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712A -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712A
KR20060083712A KR1020050004628A KR20050004628A KR20060083712A KR 20060083712 A KR20060083712 A KR 20060083712A KR 1020050004628 A KR1020050004628 A KR 1020050004628A KR 20050004628 A KR20050004628 A KR 20050004628A KR 20060083712 A KR20060083712 A KR 20060083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substrate
dummy
tft
color filt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혁
구동성
주한진
이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3712A/ko
Publication of KR2006008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갭 오차가 줄어든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은 분리되지 않은 다수의 TFT 기판이 형성된 TFT 모기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각 TFT 기판에 대응하는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고 그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의 실 패턴들과, 다수의 실 패턴들 주변에 상기 실 패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더미 실 패턴이 형성된 컬러 필터 모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더미 실 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 실 패턴, 더미 실 패턴, 실런트, 기판 합착

Description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기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기판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의 제조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TFT 모기판 200: 컬러 필터 모기판
110: 실 패턴 120: 더미 실 패턴
본 발명은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갭 오차(gap difference)가 줄어든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제조 공정은 TFT 모기판 제조 공정, 컬러 필터 모기판 제조 공정, 액정 패널 제조 공정 및 모듈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액정 패널 제조 공정은 서로 다른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된 TFT 모기판과 컬러 필터 모기판을 합착하여 모기판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이를 제품 단위의 액정 패널로 절단하며, 절단된 각 액정 패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TFT 모기판과 컬러 필터 모기판을 합착하는 공정은, 컬러 필터 모기판에서 중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액정 패널이 형성되는 영역(이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서 각 액정 패널의 화소 영역 주변을 둘러싸되 이후 액정 주입 공정을 고려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실 패턴(seal pattern)을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액티브 영역의 주변 영역(이하 '더미 영역(dummy area)')에 더미 실 패턴(dummy seal pattern)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실 패턴 및 더미 실 패턴이 형성된 컬러 필터 모기판과 TFT 모기판을 정렬하여 결합시키는 단계와, 결합된 두 모기판, 즉 모기판 어셈블리에 핫 프레스(hot press) 공정을 실시하여 실 패턴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더미 실 패턴은 핫 프레스 공정 시 모기판 어셈블리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출구를 확보하고 두 모기판 간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더미 영역에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합착 공정 후에는 제거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서 실 패턴은 가스 배출구(후에 액정 주입구로 쓰이는 개구부)가 좁은 반면 더미 실 패턴은 'ㄷ'자 형태로 개방된 가스 배출구를 가진다. 따라서 핫 프레스 공정 시 모기판 어셈블리에 동일한 열과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실 패턴과 더미 영역에 형성된 더미 실 패턴은 상대적으로 다른 압력을 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상대적 압력차는 기판 간의 갭의 길이가 뷸균일하게 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불량을 유발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기판 합착 공정 시 두 모기판 사이의 갭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은 분리되지 않은 다수의 TFT 기판이 형성된 TFT 모기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각 TFT 기판에 대응하는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고 그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의 실 패턴들과, 다수의 실 패턴들 주변에 상기 실 패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더미 실 패턴이 형성된 컬러 필터 모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더미 실 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은 다수의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 모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각 컬러 필터 기판에 대응하는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고 그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의 실 패턴들과, 다수의 실 패턴들 주변에 실 패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더미 실 패턴이 형성된 TFT 모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더미 실 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기판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기판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모기판 어셈블리(10)는 TFT 모기판(100) 및 컬러 필터 모기판(200)을 포함한다.
TFT 모기판(100)은 다수개의 스위칭 소자로서의 TFT 및 화소 전극 등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TFT 어레이가 투명 모기판, 가령 유리 모기판 상에 다수개 형성되고, 그 위에 배향막이 형성된 기판이다.
한편, TFT 모기판(100) 및 컬러 필터 모기판(200)은 적어도 하나의 액정 패널이 형성되는 영역(이하, '액티브 영역')(A)과 액정 패널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하, '더미 영역')(D)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은 TFT 모기판(100) 및 컬러 필터 모기판(200)이 합착된 모기판 어셈블리(10)가 커팅될 때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액정 패널 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TFT 모기판(100)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액티브 영역(A)에는 실 패턴(110)이, 컬러 필터 모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컬러 필터 어레이들 각각에 대응하는 각 액정 패널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실 패턴(110)의 일측에는 핫 프레스 공정 시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배출될 수 있고 이후 액정 주입 공정 시 액정이 주입되는 통로로 활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부연하면 다수의 컬러 필터 어레이들 각각은 TFT 모기판(100)에 형성된 다수의 TFT 어레이에도 대응한다.
한편, 실 패턴(110)은 스페이서와 더불어 TFT 모기판(100) 및 컬러 필터 모기판(200) 사이의 갭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커팅(cutting) 후 얻은 액정 패널의 측벽으로서 역할을 하며 주입된 액정이 새지 않도록 봉지(encapsulation)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 패턴(110)은 열 결화성 수지 등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미 영역(D)은 TFT 모기판(100) 및 컬러 필터 모기판(200)이 합착된 모기판 어셈블리(10)가 커팅될 때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액정 패널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더미 영역(D)은 이후 커팅 공정에서 제거된다. 이러한 더미 영역(D)은 액티브 영역(A)의 외곽부에 형성되며 이 영역(D)에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실 패턴(120)이 실 패턴(1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더미 영역(D)에 형성된 더미 실 패턴(120)은 스페이서와 더불어 TFT 모기판(100) 및 컬러 필터 모기판(200) 사이의 갭을 유지시킨다. 또한 실 패턴(110) 및 더미 실 패턴(120)의 개구부는 핫 프레스 공정 시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 구를 확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스페이서는 실 패턴(110) 및 더미 실 패턴(120)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액정 패널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TFT 모기판(100) 또는 컬러 필터 모기판(200)에 별도로 산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 패턴(110) 및 더미 실 패턴(120)을 TFT 모기판(100)에 형성시킨 경우에는 컬러 필터 모기판(200)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컬러 필터 모기판(200)에 실 패턴(110) 및 더미 실 패턴(120)을 형성한 경우에는 스페이서를 TFT 모기판(100)에 산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 필터 모기판(200)은 액정 표시 장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적(R), 녹(G), 청(B)의 컬러 필터가 투명 모기판, 가령 유리 모기판 상에 일정한 배열 형태에 따라 형성된 기판이다. 컬러 필터 기판은 RGB 컬러 필터 패턴뿐만 아니라 단위 액정 셀 사이의 광을 차단하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와 액정 셀에 화소 전극을 인가하기 위한 공통 화소 전극, 가령 인듐 주석 산화물(ITO) 박막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화소 전극 상에는 TFT 모기판(100)과 마찬가지로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TFT 모기판(100) 및 컬러 필터 모기판(200)은 정렬(alignment)된 후 결합된다.
도 2는 도 1의 모기판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TFT 모기판(100) 및 컬러 필터 모기판(200)에 결합되어 형성된 모기판 어셈블리(10)의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두 기판(100, 200) 사 이에 형성된 액티브 영역(A)과 더미 영역(D)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 패턴(110) 및 더미 실 패턴(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 모기판(100, 200)을 결합하고 나면, 실 패턴(110) 및 더미 실 패턴(120)을 경화시키기 위해 핫 프레스 공정(hot press process)을 수행하게 된다.
B 부분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시피, 핫 프레스 공정 시, 모기판 어셈블리(10) 전면(全面)에는 일정한 열 및 압력을 받게 되고, 이러한 열 및 압력을 받은 모기판 어셈블리(10) 내의 여러 물질, 가령 스페이서, 실 패턴(110), 더미 실 패턴(120)는 경화되면서 소정의 가스(G)를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더미 영역(D)에 형성된 더미 셀(120)은 두 모기판(100, 200) 간의 갭 유지를 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G)가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일정 부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더미 셀(120)이 없다면 두 모기판(100, 200)의 최외각부, 즉 더미 영역(D)는 핫 프레스 공정 시 협착되어 내부의 가스(G)가 모기판 어셈블리(10)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된다.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한 가스(G)는 핫 프레스 공정 시 모기판 어셈블리(10) 내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작용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두 모기판(100, 200)의 갭을 증가시키고 만들고 결과적으로 모기판 어셈블리(10)의 불량을 초래한다.
또 종래의 경우와 같이 더미 영역(D)에 더미 실 패턴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 경우, 핫 프레스 공정시 액티브 영역(A)에 액정 주입을 위한 작은 개구부를 통해 가스(G)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실 패턴(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압력을 받는다. 핫 프레스 공정 시 모기판 어셈블리(10) 전면 에 동일한 열 및 압력이 전달된다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액티브 영역(A)에는 많은 압력이 작용하고 더미 영역(D)에는 적은 압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은 결과 역시 제품 단위로서의 액정 패널의 품질, 가령 셀 갭 유지, 뉴톤 링 형성, 화면 균일성(uniformity) 등에 악영향을 미친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실 패턴(120)은 실 패턴(110)과 동일한 모양 또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핫 프레스 공정시 발생 할 수 있는 상대적인 압력차를 줄일 수 있고, 제품 단위로서의 액정 패널의 품질 가령 셀 갭 유지, 뉴톤 링 형성, 화면 균일성(uniformity) 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기판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2의 모기판 어셈블리의 제조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액정 패널을 제조하기 위해서 TFT 모기판과 컬러 필터 모기판을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수행한다.
먼저, TFT 모기판을 마련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TFT 모기판에 배향막을 형성한다(S100). 배향막 형성 공정(S100)은 TFT 모기판 및 컬러 필터 모기판의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 상에 균일한 배향막을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배향막 형성 공정(S100)과 후술할 러빙 공정(S102)에 의한 표면 처리 상태에 따라 액정 패널의 전기광학적 특성이 좌우된다. 배향막은 주로 ITO(Indium Tin Oxide) 등으로 형성되며, 우수한 접착 특성을 가져야 하고, 200℃ 이하에서 1000Å 이하의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 액정과의 반응이 없어야 하고, 전기적 특성은 차지 트랩(charge trap)이 없어야 하며, 비저항이 충분히 높아 액정 셀의 동작에 영향이 없어야 한다.
계속하여, 배향막이 형성된 TFT 모기판을 러빙(rubbing)한다(S102). 러빙 공정(S102)은 면이나 나일론계의 섬유가 식모된 부드러운 천으로 배향막을 한방향으로 러빙하여 이후 주입되는 액정의 분자들이 배향막 표면에서 일정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러빙 공정(S102)을 수행하는 이유는, 배향막이 불균일하게 배향되면, 국소적으로 서로 다른 전기 광학적 특성이 나타나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에서 얼룩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계속하여, TFT 모기판(S104)에 실 패턴 형성 공정을 수행한다(S104). 이는 컬러 필터 모기판 상에 열 경화 수지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실 패턴 및 더미 실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하는 스크린 마스크 인쇄법(screen mask print)과 실런트 디스펜서(sealant dispenser)로 실런트를 도로잉(drawing)하여 실 패턴을 형성하는 실런트 디스펜스(sealant dispense)법이 사용될 수 있다.
실 패턴은 컬러 필터 모기판 및 TFT 모기판이 합착된 모기판 어셈블리가 커팅될 때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액정 패널이 형성되는 영역인 액티브 영역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실 패턴을 각각의 액정 패널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시키되, 일측에 소정의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만든다. 소정의 개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핫 프레스 공정시 모기판 어셈블리 내에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되며, 이후 액정 공정시 액정이 주입되는 주입구로도 사용된 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패턴의 개구부는 실 패턴의 일측의 일부만을 개방하도록 형성된다(도 1 및 도 2 참고).
더미 실 패턴은 컬러 필터 모기판 및 TFT 모기판이 합착된 모기판 어셈블리가 커팅될 때 폐기되는 더미 영역에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더미 실 패턴은 실 패턴과 동일한 모양 또는 형태로 형성시킨다.
계속하여, 컬러 필터 모기판을 마련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컬러 필터 모기판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한다(S200). 이어서, 배향막이 형성된 컬러 필터 모기판을 러빙(rubbing)한다(S202). 여기서 배향막 형성 공정(S200) 및 러빙 공정(S202)은 TFT 모기판에서의 그것들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하여, 컬러 필터 모기판에 스페이서(spacer)를 산포한다(S204). 스페이서 산포 공정(S204)은 TFT 모기판 및 컬러 필터 모기판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컬러 필터 모기판 상에 스페이서를 산포하는 공정(S204)이다. 스페이서의 산포 공정(S204)은 용매에 스페이서를 혼합하여 분사하는 습식법과 공기 또는 질소 가스등을 이용하는 건식법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스페이서는 TFT 모기판에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컬러 필터 모기판에 실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 공정(S204)이 끝나고 나면,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와 같은 쇼팅용 도전 물질로 실 패턴 외부에 쇼트(short)를 형성한다(S206).
여기서, 쇼트는 공통 화소 전극과 TFT 기판의 패드 사이에 형성되어 액정 패 널의 구동 신호가 TFT 기판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전기적인 연결 통로로 사용된다. 쇼팅 공정(S206)에서는 쇼트의 크기가 중요한 측정 요소이다. 쇼팅용 도전 물질은 액정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그 크기를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TFT 모기판 및 컬러 필터 모기판이 마련되고 나면, 두 모기판을 결합시켜 모기판 어셈블리를 얻고(S302), 이어서 모기판 어셈블리를 핫 프레스를 이용하여 실 패턴, 더미 실 패턴을 경화시켜 두 모기판을 합착한다(S304).
기판 결합(S302) 및 핫 프레스 공정(S304)은 TFT 모기판과 컬러 필터 모기판을 정렬시킨 후 열 압착(hot press)에 의해 실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실런트를 경화시켜 두 모기판을 합착시키는 공정이다.
참고로 두 모기판의 합착에 허용되는 정렬(alignment) 오차는 각 모기판의 설계시 주어지는 마진(margine) 등에 의해 결정되고, 통상적으로 셀 갭 수준이 5um 정도이다.
계속하여, 모기판 어셈블리에서 더미 실 영역을 커팅하여 기판 어셈블리를 얻고 이를 액정 패널 단위로 커팅하는 공정(S306)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커팅 공정(S306)은 실 패턴의 경화에 의해 합착됨으로써 형성된 모기판 어셈블리에서 더미 실 영역을 제거하여 기판 어셈블리를 얻고, 이어서 제품 단위로 절단하는 공정으로서, 다이아몬드 재질의 펜으로 글래스 표면에 절단선(cutting line)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scribe) 공정과 모기판 어셈블리에 물리적 충격을 가해 이를 제품 단위로 분리하는 브레이크(break) 공정으로 나뉘어 진다.
액정 주입 및 실링 공정(S308)은 액정 패널의 TFT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 사이의 공간(cell gap)에 액정을 주입한 후, 주입된 액정이 유출되지 않도록 그 주입구를 봉지하여 액정 패널을 얻는 공정이다. 액정 주입에는 액정 패널 내부를 진공으로 만든 후 외부와의 압력 차를 이용하여 액정을 주입하는 진공 주입법이 가장 널리 이용된다. 한편 액정 주입 후에는 주입구를 봉지하는데, 이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디스펜서(dispenser)로 사용하여 주입구에 주입하고 주입구에 자외선 조사하여 이루어진다.
비쥬얼 검사(S310)는 액정 패널에 흑백 상태의 화상을 표시하여 게이트 라인 및/또는 데이터 라인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흑백 상태의 화상은 다수 개의 게이트 라인 및/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된 쇼팅바(shorting bar)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된 흑백 화상은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을 통해 도트(dot), 라인(line), 유니폼(uniform) 등의 불량 여부을 확인하는 데 이용된다.
참고로 비주얼 검사 공정(S310) 후에는 액정 패널의 외관의 파손 여부 등을 검사하는 외관 테스트 공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계속하여, 액정 패널에 편광 필름을 부착한다(S312). 편광 필름 부착 공정(S312)은 비쥬얼 검사 공정(S310) 등을 통과한 양품의 액정 패널의 양쪽면에 편광 필름을 부착하는 공정(S312)이다. 편광 필름 부착 공정(S312)은 편광 필름의 접착제면의 보호막을 제거하고, 액정 패널의 정해진 위치에 편광 필름을 정렬하여 부착하고 압력을 가해 문지르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 후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쇼팅바 등을 제거하는 트리밍 공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이 끝나면, 그 이후에는 모듈 공정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TFT 모기판에 실 패턴 및 더미 실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컬러 필터 모기판 상에 실 패턴 및 더미 실 패턴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함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더미 영역에 형성시키는 더미 실 패턴을 액티브 영역에 형성시키는 실 패턴과 동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기판 합착 공정 시 두 기판 사이의 갭 오차를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분리되지 않은 다수의 TFT 기판이 형성된 TFT 모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각 TFT 기판에 대응하는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고 그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의 실 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실 패턴들 주변에 상기 실 패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더미 실 패턴이 형성된 컬러 필터 모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실 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커팅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
  2. 다수의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 모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컬러 필터 기판에 대응하는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고 그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의 실 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실 패턴들 주변에 상기 실 패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더미 실 패턴이 형성된 TFT 모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실 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커팅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 모기판 및 상기 TFT 모기판은 외부에서 가해진 열 및 압력에 의해 상기 실 패턴 및 상기 더미 실 패턴이 경화됨으로써 합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20050004628A 2005-01-18 2005-01-18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20060083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628A KR20060083712A (ko) 2005-01-18 2005-01-18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628A KR20060083712A (ko) 2005-01-18 2005-01-18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712A true KR20060083712A (ko) 2006-07-21

Family

ID=3717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628A KR20060083712A (ko) 2005-01-18 2005-01-18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37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08B1 (ko) * 2006-02-22 2007-08-23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KR101325198B1 (ko) * 2006-08-29 2013-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쇼트 패드와 이를 구비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액정표시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08B1 (ko) * 2006-02-22 2007-08-23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KR101325198B1 (ko) * 2006-08-29 2013-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쇼트 패드와 이를 구비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액정표시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9802B2 (en) Liquid crystal panel,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KR10094372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0162952A (ja) 薄膜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825811B (zh) 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10705371B2 (en) Color filter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right spot defect correc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KR100996544B1 (ko) 잉크젯 방식을 이용한 스페이서의 형성방법 및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20080001536A (ko)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47365A (ko) 액정표시패널의 절단 휠, 액정표시패널의 절단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60083712A (ko)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
US755464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00214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ed thereby
JPH10142595A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法
KR101451742B1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46421A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4719289B2 (ja) 液晶表示装置
JP3982154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084199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37877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438738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650341B1 (ko) 합착 장치
KR100685934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00266919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
KR101128175B1 (ko) 평판표시소자의 실 경화장치
KR100919201B1 (ko) 액정표시장치의 봉지 방법
KR20070080756A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