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9523A -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9523A
KR20060089523A KR1020050010793A KR20050010793A KR20060089523A KR 20060089523 A KR20060089523 A KR 20060089523A KR 1020050010793 A KR1020050010793 A KR 1020050010793A KR 20050010793 A KR20050010793 A KR 20050010793A KR 20060089523 A KR20060089523 A KR 20060089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flow rate
high pressure
unit
refrigeran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7263B1 (ko
Inventor
장세동
이윤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2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9Calculation of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3Mass flow of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은, 현상태의 운전조건값을 얻을 수 있도록 실외온도와 실내온도 및 전체 실내기에 대한 운전 실내기의 비율을 검출하는 제 1단계와; 현재 운전중인 멀티 에어컨의 운전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냉매유량,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검출하여 시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제 2단계와; 제 1단계에서 검출된 각각의 입력값을 내장함수에 입력하여 정상운전시 필요한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도출하여 시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제 3단계와; 제 3단계에서 도출된 필요 냉매유량,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과 제 2단계에서 검출된 냉매유량,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각각 비교하여 각 운전상황별로 진공불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시스템의 이상운전이 진공불량에 의한 것인지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트펌프, 에어컨, 진공불량, 공조

Description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DETECTING METHOD FOR POOR VACUUM OF MULTI AIR-CONDITIONER AND DETECTING APPARATUS THEREOF}
도 1은 냉난 동시형 멀티 에어컨 시스템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멀티 에어컨이 정상운전을 하는 경우와 진공불량시 이상운전을 하는 경우의 P-H선도 상의 사이클 비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을 보인 블럭도,
도 6은 냉방전실운전시 진공불량을 평가할 수 있는 예시로서 운전고압과 등가 주파수의 시간에 따른 과상승을 보인 도표,
도 7은 난방전실운전시 진공불량을 평가할 수 있는 예시로서 등가 주파수의 시간에 따른 과부족과 운전저압의 시간에 따른 과상승을 보인 도표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70: 멀티 에어컨 41,71: 실외 온도센서
44,74: 고압측 압력센서 45,75: 저압측 압력센서
46,76: 유량센서 50,92: 제어부
51,93: 연산부 52,94: 저장부
53,95: 판단부 60,96: 표시부
80,91: 접속부 90: 노트북 또는 PC
본 발명은 멀티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에어컨의 설치 또는 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진공불량에 의한 시스템의 성능저하 및 부품손상을 방지하고 이상발생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 에어컨은 각 실내공간마다 히터와 쿨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의 하나이다. 이러한 멀티 에어컨은 사이클의 형태에 따라 흡수식과 증기압축식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특히 후자의 경우 가정용 및 빌딩용 냉난방에 적합하여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중 후자인 증기압축식의 경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에어컨은, 압축기(12)와 실외열교환기(14)를 포함하는 실외 유니트(10)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31)를 포함하는 실내 유니트(30) 및, 각 실내열교환기(31)와 실외 유니트(10)의 사이에 관로를 제공하거나 차단하는 분배밸브(21)(22)를 포함하는 분배 유니트(20)를 구비한다.
만약,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에어컨이 냉방 전실운전(모든 실내기가 냉방으로 설정된 경우)을 하는 경우라면, 실내열교환기(31)는 증발기(evaporator)로서 기능하고 실외열교환기(14)는 응축기(condenser)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냉매는 사방밸브(13)를 지나 실외 유니트(10)의 압축기(12)와 실외열교환기(14)를 거쳐 액관(23)을 따라 각 방의 팽창밸브(32)와 실내열교환기(31)를 거친후 저압기관(25)을 따라 어큐물레이터(11)로 회수되어 기액분리후 압축기(12)로 다시 보내어지게 된다.
반대로, 멀티 에어컨이 난방 전실운전(모든 실내가 난방으로 설정된 경우)을 하는 때에는, 실내열교환기(31)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실외열교환기(14)는 증발기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매는 압축기(12)를 거쳐 고압기관(24)을 따라 실내열교환기(31)에서 열교환후 액관(23)을 따라 팽창밸브(15) 및 실외열교환기(14)와 사방밸브(13)을 거쳐 어큐물레이터(11)에서 회수된 후 다시 압축기(12)로 보내어지게 된다.
이러한 멀티 에어컨의 설치시 또는 시스템의 이상으로 수리시에 냉매를 봉입하는 경우라면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작업을 할 것이 요구되며, 만약 진공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공기와 같은 불응축가스가 냉매와 함께 섞여 시스템의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그러나 냉매와는 달리 응축의 과정을 겪지 않고 가스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열교환기(14)(31)의 유효 표면적을 감소시켜 열교환 효율을 떨어뜨리거나 팽창밸브(15)(32)의 유량제어가 정상적으로 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는 주로 응축기의 내부에 존재하여 시스템의 고압측을 상승시키게 되는데, 냉방운전의 경우 시스템의 저압측을 기준값으로 하여 순환 냉매량을 제어하므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 열교환의 감소로 인하여 고압측이 PH1에서 PH2로 상승하게 되며, 난방운전의 경우 시스템의 고압측을 기준값으로 하여 제어하므로, 정상적인 경우의 필요유량보다 적은 값으로(
Figure 112005006968806-PAT00001
) 고압측을 상승시켜 체감난방의 불량을 가져오게 한다.
종래의 경우 멀티 에어컨의 보수 과정, 예를 들어 압축기(12)를 교체하는 경우 냉매 봉입과정에서 진공상태를 제대로 유지하지 않았을 때 운전고압측에 이상이 오게 된다. 이 운전고압측의 이상이 냉매중의 불응축 가스의 유입으로 인한 것이라면 냉매를 교환하여 재충전하는 것으로 조치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멀티 에어컨에 있어서는, 설치된 멀티 에어컨의 이상보고에 대하여 진공작업에 문제가 있었는지에 대한 적절한 검출방법이 없어, 복구작업을 시작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이상상황에서 적절한 현장 대응없이 운전함으로써 전체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오동작에 의한 부품 수명의 단축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에어컨의 설치 또는 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진공불량에 의한 시스템의 이상운전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저하 및 부품손상을 방지 하도록 하는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상태의 운전조건값을 얻을 수 있도록 실외온도와 실내온도 및 전체 실내기에 대한 운전 실내기의 비율을 검출하는 제 1단계와; 현재 운전중인 멀티 에어컨의 운전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냉매유량,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검출하여 시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검출된 각각의 입력값을 내장함수에 입력하여 정상운전시 필요한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도출하여 시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도출된 필요 냉매유량,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과 상기 제 2단계에서 검출된 냉매유량,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각각 비교하여 각 운전상황별로 진공불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냉방운전인 경우, 상기 제 4단계에서는, 상기 제 2단계에서 검출된 운전고압의 상기 제 3단계에서 검출된 운전고압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상승이 소정시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와, 상기 제 2단계에서 검출된 냉매유량의 상기 제 3단계에서 계산된 필요냉매유량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상승이 소정시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별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난방운전인 경우, 상기 제 4단계에서는, 상기 제 2단계에서 검출된 냉매유량의 상기 제 3단계에서 계산된 필요냉매유량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부족 이 소정시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와, 상기 제 2단계에서 검출된 운전저압의 상기 제 3단계에서 계산된 운전저압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상승이 소정시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별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현상태의 운전조건값을 얻을 수 있도록 멀티 에어컨의 해당 개소에 설치되는 실외 온도센서, 실내 온도센서 및,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와; 현상태의 운전상태값을 얻을 수 있도록 멀티 에어컨의 해당 개소에 설치되는 유량센서, 고압측 압력센서 및, 저압측 압력센서와; 상기 실외 온도센서와 실내 온도센서 및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에 연결되어 검출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및 실내기 부하량으로부터 정상운전시 필요한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도출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의 출력값과 상기 유량 센서와 고압측 압력 센서 및 저압측 압력 센서의 각 검출값을 시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상운전상태와 실제운전상태의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간의 변화 이력에 따라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을 검출하는 판단부;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멀티 에어컨에는 상기 판단부의 결과값을 외부에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값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현상태의 운전조건값을 얻을 수 있도록 멀티 에어컨의 해당 개소에 설치되는 실외 온도센서, 실내 온도센서 및,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와; 현상태의 운전상태값을 얻을 수 있도록 멀티 에어컨의 해당 개소에 설치되는 유량센 서, 고압측 압력센서 및, 저압측 압력센서와; 상기 각 센서들과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에 연결되어 검출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및 실내기 부하량으로부터 정상운전시 필요한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도출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의 출력값과 상기 유량 센서와 고압측 압력 센서 및 저압측 압력 센서의 각 검출값을 시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상운전상태와 실제운전상태의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간의 변화 이력에 따라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을 검출하는 판단부가 구비된 노트북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장치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부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장치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장치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6은 냉방전실운전시 진공불량을 평가할 수 있는 예시로서 운전고압과 등가 주파수의 시간에 따른 과상승을 보인 도표이며, 도 7은 난방전실운전시 진공불량을 평가할 수 있는 예시로서 등가 주파수의 시간에 따른 과부족과 운전저압의 시간에 따른 과상승을 보인 도표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불량 검출장치 는 멀티 에어컨(40)에 현상태의 운전조건값을 얻을 수 있도록 실외 온도센서(41)와, 실내 온도센서(42) 및,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43)가 실외기와 실내기의 해당 개소에 설치된다.
그리고, 현상태의 운전상태값을 얻을 수 있도록 유량센서(46)가 관로상에 설치되며, 고압측 압력센서(44) 및 저압측 압력센서(45)가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의 토출측과 흡입측에 각각 설치된다.
멀티 에어컨(40)의 제어부(50)에는 상기 실외 온도센서(41)와 실내 온도센서(42) 및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43)에 연결되어 검출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및 실내기 부하량으로부터 정상운전시 필요한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도출하는 연산부(51)가 구비된다.
또한, 제어부(50)에는 상기 연산부(51)의 결과값과 상기 유량센서(46)와 고압측 압력센서(44) 및 저압측 압력센서(45)의 각 검출값을 시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에는 상기 저장부(52)에 저장된 정상운전상태와 실제운전상태의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간의 변화 이력에 따라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을 검출하는 판단부(53)가 구비된다.
또한, 멀티 에어컨(40)에는 상기 판단부(53)의 결과값을 제어부(50)의 출력을 받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6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멀티 에어컨(40)에 진공불량이 있는 경우, 멀티 에어컨(40)이 외부에 직접 이상신호를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불량 검출장치는, 멀티 에어컨(70)에 실외 온도센서(71)와, 실내 온도센서(72)와,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73)와, 유량센서(76)와, 고압측 압력센서(74) 및, 저압측 압력센서(75)가 각각 해당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각 센서들(71)(72)(74)(75)(76)과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73)가 외부와 입출력을 할 수 있도록 접속부(80)가 구비된다.
이 접속부(80)는, 상술한 도 3의 도시예와 같은 연산부(51)와 저장부(52) 및 판단부(53)에 대응되는 기능을 각각 담당하도록 판단로직이 내장된 연산부(93)와 저장부(94) 및 판단부(95)와, 제어부(92) 및 표시부(96)를 구비한 노트북 또는 퍼스널 컴퓨터(90)의 접속부(91)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노트북 또는 퍼스널 컴퓨터(90)를 상기 멀티 에어컨(70)의 접속부(80)에 접속시킴으로써 간접적인 조작에 의하여 멀티 에어컨(70)의 진공불량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단계(S100) 내지 제 4단계(S400)의 각 단계를 거치게 된다.
우선, 제 1단계(S100)에서는 멀티 에어컨(40)(70)이 운전되는 현상태의 운전조건값을 얻을 수 있도록 실외온도(TOUT)와 실내온도(TIN)를 멀티 에어컨의 각 해당 개소에 장착되는 각각의 온도센서(41)(42)(71)(72)에 의하여 검출하고,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43)(73)에 의하여 전체 실내기에 대한 운전 실내기의 비율(Load)을 입 력한다.
제 2단계(S200)에서는 현재 운전중인 멀티 에어컨(40)(70)의 운전상태에 대한 정보 즉, 순환중인 냉매의 유량(
Figure 112005006968806-PAT00002
), 운전고압(PHR) 및 운전저압(PLR)을 각 해당 개소에 장착되는 유량센서(46)(76)와 압력센서(44)(45)(74)(75)에 의하여 검출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저장부(52)(94)에 의하여 시순차적으로 저장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공불량의 결과로 나타나는 영향에 의하여 정상운전의 기준치에 대한 비교대상으로 사용된다.
제 3단계(S300)에서는 상기 제 1단계(S100)에서 검출된 각각의 입력값 즉, 실외온도(TOUT)와 실내온도(TIN) 및 멀티 에어컨(40)(70)의 운전중인 실내기를 연산부(51)(93)에 내장된 내장함수에 입력하여 비교값인 정상 운전시 필요한 냉매유량(
Figure 112005006968806-PAT00003
)과, 운전고압(PHS), 및 운전저압(PLS)을 도출하여 저장부(52)(94)에 시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제 4단계(S400)에서는 상기 제 3단계(S300)에서 도출된 필요 냉매유량(
Figure 112005006968806-PAT00004
)과, 운전고압(PHS), 및 운전저압(PLS)과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검출된 냉매유량(
Figure 112005006968806-PAT00005
), 운전고압(PHR) 및 운전저압(PLR)을 각각 비교하여 각 운전상황별로 진공불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만약 멀티 에어컨(40)(70)이 냉방운전인 경우라면, 시스템의 저압 을 목표값으로 하여 순환 냉매량을 제어하게 되는 경우 응축 열교환의 감소로 인하여 운전고압과 냉매유량이 함께 상승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검출된 운전고압(PHR)이 상기 제 3단계(S300)에서 도출된 운전고압(PHS)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상승이 시스템이 안정화를 거친 소정시간(약 10여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와,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검출된 냉매유량(
Figure 112005006968806-PAT00006
)의 상기 제 3단계(S300)에서 계산된 필요 냉매유량(
Figure 112005006968806-PAT00007
)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상승이 시스템이 안정화를 거친 소정시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별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전실운전인 경우, 실외온도(TOUT)가 35℃이고, 실내온도(TIN)가 27℃로 표준상태인 때, 시스템의 운전고압(PHR )이 정상 운전고압(PHS)에 비하여 약 29%가 높게 나오고, 다수 개의 압축기의 주파수를 합한 등가주파수(FEQ-R)가 정상 등가주파수(FEQ-S)에 비하여 27.6% 높게 나오게 되어, 멀티 에어컨의 운전이상이 진공불량에서 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반대로 난방운전이라면 시스템의 고압측을 목표값으로 제어하므로 정상적인 경우의 필요유량보다 적은 값으로 고압을 상승시키는 점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검출된 냉매유량(
Figure 112005006968806-PAT00008
)의 상기 제 3단계(S300)에서 계산된 필요 냉매유량(
Figure 112005006968806-PAT00009
)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부족이 시스템이 안정화를 거친 소정시간(약 10여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와, 상기 제 2단계 (S200)에서 검출된 운전저압(PLR)의 상기 제 3단계(S300)에서 계산된 운전저압(PLS)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상승이 시스템이 안정화를 거친 소정시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별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전실운전인 경우, 실외온도(TOUT)가 15℃이고, 실내온도(TIN)가 15℃로 표준상태인 경우, 시스템의 등가 주파수(FEQ-R)가 정상 등가 주파수(FEQ-S)에 비하여 약 58% 낮게 나오고, 시스템의 운전저압(PLR)이 정상적인 운전저압(PLS)에 비하여 약 24% 높게 나오게 되어, 멀티 에어컨의 운전이상이 진공불량에서 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4단계(S400)에서 멀티 에어컨에 진공불량이 있다고 평가되면 제 5단계(S400)에서 해당하는 조치를 선택적으로 취하게 된다.
따라서, 멀티 에어컨의 이상운전이 있을 경우 사이클에 관한 운전정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진공불량인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그만큼 판단 및 조치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감소하고 부품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에 의하면, 실외온도와 실내온도 및 전체 실내기에 대한 운전 실내기의 비율을 검출하고(제 1단계), 현재 운전중인 멀티 에어컨의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검출하여 시순차적으로 저장하고(제 2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검출된 각각의 입력값을 내장함수에 입력하여 정상운전시 필요한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도출 하고 시순차적으로 저장하여(제 3단계), 제 3단계의 도출값과 제 2단계의 검출값을 각각 비교하여 각 운전상황별로 진공불량인지 여부를 판단(제 4단계)하므로, 시스템의 이상운전이 진공불량에 의한 것인지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저하되거나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장치에 의하면, 상기 각 단계별로 나누어진 과정을 미리 설치된 멀티 에어컨 시스템이 직접 수행하거나 판단 과정의 일부를 외부의 노트북이나 퍼스널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진공불량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6)

  1. 현상태의 운전조건값을 얻을 수 있도록 실외온도와 실내온도 및 전체 실내기에 대한 운전 실내기의 비율을 검출하는 제 1단계와; 현재 운전중인 멀티 에어컨의 운전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냉매유량,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검출하여 시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검출된 각각의 입력값을 내장함수에 입력하여 정상운전시 필요한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도출하여 시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도출된 필요 냉매유량,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과 상기 제 2단계에서 검출된 냉매유량,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각각 비교하여 각 운전상황별로 진공불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냉방운전인 경우, 상기 제 4단계에서는, 상기 제 2단계에서 검출된 운전고압의 상기 제 3단계에서 검출된 운전고압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상승이 소정시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와, 상기 제 2단계에서 검출된 냉매유량의 상기 제 3단계에서 계산된 필요냉매유량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상승이 소정시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별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난방운전인 경우, 상기 제 4단계에서는, 상기 제 2단계에서 검출된 냉매유량의 상기 제 3단계에서 계산된 필요냉매유량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부족이 소정시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와, 상기 제 2단계에서 검출된 운전저압의 상기 제 3단계에서 계산된 운전저압에 대한 소정치 이상의 과상승이 소정시간 이상동안 지속되는 것인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별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4. 현상태의 운전조건값을 얻을 수 있도록 멀티 에어컨의 해당 개소에 설치되는 실외 온도센서, 실내 온도센서 및,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와; 현상태의 운전상태값을 얻을 수 있도록 멀티 에어컨의 해당 개소에 설치되는 유량센서, 고압측 압력센서 및, 저압측 압력센서와; 상기 실외 온도센서와 실내 온도센서 및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에 연결되어 검출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및 실내기 부하량으로부터 정상운전시 필요한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도출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의 출력값과 상기 유량 센서와 고압측 압력 센서 및 저압측 압력 센서의 각 검출값을 시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상운전상태와 실제운전상태의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간의 변화 이력에 따라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을 검출하는 판단부;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에어컨에는 상기 판단부의 결과값을 외부에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값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장치.
  6. 현상태의 운전조건값을 얻을 수 있도록 멀티 에어컨의 해당 개소에 설치되는 실외 온도센서, 실내 온도센서 및,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와; 현상태의 운전상태값을 얻을 수 있도록 멀티 에어컨의 해당 개소에 설치되는 유량센서, 고압측 압력센서 및, 저압측 압력센서와; 상기 각 센서들과 실내기 부하량 검출부에 연결되어 검출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및 실내기 부하량으로부터 정상운전시 필요한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을 도출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의 출력값과 상기 유량 센서와 고압측 압력 센서 및 저압측 압력 센서의 각 검출값을 시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상운전상태와 실제운전상태의 냉매유량과 운전고압 및 운전저압간의 변화 이력에 따라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을 검출하는 판단부가 구비된 노트북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장치.
KR1020050010793A 2005-02-04 2005-02-04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 KR10067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793A KR100677263B1 (ko) 2005-02-04 2005-02-04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793A KR100677263B1 (ko) 2005-02-04 2005-02-04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523A true KR20060089523A (ko) 2006-08-09
KR100677263B1 KR100677263B1 (ko) 2007-02-02

Family

ID=3717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793A KR100677263B1 (ko) 2005-02-04 2005-02-04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2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8115A1 (zh) * 2018-08-21 2020-02-2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度检测判断方法、装置及空调器
CN116336608A (zh) * 2023-05-30 2023-06-27 广州豪特节能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空调系统异常数据传输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1668A (ja) * 1987-11-06 1989-05-15 Toshiba Corp 冷凍サイクル内の残留水分検出方法
JPH0331734A (ja) * 1989-06-29 1991-02-12 Toshiba Corp 冷凍サイクルの真空引きにおける通路チェック方法
JP3413565B2 (ja) * 1995-06-27 2003-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空冷吸収冷暖房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0203593B1 (ko) * 1995-12-29 1999-06-15 정몽규 에어콘의 냉매 충진방법
KR100452720B1 (ko) * 1998-04-30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기용진공장치및그진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8115A1 (zh) * 2018-08-21 2020-02-2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度检测判断方法、装置及空调器
CN116336608A (zh) * 2023-05-30 2023-06-27 广州豪特节能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空调系统异常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6336608B (zh) * 2023-05-30 2023-08-08 广州豪特节能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空调系统异常数据传输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263B1 (ko) 200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3646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91794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2884382B (zh) 热源侧热交换器用风扇的控制方法及空调装置
JP5405161B2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機器
KR102436213B1 (ko) 공조 관리 시스템, 공조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20090095000A1 (en) Air conditioner
EP2204621A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detecting malfunction thereof
US7997093B2 (en) Air conditioner
JP6911883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性能劣化診断システム
JP2000304388A (ja) 空気調和装置
US20240005212A1 (en) Correction apparatus, prediction apparatus,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and correction model
JP6141217B2 (ja) 圧縮機劣化診断装置及び圧縮機劣化診断方法
US11353251B2 (en) Air conditioner with fluid line diagnostics using feedback signals from a pump
JP2008039388A (ja) マルチ式空気調和機
KR100677263B1 (ko) 멀티 에어컨의 진공불량 검출방법 및 그 검출장치
JP6755131B2 (ja) 空気調和機
US734375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21055956A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判定システム
KR100539767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에어컨의 밸브 고장검출장치 및 그고장검출방법
JP4105413B2 (ja) マルチ式空気調和機
CN112611070B (zh) 空调器制冷剂循环异常确定方法及空调器
JP7350151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4413410A (zh) 多联机系统制冷剂充注不当容错控制方法及多联机系统
KR10067728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1967076A (zh) 复合式空调器的真空不良检测方法及其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