우하측면부(41b)가 우측벽(40)에 끼워진 경우에 비해, 카실(1)의 상향의 가속에 따라서 롤러(41)가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롤러(41)의 우상측면부(41a)가 우측벽(40)에 끼어들어간 경우에 끼어 들어가는 양은 작다. 이 때문에, 카실(1)이 하향으로 가속한 경우의 정지력에 비해 카실(1)이 상향으로 가속한 경우의 정지력이 작아진다.
이 결과, 카실(1)이 상향으로 가속해서 급정지한 경우에 발생하는 강한 반동 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가 있다.
다음,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상정지장치(10)의 제3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한 경사판(42)을 금속제 홀더(12)의 우측벽(40)에 교환가능하게 부착한 예를 표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42)의 하반부분을 홈폭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하고 있으므로 카실(1)의 하향의 가속에 따라서 롤러(15)가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경사판(42)의 상반부분에 롤러(15)가 끼워진 경우에 비해, 카실(1)의 상향의 가속에 따라서 롤러(15)가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경사판(41)의 하반부분에 롤러(15)가 끼워지는 쪽이 끼워지는 양이 적다. 이 때문에, 카실(1)이 하향으로 가속한 경우의 정지력에 비해 카실(1)이 상향으로 가속한 경우의 정지력쪽이 작아진다. 이 결과, 카실(1)이 상향으로 가속해서 급정지한 경우에 발생하는 강한 반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경사판(42)은 교환가능하므로 다른 경사각도를 갖는 경사판(42)을 부착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정지력을 변경할 수가 있다.
또, 제3의 변형예에서는 경사판(42)의 하반부분을 홈폭에 서서히 넓어지도록 경상시키고 있으나, 경사판(42)의 상반부분을 홈폭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경사시켜도 된다. 이 경우도 제3의 변형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상방향으로 종속한 경우도 카실을 쉽게 정지시킬 수 있는 구성의 간단한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으므로 예를 들면 가격이 저렴 한 가정용 엘리베이터나 내구성이 요구되는 엘리베이터 등의 이용에 적합하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카실에 설치되고, 상기 카실을 유도하는 가이드레일을 가압해서 상기 카실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실이 상하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사전에 정해진 속도를 초과해서 이동한 경우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롤전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2. 엘리베이터의 카실에 설치되고, 상기 카실을 유도하는 가이드레일을 가압해서 상기 카실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근방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회전축의 간격이 단경보다 넓고, 장경보다 좁은 타원형상의 롤러와,
    상기 카실이 사전에 정해진 속도 내에서 이동하고 있는 동안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과 상기 롤러의 장경방향을 일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카실이 사전에 정해진 속도를 초과해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롤러로 가압시키는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과,
    상기 롤러의 단경상의 테두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핀과,
    상기 카실이 상향으로 사전에 정해진 속도를 초과해서 이동한 경우에 상기 레버의 선단을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동시에, 상기 카실이 하향으로 사전에 정해진 속도를 초과해서 이동한 경우에 상기 레버의 선단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레버구동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및 상기 롤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설치된 금속제 홀더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의 홈폭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과 상기 롤러의 단경과의 합보다 넓고, 또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과 상기 롤러의 장경과의 합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측벽을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측벽에 교환가능하게 부착되고,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KR1020067013238A 2006-06-30 2001-11-27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KR20060091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3238A KR20060091324A (ko) 2006-06-30 2001-11-27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3238A KR20060091324A (ko) 2006-06-30 2001-11-27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592A Division KR100620436B1 (ko) 2001-11-27 2001-11-27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324A true KR20060091324A (ko) 2006-08-18

Family

ID=3759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238A KR20060091324A (ko) 2006-06-30 2001-11-27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13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547B1 (ko) * 2006-10-20 2008-05-26 김수영 디지탈 골프플레이트
KR101239403B1 (ko) * 2011-07-01 2013-03-06 주식회사 에버다임 승강기용 안전장치
KR101273041B1 (ko) * 2011-02-25 2013-06-10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단방향 비상 정지장치
KR101287619B1 (ko) * 2011-07-01 2013-07-23 주식회사 에버다임 승강기용 안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547B1 (ko) * 2006-10-20 2008-05-26 김수영 디지탈 골프플레이트
KR101273041B1 (ko) * 2011-02-25 2013-06-10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단방향 비상 정지장치
KR101239403B1 (ko) * 2011-07-01 2013-03-06 주식회사 에버다임 승강기용 안전장치
KR101287619B1 (ko) * 2011-07-01 2013-07-23 주식회사 에버다임 승강기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176B2 (en) Emergency stop system of elevator
US7080717B2 (en) Emergency brake apparatus of elevator
CN1950287B (zh) 电梯装置
JP4927294B2 (ja) エレベータのための適合可能な制動力を備えたブレーキ拘束装置
KR101537846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WO2019176160A1 (ja)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EP1900673A1 (en) Tension pulley device for elevator governor rope
US20090032341A1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KR20170030056A (ko) 안전 구동 장치용 하우징 조립체
KR100620436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US6026936A (en) Sliding safety gear
JP5969073B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4050525A1 (ja) エレベータの制動装置
KR20060091324A (ko)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KR100988398B1 (ko) 엘리베이터 롤러 가이드
JP2626408B2 (ja) エレベータ用非常停止装置
CA2407471A1 (en) Actuator for the emergency operation of a gearless driving machine of an elevator
WO2005113402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CN100447068C (zh) 电梯的紧急制动装置
JP2010013218A (ja) 自走式エレベータ
KR100901222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CN110171760B (zh)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JP2003165681A (ja) エレベータの空調装置
KR200403799Y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 브레이크장치
JP2004075268A (ja)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