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425A - 리어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리어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425A
KR20060087425A KR1020060008076A KR20060008076A KR20060087425A KR 20060087425 A KR20060087425 A KR 20060087425A KR 1020060008076 A KR1020060008076 A KR 1020060008076A KR 20060008076 A KR20060008076 A KR 20060008076A KR 20060087425 A KR20060087425 A KR 20060087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device
air
housing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447B1 (ko
Inventor
시게유키 세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 장치 및 전원계의 냉각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리어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리어 프로젝터(1)는 광원 장치(41)와, 화상을 형성하는 광변조 장치 및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 장치를 갖는 광학계와, 투사 화상을 투영하는 스크린과, 장치 전체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계(61)와, 이들이 수납되는 상자형의 하우징(3)을 구비한다. 하우징(3)은 스크린이 설치되는 하우징면의 단부로부터 배면측에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을 구비한다. 광원 장치(41) 및 전원계(61)는 광학계를 개재시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이들은 스크린의 투사면을 따라 배열된다. 하우징(3)의 측면중 광원 장치(41)에 근접하는 측면에는 광원 장치(41)를 냉각한 공기를 배출하는 제 1 배기구(37A)가 형성되고, 전원계(61)에 근접하는 측면에는 전원계(61)를 냉각한 공기를 배출하는 제 2 배기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리어 프로젝터{REAR PROJ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리어 프로젝터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어 프로젝터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어 프로젝터를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캐비넷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부 캐비넷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부 캐비넷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유닛의 광학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부 캐비넷의 저면부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1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유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 프로젝터 2 : 상부 캐비넷(하우징)
2B : 스크린 3 : 하부 캐비넷(하우징)
33 : 레그부 36(36A, 36B) : 흡기구
37A : 배기구(제 1 배기구)
37B, 37C : 배기구(제 2 배기구)
39 : 저면부
39C : 개구부(전원계 냉각용의 개구)
39D : 개구부(광원 장치 냉각용의 개구) 39F : 리브(격벽)
41 : 광원 장치
42 :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광학계) 43 : 색분리 광학계(광학계)
44 : 릴레이 광학계(광학계) 45 : 전기 광학 장치(광학계)
46 : 투사 렌즈(투사 광학 장치, 광학계) 61 : 전원 블럭(전원계)
82 : 냉각 팬 83 : 덕트
451(451R, 451G, 451B) : 액정 패널(광변조 장치)
본 발명은 광원 장치와,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광변조 장치, 및 상기 광변조 장치로 형성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 장치를 갖는 광학계와, 이 투사 광학 장치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투영되는 스크린과, 장치 전체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계와, 상기 광원 장치, 상기 광학계, 상기 전원계 및 상기 스크린이 수납되는 상자형의 하우징을 구비한 리어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내에서의 홈 시어터(Home Theater) 등의 용도로서 프로젝터가 보급되고 있다. 이로한 종류의 프로젝터로서, 광원 장치와, 이 광원 장치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광변조 장치와, 이 광변조 장치로 형성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 장치와, 이 투사 광학 장치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투영되는 투광성의 스크린과, 광원 및 광변조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본체의 구동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계와, 이들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와, 이들을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리어 프로젝터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광변조 장치로 형성된 화상을 배면측에서 스크린에 투영함으로써, 시청자는 정면측에서 화상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어 프로젝터의 구동시는, 광원 장치 및 전원계가 고온 상태로 되지만, 이들 광원 장치 및 전원계의 구성 부품은 열에 약한 것이 다수 이용되고 있고, 리어 프로젝터를 안정하게 구동하기 위해서는, 이들 구성 부품을 효율적으로 냉각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리어 프로젝터 내부에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취입하고, 상기 냉각 공기를 각 구성 부품에 송풍해서 냉각하는 리어 프로젝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의 리어 프로젝터는, 하우징(하부 캐비넷)의 한쪽의 측면에 형성된 흡기용 개구를 거쳐서, 하우징 외부의 냉각 공기를 도입하고, 상기 냉각 공기를 화상을 형성하는 광학 유닛, 및 전원 장치(제 1 전원 장치, 제 2 전원 장치)에 유통시킨 후,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용 개구로부터 외부에 배출하는 냉각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하면, 이 냉각 유로는 광원 냉각 유로, 광학 장치 냉각 유로, 제어 기판 냉각 유로 및 전원 냉각 유로로 분류되고, 하우징내에 설치된 팬에 의해 흡기용 개구로부터 도입한 냉각 공기의 일부가 제어 기판 냉각 유로를 유통해서 제어 기판(제어계)을 냉각하고, 나머지의 일부가 광학 장치 냉각 유로를 유통해서 광학 장치를 냉각하고, 광학 장치의 상방에서 합류한다. 이 합류한 냉각 공기의 일부는 광원 냉각 유로를 유통해서 광원 장치를 냉각시키고, 배기용 개구로부터 배기된다. 또한, 합류한 냉각 공기의 나머지의 일부는 전원 냉각 유로를 유통해서 전원 장치를 냉각시킨 후, 배기용 개구로부터 배출된다. 여기에서, 광원 장치를 냉각한 공기는 덕트를 거쳐서 배출된다. 이에 의해, 리어 프로젝터의 각 구성 부품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337377 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광원 장치 및 전원 장치가 근접해서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냉각하는 냉각 공기의 유로를 덕트 등에 의해 분리해도, 한쪽에서 발생한 열이, 부품(예를 들면 덕트)을 통해 다른쪽으로 전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전도한 열이 냉각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광원 장치 및 전원 장치를 각각 적절하게 냉각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의 리어 프로젝터에 사용할 수 있는 광원 장치는 발광 휘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고, 이것에 따라 구동시의 광원 장치는 고온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광원 장치 및 전원 장치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리어 프로젝터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 장치 및 전원계를 적절하게 냉각할 수 있고, 이들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어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리어 프로젝터는, 광원 장치와,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광변조 장치, 및 상기 광변조 장치로 형성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 장치를 갖는 광학계와, 이 투사 광학 장치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투영되는 스크린과, 장치 전체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계와, 상기 광원 장치, 상기 광학계, 상기 전원계 및 상기 스크린이 수납되는 상자형의 하우징을 구비한 리어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크린이 설치되는 하우징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 장치 및 상기 전원계는 상기 광학계를 개재시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 기 광원 장치, 상기 광학계 및 상기 전원계는 상기 스크린의 투사면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중, 상기 광원 장치에 근접하는 쪽의 측면에는 상기 광원 장치를 냉각한 공기를 배출하는 제 1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계에 근접하는 쪽의 측면에는 상기 전원계를 냉각한 공기를 배출하는 제 2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프로젝터를 구성하는 광원 장치와 전원계가 광학계를 개재해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이들이 스크린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어 프로젝터 내부에서는, 광원 장치와 전원계가 이격되어 배치되게 된다. 또한, 광원 장치를 냉각한 공기는, 하우징의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중, 상기 광원 장치에 근접하는 쪽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배기구로부터 배출되고, 전원계를 냉각한 공기는, 다른쪽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어 프로젝터내에는, 광원 장치를 냉각하는 공기의 유로와, 전원계를 냉각하는 공기의 유로가 각각 독립해서 형성되게 된다. 이에 의하면, 광원 장치 및 전원계를 광학계를 개재해서 각각 이격시켜 배치하고, 이들 광원 장치 및 전원계를 냉각하는 각각의 공기의 유로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광원 장치 및 전원계의 각각의 냉각 유로에 있어서의 열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공기의 불필요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광원 장치 및 전원계를 효과적으로 냉각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배기구와 상기 광원 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광원 장치를 냉각한 공기를 상기 제 1 배기구를 거쳐서 외부에 유도하는 덕트를 구비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 장치를 냉각한 공기는, 광원 장치와 제 1 배기구를 접속하는 덕트내를 유통하고, 제 1 배기구로부터 배출된다. 이것에 의하면, 광원 장치의 냉각에 기여하여, 뜨겁게 된 공기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뜨겁게 된 공기가 하우징내에 확산·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 내부의 고온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내를 저온화할 수 있고, 광원 장치 및 전원계를 포함하는 리어 프로젝터의 구성 부품의 온도 상승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배기구와 상기 광원 장치의 사이에는 상기 광원 장치를 냉각하는 냉각 팬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 팬의 흡기면은 상기 광원 장치에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냉각 팬은 팬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흡기된 공기를 회전 접선 방향으로 배기하는 원심력 팬(시로코(sirocco) 팬)이여도 좋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팬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축 방향을 따라서 공기를 취입하고 배출하는 축류 팬이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 팬은 상기 냉각 팬의 흡기면이 광원 장치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냉각 팬의 흡기측에는 광원 장치가 위치하는 것으로 되므로, 상기 냉각 팬의 구동과 함께, 광원 장치의 주위의 공기는 상기 광원 장치를 냉각하면서 광원 장치를 따라 통류하고, 냉각 팬의 흡기면을 향해서 집약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면, 광원 장치에 확산하지 않고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고, 냉각한 공기를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광원 장치의 냉각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 팬의 흡기면이 광원 장치에 대향 배치되어 있으므로, 냉각 팬의 구동에 의해, 광원 장치의 주위의 공기가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한층 광원 장치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 팬이 광원 장치의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원 장치의 냉각에 기여하여, 뜨겁게 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인해서 배출 할 수 있어서, 광원 장치의 냉각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레그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내에 적어도 상기 광원 장치 및 상기 전원계가 설치되는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면부는, 상기 하우징이 설치되는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기 하우징을 설치했을 때에, 상기 저면부의 하방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적어도 2개의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에는, 상기 광원 장치 및 상기 전원계의 근방에, 상기 2개의 흡기구중, 한쪽의 흡기구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상기 광원 장치로 유통시키는 광원 장치 냉각용의 개구와, 다른쪽의 흡기구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상기 전원계로 유통시키는 전원계 냉각용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 장치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의 유로(냉각 유로)와, 전원계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의 유로를 분리할 수 있다.
즉, 한쪽의 흡기구로부터 저면부의 하방으로 도입된 공기는, 광원 장치 냉각 용의 개구로부터 광원 장치를 향해서 유통하고, 상기 광원 장치를 냉각시킨 후, 광원 장치에 근접하는 쪽의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배기구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다른쪽의 흡기구로부터 저면부의 하방으로 도입된 공기는, 전원계 냉각용의 개구로부터 전원계를 향해서 유통하고, 상기 전원계를 냉각한 후, 전원계에 근접하는 쪽의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배기구로부터 배출된다. 이것에 의하면, 광원 장치의 냉각 유로와, 전원계의 냉각 유로의 독립성을 높일 수 있고, 상호의 열간섭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 장치 및 전원계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 장치의 냉각 유로와 전원계의 냉각 유로를 분리한 것에 의해, 공기의 유통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한층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리어 프로젝터의 구성 부품을 한층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면부의 하면에는 각각의 상기 흡기구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사이를 막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기구로부터 광원 장치 및 전원계에 도달하는 공기의 유로를 격벽에 의해 분리한 것에 의해, 광원 장치의 냉각 유로 및 전원계의 냉각 유로의 독립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광원 장치 및 전원계에 도달하는 각각의 유로의 열간섭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로를 독립시킨 것에 의해, 광원 장치 및 전원계의 한쪽에 공기의 유통이 집중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광원 장치 및 전원계를 균등하게 냉각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리어 프로젝터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리어 프로젝터(1)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리어 프로젝터(1)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3은 상기 리어 프로젝터(1)를 좌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또, 도 3에서 말하는 좌측은 리어 프로젝터(1)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좌측을 가리킨다.
리어 프로젝터(1)는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입력하는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해서 광학상을 형성하고, 형성한 광학상을 상기 리어 프로젝터(1)에 설치된 투광성의 스크린(2B)에 확대 투사하는 것이다.
(1) 외관 구성
리어 프로젝터(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측에서 보아서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고, 종단면 대략 삼각형상을 갖는 상부 캐비넷(2)과, 이 상부 캐비넷(2)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부 캐비넷(3)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부 캐비넷(2) 및 하부 캐비넷(3)은 서로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중, 상부 캐비넷(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후술하는 반사 미러(2A)(도 4)를 수납하는 미러 케이스(21)와, 스크린(2B)을 유지하는 프레임(22)을 구비해서 구성된다.
또한, 하부 캐비넷(3)은 상부 캐비넷(2)을 지지하는 동시에, 리어 프로젝터(1)의 주요한 구성 부품을 내부에 수납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상자형 하우징이다.
(1-1) 리어 프로젝터(1)의 정면 구성
리어 프로젝터(1)의 정면측, 즉 상부 캐비넷(2)의 정면측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22)이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22)은 후술하는 미러 케이스(21)(도 2)의 정면측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러 케이스(21)의 정면측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프레임(22)은 상술과 같이 광학상이 투사되는 스크린(2B)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프레임(22)의 대략 중앙에는 스크린(2B)의 광학상 투사 영역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대략 장방형 형상의 개구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21)로부터 스크린(2B)이 노출된다. 또한, 이 개구부(221)의 좌우 양측에는, 배면측에 각각 2개의 스피커(도시 생략)가 배치된 스피커 설치부(222, 2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크린(2B)은 프레넬 시트(Fresnel sheet), 렌티큘러 시트 및 유리판 등의 보호판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중, 프레넬 시트는 후술하는 광학 유닛의 투사 렌즈로부터 사출되고, 후술하는 반사 미러(2A)(도 4)에서 반사된 광속을 평행화한다. 또한, 렌티큘러 시트는, 프레넬 시트를 투과해서 평행화된 광속을 상기 렌티큘러 시트에 의해 확산하고, 표시 화상을 적절하게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하부 캐비넷(3)의 정면측에는 대략 중앙에 대략 장방형 형상의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회동해서, 상기 개구부(31)를 폐쇄 및 개방하는 커버 부재(31A)가 설치된다.
이 개구부(31)의 내부에는,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정면측 조작 패널로서의 정면 패널이 설치된다. 이 정면 패널의 좌측 부분에는, 음량 조절이나 화질 조정 등을 실행하는 각종 조작 스위치, PC(퍼스널 컴퓨터) 접속 단자로서의 D-Sub 단자, 스테레오 음성 입력 단자, 비디오 입력 단자, S 단자 등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정면 패널의 우측 부분에는, 각종 반도체 메모리 카드가 삽입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가 배설되어 있다. 이러한 개구부(31)의 우측에는 전원 스위치(32)가 설치된다. 이들 정면 패널 및 전원 스위치(32)는 후술하는 제어 기판(5)(도 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부 캐비넷(3)의 정면측 좌우 양단에는 레그부(33)가 형성되어 있다.
(1-2) 리어 프로젝터(1)의 배면 구성
리어 프로젝터(1)의 배면측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캐비넷(2)의 미러 케이스(21) 및 하부 캐비넷(3)에 의해 구성된다.
이중, 미러 케이스(21)는 종단면 대략 삼각형상을 갖는 합성 수지제의 상자형 하우징이다. 이 미러 케이스(21)는 리어 프로젝터(1)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벽(211)과, 이 배면벽(211)의 하방 단부와 접속되는 저면벽(212)과, 이들 배면벽(211) 및 저면벽(212)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측벽(213, 2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미러 케이스(21)의 정면측에는 측벽(213, 214)에 대략 직교하 고, 서로 이간하는 방향, 즉 리어 프로젝터(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15, 216)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벽(211)은 긴 변이 상방에 위치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형상을 갖고, 후방의 아래쪽을 향해서 경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배면벽(211)의 내측의 면에는 후술하는 반사 미러(2A)(도 4)가 소정 각도에서 지지되어 있다.
한쌍의 측벽(213, 214)은 배면벽(211) 및 저면벽(212)의 좌우 양단을 접속하도록 형성되고 있고, 후방을 향함에 따라 내측으로 경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15, 216)는 측벽(213, 214)의 세로치수보다 크게 형성되고, 대략 중앙 부분에 배면 방향을 향해서 팽출한 팽출부(215A, 21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부(215A, 216A)는 프레임(22)의 스피커 설치부(222, 223)(도 1)와 결합되어, 스피커 밀폐부를 형성한다.
하부 캐비넷(3)은 상술과 같이 상부 캐비넷(2)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과 일치하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방을 측벽에 의해 둘러싸여진 상자형 하우징이다.
이 하부 캐비넷(3)의 배면측에는 도 2에 있어서의 좌측에 제 1 오목부(34)가 형성되고, 우측에 제 2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중, 제 1 오목부(34)에는 대략 정방형상의 램프 교환구(34A)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 교환구(34A)는 램프 커버(34B)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 램프 교환구(34A)는 램프 커버(34B)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램프 교환구(34A)를 거쳐서, 후술하는 광학 유닛(4)의 광원 장치(41)(도 5 및 도 8)를 교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제 2 오목부(35)에는 전원 케이블(35A), 및 배면측 조작 패널로서의 리어 패널(35B)이 설치된다. 이중, 리어 패널(35B)에는, 구체적으로 PC 접속 단자로서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안테나 입력 단자, 및 복수 계통의 비디오 및 음성 입출력 단자 등이 배설되어 있다.
또, 제 1 오목부(34) 및 제 2 오목부(35)의 하방에는 하부 캐비넷(3) 내부에 수납된 전자 부품을 냉각하는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2개의 흡기구(36(36A, 3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캐비넷(3)의 배면을 협지하는 양 측면, 상술하면 하부 캐비넷(3)을 배면측에서 보아서 제 1 오목부(34)의 좌측 및 제 2 오목부(35)의 우측에는 배기구(37(37A, 37B, 37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기구(37A 내지 37C)는 하부 캐비넷(3)내의 각종 장치를 냉각한 공기가 배출되는 개구이며,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중, 제 1 오목부(34)의 좌측에 형성된 배기구(37A)는 본 발명의 제 1 배기구에 상당하고, 후술하는 광원 장치(41)(도 5) 및 광원 구동 블럭(62)(도 6)을 냉각한 공기를 배출한다. 또한, 제 2 오목부(35)의 우측에 형성된 배기구(37B, 37C)는 본 발명의 제 2 배기구에 상당하고, 후술하는 제어 기판(5)(도 5) 및 전원 블럭(61)(도 6)을 냉각한 공기를 배출한다.
(2) 내부 구성
(2-1) 상부 캐비넷(2)의 내부 구성
도 4는 상부 캐비넷(2)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스크린(2B)을 제거한 리어 프로젝터(1)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상부 캐비넷(2)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캐비넷(3) 내부에 설치된 후술하는 광학 유닛(4)(도 5 및 도 8)의 투사 렌즈(46)(도 8)로부터 사출된 광학상으로서의 광속을 반사하는 반사 미러(2A)가 수납된다. 이 반사 미러(2A)는 배면벽(211)(도 2)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미러이며, 상부 캐비넷(2)의 배면벽(211)(도 2)의 내측에, 사다리꼴 형상의 긴 변이 상측으로 되도록 경사져서 부착되어 있다. 이 반사 미러(2A)의 경사각은 정면측에 부착할 수 있는 스크린(2B)(도 1)과 후술하는 광학 유닛(4)(도 5 및 도 8)의 투사 렌즈(46)(도 8)에 의한 영상의 반사로 설정된 위치 관계에 근거해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미러 케이스(21)의 저면벽(212)은 긴 변이 전방측에 위치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저면벽(21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 같이, 배면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경사하도록 형성되고, 배면측의 단부에서 배면벽(211)과, 또한 좌우의 단부에서 측벽(213, 214)과 접속되어 있다.
이 저면벽(212)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측의 대략 중앙 부분에 대략 장방형의 노치(212A)가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광학 유닛(4)(도 5 및 도 8)의 투사 렌즈(46)가 노출한다. 또한, 상기 노치(212A)의 좌측에는 상방으로 향해서 팽출한 팽출부(2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부(212B)는 후술하는 전원 유닛(6)(도 5)의 전원 블럭(61)(도 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2-2) 하부 캐비넷(3)의 내부 구성
도 5는 하부 캐비넷(3)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하면, 도 5는 도 2의 상태로부터 하부 캐비넷(3)의 배면측의 외장 케이스를 제거한 리어 프로젝터(1)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하부 캐비넷(3)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하부 캐비넷(3)의 내부에는 화상을 형성하는 광학 유닛(4), 리어 프로젝터(1) 전체의 구동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기판(5), 및 리어 프로젝터(1)를 구성하는 각 전자 부품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6) 등을 수납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광학 유닛(4), 제어 기판(5) 및 전원 유닛(6)은 상부 캐비넷(2)에 유지되는 스크린(2B)에 따라, 하부 캐비넷(3)의 저면부(39)에 설치되어 있다. 즉, 화상형성 등의 리어 프로젝터(1)에 있어서의 주요한 처리는 하부 캐비넷(3)내에 수납된 구성 부품에 의해 실행된다.
이중, 광학 유닛(4)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캐비넷(3)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우측, 즉 배면측에서 보아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 기판(5) 및 전원 유닛(6)은 하부 캐비넷(3)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좌측, 즉 배면측에서 보아서 대략 중앙으로부터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3) 광학 유닛(4)의 구성
도 7은 광학 유닛(4)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광학 유닛(4)의 광학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광학 유닛(4)은 광원 장치(41)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액정 패널(451)에 의해, 입력하는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해서 광학상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한 광학상을 투사 렌즈(46)에 의해 반사 미러(2A)(도 4)를 거쳐서, 스크린(2B)(도 1)에 확대 투사하는 것이다. 이 광학 유닛(4)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캐비넷의 저면부(39)(도 5)의 상면에 설치된 광학 유닛 탑재대(38)상에 탑재된다.
또, 이 광학 유닛 탑재대(38)는 복수의 판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광학 유닛(4)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판형상 부재이다.
이러한 광학 유닛(4)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41)와,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2)와, 색분리 광학계(43)와, 릴레이 광학계(44)와, 전기 광학 장치(45)와, 투사 광학 장치로서의 투사 렌즈(46)와, 이들을 내부에 수납하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47)과, 투사 렌즈(46)를 유지 고정하는 헤드체(48)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2)와, 색분리 광학계(43)와, 릴레이 광학계(44)와, 전기 광학 장치(45)와, 투사 광학계로서의 투사 렌즈(46)가 본 발명의 광학계에 상당한다.
광원 장치(41)는 광학 유닛(4)에 있어서의 가장 우측, 즉 리어 프로젝터(1)를 배면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광학 유닛(4)에 있어서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고 있고, 광학 유닛(4)을 구성하는 부품중에서, 전원 블럭(61)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광원 장치(41)는 방사 광원으로서의 광원 램프(411)와, 리플렉터(412)와, 방폭 유리(413)와, 이들을 내부에 수납하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인 광원 램프 박스(414)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광원 장치(41)는 광원 램프(411)로부터 사출된 방사상의 광선을 리플렉터(412)로 반사해서 평행 광선으로 하고, 이 평행 광선을 방폭 유리(413)를 통해 외부로 사출한다.
이중, 광원 램프(41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압 수은 램프가 채용되고 있다. 또한, 고압 수은 램프 이외에, 메탈 할라이드 램프나 할로겐 램프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리플렉터(412)로서는 포물면 거울을 채용하고 있지만, 포물면 거울 대신에, 평행화 오목 렌즈 및 타원면 거울을 조합한 것을 채용해도 좋다.
방폭 유리(413)는 리플렉터(412)의 개구 부분을 폐쇄하는 투광성의 유리 부재이며, 광원 램프(411)가 파열된 경우에, 상기 광원 램프(411)의 파편이 광원 램프 박스(414)로부터 외부로 비산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원 램프 박스(414)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41)를 리어 프로젝터(1)내에 수납했을 때의 배면 방향을 향해서 연장한 한쌍의 손잡이(414A)가 형성되어 있고, 광원 장치(41)를 교환할 때에, 광원 램프 박스(414)를 파지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원 램프(411)의 수명 및 파손 등에 의해 광원 장치(41)를 교환하는 필요가 생겼을 경우에는, 전술의 램프 커버(34)B(도 2)를 개방하고, 램프 교환구(34A)(도 2)로부터 광원 장치(41)마다 교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2)는 전기 광학 장치(45)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3 개의 액정 패널(451)의 화상 형성 영역을 거의 균일하게 조명하기 위한 광학계이다. 이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렌즈 어레이(421)와, 제 2 렌즈 어레이(422)와, 편광 변환 소자(423)와, 중첩 렌즈(424)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렌즈 어레이(421)는 광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거의 장방형의 윤곽을 갖는 소형 렌즈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갖고, 각 소형 렌즈는 광원 장치(41)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복수의 부분 광속으로 분할하고 있다.
제 2 렌즈 어레이(422)는 제 1 렌즈 어레이(42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소형 렌즈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갖고 있다. 이 제 2 렌즈 어레이(422)는 중첩 렌즈(424)와 함께 제 1 렌즈 어레이(421)의 각 소형 렌즈의 상을 후술하는 액정 패널(451)상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편광 변환 소자(423)는 제 2 렌즈 어레이(422)와 중첩 렌즈(424)의 사이에 배설된다. 이러한 편광 변환 소자(423)는 제 2 렌즈 어레이(422)로부터의 광을 대략 1종류의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45)에서의 광의 이용 효율이 높여져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 변환 소자(423)에 의해 대략 1종류의 직선 편광으로 변환된 각 부분광은 중첩 렌즈(424)에 의해 최종적으로 전기 광학 장치(45)의 후술하는 액정 패널(451)상에 거의 중첩된다. 편광광을 변조하는 타입의 액정 패널(451)을 채용한 리어 프로젝터(1)에서는 1종류의 직선 편광밖에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임의적인 편광광을 발생하는 광원 램프(411)로부터의 광의 거의 반이 이 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편광 변환 소자(423)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광원 램프(411)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대략 1종류의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고, 전기 광학 장치(45)에서의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있다.
또, 이러한 편광 변환 소자(423)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6-304739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색분리 광학계(43)는 2매의 다이크로익 미러(431, 432)와, 반사 미러(433)를 구비하고, 다이크로익 미러(431, 432)에 의해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2)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적색(R), 녹색(G), 청색(B)의 3색의 색광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릴레이 광학계(44)는 입사측 렌즈(441)와, 릴레이 렌즈(443)와, 반사 미러(442, 444)를 구비하고, 색분리 광학계(43)로 분리된 색광인 적색광을 전기 광학 장치(45)의 후술하는 적색광용의 액정 패널(451R)까지 유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 색분리 광학계(43)의 다이크로익 미러(431)에서는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2)로부터 사출된 광속의 적색광 성분과 녹색광 성분이 투과하는 동시에, 청색광 성분이 반사한다. 다이크로익 미러(431)에 의해 반사한 청색광은 반사 미러(433)로 반사하고, 필드 렌즈(455)를 통해서, 전기 광학 장치(45)의 후술하는 청색광용의 액정 패널(451B)에 도달한다. 이 필드 렌즈(455)는 제 2 렌즈 어레이(422)로부터 사출된 각 부분 광속을 그 중심축(주 광선)에 대하여 평행한 광속으로 변환한다. 다른 녹색광용, 적색광용의 광변조 장치의 광속 입사측에 설치된 필드 렌즈(455)도 마찬가지다.
또한, 다이크로익 미러(431)를 투과한 적색광과 녹색광중에서, 녹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32)에 의해 반사되고, 필드 렌즈(455)를 통해서, 녹색광용의 액정 패널(451G)에 도달한다. 한편, 적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32)를 투과해서 릴레이 광학계(44)를 통과하고, 또한 필드 렌즈(455)를 통해서, 적색광용의 액정 패널(451R)에 도달한다.
또한, 적색광으로 릴레이 광학계(44)가 채용되어 있는 것은, 적색광의 광로의 길이가 다른 색광의 광로의 길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광의 발산 등에 의한 광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입사측 렌즈(441)에 입사한 부분 광속을 그대로 필드 렌즈(455)에 전해주기 위해서이다. 또, 릴레이 광학계(44)에는 3개의 색광중 적색광을 통과시키는 구성이라고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청색광이나 녹색광을 통과시키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전기 광학 장치(45)는 입사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해서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며, 색분리 광학계(43)로 분리된 각 색광이 입사되는 3개의 입사측 편광판(452)과, 각 입사측 편광판(452)의 광로 후단에 배치되는 광변조 소자로서의 3개의 액정 패널(451)(적색광용의 액정 패널을 451R, 녹색광용의 액정 패널을 451G, 청색광용의 액정 패널을 451B 라고 한다)과, 각 액정 패널(451)의 광로 후단에 배치되는 3개의 사출측 편광판(453)과, 색 합성 광학 장치로서의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54)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입사측 편광판(452), 액정 패널(451), 사출측 편광판(453), 및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54)은 일체적으로 유닛화되어 있다. 또, 입사측 편광판(452), 액정 패널(451), 및 사출측 편광판(453)은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지만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입사측 편광판(452)은 편광 변환 소자(423)로 편광 방향이 대략 한방향으로집중된 각 색광이 입사되어, 입사된 광속중 편광 변환 소자(423)로 집중된 광속의 편광축과 대략 동일 방향의 편광광만 투과시키고, 그 밖의 광속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 입사측 편광판(452)은, 예컨대 사파이어 유리 또는 수정 등의 투광성 기판상에 편광막이 부착된 구성을 갖고 있다.
액정 패널(451)은 본 발명의 광변조 장치에 상당하고, 한쌍의 투명 유리 기판에 전기 광학 물질인 액정이 밀폐 봉입된 구성을 갖고, 후술하는 제어 기판으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구동 신호에 따라, 화상 형성 영역내에 있는 상기 액정의 배향 상태가 제어되고, 입사측 편광판(452)으로부터 사출된 편광 광속의 편광 방향을 변조한다.
사출측 편광판(453)은 입사측 편광판(452)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며, 액정 패널(451)의 화상 형성 영역에서 사출된 광속중 입사측 편광판(452)에 있어서의 광속의 투과축과 직교하는 편광축을 갖는 광속만 투과시키고, 그 밖의 광속을 흡수하는 것이다.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54)은 사출측 편광판(453)으로부터 사출된 색광 마다 변조된 광학상을 합성해서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광학 소자이다. 이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54)은 4개의 직각 프리즘을 서로 접합한 평면에서 보아 정방형상을 이루고, 직각 프리즘을 서로 부착한 계면에는, 2개의 유전체 다층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유전체 다층막은 액정 패널(451R, 451B)로부터 사출되고 사출측 편 광판(453)을 사이에 개재시켜 각 색광을 반사하고, 액정 패널(451G)로부터 사출되고 사출측 편광판(453)을 사이에 개재시켜 색광을 투과한다. 이렇게 하여, 각 액정 패널(451R, 451G, 451B)에서 변조된 각 색광이 합성되어, 칼라 화상이 형성된다.
투사 렌즈(46)는 경통내에 복수의 렌즈, 및 입사 광속을 편향하는 미러가 수납된 구성을 갖고, 전기 광학 장치(45)로부터 사출된 칼라 화상을 확대하고, 반사 미러(2A)(도 4)를 향해서, 즉 정면을 향해서 사출된 칼라 화상을 상방향으로 향해서, 절곡시켜서 투사하는 것이다. 이 투사 렌즈(46)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광학 장치(45)의 광속 사출측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헤드체(4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투사 렌즈(46)는, 도 4에 도시한 것 같이, 하부 캐비넷(3)의 정면측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전술의 상부 캐비넷(2)의 저면벽(212)에 형성된 노치(212A)로부터 미러 케이스(21) 내부에 노출한다.
광학 부품용 하우징(47)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조명 광축(A)이 설정되어, 상술한 광학 부품(42 내지 45)을 조명 광축(A)에 관한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이 광학 부품용 하우징(47)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 수납 부재(471)와, 부품 수납 부재(472)와, 커버형상 부재(473)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광원 장치 수납 부재(471)는, 자세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배면측으로 개구된 단면 대략 U자형상을 갖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광원 장치 수납 부재(471)에 광원 장치(41)를 수납할 때는, 상기 광원 장치 수납 부재(471)에 대하여 광원 램프 박스(414)를 정면측을 향해서 슬라이드시킨다. 또한, 광원 장치 수납 부재(471)로부터 광원 장치(41)를 취출할 경우에는, 배면측을 향해서 광원 램프 박스(414)를 슬라이드시킨다.
이 광원 장치 수납 부재(471)는 부품 수납 부재(472)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부품 수납 부재(472)와의 접속 부분에는 광원 장치(41)의 광원 램프(411)로부터 사출되는 광속이 통과하는 것 같이 개구(471A)가 형성되어 있다.
부품 수납 부재(472)는 상방이 개구된 단면 대략 U자형상을 갖는 합성 수지제의 상자형 하우징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부품 수납 부재(472)는, 상술과 같이, 일단측에 광원 장치 수납 부재(471)가 접속되고, 타단측에 전기 광학 장치(45) 및 투사 렌즈(46)를 유지 고정하는 헤드체(48)를 부착할 수 있다. 이중, 광원 장치 수납 부재(471)에 접속되는 측의 부품 수납 부재(472)의 단부에는, 광원 장치 수납 부재(471)에 수납된 광원 장치(41)로부터 사출된 광속이 부품 수납 부재(472)내를 통과하도록,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47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품 수납 부재(472)의 내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전술의 광학 부품(421, 424, 431 내지 433, 441 내지 444, 455)을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해서 위치 결정 고정한다.
이 부품 수납 부재(472)에 있어서, 광원 장치(41)의 광원 램프(411)로부터 사출되고 내부에서 도광된 광속을 사출하는 평면에서 보아 U자형상의 사출측 단부의 각 단면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속을 통과시키기 위한 광속 통과용 개구로서의 노치(472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노치(472B)를 폐쇄하도록 노치 (472B)의 주연 부분에 필드 렌즈(455)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 부품 수납 부재(472)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면에 복수의 레그부(47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레그부(472C)는 광학 유닛 탑재대(38)에 상기 부품 수납 부재(472)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부품 수납 부재(472)는 레그부(472C)에 형성된 구멍(472C1)을 거쳐서, 광학 유닛 탑재대(38)에 나사 고정된다.
커버형상 부재(473)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 수납 부재(472)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부품 수납 부재(472)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도록 부착할 수 있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이다.
이 커버형상 부재(473)의 편광 변환 소자(42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의 상방에는 편광 변환 소자(423)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팬(91)이 설치된다.
부품 수납 부재(472)의 광속 사출측의 단부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사 렌즈(46)를 유지 고정하는 헤드체(48)를 부착할 수 있다.
헤드체(48)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고, 전기 광학 장치(45) 및 투사 렌즈(46)를 일체화하는 동시에, 일체화한 유닛을 광학 부품용 하우징(47)에 대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 헤드체(48)는, 자세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측면에서 보아 대략 반대 역 T자형상을 갖고, 광속입사측의 수평부(481)와, 광속 사출측의 수평부(482)와, 이들 수평부(481, 482)에 끼워지고, 상기 수평부(481, 482)로부터 수직하게 기립하는 수 직부(483)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광속 입사측의 수평부(481)에는 전기 광학 장치(45)가 고정되고, 광속 사출측의 수평부(482)에는 투사 렌즈(46)가 고정된다. 또한, 수직부(483)에는 전기 광학 장치(45)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투사 렌즈(46)에 유도하는 개구(483A)가 형성되어 있다.
(4) 제어 기판(5)의 구성
제어 기판(5)은 리어 프로젝터(1)를 정면측에서 보아 투사 렌즈(46)의 좌측, 즉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중앙 우측에 종배치로 배치되어 있고, 투사 렌즈(46)를 협지해서 광원 장치(41)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기판(5)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설치한 회로 기판으로 구성되고, 전술의 정면 패널 및 리어 패널(35B)(도 2)에 설치된 각 접속 단자로부터 입력한 화상 정보, 및 정면 패널에 배설된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처리하고, 광학 유닛(4)(도 5 및 도 8)의 액정 패널(451)(도 8)을 포함하는 리어 프로젝터(1)(도 1) 전체의 구동 제어를 실행한다. 이 제어 기판(5)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제의 실드 부재로 전체가 커버되어 있다.
(5) 전원 유닛(6)의 구성
전원 유닛(6)은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교류 전류를 직류 변환하고, 리어 프로젝터(1)(도 1)를 구성하는 각 전자 부품에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이 전원 유닛(6)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캐비넷(3)의 배면측에 설치된 전원 케이블(35A)(도 2)과 접속되는 전원 블럭(61)과, 광원 장치 수납 부재(471)의 정면측에 배치되어 광원 장치(41)를 구성하는 광원 램프(411)(도 8)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광원 구동 블럭(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전원 블럭(61)은 본 발명의 전원계에 상당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측에서 보아 하부 캐비넷(3)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광원 장치(41)와는 투사 렌즈(46)를 협지해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전원 블럭(61)은 전원 케이블(35A)(도 2)을 거쳐서 입력하는 상용교류 전류를 직류 변환하고, 각 전자 부품에 따른 전압으로 승압 및 감압한 후에, 광원 구동 블럭(62) 및 제어 기판(5) 등의 전자 부품에 공급한다.
광원 구동 블럭(62)은 전원 블럭(61)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류를 정류, 변압하고, 교류 직사각형파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교류 직사각형파 전류를 광원 장치(41)의 광원 램프(411)(도 8)에 공급하고, 상기 광원 램프(411)(도 8)를 점등시키는 회로 기판이다. 이 광원 구동 블럭(62)은 전술의 제어 기판(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어 기판(5)에 의해 광원 구동 블럭(62)을 거쳐서, 광원 램프(411)(도 8)의 점등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6) 냉각계
(6-1) 냉각계의 구성
도 9는 리어 프로젝터(1)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즉, 도 9는 하부 캐비넷(3)의 저면부(39)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저면부(39)에 형성된 개구부(39C, 39D)의 위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10은 저면부(39)를 상방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리어 프로젝터(1)의 하부 캐비넷(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있어서의 좌우 단부에 레그부(33)가 설치된다. 또한, 이 레그부(33)가 설치되는 저면부(39)의 하면에 있어서의 배면측에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형상의 레그부(39A, 39B)가 좌우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저면부(39)에는, 상기 저면부(39)의 외연(테두리)으로부터 대략 수직 하강하는 프레임형상 레그부(39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형상 레그부(391)는 저면부(39)와 설치대 등의 설치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한다. 이 프레임형상 레그부(391)의 배면측에는 전술의 흡기구(36A, 36B)(도 2)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저면부(39)의 하방, 즉 저면부(39)와 설치면과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흡기구(36A, 36B)로부터 도입되는 리어 프로젝터(1) 외부의 공기는 상기 흡기구(36A, 36B)를 거쳐서 저면부(39)의 하방을 유통하는 것이 된다.
또한, 저면부(39)에는, 도 9에 있어서의 중앙 우측에, 동일한 슬릿 형상의 개구부(39C)가 형성되고, 중앙 좌측에 슬릿 형상의 개구부(39D)가 형성되어 있다.
이중, 개구부(39C)는 저면부(39)에 있어서의 광원 장치(41)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광원 장치(41)에 합쳐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부(39D)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기판(5)의 하방에 위치하고, 제어 기판(5)과, 상기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의 사이에 설치된 냉각 팬(81)에 걸치는 것과 같이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냉각 팬 (81)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팬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축 방향을 따라서 공기를 취입하고, 배출하는 축류 팬으로 구성되고, 흡기면이 제어 기판(5)에 대향하고, 배기면이 전원 블럭(6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39)의 하면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부(39)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리브(39F)가 하면으로부터 종횡으로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39F)는 흡기구(36A)로부터 개구부(39C)까지의 범위, 및 흡기구(36B)로부터 개구부(39D)까지의 범위에는 형성되고 있지 않고, 이에 의해 리어 프로젝터(1)가 설치면에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리브(39F)는 흡기구(36A, 36B)로부터 저면부(39)의 하방으로 도입한 공기를 각각 개구부(39C, 39D)로 유도하는 덕트형의 격벽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흡기구(36A)로부터 도입한 공기가 개구부(39C)를 거쳐서,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에 유통시키는 유로와, 흡기구(36B)로부터 도입한 공기가 개구부(39D)를 거쳐서,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에 유통하는 유로가 각각 독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리어 프로젝터(1) 내부의 구성 부품을 냉각하는 냉각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11에서는, 냉각 유로(B, C)에 있어서, 개구부(39C, 39D)로부터 하부 캐비넷(3) 내부를 유통하는 공기의 유로를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지만, 흡기구(36A, 36B)로부터 개구부(39C, 39D)에 도달하는 유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하부 캐비넷(3)내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41) 상방에, 상기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을 냉각하는 냉각 팬(82)과, 이 냉각 팬(8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구(37A)에 유도하는 덕트(83)가 설치된다.
이중, 냉각 팬(82)은 팬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흡기된 공기를 회전 접선 방향에 배기하는 시로코(sirocco) 팬이다. 이 냉각 팬(82)은 흡기면이 광원 장치(41)에 향하도록 배치되고, 배기면이 배기구(37A)에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덕트(83)는 상부 캐비넷(2)의 저면벽(212)의 배면(212E)에 단면 대략 L자형상의 판형상 부재(831)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에 의해 단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덕트(83)는 냉각 팬(82)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냉각 팬(82)의 흡기면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결되어, 냉각 팬(82)에 의한 공기의 흡인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덕트(83)내에는 배기구(37A)로부터 공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경계부재(832)가 냉각 팬(82)의 위치로부터 투사 렌즈(46)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6-2) 냉각 유로
여기서,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을 냉각하는 냉각 유로(B)와,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을 냉각하는 냉각 유로(C)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각 유로(B)는, 흡기구(36A)로부터 도입한 리어 프로젝터(1) 외부의 공기가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록(62)(도 10)을 냉각한 후, 배기구(37A)를 거쳐서 리어 프로젝터(1)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이며, 배면측에서 보아서 하부 캐비넷(3) 내부의 좌측(도 11에 있어서의 좌측)을 유통하는 공기의 유로이다.
상술하면, 흡기구(36A)를 거쳐서, 저면부(39)의 하방으로 도입된 리어 프로젝터(1) 외부의 공기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39F)로 구획된 공간내를 유통하고, 개구부(39C)에 도달한다. 이 개구부(39C)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 장치(4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9C) 주변의 공기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각 팬(82)에 의해 흡인되어,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록(62)(도 10)에 따라 상방으로 유통하고, 이 과정에서 이들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록(62)(도 10)을 냉각한다. 이들의 냉각에 기여되어, 냉각 팬(82)에 의해 흡인된 공기는 상기 냉각 팬(82)의 배기면이 배기구(37A)를 향하고 있으므로, 냉각 팬(82)의 배기면에서 덕트(83)내에 배출되고, 상기 덕트(83)를 유통한 후, 배기구(37A)를 거쳐서 리어 프로젝터(1)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냉각 유로(B)가 덕트(83)내를 유통함으로써,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을 냉각하여 뜨겁게 된 공기가 하부 캐비넷(3)내에 확산하고 체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냉각후의 공기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하부 캐비넷(3)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 유로(C)는 흡기구(36B)로부터 도입한 리어 프로젝터(1) 외부의 공기가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을 냉각한 후에, 배기구(37B, 37C)를 거쳐서 리어 프로젝터(1) 외부에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며, 배면측에서 보아서 하부 캐비넷(3) 내부의 우측(도 11에 있어서의 우측)을 유통하는 공기의 흐름이다.
상술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구(36B)를 거쳐서, 저면부(39)의 하방으로 도입된 리어 프로젝터(1) 외부의 공기는 냉각 유로(B)와 마찬가지로, 리브(39F)(도 9)에서 구획된 공간내를 유통하고, 개구부(39D)(도 9)에 도달한다. 이 공기는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의 사이에 배치된 냉각 팬(81)의 구동에 의해, 개구부(39D)로부터 제어 기판(5)에 따라 유통한 후, 냉각 팬(81)의 흡기면에 도달하고, 이 과정에서 제어 기판(5)을 냉각한다. 그 후, 냉각 팬(81)에 의해 흡기된 공기는 상기 냉각 팬(81)에 의해 전원 블럭(61)의 방향으로 배출되고, 전원 블럭(61)에 따라 유통하고, 상기 전원 블럭(61)을 냉각한다. 이 전원 블럭(61)을 냉각한 공기는 일부가 배기구(37B)를 거쳐서, 또한 나머지의 일부가 배기구(37C)를 거쳐서 리어 프로젝터(1) 외부에 배출된다. 즉,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의 냉각에 기여한 공기는 리어 프로젝터(1)의 구동 개시 당초와 같이 상기 공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하방으로 형성된 배기구(37C)로부터 주로 배출되어 내부 온도가 상승하고, 상기 공기의 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상방에 형성된 배기구(37B)로부터 주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의 리어 프로젝터(1)에 의해 이하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즉, 하부 캐비넷(3)의 내부에는 광학 유닛(4), 제어 기판(5) 및 전원 유닛(6)이 상부 캐비넷(2)에 유지되는 스크린(2B)에 따라 수납되어 있다. 이중, 광원 장치(41), 및 전원 유닛(6)을 구성하는 광원 구동 블럭(62)은 제어 기판(5) 및 전원계(전원 유닛(6)을 구성하는 전원 블럭(61))에 대하여, 투사 렌즈(46)를 협지해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과, 전원 블럭(61) 및 제어 기판(5)은 하부 캐비넷(3)의 저면부(39)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리어 프로젝터(1)의 구동시에,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과, 전원 블럭(61) 및 제어 기판(5)중 한쪽에서 발생한 열이 다른 쪽에 전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리어 프로젝터(1)를 안정하게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을 냉각하는 냉각 유로(B)와,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을 냉각하는 냉각 유로(C)는 각각 교차하는 일이 없이, 하부 캐비넷(3)의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37A), 및 배기구(37B, 37C)로부터 배기된다. 이것에 의하면, 한쪽을 냉각한 공기의 열이 다른쪽을 냉각하는 공기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유로(B, C)에 있어서 열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들 광원 장치(41), 광원 구동 블럭(62),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을 한층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이 냉각 유로(B, C)는 리어 프로젝터(1) 내부에의 공기의 도입으로부터, 리어 프로젝터(1) 외부에의 공기의 배출까지를 각각 독립한 유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하부 캐비넷(3)의 배면측에는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을 냉각하는 공기를 도입하는 흡기구(36A)와,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을 냉각하는 공기를 도입하는 흡기구(36B)가 각각 독립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흡기구(36A, 36B)로부터 저면부(39)의 하방으로 도입한 공기는 각각 리브(39F)에 의해 격리된 공간을 유통하고, 개구부(39C, 39D)에 도달한다. 이들 개구부(39C, 39D)의 공기는 냉각 팬(82, 81)에 의해 각각 흡인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냉각 유로(B)에서는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이 냉각되고, 냉각 유로(C)에서는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이 냉각된다. 이렇게, 냉각 유로(B, C)가 각각 독립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호의 냉각 유로(B, C)가 교차하는 일이 없고, 열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 장치(41), 광원 구동 블럭(62),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의 냉각 효율을 더한층 높일 수 있다.
냉각 유로(B)를 형성하는 냉각 팬(82)은 광원 장치(41)의 상방에 흡기면을 상기 광원 장치(41)에 대향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냉각 팬(82)의 구동에 의해, 개구부(39C),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록(62) 주변의 공기는 냉각 팬(82)의 흡기면에 집약하는 과정에서,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에 따라 유통하는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냉각 팬(82)의 배기면이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에 대향하고 있을 경우에는, 냉각 팬(82)의 배기면에서 송출된 공기는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의 상기 배기면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송풍되지만, 상기 영역에 접촉하면 풍압이 저하해서 확산해버리기 때문에, 그 밖의 영역에는 반드시 송풍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냉각 팬(82)은 흡기면을 광원 장치(41)에 대향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냉각 팬(82)이 구동하면, 흡기면측이 감압되어, 풍압의 현저한 변화가 없는 공기가 체류하지 않고, 확실하게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에 따라 유통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에 확실하게 냉각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7) 실시 형태의 변형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등은 이상의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한 실시 형 태에 관해서 특히 도시되고, 또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원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형상, 재질, 수량, 그 밖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여러가지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한 형상, 재질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나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것들의 형상, 재질 등의 한정의 일부 또는 전부의 한정을 벗어난 부재의 명칭에서의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을 냉각하고, 냉각 팬(8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덕트(83)내를 유통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러한 덕트(83)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고, 냉각 팬(82)의 배기면에서 배기구(37A)까지의 거리가 짧으면, 상기 냉각 팬(82)의 배기면에서 배기구(37A)를 거쳐서 냉각 공기를 직접 외부에 배출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또, 냉각 팬(82)의 배기면에서 배기구(37A)까지의 거리가 길 경우에는, 상기 냉각 팬(82)의 배기면에서 배출된 공기가 덕트(83)내를 유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하부 캐비넷(3)내에 뜨겁게 된 냉각 공기가 확산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을 냉각하는 냉각 팬(82)을 시로코(sirocco) 팬으로 구성하고, 상기 냉각 팬(82)의 흡기면이 광원 장치(41)에 대향하는 것 같이, 상기 광원 장치(41)의 상방에 배치한다고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냉각 팬(82)은 축류 팬이어도 무방하고, 또한 냉각 팬(82)을 상기 냉각 팬(82)의 배기면이 광원 장치(41)에 대향하는 것 같 이 광원 장치(41)의 하방으로 배치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또, 흡기면이 광원 장치(41)에 대향하는 것 같이 냉각 팬(82)을 배치하면,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을 냉각하는 공기가 이들에 집약하는 것 같이 유통하는 것이 되므로, 이들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의 냉각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캐비넷(3)의 배면측에 흡기구(36A, 36B)를 형성하고, 이들 흡기구(36A, 36B)로부터 하부 캐비넷(3)내에 도입한 공기를 저면부(39)의 하방으로 유통시키도록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흡기구(36A, 36B)는 반드시 하부 캐비넷(3)의 배면측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리어 프로젝터(1)를 설치했을 때에, 하부 캐비넷(3)내에 공기를 도입 가능하면, 상기 하부 캐비넷(3)중 어느 하나의 면이여도 좋다. 또한, 흡기구(36A, 36B)로부터 도입한 공기가 직접 저면부(39) 상방으로 도입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또, 도입한 공기가 저면부(39)의 하방을 유통하는 구성이라고 하면,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을 냉각하는 냉각 유로(B)와,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을 냉각하는 냉각 유로(C)의 독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간섭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들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흡기구(36A, 36B)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막는 격벽으로서의 리브(39F)를 저면부(39)의 하면에 형성한다고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리브(39F)가 형성되지 않고 있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또, 저면부(39)의 하면에 리브(39F)를 형성하고, 상기 리브(39F)에 의해, 흡기구(36A)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개구부(39C)에 유도하는 덕트 형상의 격벽과, 흡기구 (36B)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개구부(39D)에 유도하는 덕트 형상의 격벽을 형성하면, 냉각 유로(B, C)의 독립성을 더한층 향상 할 수 있는 것 외에, 저면부(39)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캐비넷(3)의 저면부(39)는 상기 하부 캐비넷(3)이 설정되는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고 했지만, 저면부(39)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상하에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판형상체로 구성하고, 상방의 판형상체에 광원 장치(41) 등을 탑재하고, 하방의 판형상체를 설치면에 접촉시키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그리고, 이 한쌍의 판형상체의 사이에, 냉각 공기를 유통시키는 것 같이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리어 프로젝터(1)가 융단 등 위에 설치되었을 경우라도, 저면부(39)의 하방의 용적이 저감되는 일이 없어져, 내부를 유통하는 냉각 공기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 외에, 개구부(39C, 39D)로부터 진애 등이 하부 캐비넷(3) 내부에 직접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 장치(41) 및 광원 구동 블럭(62)과,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은 광학 유닛(4)의 투사 렌즈(46)를 협지해서, 각각 반대측에 배치된다고 했지만, 이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사이를 막는 격벽을 하부 캐비넷(3)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이 경우, 개구부(39C) 주변의 공기가 냉각 팬(81)에 의해 흡인될 가능성, 및 개구부(39D) 주변의 공기가 냉각 팬(82)에 의해 흡인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유로(B, C)를 완전히 독립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열간섭의 발생을 억제하고, 광원 장치(41), 광원 구동 블럭(62),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럭(61)의 냉각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 구동 블럭(62)을 광원 장치(41)의 근방에 배치했지만, 상기 광원 구동 블럭(62)은 광원 장치(41)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 구동 블럭(62) 및 광원 장치(41)의 각각이 냉각 유로(B)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구성이라고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광원 구동 블럭(62)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이 아니어도 좋다. 즉, 광원 구동 블럭(62)은 광원 장치(41)를 냉각하는 공기의 유로인 냉각 유로(B)상에 위치하지 않고 있어도 좋다.
또, 광원 구동 블럭(62)을 전원 블럭(61)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전원 블럭(61)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가 광원 구동 블럭(62)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광원 구동 블럭(62)을 광원 장치(41)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배선의 처리를 간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광원 장치(41)에 송풍되는 공기를 이용해서 광원 구동 블럭(62)을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 구동 블럭(62)을 광원 장치(41)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리어 프로젝터(1)를 안정하게 구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들 광원 구동 블럭(62) 및 광원 장치(41)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광변조 장치를 이용한 리어 프로젝터를 채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1개의 광변조 장치만을 채용한 리어 프로젝터, 2개의 광변조 장치를 이용한 리어 프로젝터, 또는 4개 이상의 광변조 장치를 이용한 리어 프로젝터로서도 좋다. 또한, 광변조 장치로서 액정 패널을 채용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마이크로 미러를 채용한 디바이스 등의 액정 이외의 광변조 장치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투과형의 광변조 장치가 아니라, 반사형의 광변조 장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추가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유닛(4)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 형상을 갖은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 형상을 갖은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본 발명은 리어 프로젝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프로젝터내에는, 광원 장치를 냉각하는 공기의 유로와, 전원계를 냉각하는 공기의 유로가 각각 독립해서 형성되며, 그에 따라 광원 장치 및 전원계를 광학계를 개재해서 각각 이격시켜 배치하고, 이들 광원 장치 및 전원계를 냉각하는 각각의 공기의 유로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광원 장치 및 전원계의 각각의 냉각 유로에 있어서의 열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냉각 공기의 불필요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광원 장치 및 전원계를 효과적으로 냉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광원 장치와,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광변조 장치, 및 상기 광변조 장치로 형성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 장치를 갖는 광학계와,
    이 투사 광학 장치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투영되는 스크린과,
    장치 전체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계와,
    상기 광원 장치, 상기 광학계, 상기 전원계 및 상기 스크린이 수납되는 상자형의 하우징을 구비한 리어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크린이 설치되는 하우징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 장치 및 상기 전원계는 상기 광학계를 개재시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광원 장치, 상기 광학계 및 상기 전원계는 상기 스크린의 투사면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중, 상기 광원 장치에 근접하는 쪽의 측면에는 상기 광원 장치를 냉각한 공기를 배출하는 제 1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계에 근접하는 쪽의 측면에는 상기 전원계를 냉각한 공기를 배출하는 제 2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기구와 상기 광원 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광원 장치를 냉각한 공기를 상기 제 1 배기구를 거쳐서 외부에 유도하는 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기구와 상기 광원 장치의 사이에는 상기 광원 장치를 냉각하는 냉각 팬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 팬의 흡기면은 상기 광원 장치에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레그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내에 적어도 상기 광원 장치 및 상기 전원계가 설치되는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면부는, 상기 하우징이 설치되는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기 하우징을 설치했을 때에, 상기 저면부의 하방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적어도 2개의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에는, 상기 광원 장치 및 상기 전원계의 근방에, 상기 2개의 흡기구중, 한쪽의 흡기구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상기 광원 장치로 유통시키는 광원 장치 냉각용의 개구와, 다른쪽의 흡기구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상기 전원계로 유통시키는 전원계 냉각용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의 하면에는, 각각의 상기 흡기구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분리시키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KR1020060008076A 2005-01-28 2006-01-26 리어 프로젝터 KR100750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1781 2005-01-28
JP2005021781A JP4428243B2 (ja) 2005-01-28 2005-01-28 リアプロジェ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25A true KR20060087425A (ko) 2006-08-02
KR100750447B1 KR100750447B1 (ko) 2007-08-22

Family

ID=3675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076A KR100750447B1 (ko) 2005-01-28 2006-01-26 리어 프로젝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70881A1 (ko)
JP (1) JP4428243B2 (ko)
KR (1) KR100750447B1 (ko)
CN (1) CN100405835C (ko)
TW (1) TW2006270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0274A (ja) * 2009-03-26 2010-11-04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4191016A (ja) * 2013-03-26 2014-10-06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
JP6882904B2 (ja) * 2017-01-30 2021-06-02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画像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171A (en) * 1994-08-02 1997-09-09 Casio Computer Co., Ltd. Liquid crystal image projector
JP4086399B2 (ja) * 1999-01-29 2008-05-14 富士通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KR100438156B1 (ko) * 2001-09-18 200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젼
JP2003337377A (ja) * 2002-03-13 2003-11-28 Seiko Epson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
US6966655B2 (en) * 2002-10-11 2005-11-22 Sony Corporatio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JP2004294781A (ja) * 2003-03-27 2004-10-21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冷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08810A (ja) 2006-08-10
JP4428243B2 (ja) 2010-03-10
CN1812526A (zh) 2006-08-02
KR100750447B1 (ko) 2007-08-22
US20060170881A1 (en) 2006-08-03
CN100405835C (zh) 2008-07-23
TW200627053A (en)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086B1 (ko) 리어 프로젝터
US7384155B2 (en) Image display
US7806532B2 (en) Projector for projecting an optical image formed by light modulated by a light modulating device
US6805446B2 (en) Rear projector
US7188956B2 (en) Optical device and rear projector
US6966653B2 (en) Cooling device and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having the cooling device
US7018048B2 (en) Projector exhaust fan
JP4046119B2 (ja) 照明装置、プロジェクタ
US6880938B2 (en) Projector
US7073912B2 (en) Optical parts casing and projector
JP4706795B2 (ja) プロジェクタ
US6568813B1 (en) Projector having an upper cooling fan
JP2006208488A (ja) リアプロジェクタ
US6488380B1 (en) Projector having a light shielding member
KR100750447B1 (ko) 리어 프로젝터
JP2018017963A (ja) プロジェクター
JP5938929B2 (ja) プロジェクター
US6491399B1 (en) Projector
JP2006072138A (ja) リアプロジェクタ
JP2001201794A (ja) プロジェクタ
JP3506109B2 (ja) プロジェクタ
JP3501154B2 (ja) プロジェクタ
JP2012226033A (ja) プロジェクター
JP2002072357A (ja) 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