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870A -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870A
KR20060083870A KR1020060003475A KR20060003475A KR20060083870A KR 20060083870 A KR20060083870 A KR 20060083870A KR 1020060003475 A KR1020060003475 A KR 1020060003475A KR 20060003475 A KR20060003475 A KR 20060003475A KR 20060083870 A KR20060083870 A KR 20060083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ight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진도
야스히로 야마시타
다케시 도미타
Original Assignee
후지 기카이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기카이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기카이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광면(受光面)에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照明光)이 직접 입사(入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되도록 배치된 포토센서에 의해 검출한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flicker)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토 센서의 수광면(受光面)이 광원으로부터 액정 표시 장치에 근접되어 있으므로, 수광면에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직접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된다. 상기 포토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가 조정된다. 이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으로부터 조명광이 포토 센서의 수광면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액정 표시 장치의 투광(透光) 상태의 화소 전극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량의 변화를 고감도로 검출하여,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 조정 장치, 포토센서, 조명광, 반사광량.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 {TUN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액정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각 화소의 X전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포토 센서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처리한 각 단계의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광원과 포토 센서 사이에 차광체를 배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발광 다이오드와 도광체로 구성한 광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액정 표시 장치용 검사 조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액정 표시 장치용 검사 조정 장치의 기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동작에 있어서 복귀 동작을 행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동작의 도중에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원을 끄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작동 프로그램을 버전업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정 표시 장치, 11, 11a, 11b‥ 유리 기판, 12‥ 액정 패널,
13‥ 구동 IC 칩, 14, 25‥ FPC, 15‥ 액정, 17‥ Y전극,
18‥ X전극, 20‥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 21‥ 광원,
22‥ 포토센서, 23‥ 전위 조정부, 24‥ 지그부,
26‥ 클램프 장치, 28‥ 커버, 30‥ 영상 신호 발생부,
31‥ 신호 처리부, 32‥ 지령부, 33‥ 전위 설정부,
40‥ 도광체, 41‥ 발광 다이오드, 45‥ 화소,
46‥ 반사부, 47‥ 투과부, 48‥ 차광체,
49‥ 액정 표시 장치용 검사 조정 장치, 50‥ 화면 검사부,
51‥ 액정 전류 측정부, 52‥ RGB 가변 검사부, 53‥ 마우스,
54‥ 스크롤, 55‥ 좌측 버튼.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0-249998호 공보(제3면, 도 11)
본 발명은, 매트릭스형으로 화소가 배치된 액정 표시 장치의 플리커 (flicker)를 최소로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사형의 액정 패널에 대하여, 패널 앞면으로부터 광을 조사(照射)하고, 각 화소의 반사광의 강도에 따라 표시되는 화상의 품질을 검사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가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검사 장치에서는, 도광판(導光板)(11)과, 반사판(13)을 가지는 형광등(12)으로 이루어지는 패널형 조명기(照明器)(10)가 검사용 액정 패널(20)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광판(11)의 액정 패널(20)로부터 이격된 면에는 단면이 쐐기형인 복수개의 홈부(14a, 14b, ‥‥ 14n)가, 형광등(1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20)의 표시 상태를 검사할 때, 액정 패널(20)을 패널형 조명기(10)로 조사한 상태에서 구동 회로에 구동 신호를 부여하고, 액정 패널(20)에 테스트 화상을 표시시켜 검사원이 테스트 화상을 관찰하고 있다. 이 때, 형광등(12)으로부터의 광속(光束)은, 도광판(11)에 입사되고, 각 홈부(14)의 반사면(15)에 입사된 광속은, 대략 90도 굴곡되어 액정 패널(20)의 각 화소에 입사된다. 광을 투과시키는 상태의 각 화소를 통과한 광속은 아래쪽 전극(26)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각 화소를 통과하여 도광판(11)에 입사되고,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작은 반사면(15)을 통과하여 패널형 조명기(10)의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사출(射出)되어 화상이 검사원에 의해 관찰된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서는, 패널형 조명기(10)의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출력되는 화상을 작업원이 육안으로 관찰하여 양부(良否)를 판정하므로, 제품에 불균일이 생기는 동시에, 작업원의 눈이 피로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테스트 화상 도광판(11)에 복수개의 홈을 정확하게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수광면에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되도록 배치된 포토센서에 의해 검출한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를 조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 상의 특징은, 액정 표시 장치에 조명광을 액정 패널의 앞면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원과, 수광면에 상기 조명광이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액정 패널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액정 패널 앞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포토 센서와, 상기 포토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 상의 특징은, 액정 표시 장치에 조명광을 액정 패널의 앞면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원과, 수광면에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액정 패널 앞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포토 센서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상기 수광면에 직접 입사되지 않도록, 상기 광원과 상기 수광면 사이에 배치된 차광체(遮光體)와, 상기 포토센서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에 따 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 상의 특징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상기 포토센서의 주위에 배치된 도광체(導光體)와, 상기 도광체를 발광시키는 발광체로서 광량이 전류에 의해 제어되는 발광체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 상의 특징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및 상기 포토 센서가 차광 부재로 형성된 커버의 천정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포토센서의 수광면이 광원으로부터 액정 표시 장치에 근접되어 있으므로, 수광면에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직접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된다. 이 포토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가 조정된다. 이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으로부터 조명광이 포토센서의 수광면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액정 표시 장치의 투광(透光) 상태의 화소 전극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량의 변화를 고감도로 검출하여,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광원과 포토센서의 수광면 사이에 차광체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광면에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직접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된다. 이 포토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가 조정된다. 이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으로부터 포토센서의 수광면에 직접 입사되는 조명광을 확실하게 차단하고, 액정 표시 장치의 투광 상태의 화소 전극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량의 변화를 고감도로 검출하여,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포토센서의 주위에 배치된 도광체는, 발광 다이오드, LED, 백열 램프, 할로겐 램프 등의 발광체로서 광량이 전류 제어 등 광원의 파장이 바뀌지 않으므로, 광의 어른거림이 없는 방법으로 제어되는 발광체로부터의 광에 의해 발광되므로,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이 포토 센서의 수광면에 주위로부터 입사된다. 이로써, 반사광에 얼룩이 없어져, 반사광량의 변화를 고정밀도로 검출하므로,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광원 및 포토센서가 차광 부재로 형성된 커버의 천정에 장착되고, 이 커버에 의해 액정 패널 앞면을 가린 상태에서, 액정 패널 앞면에 조명광을 조사하므로,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을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단한 상태로 포토센서의 수광면에 입사시킬 수 있으므로, 반사광의 변화를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조정 장치에 의해 공통 전극의 전위를 조정되는 액정 표시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기판(11)과, 유리 기판 (11)의 중앙에 설치된 액정 패널(12)과, 유리 기판(11)의 둘레부에 압착된 구동 IC 칩(13) 및 FPC(Flexible Printed Circuit)(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FPC(14)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렉시블 기판에 전자 회로가 형성된 것이며, 그 불투명 전극부는,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테이프 등의 이방성(異方性) 도전막을 개재하여 유리 기판(11)의 투명 전극부에 장착된다.
액정 패널(12)은,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유리 기판(11a, 11b) 사이에 배향막을 통하여 액정(15)이 충전되고, 상측 유리 기판(11a)의 하면에 컬러 필터(16)를 개재하여 복수개의 투명 Y전극(17)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아래쪽 유리 기판(11b)의 상면에 복수개의 X전극(18)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액정(15)이 매트릭스형으로 복수개 화소로 분할되어 있다. 상측 및 하측 유리 기판(11a, 11b)의 상면 및 하면에는 편광 필터(19a, 19b)가 설치되어 있다. X전극(18)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화소(45)에 대응하여 반사부(46)와 투과부(47)가 설치되어 있고, 반사부(46)는 알루미늄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Y전극 및 각 X전극(17, 18)은, 구동 IC 칩(13)에 접속되고, 구동 IC 칩(13)은 FPC(14)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IC 칩(13)의 작동에 의해 액정 패널(12)의 X전극은 차례로 공통 전극에 접속되고, Y전극(17)에는 1프레임마다 플러스 마이너스의 제어 전압이 차례로 인가되고, 공통 전극에 접속된 X전극과, 전압이 인가된 Y전극(17)이 교차하는 화소가 투광 상태로 된다. 이로써, 액정 패널(12)이 앞면, 즉 상측 유리 기판(11a) 측으로부터 광원에 의해 조사되면, 조명광은, 투광 상태의 화소에서는 X전극의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액정 패널(12)의 앞면으로부터 사출된다. 또 , 액정 패널(12)이 배면, 즉 아래쪽 유리 기판(11b) 측으로부터 백라이트에 의해 조사되면, 조명광은, 투광 상태의 화소에서는 X전극의 투과부를 통과하여 액정 패널(12)의 앞면으로부터 사출된다.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20)는, 백라이트를 장착하기 전 상태의 액정 표시 장치(10)의 액정 패널(12)의 앞면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광원(21)과, 액정 패널(12)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하는 포토 센서(22)와, 포토센서(22)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10)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조정하는 전위 조정부(23)를 구비한 본체부(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를 장착한 상태의 액정 표시 장치(10)에 있어서, 백라이트를 점등하지 않고, 액정 패널(12)의 앞면에 조명광을 광원(21)에 의해 조사하고, 포토센서(22)에 의해 검출된 액정 패널(12)로부터의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10)의 공통 전극을 조정해도 된다.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20)의 지그부(24)에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FPC(14)의 전극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을 구비한 FPC(25)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FPC(14),(16)의 전극이 맞닿도록 지그부(24)에 위치 결정되어 탑재되고, FPC(25)가 클램프 장치(26)에 의해 FPC(14)에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전위 조정부(23)에 접속된다. 전위 조정부(23)와 지그부(24)는 케이블(2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조정할 때, 지그부(24)에 장착된 액정 표시 장치(10)의 액정 패널(12)의 앞면에 조명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천정에 광원(21) 및 포토 센서(22)가 장착된 상자형의 커버(28)가, 액정 패널 페널(12)의 앞면을 덮도록 액정 표시 장치(10)에 씌워진다. 커버(28)는, 상자형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광이 들어가지 않도록 흑색의 차광(遮光)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광원(21)으로서는, 포토 센서(22)의 감도가 좋은 파장의 광을 발하는 백색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토센서(22)는, 광원(21)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수광면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정 패널(12)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되도록, 수광면이 광원(21)으로부터 액정 패널(12)에 가깝게 되는 위치에 커버(28)의 천정에 장착되어 있다.
전위 조정부(23)는, 액정 패널(12)에 플리커의 검출에 적합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러한 영상 신호를 발생하여 액정 표시 장치(10)의 구동 IC 칩(13)에 송출하는 영상 신호 발생부(30), 포토 센서(22)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처리하여 플리커의 크기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31), 액정 표시 장치(10)의 공통 전극에 인가하는 공통 전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동 IC 칩(13)에 지령하는 지령부(32), 및 지령부(32)가 구동 IC 칩(13)에 지령한 공통 전위와, 그 때 신호 출력부(31)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었을 때의 공통 전위를 구동 IC 칩(13)에 세트하는 전위 설정부(3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지령부(32)는, 마우스(53)로부터 스크롤(54)의 회전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액정 표시 장치(10)의 공통 전극에 인가하는 공통 전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동 IC 칩(13)에 지령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20)의 작동에 대하 여 설명한다. 공통 전극의 전위가 조정되는 액정 표시 장치(10)가, 지그부(24)에 위치 결정되어 탑재되고, FPC(25)가 클램프 장치(26)에 의해 FPC(14)에 압력접촉되고, 액정 표시 장치(10)가 본체부(29)에 접속된다. 마우스(53)의 좌측 버튼(55)이 길게 가압되면, 지령부(32)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원 스위치를 온시킨다. 커버(28)가, 액정 패널(12)의 앞면을 덮도록 액정 표시 장치(10)에 씌워진다. 마우스(53)의 좌측 버튼(55)이 클릭(좌측 클릭)되면 지령부(32)는 전위 조정부(23)를 작동시키고, 광원(21)을 발광시켜, 액정 패널(12)의 앞면을 조명광에 의해 조사한다. 이 때, 포토 센서(22)는 수광면이 광원(21)으로부터 액정 패널(12)에 가까운 위치에서 액정 패널(12)의 앞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광원(21)으로부터의 조명광이 포토센서(22)의 수광면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28)에 의해 액정 패널(12)의 앞면이 덮힌 상태에서, 액정 패널(12)의 앞면에 조명광이 조사되므로, 액정 패널(12)로부터의 반사광은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단한 상태로 포토 센서(22)의 수광면에 입사되므로, 반사광의 변화를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다.
지령부(32)는 영상 신호 발생부(30)에 영상 신호 발생 지령을 송출하고, 영상 신호 발생부(30)는 플리커의 검출에 적합한 영상의 영상 신호를 발생하여 액정 표시 장치(10)의 구동 IC 칩(13)에 FPC(25),(14)를 통하여 송출한다. 구동 IC 칩(13)은, 영상 신호에 따라 액정 패널(12)의 X전극(18)을 공통 전극에 1프레임 주기로 차례로 접속하고, Y전극(17)에 제어 전압을 1수평 주기로 차례로 인가함으로써, 영상이 액정 패널(12)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 때, 공통 전극에 접속된 X전극(18) 과, 전압이 인가된 Y전극(17)이 교차하는 화소에서는 투광 상태로 되어, 액정 패널(12)에 입사된 조명광이 X전극(18)의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밝아지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Y전극(17)에 대응하는 화소에서는 조명광이 X전극(18)의 반사부에 도달하지 않고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검게 된다. 그리고, Y전극(17)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은, 1프레임마다 플러스 마이너스 교대로 바뀌는 교류 전압이므로, 플러스 마이너스의 제어 전압이 상이하면, 1프레임마다 화면의 밝기가 상이하여 플리커가 생긴다. 이 플리커는, X전극(18)이 차례로 접속되는 공통 전극의 공통 전위를 조정함으로써 작게 할 수 있다.
지령부(32)에 마우스(53)로부터 스크롤(54)의 회전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지령부(32)는 신호를 구동 IC 칩(13)의 공통 전위 설정 단자에 입력하고, 구동 IC 칩(13)의 공통 전위가 신호의 입력마다 변위된다. 1프레임 주기는, 지령부(3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간격보다 충분히 작으므로, 각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의 각 공통 전위에서의 플리커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신호 출력부(31)는, 포토 센서(22)로부터 출력되는 액정 패널(12)로부터의 반사광량에 따른 검출 전류를 전류·전압 변환 회로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한다. 플리커가 있는 영상을 포토 센서(22)로 검출한 경우, 전류·전압 변환 회로의 출력은, 도 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리커에 따라 미약하게 변화되는 검출 전압(35)으로 된다. 검출 전압(35)은, 교류 재생 회로에 의해 직류 성분이 제거되어 도 5 (b)에 나타낸 파형 전압(36)으로 되고, 증폭 회로에 의해 도 5 (c)의 증폭 파형 전압(37)과 같이 증폭된다. 신호 출력부(31)는, 증폭 파형 전압(37)에 대하여 1프레 임 주기마다의 최대 피크값과 최소 피크값(Peak to Peak)의 차분값을 피크값 홀드 회로에 의해 검출하고, 이 차분값을 플리커의 크기에 따른 신호로서 출력한다. 전위 설정부(33)에서는, 1프레임 주기마다의 차분값을 차례로 기억하고, 마우스(53)로부터 연속하여 송출된 각 신호에 따라 구동 IC 칩(13)에 설정된 각 공통 전위에서의 1프레임 주기마다의 차분값을 비교하고, 차분값이 최소로 되었을 때의 공통 전압을 구동 IC 칩(13)의 공통 전위 설정부로 설정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원(21)으로부터의 조명광이 포토센서(22)의 수광면에 직접 입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포토 센서(22)를 광원(21)으로부터 액정 패널(12)에 가까운 위치에서 액정 패널(12)의 앞면에 대향하여 배치하고 있지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21)과 포토 센서(22)의 수광면 사이에 차광체(48)를 배치해도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센서(22)의 주위에 환형(環形)의 도광체(40)를 배치하고, 도광체(40)에 발광 다이오드(41)가 발하는 광을 외주면의 복수 개소, 예를 들면, 직경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로부터 도입하여 도광체(40)를 발광시킴으로써 광원(21)을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포토센서(22)의 주위에 배치된 도광체(40)를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의 광에 의해 발광시킴으로써, 액정 패널(12)로부터의 반사광이 포토 센서(22)의 수광면에 주위로부터 입사되어, 반사광에 얼룩이 없어져, 반사광량의 변화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도광체(40)를 발광시키는 발광체는, 발광 다이오드(41)에 한정되지 않고, LED, 백열 램프, 할로겐 램프 등, 광량이 전류에 의해 제어되는 발광체라면 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용 검사 조정 장치(49)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용 검사 조정 장치(49)에는, 작업자가 화면을 보고 휘점(輝點), 흑점, 먼지 등의 유무를 검사하기 위하여, 액정 패널(12)의 모든 화소(45)를 투광 상태로 하는 화면 검사부(50)와, 액정 패널(12)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한 액정 전류 측정부(51)와, 액정 패널(12)에 표시되는 영상의 RGB치를 변화시키고 작업자가 화면을 보고 휘점, 흑점, 먼지 등의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RGB 가변 검사부(52)가, 본체부(29)에 전위 조정부(32)와 병설되고, 지령부(32), 지령부(32)에 접속된 마우스(53), 및 영상 신호 발생부(30)를 전위 조정부(32)와 공용한다.
검사 조정 작동시에 마우스(53)의 좌측 버튼(55)이 길게 가압되면, 지령부(32)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는 온시키고, 온일 경우에는 오프시킨다. 지령부(32)는, 마우스(53)가 좌측 클릭된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화면 검사부(50), 전위 조정부(32), 액정 전류 측정부(51), RGB 가변 검사부(52)의 순서로 작동 개시 지령을 송출하여 실행되는 작동의 종류를 하나 진행하고, 우측 버튼(55)이 클릭(우측 클릭)될 때마다, 역순으로 작동 개시 지령을 송출하여 실행되는 작동의 종류를 하나 되돌린다. 지령부(32)는, 마우스(53)로부터 스크롤(54)의 회전 신호 또는 마우스(53)의 X축 이동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전위 조정부(52)가 작동중에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공통 전극에 인가하는 공통 전위를 변화시키고, RGB 가변 검사부(52)가 작동중에는 RGB 레벨을 변화시킨다.
액정 표시 장치용 검사 조정 장치(49)에 각종 작동을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의 버전업 시에, 마우스(53)의 스크롤(54)이 회전되면, 본체부(10)에 접속된 표시 부에 표시된 항목이 선택되고, 좌측 클릭되면 선택 항목이 결정된다. 우측 클릭되면 선택 항목의 결정이 캔슬된다.
다음에, 액정 표시 장치용 검사 조정 장치(49)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 동작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가 지그부(24)에 위치 결정되어 탑재되고, 본체부(2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세트되고(스텝 S1), 마우스(53)의 좌측 버튼(55)이 길게 가압되면, 지령부(32)가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원을 온시킨다(스텝 S2). 전원이 온되면, 화면 검사부(50)가 작동되어 검사 영상 신호 발생 지령을 영상 신호 발생부(30)에 송출하고, 영상 신호 발생부(30)는, 모든 화소(45)를 투광 상태로 하는 검사 영상 신호를 발생하여 액정 표시 장치(10)의 구동 IC 칩(13)에 FPC(25, 14)를 통하여 송출한다. 작업자는 액정 패널(12)의 영상을 보고 휘점, 흑점, 먼지 등의 유무를 검사한다(스텝 S3).
마우스(53)가 좌측 클릭되면(스텝 S4), 지령부(32)는 전위 조정부(23)를 작동시키고, 전위 조정부(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10)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조정한다(스텝 S5).
마우스(53)가 좌측 클릭되면(스텝 S6), 지령부(32)는 액정 전류 측정부(51)을 작동시키고, 액정 전류 측정부(51)는 Y전극(17)과 X전극(18)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스텝 S7).
마우스(53)가 좌측 클릭되면(스텝 S8), 지령부(32)는 RGB 가변 검사부(52)를 작동시킨다. RGB 가변 검사부(52)는, 모든 화소(45)를 투광 상태로 하여, 스크롤(54)의 회전 신호에 따라 RGB치를 변화시켜, 적, 녹, 청의 정도를 변화시킨 영상을 액정 패널(12)에 표시시킨다. 작업자는 액정 패널(12)의 영상을 보고 휘점, 흑점, 먼지 등의 유무를 검사한다(스텝 S9). 마우스(53)가 좌측 클릭되면(스텝 S10), 일련의 검사 조정이 종료하고, 지령부(32)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스텝 S11).
스텝 S5까지 도 9와 같은 작동을 행하고, 그 후, 복귀 동작하여 검사 영상의 액정 패널(12)로의 표시 및 액정 표시 장치(10)의 공통 전극의 전위 조정을 재차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5가 종료후, 마우스(53)가 우측 클릭된다(스텝 S12). 마우스(53)의 우측 클릭에 의해 각종 작동의 실행 순서가 하나 되돌려져 화면 검사부(50)가 재작동되어 검사 영상 신호가 액정 표시 장치(10)에 송출된다. 작업자는 액정 패널(12)의 영상을 보고 휘점, 흑점, 먼지 등의 유무를 재검사한다(스텝 S13). 마우스(53)가 좌측 클릭되면(스텝 S14), 지령부(32)는 전위 조정부(23)에 액정 표시 장치(10)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재조정시킨다(스텝 S15). 마우스(53)가 좌측 클릭되면(스텝 S16), 지령부(32)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원을 오프시켜 작동을 종료시킨다(스텝 S17).
스텝 S7까지 도 9와 같은 작동을 행하고, 전류 측정의 도중에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원을 끄는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7의 전류 측정 중에 좌측 버튼(55)이 길게 눌러진다(스텝 S18). 좌측 버튼(55)을 길게 누름으로써 지령부(32)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원을 오프시켜 작동을 종료시킨다(스텝 S19).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용 검사 조정 장치(49)에 각종 작 동을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버전업하는 경우, 본체부(29)에 설치된 DIPSW를 버전업 모드로 설정하고, 본체부(10)의 전원을 넣는다(스텝 S21). 본체부(10)에 접속된 표시부에, 펌웨어의 버전업인가, 파라미터의 버전업인가의 항목이 표시되므로(스텝 S22), 마우스(53)의 스크롤(54)을 회전하여 항목을 선택하고(스텝 S23), 좌측 클릭하여 항목을 결정한다(스텝 S24). 결정하면 표시부에 버전업의 파일이 표시되므로(스텝 S25), 스크롤(54)를 회전시켜 파일을 선택하고(스텝 S26). 좌측 클릭하여 파일을 결정한다(스텝 S27). 이로써, 버전업이 실행된다(스텝 S28). 그리고, 선택한 것을 캔슬할 경우에는, 마우스(53)를 우측 클릭한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용 검사 조정 장치(49)에 각종 작동을 행하게 하는 지령 조작을, 한 손의 손바닥 중 마우스(53)를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 버튼 등의 존재 위치, 조작 스텝 등을 의식하지 않고, 각종 작동을 행하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검사 조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포토센서의 수광면이 광원으로부터 액정 표시 장치에 근접되어 있으므로, 수광면에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직접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한다. 이 포토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가 조정된다. 이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으로부터 조명광이 포토센서의 수광면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액정 표시 장치의 투광 상태의 화소 전극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량의 변화를 고감도로 검출하여, 플리 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광원과 포토센서의 수광면 사이에 차광체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광면에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직접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한다. 이 포토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가 조정된다. 이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으로부터 포토센서의 수광면에 직접 입사되는 조명광을 확실하게 차단하고, 액정 표시 장치의 투광 상태의 화소 전극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량의 변화를 고감도로 검출하여,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포토센서의 주위에 배치된 도광체는, 발광 다이오드, LED, 백열 램프, 할로겐 램프 등의 발광체로서 광량이 전류 제어 등 광원의 파장이 바뀌지 않으므로, 광의 어른거림이 없는 방법으로 제어되는 발광체로부터의 광에 의해 발광되므로,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이 포토 센서의 수광면에 주위로부터 입사한다. 이로써, 반사광에 얼룩이 없어져, 반사광량의 변화를 고정밀도로 검출하므로,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광원 및 포토센서가 차광 부재로 형성된 커버의 천정에 장착되고, 이 커버에 의해 액정 패널 앞면을 가린 상태에서, 액정 패널 앞면에 조명광을 조사하므로,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을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단한 상태로 포토센서의 수광면에 입사시킬 수 있으므로, 반사광의 변화를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다.

Claims (4)

  1. 액정 표시 장치에 조명광(照明光)을 액정 패널의 앞면으로부터 조사(照射)하는 광원과,
    수광면(受光面)에 상기 조명광이 직접 입사(入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액정 패널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액정 패널 앞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포토 센서와,
    상기 포토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flicker)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조정하는 조정 수단
    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
  2. 액정 표시 장치에 조명광을 액정 패널의 앞면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원과,
    수광면에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액정 패널 앞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포토 센서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상기 수광면에 직접 입사되지 않도록 상기 광원과 상기 수광면 사이에 배치된 차광체(遮光體)와,
    상기 포토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에 따라 플리커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의 전위를 조정하는 조정 수단
    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포토센서의 주위에 배치된 도광체(導光體)와, 상기 도광체를 발광시키며, 광량이 전류에 의해 제어되는 발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및 상기 포토센서는 차광(遮光) 부재로 형성된 커버의 천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
KR1020060003475A 2005-01-17 2006-01-12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 KR20060083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8963 2005-01-17
JP2005008963A JP2006195351A (ja) 2005-01-17 2005-01-17 液晶表示装置用調整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870A true KR20060083870A (ko) 2006-07-21

Family

ID=3680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475A KR20060083870A (ko) 2005-01-17 2006-01-12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195351A (ko)
KR (1) KR20060083870A (ko)
CN (1) CN10045852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6234A (ja) * 2006-04-14 2007-11-01 Seiko Epson Corp 照明システム、照明装置、及び、反射型表示体
JP2011002745A (ja) * 2009-06-22 2011-01-06 Victor Co Of Japan Ltd 光変調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CN107123398A (zh) * 2017-03-21 2017-09-01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屏的vcom电压调整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3687A (ja) * 1993-08-24 1995-03-10 Fuji Xerox Co Ltd 表面層欠陥検出装置
JP3559392B2 (ja) * 1996-07-03 2004-09-0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光学部材検査装置
JP2000249998A (ja) * 1999-03-02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検査用照明装置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検査方法
US6795137B1 (en) * 1999-04-26 2004-09-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ransmissive display devices
JP2002162934A (ja) * 2000-09-29 2002-06-07 Eastman Kodak Co 発光フィードバックの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JP2002148618A (ja) * 2000-11-15 2002-05-22 Heiwa Corp 液晶表示器調整装置、及びこの液晶表示器調整装置により調整された液晶表示器を備える遊技機
MXPA02007367A (es) * 2000-11-30 2002-12-09 Thomson Licensing Sa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ar el voltaje del electrodo de modo comun en pantallas de cristal liquido/pantallas de cristal liquido sobre silicio.
JP2002366055A (ja) * 2001-06-12 2002-12-2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3140631A (ja) * 2001-11-02 2003-05-16 Nec Saitama Ltd 表示装置の輝度制御方式
KR20030092552A (ko) * 2002-05-30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6710318B2 (en) * 2002-06-28 2004-03-23 Kinpo Electronics, Inc. Brightness feedback display device
JP2004191588A (ja) * 2002-12-10 2004-07-08 Fuji Photo Film Co Ltd 液晶表示器の共通電極電位調整装置
US7026597B2 (en) * 2003-04-09 2006-04-11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 with integrated elongated photosensor
TW594257B (en) * 2003-05-23 2004-06-21 Au Optronics Corp Direct-type backlight module having photo sen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58526C (zh) 2009-02-04
JP2006195351A (ja) 2006-07-27
CN1808243A (zh)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8296B2 (ja) 表示パネルモジュールおよび表示装置
KR101346867B1 (ko) 입력장치
US8581892B2 (en) Optical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position detecting function
KR101365293B1 (ko) 백라이트 장치 및 컬러 화상 표시 장치
KR100955486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4719284B2 (ja) 表面検査装置
US9030443B2 (en) Optical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position detecting function
US2007022274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unit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8654101B2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electro-optical device
TWI496057B (zh) 光學觸控系統及觸控偵測方法
JP2006323311A (ja) 表示装置
TW201346250A (zh) 光學複檢系統及其檢測方法
JP2008186374A (ja) 光学式タッチパネル
JP2013152207A (ja)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20130079140A (ko) 조명 장치, 조명 방법 및 검사 장치
US20100225581A1 (en) Optical position detecting device, display device with position detecting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JPH11260572A (ja) 照明装置
KR20060083870A (ko) 액정 표시 장치용 조정 장치
KR101799514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JP2008298834A (ja) 液晶表示装置
JP2007240627A (ja) 液晶表示装置用調整装置
JP5217298B2 (ja) Fpdドット欠陥検査方法及び装置
CN1327149A (zh) 用来检测平面光源所发出的光线的检测装置
KR101008420B1 (ko) Led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JP2008083465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