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381A - 치과 진료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진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381A
KR20060086381A KR1020067008792A KR20067008792A KR20060086381A KR 20060086381 A KR20060086381 A KR 20060086381A KR 1020067008792 A KR1020067008792 A KR 1020067008792A KR 20067008792 A KR20067008792 A KR 20067008792A KR 20060086381 A KR20060086381 A KR 20060086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handpiece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0120B1 (ko
Inventor
신이치 오카와
겐지 기노
가즈나리 마토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모리다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35338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267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모리다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모리다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60086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for fluoresc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for spatially modulated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1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for radial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3Apparatus for curing resins by radiation
    • A61C19/004Hand-held apparatus, e.g. gu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 치료용 공구류 등을 구비한 핸드피스 등의 진료구에 치아의 이변부를 특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광 조사 수단을 설치하고, 당해 이변부의 치료를 하기 쉽게 한다.
치료구를 장착할 수 있는 핸드피스 헤드부의 근방 부위에 이변부를 특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광원을 설치한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치료구의 전방을 조사한다. 또는 광원은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핸드피스 헤드부의 선단의 주연에 치료구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치료구의 전방을 조사한다. 상기 광이 구강 내에 조사된 때에는 치료 작업자는 그 형광반사광에 대한 필터 기능을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고, 치료하면서 이변부를 확인할 수 있다.
치과 치료 장치, 치과 진료 장치

Description

치과 진료 장치{DENTAL TREATING DEVICE}
본 발명은 치과 진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아의 치료에 사용하는 공구류 등의 치료구가 구비된 핸드피스 등의 치과 진료 기구에, 치아에 관한 이변부를 특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을 포함한 광 조사 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이변부에 대한 치료를 용이하게 한 치과 진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치과 진료에 있어서, 치과의는 치아의 절삭, 치구나 치석의 제거, 치료 부위의 세정, 절삭된 조각이나 타액 회수 등의 처치를 하기 위한 공구류가 설치된 치과용 에어 터빈 핸드피스, 치과용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 치과용 스케일러 핸드피스, 치과용 쓰리 웨이(three-way) 실린지, 덴탈 미러, 버큠 실린지, 치과용 광중합 조사기, 레이저 핸드피스, 치과용 치면 청소기 등의 각종 핸드피스(또는 인스트루먼트)를 사용해왔다. 이와 같은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구강 내의 진료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진료대 등에 별도로 설치된 무영등을 점등하여 구강 내를 조명하면서, 환부에 대한 진료 또는 치료 작업을 하였다.
그러나, 환자의 자세, 치료 부위, 또한 치과의 등의 작업자의 작업 방향에 따라서는 구강 내의 조명이 부족하여 관찰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어서, 그 때마다 무영등의 위치 조정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치료의 작업성 저하를 일으킨다.
이에, 최근에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본체에 할로겐 램프 등의 광원과 라이트가이드를 내장하고, 핸드피스 선단에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출사하여, 치아 등의 치료 부위를 조명하도록 한 핸드피스가 개발되어 실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이 핸드피스의 예에서는 핸드피스 본체의 전단부에 칩을 가지는 스케일러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칩의 형상이나 길이가 다양하고, 칩 선단의 위치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광이 특정한 방향에 집중되지 않고 어느 정도 퍼져 출사되도록, 라이트 가이드의 출사단을 핸드피스 본체의 전단부에 링의 형태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라이트 가이드가 특수한 형상이 되어, 비용이 매우 비싸진다. 또한 이러한 형상의 라이트 가이드를 핸드피스의 본체 내에 수납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 출사단 부근을 유지하는 기구가 스케일러의 기본 진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제품의 진동 특성에 악영향을 준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라이트 가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핸드피스 본체의 전단부에 배치하고, 치료 대상 부위에 대한 조사광을 발광소자로부터 직접 출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를 참조).
이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발광소자로서는 백색광을 방사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레이저광을 방사하는 반도체 소자가 사용되고,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본체의 선단부에 있어서, 공구류의 축을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집합하여 발광소자 유닛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러한 발광소자가 기구 본체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안된 핸드피스의 구성에 의하면, 발광소자를 사용함으로써, 라이트 가이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라이트 가이드에 기인하는 고비용이나 구조의 복잡화, 광의 감쇠 등의 문제를 없애고, 또한 광원의 냉각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소망 하는 성능을 가진 치과용 기구를 비교적 저비용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치과용 핸드피스는 치료 대상 부위를 관찰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조사되어 조명하는 것이었다. 이것과 관련하여, 치료 대상 부위, 예를 들면, 치아의 우식부, 치구, 치석 등이라고 판정하기 위하여, 대상 부위에 특정한 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4를 참조).
이들 특허 문헌에 개시된 것은 검출 정밀도 및 신뢰성이 높은 우식, 치구, 박테리아에 의한 치아의 감염 등을 인식하는 치아 상태의 인식 장치이다. 이 인식 장치는 검사하여야 할 치아에 향하고, 그 치아에 있어서 형광성 방사광을 여기시키는 여기 방사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그 치아로부터의 형광성 방사광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와, 상기 검출 장치의 앞부분에 설치된 스펙트럼 필터를 구비하고 있고, 광원의 여기 방사광의 파장이 600 nm에서 670 nm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우식 영역의 형광 스펙트럼과 건강한 치아 영역의 형광 스펙트럼의 강도 차가 확대된 것을 검출하고, 관찰 대상 치아에 우식이 있다고 인식한다.
한편, 최근에는 구강 내 조명의 부족에 의한 진료 또는 치료의 작업성 저하 를 개선한 조명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이 조명 장치의 상당수는 전술한 핸드피스의 선단부에 광원이 설치되도록 하여, 진료 또는 치료 시에, 구강 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콘트라앵글 타입의 치과·의과용 핸드피스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LED)가 공구 장착부에 장착되는 공구를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것으로, 공구 주변의 360도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진료 또는 치료 중인 환부를 밝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5를 참조). 이 핸드피스에서는 복수의 LED를 점등하는 전력은 핸드피스 본체 내에 설치된 가요성 리드선 또는 플렉서블 기판 배선에 의하여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5의 기술에서는 LED로부터 조사되는 조사광의 파장이 구강 내의 이변부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조명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이변부를 추출하지는 못한다.
또한, 핸드피스에 이변부를 추출할 수 있는 광, 즉, 여기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조립하여 구비하고, 레이저 다이오드와 라이트 가이드를 치과용 스케일러 등의 핸드피스 내부에 내장하고, 핸드피스 선단으로부터 구강 내에 출사된 광에 의하여 발생한 형광을 포토 다이오드로 검출하여 평가할 수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6을 참조). 이 핸드피스에 의하여, 우식, 플라크, 세균의 감염, 결석, 치석 등에 대한 처치를, 그것들을 검출하고 평가하면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핸드피스의 경우에는 구강 내에 있어서 환부 상태를 검출하고, 평가하면서 진료 또는 치료를 할 수 있지만, 레이저 다이오드로 여기광을 조사한 스포트 부분에 대하여만 우식이 있는 지를 포토 다이오드로 검출하고, 평가할 수 있을 뿐이며, 우식 부분의 분포에 대한 것까지는 인식할 수 없었다. 또한, 치과의가 구입한 후 시술에 사용중인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핸드피스 본체 내에 라이트 가이드나 광원을 설치하고, 구강 내를 조명하는 조명광을 핸드피스 선단부로부터 조사할 수 있도록 한 것도 개발되어 있지만, 이들은 모두 조명광을 조사하는 것이지, 여기광을 조사하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전술한 특허 문헌 2에 제안되어 있는 핸드피스에서는 라이트 가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핸드피스 본체의 전단부에 배치하고, 진료 또는 치료 대상 부위에 대한 조사광을 발광소자로부터 직접 출사하도록 하고 있다.
이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발광소자로서는 백색광을 방사하는 LED, 또는 레이저광을 방사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LD)가 사용되고 있으며, LED를 구성하는 베어 칩을 복수 개 집적하여 발광소자 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발광소자 모듈을 구강 내의 진료 또는 치료하여야 할 부위를 조명하는 조명 장치로서 조립하여 구비할 수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가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7을 참조). 이 발광 모듈에는 전극 핀을 구비할 수 있고, 이 전극 핀을 핸드피스 선단의 소켓에 접속함으로써, 핸드피스 후단에 접속된 전원 코드로부터 LED의 구동용 전력이 공급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2, 7에 대하여도, 이들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모두 조명광이며, 이변부를 추출하는 여기광이 아니고, 또한 치과의가 이미 구입한 치과 용 인스트루먼트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최근에 LED나 반도체 레이저의 출력이 커지기 시작하고 있고, 육안에 의하여 이변부의 관찰이 가능해졌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7-275261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0-316874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5-337142호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9-189659호
특허 문헌 5: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1-112779호
특허 문헌 6: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1-299699호
특허 문헌 7: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2-306512호
그러나, 제안되어 있는 전술한 치과용 핸드피스에서는 범용적인 LED 디바이스를 단지 치과용으로 전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구강 내에서 진료시에 사용하려면, 치과용 핸드피스로서 충분한 광량이 필요하고, 그 때문에 대출력이 큰 LED 디바이스를 사용하거나, 또는 LED 디바이스의 개수를 늘릴 필요가 있다. 그 경우, 치과용 핸드피스가 대형화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통상, 육안으로 우식의 검출을 실시하지만, 한편, 전술한 치아 상태의 인식 장치에서는 대상 부위에, 형광성 방사광을 여기시키는 여기 방사광을 조사하고, 예를 들면, 그 부위가 우식이라는 검출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우식을 치료하는 경우에는 먼저, 검출용 프로브를 사용하여, 구강 내의 치아를 조명하여 관찰하고, 우식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치아를 발견하였을 때, 해당 치아가 우식이 있는 치아인지를, 전술한 인식 장치로 확인하게 된다. 또한, 해당 치아에 우식이 ㅂ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절삭 공구를 장착한 핸드피스를 준비하고, 해당 치아를 치료한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우식의 치료는 여러 종류의 용도의 핸드피스가 사용되고, 우식 부위를 확인하면서 실시되고, 치료 작업이 번잡한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치료 작업 중에 있어서는 우식의 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또한 치료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특히, 완전히 우식부가 제거되었는지 절삭할 때마다 확인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치료기와 조합하여 치료를 실시할 때에 이변부의 화상을 추출하는 기술 사상이 없었다.
또한, 통상, 예를 들면 치과의가 우식에 대한 치료를 하는 경우, 구강 내를 무영등 또는 조명 기능이 있는 핸드피스로 조명하고, 치과의가 육안으로 우식 검출을 행한다. 이와 같은 육안으로 우식 등의 검출을 하는 것은 우식이 진행되어 현재화(顯在化)된 것은 검출할 수 있으나, 우식이 진행되지 않고 육안으로 검출하기 어려운 것까지는 알 수 없었다. 대상 부위, 즉, 이변부를 추출할 수 있도록 형광을 여기시키는 여기광을 조사하는 여기광 조사용 핸드피스를 사용하는 경우, 형광이 발광되었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그 부위에 우식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검출하고 있다. 즉, 당해 치아가 우식이 발생한 치아인 것을 특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형광은 약한 광이어서, 형광만을 관찰하는 경우에서는 정상 조직은 윤곽 정도밖에 보이지 않는 어두운 상이었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우식의 치료는 여러 종류의 용도의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우식 부위를 확인하면서 이루어져 치료 작업이 번잡한 것이 되었다. 그 때문에, 진료 또는 치료 작업 중에 있어서는 우식 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치료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특히, 완전하게 우식부가 제거되었는 지에 대하여 절삭할 때마다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기존의 핸드피스에, 진료 또는 치료용의 공구 등이 장착될 뿐만 아니라, 여기광을 조사하는 조사 광원 등을 착탈이 자유롭게 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용도의 핸드피스 모두를 우식 등의 이변부를 검출 가능한 핸드피스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또한, 구강 내를 조명하는 조명광과 우식 등의 이변부를 추출할 수 있는 여기광 모두를 조사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면, 우식 등의 이변부 뿐만 아니라, 이변부 주변의 정상적인 생체 조직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으므로, 핸드피스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진료 또는 치료를 확실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특허 문헌 2 및 5에 개시된 치과용 핸드피스에서는 공구 설치부에 설치된 공구의 주변을 조명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공구에 의한 치아의 절삭 작업중에도 해당 치아를 밝게 조명할 수 있다. 그러나, 절삭 작업 중에 해당 치아를 조명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육안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해당 치아의 우식의 정도, 특히, 가벼운 정도의 우식 등을 확인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치석이나 치구의 검출도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전술한 특허 문헌 6에 개시되어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포토 다이오드와 라이트 가이드가 핸드피스 내부에 내장되고, 핸드피스 선단으로부터 출사된 광에 의하여 발생한 형광을 검출하면서, 즉 여기광을 조사한 점의 형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것은 가능하고, 몇 군데를 측정하여 이변부가 어느 정도로 퍼져있는지를 파악하고나서, 비로소 치료를 할 수 있다. 그러나, 형광이 발생한 장소가 어느 정도 퍼진 상태로 분포하고 있는 지에 대하여,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관찰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구강 내의 조명을 실시할 수 없다.
또한, 전술한 특허 문헌 7에 개시되어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에서 공구류가 설치되는 유형의 것으로는 발광소자 모듈이 핸드피스 본체에 내장되어 있고, 또한 방사할 수 있는 광은 백색과 청색에 한정되고, 치아의 우식 부위나 치석을 추출 가능한 특정 파장을 방사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종래에 개발된 핸드피스에서는 구강 내의 진료 또는 치료의 기능과, 구강 내의 조명 기능과, 구강 내의 이변부의 추출 기능이 각기 다른 핸드피스에 들어 있었고, 이러한 기능을 겸비한 핸드피스는 없었다. 따라서, 의료 시술자는 진료 또는 치료시에 여러 가지 기능이 있는 핸드피스를 모두 준비하여야 했기 때문에 번거로웠다. 또한, 한 개의 핸드피스에 이들 기능들이 구비된 핸드피스로 하려면 새로 개발할 필요가 있어 핸드피스의 가격이 비싸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 고휘도화할 수 있는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으로서 우식부, 치석부 등의 구강 내의 이변부를 특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광을 채용한 치과 진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여기광이 되고, 우식부, 치석부 등의 구강 내의 이변부에 조사되면 이변부로부터 형광이 발광되고, 시술자는 그 형광을 관찰하면서 진료한다. 특히 적외선은 직진성이 좋기 때문에 필터를 통하여 관찰하면, 치아의 표층 부근의 병변을 잘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여기광 또는 조명광을 구강 내의 이변부에 조사할 수 있는 어댑터를 상기 이변부를 진료 또는 치료하는 핸드피스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핸드피스에 다른 기능을 간단하게 부가할 수 있는 구강용 조명 장치를 구비한 치과 진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치과 진료 장치에 있어서, 구강 내의 이변부를 진료하는 진료구를 구비한, 또는 장착할 수 있는 선단부를 가지는 인스트루먼트와, 상기 선단부 또는 상기 선단부의 근방에 배치된 광원을 가지는 광 조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이변부를 특징적으로 추출시키는 광을 여기하는 여기광을 상기 이변부를 향하여 조사한다.
상기 여기광의 파장은 405±50 nm의 근자외선 영역, 470±30 nm의 청색 영역, 700±100 nm의 적색 영역, 적외선 영역, 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어느 한 영역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여기광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구강 내에 조명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여기광과 상기 조명광을 동시에 방출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여기광과 상기 조명광을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여기광과 상기 조명광을 동시에 방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명광으로서 백색광을 방출한다.
상기 광원에는 LED 또는 반도체 레이저에 의한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광원에 백색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여기광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구강 내에 조명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여기광과 상기 조명광을 동시에 방출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광원과 관련된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한다.
상기 광 조사 수단은 방출하는 광의 파장역이 다른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절환하여 하나의 파장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한쪽의 광원에 관한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한다.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여기광을 방출하는 여기광 광원과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광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여기광 광원과 상기 백색광 광원을 절환하여 상기 여기광과 상기 백색광의 어느 하나를 조사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한쪽 광원에 관한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한다.
상기 광 조사 수단은 방출하는 여기광의 파장역이 다른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절환하여 하나의 파장역의 여기광을 조사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한쪽의 광원에 관한 여기광의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한다.
상기 광 조사 수단은 파장역이 다른 여기광을 방출하는 여기광 광원과,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광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여기광 광원과 상기 백색광 광원을 절환하여 상기 여기광과 상기 백색광을 조사할 수 있고, 또는 상기 복수의 여기광 광원과 상기 백색광 광원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관한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한다.
상기 광원은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나트륨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수은 램프 또는 블랙 라이트 램프 중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으로부터 소정 파장의 광을 선택하는 광학 필터를 가지고, 상기 소정 파장의 광은 특성이 다른 상기 필터의 교환에 의하여 선택된다.
상기 광 조사 수단은 방출하는 광의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절환하여 광의 방출을 선택하고, 다른 파장의 상기 광을 시분할하여 차례차례 조사한다.
상기 조사부는 상기 진료구 또는 상기 진료구의 장착부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여기광이 상기 진료구를 둘러싸는 주변 부위로부터 상기 이변부를 향하여 조사된다.
상기 광원은 상기 선단부와는 별체(別體)로 형성된 별체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별체 부재는 상기 선단부와 착탈이 자유롭게 계합할 수 있고, 상기 선단부와 계합되었을 때, 상기 광원에 급전하는 접속 부재를 가진다.
치료용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상기 진료구가 상기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 조사 수단의 광원이 상기 선단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여기광과 상기 치료용 레이저광을 시분할로 상기 이변부에 조사한다.
상기 조사부는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선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 부재가 있는 어댑터에 구비되고, 상기 광원은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가 상기 어댑터의 단면부에 병설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선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광원을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은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이다.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전원은 상기 어댑터와 분리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전원은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광원을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가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어댑터를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선단부에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본체의 축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본체의 주변으로 퍼지는 평면을 가지는 필터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구강 내를 조명하는 조명 수단이 상기 인스트루먼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차단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가 치료용 레이저광과 상기 치료용 레이저광의 조사 위치를 조준하는 가이드 광을 상기 구강 내에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핸드피스이며, 상기 여기광이 상기 가이드광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조사부는 상기 진료구의 장착부 근방에 배치된 상기 발광소자를 가지고, 상기 발광소자가 상기 진료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발광소자가 상기 진료구의 장착부 근방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광 조사 수단이 파장이 다른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절환하여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관한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가 상기 인스트루먼트에 설치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구성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치과 진료 장치의 진료구의 근방에 이변부를 특징적으로 추출하는 광을 대상 부위에 방사하는 광원을 포함한 광 조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치료 작업자는 이 치과 진료 장치를 가지고 진료하는 경우, 방사된 광에 의하여 여기되어 발생하는 형광 또는 반사광을 검출하는 필터 등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구강 내의 이변부, 예를 들면, 우식 부위, 연화 치아의 주체가 되는 조직부, 치석, 치구, 바이오 필름, 결손, 금 등을 보다 명료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어, 진료 작업 중에도 진료 범위나 진료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복수 파장의 발광소자나 백색광원 등의 조명용 광원을 조합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환부 추출 기능을 시분할 또는 수동으로 절환하여 사용하거나 조명용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환부의 종류나 치료 목적에 따라 핸드피스나 진료 기구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올라간다.
또한, 치과 진료 장치의 진료구의 근방에, 대상 부위를 조명하는 광 조사 수단을 병용할 수 있으므로, 진료 작업자는 조명 장치와 진료 장치를 바꾸어가면서, 진료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조명 기능을 가지는 핸드피스에 본 발명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구강 내의 조명 기능에 부가하여, 구강 내의 이변부를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조명 기능이 없는 치과용 핸드피스에 본 발명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장착하는 경우, 이와 같은 구강 내의 이변부를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핸드피스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또한 통상의 조명 기능을 부가하면, 진료대에 부속되어 있는 무영등보다, 구강 내의 이변부 뿐만 아니라, 이변부 주변의 생체 조직을 관찰하기 쉬워서 치료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변부를 추출하는 여기광을 방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각종 치과용 핸드피스에, 본 발명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장착하고 여기광을 조사함으로써, 구강 내의 이변부에서 여기된 형광을 관찰하면서 이변부의 분포 상황을 기초로 하여 진료 또는 치료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변부가 치료하여야 할 부위라는 것을 면 형태의 화상 정보로서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환부만을 선택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를 조명하는 조명광과 우식 등의 이변부를 추출할 수 있는 여기광 두 가지 모두를 동시에 조사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므로, 우식 등의 이변부뿐만 아니라 이변부 주변의 정상적인 생체 조직도 동시에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으므로, 핸드피스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진료 또는 치료를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는 상기 이변부를 추출하는 파장 및/또는 상기 이변부를 조명하는 파장의 광으로서 백색광, 단색광, 적외광 및 자외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이변부에 대응하는 최적의 여기광이나 조명광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상기 광의 강도가 조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여기광이나 조명광을 이변부를 시인하기 쉬운 광량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반도체 레이저의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므로 제품을 소형화하기 쉽고, 시판품을 입수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적게 드는 제품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나트륨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또는 수은 램프 중 어느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므로, 상기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폭 넓은 파장을 가지기 때문에, 조명광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폭 넓은 파장의 광으로부터, 이변부를 추출하는 특정 파장을 선택하여 방사하도록 광학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여러 가지 파장의 여기광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학 필터를 착탈이 자유롭게 하여 두면, 램프 광원의 광을 조명광으로서도 여기광의 광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변부를 추출하는 파장은 405±50 nm의 근자외선 영역, 470±30 nm의 청색 영역, 700±100 nm의 적색 영역, 적외선 영역, 또는 근적외선 영역이므로, 치석이나 우식, 충전물의 유무, 세세한 균열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은 광중합 수지의 경화에 적합한 파장의 광을 포함하므로, 우식이나 균열 부분에 대하여 바로 광중합 수지를 충전하는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광원은 복수의 파장의 광을 방사할 수 있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파장을 절환하여 조사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주지의 파장으로 절환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나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여기광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서는 복수의 파장을 방사할 수 있는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이 발광소자의 구동을 절환되도록 하고, 파장 선택을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조명 기능과 이변부 추출 기능의 역할을 기존의 핸드피스에 부가할 수 있어서, 이변부 추출 기능이 있는 복수의 파장을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치아의 우식 치료 중에 있어서, 조명 기능과 이변부 추출 기능을 모두 구사하면서, 우식으로부터 발광되는 형광이 없어질 때까지 제거하면 되기 때문에, 환부의 제거에 대한 기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우식과 치석 등, 다른 이변부에 각각 최적의 여기광의 파장을 선택 사용함으로써 시인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광원이 상기 램프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으로부터, 다른 파장의 광이 광학 필터의 교환에 의하여 선택되므로, 광학 필터의 교환에 의하여, 조명 기능과 이변부 추출 기능을 겸비하게 하여, 다른 이변부에 대하여 최적의 이변부 추출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광원은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가 상기 어댑터의 단부에 있어서 병설되어 있으므로, 효율 좋은 방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선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링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각도로부터도 방사할 수 있으므로, 그림자가 생기지 않고, 치과용 인스트루먼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에 포함되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상기 어댑터의 단부에 대하여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림자가 생기지 않고 치과용 인스트루먼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광원을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가 상기 어댑터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댑터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등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광원의 온·오프 등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은 상기 어댑터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원을 버튼 전지 등의 소형의 것을 사용하면, 장치를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은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이므로, 간단하게 착탈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광원은 상기 어댑터와는 분리되어 설치된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고, 크고 무거운 전원을 광원으로부터 분리해둘 수 있기 때문에, 인스트루먼트의 조작에 지장이 없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는 전원이 어댑터에 내장되고, 또는 어댑터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인스트루먼트에 전원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어댑터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점등 구동할 수 있어, 조명 기능 또는 이변부 추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인스트루먼트에 전력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구강 내 조명 장치용으로 전력 공급의 접속 구성을 특별히 구비할 필요가 없고, 비용이 올라가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원은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므로, 본체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복잡하지 않고, 전원의 교환이 쉬워진다. 또한, 상기 광원을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가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므로 조작성이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착 부재가 상기 어댑터를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본체에 탄성적으로 유지되므로,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서는 각종 핸드피스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 부재가 전용 형상이 아니라, 코일 등으로 탄성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절삭용 핸드피스, 예를 들면, 에어 터빈 핸드피스,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 스케일러 핸드피스 등, 모든 종류의 핸드피스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염가의 핸드피스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어댑터에는 떨어져 있는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이 도광부재에 의하여 도광되기 때문에, 광원과 도광부재의 출사단과의 거리를 둘 수 있어서 인스트루먼트의 조작성을 좋게 하고, 시야를 확보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어댑터는 치과용 인스트루먼트 본체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가지는 필터판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는 상기 필터판을 투과한 형광만을 관찰함으로써, 이변부를 시인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는 여기광만을 제거하고, 또는 형광을 통과시키는 필터판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그러한 필터 기능이 있는 안경 또는 고글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특히 복수의 파장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염가의 필터판을 그 파장에 맞추어 준비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용 인스트루먼트가 상기 이변부를 조명하는 조명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조명수단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차단하는 위치, 즉, 기존의 조명 광 조사 기능부 핸드피스에 있어서, 조사광이 조사되는 조사단에 설치되므로, 시술자는 기존의 조명광의 조사 각도나 위치와 그다지 변화되지 않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용 인스트루먼트가 치과용 에어 터빈 핸드피스, 치과용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 치과용 스케일러 핸드피스, 치과용 쓰리 웨이 실린지, 덴탈 미러 버큠 실린지, 치과용 광중합 조사기, 레이저 핸드피스, 치과용 치면 청소기 중 어느 하나이므로, 어느 인스트루먼트에 있어서도, 이변부를 간단하게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사하는 여기광으로서 예를 들면, 400 nm 부근의 파장의 광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우식 부위, 치석, 치구로부터 특징적인 형광을 효율적으로 여기시킬 수 있다.
이들 환부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치과용 에어 터빈 핸드피스, 치과용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 치료용 스케일러 핸드피스, 레이저 핸드피스, 치과용 치면 청소기 등의 조명용으로서 최적이 된다. 이 400 nm 부근의 파장은 LED나, LD를 포함한 반도체 레이저 등에 의하여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파장이 405 nm인 광은 DVD용의 반도체 소자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핸드피스의 경우에는 여기광이나 조명광을 가이드 빔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에어 터빈 핸드피스 전용, 스케일러 핸드피스 전용의 형상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채용하면, 각각의 핸드피스용 어댑터 광원 하나를 사용할 때 마다 장착하면 되기 때문에, 각각에 대하여 조명이 부착된 핸드피스를 구비하는 것 보다는, 조명 기능이 없는 핸드피스와 본 발명의 구강 내 조명 장치의 하나를 준비하는 것이 저렴하다.
본 발명의 구강 내 조명 장치는 또한, 치과용 쓰리 웨이 실린지나 버큠 실린지에 탑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치과의가 절삭용 인스트루먼트로 치아를 치료하고 있을 때, 절삭용 인스트루먼트의 조작성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치아의 환부를 명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통상, 치과용 쓰리 웨이 실린지나 버큠 실린지는 위생사가 사용하는 인스트루먼트이고, 치과용 쓰리 웨이 실린지가 치료 부위에 물이나 공기를 뿌리고, 버큠 실린지가 치료 부위로부터의 물이나 절삭분 등을 흡입하면서, 함께 치료 부위의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인스트루먼트에 여기 광원을 설치하면, 치과의가 사용하는 절삭용 인스트루먼트에 일부러 여기용 광원을 장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조작성을 악화시키지 않는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을 에어 터빈 핸드피스에 적용한 실시예 1에 의한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4B는 실시예 1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4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6B는 실시예 1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5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구체예 5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광원부의 상세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8B는 실시예 1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6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9 B는 실시예 1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7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8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구체예 8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광원부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9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에 적용한 실시예 2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1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2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 에 관한 구체예 1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구체예 11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광원부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실시예 1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12와 그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을 스케일러 핸드피스에 적용한 실시예 3에 의한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실시예 3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1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3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14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실시예 3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15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는 실시예 3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16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을 쓰리 웨이 실린지에 적용한 실시예 4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l7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 4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18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을 라이트 프로브에 적용한 실시예 5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19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예 5에 의한 핸드피스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2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을 덴탈 미러에 적용한 실시예 6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본 발명을 치과용 광중합기에 적용한 실시예 7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본 발명을 덴탈 레이저 치료기에 적용한 실시예 8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2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레이저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진료하고 있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을 레이저 핸드피스에 적용한 실시예 8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2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을 레이저 핸드피스에 적용한 실시예 8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23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본 발명을 레이저 핸드피스에 적용한 실시예 8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의 설치에 관한 구체예 24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일체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와 관련되는 실시예 9에 대하여, 핸드피스 본체에 설치한 경우의 구체예 25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4A 및 도 34B는 실시예 9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핸드피스 헤드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구체예 26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5A 내지 도 35C는 구체예 26에 있어서의 구강 내 조명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링 형상의 어댑터의 내부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다른 핸드피스 헤드에 설치되는 실시예 9에 관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27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구체예 27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핸드피스 헤드에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A 및 39B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분리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 관한 실시예 10에 대하여, 핸드피스 본체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구체예 28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0A 및 40B는 실시예 10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스위치 조작부를 핸드피스 본체에 설치하였을 경우를 나타내는 구체예 29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1은 구체예 29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를 다른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설치하였을 경우를 나타내는 구체예 3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2A 및 42B는 구체예 29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스위치 조작부에 전원부를 일체화하였을 경우를 나타내는 구체예 3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3A 및 43B는 구체예 26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전원 분리형으로 변형한 경우를 나타내는 구체예 3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4A 및 44B는 링 형상의 어댑터를 가지는 구강 내 조명장치를 구체예 29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구체예 33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45A 및 45B는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링 형상의 어댑터의 다른 내부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6은 구체예 27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전원 분리형으로 변형한 경우를 나타내는 구체예 34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7은 구체예 34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 관한 실시예 11에 대하여, 핸드피스 본체에 설치한 경우의 구체예 35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9는 구체예 35의 도광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레이저 핸드피스 본체에 설치한 경우의 구체예 36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50은 구체예 35의 도광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변형하여 레이저 핸드피스 본체에 설치한 경우의 구체예 37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아이 프로텍터 부재를 구비한 실시예 12에 대하여, 전원 일체형의 경우에 적용한 구체예 38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2는 실시예 12에 대하여, 전원 분리형의 경우에 적용한 구체예 39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3은 실시예 12에 대하여, 전원 분리형이고, 스위치 조작부를 구비한 경우에 적용한 구체예 4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4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점등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5는 발광소자를 시분할로 점등할 때의 스위치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타임 차트도이다.
도 56은 여기광과 조명광의 광량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전기 회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여기광과 조명광과의 광량 밸런스를 공장 출하시의 초기설정과 사용자에 의한 임의 조절로 절환할 수 있는 전기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8은 여기광과 조명광의 광량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다른 전기 회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는 여기광의 조사에 대한 건강 에나멜질과 우식 에나멜질의 형광 발광 상태에 관한 예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60은 여기광의 조사에 대한 건강 에나멜질과 우식 에나멜질의 형광 발광 상태에 관한 다른 예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61은 구강 내의 치아에 있어서의 이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2는 핸드피스를 구비한 구강 치료 장치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치과 진료 장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구강 내의 이변부를 특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원리에 대하여, 도 59 내지 61을 참조하여 설명 한다.
먼저, 도 59에는 여기광의 조사에 대한 건강 에나멜질과 우식 에나멜질의 형광 발광 상태를 설명하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치아에 대하여, 특정 파장을 가지는 여기광이 조사되었을 때에, 치아 상태에 영향을 미친 형광 반사파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59에서는 건강한 치아의 에나멜질의 경우와 우식된 치아의 에나멜질의 경우에 있어서, nm 단위로 나타낸 파장에 대한 치아에 의하여 반사된 방사선의 상대치로 나타낸 방사선 강도 I가 플롯되어 있다. 입사 방사선, 즉, 여기광은 406 nm의 파장을 가진다.
도 59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각각의 커브는 서로 차이가 난다. 특히, 우식된 치아의 에나멜질에 대한 방사선 강도의 커브는 636 nm와 673 nm와 700 nm인 곳에서 3개의 큰 산을 이루는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건강한 치아의 에나멜질과 우식된 치아의 에나멜질에 있어서의 형광 거동의 차이를 이용하면, 636 nm와 673 nm와 700 nm의 반사광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들 적색의 형광이 눈에 보이는 것인데, 이러한 적색 부분을 관찰함으로써, 우식의 유무나 대략적인 우식의 진행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도 60에는 여기광의 조사에 대한 건강 에나멜질과 우식 에나멜질의 형광 발광 상태에 관한 다른 예를 설명하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치아에 대하여, 특정 파장을 가지는 여기광이 조사되었을 때에, 치아 상태에 영향을 미친 형광 반사파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60에서는 건강한 치아의 에나멜질의 경우와 우식된 치아의 에나멜질의 경우에 있어서의, nm 단위로 나타낸 파장에 대한 치아에 의하여 반사된 방사선의 상대치로 표시한 방사선 강도가 플롯되어 있다. 이 경우에 조사한 입사 방사선, 즉, 여기광은 488 nm의 파장을 가지고 있다.
도 60에 도시한 다른 형광 발광 상태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각각의 커브는 서로 차이가 나는데, 그 차이가 나는 형태가 도 59에 나타내는 형광 발광 상태의 그래프와 다르다. 건강 에나멜질과 우식 에나멜질의 각각의 방사선 강도 커브는 모두, 여기광의 파장 부근에서 피크를 이루고 있으나, 그 피크의 높이가 차이가 난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이 건강한 치아의 에나멜질과 우식된 치아의 에나멜질에 있어서의 형광 반사 강도의 차이를 이용하면, 우식의 유무나, 대략적인 우식의 진행 정도에 관한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강 에나멜질과 우식 에나멜질에 조사된 방사선에 대한 형광 거동의 차이 또는 반사 강도의 차이를 이용하면, 해당 치아가 건강한지, 또는 우식되어 있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실제로 치아에 있어서의 이변부, 예를 들면, 우식되었거나 또는 치석이나 치구가 부착되어 있는 치아에, 전술한 여기광을 조사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 6l에 도시하였다. 도중에서는 예시로서 구강 내의 치열이 도시되고, 대표적으로 치아 Tl 내지 T4로 이루어지는 치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1에서는 치아 T2와 T3에, 우식 부위 B1, B2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우식 부위 B1는 완전하게 우식되어 큰 구멍 형상이 된 경우(실선으로 도시)이며, 우식 부위 B2는 치아 내부가 침범되어 있는 경우(파선으로 도시)이다.
이 때, 특정 파장이 선택된 여기광이 조사되면, 치아로부터 형광이 발생한 다. 이 때, 도 59 또는 도 60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강한 부위와 우식이 발생한 부위는 형광 반사 강도가 다르므로, 치료 작업자가 이 형광을 검출할 수 있는 필터 기능을 구비한 안경 또는 고글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또는 핸드피스에 배치된 해당 필터 기능을 구비한 프로텍트판 등을 통하여 보면, 우식 부위 B1 및 B2를 다른 건전부와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 필터 기능은 단순하게 여기광을 차단하는 특성을 가진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405 nm의 여기광이면, 440 nm 보다 긴 파장의 영역만을 투과하는 필터이면 좋다.
우식 부위 B2는 우식 부위 B1보다 그 강도가 약해 보인다. 그 때문에, 진료 작업 중에 있어서, 이 여기광을 계속 조사함으로써, 우식 부위 B1, B2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어느 우식 부위를 먼저 치료하면 좋은지 판단하기 쉬워진다. 또한 치료를 개시한 후에도, 치료 대상 부분을 특정할 수 있고, 치료 진행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치료하지 못하고 남기는 부분이 생기거나, 지나치게 많이 깎게 되는 것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진료 기구를 일일이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기본적으로, 우식 부위에서는 본래의 부위의 색과 다른 형광색이 나오므로, 그 색을 발하는 부분을 치료한다. 치석, 치구의 부착 부위도 마찬가지이다.
치아와 관련되는 이변부로서, 예를 들면 우식 부위, 연화 상아질, 치석, 치구, 바이오 필름, 결손, 금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이변부에 조사되었을 때에 형광 거동의 차이 또는 반사 강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특정의 파장으로서는 405±50 nm의 근자외선 영역, 470±30 nm의 청색 영역, 700±100 nm의 적색 영역, 적외선 영역, 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들 수 있지만 이러한 파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외선 영역, 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광은 여기광으로서 사용하기도 하지만, 적외선 그 자체의 반사광을 관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는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광은 발광 다이오드(LED)나, 레이저 다이오드(LD)를 포함한 반도체 레이저 소자 등의 발광소자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발생할 수 있고, 이들 소자는 렌즈부를 구비한 소자 모듈에 형성되어 소형의 광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LED 소자로서는 백색 LED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소자 이외에도, 발광소자로서 램프 광원, 예를 들면, 할로겐 램프 등에 의한 백색광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소정의 파장을 낼 수 있는 광학 필터를 조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우식 부위에는, 예를 들면, 상술한 파장이 405 nm인 여기광을 사용할 수 있고, 우식 부위로부터의 형광에 의하여 검출 가능하고, 연화 치아의 주체가 되는 조직에 대하여도, 그 여기광의 조사에 의한 형광으로 검출할 수 있다. 치석, 치구, 바이오 필름에 대하여도, 여기광을 조사하면, 치석, 치구로부터의 형광으로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치석이나 치구에 관하여는 부착 상태를 잘 알 수 있으므로, 세부의 형태를 잘 알 수 있는 적외광을 조사함으로써, 치석이나 치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치석, 치구, 바이오 필름의 검출에 대하여서는 400±30 nm, 바람직하게는 405 nm 또는 375 nm의 광을 조사하면,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고, 스케일러 등의 핸드피스에 광 조사 수단의 광으로서 적용하는데 최적이다. 이 때, 450 nm 이상의 장 파장을 통과시키는 광학 필터를 통하여 관찰하면, 400±30 nm, 바람직하게는 405 nm 또는 375 nm의 조사된 여기광이 차단되어 더 명료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이 절단 파장은 일례이며,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녹색계의 광을 조사하면, 결손, 금 등을 보다 명료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부위가 다르면, 광의 반사 강도, 흡수의 정도가 다르므로, 반사·흡수의 차이가 현저한 파장의 광을 조사하고, 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이변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이변부의 확인 시에, 전술에서는 치료 작업자가 여기광에 의한 형광을 검출할 수 있는 필터 기능을 구비한 안경 또는 고글을 사용하고, 또는 인스트루먼트에 배치된 해당 필터 기능을 구비한 프로텍트판 등을 통하여 육안으로 관찰한다고 하였지만, 이 경우에는 형광만이 검출되어 치료 작업자에게는 이변부의 상황이 부각되어 보이고, 주변 부분은 어둡게 보인다. 그 때문에, 이변부는 명확하게 되지만, 다른 건전부의 상황은 파악되지 않거나, 또는 해당 이변부의 정확한 위치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변부에 조사하는 여기광의 파장이 가시광선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특히 형광을 검출하는 필터 기능을 가지는 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치료 작업자는 이변부에 대하여, 그 주변의 색과 다른 색으로 관찰할 수 있고, 또한 여기광의 색에 따라서 이변부 주변의 상황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여기광의 투과를 배제하는 필터 기능을 구비한 안경 또는 고글을 사용하거나, 또는 인스트루먼트에 배치된 해당 필터 기능을 구비한 프로텍트판 등을 통 하여 육안으로 보면, 치료 작업자는 이변부로부터의 형광에 의하여 이변부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여기광만을 조사하고 있는 경우에는 여기광의 조사에 방해를 받지 않고, 외부로부터 구강 내에 들어가는 광에 의하여, 이변부 주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여기광과 조명용 백색광의 양쪽 모두를 동시에 조사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변부 뿐만 아니라 이변부의 주변 조직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이변부의 주변도 밝아져, 그 상황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그 주변 조직의 색조도 충실하게 표현된다.
또한 소정 파장의 광을 방사하는 발광소자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어도 무방하나, 파장이 다른 광을 방사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준비하여 두면, 절환 스위치의 조작으로 발광소자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특정 파장의 여기광만의 선정 조사, 다른 파장의 여기광으로의 절환 조사, 또는 조명광과 여기광의 절환 조사 등의 조사 패턴을 실현할 수 있다. 조명광과 여기광의 절환 조사의 경우에는 조명광과 여기광의 시분할의 점등 제어에 의하여, 구강 내의 조명과 이변부의 추출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구강 내를 치료하는 치료 진료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강 내의 이변부를 특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 조사 수단을 구비한 핸드피스의 적용예를 실시예 1 내지 7로 나누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 조사 수단은 적어도 여기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한 광을 조사하는 수단이며, 광원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광원과 상기 광 원으로부터의 상기 여기광을 상기 이변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조사부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조사부로서는 예를 들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도광하고, 상기 이변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광가이드 부재의 출사면이나, 광섬유의 선단부(광가이드 부재나 광섬유로부터 도광되는 투광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투광부재로부터 이변부에 조사하는 경우에는 그 투광부재)나, 광원으로부터의 광에서 소정 파장의 광을 걸러내어 상기 이변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광학 필터 등이 있다.
또한, 광원은 예를 들면 발광소자이며, 단수의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포함되고, 복수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포함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을 에어 터빈 핸드피스에 적용한 경우이고, 도 1A 및 1B에, 그 에어 터빈 핸드피스의 헤드부에, 광 조사 수단을 설치한 개략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A 및 1B에 있어서, 1은 핸드피스 본체, 2는 핸드피스 헤드부, 3은 바 등의 공구류인 치료구(진료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 및 1B에서는 핸드피스의 선단측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고, 설명을 간단화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핸드피스는 헤드부(2)와 반대측에 있어서 핸드피스(1)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조인트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조인트부가 튜브를 사이에 두고 에어 등의 공급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도 1A에서는 광 조사 수단으로서 LED 또는 반도체 레이저에 의한 발광소 자(L)가 치료구(3)가 장착되는 핸드피스 헤드부(2)의 근방 부분의 한 지점에, 발광소자(L)를 노출한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그 발광소자(L)의 설치 자세를, 치료구(3)의 축방향에 비하여 약간 경사시켰고, 치료구(3)의 설치시에 있어서, 그 광의 조사 방향이 도중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료구(3)의 축방향 전방을 조사하도록 선정되어 있다. 또한, 발광소자(L)는 투광성 보호 커버 등으로 가릴 수도 있다. 또한, 발광소자(L)의 사용수는 광출력이 충분하면 1개라도 좋지만, 출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필요한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발광소자(L)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복수개의 발광소자(L)를 사용하는 경우는 파장이 다른 발광소자를 조합하여도 좋다. 1개의 발광소자로 파장이 다른 광을 발광할 수 있는 발광소자를 사용하여도 된다.
한편, 도 1B에서는 광 조사 수단으로서 복수의 발광소자(L)를 설치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발광소자(L)가 치료구(3)의 축을 둘러싸고, 각 발광소자(L)의 조사 방향이 그 축과 거의 평행하도록 하고, 핸드피스 헤드부(2)의 선단부 주연에 배치되어 있다. 도 1A의 경우에는 발광소자(L)의 설치 각도에 따라서는 치료구(3)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도 1B의 경우에는 발광소자(L)의 복수가 치료구(3)를 둘러싸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중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것들에 의한 조사광은 각 발광소자(L)로부터 직접 출사되어, 치료구(3)의 전방을 조사하고, 치료구(3)에 의한 그림자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핸드피스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으로서 도 1A에 도시된 한 지점에 집중하여 발광소자(L)를 설치하였을 경우의 구체예 1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내 었다. 도 2에서도, 핸드피스 헤드부(2)를 중심으로 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드피스 본체(1)와 핸드피스 헤드부(2)의 접합부 부근으로서, 치료구가 장착되는 측에 개구된 오목부(4)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4)의 크기는 발광소자(L)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선정되고, 그 오목부(4)의 내벽면에는 도금 등에 의한 반사재(5)가 피착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의 통로에, 투명한 보호 부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오목부(4)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소자(L)의 단자로부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점등시키는 급전을 위한 배선이 핸드피스 본체(1)의 내부에 뻗어 있다. 이 배선은 핸드피스의 조인트부에 접속된 튜브를 거쳐 공급 장치까지 연장되고, 예를 들면, 핸드피스 본체(1)에 설치된 스위치의 조작으로, 발광소자(L)의 점등 또는 소등이 제어된다. 또는 별도로 설치된 스위치 조작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오목부(4) 내에 설치되는 발광소자(L)는, 전술한 바와 같이, 405±50 nm의 근자외선 영역, 470±30 nm의 청색 영역, 700±100nm의 적색 영역, 적외선 영역, 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어느 하나를 발광하는 LED 또는 반도체 레이저가 선택된다. 이 발광소자(L)가 1개만 설치되어 있어도 되나, 출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발광소자의 정면도와 같이, 1개의 큰 발광소자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발광소자의 다른 예에 의한 정면도와 같이, 동일 파장 또는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설치할 수도 있다.
오목부(4) 내에, 발광소자(L)을 복수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각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배선 중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절환에 의하여, 다른 이변부의 치료에 대하여 편리한 것이 된다. 또한, 복수개의 발광소자 중, 몇 가지를 단순한 조명용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조명용 발광소자(L)를 점등하여 구강 내를 관찰하고, 이변부로 보이는 부위를 발견하였을 때, 여기광의 조사로 곧바로 절환되어 편리한 것이 된다.
도 2에 나타낸 구체예 1에서는 발광소자(L)로서 LED 또는 반도체 레이저의 발광소자를 사용하였지만, 도 3에는 발광소자(L)로서, 할로겐 램프 등의 램프 광원을 사용한 제2 구체예를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한 핸드피스는 도 2에 나타낸 구성과 같지만, 오목부(4)에 설치되는 발광소자 (L)가, 예를 들면 할로겐 램프인 것이 특징이다.
할로겐 램프의 접속 단자(6)는 핸드피스(1) 측에 설치된 접속 단자(번호 없음)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또한, 핸드피스(1)의 오목부(4)의 개구에, 할로겐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광으로부터, 소정의 여기광을 선택하는 개구(4)에 착탈 가능하게 한 광 필터 (F)가 구비된다. 광 필터(F)를 주파수 선택 종류가 다른 광 필터(F)에 착탈 교환 가능하게 하면, 다른 파장의 여기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광 필터(F) 대신에, 단순한 투명한 유리 등의 보호 부재로 교환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명 장치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구체예에서는 광조명 수단으로서의 발광소자(L)가 고정적으로 설치된 상태의 것이었지만, 광조명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또는 발광소자(L)로부터의 여기광의 종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또한 단순한 조명 장치를 설치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처할 수 있도록, 광조명 수단 을 핸드피스 헤드부에 있어서, 착탈이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구체예 3을, 도 4A 및 4B에 나타내었다.
구체예 3에 의한 핸드피스의 구성은 구체예 1 및 2의 경우와 같지만, 구체예 3에서는 발광소자(L)가 설치되는 오목부(4)를 포함한 핸드피스 헤드부(2)의 선단 부분이 헤드부와 별체로 형성된 헤드 별체 부재(9)로 구성되어 있다. 이 헤드 별체 부재(9)에는 헤드부(2)에 형성된 계합부에 계합하는 계합 부재(11)가 상기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는 상기 부재(9)를 핸드피스 본체(l)에 고정하는 나사구멍(10)을 가지고 있다.
도 4A에는 헤드 별체 부재(9)가 핸드피스 헤드부(2)에 고정된 상태가, 그리고, 도 4B에는 헤드 별체 부재(9)가 핸드피스 헤드부(2)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발광소자(L)은 헤드 별체 부재(9)에 형성된 오목부(4) 내에 설치되어 있고, 헤드 별체 부재(9)가 헤드부(2)에 고정되었을 때, 발광소자(L)에 급전하기 위한 접속 단자(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광 조명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광소자(L)를 설치하지 않은 헤드 별체 부재로 하거나, 또는 오목부(4) 자체를 설치하지 않은 헤드 별체 부재로 한다. 또한, 발광소자(L)로부터의 여기광의 종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종류가 다른 여기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설치한 헤드 별체 부재를 준비하여 두고, 이것을 교환하도록 한다. 또한, 단순한 조명 장치를 설치하고 싶은 경우에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설치한 헤드 별체 부재를 준비하여, 이것을 교환하면 좋다. 또한, 다른 파장의 여기광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소자와 백색광을 발 광하는 LED 등의 발광소자를 갖춘 헤드 별체 부재를 준비하여 두면 스위치의 전환에 의하여 발광소자의 선택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구체예 1 내지 3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L)가 치료구(3)가 설치되는 핸드피스 헤드부(2)의 근방 부분의 한 지점에 설치되는 경우였지만, 이하에,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소자(L)가 치료구(3)의 축을 둘러싸고, 각 발광소자(L)의 조사 방향이 상기 축과 거의 평행이 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그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5에, 구체예 4가 개시되어 있으나, 도 5에 있어서 핸드피스에 관한 도시 방법은 도 2와 같다. 구체예 3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소자(L)가 핸드피스 헤드부(2)의 선단부 주연에 설치된 치료구(3)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홈(8) 내에 설치되어 있다. 치료구(3)의 선단 방향에서 본 핸드피스 헤드부(2)의 선단부의 모습이 도 5에 개시되어 있다. 홈(8) 대신에, 복수의 오목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구체예 4의 경우에도, 개구된 홈(8)의 깊이 및 폭은 발광소자(L)가 수납되도록 선정되고 그 홈(8)의 내벽면에는 도금 등에 의한 반사재(5)가 피착되어 있다. 또한, 홈 (8)의 개구에 투명한 보호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홈(8)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소자(L)의 단자로부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점등시키는 급전을 위한 배선이 핸드피스 본체(1)의 내부에 뻗어 있다. 이 배선은 핸드피스의 조인트부에 접속된 튜브를 거쳐 공급 장치에까지 연결되어 있고, 예를 들면, 핸드피스 본체(1)에 설치된 스위치의 조작으로, 발광소자(L)의 점등 또는 소등이 제어된다. 또는 별도로 설치된 스위치 조작에 의하는 것이라도 좋다.
홈(8) 내에 설치되는 발광소자(L)는 전술한 바와 같이, 405±50 nm의 근자외선 영역, 470±30 nm의 청색 영역, 700±100nm의 적색 영역, 적외선 영역, 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광의 어느 하나를 발광하는 LED 또는 반도체 레이저가 선택된다. 복수의 발광소자(L) 모두가 동일광을 발광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발광소자(L) 중에서,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배선 중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변경에 의하여, 다른 이변부의 치료에 대하여 편리한 것이 된다. 또한, 복수개의 발광소자 중에서, 몇 개를 단순한 조명용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조명용의 발광소자(L)를 점등하여, 구강 내를 관찰하고, 이변부로 보이는 부위를 발견하였을 때, 여기광의 조사로 곧바로 절환되어 편리한 것이 된다. 각 발광소자의 점등의 절환은 시분할로 자동적으로 절환하여도 좋고, 절환 스위치등에 의하여 수동으로 실시하여도 된다.
도 5에 도시한 구체예 4에서는 광 조사 수단으로서의 발광소자(L)가 진료구의 장착부 근방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상태의 것이지만, 광 조사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또는 발광소자(L)로부터의 여기광의 종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또한 단순한 조명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광 조사 수단을 핸드피스 헤드부에 착탈 교환할 수 있는 구체예 5를 도 6A 및 6B, 도 7에 도시하였다.
구체예 5에 의한 핸드피스의 구성은 광 조사 수단을 핸드피스 헤드부(2)에 착탈 교환이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발광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헤드 별체 부재(43) 를 헤드부(2)에 대하여 나합에 의하여 착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핸드피스 헤드부(2)의 선단부의 형상에 맞추어 원환상(圓環狀)의 배선 기판(49)에,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소자(L)를 배치하고 있다. 이 배선 기판(49)이 핸드피스 헤드부(2)의 선단부에 헤드 별체 부재(43)를 사용하여 설치되고, 각 발광소자(L)가 급전을 위한 배선(미도시)에 접속된다.
도 7은 구체예 5에 있어서의 도 6A와 동일한 구성의 일부 파단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헤드 별체 부재(43)는 중앙에 치료구(3)을 받아들이기 위한 중공부분이 있는 원환상의 부재이며, 핸드피스 헤드부(2)의 저부와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헤드 별체 부재 (43)의, 핸드피스 헤드부(2)에 장착시에 대면하는 면(49c)에는 원환상의 홈(49a)이 헤드 별체 부재(43)의 원환상의 형태에 따라서 설치되고, 이 원환상의 홈(49a)에 배선 기판(49)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원환상의 홈(49a)의 저부에는 배선 기판(49)에 설치되는 발광소자(L)의 배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49b)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공(49b)은 원환상의 홈(49a)의 저부로부터, 헤드 별체 부재(43)의 원환상의 홈(49a)의 개방측과 반대측의 면(49d)까지 관통하고 있다.
헤드 별체 부재(43)에는 원환상의 홈(49a)이 형성되므로, 원환상의 홈(49a)의 내측에, 헤드 별체 부재(43)의 일부가 헤드 별체 내벽부재(46a)로서 형성되고,원환상의 홈(49A)의 외측에, 헤드 별체 부재(43)의 일부가 헤드 별체 외벽부재(46b)로서 형성된다. 헤드 별체 내벽부재(46a)의 외주에는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핸드피스 헤드부(2)의 저부로부터 돌출하는 헤드측 계합부(44)에 착탈이 자유 롭게 나합하기 위한 나합부(47)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 별체 부재(43)에는 핸드피스 헤드부(2)에의 장착시에는 원환상의 홈(49a)에 배선 기판(49)을 발광소자(L)를 저부측을 향하여 끼우고, 헤드측 계합부(44)에 나합부(47)를 나합한다.
배선 기판(49)에는 헤드 별체 부재(43)의 핸드피스 헤드부(2)에의 장착시에, 도 6B의 헤드측 계합부(44)의 외주에 설치된 2개의 띠모양 도전 부재로 이루어지는 링 형상의 접속 단자(45)에 접하도록, 접점(50)을 가지는 접점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접점 (50)은 헤드 별체 부재(43)의 핸드피스 헤드부(2)에의 장착시에, 링모양 접속 단자(45)의 어느 부분에 접하고, 급전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접점 부재(51)는 배선 기판(49)에 설치하여도 좋지만, 헤드 별체 부재(43)에 설치하여, 배선 기판(49)에 접속하여 급전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 때, 복수의 발광소자(L)가 치료구(3)의 축을 둘러싸듯이 환상으로 배치되고,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발광소자(L)의 광 방출 방향이 치료구(3)를 설치하였을 때에 치료구(3)의 선단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발광소자(L)를 약간 내측에 경사시켜 설치하였다. 여기에 설치되는 발광소자(L)로서는 도 5에 나타낸 구체예 4의 경우와 같다.
이와 같은 구체예 5의 구성으로 하면, 광 조사 수단이 핸드피스 헤드(2)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광 조사 수단으로서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LED 또는 반도체 레이저에 의한 소자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광원의 냉각 기구가 불필요하게 되고, 핸드피스 등의 기구를 대형화하지 않고 조명 기능을 부가할 수 있어, 소형 경량으로 사용하기 쉬운 치과용 핸드피스를 얻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구체예 4는 발광소자(L)는 핸드피스 헤드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였지만, 도 7에 나타낸 구체예 5는 발광소자를 포함한 광 조사 수단이 핸드피스 헤드부와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된 경우의 일례이다.
다음으로, 도 8A 및 8B에, 복수의 발광소자(L)를 상기 선단부 주연에 직접 노출시켜 설치하는 구체예 6을 나타내었다. 구체예 6은 구체예 4에 있어서의 발광소자의 설치 방법을 변경한 것이고, 스케일러의 핸드피스 헤드부(2)에 관한 선단부의 형상에 맞추어 원환상의 배선 기판(13)에,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개의 발광소자(L)를 배치하고 있다. 이 배선 기판(13)이 핸드피스 헤드부(2)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각 발광소자(L)가 급전을 위한 배선에 접속된다.
이 때, 8개의 발광소자(L)가 치료구(3)의 축을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배치되고, 도 8B의 단면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발광소자(L)의 광 방출 방향이 치료구(3)의 선단의 방향을 향하도록, 발광소자(L)를 약간 내측에 경사시켜 설치하였다. 여기에 설치되는 발광소자(L)로서는 도 5에 나타낸 구체예 4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체예 6의 구성으로 하면, 광 조사 수단으로서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LED 또는 반도체 레이저에 의한 소자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광원의 냉각 기구가 불필요하게 되고, 핸드피스 등의 기구를 대형화하지 않고 조명 기능을 부가할 수 있어, 소형 경량으로 사용하기 쉬운 치과용 핸드피스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구체예 4 및 6은 발광소자(L)는 핸드피스 헤드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였지만, 도 7에는 구체예 5로서 발광소자를 포함한 광 조사 수단이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구체예 5는 구체예 4에 있어서의 구성에 기초하여 착탈을 자유롭게 한 일례이다.
도 9A 및 9B는 구체예 7을 나타내고, 이 구체예는 구체예 6에 있어서의 도 8A와 같은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구체예 6에 있어서의 구성에 기초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한 점이 다르다.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케일러의 핸드피스 헤드부(2)의 선단부를 헤드 별체 부재(14)로 형성하고, 이 헤드 별체 부재(14)의 선단에, 복수의 발광소자(L)를 배치한 배선 기판(13)을 설치한다. 또한, 헤드 별체 부재(14)에 있어서, 배선 기판(13)의 설치와 반대측의 주연부에는 각 발광소자(L)에 급전하기 위한 접속 단자(12)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그 접속 단자(12)는 도 9B에서는 2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배치된 발광소자(L)의 종류에 따른 복수 조(組)분의 갯수이며, 핸드피스 헤드부(2)에 설치된 소켓부에 삽입되게 되어 있다. 이 소켓부에 접속 단자(12)가 삽입됨으로써, 헤드 별체 부재(14)가 장착되어 고정된다. 헤드 별체 부재(14)에 설치되는 발광소자(L)의 종류 선정의 방법은 도 4A 및 4B에 도시한 구체예 3의 경우와 같다. 또한, 광조명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속 단자(12)를 설치한 채로 발광소자(L)만을 없애면 좋다.
이상에 설명한 구체예 1 내지 7에서는 광 조사 수단으로서의 발광소자(L)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치료구(3)의 전방을 조사하는 경우였다. 이러한 구체예에 대하여, 도 l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구체예에서는 핸드피스 본체의 내부에 광 조사 수단으로서의 광원을 배치하고, 이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광섬유 다발 등의 광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핸드피스 헤드부의 출사면 까지 도광하는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구체예 8에서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의 핸드피스 본체(1)는 원 터치 조인트부(15), 즉, 자재 이음부에 의하여 착탈되는 기부(16)의 선단 중앙에 발광소자(L)가 구비된다. 발광소자(L)의 전방에는 핸드피스 본체(1) 내에 설치된 광 가이드 부재(G)의 입사면(G1)이 근접 배치되어 있다. 광 가이드 부재(G)가 입사면(G1)에 입사된 발광소자(L)로부터의 광을, 핸드피스 헤드부(2)까지 전달한다. 또한, 광 가이드 부재(G)의 출사면(G2)이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핸드피스 헤드부(2)의 근방에 위치되고 출사면(G2)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이 치료구(3)의 전방을 향하여 조사된다. 이 출사면(G2)에 있어서, 전방을 향하여 조사되는 광의 확산을 조정하기 위하여, 확산부를 구비하여 두면 좋다. 이 확산부는 렌즈계이어도 좋고, 광섬유 다발의 선단 형상에 의하여도 좋다. 조면(粗面)으로 한 투광부재로 덮을 수도 있다.
도 10의 구체예 8에 도시한 기부(12)에 있어서의 발광소자(L)의 설치의 상세에 대하여,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서는 기부(16)의 주요부 단면도가 도시된다. 기부(16)의 선단에는 분리 가능한 캡 (1l0)이 설치되고, 그 내측에 발광소자(L)를 장착한다. 발광소자(L)는 도 10에 도시한 반사재(5)에 상당하는 반사면 (107)을 구비하고 있다. 발광소자(L)는 캡(110) 내부에서, 스프링(109)에 의하여 유지되고, 발광소자(L)의 단자(112)가 전기 단자(106)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전기 단자 (106)는 전선(105)을 통하여 공급 장치에 있는 외부 전원에 접속되어 발광소자(L)에 전원을 공급한다.
기부(16)에는 급기 및 냉각용의 공기가 흐르는 에어 관로(103)와 물이 흐르는 수관로(101)가 형성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핸드피스 본체에, 개구부(102, 104)로부터 공기 및 물을 공급한다. 캡(110)에는 공기구멍(108)이 설치되고, 공기관로 (103)로부터 발광소자(L)의 주위를 흐른 공기가 지나가는데, 이 공기에 의하여 발광소자(L)가 냉각된다. 발광소자(L)로부터의 광은 캡(110)의 선단의 관통 구멍(111)을 지나,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핸드피스 본체의 라이트 가이드의 입사면에 입사한다.
이 때, 기부(16)의 선단에 구비되는 발광소자(L)가 LED 또는 반도체 레이저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그 발광소자의 선정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구체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발광소자(L)로서 할로겐 램프 등의 램프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 조사 수단으로서의 구성은 LED 등의 소자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다르지 않지만, 소정의 파장을 가지는 여기광으로 하기 위하여, 캡(110)의 선단의 관통공(11)에 광학 필터를 설치하게 된다. 단지 조명광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광학 필터는 불필요하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구체예 8의 응용예로서 도 12에, 핸드피스 본체 내에 촬상 수단을 조립해 넣은 구체예 9를 도시하였다. 구체예 9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구체예 8과 동일한 것이지만, 또한 핸드피스 본체 내의 빈 공간에, 치료구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수단이 추가되어 있다.
에어 터빈 핸드피스의 핸드피스 본체(1)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CD 등의 촬상 소자(17)가 배치되어 있다. 광 조사 수단에 관한 광 가이드 부재(G) 에 대하여 병행 설치된 다른 이미지 가이드 부재(PG)가 설치되고, 이미지 가이드 부재(PG)의 입사면(PG1)는 광 조사 수단의 방사면(G2)의 근방에 위치되고 치료구(3)의 전방으로부터의 형광 또는 반사광을 수광한다. 이미지 가이드 부재(PG)의 출사면(PG2)은 촬상 소자(17)에 대향하고 있고, 광학 필터 F를 거쳐, 수광한 형광이 촬상 소자(17)에 입광되고, 치료구(3)의 전방에 있어서 형광이 촬상된다. 이 형광에 의한 화상을, 핸드피스와 떨어진 위치에 있는 모니터에 비추어, 치료구(3)의 전방에 있어서의 구강 내의 이변부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반사광을 관찰하는 경우에는 광학 필터 F는 불필요하다.
도 12에 도시한 구체예 9에서는 광학 소자 L로부터 방출된 광이, 핸드피스 헤드부(2)의 근방에 있어서, 2개의 출사면(G2)으로부터 치료구(3)의 전방을 조사하게 되어 있고, 그 전방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입사면(PG1)은 그 출사면(G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입사면(PG1)의 배치의 방법은 도 12는 단순한 예시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촬상 소자(17)의 배치 위치는 제9의 구체예에 나타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가이드 부재(PG)를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핸드피스 헤드부(2)에 가까운 위치에서, 치료구(3)의 전방을 향하기 쉬운 부분에, 직접, 촬상 소자(17)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 때에도, 광학 필터 F가 필요하다.
구체예 9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여기광을 조사하면서, 그 여기광에 의한 반사광을 촬상 소자(l7)로 촬상하고, 모니터로 이변부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우식부 등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해당 이변부를 진단 또는 치료하는 것이 가능해진 다.
실시예 2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 1에서는 주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을 에어 터빈 핸드피스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대한(도 8, 9에 대하여서는 스케일러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구체예 1 내지 9가 개시되어 있으나, 다음으로, 실시예 2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을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에 적용하였을 경우가 설명된다.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에는 2개의 타입이 있고, 한 개는 마이크로 모터의 손잡이부의 축에 대하여, 치료구(진료구)(3)의 회전축 방향이 거의 직교하는 콘트라 앵글 핸드피스의 경우와, 다른 하나는 마이크로 모터의 손잡이부의 축과 치료구(진료구)(3)의 회전축 방향이 일치하는 스트레이트 핸드피스의 경우가 있다. 전자의 경우는 도 13에 구체예 10으로서 도시되고, 후자의 경우는 도 14에 구체예 11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구체예 10의 유형에 의한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에 광 조사 수단을 설치할 때,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구체예 1 내지 5에 있어서의 발광소자의 설치 방법을 그대로 채용하고, 광 조사 수단으로서 발광소자를 핸드피스 선단부의 치료구(3)의 설치부 근방에 직접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구체예 11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구체예 6 및 7에 있어서 발광소자의 설치 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의 경우에는 핸드피스 본체(1) 내의 기부(16) 의 중심축에 마이크로 모터의 손잡이부의 축이 지나고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1에 관한 도 10, 12에 도시하는 구체예 8 또는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부(16)의 선단에 발광소자(L)를 배치시키지 못하고,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의 경우에는 구체예 8 또는 9와 같이 광 가이드 부재(G)를 설치할 수 없다.
이에, 도 13 및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소자(L)를 기부(16)의 부분을 벗어난 위치에서, 조인트부(15)에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광 가이드 부재(G)의 입사면(G1)을 발광소자(L)에 대향시키고, 광 가이드 부재(G)를 회전축에 따라서 설치한 구성으로, 광 가이드 부재(G)의 타단인 출사면(G2)을 핸드피스의 선단에 임하게 한다.
구체예 10에 있어서는 구체예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출사면(G2)은 핸드피스 헤드부(2)의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구체예 12에 있어서는 핸드피스 헤드부가 없기 때문에, 출사면(G2)은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에 있어서, 치료구(3)와 거의 평행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구체예 11의 경우에는 출사면(G2)은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에 대하여, 한 지점에 모아서 배치하고 있으나, 광 가이드 부재(D)가 광섬유 다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출사면(G2)을 치료구(3)를 둘러싸도록,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면에 있어서의 주연에 분산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출사면(G2)을 분산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포트적 조사를 광범위한 조사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구체예 10 및 11에 있어서의 발광소자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5에, 기부(16)를 포함하는 조인트부(15)의 주요부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기부(16) 의 선단은 중앙부가 돌출되어 있다. 그 주위의 일부에 발광소자(L)가 설치된다. 발광소자(L)의 단자(204)가 상기 단자(203)에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기부(16)에는 급기 및 냉각용 공기가 흐르는 에어 관로(202, 209)와 물이 흐르는 수관로(201, 207)가 형성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핸드피스 본체에는 개구부(208, 210)로부터 공기 및 물이 공급된다. 에어 관로(209)에는 에어 구멍(206)이 형성되고 에어 관로(209)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발광소자(L)의 주위를 흘러 발광소자(L)를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 발광소자(L)는 반사재(205)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소자(L)는 광 가이드 부재(G)의 입사면(G2)에 대향하여 면하고 있고, 발광소자(L)로부터의 광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핸드피스 본체의 선단에 전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2와 관련된 구체예 10 및 11에서는 광원이 되는 발광소자(L)로서 LED나 반도체 레이저 등을 사용하였을 경우를 예를 들었으나 도 16A 및 16B에, 발광소자(L)로서 램프 광원을 채용하였을 경우인 구체예 12를 도시하였다. 램프 광원에는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나트륨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수은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조명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램프 광원으로부터 광 가이드 부재에 그대로 도광하고, 특정 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광 필터를 통하여 광 가이드 부재로 도광한다.
도 16A에서는 광 조사 수단 이외의 내부 기구를 생략하였다. 구체예 10에 도시하는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에, 램프 광원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을 넣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핸드피스 본체(l)의 일부를 잘라내어 도시하고 있다. 램프 광원(L)은 핸드피스 본체(1) 내에 설치되고, 램프 광원 L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핸드피스 헤 드(2)의 근방까지, 광 가이드 부재(G1 및 G2)로 도광되고 치료구(3)의 선단 방향으로 조사된다.
광 가이드 부재(G1 및 G2)의 도중에는 광 가이드 부재(G1) 중을 도광되는 광을 차단하는 광 셔터 부재(SH1)가, 또한 광 가이드 부재(G2) 중을 도광하는 광을 차단하는 광 셔터 부재(SH2)가 도광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가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광 가이드 부재의 광 입사면은 램프 광원(L)에 대향하고 있으나, 광 가이드 부재(G1 및 G2) 중 어느 하나에, 또는 양쪽 모두에 소정의 파장을 투과하는 광 필터가 배치되어 있다. 도 16A의 경우에는 광 필터(F)가 광 가이드 부재(G2)측에 배치되어 있다. 광 필터(F)를 양쪽 광 가이드 부재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선택하는 파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광 셔터 부재(SH1와 SH2)를 이동시키고, 광 가이드 부재(G1)로부터 백색광의 조명광만을 조사하고, 광 가이드 부재(G2)로부터 여기광만을 조사할 수 있고, 또는 조명광과 여기광의 양쪽을 조사할 수 있다. 광 셔터 부재(SH1와 SH2)는 독립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6B에는 도 16A에 도시된 구체예 12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고, 두 개의 램프 광원 (L1, L2)를 사용하여, 조명광과 여기광 각각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각각의 광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램프 광원이 두 개가 필요하다. 도 16B의 변형예에서는 램프 광원(L1)으로부터 조명광이 광 가이드 부재(Gl)에 입사되고, 램프 광원(L2)으로부터 여기광이 광 가이드 부재(G2)에 입사하게 되어 있다. 램프 광원(L1와 L2)의 사이에는 차폐판(52)이 배치 되어 있고, 양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전원 V로부터, 램프 광원(L1와 L2)의 점등용 전력이 공급되고, 램프 광원(L1)의 온·오프는 스위치(SW1)로 이루어지고, 램프 광원(L2)의 온·오프는 스위치(SW2)로 이루어진다. 스위치(SW1)와 접지와의 사이에는 가변 저항기(R1)이 접속되고, 또한, 스위치(SW2)와 접지와의 사이에는 가변 저항기(R2)가 접속되고, 이러한 가변 저항기(R1, R2)를 조절함으로써, 램프 광원(L1, L2)의 방출 광량이 독립적으로 조절된다. 광 조사 수단의 광원이 램프 광원인 경우이며, 핸드피스 본체 내에 램프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전술한 다른 구체예에 대하여도, 이 광량의 조절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을 실시예 3으로서 스케일러 핸드피스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도 17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A 및 17B에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을 스케일러 핸드피스에 적용하는 개요가 도시되어 있고, 특히, 도 17A 및 17B에서는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부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7A에서는 전단부(18)의 치료구(진료구)(3)가 장착되는 부분에 가까운 한 지점에, 발광소자(L)를 노출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 설치 자세를 약간 경사시켜, 장착시의 광축이 파선으로 표시되도록, 치료구(3), 즉 스케일러의 형상에 따라서, 그 선단의 방향을 향하도록 선정된다. 또한, 발광소자(L)를 투광성 보호 커버 등으로 덮을 수도 있다.
여기서 설치되는 발광소자(L)에 대하여는,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구체예 1 및 2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한 설치 방법 및 사용수 등의 선정 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스케일러의 치료구는 통상 설치시에는 회전 나합되므로, 설치되었을 때에 그 방향은 일정하지 않다.
그 때문에,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소자(L)가 고정적으로 1개소에 모아져 있으면, 스케일러 장착시에, 스케일러의 선단이 도시와는 다른 방향을 향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고, 이 때에는 발광소자(L)로부터의 방사광은 그 선단으로부터 벗어난 부위를 조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치료중에 있어서의 치석 등의 관찰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에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드피스 본체(1)의 전단부(18)의 주연에 복수의 발광소자(L)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 함으로써, 발광소자(L)의 출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필요 수(數)로서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되고, 또한 복수종의 광을 방출하도록 할 수도 있어 좋다. 도 17B에서는 핸드피스 본체(1)의 전단부(18)에, 후에 상술하는 도광 어댑터(19)를 설치하고, 그 선단의 출사부(20)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도광 어댑터(19)는, 예를 들면 투광성의 내열성 합성 수지의 성형품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광섬유 다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8A 및 18B에, 도 17B에 도시된 경우에 관한 구체예 13를 나타내었다. 구체예 13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도 5에 도시된 구체예 4에 있어서 발광소자의 설치 방법 및 사용수, 종류 등의 선정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고, 핸드피스 본체(1)의 전단부(18)의 선단에서 치료구(3)의 장착부 근방에 설치된 홈(21)에, 복 수의 발광소자(L)가 설치되고, 그 홈(21)의 내면에는 반사재(5)가 피착되어 있다.
또한, 도 18A 및 18B에 도시된 구체예 13에서는 복수의 발광소자(L)가 전단부(18)에 설치된 홈(21), 또는 복수의 오목부에 설치되는 경우였지만, 실시예 1에 관한 구체예 6과 같이, 이 설치 방법 대신에, 환상의 배선 기판 상에 복수의 발광소자를 배치하는 설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는 구체예 14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19에 도시한 도광 어댑터(19)를 사용하고, 광 조사 수단을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에서는 발광소자(L)를 핸드피스 본체(1)의 전단부(18)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구체예 6에 있어서의 착탈이 자유로운 구성을 채용하고, 전단부(18)의 선단에 계합하는 원환상의 헤드 별체 부재(24)를 가지는 유닛을 준비한다.
헤드 별체 부재(24)에는 복수의 발광소자(L)가 그 접속 단자(23)와 함께 몰드되어 있다. 또한, 이들 발광소자(L)를 덮는 형태로, 도광 어댑터(19)가 고착되어 있다. 이 도광 어댑터(19)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중공부에 스케일러의 각부(脚部)가 끼워진다. 발광소자(L)로부터 방사된 광은 도광 어댑터(19) 내에 전달되어 선단부(20)에 도광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유닛은 전단부(18)에 계합되고, 핸드피스 본체(1)에 장착되지만, 이 때, 접속 단자(23)가 전단부(18)에 구비된 소켓에 삽입되고, 발광소자(L)로의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유닛은 도광 어댑터(19)에 의하여, 발광소자(L)가 밀봉되고, 외기가 차단되고, 또한 수증기나 열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 고, 발광소자(L)의 보호는 충분히 이루어지게 되고, 예를 들면, 유닛을 핸드피스 본체에 설치한 채로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처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l9에 나타낸 구체예 14에 있어서의 도광 어댑터는 가늘고 길게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이 길이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도광 어댑터를 렌즈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도광 어댑터는 실시예 1에 관한 구체예 6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광 조사 수단으로서 발광소자(L)를 핸드피스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구체예 15를 도 20A 및 20B에 나타내었다. 전술한 구체예 14에서는 유닛의 설치시의 유지는, 주로 접속 단자와 소켓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구체예 15에서는 선단에 갈고리를 가지는 계합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도 20A의 경우에서는 발광소자(L)의 모듈 자체에, 선단에 갈고리가 있는 계합 부재 (25)를 두 개 구비하고, 접속 단자(23)를 세워서 설치하였다. 이 계합 부재가 설치된 발광소자 모듈을 필요한 부분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20B의 경우에서는 발광소자(L)를 유닛으로 하여 헤드 별체 부재(24)를 형성하고, 이 헤드 별체 부재(24)에 선단에 갈고리가 있는 계합 부재(25)를 구비하여 두고, 핸드피스 본체의 전단부(18)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 3에 관한 구체예 13 내지 15에서는, 주로 스케일러 핸드피스의 전단부에 복수의 발광소자가 직접 설치되고, 각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이 스케일러의 선단 방향을 조사하는 것이었지만, 도 21에 핸드피스 본체 내에 발광소 자를 내장하고, 핸드피스 전단부에 발광소자로부터 방출한 광을 도광하는 구체예 16을 도시하였다.
이 구체예 16은 전술한 실시예 2에 관한 구체예 11에 있어서 광 조사 수단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발광소자(L)는 구체예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케일러 핸드피스의 기부(27)의 측부에 배치되고, 광 가이드 부재(G)의 입사면(G1)이 발광소자(L)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발광소자(L)로부터 방출된 광은 입사면(G1)으로부터 입사되어 광 가이드 부재(G)의 출사면(G2)에 도광되고, 출사면(G2)로부터 스케일러(3)의 전방이 조사된다. 출사면(G2)은 치료구(3)의 장착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다만, 구체예 16으로서, 전술한 구체예 11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을 그대로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도 17A에서 설명한 한 지점으로부터 광 조사하는 경우에 상당한다. 이에 도 21에 도시한 구체예 16에서는 도 17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케일러(3)가 어느 방향으로 장착되어도 스케일러의 선단 방향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전단부(18)에 있어서 광 가이드 부재(G) 자체를 원통형으로 설치하고, 그 출사면(G2)이 전단부(18)의 선단에 있어서 원환상이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의 광 조사 수단으로 함으로써, 스케일러가 어떠한 방향으로 장착되어도, 스케일러의 전방에서 그림자를 만들지 않고 광범위하게 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을 쓰리 웨이 실린지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된 구체예 17에 있어서, 쓰리 웨이 실린지는 실 린지 본체(28) 내에 발광소자(L)를 구비하고, 발광소자(L)로부터 방출된 광은 안개상의 물을 분사하는 선단부(진료구)(30)까지 광 가이드 부재(G)로 전달되고, 그 분사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광 가이드 부재(G)의 출사면(G2)은 도 22에 도시한 선단부의 정면도와 같이, 중앙에 설치된 에어 및 물의 분사구 주위에 환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발광소자(L)에는 반사재(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체예 17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의 발광소자(L)의 설치 방법 및 종류의 선택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구체예 8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23에 구체예 17에 있어서 채용한 광 가이드 부재를 없앤 쓰리 웨이 실린지의 구체예 18가 도시되어 있다. 선단부(30)에 설치된 홈(21) 내에 복수의 발광소자(L)가 배치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된 쓰리 웨이 실린지에 있어서 발광소자의 설치 방법은 도 18B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 3에 관한 구체예 13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홈(21)의 내벽면에는 반사재(5)가 피착되어 있다. 또는 홈(21)의 개구부를 덮는 투명한 보호 부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선단부(30)에 설치된 홈 내에 복수의 발광소자를 설치하는 대신에, 실시예1에 관한 구체예 6 및 7과 같이, 원환상의 배선 기판에 복수의 발광소자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을 라이트 프로브에 적용한 경우이고, 도 24에는 라이트 프로브 본체(31)의 출광단인 선단부(32)에 발광소 자(L)가 설치된 구체예 19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의 발광소자(L)의 선단부에 대한 설치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구체예 1과 동일하고, 선단부(진료구)(32)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발광소자(L)가 설치된다. 라이트 프로브 본체(1)는 조인트부(31)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발광소자(L)에 대한 급전은 다른 구체예와 동일하다.
도 25에는 라이트 프로브 본체(31) 내에, 발광소자(L)를 구비하고, 광 가이드 부재(G)에서 발광소자(L)로부터의 광을 전달하고, 라이트 프로브 본체(31)의 선단부(진료구) (33)로부터 조사하도록 한 구체예 20이 도시되어 있다. 발광소자(L)에는 반사재(5)가 설치된다. 이 구체예 20에 채용되어 있는 광 조사 수단은 전술한 실시예1에 관한 구체예 8의 경우와 동일하고, 발광소자(L)에 대향 배치된 입사면(G1)으로부터 광이 입사되고, 선단부(33)에 설치된 출사면(G2)에 도광되고, 이 출사면(G2)으로부터 전방으로 조사된다.
또한, 구체예 20에 있어서도, 실시예1에 관한 구체예 9와 마찬가지로, CCD 등의 촬상 소자를 라이트 프로브 본체(31) 내에 내장하고, 광 가이드 부재를 별도 설치함으로써, 출사면(G2)로부터 조사한 여기광에 의한 대상 부위로부터의 형광 반사광을 화상으로서 관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을 조명이 부착된 덴탈 미러에 적용한 경우이며, 도 26에 그 덴탈 미러의 구체예를 나타내었다.
덴탈 미러는 기구 본체(34)로부터 착탈할 수 있는 선단부(35)를 구비하고 있고, 그 선단부(35)의 단(端)에는 미러 유지 부재(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단 부(25)의 축부에는 조명 수단(38)을 구비하고 있다. 조명 수단(38)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러(진료구)(37)를 향하여 조명광을 조사하게 되어 있다. 미러 유지 부재 (36)의 미러측의 주연 또는 그 일부에 복수의 발광소자(L)가 배치되어 있다. 발광소자(L)의 설치 방법, 배치 방법 등은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구체예 4의 광 조사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미러(37)의 표면에는 캡상으로 구성된 필터를 착탈 교환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캡상 필터는 목적에 따라 다른 특정 파장의 광만을 미러(37)에 의하여 반사하는 것이다. 특정 파장으로서는 405±50 nm의 근자외선 영역, 470±30 nm의 청색 영역, 700±100 nm의 적색 영역, 적외선 영역, 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들 수 있으나, 이들 파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캡상 필터는 미러 부분의 표면에 겹쳐서 배치하고, 이 때, 발광소자(L)로부터의 광은 그대로 환부에 조사되도록 발광소자(L)의 전면에는 유리 또는 공간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명 수단(38)은 없어도 좋다. 또한, 이 덴탈 미러는 기구 본체(34) 또는 미러 유지부(36)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배터리 구동함으로써 코드리스화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된 조명 부착 덴탈 미러에 의하면, 구강 내를 조명광으로 관찰하고 있을 때, 이변부로 보이는 부위를 발견한 경우, 발광소자(L)로부터의 여기광을 해당 부위에 조사하면, 그 반사광에 대하여 광학 필터 기능을 가지는 안경 등으로 관찰하면, 이변부를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다. 미러 표면에 광학 필터를 붙여놓으면, 이변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의 다른 파장만 반사 하는 복수의 광학 필터를 미러 표면에 착탈이 자유롭게 해두면, 광학 필터를 교환하고 목적에 따른 이변부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학 필터는 미러 표면에 코팅을 실시하는 등 미러와 일체화하여 구성하고, 광학 필터가 부착된 미러를 미러 유지 부재(36)에 대하여 착탈 교환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을 치과용 광중합기에 적용하였을 경우이며, 도 27A 및 27B에 그 선단부를 도시한다. 이 광중합기는 중합기 본체(40)와, 중합기 머리 부분(진료구)(41)으로 이루어지고, 중합기 머리 부분(41)의 전면부에는 중합에 도움이 되는 청색광을 방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발광소자(LA)와, 또한 여기광을 방사하는 발광소자(L)가 설치된다. 또한, 중합기 본체(40)에는 발광소자에게 급전하기 위한 접속 단자(42)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중합기 본체(40)는 접속 단자(42)가 핸드피스 부재(미도시)에 있는 소켓에 삽입됨으로써, 핸드피스 본체에 고정되는 동시에, 발광 소자에 급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발광 소자는 발광소자(42)에서 핸드피스 부재(미도시)에 있는 소켓으로부터 급전되는 예을 도시하였으나, 핸드피스 본체에 광중합 조사 광원용의 배터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어도 되고, 중합기 본체(40)가 핸드피스 본체에 분할 불가능한 형태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광중합기와 핸드피스 본체가 착탈이 자유롭게 되고, 핸드피스 본체를 다른 치료용 뿐만이 아니라 광중합기로서 겸용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 에 편리하고, 그것에 따라서 기기의 설치 비용도 절약된다. 광중합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치료구류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중합기 본체(40)를 적절하게 만곡시킬 수 있고, 또한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발광 소자(3)에의 전원 리드만을 구비한 가늘고 긴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중합용의 발광소자와 동일하게 하여, 여기광 방사용의 발광 소자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여기광도 동시에 조사 가능하기 때문에 중합 치료하면서, 그 반사광에 대하여 광학 필터 기능을 가지는 안경 등으로 관찰하면, 이변부를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진료기구라 함은, 에어 터빈 핸드피스,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 스케일러, 쓰리 웨이 실린지, 버큠 실린지, 레이저 핸드피스, 덴탈 미러, 치과용 광중합기를 의미한다. 또한 핸드피스라 함은 상기 진료기구 중에서 시술자가 손에 가지고 시술하는 부분을 말한다. 또한 도22, 23, 24, 25, 26, 27, 62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 등의 치료구(진료구)는 장착하지 않지만, 진료용 조명이나 유체의 사출구가 진료 기구에는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하여도 치료구를 포함한 진료구의 일종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8
실시예 8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을 덴탈 레이저 치료기에 적용한 경우이다. 도 29A 및 29B에 그 구체예 21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부터, 덴탈 레이저 치료기는 구강 내에 있어서의 생체 조직의 증산(蒸散)·절개, 응고·지혈 또는 가온·진통 완화, 그리고 치아의 절삭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조사되는 레이 저광은 도 62에 도시하는 구동 제어장치(S) 내에 구비된 레이저 광원에서 발생되고, 튜브(TU) 내를 삽통된 광섬유 등의 광 가이드 부재를 거쳐 핸드피스(HP)의 선단부(진료구)까지 도광되도록 되어 있다.
이 레이저 광원으로서는 반도체 레이저, 탄산가스 레이저, Er:YAG 레이저, Nd:YAG 레이저, Ho:YAG 레이저 등이 사용된다. 레이저광의 강도가 높고, 출력 파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레이저 광원을 구동 제어장치(S) 내에 구비하지 않을 수 없지만, 비교적 그 강도가 작은 경우에는 레이저 광원을 핸드피스(HP) 내에 설치하고 발광된 레이저광을 핸드피스(HP)의 선단부에 광 가이드 부재로 도광할 수 있다.
도 2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덴탈 레이저 치료기에 있어서, 치료용 레이저광을 위한 광 가이드 부재(LG)가 핸드피스 내의 거의 중심에 삽통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의 적용 방법은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 2에 관한 구체예 12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도 28A에 도시된 예에서는, 발광소자(L)를 광학 가이드 부재 (LG)의 삽통로를 벗어난 위치에서 조인트부(15)에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광 조사 수단에 관한 광 가이드 부재(G)의 입사면(G1)을 발광소자(L)에 대향시켜, 광 가이드 부재(G)를 광 가이드 부재(LG)를 따라서 설치하고, 광 가이드 부재(G)의 타단인 출사면(G2)을 핸드피스의 선단에 임하게 한다.
도 28A에 도시된 덴탈 레이저 치료기의 경우에는 핸드피스 헤드부가 없기 때문에, 출사면(G2)은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에 있어서, 광 가이드 부재(LG)의 출 사면(LG2)과 동일한 면에, 출사되는 레이저광과 거의 평행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28A에 도시된 덴탈 레이저 치료기의 경우에는 출사면(G2)은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에 있어서, 한 지점에 모아서 배치되어 있으나, 광 가이드 부재(G)가 광섬유 다발로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도 21에 도시한 구체예 16과 같이, 출사면(G2)을 출사면(LG2)를 둘러싸도록,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면에 있어서의 주연에 분산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출사면(G2)을 분산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포트적 조사를 광범위한 조사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28A에 도시된 덴탈 레이저 치료기의 경우에서는 광 조사 수단은 하나의 특정 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복수의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고 싶은 경우에는, 조인트부(15)에 광 가이드 부재(LG)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발광소자(L)를 배치하고, 각각의 발광소자(L)에 대응한 광 가이드 부재(G)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에 있어서, 복수의 광 가이드 부재(G)의 출사면(G21 내지 G25)이 광 가이드 부재(LG)의 출사면(LG2)의 주위에 배치된다.
도 28B에 도시된 예에서는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면서, 그 광에 의한 반사광을 촬상 소자로 촬상하고, 모니터로 이변부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고, 우식부 등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당해 이변부를 진단 또는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8A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 1에 관한 구체예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소자를 조인트부(15)에 설치할 수 있다. 그 촬상 소자에 반사광을 도광하는 이미지 가이드 부재(PG)의 입사면(PG1)이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다. 이 촬상 소자는 덴탈 레이저 치료기의 구동 제어장치 내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도 2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특정 파장을 광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4에 도시한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점등 제어되고, 각 발광소자의 점등을 절환시키고, 또는 도 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발광소자의 시분할 점등될 수 있다.
또한, 도 28A 및 28B에서는 발광소자가 핸드피스 내에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실시예 3에 관한 구체예 13 내지 15, 실시예 4에 관한 구체예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덴탈 레이저 치료기의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에 있어서, 광 가이드 부재(LG)의 출사면(LG2)의 주위에 복수의 발광소자(L)를 임하게 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소자(L)를 핸드피스 본체(1)와 별체 부재에 설치하고,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에서 착탈이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
광 조사 수단의 광원인 발광소자(L)는 덴탈 레이저 치료기의 구동 제어장치 내에 구비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발광소자(L)로부터 방출된 광은 치료용 레이저광과 마찬가지로, 튜브(TU)에 삽통된 광 가이드 부재(G)에 의하여,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까지 도광된다.
이 경우에, 복수의 특정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포함될 때에는 각각 광 가이드 부재(G)를 사용하는 대신에, 한 개의 광 가이드 부재(G)에 의하여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까지 도광할 수도 있다. 각 발광소자를 절환 점등시 키거나, 또는 도 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발광소자를 시분할 점등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소자를 동시에 점등할 때에는 각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을 믹싱하여 광 가이드 부재(G)로 도광할 수 있다.
광 조사 수단의 광원으로서 백색광을 방출하는 램프가 덴탈 레이저 치료기의 구동 제어장치 내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그 램프에 대응하여 놓여진 광 가이드 부재(G)의 입사면(G1)에 특정 파장을 선택하는 광 필터(F)를 배치할 수 있고, 조명광과 특정 파장의 광을 절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 필터를 절환하도록 구성하여, 복수의 특정 파장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통상의 레이저 핸드피스에 있어서는 작업광인 레이저광이 어느 위치를 조사 대상으로 하고 있는 지를 조준할 수 있는 가시광선이 가이드광으로서 동일한 핸드피스로부터 조사되게 되어 있다. 이 가이드광은 적어도 레이저 핸드피스 선단부로부터 방사될 때까지, 작업광과 동일한 경로를 통과하여 조사되고, 이 때, 작업광과 가이드광의 쌍방에 의한 혼성광(WG)이 된다.
이에, 이 혼성광(WG)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핸드피스에 있어서, 혼성광(WG)에 포함되는 가이드광 대신에, 이변부를 특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여기광을 조사하도록 한 실시예 8에 관한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에, 여기광을 혼성광(WG)에 포함한 레이저 핸드피스의 사용 상황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레이저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에 구비된 레이저 프로브(진료구)(LP)로부터, 작업광과 가이드광으로 이루어지는 혼성광(WG)이 피조사 부위인 치아(T)를 향하여 조사된다. 치과의인 작업자가 레이저 핸드피스 본체(1)를 손에 들고, 피조사 부위를 조사하고 치료를 실시한다. 피조사 부위의 치아(T)가 우식 등의 이변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여기광인 가이드광에 의하여 형광 등을 발광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어느 부분을 조사하고 있는지, 혼성광(WG) 중의 가이드광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우식 등의 이변부가 있으면, 상기 이변부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혼성광(WG) 중의 작업광을 조사할 수 있다. 피조사 부위를 육안으로 보아도 좋지만, 특히 형광을 선명하게 보기 위하여는 여기광을 차단하는 광 필터(F)를 구비한 고글(43)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로써, 선명하게 이변부를 관찰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상 수단을 구비한 핸드피스의 경우에는 모니터 등의 표시 수단을 사용하여 관찰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도 30에 촬상 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레이저 핸드피스의 구체예 22가 도시되어 있다. 도 3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이저 발생 장치(45)에는 작업용 레이저광 발생 수단 (46)과 가이드 광 레이저 발생 수단(44)이 구비되어 있고, 레이저 발생 장치(45)의 내부에 있어서, 작업광용 레이저광 발생 수단(46)에서 발생된 레이저광의 경로 내에 다이클로익 미러(HM)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광용 레이저광 발생 수단(44)으로부터 발생된 가이드광이 이 다이클로익 미러(HM)로 반사된다. 이 때, 작업광용 레이저광과 가이드광이 혼성되어 생성된 혼성광(WG)은 광 가이드 부재(G1)에 의하여 레이저 핸드피스 본체의 선단부에 고정된 레이저 프로브(LP)까지 도광되어 피조사 부위에 조사된다.
또한, 가이드광용 레이저광 발생 수단(44) 내에서, 여기광용 레이저광을 발생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것과는 별도로 여기광용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설치하고 다이클로익 미러로 작업광용 레이저광에 혼성할 수도 있다. 또한, 광 가이드 부재(G1)를 거쳐 여기광을 조사하는 대신에, LED나 LD에 의한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광원을 레이저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부에 있어서 레이저 프로브(LP) 근방에 설치하고, 레이저 프로브(LP)로부터의 작업용 레이저광의 방향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여기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한편, 레이저 핸드피스 본체(1)의 내부에는 CCD 촬상 소자를 포함한 촬상 수단(17)이 설치되어 있다.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부에는 피조사 부위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학계를 가지는 입사부(PG1)가 구비되고, 입사부(PG1)에 입사된 반사광은 이미지 가이드 부재(PG)에 의하여, 촬상 수단(17)에 도광되어, 피조사 부위의 촬영이 이루어진다. 촬영된 피조사 부위의 화상의 전기 신호는 화상 처리 장치(47)의 화상 처리 수단(48)에 전송되고, 여기서 화상 처리된 피조사 부위의 화상이 표시 수단(49)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도 31에 도시된 레이저 핸드피스에 관한 구체예 23은 도 30에 도시된 구체예 22의 레이저 핸드피스에 있어서의 가이드광의 발생의 방법을 변형한 것이다. 구체예 22의 경우에는 가이드광용 레이저광 발생 수단은 레이저광 발생 장치(45)의 내부에 구비되고, 다이클로익 미러에 의하여 혼성광(WG)가 생성되어 있었지만, 구체예 (23)에서는 가이드광용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레이저 핸드피스 본체 내부에 구비하였다. 그 때문에, 혼성광(WG)의 생성은 핸드피스 본체 내에서 이루어진다.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용 레이저광은 레이저 발생 장치(45) 내의 작업광용 레이저광 발생 수단(46)에서 발생된다. 또한, 광 가이드 부재(G1)에 의하여, 핸드피스 본체(1) 내에 도광되고, 또한 레이저 프로브(LP)까지 도광되어 피조사 부위에 조사된다. 한편, 가이드광용 레이저광은 핸드피스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광용 레이저광 발생 수단(44)에서 발생되고, 미러(M)와 다이클로익 미러(HM)에 의하여, 작업광용 레이저광과 혼성된다. 여기광용 레이저광은 이 가이드광용 레이저광 발생 수단(44)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체예 22 및 23에 의한 레이저 핸드피스에서는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부, 즉, 레이저광의 조사단에 레이저 프로브(LP)가 구비된 형태의 것이었지만, 도 32A 내지 32C에 도시된 레이저 핸드피스의 구체예 24와 같이, 레이저 프로브 LP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작업광용 레이저광과 가이드광이 동일한 경로를 지날 필요가 없고, 서로 근접하고 있으면 충분한 것을 이용하여, 구체예 24의 경우에는 도 3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광용 레이저광을 도광하는 광 가이드 부재(G1)의 주위에 복수의 가이드광용 레이저 발생 수단(44-1 내지 44-4)을 배치하였다. 또한, 도 32A에 도시된 핸드피스 본체(1)의 절결 단면도는 도 32B의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 방향에서 본 정면도에 있어서의 X-X에 있어서의 단면이다.
작업광용 레이저광은 광 가이드 부재(G1)로부터 출사하고, 핸드피스 본체(1)의 조사단(LO)(진료구)으로부터 피조사 부위에 조사되지만, 가이드광용 레이저광은 이 작업광용 레이저광과 평행하게 피조사 부위에 조사된다.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광용 레이저 발생 수단(44-1 내지 44-4)은 핸드피스 본체(1)의 내부에서, 광 가이드 부재(G1)의 주위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지만, 복수의 가이드광용 레이저 발생 수단(44-1 내지 44-4) 중에서, 모두 여기광용 레이저광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일부의 가이드광용 레이저 발생 수단으로 가이드광을 발생시키고, 다른 가이드광용 레이저 발생 수단으로 여기광용 레이저광을 발생시켜도 좋다. 또한, 여기광의 파장을 모두 동일한 것으로 하여도 좋고, 서로 다른 파장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광용 광은 레이저광에 한정되지 않고, LED 등의 발광소자로부터 방출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 32C에는 도 32A 및 32B의 구체예 24에 의한 레이저 핸드피스를 사용하고, 피조사 부위에 조사된 작업광용 레이저광과 가이드광용 레이저광의 스포트 형상이 나타나 있다. 굵은 선으로 나타낸 원이 작업광용 레이저광의 조사 스포트를 나타내고, 그 조사 스포트와 일부가 겹치도록, 상기 스포트의 주위에 놓인, 가는 선으로 나타낸 4개의 원이 각 가이드광의 스포트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를 구비한 치과 진료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핸드피스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구강 내의 이변부를 특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 조사 수단의 구체예를, 실시예 9 내지 12로 나누어 설명한다.
실시예 9
실시예 9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치과 진료 장치에 사용되는 구강 내 조명 장치로서 전술한 이변부 추출 원리에 기초한 광 조사 수단을 가지고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어댑터에, 상기 광 조사 수단을 점등 구동하는 전원이 일체적으로 구비된 전원 일체형의 경우이며,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장착되는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25 내지 27이 도 33 내지 도 38에 도시되어 있다.
도 33A에는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전체가 도시되고, 1은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하나인 에어 터빈 핸드피스 본체를, 2는 그 핸드피스 헤드부, 3은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는 바 등의 공구류인 치료구(진료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그 핸드피스 본체(1)는 헤드부(2)와 반대측에 있어서 핸드피스 본체(1)와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조인트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조인트부가 튜브(4)를 거쳐, 에어 등의 공급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도 33A에는 구체예 25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가 핸드피스 본체(1)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예 25의 구강 내 조명 장치는 어댑터 본체(305), 전원 박스 (306), 그리고, 장착 부재(307)로 구성되어 있다. 어댑터 본체(305)는 헤드부가 구강 내에 삽입되는 것을 고려하여, 방해가 되지 않도록, 편평하게 형성되고, 본체의 일단부에, 광 조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어댑터 본체(305)는 핸드피스 외주의 형상에 따른 원형상으로 성형하여도 된다.
이 광 조사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L)를 포함하는 것이고, 복수의 발광소자(L)를 구비되는 경우에는 어댑터 본체(305)의 편평한 형상에 맞추고, 복수의 발광소자(L)는 일렬로 병설된다. 이 복수의 발광소자 각각에는 집광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각 발광소자 광 방사 방향은 구강 내 조명 장치가 핸드피스 본체(1)에 장착된 때에, 치료구(3)의 전방을 조사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 때, 광 조사 수단으로서, 복수의 발광소자(L)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방사되는 광의 파장 이 모두 같아도 좋고, 또는 서로 다른 파장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조명광과 여기광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도 33A에 도시된 구체예 25의 경우는 치과용 인스트루먼트가 에어 터빈 핸드피스이므로, 각 발광소자의 광 방사 방향은 핸드피스 본체(1)의 중심축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체예 25의 구강 내 조명 장치가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 스케일러 핸드피스 등과 같이, 치료구(3)가 핸드피스 본체(1)의 중심축을 따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어댑터 본체(305)에 설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의 광 방사 방향은 이 중심 축을 따른 방향으로 향하여진다.
어댑터 본체(305)의 헤드부측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점등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내장한 전원 박스(30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원은 소형의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이며, 일차전지의 경우에는 버튼형 수은전지 등이 사용되고, 이차전지의 경우에는 버튼형 또는 봉형의 리튬전지 등이 사용된다. 이들 전지는 전원 박스(306)에 교환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차전지의 경우에는 상기 전지를 고정적으로 내장해두고 외부로부터 충전할 수 있는 단자를 전원 박스(306)의 측벽에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
도 3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 본체(5)에 광 조사 수단으로서 복수의 발광소자(L)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원 박스(306)에 내장된 전원을 각 발광소자(L)에 변경하여 공급하는 스위치(SW1)가 어댑터 본체(305)의 측벽에 설치된다. 이 스위치(SW1)로 전원의 온·오프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으나, 전원 박스(306) 자체를 어댑터 본체(305)와 착탈이 자유롭게 핀 접속할 수 있도록 해두고, 전원 박스(306)를 어댑터 본체(305)에 장착하였을 때, 전원 온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어댑터 본체(305)의 측벽에 있어서, 스위치(SW1)와 함께, 또 하나의 스위치(SW2)를 설치하여 둔다. 이 스위치(SW2)의 조작에 의하여, 각 발광소자(L)의 발광 광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SW2)의 온·오프 조작으로, 2 단계의 발광색량을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SW2)를 소형 볼륨에 교체하고, 무단계로 광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예 25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기 때문에, 어댑터 본체(305)에 장착 부재(307)가 설치되어 있다. 구강 내 조명 장치가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장치가 이 인스트루먼트의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그 때문에, 이 장착 부재(307)는 도33A에 도시된 경우에는 어댑터 본체(305)의 상면에 구비되고 에어 터빈 핸드피스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목 부분을 탄성적으로 협지한다.
도 33B는 구체예 25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도33A에 도시된 에어 터빈 핸드피스의 선단부분을 확대한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33B에서는 발광소자(L)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발광소자(L)로부터의 조명광 또는 여기광은 치료구(3)의 축방향에서, 그 전방을 조사하고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전원 일체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25가 설명되어 있지만, 이 구체예 25에서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를 예를 들어 그 헤 드부(2)의 목부분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었지만, 도 34A 및 34B에는 헤드부(2)의 치료구 설치 부분에 관한 선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전원 일체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26이 도시되어 있다.
도 34A에서도, 치과용 인스트루먼트로서 에어 터빈 핸드피스의 경우를 예로 들고 있고, 도 33A에서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 34A에 도시한 구체예 26의 구강 내 조명 장치는 헤드부(2)의 선단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고, 장치 전체가 편평 형상이 아니라 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어댑터 본체(308)가 링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링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체예 26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은 복수의 발광소자(L)가 치료구(3)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으로 배치된다. 각 발광소자(L)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 박스(306)는 어댑터 본체(308)의 외주 측벽에 구비되고, 장치가 헤드부(2)에 설치되었을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전원 박스(306)가 헤드부(2)의 밑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예 26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스위치(SW1 및 SW2)의 설치 방법은 구체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고, 전원 박스(306)도 마찬가지이다.
도 34B는 구체예 26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4A에 도시된 에어 터빈 핸드피스의 선단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4B에서는 2종류의 파장으로 발광하는 발광소자(L1, L2)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발광소자(L1)로부터 조명광이 발광소자(L2)로부터 여기광이 방사되는 경우에는 발광소자(Ll, L2) 가 교호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발광이 치료구(3)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그 전방을 조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발광소자가 링 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발광이 치료구(3)의 축을 둘러싸게 되고, 전방의 이변부에 대하여, 무영 상태의 조사가 가능하게 된다.
이 때, 구체예 26의 구강 내 조명 장치의 어댑터 본체(308)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소자의 배치예를 도 35A 내지 35C에 나타내었다. 도 35A는 발광소자가 포탄형 LED인 경우를, 도 35B는 칩형 LED의 경우를, 그리고, 도 35C는 베어 팁형 LED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어느 경우에도 링 형상의 어댑터 본체(308)의 단부에 있어서의 원주상에 복수의 발광소자(L1, L2)가 배열되고, 원환상의 배선 기판 등을 거쳐 전원 박스(306)로부터 급전된다. 또한, 링 상태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소자(L1, L2)의 중앙 부분에는 적어도 치료구(3)가 자유롭게 삽통되는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도 36에, 구체예 26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어댑터 본체(308)에 대하여, 치료구(3)의 축에 관한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어댑터 본체(308)의 중앙에는 헤드부(2)의 선단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또한 치료구(3)가 삽통되는 개구가 열려 있다. 또한, 어댑터 본체(308)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부재(381)가 접착되어 있고, 어댑터 본체(308)가 헤드부(2)의 선단에 밀어넣어져서 설치되었을 때,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 본체(308)가 헤드부(2)에 설치될 때, 탈락 방지의 미끄럼 방지 부재 대신에, 나사에 의한 계합 수단이나, 클로(claw)에 의한 계합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구체예 2의 설명에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의 예를 들었지만,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 스케일러 핸드피스, 버큠 실린지 등의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치료구(진료구) (3)의 축이 핸드피스 본체(2)의 중심 축을 따르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설치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구체예 26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어댑터 본체(308)는 비교적으로 딱딱한 합성 수지 등으로 일체적 성형되어 있다. 그런데, 설치 대상인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선단부는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지름을 가진 것이 많고, 이것에 대응시키려면, 각각의 지름에 맞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준비하여야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이에 선단부의 지름이 바뀌어도, 하나의 장치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구체예 27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가 도 37에 나타나 있다.
도 37에 도시된 구체예 27의 구강 내 조명 장치는 어댑터 본체(308)와 전원 박스(310)와 코일 장착 부재(311)로 구성되어 있다. 어댑터 본체(308)는 복수의 발광소자(L1, L2)와 광원 설치 부재(309)로 이루어지고, 이 장착 부재(9)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선 기판을 포함하고 있고, 복수의 발광소자(L1, L2)가 링 형상으로 배열된다.
광 조사 수단으로서의 발광소자의 배치 방법은 구체예 26의 경우와 같지만, 절환용 스위치는 전원 박스(311)의 측벽에 설치된다.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를 내장하는 전원 박스(310)로부터의 리드선에 의하여, 광원 설치 부재(309)에 배열된 발광소자(L1, L2)에 급전된다.
광원 설치 부재(309)에는 이 부재측의 내경은 작고, 또한 서서히 내경이 커지는 코일 장착 부재(3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 장착 부재(311)를 구비한 구강 내 조명 장치는, 주로 치과용 인스트루먼트 중에서도 직선형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 스케일러 핸드피스, 버큠 실린지 등의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치료구(3)의 축이 핸드피스 본체(2)의 중심 축에 따른 경우에 유효하다.
도 38에, 구체예 27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스케일러 핸드피스에 설치한 경우의 사용예를 나타내었다. 도 38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일 장착 부재(311)의 내부에, 핸드피스 본체(1)의 선단부가 압입되는 형태로 밀어넣어지고, 코일이 선단부의 지름을 따라 확장되고, 또한 코일의 탄력으로 죄이는 힘이 발생하고, 구강 내 조명 장치가 스케일러 핸드피스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이 때, 각 발광소자의 방사 방향은 핸드피스 본체(1)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되고, 광은 스케일러의 공구인 치료구(3)을 둘러싸도록 조사되고, 치료구(3)의 전방에 있어서 무영 상태로 조사된다.
실시예 10
실시예 9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서는 어댑터에 설치된 광 조사 수단에 급전하는 전원이 상기 어댑터에 일체적으로 넣어지는 전원 일체형의 경우였지만, 실시예 10에서는 전술한 이변부 추출 원리에 기초한 광 조사 수단을 가지고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어댑터와, 상기 광 조사 수단을 점등 구동하는 전원이 분리된 전원 분리형의 경우이고,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장착되는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28 내지 34)가 도 39 내지 도 47에 도시되어 있다.
도 39A 및 39B에는 실시예 10에 관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28가 도시되어 있다. 그 어댑터 본체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9의 구체예 25에 개시한 전원 일체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것과 같지만, 어댑터 본체에 구비된 광 조사 수단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이 상기 어댑터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놓여져 있고, 전원 공급선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도 39A 및 39B에서는 도 33A 및 33B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 39A에 있어서도,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하나인 에어 터빈, 핸드피스 본체(1)에, 구강 내 조명 장치의 어댑터 본체(305)가 장착 부재(307)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39B에 있어서도, 도 33B에 도시한 구체예 2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체예 28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예 28의 구강 내 조명 장치는 광 조사 수단인 복수의 발광소자(L)를 선단에 구비한 어댑터 본체(305)와 발광소자(L)를 점등 구동하는 전원을 내장하는 전원 박스 (312)로 이루어지고, 어댑터 본체(305)와 전원 박스(312)는 전원 공급선(313)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원 박스(312)에는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가 수납되어 있는 유형의 전원이어도 좋고, 또한 상용 전등선으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정전압화한 직류 전원이라도 좋다. 도 39A에서는 핸드피스 본체(1)의 근처에 놓여져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설명의 형편상, 관계를 알기 쉽게 한 것이고, 실제로는 전원 박스(312)는 예를 들면,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에어 공급 제어장치에 넣어져 있어도 좋고, 또는 치료 작업자에게 장착되어도 좋다.
구체예 28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광 조사 수단도, 구체예 25의 경 우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L)를 포함하는 것이고, 어댑터 본체(305)의 편평 형상에 맞추어, 복수의 발광소자(L)는 일렬로 병설된다. 이 복수의 발광소자 개개에는 집광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각 발광소자의 광 방사 방향은 구강 내 조명 장치가 핸드피스 본체(1)에 장착되었을 때에, 치료구(3)의 전방을 조사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 때, 광 조사 수단으로서 복수의 발광소자(L)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방사되는 광의 파장이 모두 같아도 좋고, 또는 서로 다른 파장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조명광과 여기광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도 39B에 도시된 구체예 28의 사용예와 같이, 치과용 인스트루먼트가 에어 터빈 핸드피스이기 때문에, 각 발광소자의 광 방사 방향은 핸드피스 본체(1)의 중심축과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향하여 있다. 예를 들면, 구체예 28의 구강 내 조명 장치가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 스케일러 핸드피스 등과 같이, 치료구(3)가 핸드피스 본체(1)의 중심 축에 따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어댑터 본체(305)에 설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의 광방사 방향은 이 중심 축을 따른 방향으로 향하여진다.
어댑터 본체(305)의 헤드부측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점등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가지는 전원 복스(312)로부터 뻗은 전원 공급선(313)이 접속되어 있다. 어댑터 본체(305)에, 광 조사 수단으로서 복수의 발광소자(L)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선(313)에 공급되는 전원을 각 발광소자(L)로 절환되어 공급하는 스위치(SW)가 어댑터 본체(305)의 측벽에 설치된다. 전원의 온·오프용의 스위치에 대하여는 어댑터 본체(305)에 설치하여도 좋고, 전원 박스(312)에 또는 전원 공급선의 도중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어댑터 본체(305)의 측벽에 있어서, 스위치(SW1)와 나란하게, 또 하나의 스위치(SW2)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SW2)의 조작에 의하여, 각 발광소자(L)의 발광 광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SW2)의 온·오프 조작으로, 2 단계의 발광광량을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SW2)를 소형 볼륨으로 바꾸고, 무단계로 광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실시예10에 있어서 전원 분리형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28을 설명하였는데, 이 구체예 28에서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를, 예를 들어 그 헤드부(2)의 목부분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었지만, 도 40A 및 40B에는 구체예 28의 구강 내 조명 장치의 어댑터 본체를 간소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설치 부피가 커지지 않고 착탈이 자유로운 구체예 29의 구강 내 조명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0A에 있어서도,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하나인 에어 터빈 핸드피스 본체(1)에, 구체예 29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40B에 있어서도, 도 33B에 도시된 구체예 2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체예 29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사용예가 헤드부(2) 근방만을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구체예 29의 구강 내 조명 장치는 광 조사 수단으로서의 발광소자(L)와, 이 발광소자(L)를 유지하는 광원 장착 부재(314)와, 스위치 유지 부재(315)와, 전원 박스 (316)로 구성된다. 광원 장착 부재(314)는 상기 부재와 일체 성형된 장착 부재(307)의 탄성에 의하여, 핸드피스 본체(1)의 헤드부(2)의 목부분에 착탈이 자유롭게 유지된다. 또한, 스위치 유지 부재(315)도, 일체 성형되어 탄성 구조를 가지 고, 핸드피스 본체(1)의 몸통 부분을 착탈이 자유롭게 협지한다.
스위치 유지 부재(315)에는 스위치(SW1, SW2)에 의한 스위치부가 형성되고, 전원 박스(316)로부터의 전원이 전원 공급선(13)을 거쳐 발광소자(L)에 공급되게 되어 있고, 스위치부가 발광소자(L)의 점등 구동을 제어한다. 이 때, 발광소자(L)는 한 종류의 파장의 광만을 방사하는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하나의 소자에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방사하는 복수의 소자가 구비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 28에서는 복수의 소자가 넣어진 발광소자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이다.
스위치 유지 부재(315)의 측벽에 있어서, 발광소자(L)의 발광을 절환하는 스위치(SW1)와 나란하게 또 하나의 스위치(SW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위치(SW2)의 조작에 의하여 각 발광소자(L)의 발광색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SW2)의 온·오프 조작으로 2 단계의 발광색량을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SW2)를 소형 볼륨으로 교체하고, 무단계로 광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40B의 구체예 29의 사용예에서는 도 39B에 도시된 구체예 28의 사용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치과용 인스트루먼트가 에어 터빈 핸드피스이므로, 각 발광소자의 광 방사 방향은 핸드피스 본체(1)의 중심축과 일정 각도가 되도록 향하여 있다. 예를 들면, 구체예 29의 구강 내 조명 장치가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 스케일러 핸드피스 등과 같이, 치료구(3)가 핸드피스 본체(1)의 중심축을 따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발광소자(L)의 광방사 방향은 이 중심 축을 따른 방향으로 향하여진다. 구체예 29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에서는 구체예 28과 같이, 부피를 차지하는 어댑터를 형성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원 공급선을 필요로 하기는 하지 만, 전체적으로 날씬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체예 29에 의한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된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예를 들면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하나인 치면 청소기에 설치한 구체예 30을 도 41에 도시하였다. 구체예 30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는 치면 청소용의 유체를 핸드피스 헤드부를 형성하는 노즐(2)의 선단(진료구)(3)으로부터 분사하는 이외에는 구체예 (29)의 구성과 동일하고, 광 조사 수단으로서의 발광소자(L)와, 이 발광소자(L)를 유지하는 광원 장착 부재(314)와, 스위치 유지 부재(315), 전원 박스(316)으로 구성된다. 도 (41)에서는 전원 박스(316)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실린지나 버큠은 통상, 위생사가 사용하는 인스트루먼트이며, 쓰리 웨이 실린지는 치료 부위에 물이나 공기를 뿌리고, 버큠 실린지는 치료 부위로부터의 물이나 절삭분 등을 흡입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선단(진료구)은 치료 부위의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체예 3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 광원이 있는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쓰리 웨이 실린지나 버큠 실린지에 설치하면, 치료 작업자가 구강 내에서 사용하는 다른 치과용 인스트루먼트, 예를 들면, 절삭용 인스트루먼트의 조작성을 악화하지 않고, 구강 내의 환부를 명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위생사가 사용하는 인스트루먼트에 여기 광원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면, 치과의 치료 작업자인 치과의가 사용하는 인스트루먼트에, 여기용 광원을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작성을 악화시키지 않는다.
도 42A 및 42B에 도시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31은 도 40A 및 40B에 도시된 구체예 29의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성을 변형한 것이고, 구강 내 조명 장 치가 광 조사 수단으로서의 발광소자(L)와 이 발광소자(L)를 유지하는 광원 설치 부재(314)와 스위치 유지 부재(315)와, 전원 공급선(313), 전원 박스(316)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도 40A에 도시한 구체예 29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서는 전원 박스(316)가 스위치부에 전원 공급선(313)을 거쳐 접속되고,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었던 것에 대하여, 도 42A에 도시한 구체예 31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서는 전원 박스(316)가 스위치부를 형성하는 스위치 유지 부재(315)에 구비되고, 그 사이의 전원 공급선이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체예 31의 구강 내 조명 장치는 전원 분리형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핸드피스 본체(1)의 측면에 모아서 장착되고, 전체적으로 컴팩트화되어 있다. 구강 내 조명 장치로서의 기능은 구체예 29의 것과 같다.
다음으로, 도 43A 및 43B에는 실시예 9의 구체예 26으로서 도시된 전원 일체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기본으로 하고, 전원 분리형으로 변형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32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예 26의 경우와 같이, 도 43A에서는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하나인 에어 터빈 핸드피스에 장착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3B에서도, 그 헤드부 부근이 확대되어, 그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예 32의 구강 내 조명 장치(8)는 구체예 26에 사용된 어댑터 본체(308)의 구성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고, 그 광 조사 기능은 구체예 26의 것과 동일하다.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구체예 26에서는 전원 박스(306)가 어댑터 본체(308)의 측벽에 설치되고, 전원 일체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로 하고 있었던 것 에 대하여, 구체예 32의 경우에는 어댑터 본체(308)에 구비된 광 조사 수단인 발광소자(L)에 대한 급전은 어댑터 본체(308)와는 떨어진 장소에 놓여진 전원 박스(312)로부터 전원 공급선(313)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 전원 박스(312)의 놓는 방법은 구체예 28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도 44A 및 44B에 도시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33은 도 43A 및 43B에 도시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32를 기본으로 하고 있고, 광 조사 수단의 구동 제어를 실시하는 스위치(SWl, SW2)를 어댑터 본체(308)의 측벽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예 29 또는 30의 경우와 같이, 핸드피스 본체(1)의 몸체부 측벽에 착탈이 자유로운 스위치 유지 부재(315)에, 스위치(SWl, SW2)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를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구강 내에서 뜻하지 않게 스위치부가 치아 등에 부딪혀 조작되는 경우가 없다.
이 때, 구체예 33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어댑터 본체(308)가 헤드부(2)에 설치되는 구성에 대하여, 도 45A 및 4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5A는 어댑터 본체(308)를 헤드부(2)에 설치한 때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45B는 어댑터 본체(308)만을 종단면으로 나타낸 설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어댑터 본체(308)의 헤드부(2)에의 설치에 있어서는 도 36에 도시된 구체예 26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 어댑터 본체(308)의 설치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나, 도 36에 도시된 설치 구성에서는 미끄럼방지 부재(381)를 사용하므로, 설치 상태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이에, 이 설치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어댑터 본체(308)를 헤드 부(2)에 부착한 때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 부재(381)가 헤드부(2)의 측벽에 강제적으로 눌려지는 구조로 하였다. 어댑터 본체(308)는 케이스 부재(382)와 복수의 발광소자(L)를 설치하는 링 형상의 광원 장착 부재(383)와, 그리고, 선단부에 미끄럼 방지 부재(381)가 설치된 복수의 계합편 부재(384)와 용수철체(385)를 구비하고 있다. 어느 부재나 합성 수지로 할 수 있다.
계합편 부재(384)는 광원 장착 부재(383)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세워서 설치되고, 외측으로 약간 경사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부재(382)의 내주면에는 계합 편 부재(384)의 세워서 설치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 또는 내주면의 전부에, 계합편 부재(384)의 경사면에 슬라이딩하는 돌기부를 형성하여 둔다. 또한, 케이스 부재(82)에 설치된 돌기부와 광원 장착 부재(383)의 사이에는 용수철체(385)가 개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어댑터 본체(308)를 헤드부(2)에 설치할 때에는 먼저, 케이스 부재(382)와 광원 장착 부재(383)를 용수철체(385)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누른다. 그와 같이 하면 돌기가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게 되고, 계합편 부재(384)가 바깥쪽으로 휘어서 헤드부(2)를 삽입 가능 상태가 된다.
이에 어댑터 본체(308) 내에 형성된 공간에 헤드부(2)를 삽입하고, 그 후, 누름을 해제하면, 용수철체(385)의 반발력에 의하여, 케이스 부재(382)의 돌기가 계합편 부재(384)의 경사면을 미끄러져, 미끄럼 방지 부재(381)를 헤드부(2)의 외주면을 누르도록 한다. 이것으로, 어댑터 본체(308)의 헤드부(2)에의 설치가 완료되고, 돌기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계합편 부재(384)는 규제되어 어댑터 본체(308)는 확실하게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46에는 실시예 9의 구체예 27로서 도시된 전원 일체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기본으로 하여 전원 분리형으로 변형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34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예 34의 구강 내 조명 장치에서는 도 37에 도시된 구체예 27에서 사용된 어댑터 본체(308)의 구성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고, 그 광 조사 기능은 구체예 27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구체예 27에서는 전원 박스(310)가 어댑터 본체인 광원 설치 부재(309)에 리드선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전원 일체형의 구강 내 조명 장치로 한 것에 대하여, 구체예 34의 경우에는 어댑터 본체(308)인 광원 설치 부재(309)에 구비된 광 조사 수단인 발광소자(L)에의 급전은 어댑터 본체(308)와는 떨어진 장소에 놓여진 전원 박스(310)로부터 전원 공급선(313)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 전원 박스(310)의 놓는 방법은 도 39A에 도시한 구체예 28의 경우와 같다.
도 47에는 도 38에 도시된 구체예 27의 전원 일체형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스케일러 핸드피스에 장착하였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46에 도시된 구체예 34의 전원 분리형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스케일러 핸드피스에 장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원 분리형의 경우에는 어댑터 본체(308)에 전원 공급선(313)이 수중에 존재하고, 이것이 치료 작업성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원 공급선(313)은 핸드피스 본체(1)의 몸체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형성된 장착 부재(307)에 의하여 유지된다.
실시예 11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에 관한 구강 내 조명 장치에서는 발광소자를 포함한 광 조사 수단이 어댑터 본체에 설치되고, 그 광 조사 수단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이 치료구의 축 방향의 전방을 조사하는 것이고, 실시예 10에 있어서는 전원 분리형으로 구성되고 전원 박스가 어댑터 본체가 된 장소에 놓여져 있다. 이에 실시예 11에서는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 조사 수단의 광원도 어댑터 본체와 떨어진 장소에 두도록 하고, 구강 내 조명 장치의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의 설치 구성을 간단화하는 것으로 하였다.
도 48에, 실시예 11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35가 도시되어 있다. 도 48에서는 구강 내 조명 장치가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하나인 에어 터빈 핸드피스에 장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강 내 조명 장치로서의 광 조사 수단의 광원은 핸드피스 본체(1)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놓여진 광원 박스(317)에 내장되어 있다. 이 광원 박스(317)은 진료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는 장소에 놓여져 있으면 좋다.
광원 박스(317)로부터는 도광부재인 광섬유(318)가 핸드피스 본체(1)까지 뻗어있고, 이 광섬유(318)는 핸드피스 본체(1)에 동체부와 헤드부(2)의 목부에 있어서, 장착 부재(307)에 의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유지된다.
광원 박스(317)에는 광 조사 수단의 광원을 온·오프 하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고,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방사하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광원으로서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러한 발광소자의 구동을 선택 제어하는 스위치도 구비된다. 또한,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량을 조정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스위치로 제어되어 방사된 광은 광섬유(318)에 의하여, 핸드피스 본체(1)까지 도광된다. 또한, 광원 박스(317)에는 파장 선택 스위치나 광량의 조절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광섬유(318)의 선단부에 있어서는 광 조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도 4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강 내 조명 장치가 에어 터빈 핸드피스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광 조사부는 치료구(3)의 축방향 전방의 범위를 조사할 수 있도록 향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 모터 핸드피스, 스케일러 핸드피스 등에 장착된 경우에는 이 광 조사부는 핸드피스 본체(1)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되고, 치료구의 전방을 조사하게 된다.
구체예 35의 구강 내 조명 장치의 조사 기능은 도 42B에 도시하는 구체예 2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49에는 도 48에 나타난 구체예 35의 구강 내 조명 장치를 레이저 핸드피스에 설치한 구체예 36이 나타나 있다. 이 구체예 36에 사용된 구강 내 조명 장치에서는 광섬유(318)의 선단부가 레이저 핸드피스에 설치시에, 레이저 프로브 (LP)의 전방을 향하도록 조절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 도 50에, 구체예 36과는 형태가 다른 구강 내 조명 장치를 레이저 핸드피스에 장착하는 구체예 37이 도시되어 있다. 이 구체예 37에 의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도 42A에 나타난 구체예 31에 있어서의 구강 내 조명 장치와 동일한 것이지만, 광원 설치 부재(314)에 설치된 발광소자(L)의 조사 방향이, 구체예(31)의 경우에서는, 치료구(3)의 선단의 전방인데 대하여, 구체예 37에 있어서의 발광소자(L)가 레이저 프로브(LP)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광원 설치 부재 (314)가 레이저 핸드피스 본체(1)에 장착된다. 발광소자(L)에 의한 여기광의 조사 방향이 핸드피스 본체(1)의 축선과 평행이 되기 때문에, 광원 설치 부재(314)는 핸드피스 본체(1)에의 장착시에는 이 축선 주위의 어디에 설치되어도 좋다.
실시예 12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 9 내지 11에 관한 구강 내 조명 장치는 구강 내의 이변부를 추출할 수 있는 여기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나, 실제로 치료 작업자가 이 구강 내 조명 장치를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에 장착하고, 치료 작업을 할 경우에는 여기광에 의한 형광 반사광을 통과시키고, 또는 여기광만을 배제하는 필터 기능을 가지는 안경 또는 고글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이 안경 또는 고글을 착용하고, 이들을 투과시켜서 이변부를 추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다른 파장을 바꾸어 광 조사할 경우에는 광의 파장에 따른 필터 특성을 가지는 안경 등을 각각 준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올라가게 되고, 또한 그 절환시마다 안경 등을 바꾸어 착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실시예 12에 관한 구강 내 조명 장치에서는 이변부를 추출할 수 있는 필터 기능을, 안경 또는 고글 등의 형식에 의한 것이 아니고, 이 필터 기능을 가지는 평면 필터판을 치과용 인스트루먼트의 근방에 배치시켜, 치료 작업자는 이 필터판을 사이에 두고 이변부를 관찰하도록 하였다.
도 51에 도시한 실시예 12에 관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38은 도 33A 및 33B에 도시한 구체예 25의 구강 내 조명 장치와 필터판(319)를 조합하였을 경우 를 나타내고 있다. 도 52에 도시한 실시예 12에 관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39는 도 42A 및 42B에 도시한 구체예 31의 구강 내 조명 장치와 필터판(319)을 조합한 경우를, 또한 도 53에 도시한 실시예 12에 관한 구강 내 조명 장치의 구체예 40은 도 43A 및 43B에 도시한 구체예 32의 구강 내 조명 장치와 필터판(319)을 조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예 38 내지 40 중 어느 구강 내 조명 장치에 있어서도, 필터판(319)는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면이 핸드피스 본체(1)의 중심축과 직교하도록 설치된다. 필터판(319)의 크기는 구강 내에 있어 치과용 인스트루먼트로 치료 작업을 할 때, 장해가 되지 않는 정도로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필터판(319)이 배치됨으로써, 치료 작업자는 구강 내의 이변부에 대한 치료 작업을 실시하면서, 이변부를 관찰할 수 있다. 조사하는 광의 파장을 변경할 때에는 이 필터판(19)을 교환할 뿐이므로, 안경 등을 갈아끼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편하게 된다. 필터판 형식으로 함으로써 비용이 저렴하게 되었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예 1 내지 12에 관한 각 구체예에 있어서는 치과 진료 장치에 구비된 광 조사 수단의 구성이 주로 도시되었다. 다음으로, 이 광 조사 수단에 포함되는 발광소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각 구체예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을 나타내고 설명한다.
도 54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점등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구동 회로는, 예를 들면 도 33A에 나타난 구체예 25의 경우이면, 스위치(SW1)에 대응한 것이 될 수 있다. 이 구동 회로는 서로 파장이 다른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소자(L1 내지 L4)를 포함한 조사 수단을 구비하고, 이 조사 수단은 적외광(LE1)을 발광하는 LED의 발광소자(L1)와, 백색광(LE2)을 발광하는 LED의 발광소자(L2)로 이루어지는 조명광 발광부와, 파장이 다른 자외광(LE3, LE4)을 발광하는 LED의 발광소자(L3, L4)로 이루어지는 여기광 발광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회로는 전원(60)과 각 발광소자(L1 내지 L4)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각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점등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회로(SW)와, 복수의 발광소자(L1 내지 L4)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발광소자(L1 내지 L4)의 점등을 선택하는 발광 선택 지시기(62)와, 이 발광 선택 지시기(62)의 지시에 의하여 스위치 SW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61)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발광 선택 지시기(62)에 있어서 제1 광원 선택 스위치의 온 조작에 의하여, 적외광을 발하는 발광소자(L1)를 기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광원 선택 스위치를 구동하고, 백색광을 발하는 발광소자(L2)를 기동시킬 수 있고, 제3 광원 선택 스위치를 구동하고, 제1 자외광을 발하는 발광소자(L3)를, 그리고, 제4 광원 선택 스위치를 구동하고, 제2 자외광을 발하는 발광소자(L4)를 기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작으로, 임의의 종류의 조사광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백색광을 발하는 발광소자(L2)에 관한 제2 광원 선택 스위치와, 제1 자외광을 발하는 발광소자(L3)에 관한 제3 광원 선택 스위치 또는 제2 자외광을 발하는 발광소자(L4)에 관한 제4 광원 선택 스위치를 동시에 온 조작함으로써, 백색광의 조명광과 제1 자외광 또는 제2 자외광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동시 조사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광 조사에 의한 이변부 의 형광상과 조명광의 조사에 의한 이변부 주변 부위에 관한 정상 조직의 반사상이 명료하게 시인되고, 이변부의 위치나 정도가 적확하게 파악된다.
또한, 도 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위치 회로(SW)에 설치된 발광소자(L1) 점등 제어용 스위치(SW1)와, 발광소자(L2) 점등 제어용 스위치(SW2)에 대하여, 시분할 제어하고, 발광소자(L1와 L2)에 의한 조사를 시분할 제어할 수 있다. 시분할 조사의 예로서는 조사광과 여기광을 1/60초씩 조사하는 짧은 조사시간 분할로 분할하여도 좋고, 또는 조명광을 2초, 여기광을 1/2초와 같은 비교적 긴 조사 시간으로 시분할할 수도 있고, 이 시분할에 의한 조사 시간은 이변부의 형광 발광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조명광과 여기광을 짧은 펄스의 시분할로 조사하는 시퀀스를 미리 정하는 것과 동시에, 발광 선택 지시기(62)에 그 전용 스위치를 설치하여 둘 수도 있다. 이 전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임의의 시간으로 개별적으로 조사하도록 하면, 조사 대상 부위를 직접 시인하는 경우에는 관찰자에 있어서 눈의 망막의 잔상 현상에 의하여, 동시 조사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외광의 조사에 의한 반사광상과 조합하여 진단 화상 정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발광소자를 점등 구동하는 전원 박스가 어댑터 본체와 분리되어 배치되는 경우에는, 또는 광원 박스가 어댑터 본체와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조사 수단의 온·오프 제어를, 풋 페달 스위치에 의하여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6은 전술한 각 구체예에 적용 가능하고, 여기광과 백색광을 동시 조사하 는 경우에, 여기광과 백색광의 광량 밸런스가 광량 조절 수단인 가변 저항기의 조절로 실현되는 전기 회로를 나타낸다. R1는 백색광을 발하는 LED를 포함한 조명광 발광소자(L1)의 광량 조절용 가변 저항기이다. R2는 여기광을 발하는 LED를 포함한 여기광 발광소자(L2)의 광량 조절용 가변 저항기이다. 이들 각 가변 저항기를 사용하여, 각 LED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고, 각각의 발광부의 광량을 조절한다. 또한, 이 때, 각 발광소자(L1, L2)의 광량 조절용 가변 저항기(R1, R2)의 조작 방법에 의하여, 예를 들면, 각 LED의 어느 광량을 0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동시 조사 모드 외에, 조명광으로서의 백색광만의 조사 모드, 또는 여기광만의 조사 모드의 선택도 가능해지고, 동시 조사 모드, 조명 광 조사 모드 또는 여기 광 조사 모드의 모드 선택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장 출하시에 각 LED의 광량 조절용 가변 저항기(R1, R2)를 조작하고, 최적 설정에서의 조사 모드를 가지도록 고정하여 출하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명광의 백색광은 여기광의 광량보다 적은 설정으로 함으로써, 조명광 중에 형광이 묻히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이변부와 이변부 주변 조직이 양쪽 모두 동시에 시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량 설정을 공장 출하시의 초기설정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시술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지만, 이변부의 주변 조직을 중심으로 관찰하고, 이변부를 참고 정도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조명용 백색광의 광량이 증가되도록 조정하면 좋고, 물론 단순하게 밝은 상을 얻고 싶은 경우에도, 조명용 백색광의 광량이 증가되도록 조정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명광으로서 백 색광을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조명광으로서는 필요에 따라서, 붉은 색을 띤 색이나 노란 색을 띤 색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여기광의 광량의 조정 이외에, 조명광의 광량을 조정하면, 여기광에 의한 이변부의 강조 정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물론, 붉은 색의 정도 조정이나 노란 색의 정도의 조정도 조명광의 조정으로 가능하다.
도 57은 공장 출하시에 있어서, 최적 설정의 초기 설정을 실시하고, 또한 사용자에 있어서도 임의로 광량 조절용 가변 저항기를 조작함으로써, 백색광 발광의 LED를 포함한 조명 발광소자(L1)와 여기광 발광의 LED를 포함한 여기광 발광 소자(L2)를, 임의의 광량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회로도를 나타낸다. 절환 스위치(SW3)는 도에 실선과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하시의 초기 설정측과 사용자에서의 임의 조절측으로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절환 스위치(SW3)를,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서의 임의 조절측으로 변경한 경우에서는, 백색 LED 조절 가변 저항기(R1)와, 여기광 조절용 가변 저항기(R2)를 개별적으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공장 출하시의 최적의 초기 설정은 절환 스위치(SW3)를 백색 LED 조절용 고정 저항기(R3)와 여기광 조절용 고정 저항기 (R4)에 의하여, 최적의 여기광과 백색광의 밸런스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절환 스위치(SW3)를 변경 조작함으로써, 출하시의 초기설정과 사용자의 임의 조절을 절환할 수 있다. 이러한 광량 조절 수단은 전술한 어느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8에는 광량 조정 수단의 다른 회로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조사광의 광량 조정 수단으로서 백색광 LED 등에 의한 조명광 조사용 발광소자(L1)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발광소자(L1)와 접지와의 사이에, 로터리 스위치(SW41)를 사이에 두고 다른 저항값을 가진 고정 저항기(R51 내지 R54)가 병렬적으로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SW41)에 의하여 발광소자(L1)에 택일적으로 선택 접속되고, 발광소자(L1)에 다른 값의 전류가 공급된다. 여기 광 조사용의 발광소자(L2)에 대하여도, 동일한 회로 구성에 의하여, 여기광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저항값을 가진 고정 저항기(R61 내지 R64)가 로터리 스위치(SW42)로 택일적으로 접속되어 발광소자(L2)에 다른 값의 전류가 공급된다.
예를 들면, 조명광 광량 조절용의 고정 저항기 R51 내지 R54의 각각에 있어서, 예를 들면, 광량이 2%, 35%, 75%, 100%가 되도록 적절하게 저항치를 설정하고, 또한 여기광 광량 조절용 고정 저항기(R61 내지 R64)의 각각에 대하여도 예를 들면, 광량이 2%, 35%, 75%, 100%가 되도록 적절하게 저항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항치의 설정에 의하여, 로터리 스위치(SW1 및 SW42)를 적절하게 목적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조명광과 여기광을 동시에 조사하면서, 조명광과 여기광의 광량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식 등의 병변부 상태를 특히 시인하는 경우에는, 여기광을 광량 l00%로 설정된 저항값을 가지는 고정 저항기(R64)를 선정하고, 여기광이 강하게 조사되도록 하고, 조명광에 대하여는 광량 2%로 설정된 저항값을 가지는 고정 저항기(R51)를 선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병변부 주변의 정상 조직은 어두워지지만, 형광을 발하는 병변부의 분포가 명료하게 시인될 수 있다.
또한, 병변부 주변의 정상 조직에 주목하는 경우에는 여기광의 광량 100%에 대응하는 고정 저항기(R64)를 로타리 스위치(SW2)로 선정하고, 조명광의 광량 35%에 대응하는 고정 저항기(R52)를 로터리 스위치(SW41)로 선정한다. 이로써, 형광을 발하는 병변부의 위치를 인식하면서, 정상 조직의 상황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병변부와 병변부 주변의 정상 조직을 자연스러운 색조로 시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량 2%, 35%, 75%, 100%는 일례이고, 적절한 광량을 설정하면 좋다.
이렇게 하면, 조명광 중에 형광이 묻히지 않고, 병변부와 병변부 주변의 정상 조직이 동시에 명료하게 시인될 수 있다. 또한, 조사 수단에 있어서의 조명광과 여기광의 광량 밸런스를 변경하는 광량 조정 수단으로서 상기에서는 로터리 스위치와 고정 저항기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지의 여러가지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6 내지 58의 실시예에서는 L1를 조명광 조사용의 발광소자, L2를 여기 광 조사용의 발광소자로서 설명하였지만, 도 54의 각 발광 소자 L1 내지 L4의 각각, 도 56에서 설명한 가변 저항기나, 도 57에서 설명한 가변 저항기 및 고정 저항기나, 도 58에서 설명한 로터리 스위치 및 고정 저항기를 접속하고, L1 내지 L4를 각각 독립적으로 광량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백색광을 발광하는 LED와 여기광을 발광하는 LED 사이에서의 광량 조정도, 서로 파장이 다른 여기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 사이에서의 광량 조정도, 백색광을 발광하는 LED와, 파장이 다른 여기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 모두 사이에서의 광량 조정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증례나 사용 목적에 맞추어, 조명용 광원의 광량과 여기광 광원의 광량과의 조합을 사전에 임의로 설정해 두고, 증례나 사용 목적에 따른 선택 스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조명광 광원을 임의로 설정한 광량과 여기광 광원을 임의로 설정한 광량이 되도록 한 세트로, 변경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치과 진료 장치에 구비된 광 조사 수단에 의하여 조사할 수 있는 조명광과 여기광의 조사에 대하여서는 여러 가지 패턴이 있으며, 그 구체적인 패턴예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는 조명광으로서 백색광이 선택된 예이다.
a) 백색광 광원과 여기광 광원의 1 종류를 구비한 경우, 백색광 광원만 또는 여기광 광원만으로 절환하고, 백색광 또는 여기광을 조사한다.
b) 백색광 광원과 여기광 광원의 1 종류를 구비한 경우, 백색광 광원만 또는 여기광 광원만을 광량 조절하고, 백색광과 여기광을 조사한다. 이 때, 어느 하나로 변경하여 광량 조절하여도, 또는 동시에 쌍방을 조사하여 이방을 광량 조절하여도 좋다.
c) 백색광 광원과 여기광 광원의 1 종류를 구비하는 경우, 백색광 광원과 여기광 광원을 동시에 점등 구동하고, 쌍방을 광량 조절하고, 백색광과 여기광을 조사한다. 이 때, 개별적으로 광량 조절하여도, 또는 비례한 양으로 광량 조절하여도 좋다.
d) 여기광 광원의 복수종을 구비한 경우, 여기광 광원의 하나로 절환하고, 여기광을 조사한다.
e) 여기광 광원의 복수종을 구비한 경우, 여기광 광원의 하나에만 광량 조절 하고, 복수의 여기광을 조사한다. 이 때, 어느 하나로 절환하여 광량 조절하여도, 또는 동시에 쌍방을 조사하여 일방을 광량 조절하여도 좋다.
f) 여기광 광원의 복수종을 구비한 경우, 복수종의 여기광 광원을 동시에 점등 구동하여 복수종의 여기광을 조사하고, 각각을 광량 조절한다. 이 때, 개별적으로 광량 조절하여도 되고, 또는 비례한 양으로 광량 조절하여도 좋다.
g) 백색광 광원과 복수종의 여기광 광원을 구비한 경우, a) 내지 f)의 조사 패턴을 조합할 수 있다.

Claims (41)

  1. 구강 내의 이변부를 진료하는 진료구를 구비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는 선단부를 가지는 인스트루먼트와,
    상기 선단부 또는 상기 선단부의 근방에 배치된 광원을 가지는 광 조사 수단을 가지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이변부를 특징적으로 추출시키는 광을 여기하는 여기광을 상기 이변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치과 진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기광의 파장은 405±50 nm의 근자외선 영역, 470±30 nm의 청색 영역, 700±100 nm의 적색 영역, 적외선 영역, 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여기광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구강 내에 조명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여기광과 상기 조명광을 동시에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여기광과 상기 조명광을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여기광과 상기 조명광을 동시에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은 백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이 가지는 광원이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이 가지는 광원은 백색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여기광을 방출하는 광원과, 구강 내에 조명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여기광과 상기 조명광을 동시에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광원에 관한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방출하는 광의 파장역이 다른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절환하여 하나의 파장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관한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여기광을 방출하는 여기광 광원과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광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여기광 광원과 상기 백색광 광원을 절환하여 상기 여기광과 상기 백색광의 어느 하나를 조사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한쪽 광원에 관한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방출하는 여기광의 파장역이 다른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절환하여 하나의 파장역의 여기광을 조사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관한 여기광의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파장역이 다른 여기광을 방출하는 여기광 광원과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광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여기광 광원 과 상기 백색광 광원을 절환하여 상기 여기광과 상기 백색광을 조사할 수 있고, 또는 상기 복수의 여기광 광원과 상기 백색광 광원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관한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의 광원은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나트륨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수은 램프 또는 블랙 라이트 램프 중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으로부터 소정 파장의 광을 선택하는 광학 필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파장의 광은 특성이 다른 상기 필터의 교환에 의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방출하는 광의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절환하여 광의 방출을 선택하고, 다른 파장의 상기 광을 시분할로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상기 여기광을 상기 이변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부는 상기 진료구 또는 상기 진료구의 장착부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여기광이 상기 진료구를 둘러싸는 주변 부위로부터 상기 이변부로 향하여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이 가지는 광원은 상기 선단부와는 별체로 형성된 별체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별체 부재는 상기 선단부와 착탈이 자유롭게 계합할 수 있어 상기 선단부와 계합된 때에, 상기 광원에 급전하는 접속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치료용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상기 진료구가 상기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 조사 수단의 광원이 상기 선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 과 진료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은 상기 여기광과 상기 치료용 레이저광을, 시분할로 상기 이변부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수단이 가지는 광원으로부터의 상기 여기광을 상기 이변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조사부, 또는 상기 광 조사 수단이 가지는 광원이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선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장착 부재를 가지는 어댑터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가 상기 어댑터의 단면부에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선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링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광원을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전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전원은 상기 어댑터와 분리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가,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어댑터를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선단부에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본체의 축방향과 직교하여 상기 본체의 주변에 퍼지는 평면을 가지는 필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3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구강 내를 조명하는 조명 수단이 상기 인스트루먼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조명수단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차단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툴먼트가 치료용 레이저광과 상기 치료용 레이저광의 조사 위치를 조준하는 가이드광을 상기 구강 내에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핸드피스이며, 상기 여기광이 상기 가이드광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38. 제7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진료도구의 장착부 근방에 배치된 상기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상기 진료도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상기 진료도구의 장착부 근방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41. 상기 광 조사 수단이 파장이 다른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광원을 변경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관한 방출 광량을 가변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가 상기 인스트루먼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진료 장치.
KR1020067008792A 2003-12-08 2004-12-08 치과 진료 장치 KR100800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9197 2003-12-08
JPJP-P-2003-00409197 2003-12-08
JP2004135338A JP4822673B2 (ja) 2004-04-30 2004-04-30 口腔内照明装置
JPJP-P-2004-00135338 2004-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381A true KR20060086381A (ko) 2006-07-31
KR100800120B1 KR100800120B1 (ko) 2008-02-01

Family

ID=3465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792A KR100800120B1 (ko) 2003-12-08 2004-12-08 치과 진료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71848B2 (ko)
EP (1) EP1693021A4 (ko)
KR (1) KR100800120B1 (ko)
WO (1) WO200505356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426B1 (ko) * 2014-08-11 2014-12-12 주식회사 올비트앤 근관 삽입 심도 감지 기능이 구비된 치아 근관 치료용 기구
KR101591328B1 (ko) * 2015-09-21 2016-02-03 (주)디엑스엠 광중합기에 결합가능한 치아균열관찰팁
KR20160116869A (ko) *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세양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치과 치료용 핸드피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06789U1 (de) * 2003-04-30 2003-09-04 Tiede Gmbh & Co Risspruefanlagen Handlampe, insbesondere für die magnetische Rißprüfung
US20070248930A1 (en) 2005-02-17 2007-10-25 Biolux Research Ltd. Light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US20060200212A1 (en) * 2005-02-17 2006-09-07 Brawn Peter R Light therapy device for treatment of bone disorders and biostimulation of bone and soft tissue
AU2007240780B2 (en) 2006-04-20 2014-01-16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root canals of teeth
US7980854B2 (en) 2006-08-24 2011-07-19 Medical Dental Advanced Technologies Group, L.L.C. Dental and medical treatments and procedures
EP1932489B1 (de) 2006-11-30 2019-07-03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Medizinisches Handstück mit Beleuchtungsvorrichtung
US8506565B2 (en) * 2007-08-23 2013-08-13 Covidien Lp Electrosurgical device with LED adapter
DE102007061741A1 (de) * 2007-12-20 2009-06-25 Robert Bosch Gmbh Werkzeugmaschine mit einer Arbeitsfeldbeleuchtung
US20090289200A1 (en) * 2008-05-22 2009-11-26 Fujifilm Corporation Fluorescent image obtainment method and apparatus, fluorescence endoscope, and excitation-light unit
US20100036260A1 (en) * 2008-08-07 2010-02-11 Remicalm Llc Oral cancer screening device
WO2010023582A1 (en) 2008-08-25 2010-03-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detection, treatment and coverage feedback of oral health conditions
US20180014909A1 (en) * 2008-12-08 2018-01-18 Cao Group, Inc. Dental handpieces
US20100309302A1 (en) * 2009-06-09 2010-12-09 Jiandong Yang Apparatus and a System for Visualizing Teeth Cleaning
US8768016B2 (en) * 2009-06-19 2014-07-01 Carestream Health, Inc. Method for quantifying caries
AU2010300079B2 (en) * 2009-09-22 2014-03-06 Lj Walsh Dental Pty Ltd Illuminating dental instrument, coupling and method of use
DE102009045189A1 (de) * 2009-09-30 2011-04-28 Sirona Dental Systems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dentales Handstück
US20110226266A1 (en) * 2010-03-12 2011-09-22 Xiao Pei Tao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aser-based lighting system for smokable material
US10064698B2 (en) * 2010-05-26 2018-09-04 Zhengzhou Zezheng Technical Services Ltd. Dental drill head
WO2013053298A1 (zh) * 2011-10-12 2013-04-18 郑州泽正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牙钻机头
JP5371920B2 (ja) * 2010-09-29 2013-12-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装置
WO2012075584A1 (en) 2010-12-08 2012-06-14 Biolux Research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useful for regulating bone remodeling or tooth movement using light therapy, a functional appliance, and/or vitamin d
WO2012122455A1 (en) * 2011-03-10 2012-09-13 Ultradent Products, Inc. Low pass filter attachments for use with dental curing lights
ES2758839T3 (es) 2011-09-02 2020-05-06 Convergent Dental Inc Sistema de preparación dental controlado por ordenador basado en láser
EP2572630A1 (de) * 2011-09-22 2013-03-27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Vorrichtung zur Erkennung einer Anomalie an einem Zahn
US20130143175A1 (en) * 2011-12-02 2013-06-06 Charles F. Betyeman Illuminated micro-motor hand piece in a veterinary dental device
US9901256B2 (en) 2012-01-20 2018-02-27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Dental demineralization detection, methods and systems
KR101195952B1 (ko) 2012-02-29 2012-10-31 (주)동일기연 의료용 핸드피스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EP2849671B1 (en) 2012-05-14 2021-04-07 Convergent Dental, Inc. Apparatus for laser based dental treatment with controlled fluid cooling
JP6103824B2 (ja) * 2012-06-04 2017-03-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蛍光内視鏡装置
US8911409B2 (en) * 2013-01-25 2014-12-16 M. Wade Clayton Light for oral anesthesia injection syringe
US9241618B2 (en) 2013-01-25 2016-01-26 M. Wade Clayton Light for oral anesthesia injection syringe
US9486297B2 (en) 2013-01-25 2016-11-08 M. Wade Clayton Light for oral anesthesia injection syringe
USD715937S1 (en) 2013-02-08 2014-10-21 Forward Science, Llc Oral cancer screening device
US10413191B2 (en) 2013-02-08 2019-09-17 Forward Science Technologies, LLC Oral examination
USD938095S1 (en) 2013-04-01 2021-12-07 Pathy Medical, Llc Lighting device
CA2910032C (en) 2013-04-01 2022-10-04 Vinod V. Pathy Lighting device
EP2796108B1 (de) * 2013-04-24 2017-08-23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Medizinisches, insbesondere dentales, Handstück
US10345680B2 (en) 2013-05-21 2019-07-09 Forward Science Technologies, LLC Optical filtering attachment
CA2911415A1 (en) 2013-06-26 2014-12-31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ling teeth and root canals
JP6484235B2 (ja) 2013-10-22 2019-03-13 バイオルックス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口腔内光治療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WO2015112196A1 (en) * 2014-01-27 2015-07-30 Clayton M Wade Light for oral anesthesia injection syringe
US10080484B2 (en) 2014-01-31 2018-09-25 University Of Washington Multispectral wide-field endoscopic imaging of fluorescence
US20150238279A1 (en) * 2014-02-27 2015-08-27 Gnatus Equipamentos Médico Odontológicos Ltda Disclosing light of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for a high speed handpiece setting and disclosing light device of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EP2915502B1 (de) * 2014-03-06 2019-11-20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Medizinisches, insbesondere zahnärztliches, System
US9839491B2 (en) * 2014-09-02 2017-12-12 Cao Group, Inc. Dental handpieces
US9870613B2 (en) 2014-11-05 2018-01-16 Carestream Health, Inc. Detection of tooth condition using reflectance images with red and green fluorescence
WO2016073569A2 (en) * 2014-11-05 2016-05-12 Carestream Health, Inc. Video detection of tooth condition using green and red fluorescence
CN104382666B (zh) * 2014-11-19 2016-08-31 浙江舒康五金制品有限公司 牙科用气水喷枪
CN107708600A (zh) * 2015-02-25 2018-02-16 西尔欧集团 牙科手机
JP6835729B2 (ja) * 2015-02-25 2021-02-24 デントスプリ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科用スケーラー器具の摩耗を測定する方法およびその器具用ホルダー
DE102015103402B4 (de) * 2015-03-09 2017-07-27 Ferton Holding S.A. Optisches Bauteil, Beleuchtungsvorrichtung und Handstück eines dentalen Behandlungsgeräts
US9547903B2 (en) * 2015-04-16 2017-01-17 Carestream Health, Inc. Method for quantifying caries
WO2016178212A1 (en) 2015-05-01 2016-11-10 Dentlytec G.P.L. Ltd System, device and methods for dental digital impressions
MA44324A (fr) * 2015-06-29 2018-05-02 Fundacio Inst Dinvestigacio En Ciencies De La Salut Germans Trias I Pujol Dispositifs d'éclairage ou d'assistance dans une procédure médicale
KR101787721B1 (ko) * 2015-08-28 2017-10-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스펙트럼을 이용한 초기우식 진단장치
EP3405092A2 (en) 2016-01-18 2018-11-28 Dentlytec G.P.L. Ltd. Intraoral scanner
PL3578131T3 (pl) 2016-07-27 2021-06-28 Align Technology, Inc. Skaner wewnątrzustny z możliwościami diagnostyki stomatologicznej
US10507087B2 (en) 2016-07-27 2019-12-17 Alig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volumetric model of a subject's teeth
EP3509501A1 (en) 2016-09-10 2019-07-17 Ark Surgical Ltd. Laparoscopic workspace device
WO2018081637A1 (en) 2016-10-28 2018-05-03 University Of Washington System and method for ranking bacterial activity leading to tooth and gum disease
GB201700317D0 (en) 2017-01-09 2017-02-22 Calcivis Ltd Detection device
EP4154845A1 (en) 2017-07-04 2023-03-29 Dentlytec G.P.L. Ltd. Dental device with probe
US11690701B2 (en) 2017-07-26 2023-07-04 Dentlytec G.P.L. Ltd. Intraoral scanner
EP3743010B1 (en) 2018-01-26 2022-01-12 Align Technology, Inc. Diagnostic intraoral scanning and tracking
CA3011873A1 (en) * 2018-02-19 2019-08-19 Millennium Healthcare Technologies, Inc. Dental las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10952530B2 (en) 2018-03-27 2021-03-23 Onvi, Inc. Double-ended illuminated dental tool with replaceable attachments
US11589971B2 (en) 2018-11-14 2023-02-28 Garrison Dental Solutions, L.L.C. Dental curing light and method
USD928958S1 (en) 2018-11-15 2021-08-24 Forward Science Technologies, LLC Skin cancer screening device
USD888957S1 (en) 2018-11-15 2020-06-30 Forward Science Technologies, LLC Skin cancer screening device
US20230210453A1 (en) 2018-11-28 2023-07-06 Biolux Research Holdings Inc Orthodontic appliance compliance monitor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EP3744288A1 (en) 2019-05-29 2020-12-02 DENTSPLY SIRONA Inc. Illuminating instrument for diagnostics, surgery or therapy
US11607289B2 (en) * 2019-10-02 2023-03-21 Santa Echevarria Silent handpiece with lights
WO2021173431A1 (en) 2020-02-24 2021-09-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Impact tool
US20220031379A1 (en) * 2020-07-30 2022-02-03 Medtronic Inc, Single instrument electrosurgery apparatus and its method of use
USD997355S1 (en) 2020-10-07 2023-08-29 Sonendo, Inc. Dental treatment instrument
JP2022187761A (ja) * 2021-06-08 2022-12-20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US20230182270A1 (en) 2021-12-13 2023-06-15 Makita Corporation Impact tool
US20230321851A1 (en) * 2022-03-23 2023-10-12 Richard Porter Illuminated Tool Device
WO2023224987A1 (en) * 2022-05-17 2023-11-23 Designs For Vision, Inc. Lighted dental mirr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499A (en) * 1982-01-29 1984-10-30 Alfano Robert 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caries in teeth using visible light
DE4200741C2 (de) 1992-01-14 2000-06-15 Kaltenbach & Voigt Einrichtung zum Erkennen von Karies an Zähnen
JPH07275261A (ja) 1994-04-11 1995-10-24 Morita Mfg Co Ltd 照明装置内蔵型歯科用ハンドピース
DE19541686B4 (de) 1995-11-08 2009-08-06 Kaltenbach & Voig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rkennen von Karies, Plaque oder bakteriellem Befall an Zähnen
DE19825021A1 (de) 1998-06-04 1999-12-09 Kaltenbach & Voig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von Karies, Plaque, Konkrementen oder bakteriellem Befall an Zähnen
JP2000316874A (ja) 1999-05-07 2000-11-21 Morita Mfg Co Ltd 照明機構付き歯科用器具
JP3121812B1 (ja) 1999-10-20 2001-01-09 株式会社ナカニシ 歯科・医科用器具の照明装置
DE10013210A1 (de) 2000-03-17 2001-09-20 Kaltenbach & Voigt Vorrichtung zum Erkennen von Karies, Plaque, bakteriellen Befall, Konkrementen, Zahnstein und anderen fluoreszierenden Substanzen an Zähnen
DE10117347B4 (de) 2001-04-06 2006-04-13 W&H Dentalwerk Bürmoos Gesellschaft m.b.H. Laserbehandlungsgeräte mit Beleuchtungsystem
US6769911B2 (en) * 2001-04-16 2004-08-03 Advanced Research & Technology Institue Luminescence assisted caries excavation
US20020151941A1 (en) 2001-04-16 2002-10-17 Shinichi Okawa Medical illuminator, and medical apparatus having the medical illuminator
JP2002306512A (ja) 2001-04-16 2002-10-22 Morita Mfg Co Ltd 医療用照光装置、該照光装置を備えた医療用光重合器、医療用インスツルメント、および医療用ユニット
DE10133451B4 (de) 2001-07-10 2012-01-26 Ferton Holding S.A. Vorrichtung zum Erkennen von Karies, Plaque, Konkrementen oder bakteriellem Befall an Zähnen
JP2004089239A (ja) 2002-08-29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口腔組織観察装置
DE102004001856B4 (de) * 2003-01-14 2019-05-23 J. Morita Mfg. Corp. Bilderstellungsgerät für Diagnosezweck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426B1 (ko) * 2014-08-11 2014-12-12 주식회사 올비트앤 근관 삽입 심도 감지 기능이 구비된 치아 근관 치료용 기구
WO2016024722A1 (ko) * 2014-08-11 2016-02-18 주식회사 올비트앤 근관 삽입 심도 감지 기능이 구비된 치아 근관 치료용 기구
KR20160116869A (ko) *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세양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치과 치료용 핸드피스
KR101591328B1 (ko) * 2015-09-21 2016-02-03 (주)디엑스엠 광중합기에 결합가능한 치아균열관찰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3021A4 (en) 2010-10-13
WO2005053562A1 (ja) 2005-06-16
US8371848B2 (en) 2013-02-12
KR100800120B1 (ko) 2008-02-01
EP1693021A1 (en) 2006-08-23
US20070121786A1 (en)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120B1 (ko) 치과 진료 장치
JP4576377B2 (ja) 生体観察機器、口腔内撮影装置及び医療用診療器具
JP4485948B2 (ja) 歯表面の検査のための歯科用器具及び方法
CN1307936C (zh) 牙齿人工产物检测和去除设备
JP4521180B2 (ja) 診断用撮影器
JP5085732B2 (ja) 歯科治療用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付歯科治療用インスツルメント装置
US7150629B2 (en) Lighted ultrasonic handpiece and color code grip system
US20050282102A1 (en) Kit for use by dental professionals
JP2006081842A (ja) 撮影用補助装置
JP4822698B2 (ja) 歯科治療装置
JP2006122335A (ja) カメラ装置
US11975214B2 (en) Devices utilizing fluorescent enhancement theragnosis technology
JP4764612B2 (ja) 歯科用生体観察機器、口腔内観察機器、歯科用照射額帯装置及びデンタルミラー
JP2005304599A (ja) 頭部装着診断用光照射装置
JP4822673B2 (ja) 口腔内照明装置
CN100558314C (zh) 牙科诊疗装置
KR101528610B1 (ko) 치아 충치 및 불소증 진단을 위한 광섬유 조명기기
US20220378283A1 (en) Lighted Mirror System Utilizing Fluorescence Enhanced Theragnosis
US20230225842A1 (en) Dental hand-held device for curing material and stimulating fluoresc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