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889A - 번-인 효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번-인 효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889A
KR20060080889A KR1020060001306A KR20060001306A KR20060080889A KR 20060080889 A KR20060080889 A KR 20060080889A KR 1020060001306 A KR1020060001306 A KR 1020060001306A KR 20060001306 A KR20060001306 A KR 20060001306A KR 20060080889 A KR20060080889 A KR 20060080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pixel shift
degree
shift frequency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779B1 (ko
Inventor
춘 멩 찬
힌 순 추
김 시옹 탄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6008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 G09G1/1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 G09G1/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the pattern of rectangular co-ordinates extending over the whole area of the screen, i.e. television type ras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랜 시간 기간 동안 정지화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번-인(burn-in) 효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화상을 픽셀 시프트 주파수에서 하나의 패턴만큼 시프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가 적어도 하나의 화상 그룹에 대해서 상기 그룹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45)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번-인 효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DISPLAYS FROM BURN-IN EFFECT}
도 1은 전체 화상이 대각선 아래쪽으로 또는 대각선 위쪽으로 시프트되는 픽셀 시프트 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픽셀 시프트 패턴에 따라 픽셀 라인의 시프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움직임 데이터 평균의 함수로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상의 원위치 11: 화상의 대각선 아래쪽
12: 화상의 대각선 위쪽 20: 회색 픽셀(원위치의 화상)
21: 검은색 픽셀(대각선 위쪽 화상) 24: 흰색 픽셀(대각선 아래쪽 화상)
본 발명은 오랜 시간 기간 동안 동화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번-인(burn-in) 효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번-인 문제는 단기간 번-인 및 장기간 번-인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에서, 두 종류의 고스트 영상이 존재한다:
- "단기간 번-인": 고스트 영상(원래 밝기의 3 내지 5%)은 주로 단시간(수 분 내지 수 시간) 이후 사라지는 포지티브(positive) 영상(즉, "버닝" 셀이 다른 셀보다 더 밝음)이다. 그 원인이 아직은 아주 분명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효과는 셀이 ON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동안에 누적되어진 어떤 종류의 전하에 관련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후에, 이들 전하는, 프라이밍(priming)이 프레임 기간에 실행될지라도, 셀에 의해 방출된 휘도를 증가시킨다.
- "장기간 번-인": 안정적인 잔상(stable sticking image)이 플라즈마 셀의 일종의 에이징(aging)에 관련된 네거티브(negative) 영상(즉, "버닝" 셀이 다른 셀보다 더 어두움)이다. 누적된 진폭은 휘도의 50% 손실에 이를 수 있다. 장기간 번-인이 좀더 중요한 문제이며, 이는 이러한 효과는 취소할 수 없으며, 50% 휘도 손실에 이를 수 있다. PDP 수명의 시작 시에, 에이징 프로세스는 상당히 강하며, 특히 정지 화상을 사용하는 전문적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장애 고스트 영상을 신속하게 생성하게 한다. 후에, 이러한 프로세스는 감소한다.
특히, 개인용 컴퓨터(PC) 모니터용의 음극선관(CRT) 기술의 경우, 이러한 효과는 실제적으로 문제가 되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최근에 이들 모니터는 스크린의 강력한 마킹(marking)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 세이버를 배치한다. 장기간 번-인 보호를 위한 한 가지 접근법으로 전체 PDP 패널을 동일한 방식으로 버닝하기 위해 정지 화상을 반전시키는 것이 있다. 이것은 화상 콘텐츠를 알아야 하며, 이러한 방법은 패널의 전력 소모에 의해 상당히 제한된다. 또 다른 접근법으로 전문적인 PDP 상의 화상 위치에 일종의 지터(a kind of jittering)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화상은 모든 방향에서 한 비트로 정기적으로 변환된다. 요즘에,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조사에 의해 한정된 특정한 방식(이후 패턴으로 한정됨)으로 화상을 시프트함으로써 번-인 효과로부터 흔히 보호된다. 번-인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알려진 해법으로는 화상을 끊임없이 시프트하는 것이 있다(예컨대, 왼쪽 4개 픽셀, 위쪽 4개 픽셀, 오른쪽 4개 픽셀, 아래쪽 4개 픽셀 등등). 하나의 단점으로는, 이러한 화상 시프트를 사용자가 볼 수 있고, 그에 따라 성가실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번-인 보호 시프트로 인한 시각적인 자극(visual irritation)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을 픽셀 시프트 주파수에서 하나의 패턴만큼 시프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그룹에 대해서, 이 그룹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변화한다.
유리하게, 픽셀 시프트 주파수 값은 상기 움직임 정도에 반비례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
-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각 움직임 정도에 관련시키는 단계와;
- 적어도 하나의 화상 그룹에 대해 움직임 정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 계산된 움직임 정도에 관련된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
- K개의 움직임 범위를 한정하는 단계(40)와;
-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각 움직임 범위에 관련시키는 단계(40)와;
- 적어도 하나의 화상 그룹에 대해 움직임 정도를 계산하는 단계(41)와;
- 계산된 움직임 정도를 포함하는 움직임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43)와;
-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상기 선택된 움직임 범위에 관련된 픽셀 시프트 주파수로 변화시키는 단계(45)를 포함한다.
우선적으로,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적어도 T개의 연속적으로 계산된 움직임 정도가 동일한 움직임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만 변화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움직임 정도는 다음의 단계:
- m개의 화상에 관련된 n개의 움직임 데이터 샘플을 모으는 단계(m<=n)와;
- 상기 m개의 화상에 대해 움직임 데이터 평균을 구하기 위해 상기 n개의 샘플 평균을 구하는 단계에 의해 계산된다.
유리하게, 픽셀 시프트 패턴은 전체 화상의 p개의 픽셀을 대각선 아래쪽으로 최대 Q개의 픽셀까지 시프트시키고, 그런 다음 이것을 p개의 픽셀만큼 위쪽으로 또는 그 반대쪽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이며, 여기서, p>=1이고 Q는 p의 배수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움직임 정도를 계산하기 위한 움직임 처리 수단과, 화상을 픽셀 시프트 주파수에서 하나의 패턴만큼 시프트시키기 위한 이미지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그룹에 대해 이 그룹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변화된다.
우선적으로, 청구항 8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는 룩-업 표가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움직임 정도에 관련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일부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통해 드러날 것이며, 이러한 설명은 도면과 연계하여 이뤄질 것이다.
현재의 번-인(burn-in) 보호 디바이스에서, 픽셀 시프트는 정지화상 및 동화상 모두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즉, 시프트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상 콘텐츠에 상관없이 정해진 시간 간격 이후에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화상 콘텐츠에 의존적이게 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 이 방법은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현재 화상의 움직임 정도에 의존적이게 한다. 이러한 특정한 환경에서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픽셀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한 패턴에서 얼마나 빈번하게 시프트하는지를 의미한다. 높은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픽셀 시프트 동작을 반복하는 시간이 매우 짧다는 점을 의미하는 반면, 낮은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픽셀 시프트 동작을 반복하는 시간이 매우 길다는 점을 의미한다. 비디오 신호 처리 전용인 최근의 집적회로(IC)는 움직임 데이터(예컨대, 움직임 보상 정보)를 제공하는 움직임 검출 블록을 흔히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예컨대 디지털 비디오 처리 IC(좀더 상세하게는 IC의 움직임 검출 블록)에 의해 제공된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 화상 내의 움직임 정도를 검출하고, 시프트 패턴 주파수를 움직임 정도에 따라 적응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움직임 검출 블록은 각 화상에 대해 움직임 데이터(이후 MDx로 지칭됨)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 데이터는 (픽셀이나 블록 레벨에서) 화상의 일부에 관련되거나, 전체 화상에 관련된다(예컨대, 이러한 화상의 개별 픽셀 움직임 벡터를 모으고 처리하는 결과). 이들 움직임 데이터는 레지스터 판독을 통해 이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정한 픽셀 시프트 주파수에서 화상 세트에 걸쳐서 정해진 패턴을 인가하는 대신에, 이 패턴은 화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가변 주파수로 인가된다. 만약 화상에 높은 움직임이 있다면, 어떠한 추가적인 시프트도 필요치 않다. 단지 약간의 움직임만 있거나 어떠한 움직임도 없는 경우에, 시프트 동작은 더 높은 주파수에서 실행된다. 이것은 특히 긴 시간 동안에 전혀 움직임이 없는 일련의 화상(예컨대, 사용자가 DVD로부터 재생을 일시정지하였거나, 프로그램이 정지하였고 단지 테스트 패턴이 방송중이기 때문에)에 특히 적절하다.
도 1은 시프트 패턴의 예를 도시한다. 화상의 원위치는 실선(10)으로 표시되어 있는 반면, 시프트된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화상의 원위치에서부터, 화상은 각 방향으로 대각선 아래쪽{화살표(11)}이나 대각선 위쪽{화살표(12)}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의 원위치(10)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는 픽셀 시프트의 최대수에 대한 모든 방향에서의 제한치를 정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도 1에서, 제한치로 시프트된 위치가 13 및 14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두 제한치의 위 치는 대각선 아래쪽 위치에서 5개의 픽셀 시프트와 대각선 위쪽 위치에서 5개의 픽셀 시프트 각각으로 표시된다. 허용될 수 있는 픽셀 시프트의 최대 수의 값은 응용을 기초로 해서 적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픽셀 시프트 패턴은 다음과 같이 한정된다: 전체 화상의 한 픽셀을 원위치로부터 최대 5개의 픽셀만큼 떨어져 있도록 대각선 아래쪽으로 시프트시키고{위치(13)}, 그런 다음 이것을 원위치로부터 최대 5개의 픽셀만큼 떨어져 있도록 위쪽으로 시프트시킴{위치(14)}.
도 2는 동일한 시프트 패턴 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원은 픽셀을 나타낸다. 회색 픽셀(20)은 원위치에서의 화상에 속한다. 검은색 픽셀(21, 22)은 원위치로부터 1개 또는 2개의 픽셀만큼 각각 대각선 위쪽으로 시프트된 화상에 속한다. 백색 픽셀(24 및 25)은 원위치로부터 1개 또는 2개의 픽셀만큼 각각 대각선 아래쪽으로 시프트된 화상에 속한다. T1, T2, T3 및 T4는 픽셀 시프트 사이의 시간을 나타낸다. 종래의 번-인 보호 디바이스에서, 픽셀 시프트 사이의 시간은 일정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이것은 T1=T2=T3=T4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값의 T1, T2, T3 및 T4를 갖게 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값은 화상 움직임 콘텐츠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 따라, 움직임 정도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움직임 검출 블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움직임 검출 블록은 이후 움직임 데이터 평균(MDave)을 제공하기 위해 움직임 데이터(MDx)의 n개의 샘플(n>=1)에 걸친 평균을 구한다. 한편, 만약 움직임 데이터(MDx)가 전체 화상에 관련된다면, 하나의 샘플은 하나의 화상을 지칭한다. 이 경우, MDave는 반드시 연속적인 화상일 필요는 없는 n 개의 화상에 걸친 MDx의 평균을 구함으로써 달성된다. 다른 한편, 만약 움직임 데이터(MDx)가 화상의 일부분에 관련된다면, 여러 샘플은 동일한 화상을 지칭한다. 이 경우, MDave는 m(여기서, m<=n)개의 화상에 걸친 MDx의 평균을 구함으로써 얻어진다. 움직임 데이터 평균(MDave)은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움직임 검출 블록외의 다른 블록에서 계산될 수 도 있다. 그에 따라, 이 블록은 움직임 검출 블록으로부터 움직임 데이터(MDx)의 n개의 샘플을 모은다. 이 특정한 경우, 시스템은 움직임 검출 블록에 의해 제공된 움직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판독하고 있다. 만약 움직임 검출 블록이 화상 당 하나의 MDx 값을 출력한다면(즉, 전반적인 움직임 데이터), MDx 값이 판독되는 기간은 프레임 지속기간의 정수배(즉, 50Hz 시스템의 경우 20ms의 배수이고, 60Hz 시스템의 경우 16.67ms의 배수)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평균값(MDave)을 계산하는데 사용된 샘플의 수(n)는 가변적이며, 응용에 따라 다르다. 5개의 샘플 수는 TV용 PDP에 작 적응될 것이다. 샘플의 크기(n)가 더 클수록, 움직임 데이터 평균값은 더 정교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너무 크지 않아야 하며, 만약 그렇지 않고 너무 크다면, 그 의미를 상실한다. 이 움직임 데이터 평균은 움직임 콘텐츠, 즉 현재 화상의 움직임 정도를 대략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이러한 움직임 데이터 평균은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각 움직임 정도, 즉 움직임 데이터 평균값에 관련된다. 그에 따라, 새로운 움직임 데이터 평균이 계산될 때마다, 새로운 픽셀 시프트 주파수가 선택된다. 선택된 픽셀 시프트 주 파수는 움직임 데이터 평균에 반비례한다.
우선적으로, 수 개의 움직임 범위가 한정된다. 각 범위는 움직임 콘텐츠 유형의 특징을 규정하며(이후 움직임 범위 정도로 지칭됨), 그 상한 및 하한으로 한정된다.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픽셀 시프트 주파수 값이 움직임 범위 정도에 반비례하도록 각 범위에 관련된다. 룩-업 표는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움직임 범위에 관련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4개의 움직임 범위(30, 31, 32 및 33)가 한정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각 범위는 그 한계: 범위(30)의 경우 x0 및 x1, 범위(31)의 경우 x1 및 x2, 범위(32)의 경우 x2 및 x3, 및 범위(33)의 경우 x3과 무한대로 한정된다. 4개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그 특징이 규정된다:
- 범위(30): 만약 x0=0과 x1(x1 포함) 사이의 MDave가 포함된다면, 화상은 낮은 움직임 화상으로 분류되고,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f1으로 세팅된다.
- 범위(31): 만약 x1과 x2(x1 배제 및 x2 포함) 사이의 MDave가 포함된다면, 화상은 중간 움직임 화상으로 분류되고,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f2로 세팅된다.
- 범위(32): 만약 x2와 x3(x2 배제 및 x3 포함) 사이의 MDave가 포함된다면, 화상은 높은 움직임 화상으로 분류되고,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f3으로 세팅된다.
- 범위(33): 만약 MDave가 x3보다 완전히 더 높다면, 화상은 매우 큰 움직임 화상으로 분류되고,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0으로 세팅된다.
한정된 움직임 범위의 수는 응용에 따라 다르다. 범위의 수가 더 높을수록, 픽셀 시프트 주파수의 차이는 더 미세하게 된다. 4개의 움직임 범위의 수는 TV용 PDP에 잘 적응될 것이다. 동일한 응용에 대해, 1/f1은 30s로 세팅될 수 있고, 1/f2는 60s로 세팅될 수 있고, 1/f3은 90s로 세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주요한 단계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40)는 K개의 움직임 범위{MCi(i<=K)}를 한정하고,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앞서 한정된 각 범위에 관련시키는 것이다.
제 2 단계(41)는 예컨대 이미 비디오 처리 IC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움직임 검출 블록에 의해 계산된 움직임 데이터(MDx)의 n개의 샘플의 평균을 구함으로써 움직임 데이터 평균(MDave)을 추정하는 것이다.
단계(42)에서, 새로운 MDave 값은 현재의 픽셀 시프트 주파수에 관련된 움직임 범위의 한계(즉, xi)에 비교된다. 만약 이들 두 한계 사이의 MDave가 포함된다면{경우(420)},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그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픽셀 시프트 주파수가 변경된다{경우(421)}. 이러한 비교 단계는 필요치 않으며, 회피될 수 있다.
단계(43)에서, MDave는 대응하는 움직임 범위(MCi)를 선택하기 위해 범위 한계와 추가로 비교된다.
유리하게, 단계(44)에서,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너무 빈번하게 변경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카운터가 사용된다. 이것은 도 3에서 한정된 것과 동일한 움직임 범위에 대응하는 연속적인 MDave 값의 수를 등록한다. 만약 이 카운터가 임계값(T)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변경되지 않는다. 만약 이 카운터가 임계값(T)을 초과한다면,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단계(45)에서 단계(43)에서 선택된 움직임 범위에 관련된 픽셀 시프트 주파수에 따라 변경된다. 카운터는, 새로운 움직임 데이터 평균이 바로 전에 추정된 움직임 데이터 평균의 움직임 범위와는 다른 움직임 범위에 대응할 때마다, 리셋된다. 예컨대, T=4라면, 그리하여, 시간(n)에서 선택된 움직임 범위는 움직임 범위(30)에 대응하고(즉, 현재의 픽셀 시프트 주파수가 f1이라면), 시간(n+1)에 계산된 MDave 값이 움직임 범위(31)에 대응하고, 시간(n+2)에 계산된 MDave 값이 움직임 범위(31)에 대응하지만, 시간(n+3)에 계산된 MDave 값이 움직임 범위(32)에 대응한다면, 카운터는 리셋되고,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f2로 변경되지 않는다(즉, 이것은 f1을 유지한다). 다른 한편, 만약 시간{(n+1), (n+2), (n+3) 및 (n+4)}에 계산된 MDave 값이 움직임 범위(31)에 대응하면,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f1에서 f2로 변경되며, 이는 4 개의 연속적인 MDave 값이 동일한 움직임 범위, 즉 움직임 범위(31)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임계값 4는 TV용 PDP에 잘 적응될 것이다.
이러한 해법은 정지 화상으로 인해 번-인 효과를 겪는 임의의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확장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CRT 디바이스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4 개의 움직임 범위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응용에 의해 필요할 경우에는 임의의 수의 범위로 확장될 수 있다. 시프트 패턴 또한 응용에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각선 시프트 패턴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임의 종류의 패턴(예컨대, 왼쪽 4 개의 픽셀, 위쪽 4 개의 픽셀, 오른쪽 4개의 픽셀, 아래쪽 4개의 픽셀)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랜 시간 기간 동안 동화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번-인 효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화상을 픽셀 시프트 주파수에서 하나의 패턴(11, 12)만큼 시프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그룹에 대해 상기 그룹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변경되는 것(45)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시프트 주파수 값은 상기 움직임 정도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
    -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각 움직임 정도에 관련시키는 단계와;
    - 적어도 하나의 화상 그룹에 대해 움직임 정도를 계산하는 단계(41)와;
    - 상기 계산된 움직임 정도에 관련된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
    - K개의 움직임 범위를 한정하는 단계(40)와;
    -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각 움직임 범위에 관련시키는 단계(40)와;
    - 적어도 하나의 영상 그룹에 대해 움직임 정도를 계산하는 단계(41)와;
    - 상기 계산된 움직임 정도를 포함하는 움직임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43)와;
    -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상기 선택된 움직임 범위에 관련된 픽셀 시프트 주파수로 변화시키는 단계(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픽셀 시프트 주파수는, 적어도 T개의 연속해서 계산된 움직임 정도가 동일한 움직임 범위에 속하는 경우(44)에만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정도는 다음의 단계:
    - m개의 화상에 관련된 n개의 움직임 데이터 샘플을 모으는 단계(m<=n)와;
    - 상기 m개의 화상에 대해 움직임 데이터 평균을 구하기 위해 상기 n개의 샘플 평균을 구하는 단계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셀 시프트 패턴은 전체 화상의 p개의 픽셀을 최대 Q개의 픽셀까지 대각선 아래쪽으로 시프트시킨 다음에, 이 p개의 픽셀을 위쪽 또는 반대쪽으로 시프트시키며, 여기서, p>=1이고 Q는 p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8.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움직임 정도를 계산하기 위한 움직임 처리 수단과, 화상을 픽셀 시프트 주파수에서 하나의 패턴만큼 시프트시키기 위한 이미지 처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그룹에 대해 상기 그룹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룩-업 표는 픽셀 시프트 주파수를 움직임 정도에 관련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20060001306A 2005-01-06 2006-01-05 번-인 효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182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290039A EP1679683A1 (en) 2005-01-06 2005-01-06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display from burn-in effect
EP05290039.6 2005-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889A true KR20060080889A (ko) 2006-07-11
KR101182779B1 KR101182779B1 (ko) 2012-09-14

Family

ID=3494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306A KR101182779B1 (ko) 2005-01-06 2006-01-05 번-인 효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1679683A1 (ko)
JP (1) JP5346426B2 (ko)
KR (1) KR101182779B1 (ko)
CN (1) CN1801269B (ko)
MX (1) MXPA06000285A (ko)
TW (1) TWI4009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4189B2 (en) * 2006-01-06 2012-06-0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displays from burn-in effect
JP5185202B2 (ja) 2009-06-03 2013-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TWI563495B (en) * 2014-11-05 2016-12-21 Jadard Technology Inc Display device and image segment adjustment method thereof
KR102355516B1 (ko) * 2015-04-30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320207B1 (ko) * 2015-05-06 2021-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387390B1 (ko) * 2015-05-22 2022-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549919B1 (ko) * 2016-07-08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1981269B1 (ko) 2017-08-29 2019-05-22 김지용 디스플레이에서 번-인 감소 방법
KR20220038198A (ko) 2020-09-18 2022-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20220085065A (ko) 2020-12-14 2022-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20094263A (ko) 2020-12-28 2022-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형 표시 장치 및 영상 보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8290B1 (en) * 1992-05-06 1998-08-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tion estimation
JPH0846969A (ja) * 1994-07-26 1996-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信号符号化方式
JP3331285B2 (ja) * 1995-11-07 2002-10-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情報変換装置
JPH1020838A (ja) * 1996-07-01 1998-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の蛍光面保護回路
JPH1124041A (ja) * 1997-06-30 1999-01-29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0227775A (ja) * 1999-02-08 2000-08-15 Nec Corp 表示装置の焼付防止方法及び表示装置の焼付防止装置
JP2001117531A (ja) * 1999-10-18 2001-04-27 Nec Corp 画素発光頻度の均一化機能付き表示装置
US6396520B1 (en) * 2000-01-05 2002-05-28 Apple Computer, Inc. Method of transition between window states
EP1271459A1 (en) * 2001-06-27 2003-01-0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device for compensating burning effects on display panel
JP2003131647A (ja) * 2001-10-25 2003-05-09 Sharp Corp 画像制御装置
JP3995505B2 (ja) * 2002-03-25 2007-10-24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20040037369A (ko) * 2002-10-28 200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Pdp에서 픽셀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5936A (en) 2006-07-16
EP1679682B1 (en) 2019-02-20
MXPA06000285A (es) 2006-07-10
JP5346426B2 (ja) 2013-11-20
EP1679683A1 (en) 2006-07-12
EP1679682A1 (en) 2006-07-12
JP2006189881A (ja) 2006-07-20
TWI400941B (zh) 2013-07-01
CN1801269B (zh) 2010-04-21
CN1801269A (zh) 2006-07-12
KR101182779B1 (ko) 201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779B1 (ko) 번-인 효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5632447B (zh) 一种液晶显示屏的显示亮度调整方法及装置
CN101059951B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
CN107610060B (zh) 一种oled图像灼烧改善方法及装置
EP2094007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JP2008166932A (ja)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CN1520587B (zh) 对视频图像进行处理的设备及其方法
EP1811454A2 (en) Edge area determining apparatus and edge area determining method
CN112262427B (zh) 拖影评价、改善方法和电子设备
US81941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displays from burn-in effect
CN107547883B (zh) 影像处理装置、显示装置以及影像处理方法
US20120257113A1 (en) Filter for Video Stream
CN111429840A (zh) 一种显示设备及其亮度的调整方法
KR20210001887A (ko) 표시 제어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CN102054423B (zh) 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981269B1 (ko) 디스플레이에서 번-인 감소 방법
CN101651813A (zh) 驱动显示装置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显示装置驱动电路
US8520151B2 (en) Reduction of phosphor lag artifacts on display devices
JP2019070850A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179649B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电光装置和电子设备
JP2007034222A (ja) 映像表示制御装置、映像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50248557A1 (en) Picture signal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receiver, and display method
JP2008216648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3841105B1 (ja) 動画ボケ改善のための信号処理
CN103369281A (zh) 图像处理单元、图像处理方法、显示器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