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656A -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 Google Patents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656A
KR20060082656A KR1020050003334A KR20050003334A KR20060082656A KR 20060082656 A KR20060082656 A KR 20060082656A KR 1020050003334 A KR1020050003334 A KR 1020050003334A KR 20050003334 A KR20050003334 A KR 20050003334A KR 20060082656 A KR20060082656 A KR 20060082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yl
guanidine
chromen
dimethyl
dimethylchro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203B1 (ko
Inventor
이규양
이선경
서지희
김낙정
이병호
서호원
황순희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03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20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5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 C07D311/70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with two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2 and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in position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6Benzo[c]pyr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는 나트륨/수소 교환통로인 NHE-1에 대한 강력한 억제 작용을 통하여 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하여 심장 기능 회복을 증진시키고 심근경색율을 감소시켜 심근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심근경색, 심부전증, 협심증 등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관동맥우회술, 관동맥경피성형술 등의 수술 요법 또는 혈전용해제를 이용한 약물 요법과 같은 재관류 요법 시술 시에 심장보호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Chromene-6-carbonyl)guanidine derivativ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g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f ischemic heart diseas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심근 허혈은 심장으로 공급되는 혈류가 차단됨으로써 심근의 산소 공급량이 요구량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며, 이와 같은 심근 허혈은 궁극적으로 비가역적인 심근의 손상, 즉 세포 및 조직의 괴사로 이어지게 된다. 손상의 정도가 가역적인 초기에는 관동맥경피성형술 및 관동맥우회술 등의 수술 요법이나 혈전용해제 등을 이용하는 약물 요법과 같은 재관류 요법에 의해 비가역적 손상을 막을 수 있으나 이러한 재관류 요법 후에도 심근 경색의 재발, 심장 기능 저하, 부정맥, 신경인지능력 저하 등 재관류 손상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obert, M. (2003) Ann. Thorac. Surg. 75: S700-708]. 이러한 허혈/재관류 시의 심근 세포 손상과 심기능 저하에 의해 발생하는 심근 경색, 부정맥, 심부전증 등의 허혈성 심장 질환은 유병률 및 사망률이 높고 완치가 어려워 지난 50년 동안 집중적인 기초 연구 및 임상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Wang, QD. et al., (2002) Cardiovasc. Res. 55: 25-37]. 허혈/재관류 손상은 대사, 면역반응 및 이온항상성의 변화, 산소유리기 등 다양한 생리학적 기전이 관여되므로 면역조절 물질, 세포사멸 관련물질, 이온통로 조절물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Hearse, DJ. (1998) Prog.Cariovasc. Dis. 30: 381-402]. 기전연구와 함께 새로운 작용점에 의한 치료제의 개발 및 외과적 시술의 개발 등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허혈/재관류로부터 심근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아직 임상적으로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허혈에 의한 심근세포 손상의 진행을 늦추고 재관류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허혈성 심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또는 심장 보호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세포 내 pH 변화는 본태성 고혈압, 허혈성 심근질환, 허혈/재관류에 따른 기능 장애 및 세포 사멸의 병태생리학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포는 세포 내 pH를 조절하는 기전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세포 내 pH 조절기전은 허혈 및 재관류에 의한 세포 내 산성화를 보정하기 위하여 활성화된다. 심근세포에 존재하며 산성화된 세포 내 pH를 알칼리화 하는 주요 이온통로 중의 하나가 나트륨 수소 교환 통로(sodium-hydrogen exchanger; 이하 'NHE'라 한다.)인데, NHE의 활성화는 세포 내 pH의 정상화에 필수적이지만 나트륨의 과부하로 세포손상을 일으킬 수 있 다.
NHE는 세포 내의 수소이온 한 개를 밖으로 내보내고 Na+ 한 개를 세포 내로 들여옴으로써 정전기적으로는 중성을 유지하면서 세포 내 pH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막 단백질로서 다양한 세포 종에서 발현된다. 현재까지 7개의 아형이 확인되었으며 심근세포의 주아형인 NHE-1이 허혈/재관류 손상에 주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vkiran, M. et. al., (2002) J. Am. Coll. Cardiol. 39: 747-753]. 정상적인 생리적 pH(≒ 7.2)에서 NHE-1은 거의 작동을 하지 않는다. 산소가 부족한 허혈 상태에서는 에너지생성을 해당작용(glycolysis)에 의존하므로 세포 내 수소이온 농도가 증가하여 산성화가 되고 (pH ≒ 6.4) 수소이온 감지기(proton sensor)를 갖는 NHE-1이 활성화되어 수소이온을 내보내고 나트륨이온을 세포 내로 들여오므로 세포 내의 나트륨이온의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허혈시에는 ATP 에너지 생성의 감소로 Na+/K+ ATPase가 억제되므로 나트륨 펌프에 의해 세포 내에 축적된 나트륨이온을 내보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정상상태에서는 칼슘을 내보내고 나트륨을 들여오는 나트륨/칼슘 통로인 NCX (Na+/Ca2+ exchanger)가 높아진 나트륨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나트륨이온을 내보내고 칼슘이온을 들여와 세포 내 칼슘이온의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세포 내 칼슘농도의 증가는 프로테아제, 포스포리파제, 엔도뉴클레아제 등의 효소를 활성화시킴으로써 각종 단백질 분해, 지방대사장애에 의한 활성산소 유리기의 증가, DNA 변형 등을 유발하여 세포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NHE-1의 활성을 저해하여 세포 내 나트륨 이온농도의 증가를 억제함 으로써 NCX의 역방향 작동을 억제할 수 있고, 세포 내 칼슘이온농도의 증가를 억제하여 허혈/재관류에 의한 세포손상을 막을 수 있다. 증가된 수소이온은 다른 이온통로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NHE-1의 억제에 의한 세포 내 산성화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이뇨제인 피라진 유도체 아밀로라이드(amiloride)가 처음으로 NHE 억제제로서 알려졌다[Benos, DJ. (1982) A. J. Physiol. 242: C131]. 아밀로라이드는 NHE-1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으며 랫트 적출심장 실험에서 허혈/재관류 후에 심기능의 회복을 증진시키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NHE-1 이외에도 NHE-2 및 나트륨 채널을 억제하는 등 선택성이 부족하여 심장보호제로서는 문제가 있었다. 그 후, NHE-1에 대해 선택성이 있는 약물 개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훽스트 마리온 루셀 (Hoechst Marion Roussel; 현재 Aventis)에 의하여 NHE-1에 대해 높은 선택성을 갖는 벤조일구아니딘 유도체인 카리포라이드(cariporide, HOE-694)가 개발되었다[Scholz, W. et. al., (1993) Br. J. Pharmacol. 109: 562]. 카리포라이드는 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심장 보호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임상에서도 관동맥우회술 환자에 투여하여 유의성 있는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거의 대부분의 NHE-1 억제제들은 아실구아니딘 유도체로서 에니포라이드(eniporide), 조니포라이드(zoniporide), SM-20220, BMS-284640 등 다수의 약물들이 선택적 NHE-1 억제제로 개발 중에 있으며, 이들은 심근 수축력의 개선, 부정맥의 감소, 세포사멸 및 괴사의 감소, 대사상태의 개선 및 나트륨과 칼슘이온의 과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armazyn, M (2002) Science & Medicine: 18 ~ 26].
이에 본 발명자들은, 허혈에 의한 심근세포 손상의 진행을 늦추고, 재관류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안전하고 유효한 약물 개발에 노력하던 중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를 합성하게 되었고, 이들 화합물들이 NHE-1에 대한 선택적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를 제공한다.
Figure 112005001988814-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OH이고, R2는 H, OH, ORa, OCH2Ph, Br,
Figure 112005001988814-PAT00002
또는 Ra이며, R3는 H, CH3, Br, NO2, NH2, Cl, NMe2 또는 NH-SO2Me이다. 이때, Ra는 C1~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고,
Figure 112005001988814-PAT00003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젖산, 말레산, 푸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아세트산, 글리콘산, 석신산, 타타르산, 4-톨루엔설폰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무기산으 로는 염산, 유기산으로는 메탄설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하고, 가능한 입체이성질체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중 바람직한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으며, 구조식은 표 1에 나타낸다.
1) (4-히드록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2) (4-메톡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3) (4-벤질옥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4) (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5) (8-브로모-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6) (8-니트로-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7) (7-클로로-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8) (2,2,7-트리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9) (8-디메틸아미노-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0) (8-메탄설포닐아미노-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1) (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12) (8-브로모-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13) (8-니트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14) (8-아미노-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15) (4-브로모-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6) (4,8-디브로모-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7) (4-브로모-8-니트로-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8) (4-브로모-7-클로로-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9) (4-브로모-2,2,7-트리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20) [(3R,4S)-3-히드록시-4-메톡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21) [(3R,4S)-3-히드록시-4-이미다졸-1-일-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22) [(3R,4S)-3-히드록시-4-피롤-1-일-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23) (2,2,4-트리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24) (8-브로모-2,2,4-트리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25) (7-클로로-2,2,4-트리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및
26) (2,2,4,7-테트라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Figure 112005001988814-PAT00004
Figure 112005001988814-PAT00005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화학식 1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01988814-PAT00006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구아니딘에 의해 쉽게 이탈될 수 있는 이탈기이다.)
이탈기(leaving group)로는 C1~C3 알콕시기, 할라이드기, 카복실레이트기, 히드록시기, p-니트로페녹시기, N-히드록시석신이미드기, 펜타플루오로페녹시기 등이 있다.
상기 반응식 1에서, 카복실산 유도체(Ⅱ)를 과량의 구아니딘과 반응시키거나, 염기 존재하에 당량의 구아니딘과 반응시켜서 화학식 1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카복실산 유도체(Ⅱ)는 에스터, 아실 할라이드, 카복실산 무수물(acid anhydride) 유도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터 유도체는 일반적인 알킬 에스터(예, 메틸 에스터, 에틸 에스터) 이거나 활성 에스터(active ester) 유도체(예, p-니트로페닐 에스터, N-히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터,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이다. 이러한 카복실산 유도체들은 통상적인 공지의 방법으로 카복실산으로부터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복실산 유도체(Ⅱ)로서 주로 메틸 에스터 화합물 (L=OMe)을 사용한다.
상기 카복실산 유도체(Ⅱ)의 이탈기가 메틸 에스터인 경우,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당량 또는 과량의 구아니딘과 반응하여 화합물(I)을 제조한다.
반응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콜계 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또는 이와 같은 용매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상온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상기 반응식 1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카복실산 유도체(Ⅱ)의 이탈기가 메틸 에스터인,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Ⅱ-1)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Figure 112005001988814-PAT00007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Ⅱ-1)에서, R 1 이 H이고 R 2 가 OH 또는 OR a 인 화합물(Ⅱ-3)은, 2,2-디메틸-4-옥소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Ⅲ)를 출발물질로하여 제조하며,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01988814-PAT00008
(상기 식에서, R3 및 R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할로겐기이다.)
상기 반응식 2에서, 화합물(Ⅲ)은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상기 환원반응에서는, 케톤기를 알콜기로 환원시킬 수 있는 대부분의 환원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메탄올과 같은 알콜계 용매에서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한다. 환원제를 당량 또는 과량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상기 알킬화반응에서는, 알킬 할로겐 화합물(RaX)을 염기 존재하에 화합물(Ⅱ-2)와 반응시켜 화합물(Ⅱ-3)을 제조한다. 사용하는 염기로는 소듐 하이드라이드, 포타슘 t-부톡사이드, 소듐 메톡사이드 등의 무기염기를 사용하거나 N,N-디이 소프로필아민, DBU 등의 유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용매는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DMF,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2)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Ⅱ-1)에서, R 1 및 R 2 이 H이고 C 3 -C 4 가 이중결합인 크로멘 화합물(Ⅱ-4)과 단일 결합인 크로만 화합물(Ⅱ-5)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01988814-PAT00009
(상기 식에서, R3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한 알콜 화합물(Ⅱ-2)의 히드록시기를 탈수반응시켜 크로멘 화합물(Ⅱ-4)를 제조하며, 화합물(Ⅱ-4)를 환원반응시켜 크로만 화합물(Ⅱ-5)를 제조한다.
상기 탈수반응에서, 먼저 알콜 화합물(Ⅱ-2)를 메실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메실레이트 화합물로 전환시키고, 염기 존재하에 제거반응을 시켜서 화합물(Ⅱ-4) 를 제조한다. 이때 사용하는 염기로는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덱-7-엔 (DBU), 포타슘 t-부톡사이드 또는 소듐 에톡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용매로는 벤젠, 톨루엔, t-부탄올, 또는 에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상온과 용매의 비등점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환원반응에서는, 팔라듐 촉매(Pd/C) 존재하에 수소기체를 사용하여 수소화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Ⅱ-1)에서, C 3 -C 4 가 이중결합이고 R 1 이 H이고 R 2 가 Br인 화합물(Ⅱ-7)은, 화합물(Ⅱ-4)를 브롬을 사용하여 다이브롬화반응을 시켜서 화합물(Ⅱ-6)을 제조하고, 염기를 사용하여 모노디브롬화반응을 시켜서 제조하며,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01988814-PAT00010
(상기 식에서, R3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4에서 브롬화반응은,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 용매에 당량의 브롬을 사용하여 반응시킨다. 모노디브롬화반응에서 사용되는 염기와 반응조 건은 상기 반응식 3의 탈수반응에서 사용한 것과 같다.
4)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Ⅱ-1)에서, R 1 이 OH이고 R 2 가 OR a , 이미다졸 또는 피롤인 화합물(Ⅱ-9)은, 화합물(Ⅱ-4)를 산화제로 에폭시화반응시킨 후, 각각 알콜 화합물 Ra-OH, 이미다졸 또는 피롤을 사용하여 에폭시고리열림반응을 시켜서 제조하며, 하기 반응식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01988814-PAT00011
(상기 식에서, R3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b는 ORa,
Figure 112005001988814-PAT00012
이다. 이때 Ra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5에서 에폭시화반응은,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 용매에서 산화제로 m-클로로퍼벤조산을 사용하여 반응시키거나, 옥시레인 화합물(Ⅱ-8)을 키랄(chiral)하게 제조하기 위해서는 공지의 방법인 샤프리스 에폭시화반응 (Sharpless epoxidation)이나 제이콥슨 에폭시화반응(Jacobsen epoxida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5에서 에폭시고리열림반응은, Rb가 ORa일 때, 산촉매 존재하에 서 알콜 화합물 RaOH와 반응시킨다. 산촉매는 무수 HCl을 사용하거나 루이스산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용매는 디클로로메탄이나 클로로포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온도는 상온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Rb가 이미다졸 또는 피라졸기 일 때, 옥시레인 화합물(Ⅱ-8)과 이미다졸 또는 피라졸 1 내지 5 당량을 혼합하여 5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제조한다.
5)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Ⅱ-1)에서, R 1 이 H이고 R 2 가 R a 이며 C 3 -C 4 가 이중결합인 크로멘 화합물(Ⅱ-11)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6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01988814-PAT00013
(상기 식에서, R3 및 R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6에서 알킬부가반응은, 화합물(Ⅲ)의 케톤기에 알킬 그리니아드 시약(alkyl grignard agent)을 반응시켜 3차 알콜 화합물(Ⅱ-10)을 제조한다. 반응용매는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온도는 상온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상기 3차 알콜 화합물(Ⅱ-10)을 탈수반응시켜 화합물(Ⅱ-11)을 제조할 때는 벤젠 또는 톨루엔 용매에서 촉매량의 p-톨루엔설폰산을 사용한다. 반응온도는 상온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인간의 NHE-1을 발현시킨 세포에서 NHE-1에 대해 강력한 억제효과를 가지며, 적출 허혈심장 모델에서 허혈/재관류에 의한 심근 손상의 회복을 증진시키고, 생체 내 허혈동물모델에서 심근경색의 크기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우수한 심장보호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심근경색, 심부전증, 협심증 등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관동맥우회술, 관동맥경피성형술 등의 수술 요법 또는 혈전용해제를 이용한 약물 요법과 같은 재관류 요법 시술 시에 심장보호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 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스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에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포함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 형태, 건강 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1 ~ 1000 ㎎/일이며, 바람직하게는 1 ~ 500 ㎎/일이며, 또한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분광법,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질량 분광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X-선 구조결정법, 선광도 측정법과 대표적인 화합물의 원소분석 계산치와 실측치의 비교에 의해 분자구조를 확인하였다.
<제조예 1> 4-히드록시-2,2-디메틸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2,2-디메틸-4-옥소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800 ㎎ (3.42 mmol)을 메틴올 10 ㎖에 녹이고, 0℃에서 NaBH4 194 ㎎ (5.13 mmol)을 서서히 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물 50 ㎖를 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50 ㎖ x 2)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목적화합물 772 ㎎ (수율 96%)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35(s, 3H), 1.46(s, 3H), 1.98(dd, 1H), 2.11(dd, 1H), 3.87(s, 3H), 4.43(t, 1H), 6.80(d, 1H), 7.85(dd, 1H), 8.13(d, 1H)
<제조예 2> 4-메톡시-2,2-디메틸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110 ㎎ (0.47 mmole)을 DMF 3 ㎖에 녹이고 0℃ 하에서 60% 소듐 하이드라이드 34 ㎎ (0.94 mmol)을 서서히 가한 후, 20분동안 교반시켰다. 아이오도메탄 0.2 ㎖ (1.41 mmol)을 가하고 서서히 온도를 실온까지 올려 1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액을 물 15 ㎖에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0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무수 Na2SO4로 건조, 여과,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6: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85 ㎎ (수율 72%)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35(s, 3H), 1.46(s, 3H), 1.97(dd, 1H), 2.10(dd, 1H), 3.49(s, 3H), 3.88(s, 3H), 4.43(t, 1H), 6.79(d, 1H), 7.84(dd, 1H), 8.11(d, 1H)
<제조예 3> 4-벤질옥시-2,2-디메틸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140 ㎎ (0.59 mmol)과 벤질 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제조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125 ㎎ (수율 64%)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34(s, 3H), 1.48(s, 3H), 2.06(m, 2H), 3.87(s, 3H), 4.62(t, 1H), 4.64(q, 2H), 6.79(d, 1H), 7.40(m, 5H), 7.83(dd, 1H), 8.12(d, 1H)
<제조예 4> 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800 ㎎ (3.42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에 녹인 후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81 ㎖ (4.64 mmol)과 메탄 설포닐클로라이드 0.27 ㎖ (3.48 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시켰다. 반응액을 물 50 ㎖에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 (50 ㎖ x 2)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설포네이트 화합물 440 ㎎을 얻었다. 설포네이트 화합물을 톨루엔 10 ㎖에 녹이고,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덱-7-엔 0.69 ㎖ (4.64 mmol)을 가한 후, 5시간동안 가열환류시켰다. 반응액을 냉각시킨 다음,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20: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300 ㎎ (수율 79%)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2(s, 6H), 3.88(s, 3H), 5.66(d, 1H), 6.43(d, 1H), 6.78(d, 1H), 7.86(dd, 1H), 8.08(d, 1H)
<제조예 5> 8-브로모-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8-브로모-2,2-디메틸-4-옥소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화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제조예 4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192 ㎎ (수율 66%)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50(s, 3H), 1.54(s, 3H), 3.88(s, 3H), 5.67(d, 1H), 6.30(d, 1H), 7.61(d, 1H), 8.04(d, 1H)
<제조예 6> 8-니트로-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8-니트로-2,2-디메틸-4-옥소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화합물 300 ㎎ (1.08 mmol)을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알콜 화합물 300 ㎎을 얻고, 톨루엔 10 ㎖에 녹였다. p-TsOH 20 ㎎ (0.11 mmol)을 가한 후, 3시간동안 가열환류시켰다.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6: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205 ㎎ (수율 73%)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54(s, 3H), 1.57(s, 3H), 3.92(s, 3H), 5.81(d, 1H), 6.39(d, 1H), 7.84(s, 1H), 8.37(s, 1H)
<제조예 7> 7-클로로-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7-클로로-2,2-디메틸-4-옥소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480 ㎎ (1.78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6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324 ㎎ (수율 72%)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4(s, 6H), 3.89(s, 3H), 5.64(d, 1H), 6.28(d, 1H), 6.85(s, 1H), 7.56(d, 1H)
<제조예 8> 2,2,7-트리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2,2,7-트리메틸-4-옥소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화합물 300 ㎎ (1.2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6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225 ㎎ (수율 80%)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3(s, 6H), 2.54(s, 3H), 3.85(s, 3H), 5.58(d, 1H), 6.30(d, 1H), 6.63(s, 1H), 7.62(s, 1H)
MS(m/z)M+ = 232(M+)
<제조예 9> 8-디메틸아미노-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8-아미노-2,2-디메틸-2H-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화합물 233 ㎎ (1.00 mmole)을 DMF 4 ㎖에 녹이고, 소듐 하이드라이드 52 ㎎ (1.3 mmole)을 0℃ 에서 가하고 30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액에 아이오도메탄 0.17 ㎖ (1.1 mmol)을 가하여 서서히 온도를 올려 실온에서 24시간 교반시켰다. 반응액을 물 20 ㎖에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19 ㎎ (수율 46%)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51(s, 6H), 2.83(s, 6H), 3.87(s, 3H), 5.61(d, 1H), 6.31(d, 1H), 7.37(d, 1H), 7.48(d, 1H)
<제조예 10> 8-메탄설포닐아미노-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8-아미노-2,2-디메틸-2H-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화합물 186 ㎎ (0.80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0.17 ㎖ (1.20 mmol)을 가하였다. 여기에 0℃ 하에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068 ㎖ (0.88 mmol)을 천천히 첨가한 후 실온까지 온도를 올려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물 50 ㎖에 희석하고 CH2Cl2로 추출 (50 ㎖ x 2)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목적화합물 154 ㎎ (수율 62%)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51(s, 6H), 3.01(s, 3H), 3.88(s, 3H), 5.68(d, 1H), 6.36(d, 1H), 6.70(s, 1H), 7.56(d, 1H), 8.03(d, 1H)
<제조예 11> 2,2-디메틸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 105 ㎎ (0.38 mmol)을 메탄올 3 ㎖에 녹인 후 10% Pd/C 10 ㎎을 가한 다음, 1 기압의 수소기체 하에서 1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액을 셀라이트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로 세척하여 검은색 카본고체를 제거하고, 용매는 감압하에 농축하여 얻어지는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00 ㎎ (수율 95%)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29(s, 3H), 1.82(m, 1H), 2.03(m, 1H), 2.78(t, 2H), 3.51(s, 3H), 3.55(s, 3H), 3.87(s, 3H), 4.19(s, 1H), 6.81(d, 1H), 7.77(m, 2H)
<제조예 12> 8-브로모-2,2-디메틸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상기 제조예 11에서 얻은 화합물 205 ㎎ (0.93 mmol)을 0℃ 하에 클로로포름 5 ㎖ 용매에 녹인 후 브롬 0.1 ㎖ (1.86 mmol)을 서서히 가하였다. 1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물 30 ㎖에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254 ㎎ (수율 91%)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0(s, 6H), 1.84(t, 2H), 2.83(t, 2H), 3.87(s, 2H), 7.73(s, 1H), 8.04(d, 1H)
<제조예 13> 8-니트로-2,2-디메틸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상기 제조예 11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91 mmol)을 무수아세트산 1 ㎖에 녹이고 63% 질산 0.1 ㎖ (1.4 mmol)을 아세트산 0.8 ㎖과 혼합하여 실온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24시간 교반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2)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200 ㎎ (수율 82%)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2(s, 6H), 1.92(t, 2H), 2.90(t, 2H), 3.91(s, 3H), 7.96(d, 1H), 8.30(d, 1H)
<제조예 14> 8-아미노-2,2-디메틸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상기 제조예 13에서 얻은 화합물 120 ㎎ (0.45 mmole)을 메탄올 6 ㎖에 녹이고 10% Pd/C 20 ㎎을 가한 다음, 수소화장치를 이용하여 수소압력 50 psi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후 반응액을 셀라이트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로 세척하여 검은색 카본고체를 제거하고, 용매는 감압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메탄올:디클로로메탄 = 1:9)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81 ㎎ (수율 76%)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2(s, 6H), 1.90(t, 2H), 2.84(t, 2H), 3.90(s, 3H), 3.98(br, 2H), 6.80(d, 1H), 7.53(d, 1H)
<제조예 15> 4-브로모-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 80 ㎎ (0.37 mmol)을 0℃ 하에 클로로포름 5 ㎖ 용매에 녹인 후, 브롬 0.019 ㎖ (0.37 mmole)을 서서히 가하였다. 1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물 15 ㎖에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 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1)로 정제하여 디브로모 화합물 121 ㎎ (수율 86%)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70(s, 3H), 3.90(s, 3H), 4.47(d, 1H), 5.53(d, 1H), 6.82(d, 1H), 7.86(dd, 1H), 8.21(d, 1H)
MS(m/z)M+ = 378(M+)
상기에서 얻은 디브로모 화합물 100 ㎎ (0.36 mmol)을 톨루엔 3 ㎖에 녹이고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덱-7-엔 0.072 ㎖ (0.48 mmol)을 가한 후, 1시간동안 가열환류시켰다. 반응액을 냉각시킨 다음,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99 ㎎ (수율 93%)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7(s, 6H), 3.88(s, 3H), 6.05(s, 1H), 6.78(d, 1H), 7.86(dd, 1H), 8.08(d, 1H)
<제조예 16> 4,8-디브로모-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 294 ㎎ (0.99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5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227 ㎎ (수율 61%)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50(s, 3H), 1.54(s, 3H), 3.88(s, 3H), 6.08(s, 1H), 8.02(d, 1H), 8.11(d, 1H)
MS(m/z)M+ = 376(M+), 363
<제조예 17> 4-브로모-8-니트로-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6에서 얻은 화합물 136 ㎎ (0.52 mmole)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5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123 ㎎ (수율 69%)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56(s, 6H), 3.95(s, 3H), 6.22(s, 1H), 8.29(d, 1H), 8.42(d, 1H)
<제조예 18> 4-브로모-7-클로로-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7에서 얻은 화합물 420 ㎎ (1.55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5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441 ㎎ (수율 86%)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7(s, 6H), 3.92(s, 3H), 6.05(s, 1H), 6.88(s, 1H), 7.95(s, 1H)
<제조예 19> 4-브로모-2,2,7-트리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8에서 얻은 화합물 120 ㎎ (0.52 mmo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5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99 ㎎ (수율 61%)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6(s, 6H), 2.54(s, 3H), 3.85(s, 3H), 5.99(s, 1H), 6.64(s, 1H), 7.99(s, 1H)
<제조예 20> (3R,4S)-3-히드록시-4-메톡시-2,2-디메틸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 120 ㎎ (0.55 mmol)과 (R,R) 제이콥슨 시약 17 ㎎을 디클로로메탄 1.5 ㎖에 녹인 후, 0.55 M NaCl 1.6 ㎖와 0.05 M Na2HPO4 1.6 ㎖ 혼합액에 서서히 가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 5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에폭사이드 화합물 106 ㎎ (수율 82%)을 얻었다.
(3R,4R) 에폭사이드 화합물 100 ㎎ (0.43 mmole)을 메탄올 2 ㎖에 녹이고 5% HCl/MeOH 용액 1 ㎖를 가한 후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액을 물 10 ㎖에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5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2: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97 ㎎ (수율 84%)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30(s, 1H), 1.48(s, 3H), 2.43(d, 1H), 3.57(s, 3H), 3.88(m, 4H), 4.34(d, 1H), 6.80(d, 1H), 7.27(dd, 1H), 8.07(s, 1H)
<제조예 21> (3R,4S)-3-히드록시-4-이미다졸-1-일-2,2-디메틸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20에서 얻은 (3R,4R) 에폭사이드 화합물 120 ㎎ (0.51 mmol)과 이미다졸 104 ㎎ (1.53 mmol)을 70℃에서 1시간동안 가열한 후, 반응액을 물 15 ㎖에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메탄올:디클로로메탄 = 1:9)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00 ㎎ (수율 65%)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32(s, 3H), 1.54(s, 3H), 3.80(s, 3H), 3.94(d, 1H), 5.32(d, 1H), 6.93(d, 1H), 7.03(d, 2H), 7.41(s, 1H), 7.89(m, 2H)
MS(m/z)M+ = 302, 271, 235
<제조예 22> (3R,4S)-3-히드록시-4-피롤-1-일-2,2-디메틸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제조예 20에서 얻은 (3R,4R) 에폭사이드 화합물 128 ㎎ (0.55 mmol)과 피롤 1.52 ㎖ (2.20 mmol)을 100℃ 에서 2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액을 물 15 ㎖에 희 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2: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91 ㎎ (수율 55%)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27(s, 3H), 1.53(s, 3H), 2.12(d, 1H), 3.65(dd, 1H), 3.84(s, 3H), 3.96(d, 1H), 6.22(m, 2H), 6.78(d, 1H), 6.86(t, 1H), 7.60(d, 1H), 7.81(d, 1H), 7.97(s, 1H)
MS(m/z)M+ = 301(M+), 270, 228
<제조예 23> 2,2,4-트리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2,2-디메틸-4-옥소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293 ㎎ (1.25 mmol)을 디에틸에테르 5 ㎖을 넣고 0℃ 에서 3M 메틸 마그네슘브로마이드 0.8 ㎖ (2.5 mmol)을 서서히 가하였다. 서서히 온도를 올려 5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포화 NH4Cl 수용액 15 ㎖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2:1)로 정제하여 3차 알콜 화합물 156 ㎎ (수율 50%)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2(s, 6H), 1.63(s, 3H), 1.85(s, 1H), 2.04(dd, 2H), 3.89(s, 3H), 6.83(d, 1H), 7.84(dd, 1H), 8.21(d, 1H)
3차 알콜 화합물 142 ㎎ (0.57 mmol)을 톨루엔 5 ㎖에 녹이고, p-톨루엔설폰산 11 ㎎ (0.057 mmol)을 가하고 10분동안 가열환류시켰다. 반응액을 냉각시킨 다음,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00 ㎎ (수율 75%)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2(s, 6H), 2.05(s, 3H), 3.88(s, 3H), 5.46(s, 1H), 6.78(dd, 1H), 7.81(m, 2H)
MS(m/z)M+ = 232(M+), 217, 201
<제조예 24> 8-브로모-2,2,4-트리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8-브로모-2,2-디메틸-4-옥소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화합물 248 ㎎ (0.79 mmole)을 사용하여 제조예 23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147 ㎎ (수율 60%)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5(s, 3H), 1.50(s, 3H), 1.63(s, 3H), 1.88(s, 1H), 2.07(m, 2H), 3.89(s, 3H), 8.15(s, 2H)
<제조예 25> 7-클로로-2,2,4-트리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6-클로로-2,2-디메틸-4-옥소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화합물 405 ㎎ (1.5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3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233 ㎎ (수율 58%)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1(s, 6H), 2.01(s, 3H), 3.90(s, 3H), 5.46(s, 1H), 6.86(s, 1H), 7.68(s, 1H)
MS(m/z)M+ = 266(M+-1)
<제조예 26> 2,2,4,7-테트라메틸-2 H -크로멘-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6-메틸-2,2-디메틸-4-옥소크로만-6-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화합물 314 ㎎ (1.27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3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196 ㎎ (수율 63%)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2.02(s, 3H), 2.54(s, 3H), 3.86(s, 3H), 5.40(s, 1H), 6.64(s, 1H), 7.76(s, 1H)
<실시예 1> (4-히드록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285 ㎎ (1.21 mmole)을 DMF 5 ㎖에 녹인 후, 2.0M 구아니딘 메탄올 용액 3.6 ㎖ (7.26 mmol)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액을 물 25 ㎖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5 ㎖ x 2)로 추출하였 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메탄올:디클로로메탄 = 1:9)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174 ㎎ (수율 56%)을 얻었다.
1H NMR(200㎒, CDCl3) δ 1.32(s, 3H), 1.45(s, 3H), 1.90(m, 1H), 2.15(m, 1H), 4.81(m, 1H), 5.23(br s, 2H), 7.78(dd, 1H), 7.83(dd, 1H), 8.26(s, 1H)
<실시예 2> (4-메톡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 80 ㎎ (0.32 mmole)을 DMF 3 ㎖에 녹인 후, 2.0M 구아니딘 메탄올 용액 1.0 ㎖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액을 물 25 ㎖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5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메탄올:디클로로메탄 = 1:9)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77 ㎎ (수율 64%)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34(s, 3H), 1.45(s, 3H), 1.94(dd, 1H), 2.08(dd, 1H), 3.48(s, 3H), 4.45(t, 1H), 6.31(br, 3H), 6.77(d, 1H), 8.01(d, 1H), 8.23(s, 1H)
MS(m/z)M+ = 277(M+), 244, 221
<실시예 3> (4-벤질옥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 20 ㎎ (0.37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104 ㎎ (수율 80%)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34(s, 3H), 1.48(s, 3H), 2.10(m, 2H), 4.70(m, 3H), 6.50(br, 3H), 6.77(d, 1H), 7.26(m, 5H), 7.92(dd, 1H), 8.14(s, 1H)
MS(m/z)M+ = 353(M+), 311
<실시예 4> (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4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98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108 ㎎ (수율 45%)을 얻었다.
1H NMR(200㎒, CDCl3) δ 1.44(s, 3H), 1.45(s, 3H), 5.64(d, 1H, J = 10 Hz), 6.33(d, 1H, J = 10 Hz), 6.78(d, 1H, J = 8.6 Hz), 7.91(d, 1H, J = 1.6 Hz), 7.99(dd, 1H, J = 8.6, 1.6 Hz), 8.53(br s, 2H), 8.92(br s, 2H), 11.27(br s, 1H)
<실시예 5> (8-브로모-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5에서 얻은 화합물 150 ㎎ (0.51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124 ㎎ (수율 75%)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6(s, 6H), 5.75(d, 1H), 6.37(d, 1H), 7.68(d, 1H), 8.07(d, 1H)
MS(m/z)M+ = 323, 325(M+)
<실시예 6> (8-니트로-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6에서 얻은 화합물 70 ㎎ (0.27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70 ㎎ (수율 92%)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52(s, 6H), 5.75(d, 1H), 6.32(br, 2H), 6.40(d, 1H), 7.98(d, 1H), 8.56(d, 1H)
MS(m/z)M+ = 290(M+), 275, 258
<실시예 7> (7-클로로-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7에서 얻은 화합물 100 ㎎ (0.40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50 ㎎ (수율 45%)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32(s, 6H), 5.64(d, 1H), 6.26(d, 1H), 6.66(s, 1H), 7.16(s, 1H)
MS(m/z)M+ = 280(M+)
<실시예 8> (2,2,7-트리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8에서 얻은 화합물 110 ㎎ (0.40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41 ㎎ (수율 37%)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2(s, 6H), 2.44(s, 3H), 5.72(d, 1H), 6.38(d, 1H), 6.67(s, 1H), 7.34(s, 1H)
MS(m/z)M+ = 259, 244, 227
<실시예 9> (8-디메틸아미노-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9에서 얻은 화합물 110 ㎎ (0.42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60 ㎎ (수율 68%)을 얻었다.
1H NMR(300㎒, DMSO-d 6) δ 1.40(s, 6H)2.70(s, 6H), 5.73(d, 1H), 6.36(d, 1H), 7.37(d, 1H), 7.44(d, 1H)
MS(m/z)M+ = 288(M+), 271, 256
<실시예 10> (8-메탄설포닐아미노-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10에서 얻은 화합물 91 ㎎ (0.29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29 ㎎ (수율 30%)을 얻었다.
1H NMR(300㎒, CD3OD) δ 1.49(s, 6H), 2.99(s, 3H), 4.59(s, 3H), 5.77(d, 1H), 6.41(d, 1H), 7.61(s, 1H), 7.98(s, 1H)
MS(m/z)M+ = 338, 323, 306
<실시예 11> (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11에서 얻은 화합물 148 ㎎ (0.72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110 ㎎ (수율 62%)을 얻었다.
1H NMR(200㎒, CD3OD) δ 1.33(s, 6H), 1.80(t, 2H), 2.79(t, 2H), 5.29(br s, 4H), 6.75(d, 1H), 7.91(m, 2H)
<실시예 12> (8-브로모-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12에서 얻은 화합물 242 ㎎ (0.81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235 ㎎ (수율 89%)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39(s, 6H), 1.87(t, 2H), 2.87(t, 2H), 7.80(d, 1H), 8.08(d, 1H)
MS(m/z)M+ = 327(M+), 270
<실시예 13> (8-니트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13에서 얻은 화합물 200 ㎎ (0.75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195 ㎎ (수율 89%)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0(s, 6H), 1.90(t, 2H), 2.89(t, 2H), 6.28(br, 3H), 8.09(d, 1H), 8.50(d, 1H)
MS(m/z)M+ = 292(M+), 275, 259, 237
<실시예 14> (8-아미노-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14에서 얻은 화합물 120 ㎎ (0.41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80 ㎎ (수율 76%)을 얻었다.
1H NMR(300㎒, CD3OD) δ 1.40(s, 6H), 1.88(t, 2H), 2.83(t, 2H), 7.17(m, 2H)
MS(m/z)M+ = 262(M+), 245, 206
<실시예 15> (4-브로모-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15에서 얻은 화합물 90 ㎎ (0.30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89 ㎎ (수율 92%)을 얻었다.
1H NMR(300㎒, CD3OD) δ 1.46(s, 6H), 6.02(s, 1H), 6.35(br, 2H), 6.76(d, 1H), 8.02(dd, 1H), 8.23(d, 1H)
MS(m/z)M+ = 323, 325(M+)
<실시예 16> (4,8-디브로모-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16에서 얻은 화합물 100 ㎎ (0.27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87 ㎎ (수율 80%)을 얻었다.
1H NMR(300㎒, CD3OD) δ 1.50(s, 6H), 6.27(s, 1H), 8.14(d, 1H), 8.21(d, 1H)
MS(m/z)M+ = 405, 403(M+)
<실시예 17> (4-브로모-8-니트로-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17에서 얻은 화합물 105 ㎎ (0.31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100 ㎎ (수율 87%)을 얻었다.
1H NMR(300㎒, CD3OD) δ 1.55(s, 6H), 6.42(s, 1H), 8.43(d, 1H), 8.50(d, 1H)
MS(m/z)M+ = 370(Br81), 368(Br79), 355, 336
<실시예 18> (4-브로모-7-클로로-2,2-디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18에서 얻은 화합물 105 ㎎ (0.32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64 ㎎ (수율 56%)을 얻었다.
1H NMR(300㎒, CD3OD) δ 1.46(s, 6H), 6.23(s, 1H), 6.84(s, 1H), 7.63(s, 1H)
MS(m/z)M+ = 359, 357(M+.Br81/Br79)
<실시예 19> (4-브로모-2,2,7-트리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19에서 얻은 화합물 112 ㎎ (0.36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73 ㎎ (수율 60%)을 얻었다.
1H NMR(300㎒, CD3OD) δ 1.42(s, 6H), 2.43(s, 3H), 6.14(s, 1H), 6.65(s, 1H), 7.64(s, 1H)
MS(m/z)M+ = 339(Br81), 337(Br79)
<실시예 20> [(3R,4S)-3-히드록시-4-메톡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20에서 얻은 화합물 90 ㎎ (0.34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40 ㎎ (수율 40%)을 얻었다.
1H NMR(300㎒, CD3OD) δ 1.27(s, 3H), 1.43(s, 3H), 3.64(s, 3H), 3.75(d, 1H), 4.32(d, 1H), 6.74(d, 1H), 7.89(dd, 1H), 8.14(d, 1H)
MS(m/z)M+ = 293(M+)
<실시예 21> [(3R,4S)-3-히드록시-4-이미다졸-1-일-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21에서 얻은 화합물 35 100 ㎎ (0.33 mmole)을 DMF 2 ㎖에 녹인 후 2.0M 구아니딘 메탄올 용액 1.0 ㎖을 가하였다. 80℃ 에서 24시간 가열시킨 후 반응액을 물 20 ㎖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메탄올:디클로로메탄 = 1:9)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 43 ㎎ (40%)을 얻었다.
1H NMR(300㎒, CD3OD) δ 1.27(s, 3H), 1.49(s, 3H), 3.83(d, 1H), 5.25(d, 1H), 6.82(d, 1H), 6.97(d, 2H), 7.52(d, 1H), 7.86(s, 1H), 7.94(m, 1H)
MS(m/z)M+ = 329(M+), 296
<실시예 22> [(3R,4S)-3-히드록시-4-피롤-1-일-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22에서 얻은 화합물 130 ㎎ (0.43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59 ㎎ (수율 42%)을 얻었다.
1H NMR(300㎒, CD3OD) δ 1.22(s, 3H), 1.46(s, 3H), 3.77(d, 1H), 3.94(d, 1H), 6.04(m, 3H), 6.65(m, 1H), 6.74(m, 1H), 7.63(d, 1H), 7.78(m, 1H)
MS(m/z)M+ = 328(M+), 286
<실시예 23> (2,2,4-트리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23에서 얻은 화합물 91 ㎎ (0.39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87 ㎎ (수율 87%)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0(s, 6H), 2.04(s, 3H), 5.43(s, 1H), 6.77(d, 1H), 7.96(m, 2H)
MS(m/z)M+ = 259(M+), 238, 227
<실시예 24> (8-브로모-2,2,4-트리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24에서 얻은 화합물 100 ㎎ (0.32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82 ㎎ (수율 75%)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45(s, 6H), 2.05(s, 2H), 5.47(s, 1H), 6.30(br, 3H), 7.92(s, 1H), 8.26(s, 1H)
MS(m/z)M+ = 339, 337(M+, Br81, Br79), 322, 305
<실시예 25> (7-클로로-2,2,4-트리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25에서 얻은 화합물 122 ㎎ (0.46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90 ㎎ (수율 67%)을 얻었다.
1H NMR(300㎒, CDCl3) δ 1.38(s, 6H), 2.01(s, 3H), 4.59(s, 1H), 5.56(s, 1H), 6.76(s, 1H), 7.41(s, 1H)
MS(m/z)M+ = 293(M+-1)
<실시예 26> (2,2,4,7-테트라메틸-2 H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의 제조
제조예 26에서 얻은 화합물 160 ㎎ (0.65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화합물 59 ㎎ (수율 33%)을 얻었다.
1H NMR(300㎒, DMSO) δ 1.36(s, 6H), 2.01(S, 3H), 2.41(s, 3H), 5.57(s, 1H), 6.67(s, 1H), 7.61(s, 1H)
MS(m/z)M+ = 273, 258
본 발명에 의한 화학식 1의 화합물들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여 여러 가지 약리작용을 조사하였다.
<실험예 1> : NHE-1 억제효과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의 NHE-1 억제효과를 세포단계에서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CCL39에서 유래된 PS120 세포에 사람 NHE-1를 발현시켜 사용하였으며, 10% 소태아혈청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00X 용액), 1% L-글루타민(200mM 수용액)이 보충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직경 100㎜ 디쉬에서 약 80~90% 키운 PS120/NHE-1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한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1회, 나트륨 없는 완충액(Na-free buffer; 138.2mM Choline chloride, 4.9mM KCl, 1.5 mM CaCl2·2H2O, 1.2 mM MgSO4·7H 2O, 1.2mM KH2PO4, 15mM D-글루코스, 20mM HEPES, at pH 7.4)으로 1회 세척하였다. 이것 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20mM NH4Cl 및 10uM BCECF-AM[2',7'-bis(2-carboxyethyl)-5,6-carboxy-fluorescein acetoxymethyl ester]을 함유하는 나트륨 없는 완충액에 부유시킨 후, 37℃, CO2 배양기에서 30분간 배양시켰다. NH4Cl을 제거하고 동시에 세포 밖에 남아있는 BCECF-AM을 세척해주기 위하여, PS120/NHE-1 세포를 원심분리한 후 나트륨 없는 완충액으로 1회 세척하고, 세포수가 2.5×104 세포/10㎕ 되도록 부유액을 만들어 4℃의 암실에 보관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180㎕ HBS 완충액(137mM NaCl, 4.9mM KCl, 1.5mM CaCl2·2H2O, 1.2mM MgSO4·7H 2O, 1.2mM KH2PO4, 15mM D-글루코스, 20 mM HEPES, at pH7.4)과 DMSO 또는 DMSO에 녹인 화합물(0.03 ~ 10uM) 10㎕씩을 분주하여 잘 섞어준 후, 마지막으로 세포내 산성화가 유발된 PS120/NHE-1 세포를 10㎕씩 첨가하여 교반시켰다. 세포를 첨가하고 4분 후에 96 웰 플레이트용 형광분광광도계(XEMINI-XS; Molecular Device)를 사용하여 형광(여기:485/444㎚, 방출:535㎚)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형광값은 high-K+/nigericin technique을 이용하여 pH로 환산하였다. NH4Cl prepulse로 세포내 산성화를 유발시킨 세포는 NHE-1의 작동에 의해 세포내 산성화가 다시 정상으로 회복되게 되는데, 이때 세포내 산성화의 회복을 50% 억제시키는 화합물의 농도를 구하여(IC50 값) NHE-1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대조물질로는 카리포라이드(cariporide)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NHE-1에 대한 억제효과
화합물 IC50(uM) 화합물 IC50(uM) 화합물 IC50(uM)
카리포라이드 0.68 실시예 9 9.41 실시예 18 0.31
실시예 1 > 30 실시예 10 8.68 실시예 19 0.08
실시예 2 > 30 실시예 11 2.84 실시예 20 > 30
실시예 3 7.40 실시예 12 1.65 실시예 21 > 30
실시예 4 1.50 실시예 13 5.53 실시예 22 > 30
실시예 5 1.36 실시예 14 35.26 실시예 23 0.82
실시예 6 2.01 실시예 15 0.72 실시예 24 0.46
실시예 7 1.53 실시예 16 0.67 실시예 25 0.66
실시예 8 0.25 실시예 17 0.49 실시예 26 0.33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물질인 카리포라이드는 0.68 uM의 IC50를 나타내어 NHE-1에 대한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 실시예 4~8, 11~12, 15~19 및 23~26의 화합물들은 3.0 uM 이하의 IC50를 나타내어 카리포라이드와 유사하거나 우수한 NHE-1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중에서 실시예 8, 15~19, 23~26의 화합물들은 1.0 uM 이하의 IC50를 나타내어 NHE-1 억제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8, 17, 18, 19, 24 및 26의 화합물은 IC50가 0.5 uM 이하로 카리포라이드보다 우수하였다. 실시예 19는 IC50가 0.08 uM로 NHE-1 억제효과가 카리포라이드보다 8 배 이상 강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은 NHE-1에 대하여 강력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NHE-1 억제를 통하여 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한 보 호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2> 흰쥐의 적출 허혈심장에 대한 심장보호효과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이 적출심장에서 허혈 심장의 기능 회복을 증진시켜 심장보호작용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적출심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숫컷 흰쥐(300~450g, 한국화학연구소 실험동물실)에 펜토바비탈 나트륨염 (Sodium pentobarbital) 100㎎/㎏을 복강내 주사하여 마취시킨후 헤파린 1000 U/㎏을 정맥 투여하고 심장을 적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관에 캐뉼라(cannula, PE 240)를 삽입하고 설치류 호흡기(rodent ventilator)를 이용해 인공호흡시키며, 그 상태에서 대동맥 캐뉼라를 대동맥에 삽입하고 역행성 관류 하에 심장을 적출해 랑겐돌프 기기(Langendorff Apparatus)에 재빨리 매달고 심장에 붙어있는 불필요한 조직을 제거한 후, 정압 관류(85mmHg) 하에서 95% O2/ 5% CO2로 포화된 37℃의 생리액 (modified Krebs-Henseleit bicarbonate buffer; 조성 <mM/L>: 116 NaCl, 4.7 KCl, 1.1 MgSO4, 1.17 KH2PO4, 24.9 NaHCO3, 2.52 CaCl2, 8.32 글루코스, 2.0 파이루베이트)으로 관류시켰다. 에탄올과 증류수 혼합액(1:1 vol/vol)으로 채운 고무 풍선(latex balloon)이 연결된 금속 캐뉼라를 폐정맥을 통해 좌심실에 삽입시키고 풍선에 전달되는 좌심실압을 압력 변압기(pressure transducer)를 통해 등량적으로 (isovolumetric) 확대기(Plugsys bridge amplifier)로 처리하여 기록계 (Linearcorder mark 8 WR 3500)에 기록하였다. 심장을 15분 동안 안정화 시킨후 좌심실 이완기말압(LVEDP,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을 5mmHg로 주고 이 풍선 부피를 전 실험 기간 동안 유지시켰다.
기조(Baseline) 심장 수축 기능과 심박동수(HR, heart rate) 및 관상혈류 (CF, coronary flow)를 측정하였다. 심장 수축 기능을 평가하는 지표인 좌심실 발생압(LVDP, left ventricular developed pressure)은 좌심실 최대 수축기압(LVSP, left ventricular peak systolic pressure)과 좌심실 이완기말압(LVEDP, left ventricular end diastolic ptrssure)의 차이로 산출하였다. 생체내 심장과 달리 심장 박출량(cardiac output)을 측정할 수 없는 랑겐돌프 심장(Langendorff heart)에서 간접적으로 심장의 기능(cardiac performance)을 알아보는 중요한 지표인 심박동수-압력의 곱[Double product RPP(rate-pressure product)]은 심박동수(HR)에 좌심실 발생압(LVDP)을 곱하여 계산하였다. 심장의 온도는 실험 전 기간에 걸쳐 심장을 95% O2/ 5% CO2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37℃의 생리액에 담금으로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안정화후 심장은 용매(0.04% dimethylsulfoxide, DMSO) 또는 일정 농도의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 또는 대조약물을 함유하는 용액으로 각각 10분 동안 관류시킨후, 심장 수축 기능과 심박동수(HR, heart rate) 및 관상혈류(CF, coronary flow)를 재차 측정한 후 관류액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여 30분 동안 전허혈(global ischemia)을 유발하였다. 이후 30분 동안 관류액을 재관류한 후에 각 지표(LVDP, HR, LVEDP, CF)를 재차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용매만을 투여하였으 며, 대조물질로는 카리포라이드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흰쥐의 적출 허혈/재관류 심장에 대한 보호효과
화합물 농도(uM) RPP1(%) LVEDP2 (mmHg)
음성대조군 - 15.5 55.3
카리포라이드 10 69.8 22.4
실시예 4 10 43.3 21.3
실시예 5 10 45.7 28.0
실시예 7 10 25.9 33.0
실시예 8 10 17.4 51.7
실시예 11 10 24.2 40.3
실시예 12 10 11.0 23.7
실시예 15 10 44.4 27.7
실시예 16 10 8.9 51.5
실시예 17 10 64.9 14.0
실시예 18 10 32.3 25.3
실시예 19 10 23.1 39.0
실시예 23 10 50.8 15.7
실시예 24 10 4.2 3.7
실시예 25 10 24.0 29.0
실시예 26 10 14.9 50.5
1 : 심박동수-압력의 곱; RPP(rate pressure product), LVDP(좌심실압) ×HR(심박동수) 허혈유발 전 값에 대한 % 2 : 좌심실이완기말압 (left vetricualr end diastolic pressure)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흰쥐의 적출심장을 이용한 적출 허혈심장 실험에서, 음성대조군에서는 심장의 수축기능을 잘 반영하는 좌심실 발생압(LVDP)과 심박동수의 곱(Double Product parameter, LVDP x HR)이 허혈유발 전의 15.5%로 심장의 수축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허혈/재관류에 의한 심근의 수축(contracture)을 나타내어 심장보호작용의 또 다른 지표인 재관류 좌심실이완기말압도 5mmHg에서 55.3mmHg로 유의성있게 증가되었다.
카리포라이드 10uM 처리군은, 재관류후의 심근 수축 기능(LVDP x HR)이 허혈 유발 전의 69.8%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되었고 좌심실이완기말압 (LVEDP)은 22.4mmHg으로 음성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낮아 허혈심장의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세포실험에서 NHE-1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던 실시예 4, 5, 15, 17 및 23의 화합물들은 10 uM 처리에 의해 허혈/재관류에 의해 저하된 심근 수축 기능(LVDP x HR)을 허혈유발 전의 40% 이상으로 회복시켰으며 좌심실이완기말압도 저하시켜 심장손상을 유의성있게 개선하였다. 특히 실시예 17의 화합물은 심장수축력을 64.9%로 회복시키고, 좌심실이완기말압의 14.0 mmHg로 저하시켜 카리포라이드와 유사하게 우수한 허혈/재관류 심장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은 허혈/재관류 손상에 의한 심장기능의 회복을 증진시킴으로써 허혈성 심장에 대한 보호작용이 우수하므로, 허혈성 심장질환에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3> : 흰쥐의 생체내( in vivo ) 허혈심장 모델에 대한 심장 보호작용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이 생체내 허혈 심장을 보호하는 작용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대한 항허혈 효과(Antiischemic effects; 심근경색 감소 효과)를 하기와 같은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수컷 흰쥐(350~450g, 한국화학연구소 실험동물실)에 펜토바비탈을 75㎎/㎏로 복강주사하여 흰쥐를 마취시켰다. 기관절개술(tracheotomy)을 실시한 후 10㎖/㎏의 일회 심박출량(stroke volume), 분당 60 심박수로 인공호흡을 실시하였다. 대퇴정 맥과 대퇴동맥에 캐뉼러를 삽입하여 각각 약물 투여 및 혈압 측정에 이용하였다. 한편 허혈성 심근손상 모델에서 체온은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직장에 삽입한 체온 측정용 탐침(probe)과 항온 피복 조절 유니트(Homeothermic blanket control unit)를 사용하여 쥐의 체온을 37℃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이후 실험기간 동안 쥐의 평균 동맥압(mean arterial blood pressure)과 심박동수(HR)를 계속해서 측정하였다. 이때 혈압 측정에는 슈타탐 P23XL 압력 변환기(Statham P23XL pressure transducer, Grass Ins., MA, 미국)를 사용하고 심박동수 측정에는 심전도/심박동수 카플러(ECG/RATE Coupler, Hugo Sachs Electronic, 독일)를 사용하였다. 또한 그래프텍 리니어코더 차트 리코더(Graphtec Linearcorder WR 3310, Hugo Sachs Electronic)를 사용하여 모든 변화를 연속적으로 기록하였다.
좌관상 동맥은 셀리(Selye H.)의 방법에 의해 하기와 같이 결찰시켰다. 즉, 좌개흉술(left thoracotomy)에 의해 흰쥐의 가슴 일부를 열고 왼손의 장지(長指)로 마취된 흰쥐의 오른쪽 가슴에 압력을 가하여 심장을 외부로 밀어내어 왼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심장을 가볍게 고정시켰다. 이후 수술사(5-0 silk ligature)가 부착된 봉합용(suture) 바늘로 조심스럽게 좌심실 하행성 관상동맥(left anterior desending coronary artery, LAD)을 포함하는 부분을 뜬 뒤 재빨리 심장을 흉곽강 (thoracic cavity)에 재위치시키고 수술사 양끝을 외부에 위치시켰다. 수술사 양끝은 PE 튜브(PE100, 2.5㎝)에 통과시킨 후 20분 동안 그대로 두어 안정화시켰다. 그 후 대퇴정맥에 삽입된 캐뉼러를 통해 용매(vehicle) 또는 약물을 투여하였으며, 약물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도록 30분간 그대로 두었다. 이 때, 대조군의 약물로는 카리포라이드를 사용하였다.
이후 실에 끼워 놓았던 PE 튜브를 심장에 밀어 넣고 튜브의 끝부분 실을 지혈(hemostatic) 핀셋으로 당겨 PE 튜브를 관상동맥에 수직으로 밀착시켜 압력을 가하였으며, 45분 동안 그대로 두어 관상동맥을 결찰(occlusion)시킨 뒤 지혈 핀셋을 제거하고 90분간 재관류시켰다.
상기 방법에 의해 관상동맥을 재결찰(reocclusion)시키고, 1% 에반스 블루 용액(Evans blue) 2㎖를 정맥투여하였다. 이후 펜토바비탈을 과량 정맥 투여하여 흰쥐를 도살시키고 심장을 떼어내어 우심실과 양쪽 심방을 제거하였다. 좌심실은 심첨으로부터 5~6 개의 절편(slice)으로 수평 절단하고, 절편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심장 절편 각각의 표면은 콤팩트 미세 영상 측정장치(compact micro vision system)인 하이-스코프(Hi-scope)와 화상분석용 컴퓨터 프로그램(Image pro plus)을 이용해 컴퓨터에 입력시키고, 이로부터 각 절편에서 푸른색으로 착색된 정상혈류 조직의 면적과 착색되지 않은 영역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각 절편의 총면적에 대하여 착색되지 않은 영역의 면적비를 구하고 여기에 각 절편의 무게를 곱하여 각 절편의 위험영역인 AAR(area at risk)을 계산하였다. 이렇게 구한 각 절편에 대한 AAR를 모두 합하고 이것을 전체 좌심실 무게로 나누어,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AAR(%)을 구하였다.
AAR(%) = [(각 절편에 대한 AAR의 합)/(전체 좌심실 무게)]× 100
또한, 심장 절편을 1%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 인산 완충 용액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TTC) phosphate buffer, 37℃, pH 7.4)에서 15분 동안 배양시키고 10% 포르말린(formalin) 용액에서 20~24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근의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와 보조인자(cofactor)인 NADH에 의해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가 환원되어 포르마잔 염료(formazan dye)가 되므로, 조직의 정상 부위는 붉은 벽돌색(brick-red color)을 띠게 된다. 반면 조직의 경색 부위에는 탈수소효소와 보조인자가 없으므로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가 환원되지 않고, 따라서 붉은 벽돌색을 띠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에 의해 조직 부위가 착색되는지 여부에 의해 각 절편의 정상 영역 및 경색 크기(Infarct size)를 상기 AAR 측정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하였다. 이렇게 구한 각 절편에 대한 경색 영역을 모두 합하고 이것을 전체 AAR 무게 또는 전체 좌심실 무게로 나누어,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IS(%)를 구하였다. 이 실험 모델에 있어서는, IS(%)가 낮을수록 경색부위가 적은 것이므로 시험물질의 항허혈 효과가 강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IS(%) = [(각 절편에 대한 경색 크기의 합)/(전체 좌심실 또는 전체 AAR의 무게)]× 100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흰쥐의 생체내 허혈/재관류 심장에 대한 보호효과
화합물 심근경색율 (IS/AAR1, %)
음성대조군 58.6
카리포라이드 0.1 ㎎/㎏ 40.5
0.3 ㎎/㎏ 37.9
실시예 4 0.1 ㎎/㎏ 45.8
실시예 5 1.0 ㎎/㎏ 30.2
실시예 7 1.0 ㎎/㎏ 36.6
실시예 12 0.1 ㎎/㎏ 45.9
실시예 16 1.0 ㎎/㎏ 54.2
실시예 17 0.1 ㎎/㎏ 42.8
1.0 ㎎/㎏ 35.1
실시예 18 1.0 ㎎/㎏ 31.0
실시예 23 1.0 ㎎/㎏ 48.8
1 : IS/AAR (infacrt size/ area at risk)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흰쥐를 이용한 생체내 허혈 심근 손상 모델에서도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은 위험영역에 대한 심근경색율이 유의적으로 감소된 수치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음성대조군(용매 투여군)은 위험영역(AAR)에 대한 심근경색율(IS/AAR, %)이 58.6%로서 허혈에 의한 심근 손상이 매우 심한 것을 알 수 있고, 대조물질인 카리포라이드를 투여한 경우 심근경색율은 0.1 및 0.3㎎/㎏ 투여에 의해 각각 40.5%, 37.9%로서 유의성 있는 항허혈 작용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및 12의 화합물은 0.1 ㎎/㎏ 투여로 45.8%, 45.9%의 심근경색율을 나타내어 음성대조군보다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다. 실시예 5, 7, 17 및 18의 화합물들은 1.0 ㎎/㎏ 투여에 의해 각각 30.2%, 36.6%, 35.1% 및 31.0%의 심근경색율을 나타내어 허혈심장 보호효과가 카리포라이드와 유사하거나 우수하였다. 특히 NHE-1에 대한 억제효과가 카리포라이드보다 우수하였고, 흰쥐의 적출 허혈/재관류 심장 모델에서도 우수한 심장기능 회복효과를 보인 실시예 17의 화합물은 0.1 및 1.0 ㎎/㎏ 투여에 의해 42.8% 및 35.1%의 심근경색율을 나타내어 카리포라이드와 비교하여 유사한 허혈심장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은 생체내 허혈심장 모델에서 심근경색율을 감소시켜 허혈심장에 대한 보호작용이 우수하므로, 심근경색, 부정맥, 협심증 등의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관동맥우회술, 관동맥경피성형술 등 심장시술 시의 심장보호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4 :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들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실시예 1~26으로부터 얻어진 화합물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스 용액에 현탁하여 10㎎/㎏/15㎖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 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 등을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은 없었고 폐사된 동물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실험된 화합물은 모두 랫트에 서 10㎎/㎏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적어도 10㎎/㎏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하였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직접 가압)
활성성분 5.0㎎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크로스포비돈 USNF 0.8㎎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습식 조립)
활성성분 5.0㎎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과 녹말 4.0㎎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3> 분말과 캡슐제
활성성분 5.0㎎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와 함께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 용하여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제제예 4> 주사제
활성성분으로서 100mg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mg, Na2HPO4·12H2O 26mg 및 증류수 2974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는 나트륨/수소 교환통로인 NHE-1에 대하여 강력한 억제작용을 나타내고, 적출 허혈심장모델에서 허혈/재관류에 의한 심장기능 손상의 회복을 증진시키며, 생체내 허혈동물모델에서 심근경색의 크기를 유의성있게 감소시켜 우수한 심장보호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심근경색, 심부전증, 협심증 등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관동맥우회술, 관동맥경피성형술 등의 수술 요법 또는 혈전용해제를 이용한 약물 요법과 같은 재관류 요법 시술 시에 심장보호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112005001988814-PAT00014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OH이고, R2는 H, OH, ORa, OCH2Ph, Br,
    Figure 112005001988814-PAT00015
    또는 Ra이며, R3는 H, CH3, Br, NO2, NH2, Cl, NMe2 또는 NH-SO2Me이다. 이때, Ra는 C1~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고,
    Figure 112005001988814-PAT00016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 (4-히드록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2) (4-메톡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3) (4-벤질옥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4) (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5) (8-브로모-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6) (8-니트로-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7) (7-클로로-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8) (2,2,7-트리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9) (8-디메틸아미노-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0) (8-메탄설포닐아미노-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1) (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12) (8-브로모-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13) (8-니트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14) (8-아미노-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15) (4-브로모-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6) (4,8-디브로모-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7) (4-브로모-8-니트로-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8) (4-브로모-7-클로로-2,2-디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19) (4-브로모-2,2,7-트리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20) [(3R,4S)-3-히드록시-4-메톡시-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21) [(3R,4S)-3-히드록시-4-이미다졸-1-일-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22) [(3R,4S)-3-히드록시-4-피롤-1-일-2,2-디메틸크로만-6-카보닐]구아니딘,
    23) (2,2,4-트리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24) (8-브로모-2,2,4-트리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25) (7-클로로-2,2,4-트리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및
    26) (2,2,4,7-테트라메틸-2H-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3. 카복실산 유도체(Ⅱ)를 구아니딘과 반응시켜 화합물(I)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제 1항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05001988814-PAT00017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구아니딘에 의해 쉽게 이탈될 수 있는 이탈기이다.)
  4. 제 1항의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근경색, 부정맥 또는 협심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는 재관류 요법시 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하여 심장을 보호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관류 요법은 관동맥우회술, 관동맥경피성형술과 같은 수술 요법 또는 혈전용해제와 같은 약물 요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KR1020050003334A 2005-01-13 2005-01-13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KR10061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334A KR100614203B1 (ko) 2005-01-13 2005-01-13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334A KR100614203B1 (ko) 2005-01-13 2005-01-13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656A true KR20060082656A (ko) 2006-07-19
KR100614203B1 KR100614203B1 (ko) 2006-08-21

Family

ID=3717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334A KR100614203B1 (ko) 2005-01-13 2005-01-13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45B1 (ko) * 2006-03-17 2007-05-21 한국화학연구원 신규 크로만온 옥심 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45B1 (ko) * 2006-03-17 2007-05-21 한국화학연구원 신규 크로만온 옥심 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4203B1 (ko) 200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252B1 (ko) 이미다졸을 포함하는 이차아민으로 치환된 벤조피란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864127B (zh) 一种含有不同烷基链长的氧桥双环庚烯磺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658698B1 (ko) 벤조싸이오펜-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FI95250C (fi) Menetelmä uusien, terapeuttisesti käyttökelpoisten kromaanijohdannaisten valmistamiseksi
KR100614203B1 (ko) (크로멘-6-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KR100518184B1 (ko) 퓨란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389127B1 (ko) 벤조피라닐 헤테로고리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598133B1 (ko) 아지리딘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820173B1 (ko) 4-메틸이미다졸-5-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33095B1 (ko) 3,5-위치가 치환된 퓨란-2-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그의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JP2007517022A6 (ja) フランカルボニルグアニジ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製薬組成物
KR100720045B1 (ko) 신규 크로만온 옥심 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KR100863336B1 (ko) 신규 옥사졸-4-카르보닐구아니딘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12486B1 (ko) 싸이옥소벤즈옥사졸 유도체로 치환된 벤조피란 유도체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N115322204A (zh) 土甘草a及其衍生物的制备方法与应用
KR20100022619A (ko) 2-벤질설파닐-벤즈이미다졸-4-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폴리(adp-리보스)폴리머라제-1(parp-1)의 과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