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849A - 과전류보호장치를 갖춘 관통형 접속블록 - Google Patents

과전류보호장치를 갖춘 관통형 접속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849A
KR20060086849A KR1020060003869A KR20060003869A KR20060086849A KR 20060086849 A KR20060086849 A KR 20060086849A KR 1020060003869 A KR1020060003869 A KR 1020060003869A KR 20060003869 A KR20060003869 A KR 20060003869A KR 20060086849 A KR20060086849 A KR 20060086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terminal
housing
circuit breaker
connection block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섹 마이클 코르크진스키
Original Assignee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filed Critical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6008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us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Breaker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형 접속블록에 관한 것으로, 이는 앞과 뒤를 갖고서 장착가능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앞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1전도단자, 이 제1전도단자의 반대쪽 방향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2전도단자 및, 하우징 내에 위치된 과전류보호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과전류보호장치는 과전류상태에 있지 않을 때에는 제1전도단자와 제2전도단자 사이에 전도성 경로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과전류보호장치를 갖춘 관통형 접속블록 {Overcurrent device feed through junction block}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관통형 접속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통형 접속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회로차단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접속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관통형 접속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관통형 접속블록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관통형 접속블록의 내부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퓨즈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접속블록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전력분배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분배에 이용되는 관통형 접속블록(feed through junction block)에 관한 것이다.
관통형 접속블록은 예컨대 벽의 한쪽 면에서 다른쪽 면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러한 관통형 접속블록을 사용하면, 벽의 양쪽에 있는 회로들 사이를 깔끔하고 깨끗하며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벽의 한 예로는 차량의 객실부와 엔진부 사이의 방화벽이 있다. 상기 관통형 접속블록은 종종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링형 단자가 예컨대 와셔와 너트를 매개로 하여 스터드에 고정되게 한다.
한편, 방화벽을 통해 와이어가 간단히 관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문제점들이 있게 된다. 문제점들 중 하나로는, 방화벽의 구멍을 통과하는 와이어를 고정시키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상기 객실부와 엔진부 사이의 벽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또, 진동에 의해 방화벽에 있는 구멍을 관통하는 와이어의 절연부에 의해 구멍이 마모되게 되어, 전기적인 단락 및 다른 전기시스템의 고장을 일으킨다.
종래의 관통형 접속블록은 장착판을 구비하여서 벽을 통해 전기회로를 관통시키는 것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부분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접속블록은 통상 장착판과 벽을 통해 뻗어 있는 다수의 고정구에 의해 벽에 고정되게 된다. 종래의 관통형 접속블록이 벽의 양쪽에 있는 회로들 사이에서 안정되게 장착된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반면에, 상기 관통형 접속블록은 이 접속블록에 별도로 이어진 예컨대 회로차단기 및 퓨즈와 같은 회로보호장치와 함께 이용되고 있다. 패널 또는 방화벽에 장착할 수 있는 특히 회로차단기와 같은 회로보호장치의 연결단자의 위치는, 보호될 회로와 접속블록에다 회로보호장치를 연결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접근하기 어려운 차량의 방화벽과 같은 설비에서 아주 심각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서, 관통형 접속블록은 앞과 뒤를 갖고서 장착가능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앞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1전도단자, 이 제1전도단자의 반대쪽 방향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2전도단자 및, 하우징 내에 위치된 과전류보호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과전류보호장치는 과전류상태에 있지 않을 때에는 제1전도단자와 제2전도단자 사이에 전도성 경로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회로차단기는 접촉부를 갖춘 바이메탈소자(bimetallic element)와, 이 바이메탈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제1전도단자, 그 한쪽 끝에 형성되고서 상기 바이메탈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된 전기적인 접촉부를 구비한 제2전도단자 및, 장착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전도단자는 하우징으로부터 뻗어 있고, 제2전도단자는 이 제1전도단자의 반대쪽 방향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뻗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관통형 접속블록(10)의 측면도이다. 이 접속블록(10)은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이 접속블록(10)을 장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장착판(12)을 구비한다. 절연연장부(14)가 장착판(12)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연연장부(14)는 중공으로 형성되어서 전도부재(16)가 삽입될 수 있다. 이 전도부재(16)는 장착판(12)의 중공부를 통해 뻗어 있는 판맞물림유니트(18)를 구비한다. 나사산이 형성된 제1스터드(20) 및 나사산이 형성된 제2스터드(22)는 판맞물림유니트(18)의 양끝으로부터 뻗어 있다. 한 실시예에서, 이 판맞물림유니트 (18)와 나사산이 형성된 제1스터드(20) 및 제2스터드(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연연장부(14)는 예컨대 차량의 방화벽에 형성된 구멍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데, 이 방화벽에 접속블록(10)이 장착되게 된다. 그러므로, 절연연장부(14)는 전도부재(16)를 방화벽으로부터 절연시키게 된다. 판맞물림유니트(18)는 제1끝(24)과 제2끝(26)을 구비하는바, 이들 각각은 접속블록(10)과 이 접속블록(10)에 부착된 전도체 사이에 적당한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대체로 평탄한 표면으로서, 예컨대 링형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나사산이 형성된 제1스터드(20)와 제2스터드(22) 중 하나에 너트(또는 와셔와 너트)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끝들(24,26) 중 하나에 대해 고정되게 된다.
도 2는 장착판(12)과 판맞물림유니트(18)의 제2끝(26)의 평탄한 표면을 도시한,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관통형 접속블록(10)의 정면도이다. 특히 장착판(12)은 대체로 직사각형상이고, 그 안에 다수의 장착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장착구멍(30)은 상기 접속블록(10)을 예컨대 전술한 차량의 방화벽의 표면에 장착하는 데에 이용된다. 장착구멍(30)은 접속블록(10)이 장착되어질 표면에 미리 형성된 구멍들과 함께 이용되고, 너트나 볼트 또는 고정구가 접속블록을 상기 방화벽의 표면의 적소에 보유지지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자체 태핑 고정구(self tapping fastener)가 장착구멍(30)을 통해 삽입되어, 접속블록(10)이 예컨대 나사고정으로 장착되어질 표면에 맞물리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절연연장부(14)는 미리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고, 그 후에 장착구멍이 접속블록(10)을 장착 하는 데에 이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관통형 접속블록(10)은 방화벽의 보전에 최소의 영향을 끼치면서 예컨대 방화벽의 한쪽 면에서 다른쪽 면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효율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회로보호장치가 관통형 접속블록(10)을 매개로 전력을 받아들이는 회로와 관통형 접속블록(10) 사이에 별도로 이어져 있어야 한다. 방화벽 근처의 공간제약으로 인해 이러한 접속블록에다 회로보호장치를 연결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서, 전기시스템에 대해 전기적인 연결부를 이루기 위한 시간과 노동비용이 증대되게 된다. 더구나, 전기적인 연결이 적당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설치의 어려움은 신뢰성의 문제를 나타내게 된다.
도 3은 회로차단기와 같은 과전류보호장치를 포함하고서 별도로 이어지는 과전류보호장치에 의한 전술된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된,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접속블록(50)의 정면도이다. 관통형 접속블록(50)에 일체로 된 과전류보호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접속블록(50)은 전기시스템에 더욱 신속하고 더욱 편리하게 설치되어서, 설치비용을 절감시키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 실시예에서, 관통형 접속블록(50)은 장착가능한 하우징(52)과, 이 장착가능한 하우징(52)으로부터 뻗고서 회로차단기용 제1접촉부로 작용할 수 있는 제1전도단자(54)를 구비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전도단자(54)는 와셔와 너트에 의해 맞물리도록 된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이다. 한 실시예에서, 제1전도단자(54)는 이 제1전도단자(5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전도성기저판(55)으로부터 뻗어 있는데, 이 전도성기저판(55)은 대체로 평탄하며, 그 표면은 상기 장착가능한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상승되어 있다. 상기 전도성기저판(55)은 제1전도단자(54)에 부착된 전도체에 적당한 전기적인 연결부를 제공하기에 아주 유용하다. 이러한 전도체의 한 예로는, 실제로 전도성기저판(55)과 접촉하는 표면을 가진 링형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있다.
개폐부재하우징(56)은 장착가능한 하우징(52)의 일부로 형성되고서, 부분적으로 재설정손잡이(58)와 보호부재(60)의 작동에 관계된 내부구성요소를 위한 영역을 제공하거나, 개폐부재하우징의 커버(62)를 통해 뻗어 있는 재설정손잡이(58)를 위한 보호대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개폐부재하우징의 커버(62)는 예컨대 리벳(64)과 같은 다수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개폐부재하우징(56)에 고정되어진다.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관통형 접속블록(50)과 개폐부재하우징(56)은 수동개폐부재와 이 수동개폐부재를 보호하는 보호부재(60)와 유사한 보호부재를 갖추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관통형 접속블록(50)의 측면도이다. 이 관통형 접속블록(50)은 장착가능한 하우징(52)의 일부로 형성된 절연연장부(72)로부터 뻗어 있는 제2전도단자(70)를 추가로 구비한다. 절연연장부(72)는 장착가능한 하우징(52)의 대체로 평탄한 장착표면(74)으로부터 뻗어 있다. 관통형 접속블록(50)을 장착하기 위해, 제2전도단자(70)와 절연연장부(72)는 예컨대 차량의 방화벽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서, 상기 평탄한 장착표면(74)이 방화벽과 맞물리게 된다. 관통형 접속블록(50)이 장착될 때, 제1전도단자(54)는 방화벽의 한쪽 면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고, 제2전도단자(70)는 방화벽의 다른쪽 면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전도 단자(54)와 제2전도단자(70)는 서로로부터 벗어나(예컨대 길이방향 축이 서로 떨어져) 있는바, 이렇게 벗어남으로써 전술된 바와 같은 과전류보호장치의 삽입을 위한 공간이 상기 장착가능한 하우징(52)에 생기게 된다.
도 5는 관통형 접속블록(50)의 배면도로서, 이는 적어도 도시된 실시예의 대체로 평탄한 장착표면(74)의 외관을 더욱 잘 도시하고 있다. 한 실시예에서, 리벳(64)의 뒷면(80)은 관통형 접속블록(50)의 표면장착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2전도단자(70)는 이 제2전도단자(7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전도성기저판(82)으로부터 뻗어 있는데, 이 전도성기저판(82)은 대체로 평탄하며, 그 표면은 절연연장부(72)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상승되어 있다. 전도성기저판(55:도 3 참조)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이 전도성기저판(82)은 제2전도단자(70)에 부착된 전도체에 적당한 전기적인 연결부를 제공하기에 아주 유용하다.
도 6은 관통형 접속블록(50)의 내부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관통형 접속블록(50) 내의 회로차단기를 위해 작동가능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자면, 바이메탈로 되고 쌍안정 부재이면서 열적으로 활성화되는 부재(100)가 상기 장착가능한 하우징(52)에 의해 형성된 공동부(102) 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 쌍안정 부재(100)는 예정된 과전류 스냅작동을 갖도록 제조된다. 쌍안정 부재(100)는 과전류가 아닌 상태, 즉 비교적 곧은 제1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과전류가 흐르면, 쌍안정 부재(100)는 가열되고 휘어지면서 제2상태(도시되지 않음)로 스냅작동하게 된다. 쌍안정 부재는 제1전도단자(54)의 내부(106)에 부착되는 제1끝(도시되지 않음)에서부터, 그 위치가 제2전도단자(70:도 6에 도시되지 않음)와 대체로 일직선으로 되는 제2끝(108)으로 뻗어 있다. 관통형 접속블록(50)의 회로차단기에 사용되는 유사한 구성부재들과 이러한 회로차단기의 작동에 대한 다른 설명은 미국 특허 제5,021,761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여기에 참조로 인용되고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쌍안정 부재(100)는 예정된 과전류 스냅작동을 갖도록 제조된다. 과전류상태일 때, 쌍안정 부재(100)는 가열되고 제2상태(도시되지 않음)로 휘어지면서, 제1전도단자(54)의 내부(106)와 쌍안정 부재(100) 사이의 접촉을 분리시켜, 관통형 접속블록(50)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수동재설정축(120)은 장착가능한 하우징(52)을 통해 뻗어 있어, 재설정손잡이(58)가 부착되어 있는 제1끝(122)에서 작업자에 의해 사용되게 된다. 수동재설정축(120)의 제2끝(126)은 쌍안정 부재(100)를 과전류가 아닌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 실시예에서, 쌍안정 부재(100)가 작동되면서 재설정손잡이(58)가 회전하게 되어, 과전류상태일 때 회로차단기가 작동되었음을 표시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130)이 수동재설정축(120)에 부착되어, 재설정손잡이(58)가 작동되지 않은 위치로 복귀될 때 연장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쌍안정 부재(100)는 작동 후 신속히 냉각되도록 되어 있으며, 재설정손잡이(58)를 이용하면 힘이 쌍안정 부재(100)의 일부에 가해져 이 쌍안정 부재가 비교적 곧은 제1상태로 복귀하게 한다.
관통형 접속블록의 범주는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의 범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수동재설정 회로차단기와, 누름작동식 회로차단기(쌍안정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장착가능한 하우징 내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자동재설정 회로차단기 및, 변형된 재설정 회로차단기(작동 후 쌍안정 부재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도록 저항 을 이용하는)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회로차단기들을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덧붙여,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퓨즈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고 있을 것이다.
특히 도 7은 퓨즈(152)를 포함하는 관통형 접속블록(150)을 도시하고 있는바, 이 관통형 접속블록(150)은 퓨즈(152)의 제1접촉부(156)가 부착되는 제1전도단자(154)와, 퓨즈(150)의 제2접촉부(160)가 부착되는 제2전도단자(158)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관통형 접속블록(150)의 장착가능한 하우징(162)은, 제2전도단자(158)의 제1끝(166)이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된 절연연장부(164)를 구비한다. 이 절연연장부(164)는 관통형 접속블록(150)이 장착되어질 예컨대 방화벽의 구멍에 맞물리게 되어 있다. 제2전도단자(158)의 제2끝은 퓨즈(152)의 제2접촉부(160)와 맞물리도록 상기 장착가능한 하우징(162)을 통해 뻗어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퓨즈(152)는 특정화된 전류상태일 때 물리적으로 녹거나, 분해되거나, 절단되거나, 아니면 끊어지도록 구성된 잘 녹는 링크 또는 퓨즈부재조립체를 구비하여서, 전도단자들(154,158) 사이의 퓨즈(152)를 통해 있는 회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광범위한 종류의 퓨즈가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어 원하는 명세에 맞게 된다. 퓨즈 또는 회로차단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알려진 과전류보호장치가 전술된 회로차단기 및 퓨즈의 실시예들 대신에 다른 실시예들로 사용될 수 있다.
관통형 접속블록(50,150)은 방화벽의 보전에 최소의 영향을 끼치면서 방화벽 의 한쪽 면에서 다른쪽 면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효율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관통형 접속블록(50,150)은 이 관통형 접속블록을 통해 전력을 받아들이는 회로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상기 관통형 접속블록(50,150)을 사용함으로써, 관통형 접속블록과 이 관통형 접속블록을 매개로 전력이 공급되는 회로 사이의 별도의 구성부재(즉 퓨즈 또는 회로차단기)를 개별적으로 연결할 필요 없이 회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관통형 접속블록(50,150)은 회로보호장치를 포함하면서 전력을 전달하는 효율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회로보호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별도로 이어진 회로보호장치와 관련된 전술한 문제점들, 즉 전기시스템에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노동비용과 시간의 증대와 공간제약이라는 문제점들이 해결된다. 이와 같이, 관통형 접속블록(50,150)의 콤팩트한 패키지는, 전기시스템에 함께 이어지는 과전류보호장치 및 이와 분리된 접속블록과 비교하여 공간을 절약하게 된다.
본 발명이 여러 특정한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이 청구범위의 범주와 정신 안에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잘 알고 있다.

Claims (19)

  1. 앞과 뒤를 갖고서 장착가능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앞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1전도단자, 이 제1전도단자의 반대쪽 방향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2전도단자 및, 상기 장착가능한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서 과전류상태에 있지 않을 때에는 제1전도단자와 제2전도단자 사이에 전도성 경로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과전류보호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관통형 접속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 형성된 절연연장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전도단자가 이 절연연장부로부터 뻗어 있는 관통형 접속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 형성된 절연연장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절연연장부는 관통형 접속블록이 장착되는 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뻗어 있도록 된 관통형 접속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안에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형 접속블록은 이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는 재설정손잡이를 구비하며, 이 재설정손잡이는 제1상태에 있을 때 과전류보호장치가 폐쇄되게 하면서 제2상태에 있을 때 과전류보호장치가 개방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관통형 접속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안에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형 접속블록은 이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는 보호부재 및 재설정손잡이를 구비하며, 이 재설정손잡이는 제1상태에 있을 때 과전류보호장치가 폐쇄되게 하면서 제2상태에 있을 때 과전류보호장치가 개방되어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재설정손잡이에 인접하여 있는 관통형 접속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보호장치는 제1전도단자와 제2전도단자 사이에 뻗어 있는 바이메탈소자를 갖춘 회로차단기를 구비하는 관통형 접속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보호장치는 퓨즈인 관통형 접속블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1전도단자와 제2전도단자의 일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로 이루어진 관통형 접속블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1전도단자와 제2전도단자의 일부는, 직경을 갖고서 하우징으로부터 상승된 표면을 구비하는 전도성기저판과, 이 전도성기저판의 중심으로부터 뻗어 있고서 전도성기저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를 구비하는 관통형 접속블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단자의 길이방향 축과 상기 제2전도단자의 길 이방향 축은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관통형 접속블록.
  11. 접촉부를 갖춘 바이메탈소자와, 이 바이메탈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제1전도단자, 그 한쪽 끝에 형성되고서 상기 바이메탈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맞물리는 전기적인 접촉부를 구비한 제2전도단자 및, 장착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하되, 상기 제1전도단자는 하우징으로부터 뻗어 있고, 제2전도단자는 이 제1전도단자의 반대쪽 방향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뻗어 있는 회로차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가능한 하우징은 이 하우징의 일부로 형성된 절연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전도단자가 이 절연연장부로부터 뻗어 있는 회로차단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 형성된 절연연장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절연연장부는 관통형 접속블록이 장착되는 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뻗어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전도단자가 상기 절연연장부로부터 뻗어 있는 회로차단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가능한 하우징은 그 안에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차단기는 이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는 재설정손잡이를 구비하며, 이 재설정손잡이는 제1상태로 이동할 때 회로차단기가 폐쇄되게 하면서 제2상태에 있을 때 회로차단기가 개방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회로차단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가능한 하우징은 그 안에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차단기는 이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는 보호부재 및 재설정손잡이를 구비하며, 이 재설정손잡이는 제1상태로 이동할 때 회로차단기가 폐쇄되게 하면서 제2상태에 있을 때 회로차단기가 개방되어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재설정손잡이에 인접하여 있는 회로차단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가능한 하우징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1전도단자와 제2전도단자의 일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로 이루어진 회로차단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1전도단자와 제2전도단자의 일부는, 직경을 갖고서 하우징으로부터 상승된 표면을 구비하는 전도성기저판과, 이 전도성기저판의 중심으로부터 뻗어 있고서 전도성기저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를 구비하는 회로차단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단자의 길이방향 축과 상기 제2전도단자의 길이방향 축은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회로차단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차단기는 수동재설정 회로차단기와, 누름작동식 회로차단기, 자동재설정 회로차단기 및, 변형된 재설정 회로차단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회로차단기.
KR1020060003869A 2005-01-27 2006-01-13 과전류보호장치를 갖춘 관통형 접속블록 KR20060086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44,512 2005-01-27
US11/044,512 US7429906B2 (en) 2005-01-27 2005-01-27 Overcurrent device feed through junction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849A true KR20060086849A (ko) 2006-08-01

Family

ID=3668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869A KR20060086849A (ko) 2005-01-27 2006-01-13 과전류보호장치를 갖춘 관통형 접속블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29906B2 (ko)
JP (1) JP2006236995A (ko)
KR (1) KR20060086849A (ko)
CN (1) CN1819094B (ko)
DE (1) DE102006003840A1 (ko)
TW (1) TW2006312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7868B1 (en) 2008-03-28 2011-11-01 GEP Power Products, Inc. Stud-type junction block
KR100847360B1 (ko) * 2008-04-25 2008-07-21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전선라인 고정 브래킷
US8269596B2 (en) * 2009-12-23 2012-09-1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Universal dual stud modular fuse holder assembly for bussed and non-bussed power connections
US8669840B2 (en) * 2010-05-18 2014-03-11 Littelfuse, Inc. Fuse assembly
US8665056B2 (en) 2010-05-18 2014-03-04 Littlefuse, Inc. Fuse assembly
KR101828496B1 (ko) * 2012-05-17 2018-02-12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방염 전기 피드-스루
CN106915312A (zh) * 2017-02-27 2017-07-04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防火墙
US10109443B2 (en) * 2017-03-16 2018-10-2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High amp circuit breaker with terminal isolation fastener cap
US11817280B2 (en) * 2021-09-24 2023-11-14 MP Hollywood Circuit breaker with integral fuse mounting stu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5191A (en) * 1977-05-24 1978-12-18 Aichi Steel Works Ltd Moving end adjusting device
US5021761A (en) 1989-09-28 1991-06-04 Cooper Industries, Inc. High-amp circuit breaker and a bistable element therefor
JPH0716313Y2 (ja) * 1989-10-24 1995-04-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器
US5004994A (en) 1990-05-24 1991-04-02 Cooper Industries, Inc. Push-to-trip high-amp circuit breaker
US5700165A (en) * 1995-12-11 1997-12-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sed high ampacity electrical quick disconnect
CN2252420Y (zh) * 1995-12-19 1997-04-16 黄浙川 内置保安装置的插头
JPH10125411A (ja) * 1996-10-25 1998-05-15 Hosiden Corp サーキットプロテクタ内蔵電源プラグ
US6002580A (en) 1996-12-09 1999-12-14 Power Distribution Products International Circuit breaker power distribution panel
JPH11283705A (ja) * 1998-03-30 1999-10-15 Masaki Tomomatsu 安全プラグ
US6431880B1 (en) 1998-06-22 2002-08-13 Cooper Technologies Modular terminal fuse block
US6218040B1 (en) 1999-06-11 2001-04-17 Alcatel Automatic circuit breaker for a battery
US6624990B1 (en) * 1999-08-19 2003-09-23 Lane P. Lortscher Underwater light junction box having a GFCI
JP3914361B2 (ja) * 1999-11-25 2007-05-16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と外部端子の接続構造
US6322376B1 (en) 2000-03-31 2001-11-27 Yazaki North America Stud bolt holder for a power distribution box
JP4126488B2 (ja) * 2002-12-24 2008-07-30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グネット式コンセントアダプタ
DE20309334U1 (de) * 2003-06-17 2004-11-11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ßklem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03840A1 (de) 2006-08-03
US7429906B2 (en) 2008-09-30
CN1819094A (zh) 2006-08-16
TW200631239A (en) 2006-09-01
JP2006236995A (ja) 2006-09-07
CN1819094B (zh) 2011-05-11
US20060164192A1 (en)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6849A (ko) 과전류보호장치를 갖춘 관통형 접속블록
JP6189585B2 (ja) トルク制限端子を有する電気ヒューズ
CA2396075C (en) Battery fuse bus bar assembly
US6396380B1 (en) Electrical fuse box for motor vehicles
US11322916B2 (en) Solid-state circuit breaker with galvanic isolation
US9343253B2 (en) Method of placing a thermal fuse on a panel
RU2407122C1 (ru) Вставной разрядник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US6483420B1 (en) Circuit breaker
JP5905452B2 (ja) ヒューズアセンブリ
SG187224A1 (en) Thermal overload protection apparatus
US10749323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5716243A (en) Automotive battery connector assembly
CA2819953C (en) Electrical system, and circuit protection module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therefor
JP2021097038A (ja) 能動/受動ヒューズモジュール
KR100825934B1 (ko)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서 블랭킹 바이메탈 구조
JP2007080709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
JP6424065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
KR101439144B1 (ko) 퓨즈박스 커버의 체결 이상 알림 구조
US6619990B2 (en) Short-circuit current limiter
JPH11260222A (ja) 電流遮断装置
KR200327364Y1 (ko) 테스트용 단자를 구비한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JP4088338B2 (ja) 車両スタータ用通電スイッチの非常保護方法
KR20050027534A (ko) 자동차의 과전류 보호용 폴리스위치
JP2005185035A (ja) バスバーのヒューズ接続構造とそれを備える電気接続箱
SK5337Y1 (en) Varistor overvoltage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