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370A -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 Google Patents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370A
KR20060084370A KR1020060005230A KR20060005230A KR20060084370A KR 20060084370 A KR20060084370 A KR 20060084370A KR 1020060005230 A KR1020060005230 A KR 1020060005230A KR 20060005230 A KR20060005230 A KR 20060005230A KR 20060084370 A KR20060084370 A KR 20060084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idet
bed
transfer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409B1 (ko
Inventor
유지영
Original Assignee
유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영 filed Critical 유지영
Priority to KR102006000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4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에 앉거나 누은상태에서 자동으로 용변 및 용변후의 세정, 건조가 원스톱으로 이루어져 거동이 불편한 환자 스스로 주변사람의 도움 없이 용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비사용시 용변탱크의 차단디스크를 자동으로 닫아주어 용변처리를 악취발생 없이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의 엉덩이받침부 하부에 배치되고 양측의 가이드패널에 격벽을 중심으로 전,후에 이송프레임 및 이송체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엉덩이받침프레임과;
상기 이송체에 감속모터의 회전동력을 수평이송력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용변커버 작동수단과;
상기 이송체의 수평이송력을 연결대를 매개로 전달 받아 선택적으로 전,후 및 상,하 이송하면서 용변커버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엉덩이받침프레임의 저부에 용변구와 연통하도록 설치된 비데함체에 탈착가능하게 내설되는 비데기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Automatic bidet bed for patie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등받이부 및 엉덩이받침부, 다리받침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엉덩이받침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용번커버의 개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용변커버 작동수단의 작동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용번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비데함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차단디스크 작동수단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차단디스크 작동수단의 조작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드라이어의 작동상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이송프레임의 복원상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상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비데기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비데지지판의 탈거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엉덩이받침부 3a: 용변홀
10: 엉덩이받침프레임 12: 가이드패널
14: 작동부 16: 용변구
17,18: 가이드홈 20: 이송체
22,42: 이송활차 30: 용변커버 작동수단
31: 감속모터 32: 피니언기어
33: 랙기어 40: 이송프레임
44: 용변커버 45: 드라이어
50: 비데기 51: 변기통
52: 용변탱크 53: 디스크레버
60: 비데함체 62: 비데지지판
70: 차단디스크 작동수단 73: 디스크실린더
75: 결합돌기 77: 결속부재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에 앉거나 누은상태에서 자동으로 용변 및 용변후의 세정, 건조가 원스톱으로 이루어져 거동이 불편한 환자 스스로 주변사람의 도움 없이 용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비사용시 용변탱크의 차단디스크를 자동으로 닫아주어 용변처리를 악취발생 없이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혼자 거동할 수 없는 노약자나 환자 등의 형편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침대의 설치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취침 및 독서, 식사 등의 사용목적에 따라 상체를 일으키거나 누을 수 있는 환자용 침대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환자용 침대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되어 등록유지결정된 『실용신안등록 제0345560호 명칭 환자용 침대』가 거론된다.
이에 상기 선등록 고안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환자가 침대에 앉을 경우 도 6과 같이 등받이실린더(4a)를 가동하여 등받이부(4)를 수직으로 세우는 동시에 다리받침실린더(5a)를 가동하여 다리받침부(5)와 발받침부(5b)를 절곡된 상태로 하강하므로써 환자가 침대에서 편리하게 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받침부(5b)에 발을 지지할 수 있어 앉은 상태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엉덩이받침부(3)의 하부에 설치된 비데기(50)를 이용하여 환자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고안은 환자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용변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이 제시되지 않아 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여타 모든 환자용 침대에도 이러한 용변수단이 제데로 마련되지 않아 혼자서 거동할 수 없는 노약자나 환자의 경우 보조원이나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로 화장실까지 이동하거나 간이 변기를 침대 하부에 수납하여 사용함으로써 대,소변을 해결하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경우 화장실까지 이동하기에는 환자 자신이나 보조원의 고충이 매우 크며, 간이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악취가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간이 변기를 치우는 사람에게 위생상으로 좋지 않은 단점이 따르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용변수단이 일체로 구성된 환자용 침대가 일부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 침대의 매트리스에 형성된 배변구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없어 환자가 용변시마다 이를 수동으로 개폐함에 따른 불편함이 가중되며, 특히 용변후 세정 및 건조 등을 원스톱으로 실시할 수 있는 비데의 기능이 없어 용변후의 개운함이 없으며, 변기통을 통해 대,소변의 악취가 외부로 발산되어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즉 사용상의 번거로움 없이 자동으로 용변 및 세정, 건조가 원스톱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용변후의 개운함을 제공하며, 대,소변에 의한 악취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용변수단이 일체화된 환자용 침대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침대에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용변후의 개운함을 극대화시키며, 용변에 따른 악취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고자 함을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침대의 매트리스에 형성된 용변커버를 전동식으로 자동 개폐조작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용변커버가 개방되면 변기통에 자동으로 물이 채워져 환자 스스로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용변이 완료된 용변탱크의 차단디스크가 개방되면 자동으로 세척작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배설물이 용변탱크로 자동 분리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용변탱크로의 배설물 배출후 차단디스크가 자동으로 밀폐되면서 용변탱크로부터 발산되는 악취를 차단함은 물론 일정시간 건조가 자동으로 이루어진 후 용변커버가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하므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용변탱크에 배설물이 채워지면 간단한 방법으로 침대로부터 비데기를 탈거하여 배설물을 제거한 후 이를 다시 장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몸체(2)의 중앙에 형성된 엉덩이받침부(3)의 일측에 등받이실린더(4a)의 가동에 따라 등받이부(4)가 각조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엉덩이받침부(3)의 타측에 다리받침실린더(5a)의 가동에 따라 하강 작동하는 다리받침부(5)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1)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받침부(3)의 하부에 배치되고 양측의 가이드패널(12) 전,후에 이송프레임(40) 및 이송체(20)를 안내하는 가이드홈(17)(18)이 각각 형성된 엉덩이받침프레임(10)과, 상기 이송체(20)에 감속모터(31)의 회전동력을 수평이송력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용변커버 작동수단(30)과, 상기 이송체(20)와 연동으로 작동되면서 선택적으로 전,후 및 상,하 이송하면서 용변커버(44)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이 송프레임(40)과, 상기 엉덩이받침프레임(10)의 저부에 설치된 비데함체(60)에 탈착가능하게 내설되는 비데기(5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베이스를 이루는 엉덩이받침프레임(10)은 엉덩이받침부(3)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사각체의 형상을 갖으며 전,후면의 고정패널(11) 양단에 가이드패널(12)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패널(12) 사이에 연결된 격벽(13)을 기점으로 용변커버(44)를 조작하기 위한 작동부(14) 및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용변부(15)로 구획되며, 상기 용변부(15)의 바닥면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비데기(50)와 연통하는 용변구(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패널(12)에는 격벽(13)을 중심으로 전,후방측에 각각 이송프레임(40) 및 이송체(2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17)(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14)의 가이드패널(12)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7)은 이송체(20)의 수평이송을 안내하도록 일반적인 수평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달리 용변부(15)의 가이드패널(12)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8)은 상부면에 용변커버(44)가 설치된 이송프레임(40)의 전,후 및 상,하 이송을 안내하도록 요철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엉덩이받침부(3)에 형성된 용변홀(3a)과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끼워지므로써 용변홀(3a)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용변커버(44)가 수평상으로 이송할 수 없는 여건을 고려하여 상기 이송프레임(40)이 소정구간을 수평상으로 이송하다가 용 변커버(44)가 용변홀(3a)로부터 이탈될 때 까지 하강된 후 비로서 수평상으로 이송하면서 자동으로 용변홀(3a)을 개방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홈(18)은 도 5와 같이 작동부(14)의 가이드홈(17)과 동일선상의 위치에 일정구간 수평상으로 형성된 후 전방 하향으로 경사진 하강로(18a)를 형성하며, 상기 하강로(18a)에 연속하여 재차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요철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강로(18a)를 형성함에 있어 하강로(18a)를 수직으로 형성할 경우 이송프레임(40)의 이송시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며, 이와 상반되게 경사가 너무 완만할 경우 환자의 엉덩이가 용변커버(44)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함께 딸려가면서 통증을 유발하므로써 도 5와 같은 정도의 경사도를 갖도록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요철형의 가이드홈(18)은 이송프레임(40)의 전,후 양측을 안내하도록 연속적으로 한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8) 전방측 및 수평상의 가이드홈(17) 후방에는 각각 리미트스위치(19)가 설치됨에 따라 이송체(20) 및 이송프레임(40)의 이송시 상기 리미트스위치(19)를 접지함과 동시에 이송이 제한되므로써 과도한 이송으로 인한 제품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부(14)의 가이드홈(17)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체(20)는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가이드봉(21)에 각각 이송활차(22)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이송활차(22)는 가이드홈(17)에 끼움 설치됨에 따라 이송체(20)가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송체(20)에 수평이송력을 부여하는 용변커버 작동수단(30)은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이송체(20)의 일측저부에 감속모터(31)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감속모터(31)의 모터축에는 피니언기어(32)가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32)는 작동부(14)의 바닥면에 설치된 랙기어(33)와 치합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모터(31)가 가동하여 피니언기어(32)가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기어(32)는 고정상태의 랙기어(33)를 타고 수평상으로 회전, 이송하며, 이로 인해 이송체(20)에 수평이송력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체(20)와 연결대(43)를 매개로 연결되어 이송체(20)의 작동에 따라 연동으로 작동하면서 상부면에 설치된 용변커버(44)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이송프레임(40)은 상기 이송체(20)와 동일하게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가이드봉(41)에 각각 이송활차(42)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이송활차(42)는 가이드홈(18)에 끼움 설치됨에 따라 이송프레임(40)이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체(20)와 이송프레임(40)의 내향측에 위치한 가이드봉(21)(41)의 양단은 상호 연결대(43)로 연결되므로써 이송체(20)의 작동시 연결대(43)를 통해 이송력이 이송프레임(40)으로 전달되어 상기 이송프레임(40)이 연동으로 작동하게 된다.
한편 용변부(15)의 일측에는 용변 및 세정작업 후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드라이어(45)가 설치되고 상기 드라이어(45)는 더운공기를 생성한 후 격벽(13)에 형성된 송풍로(13a)를 통해 용변부(15)에 건조풍을 공급하므로써 세정후 연속적인 건조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엉덩이받침부(3) 저부에는 비데기(50)를 수납하기 위한 비데함체(6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비데함체(60)는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엉덩이받침프레임(10)의 저부에 용변구(16)와 연통하도록 일체로 부착되고 내부 바닥면의 양측에는 슬라이딩 이송을 위한 한쌍의 LM가이드(61)가 배치되며 이 LM가이드(61)의 상부에는 비데지지판(62)의 저면에 형성된 이송부재(63)가 슬라이딩 이송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비데지지판(62)은 전방 하부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롤러(64)에 의해 바닥면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LM가이드(61)에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사방으로 지지돌기(65)가 돌출 형성되며, 이 지지돌기(65)의 내측에는 비데기(50)가 안착된다.
따라서 비데지지판(62)의 전방에 형성된 손잡이(66)를 밀거나 잡아당기는 조작에 따라 비데지지판(62)이 부드럽게 이송하면서 비데기(50)가 비데함체(60)의 내부에 내설되거나 탈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비데기(50)는 용변 및 세정의 기능을 갖는 변기통(51)과, 상기 변기통(51)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변기통(51)으로부터 낙하되는 용변을 수거하는 용변탱크(5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비데기(50)와 용변탱크(52) 사이의 유로(도면상 미도시)에는 차단디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디스크에 일체로 연결된 디스크레버(53)는 외부로 연장되므로써 상기 디스크레버(53)를 잡아당기면 차단디스크가 개방되면서 용변탱크(52)로 용변이 수거되며 디스크레버(53)를 밀면 유로를 차단하여 용변탱크(52) 내의 악취가 외부로 발산됨을 차단할 수 있 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비데기(5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구성이며, 핵심사안 이외의 구성인 바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디스크레버(53)를 자동으로 조작하여 차단디스크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디스크 작동수단(70)의 기술을 접목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차단디스크 작동수단(70)은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비데함체(60)의 일측에 개방부(71)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71)의 하측에는 외부로 실린더브라켓(7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브라켓(72)에는 디스크실린더(73)가 설치된다.
이러한 디스크실린더(73)는 실린더로드(74)가 상기 개방부(71)를 통해 비데함체(60)의 내,외부를 입출하도록 설치되고, 선단에는 한쌍의 결합돌기(75)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디스크레버(53)에는 끼움장홈(76)이 형성된 결속부재(77)가 부착되므로써 비데기(50)를 비데함체(6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결속부재(77)의 끼움장홈(76)이 실린더로드(74)의 결합돌기(75) 사이에 끼워져 일체화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실린더(73)의 작동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크레버(53)가 연동으로 작동되면서 차단디스크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작동상태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평상시 용변커버(44)는 도 1과 같이 용변홀(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엉덩이받침부(3)의 표면과 수평상태를 이루어 환자가 침대생활을 수행함에 전혀 무리가 없으며, 용변을 볼 경우 조작판넬의 스위치를 가동하면 감속모터(31)의 작동에 따라 이송체(20)가 가이드홈(17)을 따라 일측으로 수평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체(20)와 연결대(43)를 매개로 연결된 이송프레임(40)은 도 5와 같이 일정구간 수평상으로 이송하다가 하강로(18a)를 따라 하강한 후 다시 수평상으로 이송하므로써 상기 이송프레임(40)의 상부에 부착된 용변커버(44)는 자연적으로 엉덩이받침부(3)의 용변홀(3a)로부터 이탈되므로써 용변홀(3a)이 개방되어 엉덩이받침프레임(10)의 용변구(16) 및 비데기(50)의 변기통(51)과 연통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변커버(44)가 개방되면 자동으로 변기통(51)에는 물이 채워지므로써 환자는 용변을 볼 수 있으며, 용변을 해결한 후에는 노즐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어 환자 스스로 말끔한 후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세정이 완료되면 디스크실린더(73)의 작동에 따라 차단디스크가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변기통(51) 내의 배설물이 하부의 용변탱크(52)로 낙하됨과 동시에 물이 분사되어 변기통(51)을 말끔하게 세척하며, 배설물이 완전하게 용변탱크(52)로 수거되면 자동으로 차단디스크를 닫아주어 용변탱크(52) 내의 악취가 외부로 발산됨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드라이어(45)에서 건조풍이 공급되어 환자의 엉덩이에 묻은 물기를 완전하게 건조시켜 환자에게 청결함을 제공하며, 상기한 건조과정이 완 료되면 자동으로 개방상태의 용변커버(44)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용변홀(3a)에 안착되어 용변홀(3a)을 밀폐시키게 된다.
한편, 용변탱크(52)에 배설물이 완전하게 채워지면 비데기(50)를 도 14와 같이 외부로 탈거한 후 변기통(51)으로부터 용변탱크(52)를 분리하여 내부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 재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용변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환자 스스로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용변후 용변탱크의 차단디스크가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변기통의 세척작업이 자동으로 실시됨과 동시에 배설물이 용변탱크로 분리 배출될 수 있어 용변후의 개운함과 청결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설물의 배출후 차단디스크가 자동으로 밀폐되므로써 용변탱크로부터 외부로 발산되는 악취를 차단하여 용변을 보다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건조풍에 의한 건조가 실시된 후 용변커버가 자동으로 닫혀지므로써 사용상의 불편함 없이 용변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변탱크에 배설물이 채워지면 간단한 방법으로 비데기를 탈거하여 배설물을 제거한 후 재장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8)

  1. 몸체(2) 중앙에 형성된 엉덩이받침부(3)의 일측에 등받이부(4)가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환자용 침대(1)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받침부(3)의 하부에 배치되고 양측의 가이드패널(12)에 격벽(13)을 중심으로 전,후에 이송프레임(40) 및 이송체(20)를 안내하는 가이드홈(17)(18)이 각각 형성된 엉덩이받침프레임(10)과;
    상기 이송체(20)에 감속모터(31)의 회전동력을 수평이송력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용변커버 작동수단(30)과;
    상기 이송체(20)의 수평이송력을 연결대(43)를 매개로 전달 받아 선택적으로 전,후 및 상,하 이송하면서 용변커버(44)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이송프레임(40)과;
    상기 엉덩이받침프레임(10)의 저부에 용변구(16)와 연통하도록 설치된 비데함체(60)에 탈착가능하게 내설되는 비데기(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엉덩이받침프레임(10)은 격벽(13)을 기점으로 작동부(14) 및 용변부(15)로 구획되고, 상기 용변부(15)의 바닥면에는 비데기(50)와 연통하는 용변구(16)가 형 성되는 한편, 상기 작동부(14)의 양측 가이드패널(12)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7)은 이송체(20)의 수평이송을 안내하도록 수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변부(15)의 양측 가이드패널(12)에 형성되는 다른 가이드홈(18)은 이송프레임(40)의 전,후 및 상,하 이송을 안내하도록 일정구간 수평상으로 형성된 후 전방 하향으로 경사진 하강로(18a)가 형성되며 상기 하강로(18a)에 연속적으로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요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용변부(15)의 양측 가이드패널(12)에 형성되는 요철형의 가이드홈(18)은 이송프레임(40)의 전,후 양측을 안내하도록 연속적으로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요철형의 가이드홈(18) 전방 및 수평상의 가이드홈(17) 후방에는 각각 이송프레임(40) 및 이송체(20)의 과도한 이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리미트스위치(19)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용변커버 작동수단(30)은 양측 가이드패널(12)의 가이드홈(17)을 따라 이송체(20)가 수평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체(20)에 설치된 감속모터(31)의 피니언기어(32)는 작동부(14)의 바닥면에 설치된 랙기어(33)와 치합 설치되며, 상 기 감속모터(31)의 회전작동에 따라 랙기어(33)를 타고 피니언기어(32)가 회전, 이송하면서 이송체(20)에 수평이송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이송체(20) 및 이송프레임(40)은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봉(21)(41)에 이송의 원활함을 제공하도록 각각의 가이드홈(17)(18)을 따라 회전 이송하는 이송활차(22)(44)가 일체로 결합 설치되고, 상기 이송체(20) 및 이송프레임(40)의 내향측에 위치한 가이드봉(21)(41)의 양단은 상호 연결대(43)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프레임(40)은 이송체(20)의 작동에 따라 연동으로 작동하면서 용변커버(44)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용변부(15)의 일측에는 드라이어(45)가 설치되고, 상기 드라이어(45)는 용변 및 세정후 더운 공기를 생성하여 격벽(13)에 형성된 송풍로(13a)를 통해 용변부(15)로 건조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엉덩이받침프레임(10)의 저부에는 용변구(16)와 연통하는 동시에 전면이 개방된 비데함체(60)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비데함체(60)의 내부에는 지지롤러(64)에 의해 바닥면에 지지된 채 한쌍의 LM가이드(61)를 타고 슬라이딩 이송하면서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한 비데지지판(62)이 내설되며, 상기 비데지지판(62)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돌기(65)에는 비데기(50)가 안착되는 한편, 상기 비데기(50)는 차단디스크 작동수단(70)의 선택적인 작동에 따라 차단디스크가 용변탱크(52)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8. 제 7항에 있어서,
    차단디스크 작동수단(70)은 비데함체(60)의 일측 개방부(71)를 통해 디스크실린더(73)의 실린더로드(74)가 내,외부를 입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로드(74) 선단에는 한쌍의 결합돌기(75)가 형성되는 한편, 비데기(50)의 변기통(51)과 용변탱크(52)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디스크의 디스크레버(53)에는 끼움장홈(76)이 형성된 결속부재(77)가 결합되고, 상기 결속부재(77)의 끼움장홈(76)은 실린더로드(74)의 결합돌기(75) 사이에 끼워져 상기 디스크실린더(73)의 작동에 따라 차단디스크가 자동으로 개폐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KR1020060005230A 2006-01-18 2006-01-18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KR100671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30A KR100671409B1 (ko) 2006-01-18 2006-01-18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30A KR100671409B1 (ko) 2006-01-18 2006-01-18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662U Division KR200382227Y1 (ko) 2005-01-19 2005-01-19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370A true KR20060084370A (ko) 2006-07-24
KR100671409B1 KR100671409B1 (ko) 2007-01-22

Family

ID=3717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230A KR100671409B1 (ko) 2006-01-18 2006-01-18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40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266B1 (ko) * 2006-10-23 2008-02-04 이응재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CN100539980C (zh) * 2007-09-29 2009-09-16 吴松柏 护理床自动便解装置
KR101282765B1 (ko) * 2011-10-13 2013-07-05 김길섭 간병 침대
CN106913433A (zh) * 2015-12-27 2017-07-04 文宜平 一种护理床结构
CN109497872A (zh) * 2019-01-23 2019-03-22 刘湘 一种婴儿床
KR102314802B1 (ko) * 2021-06-28 2021-10-20 (주)엘티 환자용 비데침대
CN115317263A (zh) * 2022-04-20 2022-11-11 重庆大学 多功能一体化护理床
CN115317264A (zh) * 2022-04-20 2022-11-11 重庆大学 洗浴风干一体式护理床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266B1 (ko) * 2006-10-23 2008-02-04 이응재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CN100539980C (zh) * 2007-09-29 2009-09-16 吴松柏 护理床自动便解装置
KR101282765B1 (ko) * 2011-10-13 2013-07-05 김길섭 간병 침대
CN106913433A (zh) * 2015-12-27 2017-07-04 文宜平 一种护理床结构
CN109497872A (zh) * 2019-01-23 2019-03-22 刘湘 一种婴儿床
KR102314802B1 (ko) * 2021-06-28 2021-10-20 (주)엘티 환자용 비데침대
CN115317263A (zh) * 2022-04-20 2022-11-11 重庆大学 多功能一体化护理床
CN115317264A (zh) * 2022-04-20 2022-11-11 重庆大学 洗浴风干一体式护理床
CN115317263B (zh) * 2022-04-20 2024-01-19 重庆大学 多功能一体化护理床
CN115317264B (zh) * 2022-04-20 2024-01-19 重庆大学 洗浴风干一体式护理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409B1 (ko) 2007-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409B1 (ko)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KR100856669B1 (ko) 환자용 침대
JP2007537791A (ja) 患者用寝台
KR102117875B1 (ko) 용변 자동 처리장치
KR100800266B1 (ko)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KR100597758B1 (ko) 비데 기능을 갖는 남성의 소변기
KR200382227Y1 (ko)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CN212166041U (zh) 一种多用于老人护理服务的护理床
CN107242941A (zh) 具有冲水集便功能的护理机器人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CN216061067U (zh) 护理床
WO2011048372A1 (en) Bed with in - built toilet facility
CN211485339U (zh) 装有洁身便盆的坐便床
CN113576799A (zh) 护理床
JP3172816B2 (ja) 筒状小便器
JP2006212377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JPH10195960A (ja) 吸込装置
JPH1014814A (ja) ポータブルトイレ自動収納装置
KR200313187Y1 (ko) 환자용 침대
KR200413151Y1 (ko) 환자용 침대
JP2008073294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404218Y1 (ko) 남성의 소변기 및 비데장치
KR200313185Y1 (ko) 환자용 침대
JPH033304Y2 (ko)
KR102503449B1 (ko) 소변튐 방지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