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100A -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2100A KR20060082100A KR1020050002539A KR20050002539A KR20060082100A KR 20060082100 A KR20060082100 A KR 20060082100A KR 1020050002539 A KR1020050002539 A KR 1020050002539A KR 20050002539 A KR20050002539 A KR 20050002539A KR 20060082100 A KR20060082100 A KR 200600821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camera module
- lens
- body portion
- lens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카메라렌즈를 구비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지지부와, 상기 홀더지지부를 향해 상기 렌즈홀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와 홀더지지부의 결합면의 일면에는 굴곡면이 타면에는 조절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홀더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조절돌기가 상기 굴곡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초점거리 조절이 가능한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을 제공한다.
이동통신단말기, 카메라모듈, 접사모드, 노말모드, 무한초점모드
Description
도 1a는 종래의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도.
도 1b는 상기 도 1a에 장착된 카메라모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렌즈홀더의 단면도.
도 6은 렌즈홀더의 배면도.
도 7은 각 모드에 따른 조절돌기와 굴곡면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없이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멀티모드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최근 들어 통신기술 및 이동통신단말기 제작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최근 보급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기능 이외에, 온라인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이메일 수신 발신, 전자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카메라모듈을 장착하여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모듈(7)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본체(8)와 폴더(81)을 연결하는 힌지(83)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그리고 상기 카메라모듈(7)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조립체(71), 모듈몸체(72), 인쇄회로기판(74)를 갖는다.
상기 모듈몸체(72)의 상단부에는 상기 렌즈조립체(7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리드프레임(7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프레임(73)의 하부는 촬상소자(미도시) 등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74)과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74)은 플렉시블회로기판(미도시)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내장된 메인인쇄회로기판(미도시)으로 연결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8)에 사용되는 카메라모듈(7)은 상기 렌즈조립체(71)가 상기 모듈몸체(7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렌즈의 초점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물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쵤영하기 위해서는 사물과 이동통신단말기(8) 사이에 거리를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출시된 이동통신단말기는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카메라 내부에 모터를 장착하여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초점거리를 조정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모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내부구성을 복잡하게 변경해야 하므로, 이러한 구성을 설계 공간이 부족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충격 등에 의해 고장발생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량이 큰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촬영크기 및 촬영범위의 조절이 가능한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동력이나 복잡한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렌즈홀더를 회전하여 렌즈를 상하이동시킴으로써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는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에 가압돌기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렌즈홀더를 균일하게 가압함으로써 초점거리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카메라렌즈를 구비하는 렌즈홀더와, 기 렌즈홀더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지지부와, 상기 홀더지지부를 향해 상기 렌즈홀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와 홀더지지부의 결합면의 일면에는 굴곡면이 타면에는 조절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홀더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조절돌기가 상기 굴곡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은,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제1몸통부와, 상기 제1몸통부의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서 확경되어 하단부가 개방된 제2몸통부와, 상기 제2몸통부의 내부에서 결합홈을 경계로하여 돌출되며 상기 제1몸통부와 연통되는 제3몸통부를 가지고, 상기 홀더지지부는 상기 제3몸통부가 삽입되는 중공부와 상기 제2몸토우의 하면이 안착되는 홀더안착면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안착면상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은,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굴곡면은 상기 결합돌기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은, 상기 제2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몸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몸통부의 상면에 안착하는 링을 가지며, 상기 링의 원주방향으로는 가압돌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은, 상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링에서 연장되어 상기 필터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은, 렌즈홀더(1), 홀더지지부(2) 및 탄성부재(3)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홀더(1)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홀더지지부(2)에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3)에 의해 상기 홀더지지부(3) 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렌즈홀더(1)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통부(11), 제2몸통부(13) 및 제3몸통부(15)를 갖는다.
상기 제1몸통부(11)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몸통부(13)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렌즈(111)와 중공부(115)를 갖는다. 상기 상부렌즈(111)는 상기 제1몸통부(11)의 상부에 위치하여 피사체로부터 나온 빛을 받아들이게 된다. 상기 중공부(115)는 상기 제1몸통부(11)의 중앙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3몸통부(15)의 중공부(155)와 연통되며, 상기 상부렌즈(111)로 들어온 빛이 하부렌즈(151)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중공부(115)의 단면형상은 사용되는 렌즈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몸통부(13)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몸통부(11)의 외주면 소정의 위치에서 확경되며, 그 하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2몸통부(13)는 링안착면(131), 둘레면(133), 결합홈(135), 조절돌기(137) 및 조절레버(139)를 갖는다.
상기 링안착면(131)은 상기 제2몸통부(13)의 상면으로서, 상기 제1몸통부(11)의 일단부와 상기 둘레면(15)의 일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링안착면(131)에는 상기 탄성부재(3)의 링(31)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둘레면(133)은 상기 링안착면(131)의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며, 그 내부에는 결합홈(135)을 경계로 상기 제3몸통부(15)가 하향돌출된다. 상기 둘레면(133)의 바깥지름은 상기 홀지지지부(2)의 몸통부의 바깥지름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둘레면(15)의 하면은 상기 홀더지지부(2)와의 결합시 홀더지지부(2)의 홀더안착면(23)상에 안착된다. 상기 둘레면(133)의 소정의 위치에는 조절레버(1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레버(139)는 단면이 "└" 형상을 가지고 상기 둘레면(133)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레버(139)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홀더(1)를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모듈의 초점을 조정한다. 상기 조절레버(139)는 상기 렌즈홀더(1)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 및 형성위치는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홀더(1)의 상단부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판(75)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홈(135)은 상기 둘레면(133)의 내주면과 상기 제3몸통부(15)의 외주면에 의해서 규정된 홈이다. 상기 결합홈(135)에는 상기 홀더지지부(2)와의 결합시 결합돌기(231)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홈(135)의 일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231)상에 형성된 굴곡면(233)과 접하는 조절돌기(1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돌기(137)가 상기 렌즈홀더(1)에 연동하여 회전 함으로써 상기 굴곡면(233)상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렌즈홀더(1)에 장착된 렌즈(5)의 초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절돌기(137)는 상기 결합홈(135)의 내부 뿐만 아니라, 상기 굴곡면(233)과 접하여 상기 굴곡면(233)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할 수 있다면, 상기 둘레면(133)의 하면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2)의 홀더안착면(23)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돌기(137)는 상기 결합홈(135)의 내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면 그 형성갯수는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3몸통부(15)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몸통부(2)의 내부에서 하향돌출된다. 상기 제3몸통부(15)는 상기 렌즈홀더(1)와 홀더지지부(2)와의 결합시 상기 홀더지지부(2)에 삽입된다. 상기 제3몸통부(15)는 하부렌즈(151)와 중공부(155)를 갖는다. 상기 하부렌즈(151)는 상기 상부렌즈(111)에 입사된 빛을 상기 회로기판(4)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공부(155)는 상기 제3몸통부(15)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제1몸통부(13)의 중공부(115)와 연통되며, 상기 상부렌즈(11)로 입사된 빛이 상기 하부렌즈(151)로 진행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홀더지지부(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렌즈홀더(1)와 결합하여 상기 렌즈홀더(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그 일단에는 상기 회로기판(4)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홀더지지부(2)는 중공부(21), 홀더안착면(23) 및 걸림돌기(25)를 갖는다.
상기 중공부(21)는 상기 제3몸통부(15)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렌즈(151)를 통과한 빛이 상기 회로기판(6)으로 진행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중공부(21)의 내주 면의 직경은 상기 제3몸통부(15) 외주면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렌즈홀더(1)가 상기 중공부(21)에 끼워맞춤되게 하여 상기 렌즈홀더(1)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안착면(23)은 상기 홀더지지부(2)의 상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안착면(23) 상에는 상기 제2몸통부(13)의 하면이 안착된다. 상기 홀더안착면(23)의 바깥지름은 상기 제2몸통부(13)의 바깥지름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안착면(23) 상에는 상기 결합홈(13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홀더안착면(23)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231)의 상면에는 굴곡면(2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렌즈홀더(1)의 결합홈(135)에 끼움되어 상기 렌즈홀더(1)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렌즈홀더(1)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굴곡면(233)은 상기 결합돌기(231)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돌기(137)의 일단부와 접한다. 상기 굴곡면(233)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사모드(Macro Mode)가 되는 제1면(M), 노멀모드(Normal Mode)가 되는 제2면(N), 무한초점모드(Infinite Mode)가 되는 제3면(I)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굴곡면(233) 상에는 상기 제1면(M), 제2면(N), 제3면(I), 제2면(N), 제1면(M) 순서로 각각의 면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면(M), 제2면(N) 및 제3면(I)의 배치간격 및 형성갯수는 상기 조절돌기(137)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조절돌기(137)가 회동하는 경우 각각의 조절돌기(137)는 모두 동일한 굴곡면(예를 들어, 제1면)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사모드, 노멀모드 및 무한초점모드 3가지 모드가 가능하도록 상기 굴곡면(233)을 형성하였지만, 상기 굴곡면(233)을 변형하여 2가지 모드 및 4가지 모드 이상도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면(M)은 상기 제2면(N)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돌기(137)가 상기 제1면(M)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렌즈홀더(1)가 상기 홀더지지부(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111, 151)와 상기 회로기판(4)에 장착된 센서(미도시)간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초점거리가 짧아지므로 근거리(일반적으로 30cm이하)에 있는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면(N)은 상기 제1면(M)에서 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향 경사져서 상기 제3면(I)과 연결된다. 상기 제2면(N)상에 상기 조절돌기(137)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절돌기(137)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단말기의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제2면(N)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제2면(N)의 길이 및 각도는 카메라모듈 및 렌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조절돌기(137)가 상기 제2면(N)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렌즈(111, 115)는 통상적인 거리(일반적으로 30cm~150cm)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된다.
상기 조절돌기(137)가 상기 제3면(I)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렌즈홀더(1)가 상기 홀더지지부(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111, 151)와 상기 회로기판(4)에 장착된 센서(미도시)간의 거리가 멀어져 초점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 원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굴곡면(233)을 상기 결합돌기(231)상에 형성하였지만, 상기 굴곡면(233)은 상기 제2몸통부(13)의 둘레면(133)의 하면 또는 상기 결합홈(135)의 내부에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홀더안착면(23) 또는 상기 결합돌기(231)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25)는 상기 홀더지지부(2)의 외주면 소정의 위치에서 외향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5)는 상기 홀더지지부(2)의 외주면상에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상기 회로기판(4)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5)에는 상기 탄성부재(3)의 걸림공(331)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3)를 상기 홀더지지부(2)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를 고정할 수 있다면, 상기 걸림돌기(25)를 상기 회로기판(4)상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31)과 상기 링(31)의 소정의 위치에서 하향돌출된 다리부(33)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홀더(1)와 상기 홀더지지부(2)를 밀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렌즈홀더(1)와 상기 홀더지지부(2)의 접합면상에 형성된 상기 조절돌기(19)와 상기 굴곡면(231) 사이에 간격의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초점거리를 정확하게 유지하게 한다.
상기 링(31)은 도넛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몸통부(13)에 삽입되어 상기 제2몸통부(13)의 링안착면(131) 상에 안착된다. 상기 링(31)의 내부지름은 상기 제1몸통부(11)의 바깥지름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링(31)이 상기 렌즈홀더(1)에 끼움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31)의 외부지름은 상기 둘레면 (133)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31)에는 원주방향으로 가압돌기(31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돌기(311)는 상기 링(31)의 소정의 위치에서 하향돌출된 굴곡면으로서, 상기 링안착면(131)과 선접촉한다. 따라서, 각각의 가압돌기(311)는 상기 링안착면(131)을 균일한 힘으로 가압함으로써 정확한 초점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압돌기(311)의 형성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가압수단으로서 상기 가압돌기(311)가 형성된 링(31) 대신 접시스프링(Belleville Spring)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다리부(33)는 상기 링(31)의 소정의 위치에서 하향돌출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홀더지지부(2)의 걸림돌기(25)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공(331)을 갖는다. 상기 다리부(33)의 형성위치 및 형성갯수는 상기 걸림돌기(25)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33)의 길이는, 상기 조절돌기(19)가 제1면(M)상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돌기(331)가 상기 링안착면(131)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6)가 상기 조절돌기(137)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렌즈홀더(1)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본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 렌즈홀더(1)와 상기 홀더지지부(2)를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렌즈홀더(1)의 제3몸통부(15)를 상기 홀더지지부(2)의 중공부(21)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결합홈(135)에 끼움되고 상기 둘레면(133)의 하면은 상기 홀더안착면(23)에 안착된다. 이 때, 상기 조절돌기(137)는 상기 결합돌기(231)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굴곡면(233)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홀더(1)는 상기 홀더지지부(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의 링(31)을 상기 제1몸통부(11)에 삽입하여 상기 링안착면(131)에 안착시키며, 상기 다리부(33)에 형성된 걸림공(331)을 상기 홀더지지부(2)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5)에 끼워서 상기 렌즈홀더(1)와 상기 홀더지지부(2)를 결합한다.
이 때, 상기 렌즈홀더(1)의 조절레버(139)를 회전하면, 상기 조절돌기(137)가 상기 굴곡면(233)의 제1면(M), 제2면(N) 및 제3면(I)상에 순처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111, 151)와 상기 회로기판(4) 사이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멀어지게 되어 초점거리가 늘어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는 상기 렌즈홀더(1)를 가압하여 상기 홀더지지부(2)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각각의 모드에서 정확한 초점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출원인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은 PDA 등 모든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은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촬영크기 및 촬영범위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은 렌즈의 초점거리 조절을 위해 별도의 동력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멀티스텝 카메라모듈은 탄성부재에 가압돌기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렌즈홀더를 균일하게 가압함으로써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카메라렌즈를 구비하는 렌즈홀더와,상기 렌즈홀더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지지부와,상기 홀더지지부를 향해 상기 렌즈홀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상기 렌즈홀더와 홀더지지부의 결합면의 일면에는 굴곡면이 타면에는 조절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렌즈홀더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조절돌기가 상기 굴곡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제1몸통부와, 상기 제1몸통부의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서 확경되어 하단부가 개방된 제2몸통부와, 상기 제2몸통부의 내부에서 결합홈을 경계로하여 돌출되며 상기 제1몸통부와 연통되는 제3몸통부를 가지고,상기 홀더지지부는 상기 제3몸통부가 삽입되는 중공부와 상기 제2몸통부의 하면이 안착되는 홀더안착면을 구비하며,상기 홀더안착면상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끼워맞춤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굴곡면은 상기 결합돌기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몸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몸통부의 상면에 안착하는 링을 가지며,상기 링의 원주방향으로는 가압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몸통부의 상면에 선접촉을 함으로써 균일한 가압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링에서 연장되어 상기 홀더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링의 소정의 부위에서 하향돌출된 다리부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2539A KR100689977B1 (ko) | 2005-01-11 | 2005-01-11 |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2539A KR100689977B1 (ko) | 2005-01-11 | 2005-01-11 |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2100A true KR20060082100A (ko) | 2006-07-14 |
KR100689977B1 KR100689977B1 (ko) | 2007-03-08 |
Family
ID=3717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2539A KR100689977B1 (ko) | 2005-01-11 | 2005-01-11 |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997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3211B1 (ko) * | 2006-12-08 | 2008-03-13 | 주식회사 엠씨넥스 | 카메라 모듈 |
KR100836134B1 (ko) * | 2007-02-07 | 2008-06-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4411B1 (ko) * | 1999-07-22 | 2006-05-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폰의 렌즈 모듈 |
KR20050028621A (ko) * | 2003-09-19 | 2005-03-23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근접촬영 절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
KR100614690B1 (ko) * | 2004-06-16 | 2006-08-22 | 주식회사 하이소닉 | 영상 촬영 장치 |
KR100619331B1 (ko) * | 2004-01-19 | 2006-09-12 | 삼성전기주식회사 | 근접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휴대단말기 |
JP2005300606A (ja) * | 2004-04-06 | 2005-10-27 | Smk Corp | カメラモジュール |
-
2005
- 2005-01-11 KR KR1020050002539A patent/KR1006899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3211B1 (ko) * | 2006-12-08 | 2008-03-13 | 주식회사 엠씨넥스 | 카메라 모듈 |
KR100836134B1 (ko) * | 2007-02-07 | 2008-06-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89977B1 (ko) | 2007-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600599B (zh) | 成像模组、摄像头组件和电子装置 | |
AU2019302963B2 (en) | Electronic apparatus | |
US7944629B2 (en) | Camera lens assembly | |
US8503106B2 (en) | Camera module and lens driving device | |
EP3119076A1 (en) | Camera module | |
CN108540704B (zh) | 摄像头组件与电子装置 | |
US20100039549A1 (en) | Communication terminal | |
CN108535830B (zh) | 成像模组、摄像头组件与电子装置 | |
KR101472675B1 (ko) | 듀얼 카메라 모듈 | |
KR20190093275A (ko) | 필터 스위칭 장치 | |
TWM584902U (zh) | 相機裝置 | |
CN115918099B (zh) | 一种摄像头马达、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 |
KR100689977B1 (ko) |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 |
KR100573576B1 (ko) | 매크로 기능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렌즈 조립체 | |
KR102645837B1 (ko) |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1511065B1 (ko) |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 | |
JP3912365B2 (ja) | レンズ移動機構、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 |
JP2008186000A (ja) | 焦点調整アクチュエータ、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機器 | |
CN115774316A (zh) | 光学镜头以及摄像模组 | |
WO2019237905A1 (zh) | 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与电子装置 | |
JP5188924B2 (ja) | 撮像レンズユニット | |
JP2004304565A (ja) | 固体撮像装置 | |
JP2007133254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
JP3853665B2 (ja) | 電子ユニット | |
KR20100082238A (ko) |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