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729A -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일산화탄소 정화기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일산화탄소 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729A
KR20060081729A KR1020050002120A KR20050002120A KR20060081729A KR 20060081729 A KR20060081729 A KR 20060081729A KR 1020050002120 A KR1020050002120 A KR 1020050002120A KR 20050002120 A KR20050002120 A KR 20050002120A KR 20060081729 A KR20060081729 A KR 20060081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monoxide
air
hydrogen gas
fuel
monoxide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200B1 (ko
Inventor
손인혁
서동명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200B1/ko
Priority to JP2005366953A priority patent/JP4377373B2/ja
Priority to US11/325,967 priority patent/US8178248B2/en
Publication of KR2006008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0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driven by gas; e.g. suction operated
    • G10K9/04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driven by gas; e.g. suction operated by compressed gases, e.g. compressed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6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 C01B3/58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including a catalytic reaction
    • C01B3/583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including a catalytic reaction the reaction being the selective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68Removal of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35Catalytic purification
    • C01B2203/044Selective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65Composition of the impurity
    • C01B2203/047Composition of the impurity the impurity being carbon mon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uel Cell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 발생부와, 열 에너지에 의한 개질 촉매 반응을 통해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개질기와, 상기 개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소 가스와 별도로 공급되는 공기의 선택적 산화 촉매 반응을 통해 상기 수소 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일산화탄소 정화기와, 상기 개질기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원과, 상기 일산화탄소 정화기 및 전기 발생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원을 포함하며,
상기 일산화탄소 정화기는, 내부에 산화 촉매를 충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반응기 본체와, 상기 반응기 본체의 주입부 측에 설치되어 이 반응기 본체 내부로 주입되는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를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 중심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유닛을 포함한다.
연료전지, 퓨얼셀, 스택, 버너, 개질기, 일산화탄소정화기, 확산유닛, 디퓨져, 노즐공

Description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일산화탄소 정화기 {FUEL CELL SYSTEM AND CARBON MONOXIDE REMO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택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산화탄소 정화기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산화탄소 정화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소 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일산화탄소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료 전지(Fuel Cell)는 메탄올과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소 또는 산소를 포함한 공기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상기 연료 전지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을 개질하여 만들어진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자동차와 같은 이동용 전원은 물론, 주택, 공공건물과 같은 분산용 전원 및 전자기기용과 같은 소형 전원 등 그 응용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연료 전지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스택(stack), 연료 처리장치, 연료 탱크, 및 연료 펌프 등을 구비한다. 이 중에서 상기 연료 처리장치는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개질기와, 상기 수소 가스와 산소 또는 공기(이하에서는 '공기'라고 한다.)의 산화 반응을 통해 이 수소 가스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일산화탄소 정화기 예컨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PROX(Preferential CO Oxidation) 반응기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일산화탄소 정화기는 내부 공간을 갖는 반응기 본체와, 이 반응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산화 촉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상기한 수소 가스와 공기가 자체의 공급 압력에 의하여 반응기 본체의 중심부로 집중 공급되는 편리(channel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편리 현상에 의하여 산화 촉매에 의한 수소 가스와 공기의 산화 반응이 반응기 본체의 중심부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일산화탄소 정화기의 반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산화 촉매에 대한 수소 가스와 공기의 부분 집중적인 산화 반응에 의하여 산화 촉매의 활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반응기 본체 내부로 공급되는 수소 가스와 공기의 편리(channel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일산화탄소 정화기 및 이를 채용한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정화기는, 개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소 가스와 별도 공급되는 산소의 선택적 산화 반응을 통해 상기 수소 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으로서, 내부에 산화 촉매를 충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반응기 본체와, 상기 반응기 본체의 주입부 측에 설치되어 이 반응기 본체 내부로 주입되는 상기 수소 가스와 산소를 상기 산화 촉매 전체로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정화기는, 공기를 통해 상기 산소를 얻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본체는 실질적으로 양측 단부가 개방된 관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 단부에 상기 주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른 일측 단부에 배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정화기는, 상기 산화 촉매가 펠릿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정화기는, 상기 산화 촉매가 허니콤(HONEY COMB)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확산유닛은, 상기 수소 가스와 산소를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로 분산시키는 노즐공을 가지면서 상기 주입부에서 배출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꼬깔 형태의 디퓨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퓨져는 상기 주입부에서 배출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노즐공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 발생부와, 열 에너지에 의한 개질 촉매 반응을 통해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개질기와, 상기 개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소 가스와 별도로 공급되는 공기의 선택적 산화 촉매 반응을 통해 상기 수소 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일산화탄소 정화기와, 상기 개질기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원과, 상기 일산화탄소 정화기 및 전기 발생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원을 포함하며,
상기 일산화탄소 정화기는, 내부에 산화 촉매를 충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반응기 본체와, 상기 반응기 본체의 주입부 측에 설치되어 이 반응기 본체 내부로 주입되는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를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 중심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본체는 실질적으로 양측 단부가 개방된 관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 단부에 상기 주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른 일측 단부에 배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확산유닛은, 상기 수 소 가스와 공기를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로 분산시키는 노즐공을 가지면서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꼬깔 형태의 디퓨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퓨져는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노즐공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원은, 상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에 연결 설치되어 이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원은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상기 일산화탄소 정화기 및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상기 전기 발생부를 복수로 구비하여 이들 전기 발생부의 집합체 구조에 의한 스택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00)을 설명하면, 이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 고, 이 수소 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de Membrane Fuel Cell; PEMFC) 방식을 채용한다.
이러한 연료 전지 시스템(100)에 있어 연료라 함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천연 가스 등과 같이 수소를 함유한 액상 또는 기체 상태로 이루어진 연료를 모두 포함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연료는 상기한 액상의 연료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시스템(100)은 수소 가스와 반응하는 산화제 가스로서 별도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산소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후자의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 발생부(11)와, 열 에너지에 의한 화학 촉매 반응을 통해 전술한 바 있는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개질기(20)와, 상기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 열원을 개질기(20)에 제공하는 버너(30)와,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의 선택적 산화 촉매 반응을 통해 이 수소 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고 상기 수소 가스를 전기 발생부(11)로 공급하는 일산화탄소 정화기(40)와, 상기 연료를 개질기(20)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원(60)과, 상기 개질기(20)와 전기 발생부(11)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원(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택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이 스택을 구성하는 전기 발생부(11)는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Electrode Assembly: MEA)(12)를 중심에 두고 이의 양면에 세퍼레이터(당 업계에서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라고도 한다.)(Separator)(16)를 배치하여 최소 단위의 연료 전지(fuel cell)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최소 단위의 전기 발생부(11)를 복수로 구비하여 이들 전기 발생부(11)의 집합체 구조에 의한 스택(1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12)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소정 면적의 활성 영역을 가지면서 일면에 애노드 전극, 다른 일면에 캐소드 전극을 구비하고, 두 전극 사이에 전해질막을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은 수소를 산화 반응시켜 수소 이온(프로톤)과 전자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캐소드 전극은 상기 수소 이온과 산소를 환원 반응시켜, 소정 온도의 열과 수분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전해질막은 애노드 전극에서 생성된 수소 이온을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시키는 이온 교환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16)는 막-전극 어셈블리(12)의 양측에 수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기능 이 외에, 상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직렬로 연결시켜 주는 전도체의 기능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택(10)의 구성은 통상적인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의 스택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자세한 설명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개질기(20)는 열원에 의한 개질 촉매 반응 예컨대, 수증기 개질, 부분 산화 또는 자열 반응 등의 촉매 반응을 통해 상기한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개질기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개질기(20)는 위의 개질 촉매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촉매를 충전 형성하고 있 는 원통형 타입의 반응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응 기판 상에 채널을 형성하고 이 채널의 내표면에 촉매층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타입의 반응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열원을 개질기(20)에 제공하는 버너(30)는 개질기(20)와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와 함께 연료,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액상의 연료 또는 메탄 가스, 프로판 가스와 같은 기체 상태의 연료를 산화 촉매에 의한 산화 반응을 통해 연소시켜 기설정된 온도 범위의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구조의 버너를 구비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버너(30)는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점화 장치를 채용하여 공기와 함께 전술한 바 있는 연료를 착화 연소시켜 열원을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구조의 버너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개질기(20)로부터 발생되는 수소 가스 중의 일산화탄소를 정화시키기 위한 일산화탄소 정화기(40)는 상기한 수소 가스와,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의 선택적 산화(Preferential CO Oxidation: PROX) 촉매 반응을 통해 소정의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소 가스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산화탄소 정화기(4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욱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 있는 개질기(20)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원(60)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61)와, 이 연료 탱크(61)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61)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 펌프(63)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연료 탱크(61)는 파이프 라인을 통하여 개질기(20)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공급원(70)은 소정 펌핑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상기 스택(10)의 전기 발생부(11) 및 일산화탄소 정화기(40)로 각각 공급하는 공기 펌프(71)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공급원(70)은 도면에서와 같이, 단일의 공기 펌프(71)를 통해 전기 발생부(11)와 일산화탄소 정화기(40)로 공기를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기 발생부(11) 및 일산화탄소 정화기(40)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한 쌍의 공기 펌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별도 구비된 통상적인 컨트롤유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동 예컨대, 연료 공급원(60), 공기 공급원(70) 등의 가동을 실질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언급한 바 있는 일산화탄소 정화기(40) 구조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산화탄소 정화기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산화탄소 정화기(40)는 개질기(20)로부터 발생되는 수소 가스와, 공기 펌프(71)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선택적 산화 촉매 반응을 통해 이 수소 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일산화탄소 정화기(40)는 소정 용적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형 관로 형태의 반응기 본체(41)와, 이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공간에 충전 형성되는 산화 촉매(45)를 구비한다.
반응기 본체(41)는 소정 단면적을 가지면서 실질적으로 양측 단부가 개방된 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반응기 본체(41)는 외부에 노출되게 되므로, 단열성을 갖는 통상적인 금속 또는 비금속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응기 본체(41)의 일측 단부에는 개질기(20)로부터 발생되는 수소 가스와, 공기 펌프(71)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이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시키기 위한 주입부(41a)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 단부에는 산화 촉매(45)에 의한 수소 가스와 공기의 선택적 산화 반응을 통해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저감된 일산화탄소 저감 가스(이하에서는 편의상 '수소 가스'라고 한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41b)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주입부(41a)는 원형의 주입 구멍(41c)을 구비하며, 이 주입 구멍(41c)에 합류관 형태의 파이프 라인이 연결 설치되어 이 파이프 라인을 통해 개질기(20) 및 공기 펌프(71)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41b)는 파이프 라인을 통하여 스택(10)의 전기 발생부(11)와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부(41a)의 주입 구멍(41c)은 반응기 본체(41)의 단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산화 촉매(45)는 언급한 바 있는 수소 가스와 공기의 선택적 산화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또는 티타니아(TiO2)로 이루어진 펠릿(pellet) 형태의 담체에 백금(Pt), 루테늄(Ru) 등과 같은 촉매 물질을 담지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일산화탄소 정화기(40)에, 본 발명에 따른 확산유닛(50)이 제공되는 바, 이 확산유닛(50)은 반응기 본체(41) 내부로 주입되는 수 소 가스와 공기를 상기 반응기 본체(41)의 주입부(41a) 부근에서 산화 촉매(45) 전체로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확산유닛(50)은 반응기 본체(41) 내부의 주입부(41a) 측에 설치되어 이 주입부(41a)를 통해 주입되는 수소 가스와 공기를 분산 및 확산시키는 디퓨져(5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에서 디퓨져(51)는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구체적으로는 반응기 본체(41) 내부의 주입부(41a) 측에 배치되며, 이 주입부(41a)에서 배출부(41b) 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꼬깔 형태의 몸체(52)로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52)는 한 쪽 끝부분이 뾰족하면서 점차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몸체(52)는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커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몸체(52)는 상기 뾰족한 부분이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며, 그 뾰족한 부분이 주입부(41a)의 주입 구멍(41c)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52)는 반응기 본체(41)의 내경에 상응하는 대직경(뾰족한 부분의 반대쪽 단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퓨져 몸체(52)는 반응기 본체(41) 내부의 주입부(41a) 측에 용접 또는 용융 접착식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지지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결합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퓨져 몸체(52)를 꼬깔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52)의 뾰족한 부분이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 방향과 일치하면서 이 반응기 본체(41)의 주 입 구멍(41c)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상기 주입 구멍(41c)을 통해 반응기 본체(41) 내부로 주입되는 수소 가스와 공기가 상기 몸체(52)에 부딪히면서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서 그 외측으로 지나가게 함으로써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노즐공(53)을 통해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를 산화 촉매(45) 전체로 용이하게 분산 및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퓨져(51)의 몸체(52)에는 이 몸체(52)에 부딪히면서 바이어스되는 수소 가스와 공기를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서 그 외측으로 분산 및 확산시키기 위한 다수의 노즐공(53)들을 형성하고 있다.
이 노즐공(53)들은 디퓨져(51)의 몸체(52)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관통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52)의 뾰족한 부분에서 직경이 넓은 부분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점차 커지는 형태를 취한다. 즉, 상기 노즐공(53)들은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구멍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공(53)들 간의 크기 차이는 유체 역학의 연속 방정식을 고려할 때, 각각의 노즐공(53)을 통과하는 수소 가스와 공기의 유량이 일정하도록 각 노즐공(53)을 통과하는 공기의 서로 다른 유속에 반비례 하는 단면적을 가질 뿐, 어느 특정 값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에 있어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서 그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디퓨져 몸체(52)의 노즐공(53) 크기를 상이하게 한 이유는, 반응기 본체(41)의 주입 구멍(41c)을 통하여 이 반응기 본체(41) 내부로 주입되는 수소 가스와 공기의 유속이 이 수소 가스와 공기 자체의 공급 압력 및 상기 주입 구멍(41c)과 반응기 본체(41)의 단면적 차이에 의하여 상기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서 그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종래와 같은 편리(channel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디퓨져 몸체(52)에 의해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서 그 외측으로 지나면서 각 노즐공(53)을 통과하는 수소 가스와 공기의 유속에 반비례하는 단면적을 갖도록 이 노즐공(53)들의 크기를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서 그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크게 형성함으로써, 유체 역학의 연속 방정식에 의하여 각각의 노즐공(53)을 통해 일정한 유량의 수소 가스와 공기를 산화 촉매(45) 전체에 분산 및 확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버너(30)를 가동시켜 연료 예컨대, 메탄 가스 또는 프로판 가스 등의 연료와 공기의 착화 연소 방식 또는 이 연료와 공기의 산화 촉매 반응 방식으로 열원을 발생시키고, 이 열원을 개질기(20)에 제공한다.
이어서, 연료 펌프(63)를 가동시켜 연료 탱크(61)에 저장된 연료를 상기 개질기(20)로 공급한다. 그러면 개질기(20)에서는 상기한 열원을 흡열하여 촉매에 의한 개질 반응을 통해 상기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때 개질기(20)는 상기한 개질 반응을 완전히 행하는 것이 곤란하여 부(副) 생성물로서 일산화탄소가 함유된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개질기(20)로부터 수소 가스를 배출시켜 이 수소 가스를 일산화 탄소 정화기(40)의 반응기 본체(41) 내부로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공기 펌프(71)를 가동시켜 공기를 상기 반응기 본체(41) 내부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는 합류관 형태의 파이프 라인 및 반응기 본체(41)의 주입 구멍(41c)을 통하여 이 반응기 본체(41)의 내부로 주입된다. 이 때 상기 반응기 본체(41)의 주입 구멍(41c)을 통하여 이 반응기 본체(41) 내부로 주입되는 수소 가스와 공기의 유속은, 이 수소 가스와 공기 자체의 공급 압력 및 상기 주입 구멍(41c)과 반응기 본체(41)의 단면적 차이에 의하여 상기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서 그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된다.
이러는 동안,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는, 상기 반응기 본체(41) 내부의 주입부(41a) 측에 꼬깔 형태의 디퓨져(5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디퓨져(51)의 몸체(52)에 부딪히면서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서 그 외측으로 분산 및 확산되게 되고, 이 몸체(52)의 노즐공(53)들을 통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서 그 외측으로 갈수록 각각의 노즐공(53)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점차 작아지고 각각의 노즐공(53)이 상기한 유속에 반비례 하는 단면적을 가지는 바, 유체 역학의 연속 방정식에 의하여 상기 각 노즐공(53)으로 일정한 유량의 수소 가스와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는 디퓨져 몸체(52)에 의하여 분산 및 확산되면서 각 노즐공(53)들을 통하여 일정한 유량으로 통과하게 되는 바, 반응기 본체(41) 내부의 산화 촉매(45) 전체로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일산화탄소 정화기(40)는 종래와 같이 반응기 본체(41) 내부로 주입되는 수소 가스와 공기가 이 반응기 본체(41)의 내부 중심에 집중되는 편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일산화탄소 정화기(40)는 산화 촉매(45)에 의한 수소 가스와 공기의 선택적 산화 반응을 통해 기설정된 반응 개시 온도 범위 예컨대, 150∼200℃를 만족하는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면서 이 수소 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킨다. 이 때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는 본 실시예에 의한 확산유닛(50)의 디퓨져(51)에 의하여 산화 촉매(45) 전체에 대하여 일정한 양으로 분산 및 확산됨에 따라, 반응기 본체(41) 내부 전체에 대하여 산화 촉매(45)에 의한 고른 산화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저감된 수소 가스를 스택(10)의 전기 발생부(11)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수소 가스는 세퍼레이터(16)를 통해 막-전극 어셈블리(12)의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공기 펌프(71)의 가동에 의하여 공기를 스택(10)의 전기 발생부(11)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공기는 세퍼레이터(16)를 통해 막-전극 어셈블리(12)의 캐소드 전극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애노드 전극에서는 수소의 산화 반응을 통해 상기 수소를 전자와 프로톤(수소이온)으로 분해한다. 그러면, 상기 프로톤은 막-전극 어셈블리(12)의 전해질막을 통하여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되고, 전자는 전해질막을 통하여 이동되지 못하고 세퍼레이터(16) 또는 별도의 단자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이웃하는 막-전극 어셈블리(12)의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 때 전자의 흐름으로 전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캐소드 전극에서는 전해질막을 통하여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된 수소 이온과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의 환원 반응을 통해 소정 온도의 열과 수분을 발생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기설정된 출력량의 전기 에너지를 소정 로드 예컨대, 노트북, PDA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기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산화탄소 정화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일산화탄소 정화기(140)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반응기 본체(141) 내부에 구비되는 산화 촉매(145)를 통상적인 허니콤(honey comb) 타입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허니콤 타입의 산화 촉매(145)는 반응기 본체(141)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다수의 평행한 관통 구멍(145a) 즉, 셀을 가진 세라믹 담체 또는 금속 담체의 셀 내부 표면에 촉매 물질을 담지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관통 구멍(145a)은 수소 가스와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로서, 이 통로의 내표면에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의 선택적 산화 반응에 필요한 촉매 물질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일산화탄소 정화기(14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기 본체 내부로 공급되는 수소 가스와 공기를 산화 촉매 전체로 분산 및 확산시킬 수 있는 디퓨져를 구비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수소 가스와 공기가 반응기 본체의 내부 중심으로 집중 공급되는 편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기 본체 내부의 산화 촉매 전체에 대하여 수소 가스와 공기의 고른 산화 반응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일산화탄소 정화기의 반응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퓨져에 의하여 반응기 본체 내부의 산화 촉매 전체로 수소 가스와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부분 집중적인 산화 반응에 의한 촉매의 활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4)

  1. 개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소 가스와 별도 공급되는 산소의 선택적 산화 반응을 통해 상기 수소 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일산화탄소 정화기에 있어서,
    내부에 산화 촉매를 충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반응기 본체; 및
    상기 반응기 본체의 주입부 측에 설치되어 이 반응기 본체 내부로 주입되는 상기 수소 가스와 산소를 상기 산화 촉매 전체로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유닛
    을 포함하는 일산화탄소 정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를 통해 상기 산소를 얻도록 된 일산화탄소 정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본체는 실질적으로 양측 단부가 개방된 관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 단부에 상기 주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른 일측 단부에 배출부를 형성하는 일산화탄소 정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촉매가 펠릿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산화탄소 정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촉매가 허니콤(HONEY COMB)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일산화탄소 정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유닛은,
    상기 수소 가스와 산소를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로 분산시키는 노즐공을 가지면서 상기 주입부에서 배출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꼬깔 형태의 디퓨져를 포함하는 일산화탄소 정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는 상기 주입부에서 배출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노즐공의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된 일산화탄소 정화기.
  8.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 발생부;
    열 에너지에 의한 개질 촉매 반응을 통해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개질기;
    상기 개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소 가스와 별도로 공급되는 공기의 선택적 산 화 촉매 반응을 통해 상기 수소 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일산화탄소 정화기;
    상기 개질기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원; 및
    상기 일산화탄소 정화기 및 전기 발생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원
    을 포함하며,
    상기 일산화탄소 정화기는, 내부에 산화 촉매를 충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반응기 본체와, 상기 반응기 본체의 주입부 측에 설치되어 이 반응기 본체 내부로 주입되는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를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 중심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유닛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본체는 실질적으로 양측 단부가 개방된 관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 단부에 상기 주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른 일측 단부에 배출부를 형성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유닛은,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를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로 분산시키는 노즐공을 가지면서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꼬깔 형태의 디퓨져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는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노즐공의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된 연료 전지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원은,
    상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에 연결 설치되어 이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펌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원은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상기 일산화탄소 정화기 및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펌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생부를 복수로 구비하여 이들 전기 발생부의 집합체 구조에 의한 스택을 형성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0050002120A 2005-01-10 2005-01-10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일산화탄소 정화기 KR101126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20A KR101126200B1 (ko) 2005-01-10 2005-01-10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일산화탄소 정화기
JP2005366953A JP4377373B2 (ja) 2005-01-10 2005-12-20 一酸化炭素除去機及びこれを有する燃料電池システム
US11/325,967 US8178248B2 (en) 2005-01-10 2006-01-04 Carbon monoxide remover and fuel cell system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20A KR101126200B1 (ko) 2005-01-10 2005-01-10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일산화탄소 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729A true KR20060081729A (ko) 2006-07-13
KR101126200B1 KR101126200B1 (ko) 2012-03-23

Family

ID=3665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120A KR101126200B1 (ko) 2005-01-10 2005-01-10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일산화탄소 정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78248B2 (ko)
JP (1) JP4377373B2 (ko)
KR (1) KR1011262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527B1 (ko) * 2007-01-09 2008-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형 prox 반응기
KR20160077349A (ko)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효성 방사 반응기용 가스분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28340B1 (en) * 2009-02-25 2012-05-30 K.M.W.E. Management B.V. Process for producing hydrogen from methanol
JP5551407B2 (ja) * 2009-10-21 2014-07-16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燃料電池用反応器
FR3062070B1 (fr) * 2017-01-23 2020-06-19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iege a impuretes apte a retenir de facon reversible les impuretes, pile a combustible comprenant un tel piege et son procede de re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5135A (en) * 1934-06-09 1936-06-23 William Olson Muff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3733785A (en) * 1971-02-04 1973-05-22 Envirotech Corp Gas flow regulation for electric precipitators
EP0558455B1 (de) * 1992-02-28 1996-09-04 Füllemann Patent Ag Brenner, insbesondere Oelbrenner oder kombinierter Oel/Gas-Brenner
JPH07185303A (ja) 1993-12-28 1995-07-25 Aqueous Res:Kk 一酸化炭素除去装置
US5746986A (en) * 1994-12-30 1998-05-05 Waukesha-Pearce Industries, Inc. Industrial catalytic converter and combination industrial catalytic converter and silencer
JPH0930802A (ja) * 1995-05-15 1997-02-04 Toyota Motor Corp 一酸化炭素濃度低減装置及びメタノール濃度低減装置並びに燃料改質装置
JP4228401B2 (ja) 1997-03-03 2009-02-25 株式会社Ihi 改質ガス中の一酸化炭素除去装置
US6073365A (en) * 1997-11-03 2000-06-13 Halverson; Steven L. Microwave apparatus for controlling insects in stored-products
JP2000254482A (ja) 1999-03-05 2000-09-19 Sanyo Electric Co Ltd 固定床触媒反応器
JP2000260457A (ja) 1999-03-09 2000-09-22 Sanyo Electric Co Ltd 燃料電池の一酸化炭素除去器
JP2000268841A (ja) 1999-03-15 2000-09-29 Sanyo Electric Co Ltd 燃料電池の一酸化炭素除去器
WO2002090248A1 (fr) * 2001-05-07 2002-11-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urificateur d'hydrogene
US7033687B2 (en) * 2001-09-19 2006-04-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fuel cell power generation
JP4107407B2 (ja) * 2001-11-29 2008-06-25 三菱化工機株式会社 酸化反応器および水素製造装置のco選択酸化反応における空気混合方法
EP1327821A1 (en) * 2001-12-25 2003-07-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urner for hydrogen generation system and hydrogen generation system having the same
JP4204786B2 (ja) 2002-01-11 2009-0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触媒反応器
JP2004175637A (ja) * 2002-11-29 2004-06-24 Babcock Hitachi Kk Co除去器及び水素製造装置
CN1551397A (zh) * 2003-05-19 2004-12-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氢生成装置及燃料电池系统
KR100531817B1 (ko) 2003-05-21 200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스택의 연료공급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527B1 (ko) * 2007-01-09 2008-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형 prox 반응기
US7833496B2 (en) 2007-01-09 2010-11-16 Samsung Sdi Co., Ltd. Plate type preferential oxidation reactor
KR20160077349A (ko)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효성 방사 반응기용 가스분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77373B2 (ja) 2009-12-02
KR101126200B1 (ko) 2012-03-23
US8178248B2 (en) 2012-05-15
US20060154122A1 (en) 2006-07-13
JP2006193419A (ja)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6789B1 (en) Catalytic humidifier and heater for the fuel stream of a fuel cell
KR20090070871A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
KR20060081728A (ko) 연료 전지 시스템, 개질기 및 버너
KR101126200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일산화탄소 정화기
KR10115592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개질기 및 버너
JP2005213133A (ja) 改質器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13549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개질기 및 버너
JP4045196B2 (ja) 触媒燃焼式バーナ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648730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
KR101125650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개질기 및 버너
KR101173858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질기 및 이를 채용한 연료 전지시스템
KR10114723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60102132A (ko)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
KR101126210B1 (ko) 일산화탄소 정화기의 냉각장치 및 연료 전지 시스템
US7727648B2 (en) Non-reactive fuel dissolution apparatus and fuel cell system having the same
KR20060040302A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연료 공급장치
KR20070027968A (ko) 개질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63750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KR10112620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637498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126209B1 (ko) 개질기용 미반응 연료 회수장치를 갖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17991A (ko) 연료 전지 개질기용 열원부 및 그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20080040463A (ko) 연료 개질기
KR20070102313A (ko) 개질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KR20060034426A (ko) 연료 전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