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711A -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6711A KR20060086711A KR1020050007617A KR20050007617A KR20060086711A KR 20060086711 A KR20060086711 A KR 20060086711A KR 1020050007617 A KR1020050007617 A KR 1020050007617A KR 20050007617 A KR20050007617 A KR 20050007617A KR 20060086711 A KR20060086711 A KR 200600867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nched polycarbonate
- molecular weight
- solid phase
- high molecular
- carbon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0—Solid-state polyconden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45—Aromatic polycarbonates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08G64/14—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containing a chain-terminating or -crosslinking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3—Morphological aspects
- C08G2261/132—Morphological aspects branched or hyperbranch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3)
- (a) 중량평균분자량 1,500 내지 30,000 g/mol인 비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b) 상기 용액을 건조조 내로 이송시켜 건조조 내에서 노즐을 이용하여 분사하는 단계; 및(c) 상기 분사된 용액에 고온 기체를 접촉시켜 용매를 기화시켜 제거하고 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결정화법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가 계면중합공정으로 제조된 것, 디알킬(아릴)카보네이트와 아로마틱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제조된 것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및 축합반응에 의해 제조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타크레졸, 싸이클로헥산, 디옥산, 디메틸포름알에히드 및 피리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용액의 농도가 5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압력노즐 또는 공기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노즐 사용시 비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용액의 분사압이 2.0 내지 51.0 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노즐 사용시 압축 기체의 주입속도가 200 내지 800 ℓ/hou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 질소, 공기, 및 이산화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 기체로 이루어진 압축 기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의 고온 기체가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용액 분사 반대방향으로부터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사용된 기체가 40 내지 250 ℃의 질소, 공기, 및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항의 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결정성 가지형 폴리 카보네이트.
- (a) 상기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를 고상중합하여 중량평균분자량 35,000 내지 200,000 g/mol인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고상중합법은 (a) 단계에서 제조된 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를 고상반응 중합기에 주입하고 질소를 지속적으로 주입해주거나 0 내지 50 ㎜Hg의 감압 하에서 반응 부산물을 제거하며 중합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고상중합 온도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방법:[식 1]Tm - 50 ≤ Tp ≤ Tm(상기 식에서, Tp는 고상중합 온도이고, Tm은 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온도임).
-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 (a) 디알킬(아릴)카보네이트 및 아로마틱 하이드록시 화합물, 분지제를 촉매하에서 용융 축합중합하여 중량평균분자량 1,500 내지 30,000 g/mol인 비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b) 상기 비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용매에 용해시켜 비결정성 폴리카보네이트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c) 상기 비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용액을 고상중합 반응기로 이송하여 결정화와 고상중합을 동시에 실시하는 집약적 고상중합 공정을 사용하여 중량평균분자량 35,000 내지 200,000 g/mol인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용융축합중합 반응은 에스테르 교환반응 과 축합반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알킬(아릴)카보네이트 대 아로마틱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몰비가 1:1 내지 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제의 함량이 아로마틱 하이드록시 화합물 1몰에 대해 0.01 내지 10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알킬(아릴)카보네이트는 디페닐카보네이트(diphenyl-carbonate), 비스클로로페닐카보네이트(bis-chlorophenyl-carbonate), 메타크레실카보네이트(m-cresyl-carbonate), 디나프틸카보네이트(dinaphthyl-carbonate),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carbonate), 디시클로헥실카보네이트(dicyclohexyl-carbon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틱 하이드록시 화합물은 비스하이드록시페닐메탄(bis(4-hydroxy phenyl)-methane),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2,2- bis(4-hydroxyphenyl)-propane),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2,2-bis(4-hydroxy-3,5-dibromophenyl)-propane), 1,4-디하이드록시-3-메틸벤젠(1,4-dihydroxy-3-methyl-benzene),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bis(4-hydroxyphenyl)sulfid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사용되는 분지제가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1,3,5-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 시아누릭산, 4,6-디메틸-2,4,6-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헵탄-2, 2,2-비스[4,4'-(디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실] 프로판, 1,3,5-트리하이드록시벤젠, 1,2,3-트리하이드록시벤젠, 1,4-비스-(4', 4''-디하이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 2', 3', 4'-트리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3,4-트리하이드록시벤조산, 2,3,4,-트리하이드록시벤조페논, 2,4,4'-트리하이드록시벤조페논, 2', 4', 6'-트리하이드록시-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페논, 펜타하이드록시플라본, 3,4,5-트리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민, 3,4-트리하이드록시페닐에틸알콜, 2,4,5-트리하이드록시피리미딘, 테트라하이드록시-1,4-퀴논 수화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및 1,2,5,8-테트라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소디움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 리튬하이드록사이드(lithium hydroxide), 소디움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포타슘카보네이트(potassium carbonate) 또는 리튬카보네이트(lithium carbonate)의 알칼리메탈계 촉매;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CH3)4NOH)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C4H9)4NOH)의 질소염기 촉매; 및 보릭산 또는 인산의 산촉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용융축합중합 반응은 미반응 상태로 존재하는 디알킬(아릴)카보네이트 및 중합도 3 미만의 저중합도 반응부산물을 180 내지 400℃에서 0 내지 50 ㎜Hg의 감압 하 또는 0.1 Nm3/㎏·h 이상의 질소를 주입하여 제거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용융축합중합 반응은 로테이팅 디스크 반응기(rotating disk reactor), 로테이팅 케이지 반응기(rotating cage reactor) 또는 씬필름 반응기(Thin film reactor) 내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비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용액의 농도가 5.0 내지 5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집약적 고상중합 공정은 고상중합 반응기 상단으로부터 200 내지 800 ℓ/hour의 압축 기체를 주입하며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고상중합 반응기 내의 온도는 40 내지 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집약적 고상중합 공정은 고상중합 반응기 상단의 노즐을 통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비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용액이 분사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압력노즐(Pressure Nozzle) 또는 공기노즐(Pneumatic Nozz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고상중합 반응기 하단에 떨어지는 결정성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입자의 평균 직경이 80 내지 3,000 ㎛의 값을 가지고 오차가 2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제16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자량 분포지수(다분산지수, Polydispersity Index)가 2.5 미만이고 고상중합 전에 비하여 그 증가율이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7617A KR100733924B1 (ko) | 2005-01-27 | 2005-01-27 |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7617A KR100733924B1 (ko) | 2005-01-27 | 2005-01-27 |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6711A true KR20060086711A (ko) | 2006-08-01 |
KR100733924B1 KR100733924B1 (ko) | 2007-07-02 |
Family
ID=3717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7617A KR100733924B1 (ko) | 2005-01-27 | 2005-01-27 |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3924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9857B1 (ko) * | 1997-08-26 | 2004-09-24 | 주식회사 삼양사 | 분지상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
KR100490842B1 (ko) * | 2002-11-07 | 2005-05-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KR100536528B1 (ko) * | 2002-11-07 | 2005-12-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고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
2005
- 2005-01-27 KR KR1020050007617A patent/KR10073392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33924B1 (ko) | 2007-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57656B1 (ko) | 폴리카보네이트의제조방법 | |
US5648437A (en) |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thermoplastic polycarbonate | |
JP3174445B2 (ja) | 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法 | |
KR100561337B1 (ko) | 고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 |
JP4125290B2 (ja) | 高分子量の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の製造方法 | |
WO2002062870A1 (fr) | Polycarbonate aromatique ramifie et procede de production de celui-ci | |
KR100799034B1 (ko) | 올리고카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 |
WO1999048947A1 (fr) | Polycarbonate et materiau optique | |
KR100490842B1 (ko) | 고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
KR100733924B1 (ko) | 고분자량의 가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
KR100536528B1 (ko) | 폴리카보네이트의 결정화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고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 | |
WO1999036458A1 (fr) | Procede de production de polycarbonate et substrat de disque optique | |
EP1245607A1 (en) | Method of crystallizing low-molecular polycarbo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from the same | |
JP3218134B2 (ja) | 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法 | |
SG177169A1 (en) |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s | |
JP3615208B2 (ja) |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 |
JP2004536918A (ja) | 結晶性ポリカーボネートオリゴマーを調製する方法 | |
JP3165951B2 (ja) | 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 |
KR102203151B1 (ko) |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 |
JPH107785A (ja) | 光学材料用ポリカーボネート | |
WO1997019975A1 (en) |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polycarbonate | |
JP3786610B2 (ja) | 結晶化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 |
JPH107784A (ja) | 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 |
KR20190062024A (ko) | 텀블러식 반응기를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방법 | |
JPH09143258A (ja) | ポリカーボネートオリゴマー及び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