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616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616A
KR20060081616A KR1020050002361A KR20050002361A KR20060081616A KR 20060081616 A KR20060081616 A KR 20060081616A KR 1020050002361 A KR1020050002361 A KR 1020050002361A KR 20050002361 A KR20050002361 A KR 20050002361A KR 20060081616 A KR20060081616 A KR 20060081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electrode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원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1616A/ko
Publication of KR2006008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7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 E04B1/58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with separate connection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24Stru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1927Stru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esse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04B2001/196Screw connections with axis parallel to the main axis of the str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06Connection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방전시 비유효면에 형성되는 전하를 접지시켜 오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스캔 전극과 상기 서스테인 전극 상부에는 상부 유전체층이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스캔전극과 상기 서스테인 전극에 교차되어 배열된 어드레스 전극이 형성된 후면 패널과, 상기 후면 패널에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셀을 각각 구획하도록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구동 시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면과. 상기 유효면 외곽에 형성되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유효면을 포함하고, 상기 비유효면에는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미(Dummy) 방전셀이 형성되고, 상기 더미 방전셀의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접지(GND)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방전셀, 더미 전극, 비유효면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도,
도 2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방전셀의 배치구조 도시한 도,
도 3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이 표시되는 부분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방전셀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방전셀의 배치구조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방전셀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방전시 비유효면에 형성되는 전하를 접지시켜 오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에 형성된 격벽이 하나의 단위 셀을 이루는 것으로, 각 셀 내에는 네온(Ne), 헬륨(He) 또는 네온 및 헬륨의 혼합기체(Ne+He)와 같은 주 방전 기체와 소량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불활성 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고주파 전압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불활성 가스는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격벽 사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이 구현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얇고 가벼운 구성이 가능하므로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면인 전면 글라스(101)에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이 쌍을 이뤄 형성된 복수의 유지전극쌍이 배열된 전면기판(100) 및 배면을 이루는 후면 글라스(111) 상에 전술한 복수의 유지전극쌍과 교차되도록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113)이 배열된 후면기판(110)이 일정거리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결합된다.
전면기판(100)은 하나의 방전셀에서 상호 방전시키고 셀의 발광을 유지하기 위한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 즉 투명한 ITO 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a)과 금속재질로 제작된 버스 전극(b)으로 구비된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이 쌍을 이뤄 포함된다.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은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전극 쌍 간을 절연시켜주는 하나 이상의 상부 유전체층(104)에 의해 덮혀지고, 상부 유전체층(1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산화마그네슘(MgO)을 증착한 보호층(105)이 형성된다.
후면기판(110)은 복수개의 방전 공간 즉, 방전셀을 형성시키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또는 웰 타입)의 격벽(112)이 평행을 유지하여 배열된다. 또한, 어드레스 방전을 수행하여 진공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113)이 격벽(11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후면기판(110)의 상측면에는 어드레스 방전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R, G, B 형광체(114)가 도포된다. 어드레스 전극(113)과 형광체(114) 사이에는 어드레스 전극(113)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 유전체층(115)이 형성된다.
도 2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방전셀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은 스캔 전극 라인들(Y1 내지 Ym), 서스테인 전극 라인들(Z1 내지 Zm) 및 데이터 전극 라인들(X1 내지 Xn)의 교차 지점마다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스캔 전극 라인들(Y1 내지 Ym)은 스캔 펄스와 서스테인 펄스를 공급하여 방전셀들이 라인 단위로 스캔되게 함과 아울러 방전셀들에서 방전이 유지되게 한다. 서스테인 전극 라인들(Z1 내지 Zm)은 공통적으로 서스테인 펄스를 공급하여 상기 스캔 전극 라인들(Y1 내지 Ym)과 함께 방전셀들에서 방전이 유지되게 한다. 데이터 전극 라인들(X1 내지 Xn)은 상기 스캔 펄스와 동기되는 데이터 펄스를 라인 단위로 공급하여 데이터 펄스의 논리값에 따라 방전이 유지될 방전셀들이 선택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은 도 3과 같이 화면이 표시되는 유효면과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비유효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비유효면에는 광이 발생되지 않는 더미 방전셀이 형성된다. 이러한 더미 방전셀은 형광체층이 형성되지 않아서 구동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더미 방전셀에도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예를 들면 더미 방전셀의 스캔 또는 서스테인 전극에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형광체층이 형성되지 않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광은 발생되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서스테인 전압과 같은 구동전압에 의해 더미 방전셀 내에 소정량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이러한, 더미 방전셀내 형성된 벽전하들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시 방전영역에 영향을 미쳐 오방전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시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유효면에 형성되는 더미 방전셀의 전극을 접지(GND)와 연결함으로써 오방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방전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스캔 전극과 상기 서스테인 전극 상부에는 상부 유전체층이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스캔전극과 상기 서스테인 전극에 교차되어 배열된 어드레스 전극이 형성된 후면 패널과, 상기 후면 패널에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셀을 각각 구획하도록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구동 시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면과, 상기 유효면 외 곽에 형성되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유효면을 포함하고, 상기 비유효면에는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미(Dummy) 방전셀이 형성되고, 상기 더미 방전셀의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접지(GND)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미 방전셀의 모든 전극은 공통연결되어 접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미 방전셀의 전극은 각각 접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방전셀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전셀을 이루는 스캔 전극 라인에서 두개의 스캔 전극 라인(Y1, Y2)을 접지시켜 방전시 발생하는 전하들을 제거한다.
이 때, 비유효면의 더미 셀에 형성되는 전하를 제거하기 위하여 접지시키는 전극은 스캔 전극뿐만 아니라, 방전셀을 이루는 서스테인 전극 라인 또는 데이터 전극라인 모두 가능하며, 각각의 전극라인에서 적어도 한개 이상을 접지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시 생성되는 전하를 제거시켜 방전영역의 방전시 오방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방전셀의 배치 구조 요부 확대도로써,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캔 전극 라인들(Y3 내지 Yn-2)은 스캔 펄스와 서스테인 펄스를 공급하여 방전셀들이 라인 단위로 스캔되게 함과 아울러 방전셀들에서 방전이 유지되게 한다. 그러나, 스캔 전극 라인 Y1과 Y2는 비방전 영역에 해당하는 전극라인으로 접지와 연결되어 구동시 발생되는 전하가 제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방전셀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유효면의 더미셀에 발생되는 전하를 제거하기 위하여 스캔 전극 라인 Y1과 Y2을 하나의 접지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시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유효면의 더미 방전셀의 전극을 접지(GND)와 연결함으로써 오방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스캔 전극과 상기 서스테인 전극 상부에는 상부 유전체층이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스캔전극과 상기 서스테인 전극에 교차되어 배열된 어드레스 전극이 형성된 후면 패널과, 상기 후면 패널에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셀을 각각 구획하도록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구동 시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면과 상기 유효면 외곽에 형성되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유효면을 포함하고,
    상기 비유효면에는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미(Dummy) 방전셀이 형성되고,
    상기 더미 방전셀의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접지(GND)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방전셀의 모든 전극은 공통연결되어 접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방전셀의 전극은 각각 접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 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02361A 2005-01-10 2005-01-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81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361A KR20060081616A (ko) 2005-01-10 2005-01-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361A KR20060081616A (ko) 2005-01-10 2005-01-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616A true KR20060081616A (ko) 2006-07-13

Family

ID=3717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361A KR20060081616A (ko) 2005-01-10 2005-01-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16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44225A (ja)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0611449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002743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75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8161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07609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6920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7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53925B1 (ko) 플로팅 전극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5829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52386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655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7681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2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1068030A (ja) 3電極型ac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019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2148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58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003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45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37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1017075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6001915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0951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