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331A - 이형 시트 및 점착체 - Google Patents

이형 시트 및 점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331A
KR20060085331A KR1020067004176A KR20067004176A KR20060085331A KR 20060085331 A KR20060085331 A KR 20060085331A KR 1020067004176 A KR1020067004176 A KR 1020067004176A KR 20067004176 A KR20067004176 A KR 20067004176A KR 20060085331 A KR20060085331 A KR 20060085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layer
sensitive adhesive
polyolefin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타로우 노자와
마키 쿠니타케
에츠시 아카시게
오사무 니시자와
모토히로 세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5331A/ko
Publication of KR2006008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33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09J2400/283Presence of pap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5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 기재 및 상기 이형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된 이형층으로 이루어진 이형 시트로서, 상기 이형층이 가교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층이고, 또 2액형 아크릴계 점착제로부터 수득된 점착층에 대하여 박리력이 10~300mN/cm인 이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형 시트는 내열성, 내용제성, 이형층과 이형 기재와의 점착성이 우수하고, 점착층을 이형층에 직접 전사도공할 수 있다.
이형 기재, 이형 시트, 폴리올레핀, 점착층, 박리성

Description

이형 시트 및 점착체{Releas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es}
본 발명은 내열성, 내용제성, 이형층과 이형 기재와의 점착성이 우수하고, 점착층을 이형층에 직접 전사도공 할 수 있는 이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형 시트의 이형층 상에 점착층을 구비한 점착체에 관한 것이다.
이형 필름은 점착면 또는 접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형 필름의 이형면을 구성하는 소재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것이 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폴리머이다. 그러나, 실리콘계 이형제에는 실록산계 저분자가 내재하기 때문에 전자 부재 등의 정말 용도로 적용하는 경우 이것이 휘산(揮散)하여 공기 중에서 산화된 것이 고착(固着し) 트러블(トラブル)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실록산 원(源)을 갖지 않고 또 실리콘계 이형 필름과 동등한 이형성을 갖는 필름이 요구되어 왔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장치는 매우 빠르게 고기능화,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도 이러한 고성능화, 고밀도화가 더욱 진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하드 디스크 장치의 고성능화, 고밀도화가 더욱 진행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미소한 실리콘 화합물의 퇴적이 하드 디스크의 판독이나 기입에 악형향을 미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적합한 것으로서, 불화물 등의 할로겐 화합물에 의해 표면 에너지를 저감시킨 이형층의 활용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이형층은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 55-165925호 공보, 특개평 1-198349호 공보, 특개평 4-246532호 공보, 특개평 4-270649호 공보, 특개평 4-290746호 공보, 특개 2001-129940호 공보, 특개 2001-138838호 공보, 특개 2000-263714호 공보, 특개 2001-129940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형층은 대개 현행 실리콘 계에 비하여 중박리이고, 또 최근의 폐기물 처리에 있어서 환경 부하 경감을 위한 탈 할로겐화 추세에 부합하지 않는다.
규소도 할로겐 원소도 함유하지 않는 이형층의 예로는 폴리올레핀 또는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머 등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특개소 54-7442호 공보, 특개소 55-69675호 공보, 특개평 5-329994호 공보, 특개평 10-183078호 공보, 특개평 11-28708호 공보, 특개 2000-303019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으나, 모두 박리력이 100mN/cm을 초과하는 중박리이고, 적용할 수 있은 용도에 제한이 있다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폴리올레핀을 이용하여 경박리를 달성한 예로서, 특개 2001-246697호 공보, 특개 2000-248237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유기 용제나 분산액을 캐스트하는 공정 필름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등의 과제도 있었다. 폴리올레핀을 이용한 경우는 이형층과 이형 기재 필름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고, 점착제와 이형층을 박리할 때 이형층이 점착제로 탈리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형층을 구비할 때에는 이형 기재와의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접착성 수지를 이형층과 기재층 사이에 설치하는 기술이 실시되어 왔다.
이형 기재상에 실리콘을 화학가교함으로써 고무적 성질, 내열성, 내약품성이 부여된 실리콘 이형 시트를 수득할 수 있다. 점착체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점착 기재상에 점착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를 실리콘 이형 시트와 붙이는「직도공」이나, 이형층 상에 점착층을 구비할 때 점착제액을 이형층 상에 도포하여 가열, 건조한 후 점착제액에 함유된 유기용제를 증산시키는 것과 동시에 점착제의 화학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첨착층을 설치하고, 이어서 점착 기재를 붙이는「전사도공」을 채용할 수 있다. 전사도공에 의하면 이형 시트에 점착층을 구비하고, 이어서 점착 기재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직도공에 비하여 점착 기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점착체를 수득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표시용 라벨 분야에서는 전사도공이 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비실리콘 이형재는 내약품성, 내열성이 우수하다거나 무릇(そもそも) 낮은 박리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사도공에는 부적합하였다. 또한, 점착 시트는 이형층과 이형 기재로 이루어지는 이형 시트와는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이형 시트와 붙임으로써 점착체로 하고 있지만, 낮은 박리력을 갖는 점착제는 수득할 수 없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은 내열성, 내용제성, 이형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점착층을 이형층에 직접 전사 도공할 수 있는 이형 시트 및 점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화학 가교하여 얻어지는 이형층을 채용함으로써 규소, 할로겐 원소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고, 매우 우수한 이형층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형 기재 및 그 이형 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구비된 이형층으로 이루어진 이형 시트로서, 상기 이형층이 가교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층이고, 또 2액형 아크릴계 점착제로부터 수득되는 점착층에 대하여 박리력이 10~300mN/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이형제는 반응성 폴리올레핀, 상기 반응성 폴리올레핀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1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화합물 및 밀도 0.94g/㎤ 이하의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성 폴리올레핀은 다관능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0.01~5중량%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형제는 다관능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0.01~5중량% 갖고, 밀도가 0.94g/㎤ 이하인 반응성 폴리올레핀, 상기 반응성 폴리올레핀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1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성 폴리올레핀의 관능기 및 상기 다관능 화합물의 관능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시기, 히드록시기, 산무수물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아미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관능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형 시트를 구성하는 이형층의 두께는 0.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층은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제를 유기용제에 용해하여 이형제 용액을 얻고, 상기 이형제 용액을 이형 기재상에 도포한 후, 가교반응에 제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시트를 구성하는 이형 기재는 수지 필름 또는 종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이형 시트의 이형층 상에 점착층을 구비한 점착체도 제공한다. 점착층은 점착제를 함유하는 용액을 전사도공하여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형 시트 및 점착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을 사용하여 표현되는 수치 범위는「~」의 전후에 기재된 수치를 하한치 및 상한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제 1 발명은 이형 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이형층을 갖는 이형 시트이다. 상기 이형층은 가교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제이고, 통상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제를 가교 반응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반응성 폴리올레핀과 가교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가교하거나 반응성 폴리올레핀 자체를 가교시킴으로써 이형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이용한 가교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내열성, 내약품성, 이형 기재로의 밀착성이 우수한 이형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형층에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시킬 필요가 없고, 실리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따른 각종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형 기재는 이형층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그 재질이나 형태는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평활한 필름 또는 시트이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나 폴리메틸펜텐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박(箔), 그라신(グラシン)지, 상질(上質)지, 코트지, 함침(含浸)지, 합성지 등의 종이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이형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또는 티끌이 적은 소위, 무진지(예를 들어 특개평 6-1195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무진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가공시나 사용시 등에서 티끌이 발생되기 어렵고,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전자 기기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이형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무진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가공시에 재단 또는 본뜸 등이 용이하게 된다.
이형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은 띠끌의 발생이 보다 적고, 또 가열시 가스의 발생이 보다 적다고 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형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형 기재의 표면에는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 용의 수지를 도포하거나, 플라즈마, 프레임 플라즈마 등을 이용하여 활용화하는 등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시트를 구성하는 이형층은 가교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층이고, 통상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제를 가교반응에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이형층은 2액형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하여 박리력이 10~300mN/cm 범위 내이다.
가교 반응에 제공하는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제는 반응성 폴리올레핀 및 상기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화학가교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응성 폴리올레핀, 상기 반응성 폴리올레핀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1 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화합물 및 밀도 0.94g/㎤ 이하의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제나 다관능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0.01~5중량% 함유하고 밀도가 0.94g/㎤ 이하인 반응성 폴리올레핀, 상기 반응성 폴리올레핀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1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화합물을 함유하는 이형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응성 폴리올레핀은 가교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과 반응하여 겔화하거나, 스스로 가교 반응하여 겔화함으로써 3차원 망목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가교 반응을 통해 이형층에 내열성 및 내약품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올레핀과 가교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은 반응성 폴리올레핀에 미세하게(ミクロに) 분해하거나 또는 상용하고, 또 가교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 내열성 및 내약품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이다. 반응성 폴리올레핀과 가교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은 나아가 이형 기재 표면에 존재하는 관능기와 반응 또는 상호작용하여 이형 기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작용도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화학 가교는 반응성 관능기간의 반응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분자 중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산무수물기, 카르복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올레핀 및 이들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이상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이용하면 반응성 폴리올레핀에 미세하게 분해하여 균일한 겔화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형성 및 내용제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이형층을 형성하는 비반응성 폴리올레핀과의 상용성이 중요하다. 상용성이 낮은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이용한 경우는 충분한 내용제성이 얻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응성 폴리올레핀이 이형층 표면에 블리드아웃(ブリ-ドアウト)하여 박리력이 대폭 증대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반응성 폴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 골격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골격에 히드록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산무수물, 카르본산기를 적어도 분자 중에 평균 1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저박리력 및 이형 기재에 대하여 밀착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반응성 폴리올레핀에 함유되는 관능기량은 0.0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1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중량% 이상 반응성 관능기가 존재하면 박리력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이용하는 경우는 비반응성 폴리올레핀과 블렌드하지 않아도 우수한 박리력 및 이형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폴리올레핀의 밀도가 낮으면 박리력에 부여하는 영향을 경감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특히 밀도가 0.94g/㎤ 이하이고, 관능기량이 0.01~5중량%의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면,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을 이용해도 양호한 이형층을 얻을 수 있다.
반응성 폴리올레핀의 예로서는 용융 또는 용액상태에서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적용하여 폴리올레핀을 변성한 것이나, 용매의 존재하에 에틸렌 등과 반응성을 갖는 화합물을 공중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반응성기로는 에폭시기, 히드록시기, 무수카르본산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응성 폴리올레핀의 구체예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물, 폴리에틸렌의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물, 폴리프로필렌의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물, 미쯔비시 가가꾸(주)제의 폴리테르 H 또는 폴리테르 HA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 폴리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물, 폴리에틸렌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물, 그 수첨 스티렌디에텐 공중합체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물, 폴리프로필렌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에폭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물, 폴리에틸렌의 에폭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물, 그 수첨 스티렌디엔 공중합체의 에폭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물, 폴리프로필렌의 에폭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昭和電工 (株) 製 カレンズ MOI)에 의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변성물, 폴리올레핀폴리이소시아네이트(예를 들어, 미쯔비시 가가꾸 (株) 製 マイテックッスシリ-ズNY-T-36);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아미노기를 갖는(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물, 폴리에틸렌의 아미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물, 그 수첨스티렌디엔 공중합체의 아미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물, 폴리프로필렌의 아미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응성 폴리올레핀은 분자 중에 다른 관능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반응성 폴리올레핀은 복수의 반응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어도 좋다.
반응성 폴리올레핀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 화합물은 반응성 폴리올레핀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1 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성 폴리올레핀 및 이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다관능 화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부가체 등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알킬디올, 이가 알코올, 폴리에틸렌폴리올, 다가카르본산, 다가에폭시기 함유 화합물, 다가알칼아민 및 이들 조성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가교 반응의 조합으로서,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아미노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히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아미노기, 산무수물기 및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및 아미노기, 산무수물기 및 히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히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아미노기 등의 조합을 예로 들 수 있다.
가교 반응에 사용하는 관능기의 조합은 전사 도공에 사용되는 점착제에 함유되는 반응성 관능기를 고려하여 적의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점착층을 이형층 상에 전사도공할 때, 이형층에 함유되는 미반응 다관능성기가 점착층에 함유되는 반응성 관능기와 반응하여 박리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반응을 될 수 있는 한 제어하도록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반응이 진행한 결과, 점착층 및 이형층의 상호작용이 이형 기재와 이형층의 접착력을 상회하면 점착제의 박리 과정에서 이형층이 점착제측에 이행하고, 점착층의 성능도 손상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에 함유되는 반응성 관능기와의 반응성이 낮은 관능기를 이용하여 이형층을 가교해 두면 이와 같은 반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미반응 관능기가 가능한 한 이형층에 잔존하지 않도록 이형제 중의 반응성 폴리올레핀이나 다관능성 화합물의 관능기량을 조절하여 두는 것도 유효하다. 특히, 반응성 폴리올레핀 및 다관능성 화합물에 함유되는 반응성기의 양은 반응에 의해 완전히 소비되도록 최적화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른 관능기 간의 반응에 있어서 각각의 관능기수를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공 등의 과정에서 관능기가 실활(失活) 하는 경우나, 이형 기재 표면에서의 반응에 의해 관능기가 소비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적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또한, 가교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의 촉매 등을 이용하는 것도 유효하지만, 전자 부품용으로 제공하는 경우는 금속 원소 또는 할로겐 원소를 함유하지 않는 촉매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체를 구성하는 성분의 종류 또는 양을 최적화함으로써 이형 시트에서 점착층으로 성분이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점착층을 이형 시트로부터 간편,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형층 중에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은 2종 이상의 다른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어도 좋다. 이형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는 결정성을 갖는 올레핀엘라스토머 및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노르보넨 등의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그 수첨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그 수첨한 스티렌 이소프렌 공중합체 등을 함유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이형성이 특히 우수한 이형 시트를 수득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을 이용하는 경우는 지글러 나타 촉매, 메탈로센 촉매 등의 천이(遷移) 금속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된 것을 사용하면, 이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이형 시트를 수득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구체적으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예로 들 수 있다.
폴리프릴로필렌을 이용하는 경우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로 톨루엔에서 상온에서 가용인 분자량 10,000 이상의 중합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94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92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의 밀도는 통상 0.86g/㎤ 이상이다.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의 밀도가 0.94g/㎤을 초과하면 충분한 이형성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형층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안티 블록킹제, 파라핀, 파라핀 왁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형 기재상에 이형층을 설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핫멜트(ホットメルト)법, 도포법, 공압출법 등 다양한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도포법의 경우에는 原崎勇次 著「코팅방법」(진서점, 1979년 발행)으로 표시되는 리버스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롯드 코터, 에어독타 코터 또는 이들 이외의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이형 기재 필름 제조 공정 외에서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 필름 제조 공정 내에서 도포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도포법의 경우, 통상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제를 유기 용제에 용해하여 이형제 용액을 얻고, 상기 이형제 용액을 이형 기재에 도포한 후, 가교반응에 제공하여 이형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교 반응은 이형 기재의 내열 온도 이하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용융 상태에서 이형을 이형 기재상에 층 압출하고 나서 그 후 가교시켜도 좋다. 이형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0.03㎛ 미만이면 이형 기재 표면의 요철을 이형층이 피복되지 않고 박리력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5㎛ 이상이면 열전도 관점에서 가교 속도가 저하하고, 결과적으로 이형 기재와 이형층의 밀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형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1㎛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이형 시트를 구성하는 이형층은 2액형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한 박리력이 10~300nM/cm이다. 박리력은 10~200nM/c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150nM/c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력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평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 발명은 상기 이형 시트의 이형층 상에 점착층을 구비한 점착체에 관련된다.
이하, 점착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착체는 이형 시트, 상기 이형 시트의 이형층에 인접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에 인접하는 점착 기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점착 기재는 필름상 또는 시트상의 점자 부품 등, 금속, 플라스틱, 고무 제품 등으로 점착제가 점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점착 기재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나 폴리메틸펜텐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박(箔), 그라신(グラシン)지, 상질(上質)지, 코트지, 함침(含浸)지, 합성지 등의 종이 등으로 구성된 기재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점착 기재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다.
상기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고무계, 아크릴계 등의 각종 점착제가 이용된다. 전자 기기용 점착 테이프에는 낮은 아웃 가스성이나 접착의 신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아크릴게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용액 중합법, 에멀션(エマルション) 중합법, 자외선 중합법 등의 관용 중합법에 의해 수득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필요에 따라 가교제, 점착 부여제, 경화제, 노화방지제, 충진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부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메타)아크릴레이트(바람직하게는, 알킬 부분의 탄소수가 2~12 정도(특히 4~10 정도)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필요에 따라 공중합 가능한 개질용 모노머(예를 들어,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아미드, 치환 아크릴 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초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등)을 첨가한 모노머 혼합물의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점착층의 두께는 점착성 등을 고려하여 적의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100㎛, 바람직하게는 20~50㎛ 정도이다.
점착제 용액의 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톨루엔, 알코올, 초산에틸, 메틸에틸케톤, 등의 일반적 용매나 이들의 혼합 용매, 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점착제액은 상술한 용매에 점착제를 첨가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점착제액의 고형분 농도는 일반적으로 10~90중량% 정도이다.
이형층 상에 점착층을 설치할 때에는 이형 시트의 이형층 상에 직접 점착제를 함유하는 용액을 도포, 건조한 다음 점착 기재를 붙이는 전사 도공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층은 상기 점착제를 점착 기재 상에 관용의 도포법을 이용하여 도포, 건조한 다음 점착층 및 이형 시트의 이형층을 붙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이형층 및 점착 기재 상에 점착층을 설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포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原崎勇次 著 진서점 1979년 발행「코팅방법」으로 표시되는 리버스롤코터, 그라비아 코터, 롯드 코터, 에어독타 코터 또는 이들 이외의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점착 기재 제조공정 외에서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 점착 기재 제조 공정 내에서 도포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체의 제조 공정에서, 점착층은 이형 시트의 이형층 상에 점착제액을 전사 도공함으로써 구비할 수 있다. 사용할 때 이렇게 하여 수득한 점착층 상에 점착 기재를 붙여도 좋다. 또는 이형층 상에 점착층을 설치한 후, 감아서 이형 기재와 점착 기재를 겸용시켜 점착체를 수득해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점착체는 점착층 및 이형층의 계면에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수단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의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형 기재>
이형 기재 1: 두께 40㎛의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이형 기재 2: 두께 40㎛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비반응성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 제조예 1에 나타낸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2: 제조예 2에 나타낸다.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1: 제조예 3에 나타낸다.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2: 제조예 4에 나타낸다.
<반응성 폴리올레핀>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제조예 5에 나타낸다.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제조예 6에 나타낸다.
미쯔비시 가가꾸 (株) 製「폴리테르 H」(OH기를 갖는 폴리부타디엔의 수소화물, 수평균 분자량 2700, NMR로 구한 OH기량 1.5중량%, 밀도 0.85g/㎤)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미쯔비시 가가꾸 (株) 製 지방족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트리올 부가체「마이텍스 718 A」(76중량% 초산부틸용액)
<점착 기재>
미쯔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株) 製 폴리에스테르 필름「다이아호일T100-38」(두께 38㎛)
<2액형 아크릴계 점착제액>
綜硏化學 (株) 製「SK다인1604N」(아크릴계에스테르 공중합 화합물)(CAS. No. 25119-83-9), 톨루엔과 초산에틸(35:25)의 혼합 용액, 점착제가 고형분으로서 40% 용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綜硏化學 (株) 製「경화제-L45」(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체 45%, 톨루엔 40%, 초산에틸 15%)
(제조예 1)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의 제조:
1L의 오토클레이브를 에틸렌 및 프로필렌 혼합 가스(분압비 8/2)로 치환하고, 탈기, 건조한 톨루엔 450mL를 투입하였다. 계내에 메틸알목산톨루엔(メチルアルモキサントルエン)용액(Witco社 製)를 Al분으로서 100mmol 주입하고 70℃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메탈로센 촉매(디메틸실릴렌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리드)를 0.1mmol 부가하여 상기 에틸렌 및 프로필렌 혼합 가스로 0.7MPa로 가압하고, 1시간 중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1H-NMR로 구한 생 성물의 조성 중량비는 에틸렌/프로필렌 74/26, MFR은 2.0g/10분이었다. 밀도는 0.86g/㎤이었다.
(제조예 2)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2의 제조:
1L의 오토클레이브를 에틸렌 및 프로필렌 혼합 가스(분압비 6/4)로 치환하고, 탈기, 건조한 톨루엔 450mL를 투입하였다. 계내에 메틸알목산톨루엔용액(Witco社 製)를 Al분으로서 100mmol 주입하고 70℃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메탈로센 촉매(디메틸실릴렌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리드)를 0.1mmol 부가하여 상기 에틸렌 및 프로필렌 혼합 가스로 0.7MPa로 가압하고, 1시간 중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1H-NMR로 구한 생성물의 조성 중량비는 에틸렌/프로필렌 51/49, MFR은 2.0g/10분이었다. 밀도는 86g/㎤이었다.
(제조예 3)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1의 제조:
1L의 오토클레이브를 에틸렌 가스로 치환하고, 탈기, 건조한 톨루엔 450mL, 동일하게 탈기, 건조한 1-헥센 25g을 투입하였다. 계내에 메틸알목산톨루엔용액(Witco社 製)를 Al분으로서 100mmol 주입하고 70℃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메탈로센 촉매(디메틸실릴렌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리드)를 0.1mmol 부가하여 에틸렌 가스로 0.5MPa로 가압하고, 2시간 중합하여 에틸렌헥센 랜덤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1H-NMR로 구한 생성물의 조성 중량비는 에틸렌/헥센 76/24, MFR은 3.5g/10분이었다.
(제조예 4)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2의 제조:
1L의 오토클레이브를 에틸렌 가스로 치환하고, 탈기, 건조한 톨루엔 450mL, 동일하게 탈기, 건조한 1-헥센 16g을 투입하였다. 계내에 메틸알목산톨루엔용액(Witco社 製)를 Al분으로서 100mmol 주입하고 70℃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메탈로센 촉매(디메틸실릴렌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리드)를 0.1mmol 부가하여 에틸렌 가스로 0.5MPa로 가압하고, 2시간 중합하여 에틸렌헥센 랜덤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1H-NMR로 구한 생성물의 조성 중량비는 에틸렌/헥센 85/15, MFR은 17g/10분이었다.
(제조예 5)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을 100중량부,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를 30중량부, 디크밀퍼옥사이드(ジクミルパ-オキサイド)를 6.6중량부 칭취(秤取)하여 오르토디클로르벤젠에 용해하여 2% 용액으로 만들었다. 이 용액을 150℃에서 7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에 넣어 수득한 침전물을 여과, 건조하여 변성 폴리올레핀을 수득하였다. NMR에 의해 구한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0.32중량%이고, OH기 함량은 0.04중량%이었다. 밀도는 0.86g/㎤이었다.
(제조예 6)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에틸렌헥센 공중합체의 제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수득한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1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변성 폴리올레핀 을 수득하였다. NMR에 의해 구한 OH기 양은 0.04중량%이고, 밀도는 0.88g/㎤이었다.
또, 본 명세서에서 관능기량은 1H-NMR 스펙트럼에 의해 측정하였다. 1H-NMR 스펙트럼은 日本電子 製 GSX4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는 오르토디클로르벤젠에 용해하여 2~10중량% 농도의 용액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공명 주파수 400MHz, 펄스각 45°, 펄스 간격 20초, 적산 회수 3000~4000회, 관측 범위 1~15ppm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75중량부)와 제조예 3에서 수득한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1(25중량부)를 블랜드하여 밀도 0.865g/㎤의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을 조제하였다. 비반응성 폴리올레핀 99.5중량부, 폴리올레핀폴리올을 0.5중량부 혼합하고, 톨루엔과 함께 가열함으로써 2% 농도의 톨루엔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성 폴리올레핀에 함유된 OH에 대하여 1.1당량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되도록 첨가하고, 또 비반응성 폴리올레핀 및 반응성 폴리올레핀의 합계 고형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의 1, 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을 첨가하여 이형제액을 수득하였다. 이형제액을 A4판 크기의 이형기재 1 상에 바코터(バ-コ-タ-)을 사용하여 도공하고, 150℃로 가열된 드라이어(ドライヤ)(佐竹化學機器工業 (株) 製「セ-フベンドライヤN50-S5」) 내에서 3분간 건조함으로써 두께 0.2㎛의 이형층을 갖는 이형 시트를 수득하였다.
2액형 아크릴계 점착제액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5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액을 점착제액의 두께가 100㎛, 폭 8cm가 되도록 어플리케이터(アプリケ-タ-)(太佑幾材 (株) 製, 100㎛용)을 이용하여 이형 시트의 이형층 상에 23℃에서 도포하였다. 도포 후 2초 경과한 다음 100℃로 가열된 드라이어(ドライヤ)(佐竹化學機器工業 (株) 製「セ-フベンドライヤN50-S5」) 내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 취출하여 실온에서 냉각하였다. 점착층의 두께는 40㎛이었다. 실온까지 냉각되고 나서 2분 후에 점착 기재를 점착층 상에 두고, 그 위에 2kg의 롤라(ロ-ラ-)를 30cm/분의 속도로 한번 왕복시킴으로써 점착층 및 점착 기재를 압착시켰다. 그에 따라 이형 시트 상에 점착 시트가 구비된 점착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25중량부)와 제조예 4에서 수득한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2(75중량부)를 블랜드하여 밀도 0.89g/㎤의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을 조제하였다. 비반응성 폴리올레핀 99중량부, 폴리올레핀폴리올을 1중량부를 혼합하고, 톨루엔과 함께 가열함으로써 2% 농도의 톨루엔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성 폴리올레핀에 함유된 OH에 대하여 동일한 당량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되도록 첨가하고, 또 비반응성 폴리올레핀 및 반응성 폴리올레핀의 합계 고형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의 1, 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을 첨가하여 이형제액을 수득하였다. 이형제액을 A4판 크기의 이형기재 1 상에 바코터(バ-コ-タ-)을 사용하여 도공하고, 150℃로 가열된 드라이어(ドライヤ)(佐竹化學機器工業 (株) 製「セ-フベンドライヤN50-S5」) 내에서 3분간 건 조함으로써 두께 0.2㎛의 이형층을 갖는 이형 시트를 수득하였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점착층을 형성하고, 점착 기재를 붙여서 점착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50중량부) 및 제조예 6에서 수득한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에틸렌헥센 공중합체(50중량부)를 블랜드하여 밀도 0.87g/㎤의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조제하였다. 이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톨루엔과 함께 가열하여 2% 농도의 톨루엔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성 폴리올레핀에 함유된 OH에 대하여 동일한 당량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되도록 첨가하고, 또 반응성 폴리올레핀의 고형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의 1, 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을 첨가하여 이형제액을 수득하였다. 이형제액을 A4판 크기의 이형기재 1 상에 바코터(バ-コ-タ-)을 사용하여 도공하고, 150℃로 가열된 드라이어(ドライヤ)(佐竹化學機器工業 (株) 製「セ-フベンドライヤN50-S5」) 내에서 3분간 건조함으로써 두께 0.3㎛의 이형층을 갖는 이형 시트를 수득하였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점차층을 형성하고, 점착 기재를 붙여서 점착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이형 기재 1을 이형 기재 2로 바꾸고, 이형층을 형성할 때 건조 온도를 10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형 시트를 수 득하였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점착층을 형성하고, 점착 기재를 붙여서 점착체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2(74중량부) 및 제조예 3에서 수득한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1(26중량부)를 블랜드하여 밀도 0.865g/㎤의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을 조제하였다. 이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을 2% 농도가 되도록 톨루엔에 용해하여 이형제를 수득하였다. 이형제액을 A4판 크기의 이형기재 1 상에 바코터(バ-コ-タ-)을 사용하여 도공하고, 150℃로 가열된 드라이어(ドライヤ)(佐竹化學機器工業 (株) 製「セ-フベンドライヤN50-S5」) 내에서 3분간 건조함으로써 두께 0.2㎛의 이형층을 갖는 이형 시트를 수득하였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점착층을 형성하고, 점착 기재를 붙여서 점착체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폴리비닐알코올을 장쇄알킬이소시아네이트로 변성하여 수득한 비실리콘계 이형제(一方社油脂 製「피로일 1050」)을 A4판 크기의 이형기재 1 상에 바코터(バ-コ-タ-)을 사용하여 도공하고, 150℃로 가열된 드라이어(ドライヤ)(佐竹化學機器工業 (株) 製「セ-フベンドライヤN50-S5」) 내에서 3분간 건조함으로써 두께 1㎛의 이형층을 갖는 이형 시트를 수득하였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점착층을 형성하고, 점착 기재를 붙여서 점착체를 수득하였다.
(시험예)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박리 시트 및 점착체를 실온(23℃)에서 72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이하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상태 박리력]
이형 시트를 폭 25mm, 길이 150mm로 절단하고, JIS Z-0237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즉, 폭 25mm의 점착 테이프(日東電工(株) 製「닛토 테이프 No 502)의 점착층측을 이형 시트의 이형층 상에 붙이고, 무게 2kg의 고무 롤라를 1회 왕복시켜 압착하였다. 그 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이형 시트를 고정하고 25℃에서 300mm/분의 속도로 점착 테이프를 180- 방향으로 박리할 때 요구되는 힘을 측정하여 시트 폭으로 규격화하였다. 8개의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측정을 수행하여 그 평균값을 구해 상태 박리력으로 하였다.
[2액형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한 박리력]
점착 시트를 폭 25mm, 길이 150mm로 절단하고, JIS Z-0237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즉,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인장시험기에 인장 속도 300mm/분으로 180- 방향으로 이형 기재를 박리하고, 박리가 안정한 영역에서 평균 박리 하중을 측정하였다. 즉정한 평균 박리 하중을 점착 테이프 폭으로 나눈 값을 박리력으로 하였다. 8개의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측정을 수행하고, 그 평균값을 구해 2액형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한 박리력으로 하였다.
[이형층 및 이형 기재의 밀착성]
이형 시트의 이형층 상에 폭 25mm, 길이 60mm로 절단한 셀로판 점착 테이프( コクヨ製「品番T-SS24N」의 점착층 측을 붙여서, 두께 2kg의 롤라를 1회 왕복시켜 밀착시킨 후, 실온에서 72시간 방치하여 안정화하였다. 이형 시트를 고정하고, 점착 테이프를 300mm/분으로 180- 방향으로 박리한 후에 이형 기재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형층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 : 이형층이 완전하게 기재에 잔류하고 있다.
△ : 드물게 이형층이 박리되어 있다.
× : 이형층이 거의 완전하게 이형층에서 박리되고, 점착 테이프의 점착층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2액형 아크릴계 수지에 대한 박리력(mN/cm)) 상태 박리력 (mN/cm) 이형층 및 이형 기재의 밀착성
실시예 1 150 55
실시예 2 170 60
실시예 3 150 100
실시예 4 170 80
비교예 1 350 170 ×
비교예 2 3200 105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 시트는 우수한 상태 박리력 및 기재 밀착성을 갖고 있고, 상태 및 전사 도공 후 어느 경우에도 낮은 박리력을 갖고 있다. 한편, 비교예 1, 2의 이형 시트는 전사 도공 후의 박리력이 높고, 이형층 및 이형 기재의 밀착성도 불량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열성, 내용제성, 이형층과 이형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 수하고, 점착층을 이형층에 직접 전사 도공 할 수 있는 이형 시트 및 점착체가 제공된다.

Claims (12)

  1. 이형 기재 및 그 이형 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구비된 이형층으로 이루어진 이형시트로서, 상기 이형층이 가선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층이고, 또 2액형 아크릴계 점착제로부터 수득된 점착층에 대하여 박리력이 10~300mN/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가 반응성 폴리올레핀, 상기 반응성 폴리올레핀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1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화합물 및 밀도 0.94g/㎤ 이하의 비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올레핀이 상기 다관능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0.01~5중량%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가 다관능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0.01~5중량% 갖고 있고, 밀도가 0.94g/㎤ 이하인 비반응성 폴리올레핀 및 상기 반응성 폴리올레핀과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1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폴리올레핀의 관 능기 및 상기 다관능 화합물의 관능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시기, 히드록시기, 산무수물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상기 가교 반응이 이러한 관능기 간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의 두께가 0.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이 반응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형제를 유기 용제에 용해시켜 이형제 용액을 수득하고 상기 이형제 용액을 이형 기재상에 도포한 후, 가교반응에 제공하여 수득되는 이형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기재가 수지 필름 또는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또는 이형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기재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기재가 폴리올레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형 시트의 이형층 상에 점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이 점착제를 함유하는 용액을 전사도공하여 수득된 점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체.
KR1020067004176A 2006-02-28 2003-09-09 이형 시트 및 점착체 KR20060085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4176A KR20060085331A (ko) 2006-02-28 2003-09-09 이형 시트 및 점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4176A KR20060085331A (ko) 2006-02-28 2003-09-09 이형 시트 및 점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31A true KR20060085331A (ko) 2006-07-26

Family

ID=3717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176A KR20060085331A (ko) 2006-02-28 2003-09-09 이형 시트 및 점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53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206A (ko) * 2012-03-19 2013-09-27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전기방사용 이형지 및 이를 이용한 나노웹
KR101447311B1 (ko) * 2007-09-20 2014-10-06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시트, 터치패널용 상부전극 및 화상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11B1 (ko) * 2007-09-20 2014-10-06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시트, 터치패널용 상부전극 및 화상표시장치
KR20130106206A (ko) * 2012-03-19 2013-09-27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전기방사용 이형지 및 이를 이용한 나노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8006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made therefrom, and sealants, reinforcing sheets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for printing produced therefrom
EP0527505B1 (en) Stripp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dhesive material using the same
JP5546973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該粘着剤を用いた光学部材
JP5323666B2 (ja) 剥離剤、離型材および粘着テープ
KR101574373B1 (ko) 점착 시트
TWI617641B (zh) 感溫性黏著劑
KR101370766B1 (ko) 열 접착 시트
JP5463228B2 (ja) 剥離剤、離型材および粘着テープ
JPH01138284A (ja) 両面粘着テープ及びその使用方法
CN100368498C (zh) 用于半导体晶片加工的压敏粘合片
US20060292325A1 (en) Release sheet and adhesive body
CN115404023A (zh) 层叠片以及剥离薄膜
JP4339645B2 (ja) 離型シート及び粘着体
KR20150112871A (ko) 감온성 점착제
WO2011043214A1 (ja) 剥離剤、離型材、及び粘着テープ
WO2016114241A1 (ja) 両面粘着シート
JP5514067B2 (ja) 剥離剤、離型材および粘着テープ
EP1566407A1 (en) Release agent, laye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and laye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O2012053503A1 (ja) 剥離剤、離型材および粘着テープ
JP2008222953A (ja) 粘着シート
WO2012105338A1 (ja) 離型材
JP2008024865A (ja) 粘着フィルム、粘着シール及びシール絵本
JP2004346213A (ja) 離型剤および粘着性積層テープ
WO2014010733A1 (ja) 光反応物層含有シートおよび光反応物層含有シートの製造方法
TWI740022B (zh) 感溫性黏著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