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320A - 신는 물품 및 깔창 - Google Patents

신는 물품 및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320A
KR20060086320A KR1020060008264A KR20060008264A KR20060086320A KR 20060086320 A KR20060086320 A KR 20060086320A KR 1020060008264 A KR1020060008264 A KR 1020060008264A KR 20060008264 A KR20060008264 A KR 20060008264A KR 20060086320 A KR20060086320 A KR 20060086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protrusion
support
center
re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347B1 (ko
Inventor
미노루 후지타
료코 무로타니
Original Assignee
풋 테크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풋 테크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풋 테크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86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forming the main load-transporting element or par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fluids, e.g. having direct contact between fluid and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깔창은, 발의 종골 융기부 부근에 위치된 정강 신경과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을 눌러서 자극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뒤꿈치 지지부를 지닌다. 상기 깔창은 발바닥의 아치의 형상을 교정하므로 혈액 순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신는 물품 및 깔창{FOOTGEAR AND INS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깔창을 표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깔창을 표시한 밑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깔창의 뒤꿈치 지지부를 표시한 밑면도
도 5는 도 1의 깔창을 포함하는 구두의 사용가능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 6은 인체의 하반신의 골격과 근육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인체의 다리의 골격과 신경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발바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인체의 발의 골격과 혈관을 표시한 도면
도 9는 인체의 발바닥의 아치를 표시한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L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에 의한 깔창의 돌기부를 표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깔창을 표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구두를 표시한 단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형태에 의한 깔창의 네임 시트와 돌기부를 표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양말을 표시한 부분 전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깔창을 표시한 밑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형태에 의한 깔창의 일부를 표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깔창을 표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깔창 11a: 뒤꿈치 지지부
12: 본체 시트 13: 마스킹 시트
14: 접착제 15: 네임 시트
16: 재봉실 17: 돌기부
18: 접착제 19A, 19B: 돌기부
본 발명은 구두(shoes), 일본식 게타 나막신(Japanese geta clog), 슬리퍼, 샌들, 하이힐 및 양말을 포함하는 신는 물품(footgear) 및 깔창(insole)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뒤꿈치를 지지하기 위해 신는 물품 또는 깔창에 형성된 뒤꿈치 지지부는, 대략 평탄한 형상 또는 접시처럼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 을 지닌다.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0-83706호 공보에 제안된 바와 같이, 상기 뒤꿈치 지지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다수의 돌기부가 돌출되어 있다. 이 구조는 뒤꿈치의 바닥면을 눌러서 자극하므로, 발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 3026518호 공보에는, 신는 물품용의 깔창이 개시되어 있다. 이 깔창은 뒤꿈치의 바닥면을 눌러서 자극하는 자석을 지닌 뒤꿈치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 3075369호 공보에는 양말이 개시되어 있다. 이 양말은 뒤꿈치의 바닥면을 눌러서 자극하는 판형상 본체를 지닌 뒤꿈치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 뒤꿈치 지지부에 설치된 충격흡수용 재료를 지닌 신는 물품 또는 깔창은 공공연히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발바닥에는,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엄지 발가락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안쪽 길이방향 아치(arch)(A1), 새끼 발가락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바깥쪽 길이방향 아치(A2) 및 상기 엄지발가락의 기저(base)에서 새끼발가락의 기저까지 뻗어 있는 횡방향 아치(A3)를 포함한다. 이들 아치(A1) 내지 (A3)는 골격과 근육의 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며, 위에서 보아서 대략 삼각형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발의 근육 및 힘줄의 기능이 나이가 들거나 병이 듦에 따라 약화되면, 아치(A1) 내지 (A3)가 변형을 일으켜, 편평발, 내반족(clubfoot), 외반족 (valgus foot), 개장족(metatarsus latus) 또는 내반슬(bowleg)로 된다. 보행시, 아치(A1) 내지 (A3)의 굴곡 운동은 발의 혈액 순환(펌핑 작용)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혈액 순환은 아치(A1) 내지 (A3)의 변형에 의해 감소된다. 또, 아치(A1) 내지 (A3)의 변형은, 뒤꿈치가 바닥에 닿을 때 발의 골격에 작용하는 충격을 증대시킨다. 이것은 보행시 발의 피로감을 증가시킨다.
상기 종래의 신는 물품 및 깔창에 형성된 뒤꿈치 지지부는 뒤꿈치의 바닥면을 눌러서 자극하지만, 변형된 아치(A1) 내지 (A3)를 교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바닥의 아치의 형상을 교정하는 신는 물품 및 깔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발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바닥 지지부를 지닌 신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발바닥 지지부는 뒤꿈치를 지지하는 뒤꿈치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는 물품은 발의 종골 융기부(tuber calcanei) 부근의 신경을 눌러서 자극하기 위한 돌기부가 상기 뒤꿈치 지지부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발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바닥 지지부를 지닌 깔창을 제공한다. 상기 발바닥 지지부는 뒤꿈치를 지지하는 뒤꿈치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깔창의 상기 뒤꿈치 지지부 상에는, 상기 발의 종골 융기부 부근의 신경을 눌러 서 자극하기 위한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타 측면과 이점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로서 예시한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된 실시형태의 깔창(11)은 전체로서 인간의 발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바닥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상부면을 지닌다. 상기 깔창(11)의 상부면은, 대응하는 발가락을 지지하는 다섯 발가락 지지부와, 뒤꿈치를 지지하는 뒤꿈치 지지부(11a)를 포함한다. 상기 깔창(11)은 발바닥의 형상과 대략 일치하는 형상을 지닌 본체 시트(1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시트(12)는 면이나 양모를 포함하는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형성된 직물, 편물 및 부직포 등의 섬유제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마스킹 시트(masking sheet)(13)는 본체 시트(12)의 상부면과 접착제(14)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상기 마스킹 시트(13)는 예를 들면 항균 또는 방취 처리된 인공 피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깔창(11)의 뒤꿈치 지지부(11a)에 대응하는 마스킹 시트(13)의 상부면의 부분의 대략 전역에는, 재봉실(16)에 의한 재봉 혹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을 통 해 네임 시트(name sheet)(15)가 고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을 지닌 돌기부(17)는 접착제(18)에 의해 깔창(11)의 바닥면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17)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된 합성 수지 시트 본체, 합성 수지 성형체 또는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7)는 위에서 보아서 정육각형 형상을 지닌다. 상기 정육각형 형상의 중심(O2)을 포함하는 접선(L) 또는 상기 정육각형 둘레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F)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8㎜,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2㎜이다. 상기 예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선(L)의 길이는 15㎜로 설정되어 있다. 도 3의 돌기부(17)의 돌출량(높이)(t)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4.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2.4㎜,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2㎜이다. 상기 예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출량(t)은 1.8㎜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17)가 예를 들어 압축성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돌기부(17)는, 해당 돌기부(17)의 돌출량(t)이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값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압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돌기부(17)의 돌출량(t)은 제한되지 않는다.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압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운동용 단화에 사용되는 깔창(11)의 돌기부(17)의 돌출량(t)은, 해당 운동용 단화 이외의 신발에 사용되는 깔창(11)의 돌기부(17)의 돌출량(t)의 2 내지 4배이면 된다. 즉, 운동용 단화의 경우, 돌기부(17)의 돌출량(t)은, 상기 돌기부가 해당 신는 물품의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1/4 내지 1/2 사이로 압축되는 사실을 고려해서 결정된다.
상기 예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돌기부(17)의 중심(O2)은 깔창(11)의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과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중심(O2)은, 중심(O1)으로부터 폭(W)으로 정의된 방향을 따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4.5㎜ 이하의 한도만큼 변위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 대신에 또는 이것에 부가해서, 상기 중심(O2)은 중심(O1)으로부터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8㎜ 이하의 한도만큼 변위되어 있어도 된다.
통상, 도 4를 참조하면,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은 깔창(11)의 폭으로 정의된 횡방향의 중심에, 소정의 한도(일반적으로는 14 내지 28㎜) 만큼 상기 깔창(11)의 후단부(E)로부터 앞쪽으로 변위되어 있다. 그러나, 종골(뒤꿈치 뼈)(37)의 중심(도 8의 종골 융기부(37a)의 중심(O37))이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은 종골(37)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돌기부(17)의 중심(O2)은 상기 중심(O1)과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시킨다. 또는, 상기 돌기부(17)의 중심(O2)은,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으로부터 폭(W)으로 정의된 방향을 따 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4.5㎜ 이하의 한도만큼 및/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8㎜ 이하의 한도만큼 변위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두(21)는 발(30)을 지지하는 바닥재(뒤꿈치 재료)(22)를 포함한다. 상기 발(30)의 뒤꿈치(30a)를 덮는 피복부(23)의 하단부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바닥재(22)의 상부 주변 단부에 접착되어 있다. 안쪽 바닥부(24)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바닥재(22)의 상부면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깔창(11)이 상기 안쪽 바닥부(24)상에 장착되면 구두(21) 속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해서 발(30)의 뒤꿈치(30a)는 뒤꿈치 지지부(11a)와 파복부(23)에 의해 덮이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돌기부(17)에 대응하는 깔창(11)의 상부면 부분은, 상기 깔창(11)이 구두(21)의 착용자의 체중을 받게 되면 올라가게 된다. 이것이 종골 융기부(37a) 부근에 있는 발(30) 부분을 자극한다.
경골(정강뼈)(34), 거골(목말뼈)(36) 및 종골(37)의 뒤쪽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는 자율신경인 경골신경(51) 및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53)의 하단부(말단)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신경이 종골 융기부(37a) 부근에 있다. 따라서, 돌기부(17)에 대응하는 깔창(11)의 상기 올라간 부분이 상기 경골신경(51) 및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53)을 포함한 신경을 자극한다. 이것은, 시험 결과, 상기 경골신경(51) 및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53)의 자극이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상당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하, 이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해서, 다리(29)의 해부 구조 및 발(30)의 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다리(29) 및 발(30)을 포함하는 하체를 예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리(29)는 넓적다리뼈(33), 정강뼈(34) 및 종아리뼈(35)를 포함한다. 발(30)은 목말뼈(36), 발꿈치뼈(37) 및 발가락 뼈 군(38)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는 또한 척추(31), 골반(32), 대둔근(大臀筋: musculus gluteus maximus)(41), 넓적 다리의 사두근(quardriceps muscle)(42), 넓적다리의 이두근(biceps muscle)(43), 장딴지 근(44), 아킬레스건(45), 앞 정강이근(46), 정강 신경(51), 온 종아리 신경(common peroneal nerve)(52) 및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53)도 표시되어 있다. 예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온 종아리 신경(52)은 다리(29)의 앞쪽으로 얕은 종아리 신경과 깊은 종아리 신경으로 분리되어 있다.
도 8은 상기 발꿈치뼈(37)에 연결된 발가락 뼈(38)를 표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면은 발배뼈(navicular bone)(56), 입방뼈(cuboid bone)(57), 제 1쐐기뼈(58), 제 2쐐기뼈(59), 제 3쐐기뼈(60), 제 1군의 발가락 뼈(61), 제 2군의 발가락뼈(62), 제 3군의 발가락 뼈(63), 제 4군의 발가락 뼈(64) 및 제 5군의 발가락 뼈(65)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직선(L1)은 종골 융기부(37a)의 중심(O37)(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 및 제 1군의 발가락 뼈(61)의 먼쪽 부분의 중심(O3)(도 2에 표시한 제 1발가락 지지부의 중심(O3))을 포함한다. 또, 직선(L2)은 종골 융기부(37a)의 중심(O37) 및 제 2군의 발가락 뼈(62)의 먼쪽 부분의 중심(O4)(도 2에 표시한 제 2발가락 지지부의 중심(O4))을 포함한다. 또한, 직선(L5)은 종골 융기부(37a)의 중심(O37) 및 제 5군의 발가락 뼈(65)의 먼쪽 부분의 중심(O5)(도 2에 표시한 제 5발가락 지지부의 중심(O5))을 포함한다. 돌기부(17)는, 상기 중심(O2)을 포함하는 돌기부(17)의 하나의 대각선(L)의 연장선(L')이 바람직하게는 직선(L1)과 직선(L5) 사이에 뻗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선(L1)과 직선(L2) 사이의 중앙선 상에 뻗도록 배향되어 있다.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안쪽 길이방향 아치(A1)는 종골 융기부(37a)의 중심(O37)과 제 1군의 발가락 뼈(61)의 제 1발허리뼈(61a)의 먼쪽 부분 사이에 뻗어 있다. 바깥쪽 길이방향 아치(A2)는 종골 융기부(37a)의 중심(O37)과 제 5군의 발가락뼈(65)의 제 5발허리뼈(65a)의 먼쪽 부분 사이에 뻗어 있다. 횡방향 아치(A3)는 제 1발허리뼈(61a)의 먼쪽 부분과 제 5발허리뼈(65a)의 먼쪽 부분 사이에 뻗어 있다.
돌기부(17)는 종골 융기부(37a) 근방에 위치된 경골신경(51)의 말단 및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53)의 말단을 자극한다. 이하에, 이러한 자극에 의해 생기는 효과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골신경(51) 및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53)에는, 대둔근(41), 넓적 다리의 사두근(42), 넓적다리의 이두근(43), 장딴지 근(44) 및 앞 정강이 근(46)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17)에 의한 경 골신경(51)의 말단 및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53)의 말단의 자극은, 상기 근육(41), (42), (43), (44), (46)의 이완을 교정하므로, 상기 근육(41) 내지 (44) 및 (46)의 위치를 정상화시킨다. 이것은 상기 근육(41) 내지 (44) 및 (46)의 운동을 정상화해서 관련된 동맥들 및 정맥들의 압력을 경감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이들 혈관들의 작용이 정상화된다. 또한, 상기 대둔근(41)의 정상화 운동은 골반(32) 내에서 정상의 횡방향 평형을 복원한다. 척추 기립근, 광배근육(broadest muscle of back) 및 등세모근(trapezius muscle)(도시되어 있지 않음)도 정상화되므로, 척추의 기능을 정상화시킨다. 이것은 체혈순환(systemic blood circulation)을 촉진하여 자율신경계를 활성화시킨다.
또, 상기 경골신경(51) 및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53)의 자극은,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장딴지 근(44)에 접속되어 있는 아킬레스건(45)의 위치를 정상화시킨다. 이것은 아치(A1) 내지 (A3)의 변형된 형상을 교정하여, 보행시 원활한 체중이동을 허용한다. 도 8의 발바닥 동맥(66), 발바닥 정맥(67) 및 발바닥 궁(족저궁: plantar arch)(68), 그리고 발가락 모세혈관들도, 상기 경골신경(51) 및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53)의 자극을 통해서 자극된다. 이것은 보행시 발(30)의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또, 뒤꿈치(30a)가 바닥에 닿을 때 발(30)의 골격에 작용하는 충격이 저감되므로, 보행시 발(30)의 피로감을 완화시킨다.
깔창(11)에 형성된 돌기부(17)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이하의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 대해서 다르게 구성된 깔창(11)을 이용해서 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의 깔창(11)은 돌기부(17)의 중심(O2)이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과 일치되어 있도록 형성된 돌기부(17)를 지니고 있었다. 실시예 2의 깔창(11)은 돌기부(17)의 중심(O2)이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으로부터 앞쪽으로 4㎜의 한도만큼 변위되도록 형성된 돌기부(17)를 지니고 있었다. 실시예 3의 깔창(11)은 돌기부(17)의 중심(O2)이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으로부터 앞쪽으로 8㎜의 한도만큼 변위되도록 형성된 돌기부(17)를 지니고 있었다. 실시예 4의 깔창(11)은 돌기부(17)의 중심(O2)이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으로부터 뒤쪽으로 4㎜의 한도만큼 변위되도록 형성된 돌기부(17)를 지니고 있었다. 또, 실시예 5의 깔창(11)은 돌기부(17)의 중심(O2)이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으로부터 뒤쪽으로 8㎜의 한도만큼 변위되도록 형성된 돌기부(17)를 지니고 있었다. 비교예 1의 깔창(11)은 돌기부(17)를 지니고 있지 않았다. 실시예 1 내지 5의 돌기부(17)는 각각 정육각형 단면형상을 지닌다. 상기 육각형 형상 둘레에 외접한 원의 지름(F)은 15㎜이다. 상기 돌기부(17)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약한 발포 시트를 재단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각 돌기부(17)의 돌출량(t)은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눌린 상태에서 1.5㎜로 설정되어 있다.
시험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깔창(11)이 편입된 구두를 이용해서 행하였다. 이들 예의 각각에 대해서, 피시험자가 대응하는 켤레의 구두를 신고 200걸음 걸었다. 수분의 간격 후, 여러 가지 측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표시한다. 표 2는 각 예의 교감신경활동의 지표로서 고주파성분(HF)에 대한 저주파성분(LF)의 비를 표시하고, 각 예의 부교감신경활동의 지표로서 HF를 표시하고 있다. 각 수치는, 심전도, 호흡수, 심장박동수 및 혈압의 4종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고속푸리에변환을 이용한 가변스펙트럼해석을 통해 얻어진 것이다.
평균 심장박동수 혈압(수축기)
비교예 1 60/분 97 ㎜Hg
실시예 1 66/분 119 ㎜Hg
실시예 2 60/분 100 ㎜Hg
실시예 3 60/분 96 ㎜Hg
실시예 4 62/분 98 ㎜Hg
실시예 5 60/분 94 ㎜Hg
교감신경활동(LF/HF) 부교감신경활동(HF)
비교예 1 0.857 0.085
실시예 1 1.567 0.043
실시예 2 0.935 0.068
실시예 3 0.923 0.067
실시예 4 0.946 0.073
실시예 5 0.943 0.079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는 비교예 1에 비해서, 교감신경활동(LF/HF)은 상승하였고, 부교감신경활동(HF)은 감소하였다. 교감신경활동의 상승 및 부교감신경활동의 감소는, 돌기부(17)의 중심(O2)이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 또는 발(30)의 종골 융기부(37a)의 중심(O37)과 일치하고 있는 실시예 1에 있어서 특히 현저하였다. 상기 교감신경활동의 상승 및 부교감신경활동의 감소는 돌기부(17)에 의한 가쪽 발바닥 신경(lateral plantar nerve)(경골신경(51) 및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53))의 자극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심장박동수 및 혈압은 비교예 1에 비해서 실시예 1에 있어서 상승하였다. 이 사실은, 혈류의 증가를 나타낸다. 이에 대해서, 실시예 2 내지 5와 비교예 1 사이에는, 심장박동수 및 혈압의 현저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2 내지 5에 있어서, 돌기부(17)는 앞쪽 또는 뒤쪽으로 변위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부(17)의 중심(O2)이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과 일치하도록 돌기부(1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에, 상이한 형상의 돌기부(17)에 의해 초래되는 효과의 차이를 관찰하기 위해, 이하의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 있어서는, 비교예 2의 깔창(11)은 돌기부(17)를 지니지 않았다. 다른 실시예의 깔창(11)은, 위에서 보아서 정삼각형 형상(실시예 6), 정사각형 형상(실시예 7), 정오각형 형상(실시예 8), 정육각형 형상(실시예 9), 정칠각형 형상(실시예 10), 정팔각형 형상(실시예 11), 정구각형 형상(실시예 12) 및 원형상(실시예 13)을 지닌 돌기부(17)를 갖고 있었다. 시험은 실시예 6 내지 13 및 비교예 2의 깔창(11)을 편입시킨 구두를 이용해서 행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예에 대해서, 피시험자가 대응하는 켤레의 구두를 신고 200걸음 걸었다. 수분의 간격 후, 여러 가지 측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표시한다. 실시예 6 내지 13에 있어서, 돌기부(17)는 약간 발포된 폴리우레탄 수지의 성형을 통해 형성되었다. 실시예 6 내지 12의 각각에 있어서, 위에서 보았을 때의 돌기부(17) 둘레에 외접한 원의 지름은 15㎜였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13에서는, 위에서 보았을 때의 돌기부(17)의 원형상의 지름은 15㎜였다. 각 실시예 6 내지 13의 돌기부(17)의 돌출량(t)은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눌린 상태에서 1.8㎜였다. 실시예 6 내지 13에 있어서, 돌기부(17)의 중심(O2)은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과 일치하였다.
평균심장박동수 혈압(수축기)
비교예 2 60/분 97 ㎜Hg
실시예 6 61/분 95 ㎜Hg
실시예 7 60/분 100 ㎜Hg
실시예 8 67/분 117 ㎜Hg
실시예 9 70/분 120 ㎜Hg
실시예 10 66/분 110 ㎜Hg
실시예 11 68/분 118 ㎜Hg
실시예 12 60/분 100 ㎜Hg
실시예 13 60/분 97 ㎜Hg
교감신경활동(LF/HF) 부교감신경활동(HF)
비교예 2 0.857 0.085
실시예 6 1.211 0.063
실시예 7 1.223 0.063
실시예 8 1.235 0.065
실시예 9 1.689 0.035
실시예 10 1.245 0.059
실시예 11 1.233 0.059
실시예 12 1.172 0.063
실시예 13 1.157 0.072
표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9에서는 비교예 2에 비해서 심장박동수 및 혈압이 상승하였다. 또, 표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6 내지 13에서는 비교예 2에 비해서 교감신경활동이 상승하고, 부교감신경활동은 감소하였다. 교감신경활동의 상승 및 부교감신경활동의 감소는, 돌기부(17)가 위에서 보아서 정육각형 형상을 지닌 실시예 9에 있어서 특히 현저하였다. 따라서, 돌기부(17)는 위에서 보아서 정육각형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뒤꿈치(30a)가 바닥에 닿은 후, 제 1군의 발가락 뼈(61)의 먼쪽 부분의 중심(O3)과 제 2군의 발가락 뼈(62)의 중심(O4) 사이의 중점을 향해서 종골 융기부(37a)의 중심(O1)으로부터 보행자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무게 중심의 이동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돌기부(17)는 위에서 보아서 정육각형 형상을 지니고, 또한, 중심(O2)을 포함하는 돌기부(17)의 하나의 대각선(L)의 연장선(L')이 직선(L1)과 직선(L2) 사이의 중심선 상에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행시, 이 구성은 도 4에 표시되어 있는 돌기부(17)의 지점(17b)에 의해 경골신경(51) 및 안쪽 장딴지 피부신경(53)의 자극 효율을 특히 향상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상이한 돌출량(t)을 지닌 돌기부(17)에 의해 초래되는 효과의 차이를 관찰하기 위해서, 이하의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비교예의 깔창(11)은 돌기부(17)를 지니지 않았다. 다른 실시예의 깔창(11)의 돌출량(t)은,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눌린 상태에서 0.2㎜(실시예 14), 0.5㎜(실시예 15), 0.8㎜(실시예 16), 1.8㎜(실시예 17), 2.2㎜(실시예 18), 2.8㎜(실시예 19), 3.5㎜(실시예 20), 4.0㎜(실시예 21) 및 6.0㎜(실시예 22)였다. 상기 시험은 상기 실시예 14 내지 22 및 비교예 3의 각 깔창(11)이 편입된 구두를 가지고 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예에 대해서, 피시험자가 대응하는 각 켤레의 구두를 신고 200걸음 걸었다. 수분의 간격 후, 여러 가지 측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표시한다. 실시예 14 내지 22의 돌기부(17)는 위에서 보아서 정육각형 형상을 지녔고 각 돌기부(17)의 상기 정육각형 형상 둘레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F)은 15㎜였다. 상기 돌기부(17)는 각각 약간 발포된 폴리우레탄 수지의 성형을 통해 형성되었다. 실시예 14 내지 22에 있어서, 돌기부(17)의 중심(O2)은 뒤꿈치 지지부(11a)의 중심(O1)과 일치하고 있다.
평균 심장박동수 혈압(수축기)
비교예 3 60/분 97 ㎜Hg
실시예 14 62/분 98 ㎜Hg
실시예 15 60/분 100 ㎜Hg
실시예 16 62/분 99 ㎜Hg
실시예 17 72/분 122 ㎜Hg
실시예 18 64/분 102 ㎜Hg
실시예 19 63/분 106 ㎜Hg
실시예 20 63/분 100 ㎜Hg
실시예 21 63/분 100 ㎜Hg
실시예 22 62/분 100 ㎜Hg
교감신경활동(LF/HF) 부교감신경활동(HF)
비교예 3 0.857 0.085
실시예 14 0.883 0.082
실시예 15 0.965 0.069
실시예 16 0.979 0.067
실시예 17 1.489 0.032
실시예 18 1.194 0.066
실시예 19 1.192 0.064
실시예 20 1.189 0.059
실시예 21 1.143 0.060
실시예 22 1.156 0.062
표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4 내지 22에서는 비교예 3에 비해서 교감신경활동이 상승하였고 부교감신경활동이 감소하였다. 또, 돌기부(17)의 돌출량(t)이 1.8㎜인 실시예 17에서는, 교감신경활동의 상승과 부교감신경활동의 감소가 특히 현저하였다. 또, 표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7에서는, 비교예 3에 비해서 심장박동수와 혈압이 상승하였다. 따라서, 돌기부(17)의 돌출량(t)은 1.8㎜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인간의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3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피의 두께는 대략 0.12㎜이고, 진피의 두께는 대략 1.8㎜이며, 피하조직의 두께는 대략 0.08㎜이다. 그러므로, 이들 3층의 두께의 합계, 또는 피부의 두께는, 대략 2㎜이다. 따라서, 돌기부(17)의 돌출량(t)은 피부의 두께보다도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도 10A 내지 도 10L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7)는 위에서 보아서 정삼각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정오각형 형상, 정칠각형 형상, 정팔각형 형상, 정구각형 형상, 정십각형 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별 형상, 마름모꼴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상기 돌기부(17)가 위에서 보아서 정다각형 형상을 지니고 있으면, 다각형 형상의 중심과 대응하는 점을 포함하는 하나의 대각선(L)의 연장선(L')은 직선(L1)과 직선(L5) 사이의 중심선 상에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17)가 위에서 보아서 타원형상을 지니고 있으면, 상기 타원의 길이방향 축의 연장선(L')이 직선(L1)과 직선(L5) 사이의 중심선 상에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17)가 위에서 보아서 도 10L의 직사각형 형상을 지니고 있으면, 상기 직사각형의 길이방향 축(J)이 직선(L1)과 직선(L5) 사이의 중심선 상에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돌기부(17)가 위에서 보아서 정다각형 형상을 지니고 있으면, 상기 다각형 둘레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F)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8㎜,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2㎜이다. 상기 돌기부(17)가 위에서 보아서 원형상을 지니고 있으면, 상기 원의 지름은 상기 지름(F)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17)가 위에서 보아서 타원형 형상을 지니고 있으면, 상기 타원의 길이방향 축의 길이(F)는 상기 지름(F)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돌기부(17)가 위에서 보아서 도 10J의 별 형상을 지니고 있으면, 상기 별의 중심을 포함하는 대각선(L)의 길이(F)는 상기 지름(F)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부(17)가 위에서 보아서 마름모꼴 형상을 지니고 있으면, 상기 마름모꼴의 중심을 포함하는 긴 쪽의 대각선(L)의 길이(F)는 상기 지름(F)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7)는 마스킹 시트(13)와 네임 시트(15)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네임 시트(15)는 재봉실(16)에 의한 재봉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의해 돌기부(17) 둘레의 마스킹 시트(13)에 고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두(21)의 바닥재(22)의 상부면(22a)에는 오목부(22b)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돌기부(17)의 하부면에는 돌기부(17c)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해서 돌기부(17)는 상기 오목부(22b) 속에 돌기부(17c)를 끼워맞춤으로써 구두(21)에 고착된다. 또는, 예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돌기부(17)는 구두(21)의 바닥재(22)의 상부면에 또는 내부 바닥(24)에 접착제를 이용해서 직접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13A 및 도 13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7)의 상부 또는 하부는 스파이크형상 방식에 의한 볼록 형상, 또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7)는 천(72)과 실(73)을 이용해서 신는 물품으로서의 양말(71)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적어도 양말(71)의 뒤꿈치부는 비교적 낮은 유연성을 지닌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돌기부(17)의 위치를 최적 위치로 적합화시킨다.
도 15를 참조하면, 돌기부(19A)는 제 4 온바닥쪽 발가락 신경(75)에 대응하는 깔창(11)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돌기부(19A)는 판형상을 지니고 있어도 된다. 또, 발바닥 지지부에 대한 돌기부(19A)의 위치는 변경가능해도 된다. 상기 제 4 온바닥쪽 발가락 신경(75)은 제 5군의 발가락 뼈(65)와 제 4군의 발가락 뼈(64) 사이에 위치되어 가쪽 발바닥 신경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19A)는 제 4 온바닥쪽 발가락 신경(75)을 자극한다. 이러한 자극은 각 다리의 근육 및 발바닥 궁(68)(도 8 참조)의 기능을 정상화해서, 혈액 순환을 촉진한다.
상기한 구성 대신에 또는 이것에 부가해서, 돌기부(19B)는 제 3 온바닥쪽 발가락 신경(76)에 대응하는 깔창(11)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돌기부(19B)는 판형상을 지니고 있어도 된다. 또, 발바닥 지지부에 대한 돌기부(19B)의 위치는 변경가능해도 된다. 상기 제 3 온바닥쪽 발가락 신경(76)은 제 4군의 발가락 뼈(64)와 제 3군의 발가락 뼈(63) 사이에 위치되어 안쪽 발바닥 신경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19B)는 제 3 온바닥쪽 발가락 신경(76)을 자극한다. 이러한 자극은 각 다리의 근육 및 발바닥 궁(68)(도 8 참조)의 기능을 정상화해서, 혈액 순환을 촉진한다.
상기 돌기부(19A) 및 (19B)는 각각 도 15에 표시한 형상 대신에 위에서 보아서 직사각형 형상, 평행사변형 형상 또는 초승달 형상을 지니고 있어도 된다.
상기 돌기부(17)는 도 16에 표시한 바와 같은 작은 돌기부(17d)의 군으로 또는 도 17에 표시한 바와 같은 융각형 고리(17e)와 작은 돌기부(17f)와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작은 돌기부(17f)는 영구 자석이어도 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돌기부(17)는 떼고 붙이는 잠금쇠(hook-and-loop- fastener, 찍찍이)(81)를 이용해서 본체 시트(12)에 고착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훅부(82)를 본체 시트(12)에 붙이고, 루프부(83)를 돌기부(17)에 붙인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17)의 중심(O2)이 종골 융기부(37a)의 중심(O37)과 일치하도록 착용자가 돌기부(17)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돌기부(17)의 바닥면에 하나의 돌기부를 형성한 채로 구두(21)의 바닥재(22)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오목부를 규정해 놓아도 된다. 상기 돌기부(17)는 오목부 중의 하나에 돌기부(17)를 끼워맞춤으로써 구두(21)에 고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17)의 중심(O2)이 종골 융기부(37a)의 중심(O37)과 일치하도록 착용자가 돌기부(17)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돌기부(17)는 본체 시트(12)의 바닥면 대신에, 네임 시트(15)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기부(17)는 발포 수지와 같은 개선된 충격흡수성을 보이는 연질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17)의 바닥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면은 이형필름으로 덮여 있어도 된다. 이 돌기부(17)는 상기 필름을 제거한 후 신는 물품 또는 깔창에 접착한 상태에서 이용된다.
상기 본체 시트(12)는,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제품 대신에 인공피혁, 염화비닐 수지 또는 천연 피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돌기부(17)는, 합성 수지, 천연 수지 또는 그의 발포체 대신에, 합성 또는 천연 섬유제품의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합성 또는 천연 고무 또는 그의 발포체, 합성 또는 천연 피혁 또는 코르크로 형성해도 된다. 또는, 상기 돌기부(17)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철, 스테인레스 강 등의 금속이나, 세라믹, 유리, 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석, 자석 또는 인공석 등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예시된 실시형태는 구두나 양말로서 구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나막신, 실리퍼, 샌들, 하이힐 및 일본식 버선을 포함하는 기타 종류의 신는 물품에도 적용가능하다. 또는, 본 발명은 이들 종류의 신는 물품 내에 설치된 깔창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신는 물품의 안쪽 바닥은 압축펄프의 시트, 피혁시트 또는 부직포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돌기부(17)는 이 안쪽 바닥의 표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신는 물품의 바닥재는 고무, 피혁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돌기부(17)는 이 바닥재의 표면상에 배치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신는 물품 또는 깔창에 의하면, 종골의 뒷면에 뻗어 있는 발바닥의 신경의 일부가 돌기부에 의해 자극되고, 이 발바닥의 각종 신경의 자극에 의해, 다리 및 발의 각종 신경 및 근육이 활성된다. 이 결과, 다리 및 발의 각종 근육이 정상의 자세로 복원되므로, 경사져 있는 아킬레스 건이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정상상태로 복귀하여, 발의 삼각 형상의 아치가 정상화되는 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외반족 또는 내반족 등이 교정되어, 보행이 정상화되고, 보행에 의한 혈액 순환작용이 촉진되어, 건강의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6)

  1. 발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바닥 지지부를 지니고, 상기 발바닥 지지부는 뒤꿈치를 지지하는 뒤꿈치 지지부를 포함하는 신는 물품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지지부 상에는, 상기 발의 종골 융기부 부근의 신경을 눌러서 자극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위에서 보아서, 정삼각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정오각형 형상, 정육각형 형상, 정칠각형 형상, 정팔각형 형상, 정구각형 형상, 정십각형 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별 형상, 마름모꼴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위에서 보아서, 정오각형 형상, 정육각형 형상, 정칠각형 형상 또는 정팔각형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지지부는, 엄지발가락을 지지하는 엄지발가락 지지부 및 새끼발가락을 지지하는 새끼발가락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위에서 보아서, 다각형 형상을 지니고, 상기 다각형 형상의 중심 및 대응하는 지점을 각각 포함하는 선들 중 하나는 상기 뒤꿈치 지지부의 중심과 상기 엄지발가락 지지부의 중심을 포함하는 선과 상기 뒤꿈치 지지부의 중심과 상기 새끼발가락 지지부의 중심을 포함하는 선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지지부는 엄지발가락을 지지하는 엄지발가락 지지부와, 두번째 발가락을 지지하는 두번째 발가락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위에서 보아서, 다각형 형상을 지니고, 상기 다각형 형상의 중심 및 대응하는 지점을 각각 포함하는 선들 중 하나는 상기 뒤꿈치 지지부의 중심과 엄지발가락 지지부의 중심을 포함하는 선과 상기 뒤꿈치 지지부의 중심과 두번째 발가락 지지부의 중심을 포함하는 선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위에서 보아서 정다각형 형상을 지니고, 상기 정다각형 형상 둘레에 외접한 원의 지름이 3 내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각형 형상 둘레에 외접한 원의 지름이 8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각형 형상 둘레에 외접한 원의 지름이 12 내지 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0.2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0.5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1.0 내지 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12.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는 물품은 운동용 단화이고,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신는 물품의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1/4 내지 1/2 사이로 눌리는 사실을 고려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13.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지지부 상에는 제 3 온바닥쪽 발가락 신경을 눌러서 자극하기 위한 추가의 돌기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14.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지지부 상에는 제 4 온바닥쪽 발가락 신경을 눌러서 자극하기 위한 추가의 돌기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15.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지지부에 대한 돌기부의 위치는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는 물품.
  16. 발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바닥 지지부를 지니고, 상기 발바닥 지지부는 뒤꿈치를 지지하는 뒤꿈치 지지부를 포함하는 깔창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지지부 상에는, 상기 발의 종골 융기부 부근의 신경을 눌러서 자극하기 위한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창.
KR1020060008264A 2005-01-26 2006-01-26 신는 물품 및 깔창 KR101024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18893 2005-01-26
JPJP-P-2005-00018893 2005-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320A true KR20060086320A (ko) 2006-07-31
KR101024347B1 KR101024347B1 (ko) 2011-03-23

Family

ID=3684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264A KR101024347B1 (ko) 2005-01-26 2006-01-26 신는 물품 및 깔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84556B2 (ko)
KR (1) KR101024347B1 (ko)
CN (1) CN18101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7644B (en) * 2007-03-16 2010-04-28 Univ Plymouth Foot orthosis apparatus
US20090255147A1 (en) * 2008-04-11 2009-10-15 Majin Castillo Foot-stabilizing shoe inserts
JP3153548U (ja) 2009-06-26 2009-09-10 株式会社フットテクノ 履物に用いる踵用中敷
TWI520691B (zh) * 2011-03-30 2016-02-11 Balance the foot of the device
US9345287B2 (en) 2013-03-14 2016-05-24 Hbn Shoe, Llc Heel stabilizer for footwear
US10470914B2 (en) 2017-04-27 2019-11-12 MD Orthopaed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foot and ankle problems and problems with gait
WO2019040797A1 (en) 2017-08-23 2019-02-28 Pace, Llc SYSTEM FOR RETURNING INFORMATION OF APPROACH
KR102310746B1 (ko) * 2020-04-10 2021-10-12 국승원 발 교정구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4831A (en) * 1984-01-04 1987-09-22 Seltzer Charles J Massage footwear
JPH0650170Y2 (ja) 1989-07-25 1994-12-2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インサート材
JPH0375369U (ko) 1989-11-27 1991-07-29
EP0630593B1 (de) * 1993-06-25 1996-12-04 Margareta Schnewlin-Maier Einlagesohle für Schuhe
US5400526A (en) * 1993-09-14 1995-03-28 Sessa; Raymond V. Footwear sole with bulbous protrusions and pneumatic ventilation
US5625965A (en) * 1993-10-27 1997-05-06 Wolverine World Wide, Inc. Stand easy shoe insert
US5551173A (en) * 1995-03-16 1996-09-03 Chambers; Mark D. Comfort insole
IT1287224B1 (it) 1996-03-29 1998-08-04 D B A S R L Suola per calzature
US5685094A (en) * 1996-04-22 1997-11-11 Lin; John H. J. Ventilated massaging insole
JP2000083706A (ja) 1998-09-16 2000-03-28 Daiichi:Kk 履物の中敷
US6205684B1 (en) * 1998-11-13 2001-03-27 Zephyr Athletic Footwear, Inc. Strike pad assembly
US6178662B1 (en) * 1999-02-02 2001-01-30 David K. Legatzke Dispersed-air footpad
US6234987B1 (en) * 1999-03-01 2001-05-22 Hsing-Yu Chen Foot heel massaging device
KR200201935Y1 (ko) 2000-05-18 2000-11-01 김주태 신발 깔창
KR200205881Y1 (ko) 2000-06-27 2000-12-01 주정옥 신발용 코르크중창
ATE255339T1 (de) * 2001-03-26 2003-12-15 Vitaflex Dr Walter Mauch Gmbh Innensohle für schuhe
SE524357C2 (sv) * 2001-05-16 2004-07-27 Danderyds Biotech Innovation A Förbandshållare
JP2003052407A (ja) * 2001-08-10 2003-02-25 Kazuya Sasaki 靴の中敷用指圧器
US20040111924A1 (en) * 2002-04-23 2004-06-17 Raffaele Riccardi Self-stimulating clogs for performing a zonal therapy with changeable stimulation points
US6742289B2 (en) * 2002-07-01 2004-06-01 Medical Device Group, Inc. Stress reduction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40063196A (ko) * 2003-01-06 2004-07-14 조용근 발꿈치 보호용 신발 깔개(족저근막염 환자를 위한 신발 깔개)
DE10310526B4 (de) * 2003-03-11 2005-10-13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Fußballschuh
KR200318276Y1 (ko) 2003-04-03 2003-06-27 김종기 자석을 이용한 지압신발
US7140130B2 (en) * 2003-06-17 2006-11-28 Dr. Brooks Innovations, Llc Insole with a neuroma pad
CN2627871Y (zh) 2003-06-18 2004-07-28 深圳市龙浩鞋业连锁有限公司 保健鞋垫
CN2636631Y (zh) 2003-08-12 2004-09-01 天津市健龙保健品有限公司 足疗袜套
KR200333517Y1 (ko) 2003-08-29 2003-11-15 최원섭 지압용 발판
CN2666227Y (zh) 2003-11-19 2004-12-29 朱素芬 一种保健按摩鞋垫
JP2005185675A (ja) 2003-12-26 2005-07-14 Pansy:Kk 履物
DE102004052935A1 (de) * 2004-10-29 2006-05-18 Stefan Ebeling Schuhsohle mit Druckmassagefunktion
KR200375335Y1 (ko) * 2004-11-24 2005-02-07 강현구 신체교정용 구두 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347B1 (ko) 2011-03-23
CN1810169A (zh) 2006-08-02
US20060265904A1 (en) 2006-11-30
US7584556B2 (en)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347B1 (ko) 신는 물품 및 깔창
US9038201B2 (en) Non-slip footwear
CN111698922B (zh) 预防糖尿病和糖尿病足并缓解糖尿病性坏死溃疡疼痛的鞋
JP2008513088A (ja) 下肢の静脈および(または)リンパ管の機能不全のための装置
US20170056231A1 (en) Pad and supporter
KR20130122608A (ko) 순차 압박 양말류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US20030187372A1 (en) Foot stimulating healthy tool
JP4457076B2 (ja) 履物及びそれに用いる中敷
KR100633726B1 (ko) 기능성 신발깔창
KR101999344B1 (ko) 바른발 기능성 양말
JP2006326264A (ja) ツボ押し、外反母趾、健康具
JPH11146802A (ja) 履物および靴中敷
JP3200517U (ja) 踵矯正装具及び踵矯正用靴下
EP1444910A1 (en) Foot support or insole able to generate a localized pressure at precise points of the sole of the foot, to hence create a massage on those points
CN217826961U (zh) 一种用于治疗足底筋膜炎的足垫
KR101171267B1 (ko) 신발
JP3214236U (ja) スリッパ及び履物
JP3030610U (ja) 履物の中底構造
KR200416504Y1 (ko) 지압용 깔창
KR20230168490A (ko) 신발용 깔창
JP2024070529A (ja) 歩行矯正姿勢改善具
JP2021184778A (ja) 足裏マット、中敷き、及び靴
WO2024062153A1 (en) A biomechanical sock
KR20220040811A (ko) 지압기능을 구비한 신발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19

Effective date: 200909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106

Effective date: 201008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011

Effective date: 201012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