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381A -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및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및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381A
KR20060084381A KR1020060005351A KR20060005351A KR20060084381A KR 20060084381 A KR20060084381 A KR 20060084381A KR 1020060005351 A KR1020060005351 A KR 1020060005351A KR 20060005351 A KR20060005351 A KR 20060005351A KR 20060084381 A KR20060084381 A KR 2006008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apacitor
reference voltage
charging
switch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0134B1 (ko
Inventor
요시아끼 요네자와
다다오 센리우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using analogue/digital converters of the type with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into frequency and measuring of this frequenc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6Frequency or rate modulation, i.e. PFM or P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8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according to amplitu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Transmitt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주기적인 디지털 노이즈가 외란 요인으로 되는 경우에도, 양호한 전압-주파수 변환 정밀도를 유지한다. 컨덴서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가변 전류원과, 상기 컨덴서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상기 가변 전류원의 전류량을,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의 차전압에 따른 전류량으로 조정하는 전류량 조정부와, 상기 컨덴서의 일단측에 발생하는 충전 전압과 기준 전압과의 대소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충전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을 초과했을 때의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컨덴서의 충전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갖고, 상기 비교부로부터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의 차전압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얻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로서, 상기 기준 전압을 변동시키는 기준 전압 변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노이즈, 컨덴서, 스위치 소자, 타이밍 제어 회로, 가변 전류원

Description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및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기준 전압 발생 방법{VOLTAGE-FREQUENCY CONVERTER AND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를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3은 종래의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를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
도 4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적용예인 배터리 팩을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
도 5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6은 종래의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7은 배터리 팩이 적용되는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오차 증폭기
104 : 가변 전류원
108 : 콤퍼레이터
110 : 컨덴서
112 : 스위치 소자
114 : 제어 로직 회로
302 : 기준 전압 변동부
304 : 제1 기준 전압원
306 : 제2 기준 전압원
308 : 제1 컨덴서
310 : 제2 컨덴서
312 : 제1 스위치 소자
314 : 제2 스위치 소자
316 : 제3 스위치 소자
318 : 타이밍 제어 회로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2-107428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차 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잔량 전압을 검출하기 위해 적합한,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기준 전압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구성]
(전체 구성)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일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 한다. 도 3은, 종래의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는, 오차 증폭기(102), 가변 전류원(104), 기준 전압원(106), 콤퍼레이터(108), 컨덴서(110), 스위치 소자(112), 제어 로직 회로(114)를 갖는 것이다.
오차 증폭기(102)는, 전압 VIN(+) 및 전압 VIN(-)가 인가되고, 해당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 전위(오차)에 따른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것이다. 즉, 오차 증폭기(102)는, 해당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가 클수록, 큰 출력 전압을 발생한다.
가변 전류원(104)으로부터 발생하는 전류량은, 오차 증폭기(102)의 출력 전압에 따라서 제어된다. 즉, 가변 전류원(104)은, 오차 증폭기(102)의 출력 전압이 클수록, 큰 전류를 발생한다. 가변 전류원(104) 및 컨덴서(110)는, 전원 VDD와 접지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있어, 컨덴서(110)는, 가변 전류원(104)으로부터 발생하는 전류를 충전하게 된다. 즉, 컨덴서(110)는, 가변 전류원(104)으로부터 발생하는 전류가 클수록, 급속한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한편, 가변 전류원(104)으로부터 발생하는 전류가 작을수록, 저속의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콤퍼레이터(108)는, 컨덴서(110)의 비접지측의 일단에 나타나는 충전 전압과, 기준 전압원(106)으로부터 발생하는 일정한 기준 전압 VREF를 비교하는 것이다. 도 3에서는, 콤퍼레이터(108)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인가되고, 콤퍼레이터(108)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압 VREF가 인 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콤퍼레이터(108)는,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 레벨을 출력하고,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를 초과한 경우에는 하이 레벨을 출력한다. 즉, 콤퍼레이터(108)는,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스위치 소자(112)는, 컨덴서(110)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소자(112)로서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나 MOSFET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어 로직 회로(114)는, 콤퍼레이터(108)의 출력과 접속되어 있어, 스위치 소자(112)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것이다. 즉, 제어 로직 회로(114)는,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되고나서의 일정 기간, 스위치 소자(112)를 온한다. 이 일정 기간, 컨덴서(110)는, 스위치 소자(112)를 통하여 방전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종래의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동작]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에서, 컨덴서(110)의 일단에 나타나는 충전 전압과,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또한,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상승하는 정도(경사)는, 가변 전류원(10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상이하다. 즉,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상승할 때의 경사는, 가변 전류원(10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작아질수록, 파선→실선→일점쇄선으로 완만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 주파수 신호 A, B, C는, 파선, 실선, 일점쇄선의 충전 전압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발생하는 신호이다.
우선,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이 VA인 경우, 가변 전류원(104)은 전류 IA를 발생하고, 컨덴서(110)는 해당 전류 IA가 공급되어 파선과 같이 충전을 행한다. 또한,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보다 작은 상태인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로우 레벨이다. 그 후,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를 초과한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하이 레벨로 된다. 제어 로직 회로(114)는,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되고나서의 일정 기간, 스위치 소자(112)를 온한다. 즉, 컨덴서(110)를 위한 방전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컨덴서(110)는 스위치 소자(112)를 통하여 파선과 같이 즉시 방전을 행한다. 또한, 제어 로직 회로(114)가 스위치 소자(112)를 온하는 일정 기간은, 컨덴서(110)가 방전을 완료하기 위해 요하는 기간으로서, 컨덴서(110)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제어 로직 회로(114) 내에 미리 정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보다 작아진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다시 로우 레벨로 된다. 따라서, 콤퍼레이터(108)는, 파선의 충전 전압에 대하여 주파수 신호 A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이 VB(<VA)로 된 경우, 가변 전류원(104)은 전류 IB(<IA)를 발생하고, 컨덴서(110)는 해당 전류 IB가 공급되어 실선과 같이 충전을 행한다. 또한,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보다 작은 상태인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로우 레벨이다. 그 후,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를 초과한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하 이 레벨로 된다. 제어 로직 회로(114)는,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되고나서의 일정 기간, 스위치 소자(112)를 온한다. 따라서, 컨덴서(110)는 스위치 소자(112)를 통하여 실선과 같이 즉시 방전을 행한다. 그리고,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보다 작아진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다시 로우 레벨로 된다. 따라서, 콤퍼레이터(108)는, 실선의 충전 전압에 대하여 주파수 신호 B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이 VC(<VB)로 된 경우, 가변 전류원(104)은 전류 IC(<IB)를 발생하고, 컨덴서(110)는 해당 전류 IC가 공급되어 일점쇄선과 같이 충전을 행한다. 또한,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보다 작은 상태인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로우 레벨이다. 그 후,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를 초과한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하이 레벨로 된다. 제어 로직 회로(114)는,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되고나서의 일정 기간, 스위치 소자(112)를 온한다. 따라서, 컨덴서(110)는 스위치 소자(112)를 통하여 일점쇄선과 같이 즉시 방전을 행한다. 그리고,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보다 작아진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다시 로우 레벨로 된다. 따라서, 콤퍼레이터(108)는, 일점쇄선의 충전 전압에 대하여 주파수 신호 C를 출력한다.
이상에 의해,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는,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을, 그 차전압에 대응하는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적용예]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는, 예를 들면 이차 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잔량 전압 등을 구하기 위한 장치로서 채용할 수 있다.
도 4는, 이차 전지를 내장하는 배터리 팩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배터리 팩(200)은, 이차 전지(201), 검출 저항(202), 마이크로컴퓨터(203)(또는 로직 집적 회로로도 됨) 등을 내장하고 있다. 이차 전지(201) 및 검출 저항(202)은, 이차 전지(201)를 전원으로 하여 이용하는 전자 기기와 전기 접속되는 +단자와 -단자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이차 전지(201)가 충전 또는 방전을 행함으로써, 검출 저항(202)은 그 양단에 전압 VIN(+) 및 전압 VIN(-)를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배터리 팩(200)이 전자 기기에 장착된 경우, 이차 전지(201)는 해당 전자 기기에 전원을 부여하기 위해서 방전을 행하여, 검출 저항(202)의 a 방향(지면 상 방향)을 향하여 방전 전류가 흐른다. 즉, 이차 전지(201)가 방전을 행하는 경우, 전압 VIN(+)는 전압 VIN(-)보다 낮아진다. 또한, 이차 전지(201)의 방전량이 적을수록,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은 커진다. 한편, 배터리 팩(200)이 충전기(도시 생략)에 장착된 경우, 이차 전지(201)는 충전을 행하여, 검출 저항(202)의 b 방향(지면 하방향)을 향하여 충전 전류가 흐른다. 즉, 이차 전지(201)가 충전을 행하는 경우, 전압 VIN(+)는 전압 VIN(-)보다 높아진다. 또한, 이차 전지(201)의 충전량이 많을수록,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은 커진다.
상기한 전압 VIN(+) 및 전압 VIN(-)는, 이차 전지(201)가 방전을 행하고 있을 때의 잔량 전압이나, 이차 전지(201)가 충전을 행하고 있을 때의 충전 전압을 구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전압 정보로서, 마이크로컴퓨터(203)에 공급된다. 마이크로컴퓨터(203)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03)는,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대소와,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을 고려한 주파수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03)는, 얻어진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적절한 프로그램 처리를 실행하고, 이차 전지(201)가 전자 기기에 장착되어 있을 때의 잔량 전압이나 해당 잔량 전압의 사용 가능 시간, 충전 중의 충전 전압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또한, 도 5에서, 횡축은 오차 증폭기(102)에 입력되는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V]을 나타내고, 종축은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Hz]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과 주파수 신호는, 이상적으로는 실선과 같이 비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마이크로컴퓨터(203)(또는 로직 집적 회로)는, 자체 또는 다른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연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경우,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203)에 내장되어 동작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 내의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인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와, 마이크로컴퓨터(203)에서 사용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가 소정의 관계를 갖는 경우, 전자의 주파수 신호는 후자의 클럭 신호로부터의 간섭(디지털 노이즈)을 받는 것으로 된다. 상기한 소정의 관계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의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가 후자의 클럭 신호의 주파수의 정수배로 되는 경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것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가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에 따라서 일의적인 일정 주파수로 되는 것에 기인한다. 전자의 주파수 신호가 후자의 클럭 신호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경우, 콤퍼레이터(108)가 출력하는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의 변화에 응답하지 않고 일정하게 되게 된다. 즉,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는, 클럭 신호로부터의 간섭을 받음으로써, 주파수 신호의 변화가 억제되는 불감대를 갖게 되는 것으로 된다. 그 결과,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의 실제의 입출력 특성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래 있어야 할 실선의 입출력 특성으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가 클럭 신호와 간섭하는 문제는, 해당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가 마이크로컴퓨터(203)나 로직 집적 회로 등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와, 소정 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이용하는 회로 등(집적 회로, 디스크리트 회로)이 각각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클럭 신호가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에 대하여 외란 요인으로 되는 설계 환경이면, 상기한 간섭 문제는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100)의 입출력 특성이 도 5의 일점쇄선과 같이 된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03)는, 예를 들면 배터리 팩(200)이 전자 기기에 장착된 경우의 이차 전지(201)의 잔량 전압으로서, 본래의 잔량 전압보다도 많은 잔 량 전압을 구하게 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03)가 이차 전지(201)의 잔량 전압을 전자 기기 내의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시켰다고 하여도, 이차 전지(201)의 잔량 전압이 마치 충분히 잔존하고 있는 것 같은 표시 상태로부터, 이차 전지(201)의 잔량 전압이 갑자기 제로로 되어 전자 기기가 셧 다운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에게 많은 폐를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기적인 디지털 노이즈가 외란 요인으로 되는 경우에도, 양호한 전압-주파수 변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은, 컨덴서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가변 전류원과, 상기 컨덴서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상기 가변 전류원의 전류량을,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의 전위차에 따른 전류량으로 조정하는 전류량 조정부와, 상기 컨덴서의 일단측에 발생하는 충전 전압과 기준 전압과의 대소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충전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을 초과했을 때의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컨덴서의 충전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갖고, 상기 비교부로부터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의 차전압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얻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로서, 상기 기준 전압을 변동시키는 기준 전압 변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덴서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가변 전류원과, 상기 컨덴서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상기 가변 전류원의 전류량을,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의 전위차에 따른 전류량으로 조정하는 전류량 조정부와, 상기 컨덴서의 일단측에 발생하는 충전 전압과 기준 전압과의 대소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충전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을 초과했을 때의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컨덴서의 충전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갖고, 상기 비교부로부터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의 차전압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얻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기준 전압 발생 방법으로서, 상기 기준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전압의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형태>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구성]
(전체 구성)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일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이다. 또한, 도 1의 구성 중에서 도 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기록함과 함께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는, 오차 증폭기(102)(전류량 조정부), 가변 전류원(104), 기준 전압 변동부(302), 콤퍼레이터(108)(비교부), 컨덴서(110), 스위치 소자(112), 제어 로직 회로(114)를 갖는 것이다. 도 1의 구성이 도 3의 구성과 상이한 것은, 일정한 기준 전압 VREF를 발생하는 기준 전압원(106)대신에, 일정 주기마다 변동을 반복하는 기준 전압 VREF'를 발생하는 기준 전압 변 동부(302)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스위치 소자(112) 및 제어 로직 회로(114)는 본 발명의 방전부에 상당한다.
콤퍼레이터(108)는, 컨덴서(110)의 비접지측의 일단에 나타나는 충전 전압과, 기준 전압 변동부(302)로부터 발생하는 소위 일정 주기마다 변동을 반복하는 기준 전압 VREF'를 비교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콤퍼레이터(108)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인가되고, 콤퍼레이터(108)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압 VREF'가 인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콤퍼레이터(108)는,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 레벨을 출력하고,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를 초과한 경우에는 하이 레벨을 출력한다. 즉, 콤퍼레이터(108)는,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과 기준 전압 VREF'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기준 전압 변동부의 구성)
기준 전압 변동부(302)는, 제1 기준 전압원(304), 제2 기준 전압원(306), 제1 컨덴서(308), 제2 컨덴서(310), 제1 스위치 소자(312)(TG1), 제2 스위치 소자(314)(TG2), 제3 스위치 소자(316)(TG3), 타이밍 제어 회로(318)를 갖는다. 여기서, 제1 기준 전압원(304)은 전압 V1을 발생하는 것이다. 제2 기준 전압원(306)은 전압 V2(<전압 V1)를 발생하는 것이다. 제1 컨덴서(308)의 용량값은 제2 컨덴서(310)의 용량값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1 스위치 소자(312)는, 전압 V1이 발생하는 제1 기준 전압원(304)의 비접지측의 일단과, 충방전 전압이 발생하는 제2 컨덴서(310)의 비접지측의 일단과의 사이에 접속된다. 제2 스위치 소자(314)는, 전압 V2가 발생하는 제2 기준 전압원(306)의 비접지측의 일단과, 제2 컨덴서(310)의 비접지측의 일단과의 사이에 접속된다. 제3 스위치 소자(316)는, 충방전 전압이 발생하는 제1 컨덴서(308)의 비접지측의 일단과, 제2 컨덴서(310)의 비접지측의 일단과의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1 컨덴서(308)의 비접지측의 일단에 발생하는 충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로서 콤퍼레이터(108)의 -단자로 인가되게 된다. 타이밍 제어 회로(318)는, 제1 컨덴서(308)의 일단에 발생하는 충방전 전압이 전압 V1 및 전압 V2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화하도록, 제1 스위치 소자(312), 제2 스위치 소자(314), 제3 스위치 소자(316)를 스위칭 제어하는 것이다. 특히, 타이밍 제어 회로(318)는, 마이크로컴퓨터(203)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 소자(312), 제2 스위치 소자(314), 제3 스위치 소자(316)를 각각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서 온 오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 로직이 미리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 회로(318)에 의한 타이밍 제어에 따라서, 제1 스위치 소자(312) 및 제2 스위치 소자(314)는 제1 주기 T1에서 상보적으로 온 오프하고, 제3 스위치 소자(316)는 제2 주기 T2(<제1 주기 Tl)에서 온 오프한다. 또한, 이들의 제1 내지 제3 스위치 소자(312, 314, 316)로서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나 MOSFET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소자(312) 및 제3 스위치 소자(316)는, 제1 컨덴서(308)의 일단에 나타나는 기준 전압 VREF'를 전압 V2측으로부터 전압 V1측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충전용 제1 스위치 회로로서 기능한다. 한편, 제2 스위치 소자(314) 및 제3 스위치 소자(316)는, 제1 컨덴서(308)의 일단에 나타나는 기준 전압 VREF'를 전압 V1측 으로부터 전압 V2측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방전용 제2 스위치 회로로서 기능한다.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동작]
(기준 전압 변동부의 동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기준 전압 변동부(302)가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기준 전압 VREF'를 발생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또한, 도 2에서, 제1 내지 제3 스위치 소자(312, 314, 316)를 나타내는 TG1 내지 TG3의 하이 레벨은, 제1 내지 제3 스위치 소자(312, 314, 316)의 온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한편, TG1 내지 TG3의 로우 레벨은, 제1 내지 제3 스위치 소자(312, 314, 316)의 오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기준 전압 변동부(302)의 정상 상태에서, 제1 스위치 소자(312)가 오프함과 함께 제2 스위치 소자(314)가 온한 경우, 제2 컨덴서(310)의 비접지측의 일단에 발생하는 전압은 높은 전압 V1로부터 낮은 전압 V2로 변화한다. 그 때문에, 제1 스위치 소자(312)가 오프 또한 제2 스위치 소자(314)가 온하고 있는 T1/2 기간에서, 제3 스위치 소자(316)가 제2 주기 T2로 반복하여 온할 때마다, 제1 컨덴서(308)의 충전 전압이 제2 컨덴서(310)의 용량값분씩 해당 제2 컨덴서(310)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컨덴서(308)의 비접지측의 일단에 발생하는 기준 전압 VREF'는, 제3 스위치 소자(316)가 온할 때마다, 전압 V1측으로부터 전압 V2측으로 계단 형상으로 하강하게 된다.
다음으로, 기준 전압 변동부(302)의 정상 상태에서, 제1 스위치 소자(312)가 온함과 함께 제2 스위치 소자(314)가 오프한 경우, 제2 컨덴서(310)의 비접지측의 일단에 발생하는 전압은 낮은 전압 V2로부터 높은 전압 V1로 변화한다. 그 때문에, 제1 스위치 소자(312)가 온 또한 제2 스위치 소자(314)가 오프하고 있는 T1/2 기간에서, 제3 스위치 소자(316)가 제2 주기 T2로 반복하여 온할 때마다, 제2 컨덴서(310)의 충전 전압이 해당 제2 컨덴서(310)의 용량값분씩 제1 컨덴서(308)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컨덴서(308)의 비접지측의 일단에 발생하는 기준 전압 VREF'는, 제3 스위치 소자(316)가 온할 때마다, 전압 V2측으로부터 전압 V1측으로 계단 형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타이밍 제어 회로(318)에 의한 제1 내지 제3 스위치 소자(312, 314, 316)의 스위치 제어에 따라서, 제1 컨덴서(308)의 비접지측의 일단으로부터는, 전압 V1 및 전압 V2 사이에서, 제1 주기 T1 단위로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는 기준 전압 VREF'가 발생하게 된다. 즉, 기준 전압 VREF'는 기준 전압 VREF와는 달리 일정값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주기 T1과 제2 주기 T2는 「T1=8*T2」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주기 T2는 제1 주기 T1에 비하여 더욱 짧은 주기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전압 V1 및 전압 V2 사이에서의 기준 전압 VREF'의 계단 형상으로 변화하는 각 기간은 도 2보다도 짧아져서, 해당 기준 전압 VREF'의 계단 형상으로 변화하는 각 양(각 레벨)은 도 2보다도 적어진다. 즉, 기준 전압 VREF'는, 도 2의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빈번하게 변동하게 된다.
(전체 동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상승할 때의 경사는, 가변 전류원(10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작아질수록, 완만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 가변 전류원(104)의 전류량은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에 따라서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즉,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에 따라서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것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이 대략 일정한 기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상승할 때의 경사는 대략 일정하다.
예를 들면,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이 VX인 경우, 가변 전류원(104)은 전류 IX를 발생하고, 컨덴서(110)는 해당 전류 IX가 공급되어 실선과 같이 충전을 행한다. 또한,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보다 작은 상태인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로우 레벨이다. 그 후,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를 초과한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하이 레벨로 된다. 제어 로직 회로(114)는,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되고나서의 일정 기간, 스위치 소자(112)를 온한다. 즉, 컨덴서(110)를 위한 방전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컨덴서(110)는 스위치 소자(112)를 통하여 즉시 실선과 같이 방전을 행한다. 또한, 제어 로직 회로(114)가 스위치 소자(112)를 온하는 일정 기간은, 컨덴서(110)가 방전을 완료하기 위해 요하는 기간으로서, 컨덴서(110)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제어 로직 회로(114) 내에 미리 정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컨덴서 (110)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보다 작아진 경우, 콤퍼레이터(108)의 출력은 다시 로우 레벨로 된다. 따라서, 콤퍼레이터(108)는, 도 2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전압 VREF'는 전압 V1 및 전압 V2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즉,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의 상승하는 기울기가 대략 일정한 기간이더라도, 해당 충전 전압의 비교 대상으로 되는 기준 전압 VREF'의 레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 대략 일정하게 되지 않고 변동되는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마이크로컴퓨터(203)나 로직 집적 회로에 내장한 경우에도,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가 변동되기 때문에,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가 클럭 신호 등의 주기적인 디지털 노이즈의 주파수와 일정한 관계(예를 들면 주파수 신호가 클럭 신호의 정수배 등)로 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지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는 클럭 신호 등의 디지털 노이즈로부터의 간섭을 받기 어려워져서, 도 5에 도시한 불감대를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에서의 입출력 특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래 있어야 할 실선의 직선 특성으로부터 일점쇄선의 특성까지 크게 일탈하지 않고, 실선의 직선 특성과 대략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를 채용함으로써, 전압- 주파수의 변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를 도 4에 도시한 배터리 팩(200)의 이차 전지(201)의 잔량 전압 등을 검출하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 보다 정확한 잔량 전압 등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컨덴서(308)와 제2 컨덴서(310)의 용량비를 크게 할수록, 기준 전압 VREF'가 계단 형상으로 변화하는 각 기간은 짧아져서, 기준 전압 VREF'가 계단 형상으로 변화하는 각 양(각 레벨)은 더 작아진다. 따라서, 이렇게 함에 따라,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가 클럭 신호 등의 주기적인 디지털 노이즈로부터의 간섭을 받을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를 이차 전지(201)의 충방전 상태의 검출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 오차 증폭기(102)에 인가되는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이 제로로 되었을 때, 가변 전류원(104)으로부터 컨덴서(110)에 공급되는 전류를 소정의 전류 IO(>0)로 하도록, 오차 증폭기(102)와 가변 전류원(104)과의 관계를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를 내장하는 배터리 팩(200)이 전자 기기에 장착되고, 해당 전자 기기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이차 전지(201)는 방전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즉, 도 4의 a 방향으로 방전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압 VIN(+)<전압 VIN(-)의 관계가 성립하고,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은 커질수록 도 5의 횡축에서의 VIN(+)=VIN(-)의 포인트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 높아진다. 한편,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를 내장하는 배터리 팩(200)이 충전기에 장착된 경우, 이차 전지(201)는 충전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즉, 도 4의 b 방향으로 충전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압 VIN(+)>전압 VIN(-)의 관계가 성립하고,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은 커질수록 도 5의 횡축에서의 전압 VIN(+)=전압 VIN(-)의 포인트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 낮아진다. 마이크로컴퓨터(203)에서는, 전압 VIN(+)=전압 VIN(-)일 때의 콤퍼레이터(108)의 주파수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대소와 차전압에 기초하여, 이차 전지(201)의 충방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배터리 팩의 적용예]
도 1의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를 갖는 배터리 팩(200)의 적용 대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400)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400)의 측면에 설치된 배터리 삽입구(402)에 배터리 팩(200)을 삽입 또한 장착함으로써,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4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터리 팩(200) 내부의 마이크로컴퓨터(203)에 의해서 구해진 이차 전지(201)의 잔량 전압(또는 사용 가능 시간이어도 됨)은, 디스플레이(404)의 단부 또는 전용으로 설치된 소형 디스플레이(406)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차 전지(201)의 잔량 전압의 표시 방법으로서는, 바를 이용한 인디케이터 표시어도 되고, 숫자 표시어도 된다.
또한,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를 갖는 배터리 팩(200)의 그 외의 적용 대상으로서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 전화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를 적용함으로써 전압-주파수의 변환 정밀도 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전압-주파수 변환 결과가 필요한 어떠한 휴대형의 전자 기기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효과는 크다.
이상 설명한 것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컨덴서(110)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가변 전류원(104)과, 컨덴서(110)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가변 전류원(104)의 전류량을,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에 따른 전류량으로 조정하는 오차 증폭기(102)와, 컨덴서(110)의 일단측에 발생하는 충전 전압과 기준 전압 VREF'와의 대소를 비교하는 콤퍼레이터(108)와,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 VREF'를 초과했을 때의 콤퍼레이터(108)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컨덴서(110)의 충전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부(스위치 소자(112), 제어 로직 회로(114))를 갖고,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전압 VIN(+) 및 전압 VIN(-)의 차전압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얻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로서, 기준 전압 VREF'를 변동시키는 기준 전압 변동부(30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콤퍼레이터(108)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를, 클럭 신호 등의 주기적인 디지털 노이즈로부터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되는 정도로 변동시킬 수 있어, 전압-주파수의 변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준 전압 변동부(302)는, 미리 정해진 전압 V1 및 전압 V2의 범위 내에서, 기준 전압 VREF'를 주기적으로 변동시키는 것이다. 이것에 따르면, 기준 전압 VREF'의 변동폭을 전압 V1 및 전압 V2 사이로 미리 제한할 수 있다. 즉, 콤퍼레이터(108)로부터의 주파수 신호가 어디까지나 클럭 신호 등의 주기적인 디지털 노이즈로부터의 간섭을 받지 않는 범위에서, 또한 전압-주파수의 변환 정밀도가 도 5의 일점쇄선과 같이 저하하지 않은 범위에서, 기준 전압 VREF'의 레벨이 변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전압-주파수의 변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기준 전압 VREF'는, 제1 주기 T1에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는 계단 파형의 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 전압 변동부(302)는, 전압 V1을 발생하는 제1 기준 전압원(304)과, 전압 V1보다 전압값이 작은 전압 V2를 발생하는 제2 기준 전압원(306)과, 제1 컨덴서(308)와, 제1 컨덴서(308)보다 용량값이 작은 제2 컨덴서(310)와, 제2 컨덴서(310)의 용량값을 단위로 하여, 전압 V2측으로부터 전압 V1측으로 제1 컨덴서(308)를 충전시키기 위한 제1 스위치 회로(제1 스위치 소자(312), 제3 스위치 소자(316))와, 제2 컨덴서(310)의 용량값을 단위로 하여, 전압 V1측으로부터 전압 V2측으로 제1 컨덴서(308)를 방전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 회로(제2 스위치 소자(314), 제3 스위치 소자(316))와, 제1 스위치 회로 및 제2 스위치 회로의 스위치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회로(318)를 갖고, 제1 컨덴서(308)의 일단에 나타나는 충방전 전압을 기준 전압 VREF'로서 콤퍼레이터(108)의 -단자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기준 전압 변동부(302)는, 전압 V1을 발생하는 제1 기준 전압원(304)과, 전압 V1보다 전압값이 작은 전압 V2를 발생하는 제2 기준 전압원(306)과, 제1 컨덴서(308)와, 제1 컨덴서(308)보다 용량값이 작은 제2 컨덴서(310)와, 전압 V1과, 충방전 전압이 나타나는 제2 컨덴서(310)의 일단과의 사이에 접속된 제1 스위치 소자(312)와, 전압 V2와, 제2 컨덴서(310)의 일단과의 사이에 접속 된 제2 스위치 소자(314)와, 충방전 전압이 나타나는 제1 컨덴서(308)의 일단 및 제2 컨덴서(310)의 일단 사이에 접속된 제3 스위치 소자(316)와, 제1 내지 제3 스위치 소자(312, 314, 316)의 스위치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회로(318)를 갖고, 타이밍 제어 회로(318)는, 제1 주기 T1로 제1 스위치 소자(312) 및 제2 스위치 소자(314)를 상보적으로 스위칭함과 함께, 제1 주기 T1보다 짧은 제2 주기 T2로 제3 스위치 소자(316)를 스위칭하고, 제1 컨덴서(308)의 일단에 나타나는 충방전 전압을 기준 전압 VREF'로서 콤퍼레이터(108)의 -단자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는, 소정 주파수의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집적 회로(마이크로컴퓨터(203)나 로직 회로)에 내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는 클럭 신호나 주기적인 디지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는, 마이크로컴퓨터(203)나 로직 집적 회로 등과 1칩화하여도 정밀도가 좋은 전압-주파수 변환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압 VIN(+) 및 전압 VIN(-)를, 이차 전지(201)의 전류가 흐르는 검출 저항(202)의 양 단에 나타나는 전압인 것으로 하면,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300)를 채용하는 마이크로컴퓨터(203) 등은, 이차 전지(201)가 충전되어 있을 때의 충전 전압이나, 이차 전지(201)가 방전되어 있을 때의 잔량 전압 등을 정밀도 좋게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및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기준 전압 발생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압-주파수의 변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8)

  1. 컨덴서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가변 전류원과,
    상기 컨덴서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상기 가변 전류원의 전류량을,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의 차전압에 따른 전류량으로 조정하는 전류량 조정부와,
    상기 컨덴서의 일단측에 발생하는 충전 전압과 기준 전압과의 대소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충전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을 초과했을 때의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컨덴서의 충전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갖고,
    상기 비교부로부터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의 차전압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얻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로서,
    상기 기준 전압을 변동시키는 기준 전압 변동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변동부는, 미리 정해진 전압의 범위 내에서, 상기 기준 전압을 주기적으로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은, 각 주기에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는 계단 파형의 전압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변동부는,
    전압 V1과,
    상기 전압 V1보다 전압값이 작은 전압 V2와,
    제1 컨덴서와,
    상기 제1 컨덴서보다 용량값이 작은 제2 컨덴서와,
    상기 제2 컨덴서의 용량값을 단위로 하여, 상기 전압 V2측으로부터 상기 전압 V1측으로 상기 제1 컨덴서를 충전시키기 위한 제1 스위치 회로와,
    상기 제2 컨덴서의 용량값을 단위로 하여, 상기 전압 V1측으로부터 상기 전압 V2측으로 상기 제1 컨덴서를 방전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 회로와,
    상기 제1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2 스위치 회로의 스위치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회로를 갖고,
    상기 제1 컨덴서의 일단에 나타나는 충방전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으로서 상기 비교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변동부는,
    전압 V1과,
    상기 전압 V1보다 전압값이 작은 전압 V2와,
    제1 컨덴서와,
    상기 제1 컨덴서보다 용량값이 작은 제2 컨덴서와,
    상기 전압 V1과, 충방전 전압이 나타나는 상기 제2 컨덴서의 일단과의 사이에 접속된 제1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전압 V2와, 상기 제2 컨덴서의 일단과의 사이에 접속된 제2 스위치 소자와,
    충방전 전압이 나타나는 상기 제1 컨덴서의 일단 및 상기 제2 컨덴서의 일단 사이에 접속된 제3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치 소자의 스위치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회로를 갖고,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제1 주기로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를 상보적으로 스위칭함과 함께, 상기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상기 제3 스위치 소자를 스위칭하고,
    상기 제1 컨덴서의 일단에 나타나는 충방전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으로 하여 상기 비교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주파수의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집적 회로에 내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은, 이차 전지의 전류가 흐르는 검출 저항의 양단에 나타나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8. 컨덴서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가변 전류원과,
    상기 컨덴서가 충전을 행하기 위한 상기 가변 전류원의 전류량을,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의 차전압에 따른 전류량으로 조정하는 전류량 조정부와,
    상기 컨덴서의 일단측에 발생하는 충전 전압과 기준 전압과의 대소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충전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을 초과했을 때의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컨덴서의 충전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갖고,
    상기 비교부로부터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의 차전압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얻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기준 전압 발생 방법으로서,
    상기 기준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전압의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기준 전압 발생 방법.
KR1020060005351A 2005-01-18 2006-01-18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KR100760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10926A JP2006203369A (ja) 2005-01-18 2005-01-18 電圧−周波数変換装置、電圧−周波数変換装置の基準電圧発生方法
JPJP-P-2005-00010926 2005-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381A true KR20060084381A (ko) 2006-07-24
KR100760134B1 KR100760134B1 (ko) 2007-09-18

Family

ID=3675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351A KR100760134B1 (ko) 2005-01-18 2006-01-18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62640B2 (ko)
JP (1) JP2006203369A (ko)
KR (1) KR100760134B1 (ko)
CN (1) CN1818705A (ko)
TW (1) TWI3011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8906A1 (de) * 2005-06-22 2006-12-28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für die Prüfung von Banknoten
KR20080040943A (ko) * 2006-11-06 2008-05-09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전자 계측장치를 위한 계측 기준값 설정방법과 이를 위한계측장치
JP2008270924A (ja) * 2007-04-16 2008-11-06 Sharp Corp 周波数変換回路および受信装置
JP5022925B2 (ja) * 2008-01-23 2012-09-12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電池電圧検出回路
KR100977460B1 (ko) 2008-12-09 2010-08-24 한국전기연구원 사이리스터 전력변환회로의 고장검출방법
GB2481832B (en) * 2010-07-08 2014-07-09 Aber Instr Ltd Analysis of a dielectric medium
US8369172B2 (en) 2010-07-27 2013-02-0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Integrated circuits for providing clock periods and operating methods thereof
CN103534600A (zh) * 2011-03-29 2014-01-22 大陆-特韦斯贸易合伙股份公司及两合公司 用于测量电动车辆中供电电压的设备
JPWO2013161069A1 (ja) * 2012-04-27 2015-1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10116295B2 (en) * 2016-08-30 2018-10-30 Pixart Imaging Inc. Voltage comparing circuit and voltage comparing method
US10845832B2 (en) * 2018-09-10 2020-11-24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Voltage-to-current converter
CN113885635A (zh) * 2021-11-05 2022-01-04 四川升华电源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的基准电压放电电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056A (en) * 1976-11-02 1977-09-06 Honeywell Inc. Voltage-frequency converter
US4316155A (en) * 1979-09-05 1982-02-16 The Bendix Corporatio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ratiometric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JPS56148075A (en) * 1980-04-18 1981-11-17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Battery discharge meter
WO1999019983A1 (en) * 1997-10-15 1999-04-22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ingle supply voltage to frequency converter optimized for low voltage sensing above and below ground
US6653872B2 (en) * 2000-09-01 2003-11-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channel precision synchronous voltage-to-frequency converter
JP2002107428A (ja) 2000-10-03 2002-04-10 Hitachi Maxell Ltd 電流/周波数コンバータおよびこれを内蔵する充電電池並びに充電電池パック
US7061296B2 (en) * 2003-12-19 2006-06-13 Infineon Technologies Ag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digital clock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1197B (en) 2008-09-21
JP2006203369A (ja) 2006-08-03
CN1818705A (zh) 2006-08-16
US20060170463A1 (en) 2006-08-03
TW200630618A (en) 2006-09-01
US7262640B2 (en) 2007-08-28
KR100760134B1 (ko) 200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134B1 (ko)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KR100763117B1 (ko)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 및 전압-주파수 변환 장치의 기준전압 변경 방법
US7554480B2 (en) Analog/digital converter, illuminance sensor, illumin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6979995B2 (en) Frequency measuring circuit and resonant pressure sensor type differential pressure/pressure transmitter using the frequency measuring unit
US7750612B2 (en) Voltage-pulse converting circuit and charge control system
US7911185B2 (en) Battery voltage detection circuit
JP4089672B2 (ja) 発振回路及びこの発振回路を有する半導体装置
KR101060443B1 (ko) Rc 발진기
US8063710B2 (en) Self-calibrating oscillator
KR20100081552A (ko) 차지 펌프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압 변환 장치
KR100691346B1 (ko) 발진기 및 그 보상 방법
JP5535766B2 (ja) タイマー回路
CN111694059A (zh) 静电容量检测装置
JP4940684B2 (ja) 位相調整回路および位相調整方法
JP4423971B2 (ja) 平均電流検出回路
KR100632864B1 (ko) 정전용량변화 검출방법 및 검출집적회로
CN115360667A (zh) 漏电保护电路、集成电路、电子设备以及方法
KR100653403B1 (ko) 정전용량변화 검출방법 및 검출집적회로
CN114389580A (zh) 电阻模块、时钟电路、集成电路以及电子设备
US20030231021A1 (en) Dynamic trimming technique for variations in oscillator parameters
CN110388966B (zh) 气流转换检测电路及装置
JP2009094568A (ja) 三角波生成回路
JP4643082B2 (ja) 電源回路
US20110301475A1 (en) Voltage-frequency conversion circuit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equipped with same
CN116626384A (zh) 时钟频率检测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