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343A -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343A
KR20060081343A KR1020060000083A KR20060000083A KR20060081343A KR 20060081343 A KR20060081343 A KR 20060081343A KR 1020060000083 A KR1020060000083 A KR 1020060000083A KR 20060000083 A KR20060000083 A KR 20060000083A KR 20060081343 A KR20060081343 A KR 2006008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tact
connector
receiving slo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6008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콘택트 및 카드 접점을 손상시키지 않고, 카드의 삽입에 요하는 힘을 작게하면서 카드의 제거에 요하는 힘을 확실히 크게 할 수 있고, 카드의 부주의한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카드 커넥터(1)는 대략 평판상으로 형성된 카드 본체(C1a)의 선단에 카드본체(C1a)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칼날부(C1b)를 갖는 카드(C1)가 삽입됨과 동시에 제거되는 카드 수용슬롯(20)과, 삽입된 카드(C1)의 카드접점에 접촉하는 콘택트(15)를 갖는 커넥터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카드 수용슬롯(20)의 저부(21)에는 카드 수용슬롯(20) 내에 카드(C1)가 삽입된 때에, 카드(C1)의 칼날부(C1b)가 타고넘는 탄성돌기(24)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돌기, 칼날부, 카드 수용슬롯

Description

카드 커넥터{CARD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커넥터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드 커넥터를 도시하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드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B에 있어서 4-4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B에서 5-5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카드 커넥터의 요부의 단면을 도시하고, (A)는 제1카드 삽입전의 단면도, (B)는 제1카드 삽입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카드의 낮은 삽입력 및 높은 제거력이 가능한 종래 카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카드 커넥터의 카드 수용공에 카드를 삽입하는 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카드 커넥터의 카드 수용공으로부터 카드를 제거하는 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카드의 낮은 삽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카드의 탈락을 방지한 종래의 카드 커넥터를 도시하고 (A)는 카드 홀더가 제1위치에 위치하는 때의 사시도, (B)는 카드 홀더가 제2위치에 위치하는 때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카드 커넥터
10 : 커넥터부
15 : 제1콘택트(콘택트)
20 : 제1카드 수용슬롯(카드 수용슬롯)
21 : 분리 프레임(카드 수용슬롯의 저부)
24 : 탄성돌기
24a : 제1경사면
24b : 제2경사면
C1 : 제1카드(카드)
C1a : 카드 본체
C1b : 칼날부
[특허문헌 1] 특개 2000-353558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 2002-42932호 공보
본 발명은 카드의 낮은 삽입력 및 높은 제거력을 가능하게 한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카드의 삽입에 요하는 힘을 작게 하면서 카드의 제거에 요하는 힘을 크게 하여, 카드의 삽입시 취급성 향상과 카드의 지지력의 강화에 의한 커넥터의 신뢰성 향상을 양립시킨 카드 커넥터로서 종래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도 7에 도시한 카드 커넥터(101)는 절연성의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취부된 복수의 콘택트(12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0)은 대략 직사각형의 후판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카드 수용공(112)을 갖고 있다. 카드 수용공(112)에는 전방측(도 7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향해서 카드(C)가 삽입되고, 그 반대방향으로 카드(C)가 제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에는 카드 수용공(112)으로부터 카드(C)의 삽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로(111)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수용통로(111)는 카드 수용공(112)을 끼워서 상하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콘택트(120)는 하우징(110)의 콘택트 수용통로(111)의 측벽에 고정된 고정부(121)과, 고정부(1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는 만곡부(122)와, 만곡부 (12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접촉부(123)과, 고정부(12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접속부(124)를 구비하고,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고정부(121)는 콘택트 수용통로(111)의 측벽의 후단부분에 압입고정된다. 만곡부(122)는 고정부(121)의 일단으로부터 약간 경사진 전방으로 연장한 후에 전환되어 경사진 후방으로 연장한다. 접촉부(123)는 만곡부(122)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경사진 전방으로 연장해서 카드 수용공(112) 내에 접촉 돌기(123b)가 돌출하고, 이어서 접촉돌부(123b)로부터 전환되어 경사진 전방으로 연장하고, 그 선단부(123a)가 콘택트 수용통로(111) 내에 수용된다. 또한, 접속부(124)는 고정부(12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해서 콘택트 수용통로(111) 외부로 도출된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커넥터(101)의 카드 수용공(112)에 카드(C)를 삽입하면, 카드(C)가 접촉부(123)의 접촉돌부(123b)에 직접 접촉하고, 접촉부(123)가 카드 삽입방향에서, 나아가 카드 수용공(112)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압압된다. 이 경우, 도 8B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122)가 압축되어 만곡부분 중앙부의 각도(G)가 감소하므로, 접촉돌부(123b)가 콘택트 수용통로(111) 내에 수용되고, 접촉부(123)의 거의 전체가 콘택트 수용통로(111)와 카드 수용공(112)의 경계면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접촉부(123)가 전체적으로 카드(C)에 접촉하게 되고, 카드 삽입시에 카드(C)가 접촉부(123)로부터 받는 접촉압이 적정하게 억제되어 카드(C)의 삽입에 요하는 힘이 작아진다.
한편,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C)를 카드 수용공(112)로부터 제거하면, 접촉부(123)가 카드 제거방향으로 끌려간다. 이 경우, 도 9B와 도 9C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접촉부(123)의 선단부(123a)가 콘택트 수용통로(111)의 전방벽에 직접 접촉하고, 이곳을 지지점으로 해서 접촉부(123)의 접촉돌부(123b)가 카드 수용공(112)을 향해서 일어나고, 거의 점접촉에 근사한 상태로 카드(C)에 접하여 강하게 압압한다. 이 때문에, 카드(C)의 제거에 요하는 힘이 크게 되어, 카드 커넥터(101)에 있어서 카드(C)의 지지력이 커진다.
따라서, 카드(C)의 취급성 향상과 카드 지지력의 강화에 의한 커넥터(101)의 신뢰성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카드의 낮은 삽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카드의 탈락을 방지한 카드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것도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 카드 커넥터(201)는 절연성 하우징(210)과, 이 하우징(210)에 부착된 복수의 콘택트(220)와, 하우징(210)의 내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카드 홀더(23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10)은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부(211)와, 기부(211)의 폭방향 양단에 설치된 측판부(212a, 212b)를 갖고 있다. 측판부(212a, 212b)는 카드(미도시)를 삽입하는 삽입방향(도 10A에서 화살표 X 방향) 및 카드를 제거하는 방향(도 10A에서 화살표 Y 방향)으로 연장하고, 측판부(212a, 212b)의 삽입방향 후단부 사이는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삽입구(212)로 되어 있다. 측판부(212a, 212b)의 삽입방향 후단부 상부에는, 양측판부(212a, 212b)를 건너는 브릿지부(215)가 설치된다. 또한, 양측판부(212a, 212b)의 대향하는 내면의 카드 삽입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카드 홀더(2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축부(213)(도 10B에 있어서 일방만을 도시함)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양측판부(212a, 212b)의 대향하는 내면의 카드 삽입방향의 후방으로부터는 카드를 카드 홀더(230)에 삽입·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제1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제1위치결정부(미도시)와, 카드 하면에 설치된 접점부(미도시)를 콘택트(220)에 접촉시킬 수 있는 제2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제2위치결정부(214)를 갖는다. 제1위치결정부는 양측판부(212a, 212b)의 대향하는 내면의 상방부에 설치되고, 한편, 제2위치결정부(214)는 양측판부(212a, 212b)의 대향하는 내면의 하방부에 설치된다.
복수의 콘택트(220)는 하우징(210)의 기부(211)에 폭방향을 따라서 소정 피치로 부착되고, 기부(2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접촉부(221)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211)에는 카드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카드의 하면에 설치된 접점부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카드 홀더(230)는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카드 재치부(231)와, 카드 재치부(231)의 폭방향 양단으로 절곡형성되고, 측판부(212a, 212b)의 각각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홀더 측판부(232a, 232b)와, 측판부(212a, 212b)의 각각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가이드편(233a, 233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카드 홀더(230)의 양 홀더 측판부(232a, 232b)는 하우징(210)의 측판부(212a, 212b)의 각각에 설치된 지지축(213)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카드 홀더(230)의 양 홀더 측판부(232a, 232b)에는 하우징(210)의 제1위치결정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미도시)와, 제2위치결정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설치된다.
카드 홀더(230)의 제1결합부가 하우징(210)의 제1위치결정부에 결합된 상태 는 도 10A에 도시되어 있고, 이때에는 카드 홀더(230)는 하우징(210)과 대략 평행하여, 카드 삽입방향의 후단부측으로부터 카드 홀더(230) 내로 카드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에, 카드 홀더(230)의 전방단부는 콘택트(220)의 접촉부(221)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카드를 삽입하여도 카드 접점부와 콘택트(220)의 접촉부(221)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카드의 삽입력에 콘택트(220)의 접촉력은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작은 힘으로 카드를 카드 홀더(230)에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카드를 카드 홀더(230)의 소정위치까지 삽입한 후는, 카드의 후방단부를 도 10B에 있어서 화살표 Z1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카드 홀더(230)도 지지축(213)을 지지점으로 해서 함께 회동되므로, 제2결합부가 제2위치결정부(214)에 결합되어, 되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서, 카드 홀더(230)가 고정된다. 카드 홀더(230)의 회전에 의해 카드 홀더(230)의 전방단부는 화살표 Z2 방향으로 이동하고, 카드의 카드 접점과 콘택트(220)의 접촉부(221)는 접촉한다. 이때, 카드의 후방단부(화살표 Y에서 본 제거방향의 후방단부)는 하우징(210)의 록크부(216a, 216b)에 걸리고, 카드는 록크된다. 그 결과, 카드 커넥터(201)를 제거방향으로 기울여도 카드가 카드 홀더(230)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드 커넥터(101, 202)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카드 커넥터(101)의 경우, 카드(C)를 카드 수용공(112)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 콘택트(120)의 접촉부(123)의 접촉돌부(123b)가 거의 점접촉에 근사한 상태로 카드(C)에 접해서 강하게 압압하고, 이에 의해 카드(C)의 제거 에 요하는 힘을 크게해서, 카드(C)의 지지력을 높게 한다. 그러나, 콘택트(120)의 복원력(용수철힘) 만을 이용해서 카드(C)의 지지력을 높이는 것에 불과하여, 아직 카드(C)의 지지력이 불충분하여, 카드 커넥터(101)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카드(C)가 카드 커넥터(101)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있다. 또한, 카드(C)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콘택트(120)의 복원력 이외는 이용하지 않으므로, 카드 커넥터(101)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콘택트(120)에 부하가 많이 걸려 콘택트(120)가 손상하게 된다. 또한, 콘택트(120)의 복원력을 크게 하면, 복수회의 삽발에 의해서 카드(C)에 설치된 카드 접점도 도금이 지워지는 등 손상되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카드 커넥터(201)의 경우, 카드가 카드 홀더(230)로부터 탈락할 염려가 없고, 또한 콘택트(220)가 손상할 염려는 없지만, 카드를 지지하는 카드 홀더(230)를 필요로 하고, 기구가 복잡해서 부품수도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택트 및 카드 접점을 손상시키지 않고, 카드의 삽입에 요하는 힘을 작게하면서 카드의 제거에 요하는 힘을 확실하게 크게할 수 있고, 카드의 예기치 못한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한 카드 커넥터는 대략 평판상으로 형성된 카드 본체의 선행단부에 상기 카드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칼날부를 갖는 카드가 삽입되면서 제거되는 카드 수용슬롯과, 삽입된 상기 카드의 카드 접점에 접촉하는 콘택트를 갖는 콘택트부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 수용슬롯의 저부에 상기 카드 수용슬롯 내에 상기 카드가 삽입된 때에 상기 카드의 칼날부가 타고 넘어가는 탄성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2에 관한 카드 커넥터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카드 수용슬롯의 저부로부터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완만하게 경사져서 입상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카드 수용슬롯의 저부로부터 상기 카드의 제거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상기 제1경사면에 비해서 급하게 경사져서 입상하는 제2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드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드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B에서 4-4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B에서 5-5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카드 커넥터의 요부의 단면을 나타내고, (A)는 제1카드 삽입전의 단면도, (B)는 제1카드 삽입 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카드 커넥터(1)는 제1카드(C1)가 도 1A에서 화살 표 X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화살표 Y 방향으로 제거되는 제1카드 수용슬롯(20)과, 제1카드 수용슬롯(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2카드(C2)가 도 1A에서 화살표 X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화살표 Y 방향으로 제거되는 제2카드 수용슬롯(30)과, 삽입된 제1카드(C1) 및 제2카드(C2)가 각각 접속되는 커넥터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후, 화살표 X 방향을 카드 삽입방향이라 하고, 카드 삽입방향의 안쪽을 전방측, 그 반대측을 후방측이라 한다. 또한 화살표 Y 방향을 카드 제거방향이라 한다.
제1카드(C1)은 PCMCIA 규격에 준거한 소위 익스프레스 카드라 칭하는 메모리 카드이고, 대략 평판상의 광폭으로 형성된 카드 본체(C1a)의 전방 우측부를 절결한 우측견부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 타입의 것과, 협폭이며 양측이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타입의 것이 있다. 카드 본체(C1a)의 전방단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본체(C1a)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칼날부(C1b)를 갖는다. 광폭 타입의 익스프레스 카드 및 협폭 타입의 익스프레스의 커넥터 부분(결합부분)은 양자에서 공통이므로, 제1카드 수용슬롯(20)에는 광폭 타입의 익스프레스 카드와 협폭 타입의 익스프레스 카드의 쌍방이 삽발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지만, 이하, 광폭 타입의 익스프레스 카드를 삽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2카드(C2)는 PCMCIA 규격에 준거한 종래의 PC 카드이다. 제2카드(C2)의 전방단부에는 카드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칼날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커넥터부(10)는 절연성 하우징(11)을 갖는다. 하우징(11)은 제1하우징부(12)와, 제1하우징부(12)의 하측에 설치된 제2하우징부(13)를 구비한다.
제1하우징부(12)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카드 수용슬롯(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제1카드 수용슬롯(20)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하우징부(12)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삽입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1콘택트(15)를 부착한 대략 직사각형체(14)를 수용하는 수용부(12a)와, 이 수용부(12a)의 우측(도 4에 있어서 우측)에 설치되고 제1카드(C1)의 전방단부측의 우측면[도 1A에 있어서 제1카드(C1)의 전방단부측의 우측면)의 삽발을 안내하는 안내부(12b)를 구비한다. 안내부(12b)는 수용부(12a)에 대해서 후방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수용부(12a)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판상의 플랫폼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부(12b)의 후방측에는 협폭으로 양측이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제1카드(C1)을 커넥터부(10)에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경사면(1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제1콘택트(15)는 후방단측으로 삽입된 제1카드(C1)의 카드접점(미도시)에 탄성접촉하는 탄성접촉부(15a)를 설치하고, 전방단부측이 중계기판(18)에 납땜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탄성접촉부(15a)는 플랫폼부(12c)의 하측에 노출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제2하우징부(13)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카드 수용슬롯(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제2카드 수용슬롯(30)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제2하우징(13)에는 카드 삽입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2콘택트(16)가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제2콘택트(16)의 후방단부는 삽입된 제2카드(C2)에 설치된 콘택트(미도시)에 접촉하고, 전방단부는 중계기판(18)에 납땜접속되도록 이루어진다. 하우징(11)에는 상기 하우징(11)을 회로기판(미도시) 상에 나사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카드 수용슬롯(20)은 제1카드 수용슬롯(20)과 제2카드 수용슬롯(30)을 분리하는 분리 프레임(21)과, 제1하우징부(12)를 구성하는 수용부(12a)의 좌측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좌측 가이드 아암부(22)와, 제1하우징부(12) 및 좌측 가이드 아암부(22)의 상방을 덮듯이 부착된 톱셀(23; top shell)과, 톱셀(23)의 우측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우측판부(23a)로 구성된다. 분리 프레임(21)은 제1하우징부(12)의 하방부에 부착되어 후방으로 향해 연장하고 있다. 좌측 가이드 아암부(22)는 제1카드(C1)의 좌측면의 삽발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카드(C1)이 제1카드 수용슬롯(20) 내에 삽입 및 제거되는 때에는 좌측 가이드 아암부(22)의 내측면이 제1카드(C1)의 좌측면을 안내하고, 제1하우징부(12)의 안내부(12b) 및 우측판부(23a)의 내측면이 제1카드(C1)의 우측면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분리 프레임(21) 및 톱쉘(23)은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카드 수용슬롯(20)을 구성하는 분리 프레임(제1카드 수용슬롯의 저부)(21)의 전방단부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카드 수용슬롯(20) 내에 제1카드(C1)이 삽입되는 때에, 제1카드(C1)의 칼날부(C1b)가 타고넘는 복수의 탄성돌기(24)가 상방으로 향해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탄성돌기(2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프레임(21)으로부터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져 입상하는 제1경사면(24a)과 분리 프레임(21)으로부터 카드 제거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급하게 경사져 입상하는 제2경사면(24b)을 갖는다. 제1경사면 (24a)의 정점과 제2경사면(24b)의 정점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탄성돌기(24)는 측방에서 보아 비대칭의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탄성돌기(24)의 높이는 상하방향의 숄더와, 칼날부(C1b)의 높이에 대해 콘택트(15)의 변형량 및 탄성돌기(24)의 변형량을 고려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정된 탄성돌기(24)의 높이에 대해서, 제1경사면(24a)의 분리 프레임(21)에 대한 경사각도를 15°정도로 하고, 제2경사면(24b)의 분리 프레임(21)에 대한 경사각도를 60°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카드 수용슬롯(30)은 제1카드 수용슬롯(20)과 제2카드 수용슬롯(30)을 분리시키는 상기 분리 프레임(21)과, 제2하우징부(13)의 좌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좌측 가이드 아암부(32)와, 제2하우징(13) 및 좌측 가이드 아암부(32)의 하방을 덮도록 부착된 바텀쉘(31; bottom shell)과, 바텀쉘(31)의 우측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우측판부(31a)로 구성되어 있다. 좌측 가이드 아암부(32)는 제2카드(C2)의 좌측면의 삽발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고, 우측판부(31a)는 제2카드(C2)의 우측면의 삽발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제2카드(C2)가 제2카드 수용슬롯(30) 내에 삽입 및 제거되는 때에는 좌측 가이드 아암부(32)의 내측면이 제2카드(C2)의 좌측면을 안내하고, 우측판부(31a)의 내측면이 제2카드(C2)의 우측면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바텀쉘(31)은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바텀쉘(31)에는 이 바텀쉘(31)을 회로기판(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1c)가 설치된다.
또한, 제2카드 수용슬롯(30)의 좌측 가이드 아암부(32)의 좌측외부에는 제2 카드 배출수단(50)이 설치된다. 제2카드 배출수단(50)은 제2하우징부(13)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회동아암(51)과, 좌측 가이드 아암부(32)의 측면을 따라서 카드 삽입방향 및 카드 배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압바아(52)와, 압압바아(52)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제2카드(C2)의 배출시에 회동아암(51)을 압압해서 회동시키는 압압 플레이트(54)을 구비하고 있다. 회동아암(51)은 회동에 의해 삽입된 제2카드(C2)를 카드 제거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압바아(52)에는 압압버튼(53)이 설치된다.
다음에, 분리 프레임(21)에 설치된 탄성돌기(24)의 작용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카드 수용슬롯(20)에 제1카드(C1)이 삽입된 때에는 제1카드(C1)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칼날부(C1b)가 탄성돌기(24)의 제1경사면(24a)에 직접 접촉하고, 제1경사면(24a)을 따라서 탄성돌기(24)를 누르면서 전진하여, 탄성돌기(24)를 타고 넘는다. 칼날부(C1b)가 탄성돌기(24)를 타고넘으면, 제1카드(C1)의 삽입이 완료하고, 탄성돌기(24)가 원래 위치로 복원한다. 탄성돌기(24)가 탄성변형을 하므로, 제1카드(C1)의 삽입에 요하는 힘을 작게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돌기(24)의 제1경사면(24a)은 분리 프레임(21)에서 카드 삽입방향으로 나아가 완만하게 경사져 입상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1카드(C1)의 삽입에 요하는 힘을 보다 한층 작게할 수 있다. 한편, 제1카드(C1)의 삽입이 완료하는 때에는 복수의 제1콘택트(15)의 탄성접촉부(15a)가 제1카드(C1)의 카드 접점에 탄성접촉하여, 카드 접점과 제1콘택트(15)의 전기적 접속이 달성된다.
그리고, 제1카드(C1)를 제1카드 수용슬롯(20)으로부터 제거하는 때에는, 제1카드(C1)가 제거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제1카드(C1)의 칼날부(C1b)가 탄성돌기(24)의 제2경사면(24b)에 직접 접촉해서, 제2경사면(24b)을 따라 탄성돌기(24)를 누르면서 후퇴하여, 탄성돌기(24)를 타고넘는다. 칼날부(C1b)가 탄성돌기(24)를 타고 넘으면, 제1카드(C1)의 배출이 완료한다. 제1카드(C1)을 제1카드 수용슬롯(20)으로부터 제거하는 때에는 칼날부(C1b)가 탄성돌기(24)를 타고 넘을 필요가 있으므로, 제1카드(C1)의 제거에 요하는 힘을 확실히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카드(C1)의 지지력을 충분하게 하여, 카드 커넥터(1)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예기치 않게 제1카드(C1)이 카드 커넥터(1)로부터 탈락해 버릴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제1카드(C1)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1콘택트(15)의 탄성력 이외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카드 커넥터(1)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제1콘택트(15)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제1콘택트(15)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다수회의 삽발에 의해서 제1카드(C1)에 설치된 카드 접점도 도금이 지워지는 등의 손상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제1카드(C1)의 칼날부(C1b)가 탄성돌기(24)를 타고 넘을 필요가 있도록 하고, 이것만으로 제1카드(C1)의 지지력을 충분히 높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카드(C1)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탄성돌기(24) 이외에 예를 들어, 제1카드(C1)의 측면에 탄성접촉하는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탄성돌기(24)의 제2경사면(24b)은 분리 프레임(21)으로부터 카드 제 거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제1경사면(24a)에 대해 급하게 경사져 입상하므로, 제1카드(C1)의 칼날부(C1b)가 탄성돌기(24)를 타고 넘을 때보다 한층 큰 힘을 요하고, 제1카드(C1)의 지지력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카드(C1)의 삽발력의 조정은 탄성돌기(24)의 갯수나 탄성돌기(24)의 폭(24c)을 변경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탄성돌기(24)를 제1카드 수용슬롯(20)의 저부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자유도가 있는 것이며, 탄성돌기(24)를 제1카드 수용슬롯(20)의 측면에 배치한 경우에는 이러한 자유도가 없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설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 커넥터(1)는 제1카드 수용슬롯(20)을 제2카드 수용슬롯(30)의 하측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고, 제2카드 수용슬롯(30)을 설치하지 않고 제1카드 수용슬롯(20) 단독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제1카드 수용슬롯(20)을 상하 2단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2카드 수용슬롯(30)의 저부를 구성하는 바텀 프레임(31)에, 제2카드 수용슬롯(30) 내에 제2카드(C2)가 삽입되는 때에 제2카드(C2)의 칼날부가 타고넘는 탄성돌기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탄성돌기(24)는 제1카드(C1)의 칼날부(C1b)가 타고넘는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것이라면, 분리 프레임(21)으로부터 카드 삽입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져 입상하는 제1경사면(24a)과, 분리 프레임(21)으로부터 카드 제거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급하게 경사져 입상하는 제2경사면(24b)을 갖는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 제1카드 수용슬롯(20)의 좌측 가이드 아암부(22)의 좌측외부에도, 제1카드 배출수단(40)을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1카드 배출수단(40)은 제1하우징부(12)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회동아암(41)과, 좌측 가이드 아암부(22)의 측면을 따라서 카드 삽입방향 및 카드 배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압바아(42)와, 압압바아(42)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제1카드(C1)의 배출시에 회동아암(41)을 눌러 회동시키는 압압 플레이트(44)를 구비하면 좋다. 회동아암(41)은 회동에 의해 삽입된 제1카드(C1)를 카드 제거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압압바아(42)에 압압버튼(43)을 설치한다. 또한, 제1카드 수용슬롯(20)에 제1카드(C1)를 뒤집어서 삽입하는 경우에는 탄성돌기(24)를 톱쉘(23)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따른 카드 커넥터에 의하면, 카드 수용슬롯의 저부에 카드 수용슬롯 내에 카드가 삽입된 때에 카드의 칼날부가 타고 넘어가는 탄성돌기를 설치하므로, 카드의 삽입 시에 탄성돌기가 탄성변형해서, 카드의 삽입에 요하는 힘을 작게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를 카드 수용슬롯으로부터 제거하는 때에는 카드의 칼날부가 탄성돌기를 타고 넘어갈 필요가 있으므로, 카드의 제거에 요하는 힘을 확실하게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드의 지지력을 충분하게 하고, 카드 커넥터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예기치 못하게 카드가 카드 커넥 터로부터 탈락해버릴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카드를 지지하기 때문에, 콘택트의 탄성력 이외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카드 커넥터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콘택트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콘택트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다수회의 삽발에 의해서 카드에 형성된 카드 접점도 도금이 지워지는 등,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카드에 칼날부를 설치하고, 카드 수용슬롯의 저부에 탄성돌기를 설치함으로써, 카드의 삽입에 요하는 힘을 작게하면서 카드의 제거에 요하는 힘을 크게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카드 커넥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2에 따른 카드 커넥터에 의하면,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카드 수용슬롯의 저부로부터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져서 입상하는 제1경사면을 가지므로, 카드의 삽입에 요하는 힘을 보다 한층 작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카드 수용슬롯의 저부로부터 상기 카드의 제거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에 비해 급하게 경사져서 입상하는 제2경사면을 가지므로, 카드의 지지력을 보다 한층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

  1. 대략 평판상으로 형성된 카드 본체의 선단에 상기 카드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칼날부를 갖는 카드가 삽입되면서 제거되는 카드 수용슬롯과, 삽입된 상기 카드의 카드접점에 접촉하는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부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 수용슬롯의 저부에 상기 카드 수용슬롯 내에 상기 카드가 삽입되는 때에 상기 카드의 칼날부가 타고넘는 탄성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카드 수용슬롯의 저부로부터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완만하게 경사져 입상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카드 수용슬롯의 저부로부터 상기 카드의 제거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에 비해서 급하게 경사져 입상하는 제2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KR1020060000083A 2005-01-07 2006-01-02 카드 커넥터 KR200600813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2745 2005-01-07
JP2005002745A JP2006190612A (ja) 2005-01-07 2005-01-07 カード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343A true KR20060081343A (ko) 2006-07-12

Family

ID=3629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083A KR20060081343A (ko) 2005-01-07 2006-01-02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47055B2 (ko)
EP (1) EP1679769B1 (ko)
JP (1) JP2006190612A (ko)
KR (1) KR20060081343A (ko)
CN (1) CN1808778A (ko)
DE (1) DE602006001752D1 (ko)
ES (1) ES2308645T3 (ko)
TW (1) TWM29536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06727U (en) * 2006-06-26 2007-02-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JP4510102B2 (ja) * 2008-01-30 2010-07-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
CN201430256Y (zh) * 2009-04-29 2010-03-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堆叠式电连接器
TWI614944B (zh) * 2013-01-17 2018-02-11 星電股份有限公司 基板邊緣連接器
CN106299851A (zh) * 2016-09-07 2017-01-04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托盘式卡座组件及插卡设备
JP7303478B1 (ja) * 2023-02-09 2023-07-05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スマートカードガイド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8804A (en) * 1987-03-27 1989-06-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chanism for connecting IC card and external device
FR2783622B1 (fr) * 1998-09-22 2000-10-27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electrique pour le raccordement simultane de deux cartes a memoire electronique
JP4213296B2 (ja) 1999-06-08 2009-01-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挿入力・高抜去力コネクタ
JP3299945B2 (ja) * 1999-11-05 2002-07-0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513177B2 (ja) * 2000-06-30 2010-07-2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4139555B2 (ja) 2000-07-31 2008-08-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31608B2 (ja) * 2001-03-06 2003-07-2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2003045560A (ja) * 2001-08-02 2003-02-14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61121B2 (ja) * 2002-01-18 2006-12-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FR2844642B1 (fr) * 2002-09-12 2004-12-24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electrique pour 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a grande capacite de stockage
ATE537585T1 (de) * 2003-02-19 2011-12-15 Hosiden Corp Kartenverbinder
US20040192114A1 (en) * 2003-03-27 2004-09-30 Han-Sen Liou Multi-signal transferred connector
JP4144404B2 (ja) * 2003-04-01 2008-09-0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ード用コネクタ
US6932652B1 (en) * 2004-05-10 2005-08-23 Kingconn Technology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295365U (en) 2006-08-01
US20060154528A1 (en) 2006-07-13
ES2308645T3 (es) 2008-12-01
US7247055B2 (en) 2007-07-24
EP1679769B1 (en) 2008-07-16
CN1808778A (zh) 2006-07-26
JP2006190612A (ja) 2006-07-20
DE602006001752D1 (de) 2008-08-28
EP1679769A1 (en)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863B2 (en) DIMM socket positive lock extractor
US7335039B2 (en) Memory card connector
EP0559017B1 (en) Edge card connector with latch/eject mechanism
EP0923796B1 (en) Miniature card docking connector
US5803761A (en) Edge connector
US20060185159A1 (en) Memory card insertion tool
CN100459307C (zh) 拆卸操作容易的连接器装置
CN101911091A (zh) 用于接收多个卡的卡连接器
KR20060081343A (ko) 카드 커넥터
CN101490907B (zh) 电缆连接器
JP2017107711A (ja) コネクタ
JP2006236962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6981885B2 (en) Secure digital memory card socket
US673665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ention mechanism
US7247054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KR101004474B1 (ko) 커넥터용 접속단자
US5860825A (en) Socket for printed circuit board
US20080020622A1 (en) Electrical connector
EP3109950B1 (en) Connector
US677666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ention and guiding means
JP2008277293A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EP2053698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and card insertion method thereof
JP2000100501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WO2003055009A1 (en) Secure digital memory card socket
JP3144006U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