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231A -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231A
KR20060088231A KR1020050009052A KR20050009052A KR20060088231A KR 20060088231 A KR20060088231 A KR 20060088231A KR 1020050009052 A KR1020050009052 A KR 1020050009052A KR 20050009052 A KR20050009052 A KR 20050009052A KR 20060088231 A KR20060088231 A KR 20060088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pack
prevention means
charger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철
Original Assignee
지엠에스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에스전자(주) filed Critical 지엠에스전자(주)
Priority to KR102005000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8231A/ko
Publication of KR2006008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배터리 팩을 휴대폰 단말기 등에 결합하는 경우에만 터미널 블럭의 단자에 전류가 통전되고, 배터리 팩을 단말기로 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단자의 전원 라인이 항시 차단(OFF상태를 말함)되도록 하여, 여분의 배터리 팩을 주머니, 가방 등에 휴대할 때 동전, 열쇠 등의 도전성 물체와 단자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은, (+),(-)전원 단자가 상면에 장착되는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을 감싸 보호하는 상,하부 케이스와,
(+),(-)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배터리 셀의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PCM과,
PCM의 단자와 접속되고, 배터리 팩을 휴대용 단말기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하는 경우, 배터리 셀의 단자와 휴대폰 단말기 또는 충전기측에 접속되는 전원 단자를 연결하는 전원 라인을 항시 오프상태로 변환시켜 배터리 팩의 전원 단자에 쇼트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쇼트 방지수단이 장착된 터미널 블럭을 구비한다.
배터리 팩, 쇼트 방지수단, 전원 단자, 터미널 블럭

Description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battery pack of cellular phone of having short prevention mean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쇼트 방지수단의 요부발췌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쇼트 방지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11; 전원 단자
12; 배터리 셀
13,14; 케이스
15; PCM
16; 배터리 팩
17; 터미널 블럭
18; 제1터미널 단자
19; 제2터미널 단자
20; 수용홈
21; 돌출부
22; 제3터미널 단자
23; 돌출부
24; 절곡부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이 휴대폰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외부 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터미널 블럭 단자의 전원 라인이 항시 차단(OFF상태를 말함)되도록 하여, 도전성 물체와 단자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쇼트(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을 휴대폰 단말기 등에 결합하는 경우에만 터미널 블럭의 단자에 전류가 통전되고, 배터리 팩을 단말기로 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단자의 전원 라인이 항시 차단되도록 하여, 여분의 배터리 팩을 주머니, 가방 등에 휴대할 때 동전, 열쇠 등의 도전성 물체와 단자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cell)과, 과충전/과전류 방지 회로부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외부 단자와 연결을 위한 터미널 단자 등이 패키지형태로 몰딩성형되어 있다.
전술한 과충전/과전류 방지 회로는 인쇄회로기판상에 부착되는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몰드 패키지화 되어 있는 COB(chip on board)타입과, 몰드 패키지화되어 있지않은 PCM(protection circuit module)타입으로 분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은, 음극탭(1)이 상면에 형성되는 배터리 셀(2)과, 배터리 셀(2) 상면에 도통가능하게 스폿용접 고정되는 양극단자(3)와, 음극탭(1)에 고정되는 음극단자(4)와, 배터리 셀(2)에 과전류,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극단자(3)와 음극단자(4)에 스폿용접 고정되는 PCM(5)과, PCM(5)과 음극단자(4)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플레이트(6)를 구비한다.
종래의 배터리 팩은, 휴대폰 단말기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되는 여분의 배터리 팩을 주머니 또는 핸드백 등에 휴대하는 경우, 동전 또는 열쇠 등의 도전성 물체와 배터리 팩의 노출된 전원 단자의 접촉으로 인해 (+),(-)전원 단자에 쇼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전류는 2A이하 이지만, 통전 매체에 따라서는 100℃이상의 높은 열이 발생하여 배터리 팩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손상을 초래하여 사용수명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배터리 팩을 주머니에 휴대하여 이동중에 배터리 팩의 전원 단자에 쇼트가 발생되는 경우, 스파크로 인한 발화, 폭발으로 값비싼 의류를 태워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고, 사용자가 상해(傷害)를 입게되어 안전성이 떨어져 소비자로 부터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팩이 휴대폰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배터리측의 (-)단과 휴대폰 또는 충전기측에 접속되는 (-)전원 단자를 연결하는 전원 라인이 항시 오프상태로 변환되므로, 도전성 물체와 전원 단자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배터리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머니 등에 휴대되는 여분의 배터리 팩의 전원 단자와 도전성 물체의 접촉으로 인해 쇼트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스파크로 인한 발화, 폭발으로 의류 태우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성 확보로 인해 소비자로 부터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단자가 상면에 장착되는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을 감싸 보호하는 상,하부 케이스와,
(+),(-)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배터리 셀의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PCM과,
PCM의 단자와 접속되고, 배터리 팩을 휴대용 단말기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하는 경우, 배터리 셀의 단자와 휴대폰 단말기 또는 충전기에 접속되는 전원 단자를 연결하는 전원 라인을 항시 오프상태로 변환시켜 배터리 팩의 전원 단자에 쇼트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쇼트 방지수단이 장착된 터미널 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쇼트 방지수단은,
PCM의 단자와 일단이 접속되고, 터미널 블럭의 표면에 타단이 노출되도록 몰딩성형되는 제1터미널 단자와,
터미널 블럭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일단이 안착되고, 터미널 블럭의 표면에 타단이 노출되도록 몰딩성형되는 제2터미널 단자와,
PCM의 단자와 일단이 접속되고, 배터리 팩을 휴대폰 단말기 또는 충전기에 대해 결합시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휴대폰 단말기 또는 충전기에 형성된 돌출부의 가압에 의해 수용홈에 안착된 제2터미널 단자의 탄성변형으로 제2터미널 단자와 접 속되는 제3터미널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제2,3터미널 단자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돌출형성되고, 제2,3터미널 단자의 상호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전술한 제2터미널 단자의 타단에 형성되고, 배터리 팩을 휴대용 단말기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하는 경우 제2터미널 단자를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3터미널 단자로 부터 이탈시켜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절곡부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가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은, (+),(-)전원 단자(10,11)가 상면에 장착되는 배터리 셀(12)과, 배터리 셀(12)을 감싸 보호하는 상,하부 케이스(13,14)와, (+),(-)전원 단자(10,11)에 접속되어 배터리 셀(12)의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PCM(15)을 구비한다.
또한, PCM(15)의 단자와 접속되고, 배터리 팩(16)을 휴대용 단말기 또는 충전기(미도시됨)로 부터 분리하는 경우, 배터리 셀(12)의 단자(-)(11)와 휴대폰 단말기(30) 또는 충전기에 접속되는 전원 단자(-)(16)를 연결하는 전원 라인을 항시 오프(OFF)상태로 변환시켜 배터리 팩(16)의 전원 단자에 쇼트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쇼트 방지수단이 장착된 터미널 블럭(17)을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쇼트 방지수단은,
PCM(15)의 단자와 일단이 접속되고, 터미널 블럭(17)의 표면에 타단이 노출되도록 몰딩성형되는 제1터미널 단자(18)와, 터미널 블럭(17)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20)에 일단이 안착되고, 터미널 블럭(17)의 표면에 타단이 노출되도록 몰딩성형되는 제2터미널 단자(19)와, PCM(15)의 단자와 일단이 접속되고, 배터리 팩(16)을 휴대폰 단말기(30) 또는 충전기에 대해 결합시 수용홈(20)에 수용되도록 휴대폰 단말기 또는 충전기에 형성된 돌출부(21)의 가압에 의해 수용홈(20)에 안착된 제2터미널 단자(19)의 탄성변형으로 인해 제2터미널 단자(19)와 접속되는 제3터미널 단자(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제2,3터미널 단자(19,22)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돌출형성되고(도면에서는, 제2터미널 단자(19)의 바닥면에 형성됨), 제2,3터미널 단자(19,22)의 상호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돌출부(23)를 구비한다.
또한, 전술한 제2터미널 단자(19)의 타단에 형성되고, 배터리 팩(16)을 휴대용 단말기(30)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하는 경우 제2터미널 단자(19)를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3터미널 단자(22)로 부터 이탈시켜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절곡부(24)를 구비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전술한 쇼트 방지수단으로서, 전술한 제2,3터미널 단자(19,22)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고, 발광센서로 부터 발광되는 빛을 수광센서의 검출에 의해 배터리 팩(16)을 휴대폰 단말기(30)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하는 경우 제2,3터미널 단자(19,22)를 연결하는 전원 라인을 차단시키는 광센서 등으로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를 휴대하지 못하는 사유로 인해 휴대폰 단말기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된 여분의 배터리 팩(충전된 상태의 배터리를 말함)을 사용자의 주머니, 핸드백 등에 휴대하는 경우에도 배터리 팩에 노출된 단자에 쇼트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여분의 배터리 팩을 휴대폰 단말기(30)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하는 경우, 전술한 터미널 블럭(17)에 형성된 수용홈(20)에 위치하도록 휴대폰 단말기(30) 또는 충전기에 형성된 돌출부(21)를 가압한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제2터미널 단자(19)의 절곡부(24)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터미널 단자(19)는 제3터미널 단자(22)로 부터 이격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 셀(12)의 (-)단과 휴대폰 단말기(30) 또는 충전기에 접속되는 (-)단자를 연결하는 전원 라인이 오프(OFF)상태로 변환된다. 따라서 배터리 팩(16)을 휴대폰 단말기(30)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하여 주머니에 휴대하는 경우에 배터리 팩(16)의 노출된 단자에 동전, 또는 열쇠 등의 도전성 물체(미도시됨)가 접촉되는 경우에도 쇼트 발생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배터리 팩이 휴대폰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터미널 블럭의 단자 전원 라인이 항시 차단(OFF)상태로 전환되어 도전성 물체와 단자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배터리 방전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 등에 휴대되는 여분의 배터리 팩의 전원 단자와 도전성 물체의 접촉으로 인해 쇼트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스파크로 인한 발화, 폭발 발생으로 인해 의류를 태우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 확보로 인해 소비자로 부터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을 갖는다.

Claims (4)

  1. (+),(-)전원 단자가 상면에 장착되는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을 감싸 보호하는 상,하부 케이스;
    상기 (+),(-)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PCM; 및
    상기 PCM의 단자와 접속되고, 배터리 팩을 휴대용 단말기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하는 경우, 배터리 셀의 단자와 휴대폰 단말기 또는 충전기측에 접속되는 전원 단자를 연결하는 전원 라인을 항시 오프상태로 변환시켜 배터리 팩의 전원 단자에 쇼트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쇼트 방지수단이 장착된 터미널 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쇼트 방지수단은;
    상기 PCM의 단자와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터미널 블럭의 표면에 타단이 노출되도록 몰딩성형되는 제1터미널 단자;
    상기 터미널 블럭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터미널 블럭의 표면에 타단이 노출되도록 몰딩성형되는 제2터미널 단자; 및
    상기 PCM의 단자와 일단이 접속되고, 배터리 팩을 휴대폰 단말기 또는 충전기에 대해 결합시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휴대폰 단말기 또는 충전기에 형성된 돌출 부의 가압에 의해 수용홈에 안착된 제2터미널 단자의 탄성변형으로 제2터미널 단자와 접속되는 제3터미널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3터미널 단자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3터미널 단자의 상호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터미널 단자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팩을 휴대용 단말기 또는 충전기로 부터 분리하는 경우 제2터미널 단자를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3터미널 단자로 부터 이탈시켜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
KR1020050009052A 2005-02-01 2005-02-01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 KR20060088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052A KR20060088231A (ko) 2005-02-01 2005-02-01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052A KR20060088231A (ko) 2005-02-01 2005-02-01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231A true KR20060088231A (ko) 2006-08-04

Family

ID=3717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052A KR20060088231A (ko) 2005-02-01 2005-02-01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82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5516B (en) Power supply uni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274839B1 (ko) 리드 플레이트를 통해 배어셀의 열을 온도 감응 소자에 전달하는 이차 전지
KR20020070653A (ko) 충전지 팩
CN108155429B (zh) 过充安全保护装置
KR20090032273A (ko)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및 이의동작방법
JP2005347251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ヒュー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100726590B1 (ko) 하이브리드칩형 배터리 보호회로모듈
KR20070108800A (ko) 방수 및 내구성이 향상된 전지팩
KR20060088231A (ko) 쇼트 방지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용 배터리 팩
KR100749353B1 (ko) 리튬이온 배터리팩의 보호회로
JP2004199991A (ja) 角形電池
KR20080099469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656504B1 (ko) 회로 차단기 및 그를 구비한 전지팩
KR20040052845A (ko) 배터리 충전형 단말기의 외부 충전단자 단락시 보호장치
KR1010034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KR100989969B1 (ko) 배터리 팩의 고온 폭발 방지 장치
JPH09199183A (ja) 二次電池パックの安全回路
JP2003070153A (ja) 二次電池パックの過昇温防止方法
KR20070056835A (ko) 배터리 셀 보호장치를 구비한 배터리 팩
JP2000040503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パック
JPH0928045A (ja) バッテリー充電装置及び充電制御方法
KR100591434B1 (ko) 외부 쇼트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KR19980048620U (ko) 오삽입방지 기능을 구비한 건전지케이스
KR0131065Y1 (ko) 1차전지와 겸용할 수 있는 재충전 밧데리 장치 및 휴대용 장치
JPH06310114A (ja) 電池パックの短絡防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