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971A - 화상 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971A
KR20060081971A KR1020050002660A KR20050002660A KR20060081971A KR 20060081971 A KR20060081971 A KR 20060081971A KR 1020050002660 A KR1020050002660 A KR 1020050002660A KR 20050002660 A KR20050002660 A KR 20050002660A KR 20060081971 A KR20060081971 A KR 20060081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tolerance
assembly surface
image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306B1 (ko
Inventor
박건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3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02B15/144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4109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에 사용되는 화상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픽업장치는, 실린더 형을 이루며 렌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공간이 마련된 경통과; 상기 경통 속에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에는 제1 렌즈를 안착시키기 위한 평탄한 제1 렌즈 조립면 및 제3 렌즈를 안착시키기 위한 평탄한 조립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렌즈의 광 입사면 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립면이 상기 제1 렌즈 조립면에 맞닿고 제1 렌즈의 광 출사면 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 엣지부에 제2 렌즈의 입사면 가장자리가 접촉함과 함께 제2 렌즈를 초음파 융착이나 접착제를 기반으로 경통에 고정하며; 상기 경통에는 제3 렌즈를 안착시키기 위한 평탄한 제3 렌즈 조립면이 형성되고 제3 렌즈의 입사면 플랜지 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립면이 상기 제3 렌즈 조립면에 맞닿아 조립되고, 제3 렌즈 후방으로부터 플레어스탑 및 제4 렌즈가 적층되고, 종단에서 압입링이 압입되어 경통-렌즈 어셈블리가 완성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화상픽업장치, 화상픽업렌즈, 화상픽업유닛

Description

화상 픽업 장치{IMAGE PICKUP DEVICE}
도1은 종래의 화상 픽업장치의 측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픽업장치를 분리하여 본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픽업장치에서 제1 렌즈부재 및 제2 렌즈부재를 조립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경통 110: 제1 렌즈
120: 제2 렌즈 130: 제3 렌즈
140: 제4 렌즈 150: 플레어스탑
160: 압입링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화상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해상도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화상 픽업 렌즈로서, 렌즈와 경통에서 발생되는 공차 및 그 누적 공차를 최소화하고 공차들이 서로 보상관계에 놓이도록 조립함으로써 공차 누적에 의한 렌즈의 이미지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PDA,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에 화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휴대성이라는 측면에서 초소형, 초경량화가 필연적이다. 이러한 카메라 장치는 물체로부터 화상을 형성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 형성된 화상을 인식하는 화상센서와, 상기 화상센서로부터 획득한 화상을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등으로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소형 경량화가 필연적인 요구사양이면서 동시에 고성능의 화상 취득이 가능하게 진보되어 왔다. 최근들어, 카메라 장치에 구비되는 렌즈의 구조는 3장이나 4장의 렌즈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장의 렌즈 구조에 비하여 4장의 렌즈 구조가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
3장의 렌즈 구조는 단일 렌즈 구조 및 2장의 렌즈 구조에 비교해서 더 높은 성능을 갖기 때문에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물체 측으로부터 그 순서대로 배열되어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로 이루어진다. 이 구조는 소형 화상 픽업장치의 화상 픽업렌즈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구조의 자유도 등과 고해상도 화상 취득 등을 고려할 때 3장의 렌즈 구조는 적절하지 않고, 4장의 렌즈 구조를 구비한 화상 픽업장치가 요구된다. 여기서, 화상 픽업렌즈가 5장 이상의 렌즈 구조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대형의 화상 픽업장치가 불가피하게 얻어지기 때문에 5장 이상의 구조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 된다.
도1은 종래의 4장의 렌즈를 사용하는 화상 픽업장치의 구조를 보여준다.
렌즈를 통해서 입사된 화상 광에 반응하여 전기적인 화상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는 화상센서(10), 상기 화상센서(10)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화상센서를 유지하기 위한 기부판(20), 렌즈 배럴로써 기능하며 입사광에 대한 개구를 포함하는 경통(30)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좌측은 물체 측이고 우측은 화상센서 측을 나타내며, 일점 쇄선은 렌즈에 공통된 광축을 표현한다.
상기 화상 픽업장치는 적외선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 필터(40) 및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경통에 의해서 배열되고 지지된 제1 렌즈(L1), 스탑(S), 제2 렌즈(L2), 제3 렌즈(L3) 및 제4 렌즈(L4)를 갖는 화상 픽업 렌즈를 포함함으로써, 각각의 렌즈(L1~L4)들을 통해 물체의 화상을 전송하고 화상센서(10)에서 화상 형성을 수행한다.
상기 경통(30)은 기부판(20)에 직접 고정된 기부 본체(31), 제4 렌즈(L4)를 유지하기 위한 렌즈 홀더(32) 및 렌즈 홀더(32)와 함께 모든 렌즈들을 고정하고 유지하는 렌즈 고정구(33)를 포함한다. 렌즈 고정구(33), 렌즈 홀더(32) 및 기부 본체(31)는 거의 실린더형으로 서로 완전히 접속되고, 동일 축 상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경통(30)에는 제1 차광 마스크(51)가 물체 측 경통 외피 상에 배열되고, 제2 차광 마스크(52)가 제2 렌즈(L2) 및 제3 렌즈(L3) 사이에 배열되며, 제3 차광 마스크(53)가 제3 렌즈(L3) 및 제4 렌즈(L4) 사이에 배열된다. 각각의 차광 마스크(51,52,53)는 원형 개구를 갖고 화상 형성을 이루지 않는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도록 위치한다. 즉, 스탑(S) 및 차광 마스크(51,52,53)의 상호 작용은 물체 측으로부터 도입하는 광이 렌즈(L1~L4)들의 유효 직경을 벗어난 영역 상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스트(ghost)나 플레어(flare)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한다.
상기 기부 본체(31)는 가장 큰 내경을 갖고 기구 본체(31) 내에 렌즈 홀더(32)가 위치하며, 기부 본체(31)의 내부 원주 방향 표면 상에 암나사를 갖고, 렌즈 홀더(32)는 외부 원주방향 표면 상에 수나사를 갖는다. 이러한 나사는 기부 본체(31) 및 렌즈 홀더(32)를 접속하기 위해서 서로 맞물린다. 렌즈 홀더(32)는 렌즈 고정구(33) 보다 더 큰 내부 직경을 갖고, 렌즈 홀더(32) 내에 렌즈 고정구(33)가 위치한다. 렌즈 홀더(32)는 내부 원주방향 표면 상에 암나사를 갖고, 렌즈 고정구(33)는 외부 원주방향 표면 상에 수나사를 갖는다. 이러한 나사들은 렌즈 홀더(32) 및 렌즈 고정구(33)를 접속하기 위해서 서로 맞물린다.
지금까지 설명한 화상 픽업장치에서 각각의 렌즈들이 모여서 제 기능을 내기 위해서는 하나의 조립품으로 만들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경통이라고 부르는 케이싱 혹은 프레임에 렌즈를 주어진 순서대로 적층하거나, 주어진 조립면에 렌즈를 단순히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상 픽업장치에 따른 화상 픽업렌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렌즈를 경통에 조립하면 렌즈 각각의 단품이 가지는 두께 공차, 경통의 공차, 그리고 조립되면서 발생하는 각 렌즈간의 거리 공차가 있기 마련이고, 이러한 공차들이 렌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누적되면 렌즈에 의해서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이 극도로 저하되고, 이에 따른 화상 픽업장치의 신뢰성 저하 나 품질 불량을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는 소형, 경량의 화상 픽업장치에서 고해상도의 뛰어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단품들이 갖는 공차의 축소는 물론, 공차 누적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의 화상 픽업장치에서 렌즈 및 경통 어셈블리 조립시의 공차 및 그 공차의 누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화상 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의 화상 픽업장치에서 렌즈 및 경통 어셈블리 조립시의 공차 및 그 공차의 누적을 각 렌즈간의 공차들이 상호 보상관계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화상 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의 화상 픽업장치에서 렌즈 및 경통 어셈블리 조립시의 공차 및 그 공차의 누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경통 내면에 렌즈 조립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는 조립면을 가공하고, 각각의 렌즈가 조립면을 기준으로 서로 적층되는 형태로 조립됨과 함께 초음파 융착이나 본딩에 의해 고정되며, 렌즈간 공차 발생시 인접한 다른 렌즈간 공차가 이를 보상하여 상쇄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구조의 화상 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 픽업장치는,
실린더 형을 이루며 렌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공간이 마련된 경통과; 상기 경통 속에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에는 제1 렌즈를 안착시키기 위한 평탄한 제1 렌즈 조립면 및 제3 렌즈를 안착시키기 위한 평탄한 조립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렌즈의 광 입사면 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립면이 상기 제1 렌즈 조립면에 맞닿고 제1 렌즈의 광 출사면 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 엣지부에 제2 렌즈의 입사면 가장자리가 접촉함과 함께 제2 렌즈를 초음파 융착이나 접착제를 기반으로 경통에 고정하며; 상기 경통에는 제3 렌즈를 안착시키기 위한 평탄한 제3 렌즈 조립면이 형성되고 제3 렌즈의 입사면 플랜지 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립면이 상기 제3 렌즈 조립면에 맞닿아 조립되고, 제3 렌즈 후방으로부터 플레어스탑 및 제4 렌즈가 적층되고, 종단에서 압입링이 압입되어 경통-렌즈 어셈블리가 완성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화상 픽업 장치에서, 상기 제1 렌즈 조립면과 제3 렌즈 조립면 사이에서 정확하게 관리된 거리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와,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는 서로의 공차를 보상하는 구조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화상 픽업 장치에서, 상기 제1 렌즈 조립면과 제3 렌즈 조립면 사이에서 정확하게 관리된 거리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가 (+)공차이면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는 상대적으로 (-)공차가 되고,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가 (-)공차이면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는 상대적으로 (+)공차가 되어 서로의 공차를 보 상하는 구조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픽업장치의 실시예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통 내에서 발생되는 공차들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줄이기 위하여, 렌즈의 조립 구조 및 방법을 최적화함과 함께, 1번 렌즈와 2번 렌즈의 거리가 (-)공차일 경우 2번 렌즈와 3번 렌즈의 거리는 (+)공차를 갖게 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공차를 갖게 되어서로 보상되는 공차 발생으로 렌즈의 성능을 보장함으로써, 공차 누적에 의해 발생하는 렌즈의 이미지 저하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화상 픽업장치 실시예를 도2 및 도3에 표현하였다. 도2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픽업장치는 4장의 렌즈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픽업장치를 분리하여 측면에서 본 단면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3은 조립된 상태의 구조를 단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도2 및 도3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픽업장치는 경통(100),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플레어스탑(150), 압입링(160)을 포함하고 있다.
경통(100)은 광로에 대하여 실린더 형을 이루며, 물체 측으로 개구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 주변에 제1 렌즈 조립면(102)이 가공되어 있으며, 이 보다 더 큰 직경 범위에 제3 렌즈(130) 조립면(103)이 가공되어 있다.
제1 렌즈(110)는 화상 광의 입사면(111)이 평탄(flat)하고 출사면(112)은 화상 광이 발산하는 굴절율을 갖는다. 제1 렌즈(110)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flange)가 형성되고 출사면 방향으로는 엣지부(edge)(113)가 형성되며 입사면 방향으로는 평탄한 조립면(11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렌즈(120)는 화상 광의 입사면(121)이 수렴하고 출사면(122)이 발산하는 굴절율을 가진다.
제3 렌즈(130)는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화상 광의 입사면(131) 및 출사면(132)이 발산하는 굴절율을 가지며 제3 렌즈 조립면(103)에 정위치 되기 위하여 평탄한 조립면(133)이 형성되어 있다. 제4 렌즈(140)는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화상 광의 입사면(141) 및 출사면(14)이 수렴하는 굴절율을 가진다.
도4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픽업장치에서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플레어스탑(150), 제4 렌즈(140), 압입 링(160)을 이용하여 화상 픽업 렌즈 어셈블리를 완성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픽업렌즈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렌즈(110)를 경통(100)에 삽입한다. 이 때 제1 렌즈(110)의 입사면(111) 쪽의 평탄한 조립면(114)이 경통(100)의 제1 렌즈 조립면(102)에 맞닿으면서 조립에 따른 경사없이 제1 렌즈(110)는 경통(100)내에 안착된다.
다음 제2 렌즈(120)를 조립하는데, 제2 렌즈(120)를 상기 제1 렌즈(110)의 후방에서 삽입하는 형식으로 적층시키면 제1 렌즈(110)의 출사면(112) 쪽에 있는 플랜지의 엣지부(113)에 제2 렌즈(120)의 입사면(121) 가장자리 부분이 접하는 상 태로 놓이게 되어 제2 렌즈(120)는 제1 렌즈(110) 위에 경사없이 안착된다.
이후 제2 렌즈(120)와 경통(10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 렌즈(120)를 고정시키거나, 초음파 융착 등의 방법으로 제2 렌즈(120)를 경통(100)에 고정시킨다. 접착제 또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해서 제2 렌즈(120)를 경통(100)에 고정하면 제2 렌즈(120) 및 제1 렌즈(110)가 적층된 형태를 이루면서 경통(100) 안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제2 렌즈(120)의 입사면(121)이 접하는 제1 렌즈(110)의 플랜지의 엣지부(113)는 성형 렌즈의 특성상 치수가 매우 잘 관리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의 거리는 주어진 공차 이내로 관리가 된다.
다음은 제3 렌즈(130)를 조립한다. 제3 렌즈(130)를 경통(100)에 삽입하는데, 이 때 제3 렌즈(130)의 입사면(131) 쪽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평탄한 조립면(133)이 경통(100) 내부에 형성된 제3 렌즈 조립면(103)에 맞닿게 되면서 제3 렌즈(130)는 경사없이 경통(100) 내에 안착된다.
여기서 경통(100)의 제1 렌즈 조립면(102)과 제3 렌즈 조립면(103) 사이의 거리는 매우 잘 관리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의 거리가 (-)공차가 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제1 렌즈 조립면(102)과 제3 렌즈 조립면(103) 사이의 거리가 매우 잘 관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의 거리는 (+)공차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렌즈(110) 및 제2 렌즈(120)를 조립할 때 비록 (-)공차가 발생하였다고 해도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의 거리가 (+)공차를 가지게 되어 서로 보상되는 공차 발생 관계가 성립되므로, 이에 따라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의 공차 및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의 공차는 서로 상쇄되는 작용으로 제거되거나 극소화된다.
한편,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의 거리가 (+)공차가 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제1 렌즈 조립면(102)과 제3 렌즈 조립면(103) 사이의 거리가 매우 잘 관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의 거리는 (-)공차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렌즈(110) 및 제2 렌즈(120)를 조립할 때 비록 (+)공차가 발생하였다고 해도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의 거리가 (-)공차를 가지게 되어 서로 보상되는 공차 발생 관계가 성립되므로, 이에 따라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의 공차 및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의 공차는 서로 상쇄되는 작용으로 제거되거나 극소화된다.
다음으로 조립되는 것은 플레어스탑(150)이다. 플레어스탑(150)은 비정상적으로 센서로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는 목적을 갖고 있으며, 제3 렌즈(130)의 출사면(132) 쪽 플랜지에 놓인다.
다음에는 제4 렌즈(140)가 상기 플레어스탑(140) 위에 놓이고, 여기에 후방에서 압입링(160)을 경통(100)에 압입하여 넣으면 제3 렌즈(130), 플레어스탑(150), 제4 렌즈(140)이 경통(10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조립 완료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픽업 장치에서는 경통의 제1 렌즈 조립면(102)에 제1 렌즈(110)가 면접촉하고, 제1 렌즈(110)의 출사면 플랜지 엣지부(113)에 제2 렌즈(120)의 입사면이 조립되어 고정되고, 다시 경통(100)의 제3 렌즈 조립면(103) 에 제3 렌즈(130)의 입사면(131) 쪽에 형성된 평탄한 조립면(133)이 면접촉하여 안착되고, 여기에 플레어스탑(150)과 제4 렌즈(140)가 차례로 적층된 상태에서 압입링(160)이 압입됨으로써 경통-렌즈 어셈블리가 완성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렌즈 조립면(102)과 제3 렌즈 조립면(103) 사이의 거리가 잘 관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의 거리가 (+)공차이면 상대적으로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의 거리는 (-)공차가 되고,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의 거리가 (-)공차이면 상대적으로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의 거리는 (+)공차가 됨으로써, 공차 발생이 서로 보상 및 상쇄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공차 누적에 의한 화상 픽업 장치의 품질 저하를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픽업 장치에 따르면, 경통-렌즈 어셈블리의 조립시에 발생하는 공차 및 그 공차의 누적을 렌즈간 거리 공차의 보상 구조를 통해서 서로 상쇄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되는 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보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불량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고 품질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실린더 형을 이루며 렌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공간이 마련된 경통과; 상기 경통 속에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에는 제1 렌즈를 안착시키기 위한 평탄한 제1 렌즈 조립면 및 제3 렌즈를 안착시키기 위한 평탄한 조립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렌즈의 광 입사면 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립면이 상기 제1 렌즈 조립면에 맞닿고 제1 렌즈의 광 출사면 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 엣지부에 제2 렌즈의 입사면 가장자리가 접촉함과 함께 제2 렌즈를 초음파 융착이나 접착제를 기반으로 경통에 고정하며; 상기 경통에는 제3 렌즈를 안착시키기 위한 평탄한 제3 렌즈 조립면이 형성되고 제3 렌즈의 입사면 플랜지 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립면이 상기 제3 렌즈 조립면에 맞닿아 조립되고, 제3 렌즈 후방으로부터 플레어스탑 및 제4 렌즈가 적층되고, 종단에서 압입링이 압입되어 경통-렌즈 어셈블리가 완성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조립면과 제3 렌즈 조립면 사이에서 정확하게 관리된 거리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와,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는 서로의 공차를 보상하는 구조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조립면과 제3 렌즈 조립면 사이에서 정확하게 관리된 거리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가 (+)공차이면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는 상대적으로 (-)공차가 되고,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가 (-)공차이면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거리 공차는 상대적으로 (+)공차가 되어 서로의 공차를 보상하는 구조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픽업 장치.
KR1020050002660A 2005-01-11 2005-01-11 화상 픽업 장치 KR100621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660A KR100621306B1 (ko) 2005-01-11 2005-01-11 화상 픽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660A KR100621306B1 (ko) 2005-01-11 2005-01-11 화상 픽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971A true KR20060081971A (ko) 2006-07-14
KR100621306B1 KR100621306B1 (ko) 2006-09-13

Family

ID=3717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660A KR100621306B1 (ko) 2005-01-11 2005-01-11 화상 픽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3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45B1 (ko) * 2006-10-18 2008-09-08 신텐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JP2014123151A (ja) * 2012-12-21 2014-07-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レンズモジュール
US9507117B2 (en) 2014-02-26 2016-11-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7104A (ja) 1987-01-19 1988-07-21 Hitachi Ltd プラスチツクレンズ鏡筒
KR930013843A (ko) * 1991-12-17 1993-07-22 정몽헌 소형 카메라용 렌즈 조립 구조
KR20050022703A (ko) * 2003-08-29 2005-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KR100562723B1 (ko) * 2004-05-01 2006-03-20 주식회사 포엠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45B1 (ko) * 2006-10-18 2008-09-08 신텐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JP2014123151A (ja) * 2012-12-21 2014-07-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レンズモジュール
US10338338B2 (en) 2012-12-21 2019-07-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US9507117B2 (en) 2014-02-26 2016-11-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306B1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1684B2 (ja)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9195028B2 (en) Optical element, imaging lens unit, image pickup apparatus
US20090147381A1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using same
US9507128B2 (en)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4493046B2 (ja) レンズ鏡筒及びそのレンズ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8191423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撮像装置
JP2011135217A (ja) 撮像装置
TWI642967B (zh) 環形光學元件、成像鏡頭模組與電子裝置
JP2009048024A (ja) レンズユニット、撮像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CN111624724B (zh) 相机模块及电子装置
KR20080035417A (ko) 촬상 장치
TWI748624B (zh) 成像鏡頭、取像裝置與電子裝置
JP2019078986A (ja) 撮像装置
JP4726698B2 (ja) レンズアッシおよび撮像装置
JP2007104288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組立方法
JP2011023889A (ja) 撮影モジュールおよび結像調整方法
KR100621306B1 (ko) 화상 픽업 장치
JP2011075682A (ja) 光学系レンズ
US20190253594A1 (en) Imaging Camera
TW202101100A (zh) 成像鏡頭模組與電子裝置
TWI495946B (zh) 遮光片及採用該遮光片的相機模組
US9124790B2 (en)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10237558A (ja) 撮影モジュールおよび撮影モジュールの組立方法
KR20060068611A (ko) 화상 픽업 장치
JP2015094803A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