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723A -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성형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성형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723A
KR20060081723A KR1020067012338A KR20067012338A KR20060081723A KR 20060081723 A KR20060081723 A KR 20060081723A KR 1020067012338 A KR1020067012338 A KR 1020067012338A KR 20067012338 A KR20067012338 A KR 20067012338A KR 20060081723 A KR20060081723 A KR 20060081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flow
flow tube
coriolis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고리 트리트 란함
안토니 판크랏츠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8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5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soluble or fu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details of flowmeter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13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meter's motional or vibrational behaviour, e.g., conduit support or fixing means, or conduit attach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13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meter's motional or vibrational behaviour, e.g., conduit support or fixing means, or conduit attachments
    • G01F1/8418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meter's motional or vibrational behaviour, e.g., conduit support or fixing means, or conduit attachments motion or vibration balanc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36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5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 G01F1/8468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 G01F1/8472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curved measuring conduits, i.e. whereby the measuring conduits' curved center line lies within a plane
    • G01F1/8477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curved measuring conduits, i.e. whereby the measuring conduits' curved center line lies within a plane with multiple measuring cond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5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 G01F1/8468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 G01F1/84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straight measuring cond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5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 G01F1/8468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 G01F1/84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straight measuring conduits
    • G01F1/8495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straight measuring conduits with multiple measuring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004Method or apparatus with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048Welding with other ste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4Electrical device making including measuring or testing of device or component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7Indicating transdu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28Gas and water specific plumbing component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 장치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코리올리 유량계는 플라스틱과 사출성형을 폭넓게 사용한다. 모든 실시예(100,200,300,400,500,600)는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하나 이상의 유동관(101,102,201,301,401,555,601,602)을 포함한 동적 활성 구조체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는 밸런스바아(202,302,402)와, 플라스틱 플랜지(104,412,501,609,611) 및/또는 플라스틱 케이스(103,403), 및/또는 플라스틱 밸런스바아(110,210,310,405,520,521), 및/또는 픽오프(LPO,RPO)와 구동기(D)를 위한 플라스틱 보빈, 및/또는 픽오프와 구동기의 플라스틱 보빈을 설치하기 위한 밸런스바아 또는 유동관상의 플라스틱 설치표면을 포함한다.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사출성형 방법은 코어몰드(702)를 이용한 물질 유동 경로 코어(706)의 성형 단계, 성형될 플라스틱 유량계 구조체 외부표면을 형성한 표면을 갖는 중공부(928,929)를 갖는 랩퍼몰드(900)로 성형된 물질유동 경로 코어를 위치시키는 단계, 저융점 금속 또는 용해성 재료를 랩퍼몰드의 중공부로 사출 단계, 랩퍼몰드로부터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의 회수 단계, 저융점 금속코어를 용융 또는 고온의 물을 이용하여 용해성 재질을 용해시킴으로써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로부터 물질 유동 경로 코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코리올리 유량계, 플라스틱, 유량

Description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성형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FABRICATING A CORIOLIS FLOWMETER FORMED PRIMARILY OF PLASTIC}
도 1은 한쌍의 직선형 유동관을 가진 코리올리 유량계,
도 2는 단일 직선형 유동관을 가진 코리올리 유량계,
도 3은 유동관의 동적 활성부가 주름을 갖는 단일 직선형 유동관을 가진 코리올리 유량계,
도 4는 동심원형 밸런스 바아와 유동관 및 밸런스 바아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둘러싸는 단일 직선형 유동관을 가진 코리올리 유량계,
도 5와 도 6은 실질적으로 U자형의 한쌍의 유동관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
도 7은 이중 직선형 유동관인 유동 경로 코어를 성형하는데 사용된 코어 몰드를 개시한 것,
도 8은 도 7의 코어 몰드에 의해 성형된 유동 경로 코어를 개시한 것,
도 9는 랩퍼 몰드(wrapper mold) 및 랩퍼 몰드의 중공 세그먼트로 설정되기 이전의 유동 경로 코어를 도시한 것,
도 10은 도 9의 랩퍼 몰드에 후속되는 완전한 몰딩 과정에 의해 성형된 코리올리 유동 요소 구조체를 개시한 것,
도 11은 도 10의 유량계 구조체가 랩퍼 몰드로부터 회수된 이후와 유동 경로 코어의 용융에 의해 제거된 유량계 구조체를 개시한 것,
도 12는 단부 플랜지와 내장 케이스에 연결된 도 11의 유량계 구조체를 개시한 것,
도 13은 몰딩 처리에 의해 도 5의 유량계를 성형하는데 사용된 랩퍼 몰드의 바닥 반쪽을 개시한 것,
도 14는 도 2의 유량계를 성형하는데 사용된 랩퍼 몰드의 반쪽을 단면된 유동 경로와 단면된 밸런스 바아 코어와 함께 도시한 것,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해 구체화된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의 플로우 챠트.
본 발명은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코리올리 유량계는 물질의 유동에 관한 정확한 정보의 생성이 필요한 응용분야에 폭넓게 사용된다. 이러한 정보는 질량 유량율과 물질 밀도를 포함한다. 코리올리 유량계는 크기면에서의 범위가 0.16 센티미터의 직경으로부터 15센티미터의 직경의 유동관을 갖는다. 이러한 유량계는 마취 시스템에 이용되는 것과 같은 대략 분당 몇 방울로부터 오일 탱커를 적재하며 하적하거나 오일 파이프 라인에 사용 되는 것과 같은 분당 수 톤까지의 넓은 물질 유동 범위에 사용된다. 유량계의 크기에 관계없이, 코리올리 유량계가 사용되는 대부분의 응용분야는, 예컨대 최대 에러가 0.15퍼센트와 같은 고도의 정확성을 요구한다. 또한, 코리올리 유량계가 사용되는 많은 응용분야는 위험한 물질에 대한 정보 및 물질의 외부 누설을 방지해야만 하는 큰 주의를 요하는 물질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엄격한 요구사항은 코리올리 유량계의 생산 가격을 높이는 결과를 초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고가의 제조 비용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티타늄과 같은 비싼 재질이 사용되는 것에 기인한다. 또한, 이런 고가의 제조 비용은 전술한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좋은 품질의 코리올리 유량계를 생산하는 현재의 제조 공정의 복잡성에 기인한다. 이러한 단계들은 대량 기계가공, 용접, 납땜, 그리고 부품의 조립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요구사항으로는 곡선형 유동관 유량계는 일정한 곡률을 가져야 하며 비꼬임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사항들은 기계가공의 복잡성과 유동관의 제조에 요구된 벤딩 작업을 증가시킨다.
다른 문제로는 다양한 유량계 요소들을 접합하는데 사용되는 납땜 작업을 수반하는 것이다. 납땜 접합은 통상적으로 유동관을 브레이스 바아에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납땜 접합은 또한 구동기와 픽 오프 브라켓과 같은 기타 부품들과 U형상의 유동관의 단부에 매니폴드를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상호간의 요소들을 견고하게 부착하며 미세한 균열이 없는 납땜 접합을 생성하는 납땜 작업에는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또한, 납땜 작업은 브레이스 바아가 유동관 또는 브레이스 바아에 연결된 기타 요소들보다 더 빨리 냉각시 열 응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신속하고 비 균일한 냉각은 브레이스 바아에 연결된 요소들에게 영구 응력을 발생시킨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코리올리 유량계가 조립 라인상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장치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각각의 부품이 그의 설계 세부사항에 부합하는지와 다른 부품들과 접합되기 전에 필요한 정확성을 갖는지를 확실시 하도록 제조 공정상의 각 단계에서 수가공되며 주의깊은 점검이 되는 낮은 생산량을 갖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도의 주의력은 완벽한 유량계가 그의 설계 세부항목에 부합하는 것을 보장하며 그의 출력의 정확성을 저하시키거나 훼손시키는 결함이 없는 것을 보장하는데 요구된다.
코리올리 유량계의 다른 문제는 유량계가 종종 부식성 재질을 처리하도록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는 유량계가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티타늄과 같은 귀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지 않는 경우에 평균 예상 수명과 유량계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재질들은 구매하는데 값이 비싸고 제조도 어렵다. 이러한 재질의 사용은 처리되는 재질의 부식에 크게 저항하는 모든 티타늄 물질 유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티타늄 유동관에 접합되는 약간의 스테인레스 스틸 요소를 갖는 유량계와 같이 유량계가 종종 이질적 재질로 성형된 요소를 갖게한다.
코리올리 유량계의 다른 문제는 허용 두께를 갖는 금속 유동관이 벤딩에 상대적으로 강성이며 저항성이라는 것이다. 유동관의 벽이 두꺼울수록 유동관이 더 강성이다. 이러한 강성은 물질 유동에 의해 발생된 코리올리힘을 방해하고 물질 유동을 갖는 진동 유동관의 코리올리 변형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는 유동관 픽 오프에 의해 발생된 출력 신호의 위상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서 유량계 민감도를 저 하시킨다. 이는 특히 높은 압력의 물질을 억제하기 위한 두께운 벽을 갖는 유동관을 사용하여야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에서 문제가 된다. 그리하여, 임의의 금속 유동관의 사용은 압력 억제 요구사항에 의해 요구되는 벽 두께와 유량계에 요구되는 유동 민감도간의 절충이 있어야 한다. 미국 특허 제 5,157,975호는 글래스 유동관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깨지기 쉬우며 전술한 물질 유동관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리올리 유량계는 본 기술분야에서의 진보를 달성하며 높은 재질의 가격의 문제와 제조시의 난점을 포함한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유량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량계는 유량계를 구현하는데 대부분 플라스틱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유량계는 사출 성형으로 성형되는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를 가능케 하는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은 프라스틱과 사출 성형의 이용을 확장한 것이다. 특히, 모든 실시예들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동적 활성 구조를 갖는다.
첫번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일 직선형 유동관과, 유동관과 동심원상인 주변의 플라스틱 밸런스 바아와, 그리고 밸런스 바아의 단부를 유동관에 연결시키는 플라스틱 브레이스 바아를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가 제공된다. 전체적인 동적 활성 구조체(유동관, 밸런스 바아 및 브레이스 바아)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플라스 틱으로 성형된다. 유동관 단부는 적절한 본딩 기술에 의하여 단부 플랜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따라, 동적 활성 구조체의 부재와 플랜지의 단부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플라스틱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두번째 실시예는 순서대로 유입 플랜지로부터 유동관을 통해 유출 플랜지로 연장하면서 물질 유동을 수반하는 유동관의 길이 전체에 걸쳐 플라스틱 습식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플라스틱 습식 유동 경로가 처리 물질과 티타늄, 스테인레스와 기타 금속등과 같은 금속 유량계 부재간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부식의 문제를 해소하는 특징이 있다. 구동기 및 픽 오프와, 그리고 케이스를 제외할 수 있는 가운데, 전체적인 유량계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플라스틱으로 성형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하여 성형되는데, 이는 유량계 내측의 유동 경로의 물리적 특성을 형성하는 중공부를 갖는 유동 경로 코어 몰드를 성형하는 첫번째 단계를 포함한다. 유동 경로 코어 몰드 내측의 중공부는 비스무드, 납, 틴(tin), 카드뮴(cadmium) 그리고 인듐을 포함한 이융 금속(fusible alloys)의 금속 화합물로 채워진다. 이러한 합금은 대략 47°정도의 낮은 녹는점을 갖는다. 사출된 금속은 냉각되어 그 고형 상태가 몰드의 반쪽으로 분리되며 성형된 금속은 제거된다. 이러한 금속은 정확하게 유량계의 물질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방법의 두번째 단계는 성형되는 유량계 부재의 외부를 형성하는 중공부를 갖는 랩퍼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성형된 저융점 금속 유동 경로 코어는 랩퍼 몰드로 삽입된 후에 유량계 부재의 외부를 성형하는데 사용된 플라스틱이 사 출된다. 랩퍼 몰드내의 플라스틱은 냉각되며 랩퍼 몰드의 분리된 반쪽이 분리된 후에 경화되며 성형된 플라스틱 유량계 부재가 회수된다. 성형된 플라스틱의 외부는 유량계 부재의 소정의 외장 특성을 형성한다.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금속 유동 경로 코어는 랩퍼 몰딩 공정에 의해 성형된 플라스틱 구조체를 함유한 채 있게 된다.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이러한 플라스틱 구조체는 저융점 금속 유동 경로 코어를 녹이는데 필요한 온도로 가열된다. 저융점 금속은 용융되어 플라스틱 유량계 부재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결과적인 구조체는 랩퍼 몰드 내측의 보이드(void)에 의해 형성된 물리적 외장 특성을 가지며 유동 경로 코어 몰드에 의해 성형되는 유동 경로 금속 코어에 의해 형성된 내측 유동 경로를 갖는 유량계 부재가 된다.
전술한 방법에 의해 성형된 플라스틱 유동 부재는 그 외장의 물리적 특성이 랩퍼 몰드 내측의 보이드에 의하여 정확성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유동 부재는 코어 몰드에 의하여 성형되는 저융점 금속 유동 경로 코어에 의하여 정확하게 성형된 내부 유동 경로를 갖는다. 이러한 방법은 변형이 없는 벽과 금속 유동 매니폴드의 제조와 연관된 현재의 주조 공정의 비정규적인 유형을 갖는 이상적인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단일 곡선형 유동관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량계는 전술한 단일 직선형 유동관 유량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유입 플랜지와 유출 플랜지사이에 연결된 한쌍의 직선형 유동관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공한다. 한쌍의 유동관은 전술한 방법 과 유사한 방식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동적으로 균형잡힌 구조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동적으로 균형잡힌 구조를 포함하며 유입 플랜지 및 유출 플랜지 사이를 연결하는 한쌍의 곡선진 유동관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량계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모든 유량계들은 유동관과 연관된 일체형 단위체를 포함하도록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브레이스 바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일 직선형 유동관 유량계는 동적으로 균형잡힌 관련 밸런스 바아를 포함한다. 밸런스 바아는 유동관과 동심원형이며 관련 유동관을 둘러쌓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관련 유동관과 평행인 분리된 부재이며 서로 이격되지만 관련 브레이스 바아에 의하여 유동관에 연결된다.
전술한 모든 대체적인 실시예들은 부품에 대하여 플라스틱을 폭넓게 사용하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은 유동관 또는 관에 대해서만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다른 실시예들은 유동관 또는 관과, 밸런스 바아, 그리고 브레이스 바아를 포함한 동적 구조체 전체가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단부 플랜지에 대하여 플라스틱을 사용하므로 코리올리 유량계는 전체가 플라스틱인 습식 물질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유량계의 플라스틱 부품들은 사출 성형에 의하여 성형되므로 플라스틱을 사용한 유량계의 부품들은 단일한 일체형 플라스틱 부 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량계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부식의 문제를 최소화한다. 이러한 유량계는 제조를 용이하게 하므로 낮은 비용을 갖게 되는데 이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량계는 비균일한 벽 두께에 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코리올리 유량계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이용하기 때문에 유동관이 조절된 벽 두께를 갖는 특징이 있다. 원하는 경우, 유동관 바아의 측벽은 두께상으로 축선상 가변될 수 있어 형태상의 튜닝(modal tuning)을 달성하도록 한다. 또한, 측면 리브와 같은 축선상 부재는 유동관 또는 밸런스 바아 상에 놓여져 측면 진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유동관과 밸런스 바아와 브레이스 바아는 일체형 구조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체형 구조체는 플랜지일 수 있으며 또는 다른 플랜지는 점착성 본딩 또는 플라스틱 솔벤트 용접에 의하여 차후에 부착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경우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중 하나가 제공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유량계의 플라스틱 부재의 나머지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어 유량계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전기적 전도체와 같은 금속 부재가 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주로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단일한 일체형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플라스틱 접합 박스는 와이어를 관통시킨 후에 플라스틱 유량계에 접착될 수 있다.
몰드는 양호하게 조절된 내측 직경과 외측 직경 측정치를 갖춘 이상적인 굴곡부를 갖는 유동 경로를 정확하게 성형하도록 기계가공된다. 유동관 유동 경로의 외부의 라운딩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유동관의 비 평탄성, 거칠기 또는 비정규 적인 내벽에 대한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납땜 및 용접 작업과 관련한 열적 문제를 피하면서 금속 유량계 유형의 납땜 및 용접에 대한 균열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유량계는 적은 중량을 가지며 플라스틱을 재활용함으로써 유효 수명의 마지막에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플라스틱 유동관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금속 유동관보다 더 가요성이다. 이는 주어진 유량율에 대하여 더 큰 코리올리 응답을 갖는 플라스틱 유동관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량계의 민감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코리올리 유량계는,
유량계 유입부로부터의 물질 유동을 수용하여 유량계 유출부에 상기 물질 유동이 연장되도록 통과시키는 유동관 수단과;
상기 유동관 수단을 진동시키는 구동기와;
물질 유동을 수반하는 상기 진동하는 유동관 수단의 코리올리 변형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동관 수단에 접촉된 픽 오프 수단과; 그리고
상기 픽 오프에 의해 발생된 상기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물질 유동에 관계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에 있어서,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가,
상기 유동관 수단은 상기 유동관 수단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하는 플라스틱의 습식 물질 유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플라스틱으로 성형되고,
상기 습식 물질 유동 경로는 상기 유동관 수단의 단부에 연결된 제 1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플라스틱 유동관 스터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스터브 가운데 제 1단부는 상기 물질 유동을 수용하는 제 2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스터브 가운데 제 2단부는 상기 물질 유동을 배출하는 제 2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유량계 유입부와 상기 유량계 유출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스터브 수단의 단부에 연결된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 및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라스틱의 습식 유동 경로는 상기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 및 상기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질 유동이 상기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로부터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스터브와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을 통해 상기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를 연장하여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과 상기 플라스틱 스터브와 상기 구동기 및 픽 오프 수단을 내장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동관 수단은 하나의 유동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동관 수단은 하나의 플라스틱 유동관,
상기 유동관에 평행하게 배향된 플라스틱 밸런스 바아, 및
상기 유동관을 상기 밸런스 바아의 단부에 연결시키는 플라스틱 브레이스 바 아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레이스 바아 수단은, 상기 밸런스 바아의 단부를 상기 유동관에 연결시키는 제 1 및 제 2플라스틱 브레이스 바아, 및
상기 유동관의 벽 표면은 상기 브레이스 바아 사이의 상기 유동관의 부분 내에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 습식 유동 경로는 상기 유동관의 단부에 연결된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와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런스 바아와 상기 브레이스 바아 수단과 상기 유동관이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일체식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케이스 내측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런스 바아와 상기 브레이스 바아 수단과 상기 유동관이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일체식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케이스 내측에 내장되고,
플라스틱 케이스 연결 링크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을 상기 밸런스 바아의 단부와 상기 유동관과 상기 브레이스 바아 수단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플랜지 수단과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의 중간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벽을 상기 유동관에 연결하는 플라스틱 케이스 연결 링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런스 바아가 상기 구동기와 상기 픽오프 수단을 상기 밸런스 바아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표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기가 상기 밸런스 바아와 일체인 플라스틱 보빈(bobbin)을 가지며, 상기 보빈의 위에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코일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런스 바아는 상기 유동관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런스 바아가 상기 유동관에 평행하며 상기 유동관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오프셋된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관 수단은 제 1플라스틱 유동관과 제 2플라스틱 유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제 1유동관의 단부들에 연결된 제 1단부와 상기 제 2유동관에 연결된 제 2단부를 갖는 플라스틱 브레이스 바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식 유동 경로는 상기 제 1유동관과 상기 제 2유동관의 단부들에 각각 연결된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와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레이스 바아와 상기 제 1유동관과 상기 제 2유동관은 플라스틱 케이스 내측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식 유동 경로는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유입부에 상기 유입 플랜지를 연결시킨 플라스틱 분리기 매니폴드를 형성하는 제 1플라스틱 스터브, 및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유출부에 상기 유출 플랜지를 연결하는 플라스틱 조합기 매니폴드를 형성하는 제 2플라스틱 스터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유동관과 제 2유동관은 곡선을 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식 유동 경로는,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유입 단부들에 연결된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와,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유출 단부에 연결된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식 유동 경로는,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상기 유입 단부에 상기 유입 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상기 플라스틱 유입 매니폴드와,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상기 유출 단부에 상기 유출 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상기 플라스틱 유출 매니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레이스 바아와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과 상기 각각의 매니폴드는 플라스틱 케이스 내측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플라스틱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에 연결시키는 플라스틱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관 수단은 플라스틱이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어 물질 유동을 수용하고,
상기 구동기는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을 진동시키고,
상기 픽 오프 수단은 물질 유동을 수반하는 상기 진동하는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의 코리올리 변형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에 접촉되고,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물질 유동을 포함한 정보를 발생시키는 회로부에 인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기가 상기 유동관 수단에 연결된 플라스틱 보빈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픽 오프 수단은 상기 유동관 수단에 연결된 플라스틱 보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 유동관 수단을 포함한 코리올리 유량계의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물질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중공부를 구비한 코어 몰드의 상기 중공부 안으로 저융점 금속 또는 용해성 재료를 사출시킴으로써 상기 유동관 수단의 상기 물질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랩퍼 몰드의 중공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의 외부면 및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의 내측 표면 사이에 중공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랩퍼 몰드를 닫는 단계,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는 상기 유동관 수단의 외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포함한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포함한 상기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을 상기 랩퍼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의 온도를 상기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형성하는 금속의 융점 이상으로 상승시키거나 또는 상기 몰딩으로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솔벤트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으로부터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부는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에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위치시키는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유동관 수단의 상기 물질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중공부를 갖는 상기 코어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기 유동관 수단의 상기 외부면을 형성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내에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위치시키는 상기 수단을 더 갖는 랩퍼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동관 수단은 한 쌍의 유동관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 몰드의 상기 중공부가 상기 한 쌍의 유동관의 물질 유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코어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유동관의 상기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물질 유동 경로 코어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한 상기 한 쌍의 유동관을 형성하는 몰딩된 플라스틱 구조체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조된 제조된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는,
상기 한 쌍의 유동관 각각의 제 1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1브레이스 바아 및 상기 한 쌍의 유동관 각각의 제 2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2브레이스 바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브레이스 바아와 상기 한 쌍의 유동관을 포함하는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상기 랩퍼 몰드내에 중공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유동관과 상기 브레이스 바아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는 상기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조된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는,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에 부착된 구동기 설치 부재 및 픽 오프 설치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기 설치 부재 및 상기 픽 오프 설치 부재를 포함한 상기 제조된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중공부를 상기 랩퍼 몰드내에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는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내에 상기 성형된 코어를 위치시키기 위한 장비를 가지며,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유동관, 상기 구동기 설치 부재 및 픽 오프 설치 부재를 포함하는 몰딩된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유동관이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조된 유량계 구조체는;
상기 유동관의 유입부에 연결된 유입 플랜지 및 상기 유동관의 유출구에 연결된 유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 상기 제 1브레이스 바아 및 상기 제 2브레이스 바아, 상기 유입 플랜지 및 상기 유출 플랜지를 포함한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중공부를 갖도록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의 중공부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의 외부면, 상기 제 1 및 제 2브레이스 바아와 상기 유입 플랜지와 유출 플랜지를 형성하 며,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포함하는 몰딩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조된 유량계 구조체는;
상기 유동관의 유입 단부에 상기 유입 플랜지를 연결하는 유입 매니폴드와 상기 유동관의 유출 단부에 상기 유출 플랜지를 연결하는 유출 매니폴드를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 상기 제 1브레이스 바아 및 상기 제 2브레이스 바아, 상기 유입 매니폴드 및 상기 유출 매니폴드, 상기 유입 플랜지 및 상기 유출 플랜지를 포함하는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중공부를 갖도록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의 중공부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의 외부면, 상기 제 1 및 제 2브레이스 바아와 상기 유입 매니폴드와 상기 유출 매니폴드, 상기 유입 플랜지와 상기 유출 플랜지를 형성하는 몰딩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가 상기 성형된 유동 경로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된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는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에 둘러싸는 중공 밸런스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의 물질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중공부를 갖는 제 1코어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의 외부면과 상기 밸런스 바 아의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는 중공부를 갖는 제 2코어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성형하도록 상기 제 1코어 몰드 안으로 저융점 금속 또는 용해성 재료를 사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관의 외부면과 상기 밸런스 바아의 내부면 사이에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중공 밸런스 바아 코어를 성형하도록 상기 제 2코어 몰드 안으로 상기 저융점 금속 또는 용해성 재료를 사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와 상기 성형된 중공 밸런스 바아 코어를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중공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상기 랩퍼 몰드로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상기 랩퍼 몰드 코어로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중공 밸런스 바아 코어를 상기 랩퍼 몰드 중공부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성형된 중공 밸런스 바아 코어가 상기 물질 유동 경로 코어와 동심으로 위치되고,
상기 랩퍼 몰드의 중공부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의 외부면과 상기 동심상의 밸런스 바아를 형성하며, 상기 물질 유동 경로 코어와 상기 중공 밸런스 바아 코어를 포함하는 몰딩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성형하도록 상기 랩퍼 몰드의 중공부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조된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는;
상기 밸런스 바아의 제 1단부를 상기 유동관에 연결시키는 제 1브레이스 바아 및 상기 밸런스 바아의 제 2단부를 상기 유동관에 연결시키는 제 2브레이스 바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과 상기 밸런스 바아와, 그리고 상기 제 1브레이스 바아와 상기 제 2브레이스 바아를 포함한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상기 랩퍼 몰드내에 중공부를 갖도록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과 상기 동심상의 밸런스 바아와,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브레이스 바아를 형성하는 몰딩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는 상기 물질 유동 경로 코어와 상기 중공 밸런스 바아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조된 유량계 구조체는,
상기 유동관의 유입 단부에 연결된 유입 플랜지와 상기 유동관의 유출 단부에 연결된 유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 상기 밸런스 바아, 상기 제 1브레이스 바아 및 상기 제 2브레이스 바아, 상기 유입 플랜지 및 상기 유출 플랜지를 포함한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의 외부면을 포함한 중공부를 갖도록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 상기 밸런스 바 아, 상기 제 1 및 제 2브레이스 바아 그리고 상기 유입 플랜지와 유출 플랜지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몰딩된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된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는 상기 유동 경로 코어와 상기 중공 밸런스 바아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조된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는,
상기 밸런스 바아에 부착된 구동기 설치 부재 및 픽 오프 설치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유동관, 상기 밸런스 바아, 상기 브레이스 바아, 상기 매니폴드 및 상기 유출 매니폴드, 그리고 상기 구동기 설치 부재 및 픽 오프 설치 부재를 포함한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캐비티를 상기 랩퍼 몰드내에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는 외부면이 상기 유동관, 상기 밸런스 바아, 상기 브레이스 바아, 상기 밸런스 바아상의 상기 구동기 설치 부재 및 픽 오프 설치 부재, 상기 유입 매니폴드 및 상기 유출 매니폴드를 형성하는 몰딩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는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와 상기 중공 밸런스 바아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물질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중공부가 구비된 코어 몰드의 중공부 안으로 저융점 금속 또는 용해성 재료를 사출시킴으로써, 상기 유동관 수단의 물질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코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랩퍼 몰드의 중공부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의 외부면 및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의 내측 표면 사이에 중공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랩퍼 몰드를 닫는 단계,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는 상기 유동관 수단의 외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포함한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포함한 상기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을 상기 랩퍼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의 온도를 상기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형성하는 금속의 융점 이상으로 상승시키거나 또는 상기 몰딩으로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솔벤트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으로부터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의 설명
도 1은 케이스(103) 내측에 내장된 한쌍의 유동관(101, 102)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100)의 단면을 개시하고 있다. 물질 유동은 유동관의 플랜지(104A)의 유입구(106)로 유입되며 넥(105)과 케이스 단부(109A)의 채널(111)을 연장하여 통하고 물질 유동을 반쪽씩 두부분으로 분할하는 디버터(114)로 유동되어 유동관(101, 102)을 통해 흐른다. 유동관(101, 102)은 브레이스 바아(110A, 110B)를 관통한다. 물질 유동은 유동관의 조합기(116)에서 배출되고 케이스 단부(109B)를 통 하여 넥(115)의 채널(112)과 플랜지(104B)의 유출구(107)를 유동한다. 넥(105, 115)은 플랜지(104A, 104B)를 케이스(103)의 단부(109A, 109B)에 연결한다. 유동관의 단부는 브레이스 바아(110A, 110B)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구동기(D)의 자석과 코일은 유동관(101, 102)의 횡축선을 따라 반대 위상으로 역전되게 유동관을 진동시키도록 유동관에 접촉된다. 구동기(D)는 경로(123)상의 전자 계측기(12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다. 진동하는 유동관을 통해 흐르는 물질은 코리올리 힘의 정도를 나타낸 신호를 발생시키는 왼쪽 픽 오프(LPO)와 오른쪽 픽 오프(RPO)에 의해 편향된 코리올리 힘을 발생시킨다. 픽 오프의 출력 신호는 경로(122, 124)상에서 전자 계측기(121)로 연장되어 신호를 처리하며 물질 유동을 나타내는 출력 정보를 경로(125)상으로 인가시킨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유동관(101, 102)과 넥(105, 115)은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어 유입구(106) 및 유출구(107) 사이의 전체 유량계를 통하는 습식 유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한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유동관(101, 102)과 브레이스 바아(110A, 110B)뿐만 아니라 케이스 단부(109A, 109B)와 플랜지(104A, 104B)는 몰딩 처리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다. 플라스틱 케이스(103)는 점착성 접착제에 의해 케이스 단부(109A, 109B)에 부착될 수 있어 자석과 연관된 구동기(D)와 픽 오프(LPO, RPO)의 코일 내측의 금속 전도체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유량계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러한 케이스는 유량계(100)의 나머지 부품과는 무관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이후 점착성 접착제에 의해 케이스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중 한가지로 성형될 수 있다.
도 2의 설명
도 2는 브레이스 바아(210A, 210B)에 의해 유동관(201)이 횡중심으로 중공성형된 원통형 밸런스 바아(202)에 연결된 단일 유동관(201)을 갖는 코리올리 코리올리 유량계(200)의 단면을 개시하고 있다. 물질 유동은 유동관의 플랜지(104A)의 유입구(106)로부터 넥(105)의 채널(111)을 통해 유동하고, 관 스터브(217A)를 통해 브레이스 바아(210A)로 흘러, 넥(115)의 채널(112)을 통해 플랜지(104B)의 유출구(107)로 흐른다.
밸런스 바아(202)에 의해 둘러싸인 유동관(201) 부분은 유동관의 동적 활성부로서 정의된다. 이 부분은 구동기(D)에 의하여 진동되어 도 1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전도체(122, 124)상으로 신호를 전자 계측기(121)에 인가하는 픽 오프에 의해 감지된 코리올리 힘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전자 계측기는 신호를 전도체(122)에 의해 구동기(D)로 인가시켜 유동관(201)과 밸런스 바아(202)를 반대 위상으로 진동시킨다.
도 2에 도시된 전체 구조 또는 일부 구조는 몰딩 처리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유동관(201)과 밸런스 바아(202)만이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2의 구조중 나머지는 금속일 것이다. 이와 달리, 플랜지(104A, 104B)도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는, 케이스 단부(109A, 109B)와 케이스(103)는 독립적으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유량 계의 나머지가 성형되어 캘리브레이션된 이후에 점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도 3의 설명
도 3은 도 2의 코리올리 유량계와 유사한 코리올리 유량계(300)의 단면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브레이스 바아(310A, 310B)에 의하여 유동관(301)으로 중공성형된 밸런스 바아(302)와 연결되는 단일 유동관(301)을 갖는다. 물질 유동은 유량계(300)를 통해 플랜지(104A)의 유입구(106)로부터 넥(105)의 채널(111)을 유동하여, 케이스 단부(109A)를 통하고, 스터브(317A)와 브레이스 바아(310A, 310B) 사이의 유동관(301)의 활성부를 통해 스터브(317B)와 케이스 단부(109B)를 통하고, 넥(115)의 채널(112)을 통해 플랜지(104B)의 유출구(107)로 유동한다.
유량계(300)는 미국 특허 제 5,814,739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동관의 진동 특성을 변경시키는 주름부(305)를 갖는 브레이스 바아(310A, 310B)가 개재된 유동관(301)의 동적 활성부를 갖는 것만이 유량계(200)와 다를 뿐이다. 전체적인 코리올리 유량계(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몰딩 처리를 이용하여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물론, 이는 픽 오프(LPO, RPO) 및 구동기(D)의 코일의 금속성 전도체와, 그리고 그와 연관된 자석을 제외한다.
원하는 경우, 케이스(103)는 독립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점착성 본딩에 의하여 유량계의 나머지 요소들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경우 케이스도 금속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유동관(101) 전체를 포함한 유량계의 동적 특성부는 특징적으로 몰딩 작업에 의해 플라스틱 성형될 것이다.
도 4의 설명
도 4는 비균등 중량과 강성 분포를 갖는 중공 밸런스 바아(402)에 의해 둘러싸인 단일 직선형 유동관(401)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400)의 단면을 개시하고 있다. 밸런스 바아(402)는 브레이스 바아(405)에 의해 그 단부가 유동관(401)에 연결된다. 브레이스 바아(405)는 케이스 연결 링크(417A, 417B)에 의해 케이스 단부(407)의 내벽에 연결된다. 유동관(401)의 단부는 유동 채널(411)을 통해 유입 플랜지(409A)와 유출 플랜지(409B)에 연결된다. 각각의 플랜지(409A, 409B)는 공급기와 유출 라인으로 연결하기 위한 볼트 홀(410)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플랜지는 래디얼 표면(412) 및 유입구(414)를 둘러싸며 플랜지 단부 표면(415)에 부착된 원형 돌부(413)를 포함한다. 케이스(403)는 넥 요소의 종단에서 플랜지(409A, 409B)에 결합된 넥 요소(416A, 416B)에 연결된 케이스 단부(407)에 연결된다.
밸런스 바아(402)는 비 균일한 강성도와 중량 분포를 갖는다. 이는 유량계의 진동 특성을 강화시키는 다수의 개별적인 측면 리브(4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설계의 목적중 하나는 브레이스 바아(405)에 근접한 밸런스 바아/유동관 구조의 진동 노드를 집중시키기 위한 것이다. 측면 리브는 측면 리브(430A, 430B, 430C)를 포함한다. 이것들의 기능은 밸런스 바아의 바람직스럽지 못한 측면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밸런스 바아(402)의 단부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세그먼트(433A, 433B)를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이들 각각의 내측 중앙 종단은 보이드(432, 434)에서 종결된다. 보이드는 중앙 보이드(413)를 갖는 중앙 요소(419)에 의해 분리된다. 보이드(432, 434)는 밸런스 바아의 중앙부에 최대 굴곡성을 제공한다. 중앙 요소(419)의 상단 중앙부는 구동기(D)의 상단부를 설치하는 플랫 부재(435)에 접촉된다. 구동기(D)는 전도체(424)를 통해 전자 계측기(425)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세그먼트(433A, 433B)의 상부 표면은 픽 오프(LPO, RPO)가 설치된 플랫 부재(436, 437)에 연결된다.
픽 오프(LPO, RPO)는 물질이 유동하는 상태동안에 진동에 따른 유동관(401)의 코리올리 응답을 검출한다. 픽 오프의 출력 신호는 전도체(422, 423)로 연장되며 관통부(421)를 통해 신호를 처리하여 물질 유동에 관한 출력 정보를 경로(426)에 인가하는 전자 계측기(425)로 공급한다.
유량계(400) 전체는, 구동기(D)의 전도체와 픽오프(LPO, RPO) 및 그 자석을 제외하고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케이스는 특징적으로 별도로 성형될 수 있으며 케이스 단부(407)에 의해 유량계의 나머지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케이스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중 하나로 성형될 수 있다. 픽 오프(LPO, RPO)와 구동기(D)는 특징적으로 몰딩에 의힌 부재들의 제조에 후속하여 밸런스 바아(402)와 유동관(401)에 부착된다. 전도체(422, 423, 424)는 개구부로 관통되어 공급 관통부가 케이스(403)의 개구에 부착된 이후에 관통부(421)에 공급된다.
도 5의 설명
도 5는 브레이스 바아(520, 521)를 통과하며 매니폴드(502A, 502B)로 종결되는 실질적으로 U형상인 한쌍의 유동관(552A, 552B)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500)를 개시하고 있다. 매니폴드(502A)는 넥(570A)에 의해 유입 플랜지(501A)에 연결되며, 매니폴드(502B)는 넥(570B)에 의해 유출 플랜지(501B)에 연결된다. 유동관(552A, 552B)은 다수의 세그먼트를 갖는다. 상단 세그먼트(555A, 555B)는 곡선 세 그먼트(582A, 582B)와 곡선 세그먼트(583A, 583B)로 연장된다. 또한, 유동관은 측면 세그먼트(553, 554)를 포함하는데, 이는 그 바닥부가 곡선 영역(580, 581)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영역은 브레이스 바아(520, 521)를 통과한다. 또한 유동관은 브레이스 바아를 통과하여 채널(550A, 550B, 550C, 550D)로 유동하여 매니폴드(502A, 502B)에서 종결된다.
구동기(D)는 유동관(552A, 552B)의 상단 세그먼트에 접촉되어 전자 계측기(525)로부터 경로(524)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반대 위상으로 세그먼트를 진동시킨다. 측면 세그먼트(553, 554)는 물질 유동을 수반하는 진동하는 유동관의 코리올리 응답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픽 오프(LPO, RPO)에 접촉된다. 이 신호들은 경로(522, 523)를 거쳐 신호를 처리하여 물질 유동을 포함한 출력 정보를 경로(526)에 인가하는 전자 계측기(525)를 통과한다.
픽 오프(LPO, RPO)의 코일과 구동기(D)를 제외하고는 전체 유량계(500)가 점선 라인(561, 562)으로 도시된 몰드 파팅 라인(mold parting line)을 수반하는 몰딩 처리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다. 플랜지(501A, 501B)는 이와 동일한 처리 또는 다른 처리로 독립적으로 성형되며 플라스틱 점착에 의하여 넥(570A, 570B)에 접촉된다.
도 5의 코리올리 유량계 부재들은 도 5의 부재들의 물리적인 보호를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케이스 내측에 내장될 수 있다.
도 6의 설명
도 6은 한쌍의 U자형 유동관(601, 602)과, 매니폴드(610, 615)와, 스페이서 (606, 612, 613)와, 유입 플랜지(609)와, 그리고 유출 플랜지(611)를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6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유동관의 상부에는 유동관을 반대 위상으로 진동시키는 구동기(D)가 연결된다. 유동관의 측면 렉(604A, 604B, 605A, 605B)은 물질 유동을 수반하는 진동하는 유동관의 코리올리 응답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픽 오프(LPO, RPO)에 접촉된다. 픽 오프의 출력 신호는 전도체(614, 618)를 통해 정보를 처리하며 물질 유동을 포함한 출력 신호를 경로(626)에 인가시키는 전자 계측기(625)에 인가된다. 측면 렉(605A, 605B)의 하부 말단은 측면 렉을 매니폴드(610, 615)에 접촉시키는 매니폴드 신장부(608)에 연결된다.
유입 플랜지(609)는 유입 물질 유동을 받아들여 유동관의 하부 렉(605A, 605B)에 연장된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매니폴드(610)에 연결된다. 출력 측에서는, 매니폴드(615)가 측면 렉(604A, 604B)의 유출 유동을 받아들여 유출 플랜지(611)를 통해 물질 목적지(도시안됨)로 인가되는 신호 유동으로 재조합한다.
코리올리 유량계(600)는 이후에 설명되는 플랜지(609, 611)와 매니폴드(610, 615)를 통과하는 코어 몰드을 형성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구동기(D) 및 픽 오프(LPO, RPO)와 연관된 금속성 전도체를 제외한 모든 유량계를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코리올리 유량계(600)를 성형하도록 랩퍼 몰드(wrapper mold)와 조합된 코어 몰드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는 달리, 원하는 경우에는 유동관이 분리되어 몰딩될 수 있으며 매니폴드(610, 615)의 소켓에 점착성으로 본딩될 수 있다.
코리올리 유량계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의 설명
도 7과 도 8의 설명
본 발명의 사출 성형 몰딩 처리의 첫번째 단계는 다음 단계의 사출 성형 처리에 필요한 유동 경로 코어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코어 몰드를 제조하는 것이다. 도 7은 상 절반부(701)와, 하 절반부(702), 그리고 도면부호 706으로 도시된 중공부에 플라스틱을 사출시키는데 사용되는 벤트 홀(703, 704)을 가진 코어 몰드(700)를 개시하고 있다. 중공 세그먼트(706)는 유동 경로 코어 중공 세그먼트(706A, 706B, 706C, 706D, 706E, 706F)들을 포함한다. 또한, 중공 세그먼트(706)는 매니폴드 중공 세그먼트(707, 708)와 코어 로케이팅 세그먼트(719, 720)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유동 경로 코어는 상 절반부(701)가 하강함으로 그 바닥 표면이 하 절반부(702)의 상부 표면(709)에 접촉될 때 도 7의 코어 경로 몰드(700)에 의해 성형된다. 이후에, 저온 이융 금속(low temperature fusible alloys)이 홀(703, 704)중 하나에 주입되면서 다른 홀은 공기 통공부로서 사용된다.
주입된 금속 합금이 응고된 후에, 몰드의 두개의 절반부(701, 702)는 도 8의 유동 경로 코어를 형성하는 도 7의 중공 세그먼트 내측의 금속 합금과 분리된다. 이는 유동 경로 코어 세그먼트(801, 802)와 매니폴드 코어 세그먼트(807, 808, 803, 804, 806, 809)를 포함한다. 도 8의 코어는 또한 왼쪽의 로케이팅 돌부(819) 및 도시되지 않은 820의 오른쪽상의 돌부를 포함한다.
도 9, 도 10 및 도 11의 설명
도 9는 도 8의 유동 경로 코어를 이용하여 완성된 유량계를 제조하는데 사용 되는 랩퍼 몰드(900)를 개시하고 있다. 랩퍼 몰드(900)는 분리되어 도시되었으나 사출 성형 공정중에 결합되는 상 절반부(901)와 하 절반부(902)를 포함한다.
공정은 도 8에서 몰딩된 유동 경로 코어(800)가 하 절반부(902)의 중공부에 끼워졌을 때 시작된다. 도 9의 중공부는 성형되어지는 유동관 부재에 대하여 전체가 928, 929로 나타나며 유량계의 매니폴드에 대하여 904A, 906B로 나타난 구조체를 갖는다. 도 8의 몰딩된 유동 경로 코어(800)가 하 절반부(902)의 중공부에 끼워진다. 코어 단부상의 직사각 돌부(819, 820-도시안됨)는 몰드내의 직사각 중공 세그먼트(919, 920)에 끼워맞춤되어 중공부 내측에 유동 경로 코어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그리하여, 상 절반부(901)가 하강함으로 그의 바닥 표면은 하 절반부(902)의 상부 표면(911)에 접촉된 후에 플라스틱이 상 절반부(901)의 개구부(903, 913)중 하나로 사출되면서 다른 개구부는 공기 통공부로서 사용된다. 사출된 플라스틱은 랩퍼 몰드의 중공 세그먼트로 유동하여 현재 하 절반부(902)의 중공 세그먼트(928, 929) 내측에 위치된 몰딩된 금속성 유동 경로 코어를 둘러싸게 된다. 도 9는 브레이스 바아(907, 908)에 대한 중공 세그먼트(907A, 908A) 및 현재 몰딩 공정중에 성형된 픽오프와 구동기 브라켓을 도시하고 있다. 플라스틱이 경화 및 고형되는 시간을 가진 이후에 몰드(900)의 상하 절반부(901, 902)는 분리되며 부분적으로 완성된 도 10의 코리올리 유량계가 하 절반부(902)의 중공 세그먼트로부터 회수된다.
랩퍼 몰드(900)의 중공부로부터 회수된 이후에, 성형된 구조체는 플라스틱 구조체 내측에 함유된 금속 유동 경로 코어(800)를 용융시키는데 요구되는 수준으 로 가열된다. 금속이 용융되고, 외부로 흘러 도 11에 도시된 유량계 구조체(1100)로부터 벗어나는데, 유량계 구조체는 도 8에 도시된 금속 유동 경로 코어(800)에 의해 차지하고 있는 속이 빈 성형식 센터를 갖는 두개의 유동관(1001)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구조체는 유입 매니폴드(904)와 유출 매니폴드(906) 및 브레이스 바아(907, 908)를 포함한다. 유입 매니폴드(904)의 개구부(803)는 물질을 수용하여 유량계의 유입부로 흐르게 하고, 이 유동은 두부분의 유동관(1001, 1002)으로 분리 통과되며 두 유동이 단일 물질 유동으로 조합시키는 유출 매니폴드(906)로 흐른다.
도 12의 설명
도 12는 도 7 내지 도 11에 설명된 사출 성형 방법으로 완성된 코리올리 유량계(1200)를 도시하고 있다. 유량계(1200)는 도 11의 유량계 구조체(1100)를 이용하여 조립된다. 코일과 자석(도시안됨)을 포함한 픽 오프(LPO, RPO)와 구동기(D)는 구조체(1100)에 고정되며 와이어(1222, 1223, 1224)는 픽 오프(LPO, RPO)와 구동기(D)로부터 연결되어 케이스(1201)의 관통부(1221)로 전기 공급이 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케이스(1201)는 매니폴드(904, 906)의 외부 표면에 점착성 본딩이 된다. 이후, 플랜지(1202, 1203)는 케이스(1201)의 축선상 단부와 매니폴드(904, 906)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의 원통형 표면에 점착성 본딩이 된다.
플랜지(1202, 1203)는 각각 반경방향 외부면인 부재(1212)와, 축선상 내측면(1206) 및 축선상 외측면(1207)과, 베벨형 표면(1211)과, 그리고 케이스(1201)의 외측 축선상 말단부에 점착성으로 본딩된 축선상 내측 표면(1208)을 갖는 스터브 (1209)를 포함한다.
또한, 도 12에서는 유동관(1001, 1002)을 반대 위상으로 진동시키도록 구동기(D)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신호가 인가되는 전도체(1223)가 통해진 전자 계측기(1221)가 도시된다. 전도체(1222, 1224)는 물질 유동을 갖는 유동관(1001, 1002)의 진동에서 유도된 코리올리 힘을 나타내는 신호를 픽오프(LPO, RPO)로부터 수신한다. 전자 계측기는 이러한 신호를 컨턱터(1222, 1224)를 통해 수신하고, 신호를 처리하여 물질 유동이 포함된 출력 정보를 경로(1225)로 인가시킨다.
도 13에 대한 설명
도 13은 도 5에서의 구동기(D)와 픽 오프(LPO, RPO)내의 금속성 전도체를 제외하고 전체가 플라스틱 유량계로 만들어지도록 사출 성형에 의하여 도 5의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랩퍼 몰드(1300)의 하부(1301)를 개시하고 있다. 랩퍼 몰드(1300)는 도 5의 코리올리 유량계의 외장을 형성하는 중공 세그먼트를 갖는 하부 랩퍼 몰드(1301)를 포함한다. 도 5에서의 부재와 랩퍼 몰드 하부(1301)내의 중공 세그먼트간의 일치에 대한 파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두 도면상에서 알파벳을 제외한 각각의 참조부호에서의 끝자리 두숫자를 일치시켜 명기하였다. 그리하여, 도 5의 유동관(552A, 552B)은 도 13의 중공 세그먼트(1352A, 1352B)에 의해 형성된다.
랩퍼 몰드(1300)의 기능 설명에서, 유동 경로 코어는 유동관(552A, 552B)의 유동 경로 및 유동 경로 넥(570A, 570B)과 같은 유동관에 연결된 구조적 부재의 내부를 차지하는 금속 구조체의 성형에 대하여 전술한 설명에 따라 성형된 것으로 간 주한다. 이렇게 성형된 유동 경로 코어는 랩퍼 몰드(1301)의 중공 세그먼트로 삽입된다.
도 13의 중공 세그먼트는 실질적으로 U형상인 한쌍의 유동관을 형성하는 세그먼트(1352A, 1352B)와, 유동관의 오른쪽 측면 렉을 형성하는 중공 세그먼트(1354A, 1354B)와, 도 5의 브레이스 바아(520, 521)를 형성하는 중공 세그먼트(1320, 1321)와, 도 5의 유동 채널(550A, 550B, 550C, 550D)을 형성하는 중공 세그먼트(1350A, 1350B, 1350C, 1350D)와, 매니폴드(502A, 502B)를 형성하는 중공 세그먼트(1302A, 1302B)와, 그리고 유동 경로 넥(570A, 570B)을 형성하는 중공 세그먼트(1370A, 1370B)를 포함한다.
도 5의 유량계 구조체는 저융점 용융 금속의 유동 경로 코어가 몰드 세그먼트(1302)의 중공부에 삽입될 때 성형된다. 그리하여, 하부 랩퍼 몰드(1301)의 세그먼트에 보완되는 중공 세그먼트 및 랩퍼 몰드(1301)의 상향 연장된 중앙 세그먼트(1302)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는 대응하는 상부 몰드는 랩퍼 몰드(1301) 위로 내려가서 둘러싸인 부피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5의 구조체는 플라스틱이 랩퍼 몰드 중공 세그먼트로 사출될 때에 성형된다. 삽입된 플라스틱이 사출되어 경화된 이후에, 랩퍼 몰드(1300)의 상부 및 하부는 분리되며 성형된 구조체는 랩퍼 몰드(1301)의 중공 세그먼트로부터 회수된다. 그리하여, 유동 경로 코어는 용융에 의해 제거된다. 나머지 구조체는 플랜지(501A, 501B)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이는 분리되어 성형되며 도 5에서의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완성된 유량계를 성형하도록 유동 경로 넥(570A, 570B)이 점착성 본딩에 의해 부착된다.
도 14의 설명
도 14는 도 2의 단일 직선형 유동관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랩퍼 몰드(1400)를 상세히 개시하고 있다. 도 14의 중공 세그먼트는 도 14의 중공 부재에 해당되는 도 2의 유량계의 부품의 끝자리 두숫자와 동일한 끝자리 두숫자를 갖는 참조부호로서 확인된다.
랩퍼 몰드(1400)를 사용하기 이전에, 유동 경로 코어는 도 2의 유동관(201)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 금속 부재를 형성하는 전술한 기술에 의해 성형된다. 이러한 도 14의 코어는 중공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길게 신장된 해칭된 부재(1401)이다. 코어(1401)는 도 2의 플랜지(104A)를 형성하는 중공 세그먼트(1404A)로부터 유량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 2의 플랜지(104A)를 형성하는 플랜지 중공 세그먼트를 생산하도록 한다. 또한, 랩퍼 몰드(1400)의 사용은 코어가 밸런스 바아(202)의 내벽과 도 2의 유동관(201)의 외측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이전에 성형된 코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밸런스 바아 코어는 해칭된 부재(1403)로서 도시되었다. 중공 부재(1402)는 밸런스 바아(202)를 형성하도록 사출 성형 작업중에 플라스틱으로 채워질 중공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부재(1403)는 구동기(D)와 픽 오프(LPO, RPO)를 수용하기 위하여 밸런스 바아(202)내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방 돌출 스터브(LPO, D, RPO)를 포함한다. 해칭된 부재(1402)상의 하방의 대응 돌출 스터브는 밸런스 바아(202)의 바닥부내에 개구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개구부는 진동 조절과 튜닝에 대한 유동관과 밸런스 바아의 조절을 가능케 하는 제조 공정중에 사용된다. 또한, 이는 랩퍼 몰드 중공부내에 밸런스 바아 코어를 위 치시킨다.
부재(1417A, 1417B)들은 유동관 스터브(217A, 217B)를 형성하는 중공 세그먼트의 세그먼트들이다. 중공 세그먼트(1410A, 1410B)는 브레이스 바아(210A, 210B)를 형성하고, 중공 세그먼트(1409A, 1409B)는 케이스 단부(109A, 109B)를 형성한다. 중공 세그먼트(1405A, 1405B)는 케이스 단부를 플랜지에 연결시키는 도 2의 넥(105, 115)을 형성한다. 중공 세그먼트(1404A, 1404B)는 플랜지(104A, 104B)를 형성한다.
도 2의 유량계는 랩퍼 몰드(1400)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유동 경로 코어(1401)를 형성하는 단계와, 밸런스 바아 코어(1403)를 형성하는 단계와, 밸런스 바아 코어(1403)를 유동 경로 코어(1401) 위로 삽입하는 단계와, 코어(1401, 1403)를 도 14의 랩퍼 몰드(1400)의 중공 세그먼트 내측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랩퍼 몰드(1400)의 상 절반부(도시안됨)를 도 14의 하 절반부 위로 하강시키는 단계와, 도 14의 랩퍼 몰드의 중공 세그먼트로 플라스틱을 사출시키는 단계와, 사출된 플라스틱을 경화 및 고형시키는 단계와, 랩퍼 몰드(1400)의 두개의 절반부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성형된 고형성 플라스틱 재질을 제거시켜 전자 계측기 및 구동기(D)와 픽 오프(LPO, RPO)를 제외한 도 2의 코리올리 유량계의 외관을 갖도록 하는 단계에 따라 형성된다. 성형된 구조체는 코어 재질을 녹이는 충분한 정도로 가열되어 코어 재질은 성형된 구조체의 내부로부터 유출되어 구동기(D)와 픽오프(LPO, RPO)의 코일의 전도체 및 전자 계측기(121)로 연장된 전도체를 포함한 필요한 금속 부재를 제외하고는 도 2에서와 동일한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완성된 유량계가 남겨진다.
도 15의 설명
도 15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몰딩 장치와 구조체를 이용하여 도 12에 도시된 이중 직선관형 코리올리 유량계를 성형하는데 사용된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5의 단계(1502)는 코어 몰드(700)를 이용한 저융점 금속 또는 저융성 재료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에서 시작된다. 도 8은 상 절반부(701)와 하 절반부(702)를 포함한 코어 몰드(700)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코어 몰드(801, 802)를 도시한다.
단계(1504)에서,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801, 802)는 코어 몰드(700)로부터 회수되어, 상 절반부(901) 및 하 절반부(902)를 갖는 랩퍼 몰드(900)의 중공 세그먼트(928, 929, 904A, 906A)를 포함한 중공 세그먼트내에 위치된다. 돌부(818)와 코어(801, 802)의 오른쪽 단부상의 상응 돌부(도시안됨)는 랩퍼 몰드(900)의 중공 세그먼트내에 코어(801, 802)를 정확한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랩퍼 몰드(900)는 또한 브레이스 바아(907, 908)를 성형하며 구동기(D)와 픽 오프(LPO, RPO)에 대한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중공 세그먼트(907A, 907B, LPO, RPO)를 포함한다.
단계(1506)에서, 랩퍼 몰드(900)의 두개의 절반부(901, 902)는 닫혀지고 플라스틱이 랩퍼 몰드(900)의 중공부로 사출되어 도 11에 도시된 매니폴드(904, 906)를 포함한 물질 유동 경로 코어(801, 802) 및 다른 구조체를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1100)를 성형하도록 한다.
단계(1508)에서, 물질 유동 경로 코어(801, 802)를 포함하여 성형된 코리올리 유량계 플라스틱 구조체(1100)는 랩퍼 몰드(900)로부터 회수된다.
단계(1510)에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1100)는 저융점 금속 코어(801, 802)를 용해시키도록 가열되거나 또는 물질 유동 경로 코어(801, 802)를 형성하는 용해가능한 재료를 용해하도록 가열된 물이 가해진다.
그리하여,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1100)는 도 12에 도시된 완성된 유량계를 성형하기 위하여 다른 제조 단계를 요한다.
도 16의 설명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랩퍼 몰드(1300)를 이용하여 도 5의 이중 곡선관형 코리올리 유량계(500)를 성형하는데 사용된 공정의 단계를 개시하고 있다.
단계(1602)는 이러한 공정으로 시작하여 저융점 금속 또는 용해성 재료로 한쌍의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코어는 도 1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7에서의 코어와 유사한 코어 몰드를 이용하여 성형되며 곡선지게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갖춘 곡선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8의 물질 유동 경로 코어(801, 802)와 비슷하다.
단계(1604)에서, 성형된 곡선형 물질 유동 경로 코어(도시안됨)는 랩퍼 몰드(1300)의 하부(1301)의 중공 세그먼트(1352, 1354)로 삽입된다. 이러한 몰드는 또한 브레이스 바아를 형성하는 중공 세그먼트(1320, 1321)와, 유동관 연장부를 형성하는 세그먼트(1350)와, 유입 및 유출 매니폴드를 형성하는 세그먼트(1302)와, 그리고 후속하여 추가된 도 5의 플랜지(501)를 위한 넥 부재를 형성하는 세그먼트 (1370)를 포함한다.
단계(1606)에서, 랩퍼 몰드(1300)의 상부(도시안됨)는 하부(1301) 위로 위치되고 플라스틱이 랩퍼 몰드의 중공 세그먼트로 사출되어 도 13의 곡선진 물질 유동 경로 코어(도시안됨)를 포함하는 도 5의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500)를 성형하도록 한다.
단계(1608)에서, 성형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500)는 랩퍼 몰드(1300)의 하부(1301)로부터 회수된다.
단계(1610)에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는 저융점 금속을 용융시키는 가열을 이용하거나 또는 고온의 물속으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500)를 잠기게 하므로써 코어로 나타난 용해성 재료를 용해시킴으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50)로부터 회수된다.
도 17의 설명
도 17은 도 14의 랩퍼 몰드를 이용한 단일 직선관형 코리올리 유량계(200)를 성형하는데 이용된 공정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공정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코어 몰드(700)와 유사한 코어 몰드를 이용하여 물질 유동 경로 코어(1401)가 저융점 금속 또는 용해성 물질로 성형되는 단계(1702)로서 시작된다.
단계(1704)에서, 몰딩된 전체 유동 경로 코어(1401)의 외부와 밸런스 바아(202)의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는 코어(1403)가 성형된다.
단계(1706)에서, 유동 경로 코어(1401)는 코어(1403)의 개구 단부로 축선에 맞추어 삽입된다.
단계(1708)에서, 코어(1401, 1403)는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200)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중공부가 갖추어진 랩퍼 몰드(1400)의 중공부로 삽입된다.
단계(1710)에서, 플라스틱이 코어(1401, 1403)를 포함한 랩퍼 몰드(1400)의 중공부로 사출된다.
단계(1712)에서, 성형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200)는 랩퍼 몰드(1400)로부터 회수된다.
단계(1714)에서, 코어(1401, 1403)는 코어를 포함한 저융점 금속을 가열하거나 또는 고온의 물을 이용하여 코어를 포함한 용해성 재료를 용융시킴으로써 성형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200)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비정규적인 단일관 유량계 또는 곡선진 구성을 포함한 다른 유형의 코리올리 유량계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가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어떻게 성형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였다. 원하는 경우, 설명된 코리올리 유량계 전체가 단일한 사출 성형 작업에 의하여 성형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모든 플라스틱 유량계가 분리된 사출 성형 작업 또는 부품들이 분리되어 성형된 이후에 점착성 본딩에 의하여 결합되는 기타 성형 작업에 의하여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출 본딩에 의해 성형되기 이전에 추후에 부재에 본딩되는 분리된 부재와 같은 경우로 성형됨이 바람직한 임의의 실시예에 대하여 특별히 정확하다. 이와는 달리, 몇몇의 적용에서, 유량계의 동적 활성화 부분의 물리적 보호가 증가됨이 바람직한 적용에 대하여는 플라스틱보다는 금속의 케이스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금속 케이스는 분리되어 성형될 수 있으며 적절한 사출 성형 기술로 이전에 성형될 수 있는 유량계의 나머지 부분에 적절한 본딩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유량계라는 용어의 사용은 금속으로 성형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구동기 및 픽 오프의 코일과, 전자 유량계, 구동기 및 픽 오프의 자석과 관련된 전기식 전도체를 포함한다.
저융점 합금은 일리노이주 60680-4355, 시카고, P.O. Box 4355에 주소를 둔 McMaster-Carr Supply Company로부터 구매할 수 있는 세로-인듐 합금(cerro-indium alloy)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플라스틱"이란 용어는 (통상 중합에 의한 유기 화합물로부터) 종합적으로 생산된 임의의 다양한 비금속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플라스틱은 순도에 대하여 20,000psi정도로 낮고 플라스틱으로 채워진 글래스에 대하여 2,000,000정도로 높은 탄성율을 갖는다.
여기에서 언급된 용해성 재료는 다음과 같은 주소지의 Dussek/Yates Investment Casting Wax Inc.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용해성 왁스일 수 있다;
1815-t w. 15th. Street
Chicago, IL 60608
Phone 312 666 9850
Fax 312 666 7502
이러한 용해성 왁스는 고온의 물에 용해성 왁스를 포함한 플라스틱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용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리올리 유량계에 의하여 본 기술분야에서의 진보를 달성하며 높은 재질의 가격의 문제와 제조시의 난점을 포함한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유량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7)

  1. 유량계 유입부(106)로부터 물질 유동을 수용하여 유량계 유출부(107)에 상기 물질 유동이 연장되도록 통과시키는 유동관 수단(101, 102, 201)과;
    상기 유동관 수단을 진동시키는 구동기(D)와;
    물질 유동을 수반하는 상기 유동관 수단을 진동시켜 코리올리 변형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동관 수단에 접촉된 픽 오프 수단(LPO, RPO)과; 그리고
    상기 픽 오프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물질 유동에 관계된 출력 정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생 수단(121)을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수단은 상기 유동관 수단의 전체 길이를 통하여 연장하는 플라스틱 습식 물질 유동 경로(plastic wetted material flow path)를 형성하도록 플라스틱으로 성형되고,
    상기 습식 물질 유동 경로는 상기 유동관 수단의 단부에 연결된 제 1단부를 각각 갖는 플라스틱 유동관 스터브(217A, 217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스터브 가운데 제 1스터브(217A)는 상기 물질 유동을 수용하는 제 2단부를 갖고,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스터브 가운데 제 2스터브(217B)는 상기 물질 유동을 배출하는 제 2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 유입부와 상기 유량계 유출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스터브 수단의 단부에 연결된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104A)와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104B)를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의 습식 물질 유동 경로는 상기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104A)와 상기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104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질 유동은 상기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104A)로부터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스터브(217A, 217B)와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201)을 통해 상기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104B)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과 상기 플라스틱 스터브와 상기 구동기 및 픽 오프 수단을 내장하는 케이스(103)를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수단은 하나의 유동관(2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수단은,
    하나의 플라스틱 유동관,
    상기 유동관에 평행하게 배향된 플라스틱 밸런스 바아(202), 및
    상기 유동관을 상기 밸런스 바아의 단부에 연결시키는 플라스틱 브레이스 바아 수단(210A, 210B)을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 바아 수단은,
    상기 밸런스 바아의 단부를 상기 유동관에 연결시키는 제 1 및 제 2플라스틱 브레이스 바아(210A, 210B), 및
    상기 유동관의 벽 표면은 상기 플라스틱 브레이스 바아 사이의 상기 유동관의 부분 내에 주름부(3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습식 유동 경로는 상기 유동관의 단부에 연결된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104A)와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104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바아와 상기 브레이스 바아 수단과 상기 유동관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일체식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케이스(103) 내측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바아(202)와 상기 브레이스 바아 수단(210A, 210B)과 상기 유동관(201)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일체식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케이스 (103)내측에 내장되고,
    플라스틱 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417A, 417B)은 상기 케이스의 내벽을 상기 밸런스 바아의 단부와 상기 유동관과 상기 브레이스 바아 수단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수단과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의 중간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벽을 상기 유동관에 연결하는 플라스틱 케이스 연결 링크(417A, 417B)를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바아는 상기 구동기와 상기 픽오프 수단을 상기 밸런스 바아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표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밸런스 바아와 일체인 플라스틱 보빈(435)을 가지며, 상기 보빈의 위에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코일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바아는 상기 유동관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바아는 상기 유동관에 평행하며 상기 유동관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오프셋된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수단은 제 1플라스틱 유동관(101)과 제 2플라스틱 유동관(102)을 포함하고,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제 1유동관의 단부들에 연결된 제 1단부와 상기 제 2유동관에 연결된 제 2단부를 갖는 플라스틱 브레이스 바아 수단(110A, 110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유동 경로는 상기 제 1유동관과 상기 제 2유동관의 단부들에 각각 연결된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104A)와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10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 바아와 상기 제 1유동관과 상기 제 2유동관은 플라스틱 케이스(103) 내측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유동 경로는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유입부에 상기 유입 플랜지를 연결하는 플라스틱 분리기 매니폴드(904)를 형성하는 제 1플라스틱 스터브, 및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유출부에 상기 유출 플랜지를 연결하는 플라스틱 조합기 매니폴드(906)를 형성하는 제 2플라스틱 스터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관(555A)과 상기 제 2유동관(555B)은 곡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유동 경로는,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유입 단부들에 연결된 플라스틱 유입 플랜지(501A)와,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유출 단부에 연결된 플라스틱 유출 플랜지(50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유동 경로는,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상기 유입 단부에 상기 유입 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상기 플라스틱 유입 매니폴드(502A)와,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의 상기 유출 단부에 상기 유출 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상기 플라스틱 유출 매니폴드(502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 바아와 상기 제 1 및 제 2유동관과 상기 각각의 매니폴드는 플라스틱 케이스 내측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5. 제 1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케이스(103), 및 상기 케이스를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에 연결시키는 플라스틱 연결 수단(109A, 109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관 수단(201)은 플라스틱이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어 물질 유동을 수용하고,
    상기 구동기(D)는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을 진동시키고,
    상기 픽 오프 수단(LPO, RPO)은 물질 유동을 수반하는 상기 진동하는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의 코리올리 변형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 신호(122, 124)는 상기 물질 유동을 포함한 정보를 발생시키는 회로부에 인가되는 코리올리 유량계.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유동관 수단에 연결된 플라스틱 보빈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픽 오프 수단은 상기 유동관 수단에 연결된 플라스틱 보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7. 제 1 항의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물질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중공부를 갖춘 코어 몰드의 상기 중공부 안으로 저융점 금속 또는 용해성 재료를 사출시킴으로써 상기 유동관 수단의 상기 물질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랩퍼 몰드의 중공부 안에 위치시키고,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의 외부면 및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의 내부면 사이에 중공부를 성형하도록 상기 랩퍼 몰드를 폐쇄시키는 단계,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는 상기 유동관 수단의 외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포함한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랩퍼 몰드의 상기 중공부를 플라스틱으로 채우는 단계,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포함한 상기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을 상기 랩퍼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의 온도를 상기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형성하는 금속의 융점 이상으로 상승시키거나 또는 상기 몰딩으로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솔벤트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몰딩된 플라스틱 유동관 수단으로부터 상기 성형된 물질 유동 경로 코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67012338A 2000-03-02 2001-01-11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성형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81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16,861 US6450042B1 (en) 2000-03-02 2000-03-02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fabricating a coriolis flowmeter formed primarily of plastic
US09/516,861 2000-03-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420A Division KR100630329B1 (ko) 2000-03-02 2001-01-11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성형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723A true KR20060081723A (ko) 2006-07-13

Family

ID=240574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420A KR100630329B1 (ko) 2000-03-02 2001-01-11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성형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20067012338A KR20060081723A (ko) 2000-03-02 2001-01-11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성형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420A KR100630329B1 (ko) 2000-03-02 2001-01-11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성형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6450042B1 (ko)
EP (1) EP1259782B1 (ko)
JP (1) JP2003525437A (ko)
KR (2) KR100630329B1 (ko)
CN (1) CN1245609C (ko)
AR (1) AR027332A1 (ko)
AU (2) AU2001227870B9 (ko)
BR (1) BRPI0108868B1 (ko)
CA (2) CA2401006C (ko)
HK (1) HK1055461A1 (ko)
MX (1) MXPA02008473A (ko)
MY (1) MY124382A (ko)
PL (1) PL198206B1 (ko)
RU (1) RU2263285C2 (ko)
WO (1) WO20010652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1457A1 (en) * 2001-09-06 2003-04-17 Surpass Industry Co. Ltd. Fluid control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7005019B2 (en) * 2001-11-26 2006-02-28 Emerson Electric Co. Manufacturing flow meters having a flow tube made of a fluoropolymer substance
US6606917B2 (en) 2001-11-26 2003-08-19 Emerson Electric Co. High purity coriolis mass flow controller
US20030098069A1 (en) * 2001-11-26 2003-05-29 Sund Wesley E. High purity fluid delivery system
US6776053B2 (en) * 2001-11-26 2004-08-17 Emerson Electric, Inc. Flowmeter for the precision measurement of an ultra-pure material flow
US7127815B2 (en) * 2001-11-26 2006-10-31 Emerson Electric Co. Method of manufacturing a Coriolis flowmeter
JP2003185482A (ja) * 2001-12-17 2003-07-03 Yokogawa Electric Corp コリオリ質量流量計
DE10351311B3 (de) * 2003-10-31 2005-06-30 Abb Patent Gmbh Coriolis-Massendurchflussmessgerät
DE10351312B4 (de) * 2003-10-31 2009-05-07 Abb Ag Anbauteil und Coriolis-Massendurchflussmessgerät mit diesem Anbauteil
CN102764247B (zh) * 2004-01-30 2016-04-20 考里安国际公司 递送活性剂的快速溶解膜
DE102004023489A1 (de) * 2004-05-10 2005-12-08 Endress + Hauser Flowtec Ag, Reinach Herstellen eines gebogenen Messrohrs für einen Meßaufnehmer vom Vibrationstyp
US20050268687A1 (en) * 2004-05-10 2005-12-08 Endress + Hauser Flowtec Ag Manufacturing a curved measuring tube for a vibratory measurement pickup
MXPA06014651A (es) * 2004-07-01 2007-03-26 Micro Motion Inc Contrapesos de derivacion para eliminar el efecto de densidad en flujo.
WO2006019923A2 (en) * 2004-07-15 2006-02-23 Pdc Facilities, Inc. Liner for a flow meter
DE102004057088B3 (de) * 2004-11-25 2006-06-01 Krohne Ag Coriolis-Massendurchflußmeßgerä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ßrohrs für ein Coriolis-Massendurchflußmeßgerät
US7350421B2 (en) * 2004-12-13 2008-04-01 Endress + Hauser Flowtec Ag Vibratory measurement transducer
DE102004060115A1 (de) * 2004-12-13 2006-06-14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ßaufnehmer vom Vibrationstyp
CN101128721A (zh) 2005-02-25 2008-02-20 恩德斯+豪斯流量技术股份有限公司 振动式测量变送器
US7819139B2 (en) * 2005-07-14 2010-10-26 Pdc Facilities, Inc. Liner for a flow meter
EP1954565B1 (en) * 2005-11-28 2012-10-24 PDC Facilities, Inc. Filling machine
US7325461B2 (en) 2005-12-08 2008-02-05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asurement transducer of vibration-type
JP4254966B2 (ja) * 2006-03-14 2009-04-15 株式会社オーバル 振動方向規制手段を有するコリオリ流量計
DE102006013601A1 (de) 2006-03-22 2007-09-27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ßaufnehmer vom Vibrationstyp
US7546777B2 (en) * 2006-03-22 2009-06-16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asuring transducer of vibration-type
US7555962B2 (en) * 2006-03-22 2009-07-07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asuring transducer of vibration-type
US7631561B2 (en) * 2006-03-22 2009-12-15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asuring transducer of vibration-type
DE102008002217A1 (de) * 2008-06-04 2009-12-10 Endress + Hauser Flowtec Ag Vorrichtung zur Bestimmung und/oder Überwachung eines Strömungsparameters
KR101277309B1 (ko) * 2008-11-19 2013-06-24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모드 분리를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
US8387454B2 (en) 2009-06-11 2013-03-05 Arad Ltd. Flow meter casing having segmented external ring structure
US8006569B2 (en) * 2009-06-12 2011-08-30 Sensus Usa Inc. Magnetic flow meter
WO2011018098A1 (de) * 2009-08-11 2011-02-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riolis-massendurchflussmessgerät
JP5602884B2 (ja) * 2010-02-12 2014-10-08 マリマ エンジニアリ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リオリ式質量流量センサの製造方法及び温度較正方法
NL1038047C2 (en) * 2010-06-16 2011-12-20 Berkin Bv Coriolis flowsensor.
DE102011085408A1 (de) 2011-10-28 2013-05-02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ßwandler sowie damit gebildetes Meßsystem
JP5559239B2 (ja) * 2012-04-26 2014-07-23 株式会社オーバル コリオリ流量計
DE102012016490A1 (de) * 2012-06-05 2013-12-05 Rota Yokogawa Gmbh & Co Kg Coriolis-Massendurchflussmessgerät
US9677921B2 (en) 2013-08-22 2017-06-13 Malema Engineering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riolis mass flow rate sensor from a polymeric material
CN106233099B (zh) * 2014-04-21 2020-11-03 高准公司 具有指引凸台的流量计量器歧管
US10663335B2 (en) * 2015-09-15 2020-05-26 Micro Motion, Inc. Hygienic manifold for a flow meter
EP3380816B1 (en) * 2015-11-24 2020-09-30 Malema Engineering Corporation Integrated coriolis mass flow meters
CN108369121B (zh) * 2015-12-11 2021-08-03 高准公司 非对称流量计及相关方法
EP3414530B1 (en) * 2016-02-09 2021-09-22 Micro Mo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ting a flowpath
DE102016118695A1 (de) * 2016-10-03 2018-04-05 Krohne Ag Messrohreinheit und Coriolis-Massedurchflussmessgerät
RU2685085C1 (ru) * 2018-08-02 2019-04-1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мпания Штрай" Расходомер
CN111174844A (zh) * 2018-11-09 2020-05-19 高准有限公司 传感器装置及包括该传感器装置的科里奥利质量流量计
CN110388967A (zh) * 2019-09-02 2019-10-29 上海一诺仪表有限公司 U型科氏质量流量计的分流体及u型科氏质量流量计
US20230003566A1 (en) * 2019-12-13 2023-01-05 Micro Motion, Inc. Design to reduce strain in coriolis flow sensor
DE102019134608A1 (de) * 2019-12-16 2021-06-17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ssaufnehmer eines Messgerätes
DE102019134609A1 (de) * 2019-12-16 2021-06-17 Endress+Hauser Flowtec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ssrohranordnung eines Coriolis- Durchflussmessgerätes
DE102019135303B4 (de) * 2019-12-19 2024-03-14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ssaufnehmer eines Messgerätes zum Erfassen eines Massedurchflusses, einer Viskosität, einer Dichte und/oder einer davon abgeleiteten Größe eines fließfähigen Mediums
JP2020101559A (ja) * 2020-02-19 2020-07-02 マイクロ モ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流量計用の衛生的なマニホールド
US11619532B2 (en) 2020-04-10 2023-04-04 Malema Engineering Corporation Replaceable, gamma sterilizable Coriolis flow sensors
CN114459555A (zh) * 2022-03-02 2022-05-10 沃森测控技术(河北)有限公司 一种非圆形截面的科氏质量流量计
CN114812715A (zh) * 2022-03-02 2022-07-29 沃森测控技术(河北)有限公司 一种采用内置支撑结构的科氏质量流量计
WO2024096040A1 (ja) * 2022-11-04 2024-05-10 株式会社AlphiTechnology コリオリ質量流量計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4139A (en) * 1965-09-20 1973-05-22 Du Pont Composite thermoplastic structure
US4444059A (en) * 1982-09-13 1984-04-24 Micro Motion Oscillating tube mass flow rate meter
US4628744A (en) 1985-04-22 1986-12-16 Lew Hyok S S-tube Coriolis force flow meter
US5054247A (en) * 1986-03-21 1991-10-08 Extrude Hone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flow resistance in fluid orifice manufacture
JPH0715397B2 (ja) * 1986-07-10 1995-02-22 オ−バル機器工業株式会社 質量流量計
JPH081157B2 (ja) * 1987-05-27 1996-01-10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エンジン用合成樹脂製吸気管の製造方法
US5027662A (en) 1987-07-15 1991-07-02 Micro Motion, Inc. Accuracy mass flow meter with asymmetry and viscous damping compensation
DE3877907D1 (de) * 1987-11-20 1993-03-11 Flowtec Ag Verfahren zur massendurchflussmessung nach dem coriolisprinzip und nach dem coriolisprinzip arbeitendes massendurchfluss-messgeraet.
US5076027A (en) * 1987-12-17 1991-12-31 Extrude Hone Corporation Process for abrasive flow machining using multiple cylinders
US4860594A (en) * 1988-03-01 1989-08-29 Gmi Engineering & Management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mass flow and density
JPH01296112A (ja) 1988-05-24 1989-11-29 Oval Eng Co Ltd コリオリ質量流量計
US5133226A (en) * 1989-07-04 1992-07-28 Gkn Automotive Ag Connecting part equippable with balance weights for cardan shafts and process for balancing
JPH03230927A (ja) * 1990-02-05 1991-10-14 Mitsubishi Kasei Corp 樹脂製中空管の製造法
US5448921A (en) 1991-02-05 1995-09-12 Direct Measurement Corporation Coriolis mass flow rate meter
JP2850556B2 (ja) * 1991-03-20 1999-01-27 横河電機株式会社 コリオリ質量流量計
DE4124295A1 (de) * 1991-07-22 1993-01-28 Krohne Ag Massendurchflussmessgeraet
JPH0526709A (ja) * 1991-07-26 1993-02-02 Yokogawa Electric Corp コリオリ質量流量計
JPH05212728A (ja) * 1992-02-06 1993-08-24 Daikyo Inc 合成樹脂製管状体の製造方法
HU215143B (hu) * 1993-08-03 1998-12-28 MMG Automatika Művek Rt. Eljárás és berendezés áramló közeg tömegáramának mérésére
JPH07174601A (ja) * 1993-12-20 1995-07-14 Tokico Ltd 振動式測定装置
DE19620079C2 (de) * 1996-05-20 2001-08-23 Krohne Messtechnik Kg Massendurchflußmeßgerät
JPH106348A (ja) * 1996-06-21 1998-01-13 Calsonic Corp 中空中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中空中子を用いた中空樹脂製品の製造方法
US5814739A (en) 1997-05-30 1998-09-29 Micro Motion, Incorporated Coriolis flowmeter having corrugated flow tube
DE19757117A1 (de) * 1997-12-20 1999-06-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ntilsitzkörpers für ein Brennstoffeinspritzventil und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9953131A1 (de) * 1999-11-04 2001-08-0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antenverrun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27332A1 (es) 2003-03-26
HK1055461A1 (en) 2004-01-09
CA2401006C (en) 2009-06-30
MXPA02008473A (es) 2003-01-28
CA2647774A1 (en) 2001-09-07
US6904667B2 (en) 2005-06-14
CN1426531A (zh) 2003-06-25
CA2647774C (en) 2010-03-16
PL357143A1 (en) 2004-07-12
US6450042B1 (en) 2002-09-17
MY124382A (en) 2006-06-30
CA2401006A1 (en) 2001-09-07
AU2001227870B9 (en) 2006-02-23
BR0108868A (pt) 2003-04-29
BRPI0108868B1 (pt) 2017-11-07
AU2787001A (en) 2001-09-12
KR100630329B1 (ko) 2006-10-02
US20020139199A1 (en) 2002-10-03
EP1259782B1 (en) 2018-12-26
KR20020087061A (ko) 2002-11-21
RU2263285C2 (ru) 2005-10-27
CN1245609C (zh) 2006-03-15
PL198206B1 (pl) 2008-06-30
WO2001065213A1 (en) 2001-09-07
EP1259782A1 (en) 2002-11-27
JP2003525437A (ja) 2003-08-26
AU2001227870B2 (en)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329B1 (ko)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성형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AU2001227870A1 (e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fabricating a coriolis flowmeter formed primarily of plastic
CN102132365B (zh) 电抗器用部件以及电抗器
RU2002126100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расходомера кориолиса, отформованного главным образом из пластмассы
US599622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ual loop coriolis effect mass flowmeter
CN102575949B (zh) 电磁流量计用流路管及其制造方法
US6354154B1 (en) Balance bar for a coriolis flowmeter
CN101681715A (zh) 表面安装部件
US2023001276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easurement tube assembly for a coriolis flow meter
JP2004183858A (ja) 電気融着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JP5743633B2 (ja) 電気融着継手の製造方法
JP3399379B2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JP2002317894A (ja) 電気溶着継手
JP2002257284A (ja) 電気融着継手
JP5654724B2 (ja) 融着継手
JPS6059308A (ja) 光コネクタ端部の形成方法
JPH07332542A (ja) 電気融着継手とその製造方法
JPH1130384A (ja) 溶着継手製造用コア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720

Effective date: 2008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