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141A - 상품제공방법, 상품제공시스템, 서버장치, 컨텐츠제공시스템, 컨텐츠 대여시스템, 컨텐츠 실행장치, 컨텐츠해제장치, 컨텐츠 제공방법, 컨텐츠 실행방법 및 컨텐츠대여방법 - Google Patents

상품제공방법, 상품제공시스템, 서버장치, 컨텐츠제공시스템, 컨텐츠 대여시스템, 컨텐츠 실행장치, 컨텐츠해제장치, 컨텐츠 제공방법, 컨텐츠 실행방법 및 컨텐츠대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141A
KR20060080141A KR1020060042914A KR20060042914A KR20060080141A KR 20060080141 A KR20060080141 A KR 20060080141A KR 1020060042914 A KR1020060042914 A KR 1020060042914A KR 20060042914 A KR20060042914 A KR 20060042914A KR 20060080141 A KR20060080141 A KR 20060080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lease key
storage medium
key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네아키 히라야마
사토시 사사키
와타루 이토
Original Assignee
리코 엘레멕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코 엘레멕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코 엘레멕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인터넷을 사용한 상품제공에 관해 이용을 제한받고 있는 상품을 기록한 CD를 배포해서, 그 이용제한을 인터넷을 통해 해제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품의 판매루트를 확대해서 상품의 이용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러 종류의 소프트웨어 상품의 체험판과 함께 이용제한된 제품판을 기록한 ROM영역(12)과 기록이 가능한 RW영역(13)을 형성한 CD(11)를 대량으로 준비해서 PC샵 이외에도 포함하는 가치점(300)(假置店)에 놓아서 그 소프트웨어 상품에 다소 흥미가 있는 사람에게 배포함으로써, 그 CD(11)를 드라이브 장치(32)에 세트한 PC (31)로부터 인터넷(100)을 통해서 서버장치(21)가 호출되었을 때, 그 서버장치(21)가 사용자 등록등을 조건으로 해제키를 PC(31)에 인도해서 CD(11)의 RW영역(13)에 기록시켜서 소프트웨어 상품의 제품판의 이용제한을 해제한다.
서버장치, 라이센스키 관리부.

Description

상품제공방법, 상품제공시스템, 서버장치, 컨텐츠 제공시스템, 컨텐츠 대여시스템, 컨텐츠 실행장치, 컨텐츠 해제장치, 컨텐츠 제공방법, 컨텐츠 실행방법 및 컨텐츠 대여방법{Commodity providing method, Commodity providing system, Server device, Contents providing system, Contents lending system, Contents executing device, Contents releasing device, Contents providing method, Contents executing method and Contents lending method}
도 1은 실시의 형태 1의 상품제공방법을 실행하는 서버장치를 포함하는 상품제공시스템의 개념 구성도.
도 2는 실시의 형태 1의 상품판매시스템의 요부인 컴팩트 디스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1의 상품판매시스템에 의한 상품제공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4는 실시의 형태 1의 상품판매시스템에 의한 상품제공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효과(상품제공방법)를 설명하는 개념 구성도.
도 6은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음폐화 프로그램, 음폐화 데이터의 복호화 처리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8은 유효화부에 의한 컨텐츠 유효화 처리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9는 실시의 형태 3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의 처리의 개요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실시의 형태 3의 컨텐츠 실행장치인 사용자 PC의 기능적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사용자 PC(컨텐츠 실행장치)에 의한 각장의 컨텐츠의 복호화(復互化)처리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12는 실시의 형태 4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의 처리의 개요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실시의 형태 3의 컨텐츠 실행장치인 서버 사용자 PC의 기능적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판매점, 가치점 또는 중고판매점의 서버의 사용자의 PC에 의한 각장의 컨텐츠의 복호화 처리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15는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실시되는 처리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16은 사용자 이용이력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실시의 형태 5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의 처리의 개요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18은 실시의 형태 5의 컨텐츠 실행장치인 사용자 PC의 기능적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사용자 PC의 라이센스키 관리부에 의한 컨텐츠의 라이센스 처리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20은 실시의 형태 6의 컨텐츠 대여시스템에서의 처리의 개요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21은 실시의 형태 6의 컨텐츠 해제장치의 기능적 블록도.
도 22는 실시의 형태 6의 컨텐츠 실행장치인 사용자 PC의 기능적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23은 랜덜점의 컨텐츠 해제장치에 의한 한정 해제키의 취득처리 및 HB-CD에의 기록처리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24는 실시의 형태 6의 사용자 PC에 의한 컨텐츠 실행처리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25는 실시의 형태 6의 변형양태의 컨텐츠 실행장치인 사용자 PC의 기능적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26은 실시의 형태 6의 변형양태의 사용자 PC에 의한 컨텐츠 실행처리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CD, 12 : ROM영역,
13 : RW영역, 21 : 서버장치,
22 :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 23 :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24 : 과금(課金)시스템, 31 : PC,
32 : 드라이브 장치, 100 : 인터넷,
200 : 상품제공회사, 300 : 가치점(假置店)
600 : 컨텐츠 실행장치,
601,1001,1301,2101,2501 : 기록부,
602,1002,1302,1802,2102,2202 : 복호화부(復호化部),
603,2206,2506 : 유효화부(有效化部),
604,2206,2506 : 라이센스키 관리부,
605,903,1207,1303,1803,2003 : HD-CD,
606 : HB-CD 인터페이스부,
610,1205 : HD,
611 : 복호화 필 프로그램,
612 : 복호화 필 데이터,
620 : RAM,
621 : 유효화 필 프로그램,
622 : 유효화 필 데이터,
901, 1201,1701 : 컨텐츠 제공서버,
902,1203,1204,1702,2002 : 사용자 PC,
1004,1304,1804,2104,2204 : 관리부,
1202 : 판매점, 가치점, 중고판매점의 서버,
1206 : 사용자 이용이력 데이터베이스,
2001 : 컨텐츠 해제장치, 2004 : 라이센스 서버,
2006 : 라이센스 이력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상품이나 컨텐츠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상품제공방법, 상품제공시스템, 서버장치, 컨텐츠 제공시스템, 컨텐츠 대여시스템, 컨텐츠 실행장치, 컨텐츠 해제장치, 컨텐츠 제공방법, 컨텐츠 실행방법 및 컨텐츠 대여방법에 관해 상세하게는 판매루트를 확대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퍼스널 컴퓨터(이하, 단지 PC라 함)등의 단말장치에서 이용하는 프로그램등의 소프트웨어 상품, 미리 CD(Compact Disc)-ROM(Read Only Memory)내에 기록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PC샵등의 특정한 샵에서 판매(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등의 상품은 체험판을 기록한 CD-ROM을 판매촉진을 위해 PC잡지등에 무료첨부하는 일이 있고, 이 소프트웨어 상품의 제품판은 그 체험판을 시도한 사용자가 다시 샵에 사러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소프트웨어 상품에 한하지 않고, 음악을 기록한 CD도 CD샵등의 특정한 판매점에서 마찬가지로 팔리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0-76115호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상품판매에서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상품을 구 입하고 싶다고 생각해도 일부러 익숙치 않은 PC샵에 가야 하며, PC에 능통하지 않은 사람은 가기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근년 보급하고 있는 인터넷을 통해서 소프트웨어 상품을 구입하는대도 대용량의 프로그램등의 경우에는 다대한 통신료나 통신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써, 잡지등에 첨부하는 CD-ROM에 제품판을 기록해 두고, 이용하는 경우에는 요금의 지불을 부탁하는데도 확실하게 회수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에서는 CD에는 판독만의 ROM영역과 기록판독 가능한 RW(Raed Winte)영역을 형성해서 HB(Hybrid)화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고(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상품의 체험판과 제품판을 기록한 HB-CD를 무료 또는 값싸게 배포하고, 제품판의 이용을 제한하면서 그 제품판의 요금을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을 때에 그 이용제한을 해제할 수가 있으면 최적하다.
이 HB-CD에서는 다시 그 소프트웨어를 PC에 인스톨하지 않고,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PC를 불량하게 해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는 이점을 높일 수도 있다.
또, 음악 CD등에서도 완전판(제품판)과 함께 시청판을 넣어 마찬가지로 배포할 수가 있으면 판매루트의 확대에 연결할 수가 있다.
또, 게임프로그램이나 음악 영상데이터등의 컨텐츠의 부정이용이나 렌털에서의 부정이용등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컨텐츠의 중고판매의 촉진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 HB-CD와 같은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를 사용한 경우, 해제키의 개서나 컨텐츠의 개서등이 컨텐츠를 실행하는 사용자측의 장치에서 가능하므로, 부정이용 방지나 중고판매의 촉진을 도모하기 위한 기구를 내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용이 제한되어 있는 상품을 기록한 CD를 배포해서 그 이용제한을 해제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품의 판매루트를 확대해서 상품의 이용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컨텐츠의 부정이용의 방지 및 중고판매의 촉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발명은, 해제키를 기록함으로써 이용제한을 해제가능한 상품을 기록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를 배포하는 공정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를 상기 해제키를 기록가능한 드라이브 장치를 접속하고 있는 단말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상품의 제공을 관리하는 서버장치를 호출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장치가 상기 해제키를 요구받았을 때에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해제키를 양도하는 공정과, 상기 단말장치에 양수받은 상기 해제키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제공방법이다.
또, 제5 발명은, 해제키를 기록함으로써 이용제한을 해제가능한 상품을 기록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상기 해제키를 기록가능한 드 라이브 장치를 접속한 단말장치와, 상기 해제키를 보존해서 상기 상품의 제공을 관리하는 서버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호출되어 요구되었을 때에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해제키를 받아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제공시스템이다.
또, 제6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호출가능하게 접속되어 해제키를 기록함으로써 이용제한을 해제가능하게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상품을 관리하는 서버장치로써, 상기 해제키를 보존하는 보존수단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를 세트한 드라이브 장치를 접속한 단말장치에서 호출된 것을 확인하는 접속 확인수단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세트를 확인한 단말장치로부터 요구되었을 때에, 상기 해제키를 인계해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장치이다.
이 제1, 제5, 제6 발명에서는 디스크형 기억매체를 잡지에 첨부해서, 또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상품의 경우에는 PC샵 뿐아니라, PC샵 이외의 점두 등에서도 무료배포 또는 값싸게 판매하도록 놓아 두어 체험판을 시도한 사람이 제품판의 이용을 희망하는 경우에, PC샵에 가는 일 없이 인터넷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장치를 호출해서 해제키를 그 컴팩트 디스크에 기록시키는 요구를 하는 것만으로 제품판의 이용제한을 해제해서 소프트웨어 상품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가 있다. 여기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는 HB-CD(하이브리드 CD)외에 CD-R, CD-RW, DVD-R, DVD-RW등이 포함된다.
또,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따른 상품제공방법에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 에는 상기 드라이브 장치에 세트한 체로 기동가능한 상품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2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제에는 상기 드라이브 장치에 세트한 체로 기동가능한 상품을 가록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PC에 인스톨하지 않고 기동해서 이용할 수가 있어 PC를 흐트러지게 하는 일이 없다.
또, 제3 발명은 제1 발명에 따른 상품제공방법에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는 상기 드라이브 장치에 세트한 체로 기동가능한 상품이 다수 기록되어서, 상기 해제키는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상품을 선택가능하게 준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는 상기 드라이브 장치에 세트한 체로 기동가능한 상품이 여러개 기록되어, 상기 해제키는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상품을 선택가능하게 준비되어 있으므로써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다종 다양한 상품을 기록해 두어 배포할 수가 있고, 임의로 상품을 선택해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제4 발명은 제1 발명에 따른 상품제공방법에서 상기 기록매체에는 배포장소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부여해서, 상기 서버장치는 이 식별자의 입수를 조건으로 상기 해제키를 상기 단말장치에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8 발명은 제6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에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부여되어 있는 배포장소의 식별자의 입수를 조건으로 상기 해제키를 상기 단말장치에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4 및 제8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는 배포장소를 식별 하는 식별자를 부여해서, 상기 서버장치는 이 식별자의 입수를 조건으로 상기 해제키를 상기 단말장치에 수여함으로써 디스크형 기억매체를 배포한 판매점등을 식별자에 의해 특정할 수가 있다.
또, 제7 발명은 제6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에,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사용자 등록을 조건으로 상기 해제키를 상기 단말장치에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7 발명에 의하면, 기록제어수단은 사용자 등록을 조건으로 상기 해제키를 상기 단말장치에 인도함으로써 상품을 이용하는 사용자 등록을 자연스럽게 또 확실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제9 발명은 제6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에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다수의 상품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상품에 따른 상기 해제키를 상기 단말장치를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9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다수의 상품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상품에 따른 상기 해제키를 상기 단말장치에 인도함으로써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다종 다양한 상품을 기록해 두어 배포할 수가 있고, 임의로 상품을 선택해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제 10 발명은 제6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에서 상기 해제키에 의해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상품에 따른 과금료를 결정하는 과금결정수단과, 상기 해제키를 요구하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사이에 과금료를 회수하기 위한 수속을 하는 과금수속수단을 구비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 제10 발명에 의하면, 상품을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과금료를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하는 상품으로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음악, 화상, 동화등을 들수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 제11 발명은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방법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트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외부로부터 참조불가능한 음폐화 상태와 실행불가능한 상태에서 미리 기록된 상기 컨텐츠를 참조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는 복호화 공정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되고, 기록되어 있는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만으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호화 공정에 의해 복호화된 상기 컨텐츠를 실행가능한 상태로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유효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2 발명은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외부로부터 참조불가능한 음폐화 상태이고, 또 실행불가능한 상태에서 미리 기록된 상기 컨텐츠를 참조가능한상태로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되고, 기록되어 있는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만으로 실행가능하고, 상기 복호화 수단에 의해 복호화된 상기 컨텐츠를 실행가능한 상태에서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유효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1 및 제12 발명에 의하면,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외부로부터 참조불가능한 음폐화 상태이고, 실행불가능한 상태에서 미리 기록된 상기 컨텐츠를 참조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고, 디스크형 기억매 체에 기록되고, 기록되어 있는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만으로 실행하므로서 복호화된 상기 컨텐츠를 실행가능한 상태에서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므로서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의 부정이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디스크형 기억매체에는 컨텐츠가 음폐화되어 기록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참조 불가능하여 복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유효화를 하는 수단은 당해 수단이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형 기억매체만으로 실행할 수 없으므로, 디스크형 기억매체를 부정하게 카피한 경우에도 컨텐츠를 실행가능한 유효화 상태로 하는 것은 안된다. 또, 유효화된 컨텐츠는 불휘발성 판독해서 실행하는 수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공되는 컨텐츠를 부정카피하거나 부정이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13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방법에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판독전용영역에 컨텐츠가 여러개로 분할되고, 또 일부의 컨텐츠만을 실행가능한 상태로 기록되고, 또 다른 컨텐츠가 외부로부터 참조불가능한 유폐화 상태로 기록된, 또는 개서가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음폐화 상태에서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 요구하는 키 요구공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로부터 상기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해서 실형대상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던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는 키송신 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해 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취득하는 취득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키 취득공정에 의해 취득한 해제키를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하는 동시에, 이미 실행필한 컨텐츠에 대한 해제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기록가능영역에서 삭제하는 기록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키 취득공정에 의해 상기 해제키를 취득한 경우에, 상기 음폐화 상태로 기록된 컨텐츠를 실현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는 복호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4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실험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컨텐츠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는 판독전용영역에 컨텐츠가 다수로 분할되고, 또 1부의 컨텐츠만을 실행가능한 상태에서 기록되고, 또 다른 컨텐츠가 외부로부터 참조불가능한 음폐화 상태에서 기록된 추가, 또 컨텐츠에서 외부에서 참조불가능한 음폐화 상태에서 기록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에서 상기 음폐화 상태에서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 요구하고, 상기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취득하는 키관리수단과 상기 키관리수단에 의해 취득한 해제키를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하는 동시에, 이미 실행필의 컨텐츠에 대한 해제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기록가능영역에서 삭제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키관리수단에 의해 상기 해제키를 취득한 경우에 상기 음폐화 상태에서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로부터 상기 해제키의 유구를 수신해서 실행대상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었던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는 송신키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5 발명은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판독전용영역에 컨텐츠가 복수로 분할되고, 또 일부의 컨텐츠만을 실행가능한 상태로 기록되고, 또 다른 컨텐츠가 외부로부터 참조불가능한 음폐화 상태에서 기록된 추가,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음폐화 상태에서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해제키를 취득하는 키관리수단과 상기 키관리수단에 의해 취득한 해제키를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하는 동시에, 이미 실행필의 컨텐츠에 대한 해제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기록가능영역에서 삭제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키관리수단에 의해 상기 해제키를 취득한 경우에, 상기 음폐화 상태에서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3, 제14, 및 제15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판독전용영역에 컨텐츠가 다수로 분할되고, 또 일부의 컨텐츠만을 실행가능한 상태로 기록되고, 또 다른 컨텐츠가 외부에서 참조불가능한 음폐화 상태로 기록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로부터 음폐화 상태에서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해제키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요구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 실행장치로부터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해서 실행대상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고,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취득하고,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취득한 해제키를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하는 동시에, 이미 실행완료한 컨텐츠에 대한 해제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기록가능영역에서 삭제하고,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해제키를 취득한 경우에, 음폐화 상태에서 기록된 컨텐츠 를 실행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함으로서 컨텐츠의 이용종료시에는 분할된 1부의 컨텐츠 밖에는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컨텐츠의 부정한 재이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16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방법에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의 실행이 종료후에 상기 컨텐츠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해제키의 요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와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는 송신공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해서 실행대상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었던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는 송신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요구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전회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한 가격으로 구입해서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하는 키 취득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키 취득공정에 의해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해서 실행하는 복호화 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수신한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기록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7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는 추기 또는 개서가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의 실행이 종료후에 상기 컨텐츠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해제키 의 요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와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요구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전회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한 가격으로 구입해서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하는 키관리수단과 상기 키관리수단에 의해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해서 실행하는 복호화 수단과 상기 수신한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영역에 덧쓰는 기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로부터 상기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해서 실행대상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는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는 키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6 및 제17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의 실행이 종료후에 컨텐츠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해제키의 요구와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와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는 송신공정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해서 실행대상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던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고,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요구한 해제키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전회의 해제키 수신보다 감액한 가격으로 구입하고,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하고,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컨텐츠를 복호화해서 실행하고,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수신한 해제키를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영역에 덧쓰기를 함으로서 해제키의 구입액이 이용할 때마다 값싸게 되므로 컨텐츠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가 있다.
또, 이용할 때마다의 해제키의 차액이 중고의 컨텐츠의 가치로 볼 수도 있으 므로 중고컨텐츠의 유통가격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18 발명은 제17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고유의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매체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한 또는 다수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대응해서 기록한 이용이력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또 구비하고,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이용이력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천번째 이용한 사용자의 컨텐츠 실행장치에 포인트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8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서버는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이용이력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첫번째의 이용한 사용자의 컨텐츠 실행장치에 포인트정보를 송신함으로서 첫번째의 구입사용자 자신이 컨텐츠의 재이용을 희망하게 되어 컨텐츠의 재이용의 또하나의 촉진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제19 발명은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의 실행이 종료후에 상기 컨텐츠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해제키의 요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와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요구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전회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한 가격으로 구입해서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하는 키관리수단과 상기 키관리수단에 의해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해서 실행하는 복호화 수단과 상기 수신한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영역에 상서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9 발명에 의하면, 제16 및 제17 발명과 같이 해제키의 구입액이 이용할 때마다 값이 싸지므로, 컨텐츠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가 있다.
중고컨텐츠의 유통가격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0 발명은 제19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키관리수단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의 소정회수의 실행이 종료후에 상기 컨텐츠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해제키의 요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와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요구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전번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된 가격으로 구입해서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0 발명에 의하면, 키관리수단에 의해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의 소정회수의 실행이 종료된 후에 컨텐츠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해제키의 요구와,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와,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전회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된 가격으로 구입해서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함으로서 컨텐츠의 소정회수의 이용후에 해제키의 구입액이 값이 싸지고, 컨텐츠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가 있다.
또, 제21 발명은 제19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키관리수단은 소정기간 경과후에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해제키의 요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와,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요구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전회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된 가격으로 구입해서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1 발명에 의하면, 키관리수단에 의해 소정기간 경과후에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해제키의 요구와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와,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요구한 해제키를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전회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한 가격으로 구입해서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함으로서 소정기간 경과후에 해제키의 구입액이 값싸게 되어 컨텐츠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가 있다.
또, 제22 발명은 제19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키관리수단은 상기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한 후에 수신한 상기 해제키와 장치고유정보에 따라 특정환경해제키를 생성하는 상기 복호화 수단은 상기 특정환경해제키가 생성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해서 실행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특정환경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영역에 상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2 발명에 의하면, 키관리수단에 의해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한 후에 수신한 해제키와 장치고유정보에 따라 특정환경해제키를 생성하고, 복호화 수단에 의해 특정환경해제키가 생성된 경우에 컨텐츠를 복호화해서 실행하고, 기록수단에 의해 특정환경해제키를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영역에 상서하게 함으로써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장치고유의 정보를 갖는 키를 해제할 수가 있고, 다른 기기에서의 컨텐츠의 이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23 발명은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인스톨 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감소시키는 라이센스 관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3 발명에 의하면,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인스톨 했을 때에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감소시킴으로써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의 기기에 부정하게 인스톨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24 발명은 제23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라이센스 관리수단은 다시 인스톨된 상기 컨텐츠를 언인스톨 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상기 라이센스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4 발명에 의하면, 라이센스 관리수단은 다시금 인스톨된 상기 컨텐츠를 언인스톨 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상기 라이센스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컨텐츠를 일단 인스톨한 경우에도 언인스톨 함으로써 라인센스수가 증가함으로 라이센스를 구입한 동일인의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 컨텐츠를 다른 기기로 이행하는 것을 라이센스의 제약없이 쉽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제25 발명은 제24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라이센스 관리수단은 다시금 컨텐츠 제공서버에 대해 상기 라이센스수의 추가를 요구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추가분의 해제키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된 라이센스를 추가분의 라이센스수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6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는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 대해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의 추가를 요구하 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추가분의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된 라이센스수를 추가분의 라이센스수만큼 증가시키는 키관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의 추가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추가분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던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부하는 키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재27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방법에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 대해,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의 추가를 요구하는 키 요구공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의 추가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추가분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던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는 키송신 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추가분의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된 라이센스수를 추가분의 라이센스수만틈 증가시키는 관리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5, 제26, 및 제27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컨텐츠 제공서버에 대해 컨텐츠의 라이센스수의 추가를 요구하고,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 실행장치로부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의 추가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추가분의 해제키를 요구한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고,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추가분의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된 라이센스수를 추가분의 라이센스수만큼 증가시킴으로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 수를 자유로히 변경할 수가 있고, 컨텐츠 이용자의 편의를 취한다.
또, 제28 발명은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방법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인스톨 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영역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를 감소시키는 라이센스 관리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8 발명에 의하면, 제23 발명과 같이 하나의 컨텐츠를 다수의 기기에 부정하게 인스톨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29 발명은 제28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실행방법에서 상기 라이센스 관리공정은 다시 또 인스톨된 상기 컨텐츠를 언인스톨 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상기 라이센스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9 발명에 의하면, 제24 발명과 같이 컨텐츠를 일단 인스톨한 경우에도 언인스톨함으로써 라이센스수가 증가하므로 라이센스를 구입한 동일인의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 컨텐츠를 다른 기기로 이행하는 것을 라이센스의 제약없이 쉽게 할 수가 있다.
또, 제30 발명은 사용자에 대여하는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컨텐츠 해제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대여한느 경우에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0 발명에 의하면, 기록수단에 의해 추기 또는 개서가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함으로써 컨텐츠를 대여하는 측에서 한정 해제키에 의해 컨텐츠의 렌털회수 및 렌털료(저작권 사용료)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가 있고, 렌털허락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컨텐츠의 대여를 받은 사용자측에서 라이센스 취득을 위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해서 라이센스를 취득할 필요가 없게 되고, 컨텐츠 실행때의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된다.
또, 제31 발명은 제30 발명에 따른 컨텐츠 해제장치에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에 네트워크에 접속된 라이센스 서버에 대해 상기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송신해서 상기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상기 한정 해제키를 수신하는 키관리수단을 또 구비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한정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2 발명은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해서 대여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할 때에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실행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유효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5 발명은 라이센스 서버와 네트워크로 접속된 컨텐츠 해제장치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해서 컨텐츠를 대여하고, 대여된 컨텐츠를 컨텐츠 실 행장치에 의해 실행하는 컨텐츠 대여시스템에서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는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상기 라이센스 서버에 송신해서 상기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상기 한정 해제키를 수신하는 키관리수단과 수신한 상기 한정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라이센스 서버는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로부터 상기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한정 해제키를 요구가 있던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에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는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할 때에 상기 한정 해제키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실행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가능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유효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6 발명은 라이센스 서버와 네트워크로 접속된 컨텐츠 해제장치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해서 컨텐츠를 대여하고, 대여된 컨텐츠를 컨텐츠 실행장치에 의해 실행하는 컨텐츠 대여방법에서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상기 라이센스 서버에 송신하는 키 요구공정과, 상기 라이센스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로부터 상기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한정 해제키를 요구가 있던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에 송신하는 키송신 공정과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에서 상기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상기 한정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 역에 기록하는 기록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할 때에 상기 한정 해제키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실행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유효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1, 제32, 제35, 및 제36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해제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라이센스 서버로 송신하고, 라이센스 서버에서 컨텐츠 해제장치로부터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한정 해제키를 요구가 있었던 컨텐츠 해제장치로 송신하고, 컨텐츠 해제장치에서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한정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수신한 한정 해제키를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하고,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할 때에 한정 해제키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실행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컨텐츠를 실행함으로써 컨텐츠 서버측에서 한정 해제키의 요구가 있을 때에 그 이력정보를 기록할 수가 있으므로, 라이센스 서버측에서도 컨텐츠의 렌털회수 및 렌털료(저작권 사용료)를 정확하게 일원 관리할 수가 있어, 렌털허락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대여를 받은 사용자측에서 라이센스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액세스해서 한정 해제키 같은 라이센스를 취득할 필요가 없어지고, 컨텐츠 실행때의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된다.
또, 제33 발명은 제32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유효화 수단은 상기 컨텐츠를 실행할 때에 현재 일시가 한정 해제키에 설정된 컨텐츠의 이용가능기한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현재 일시가 상기 이용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3 발명에 의하면, 유효화 수단에 의해 컨텐츠를 실행할 때에 현재 일시가 한정 해제키에 설정된 컨텐츠의 이용가능기한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현재 일시가 상기 이용가능기한에 포함되는 경우에 실행가능하다고 판단해서 컨텐츠를 실행함으로써, 컨텐츠이 렌털료(저작권 사용료)를 이용가능기한에 따라 정확하게 관리할 수가 있고, 렌털허락을 원할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회수의 카운트등을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할 필요가 없으므로 컨텐츠 실행장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기구가 필요없게 되고, 간단한 구성으로 컨텐츠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제34 발명은 제32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컨텐츠를 실행한 경우에 상기 한정 해제키에 설정된 컨텐츠의 이용가능회수를 감소시키는 기록수단을 또 구비하고, 상기 유효화 수단은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한정 해제키의 상기 이용가능회수가 0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용가능회수가 0보다 큰 경우에 실행가능하다고 판단해서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4 발명에 의하면, 기록수단에 의해 컨텐츠를 실행한 경우에 한정 해제키에 설정된 컨텐츠의 이용가능회수를 감소시켜 유효화 수단에 의해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에 한정 해제키의 이용가능회수가 0보다 큰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가 능회수가 0보다 큰 경우에 실행가능하다고 판단해서 컨텐츠를 실행함으로써 컨텐츠의 렌털회수 및 렌털료(저작권 사용료)는 이용가능회수에 따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고, 렌털허락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다음,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품제공방법, 상품제공시스템, 서버장치, 컨텐츠 제공시스템, 컨텐츠 대여시스템, 컨텐츠 실행장치, 컨텐츠 해제장치, 컨텐츠 제공방법, 컨텐츠 실행방법 및 컨텐츠 대여방법의 호적한 실시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 ~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인터넷을 사용한 상품작용방법을 실행하는 서버장치를 포함한 상품제공시스펨의 1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에서 인터넷을 사용한 상품제공시스템은 복수종의 소프트웨어 상품을 저장(기록)한 컴팩트 디스크(11)(이하, CD라 함)을 불특정인 또는 다소 흥미있는 사람에 배포하여, 그 상품의 이용을 서버장치(21)가 관리하도록 되어 있어, 그 사람이 CD를 일반적으로 PC(31)(단말장치)에 접속된 드라이브 장치(32)에 설정하여 체험판을 시험한 후에 이용을 희망하는 소프트웨어 상품을 구입할 의사가 없는 사람에도 CD(11)를 배포하여, 그 사람이 사용자로서 이용하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에, 소망의 소프트웨어 상품을 판매(제공)하는 시스템이다.
CD(11)는 도 2(a)에 나타나는 것 같이, CD-ROM에서의 판독처리와 함께 CD-R 또는 CD-RW에의 독서처리를 실행할 수가 있는 일반적인 드라이브 장치(32)에 설정가능한 규격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도 2(b)에 나타나는 것 같이, ROM영역(12)과 RW영역(13)이 형성되어 HB-CD로 제조되어 있으며, 그 CD(11)는 PC(31)에 설치하지 않고, 드라이브 장치(32)에 설정만 하므로서 이용할 수 있는 복수종의 소프트웨어 상품의 체험판과 제품판을 상품판매회사(200)가 ROM영역(12)내에 소부(燒付)기록함과 동시에, PC상점외에 PC에 관련없는 슈퍼마켓 또는 편의점등의 가치점(300)에도 대량으로 배치되도록 간소한 패키징이 되어 있다. 또한, RW영역(13)에는 소프트웨어를 기동시켰을 때의 설정정보등이 기록되어 있다.
그 CD(11)의 ROM(12)에는 선택만 하므로서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는 체험판과 소프트웨어 상품에 따라 해제키를 RW영역(13)내에 기록함으로서 그 소프트웨어의 기동을 허가하도록 이용이 제한되어 있는 제품판과, 서버장치(21)를 인터넷 (100)을 통하여 호출하여 해제키를 요구하는 홈페이지(HP)를 여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으며, 또 그 ROM영역(12)에는 가치점(300)을 특정하는 ID데이터(식별자)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ROM영역(12)에 기록하는 ID데이터는 예로써 편이점등과 같이 전국 전개하는 체인점은 그 체인점을 특정하는 ID데이터가 기록되는 한편, 개인상점등의 경우에는 불특정을 나타내는 ID데이터를 기록하여, 개별의 ID데이터를 패키지등에 실(seal)로 표시한다.
서버장치(21)는 PC(31)등의 각종 단말장치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호출(액세스)가능하게 접속되어 CD(11)내의 소프트웨어 상품의 판매(제공)을 관리하도록 되 어 있어 그 서버장치(21)는 CD(11)내의 소프트웨어 상품을 구입한 사용자의 성명, 주소등을 기억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2)와, CD(11)내의 소프트웨어 상품마다의 해제키를 설정(유지)시켜 있음과 동시에, HP상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상품에 관한 각종 정보(이용방법등은 CD(11)의 ROM영역(12)내에 기록)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3)(유지수단)과, 해제키를 요구하여 소프트웨어 상품(제품판)을 구입한 사용자에서 과금료를 회수하는 수속을 실행하는 과금시스템(24)(과금결정수단, 과금수속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다.
그 서버장치(21)는 획득된 CD(11)를 드라이브 장치(32)에 설정하여 체험판을 시험하는 사람이 그 CD(11)의 기동시의 안내에 따라, 그 소프트웨어 상품을 관리하는 서버장치(21)가 제공하는 HP에의 액세스를 선택했을 때에 PC(31)에서 인터넷 (100)을 통하여 호출됨으로서 판매하는 소프트웨어 상품의 일람표나 그 각종 정보등을 제공하는 HP를 열기 위한 데이터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3)내에서 판독하여 반송하도록 되어 있어, 그 HP에서 소프트웨어 상품을 선택된 해제키를 요구된 경우에는 드라이브 장치(32)에 설정된 CD(11)의 ID데이터의 취드처리(접속확인), 사용자 등록처리, 소프트웨어 상품의 과금처리가 행하여진 것을 조건으로 선택된 소프트웨어 상품의 해제키를 PC(31)에 인도하여, 그 제품판의 이용제한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서버장치(21)가 접속확인수단과 판독제어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 인터넷을 사용한 상품제공방법을 도 3 및 도 4의 프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나는 것 같이, 소프트웨어 상품을 판매하려는 상품제공회 사(200)는 복수종의 소프트웨어 상품의 제험판과, 제품판을 소부(燒付)한 ROM영역 (12)과, 서환가능한 RW영역(13)을 형성한 CD(11)를 대량으로 제조ㆍ준비하여(스텝 S11), PC상점, PC이외의 전문상점, 혹은 슈퍼마켓등 불특정 사용자(소비자)의 가치점(300)에서 무료로 배포(또는 저가로 판매)하도록 대량으로 놓게 한다(스텝 S12).
따라서, CD(11)의 패키지를 대량으로 배포하는 간소한 사양으로 하여 저가로 제작함과 동시에, PC상점에 제한않고, 예로써 낚시구점에 낚시에 관한 소프트웨어 상품을 저장하는 CD(11)를 배치하는 등하여, 다소의 흥미있는 사람등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소탈하게 CD(11)를 손에 넣을 수 있다. 또한, CD(11)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상품은 1종류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그후에, CD(11)를 입수한 사람이 PC(31)의 드라이브 장치(32)에 설정하고, 어느 소프트웨어 상품의 체험판을 기동시킴으로서(스텝 S13)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상품이 어떠한 것인가를 시험할 수가 있다(스텝 S14). 그 소프트웨어 상품의 체험판은 PC(32)에 설치하지 않고 구동시킬 수가 있어, PC(31)를 상태나쁘게 하지 않는다.
그리고, 체험판에서 마음에 드는 소프트웨어 상품이 있는 경우에는 체험판의 동작중, 개시화면 또는 종료화면등에서의 선택지시에 따라서 인터넷(100)을 통한 서버장치(21)의 제공으로 HP의 열람요구를 함으로서(스텝 S15), 그 HP내에서 구입을 희망하는 소프트웨어 상품을 선택만 하면, PC(31)가 서버장치(21)간에서 CD(11)의 제품판의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제어처리를 실행하여 소망의 소프트웨어 상품을 구입 할 수가 있다(스텝 S16). 그 소프트웨어 상품의 제품만으로도 PC(31)에 설치 하지 않고, 드라이브 장치(32)에 CD(11)를 설정만 함으로서 구동시킬 수가 있어, PC(31)를 상태나쁘게 하지 않는다.
따라서, PC(31)의 소유자가 아니고, 일시적으로 빌리는 익숙치 않은 사용자가 그 PC(31)를 상태나쁘게 하지 않으며, 또 불법으로 복수의 PC(31)에 설치되는 것을 회피하면서 CD(11)를 다만 가지고 다니면서 게임등의 소프트웨어 상품을 즐길 수가 있다.
이때, PC(31)간에서의 제어처리에 있어서, 서버(21)는 도 4에 나타난 것 같이 인터넷(100)을 통하여 PC(31)에서 호출된 HP의 열람요구를 받아들이며, 그 HP를 열기 위한 데이터송신(방송)을 행하여(스텝 S21), 그 HP내에서 구입을 희망하는 소프트웨어 상품이 선택되면, 그 선택시마다 소프트웨어 상품의 구입요구를 받아 들이고(스텝 S22, S23), 다른 소프트웨어가 선택되지 않고, 선택의 종료가 지시되면(스텝 S23), 선택된 소프트웨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수속을 계속한다.
그 소프트웨어 상품의 판매수속으로서는 먼저 서버장치(21)는 PC(31)에 액세스하여 드라이브 장치(32)에 설정되어 있는 CD(11)의 ROM영역(12)을 검색시킴으로서, CD(11)를 드라이브 장치(32)에 설정돈 PC(31)와의 접속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 CD(11)를 배포한 가치점(300)을 특정하는 ID데이터를 판독시켜 얻으며(스텝 S24), 그 ID데이터가 가치점(300)을 특정할 수 있는 유효한 ID데이터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고(스텝 S25), 특정불능한 ID데이터였던 경우에는 CD(11)의 패키지에 첨부되어 있는 실의 ID데이터를 입력하는 페이지를 여는 데이터송신을 하여, 그 ID데이터의 입력지시를 함과 동시에 스텝 S25에 되돌아 간다(스텝 S26).
한편, 판독취득 또는 입력취득한 ID데이터가 유효하여 가치점(300)을 특정가능한 경우에는 그 취득한 ID데이터와 선택된 소프트웨어 상품정보를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2), 컨텐츠 베이스(23), 과금시스템(24)의 각각에 관련시키면서 저장하여 스템 S27이후로 진행한다(스텝 S25, S26).
계속하여, 서버장치(21)는 성명 및 주소등과 함께 소프트웨어 상품의 대금(과금료)을 지불하는 크레디트카드의 종호 및 번호등을 입력되게 하여 사용자 등록을 하는 페이지를 여는 데이터송신을 하여 입력된 사용자정보를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2)내에 저장하는 등록처리를 함과 동시에(스텝 S27), 과금시스템(2$)에 의한 크레디트카드의 유효/무효의 확인과 선택소프트웨어 상품에 따라 과금료의 결정등의 과금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28).
계속하여 이들 사용자 등록과 과금처리가 지체없이 행하여지면, 선택된 소프트웨어 상품의 해제키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3)내에서 판독하여 PC(31)에 송부하여 인도하고(스텝 S29), 드라이브 장치(32)내의 CD(11)의 RW영역(13)에 라이트시켜 소망의 소프트웨어 상품의 제품판의 이용제한을 해제함과 동시에, 그 소프트웨어 상품에 관한 페이지를 여는 데이터송신을 하여(스텝 S30), 소프트웨어 상품의 판매수속을 종료한다.
따라서, 상품제공회사(200)는 PC상점이외에도 CD(11)내의 소프트웨어 상품을 판매할 수가 있어, PC상점에 잘 않가는 사람에도 사용자로서 확대판매할 수가 있다. 동시에, 소프트웨어 상품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확실하게 그리고 스스로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사용자에서 과금료를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 다. 또,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2)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3)내의 CD(11)의 배포장소 및 구입소프트웨어 상품등의 사용자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사용자에 관한 통계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으로는 PC(31)등에 익숙치 않은 사람도 PC상점등에 갈 필요없이, 소프트웨어 상품을 입수할 수가 있다.
또, 그 CD(11)에는 다종다양한 소프트웨어 상품을 기록하여 둘 수가 있으므로, 1매의 CD(11)를 배포하는 것 만으로, 공통부류의 복수종의 소프트웨어 상품 및 가지각색의 사람에 대응한 소프트웨어 상품을 제공할 수가 있어, 사용자는 임의로 소프트웨어 상품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한편으로는 이용된 CD(11)를 배포한 가치점(300)등은 CD(11)의 ID데이터에 의해 특정할 수가 있어, 백마진의 지불계약등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CD(11)를 배포하여 인터넷(100)을 통하여 서버장치(21)에 의해 받은 해제키를 CD(11)를 RW영역(13)에 라이트만 시킴으로서, 그 CD(11)내의 소프트웨어 상품(제품판)을 구입할 수가 있어, PC상점에 갈 필요없이, 소프트웨어 상품을 마음에 든 사람이 그 제품판을 손에 넣어 이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상품의 판매루트를 슈퍼마켓등과 같이 PC에 직접관계가 없는 가치점(300)까지 확대할 수가 있어, 소프트웨어 상품을 PC상점에 가지 않는 사용자에도 구입ㆍ이용할 수가 있다.
또, 이 CD(11)에는 드라이브 장치(32)에 설정한대로 기동가능한 복수종류의 소프트웨어 상품을 기록함으로서, 다종다양한 소프트웨어 상품을 용이하게 구입하 여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프트웨어 상품을 설치함으로서, PC(31)을 상태나쁘게 하지 않고 이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PC(31)등에 익숙하지 않아도 안심하여 이용할 수가 있도록 사용자의 범위를 넓힐 수가 있다.
또한, 해제키의 인수인도를 CD(11)의 ID데이터의 취득 및 과금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등록을 조건으로 함으로서, 가치점(300)을 특정한 백마진계약에 의해 광범위판매를 진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 등록을 확실하고, 또 스스로 하여 CD(11)의 배포장소 및 구입 소프트웨어 상품등의 사용자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사용자에 관한 통계를 취할 수가 있으며, 또 확실하게 과금하여 개발비용등을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CD(11)는 ROM영역(12)과 RW영역(13)과를 형성하므로서, 영역(12,13)간에 공백이 되므로, 데이터가 종료할 때까지 복사하는 방식에서는 불법으로 CD(11)내의 소프트웨어 상품을 이용가능하게 복사할 수가 있다.
또, CD(11)는 드라이브 장치(32)내 설정한 상태에서 기동시키는 소프트웨어 상품을 저장하기 위해, PC(31)의 하드디스크장치(HDD)에 소프트웨어를 복사하였을지라도 기동시킬 수 없으며, 과금시키지 않고, 넓혀져 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CD(11)에는 드라이브 장치(32)로 기동시키는 소프트웨어 상품을 저장함으로, 복수의 버전이 판매되어 버전에 대응안되어 있으므로 데이터가 이용불능으로 되는 경우에 그 소프트웨어 상품의 구동을 보조하여 대응되지 않은 버전의 데이터라도 이용가능케 하는 소프트웨어 상품을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으로는 그 CD(11)는 RW영역(13)에 해제키를 라이트하여 ROM영역(12)의 제품판의 이용제한을 해제할 뿐아니라, 동시에 RW영역(13)에 패스워드등을 설정가능하게 하여, 사사로운 화상 또는 동화등의 데이터를 조심성없게 열람이용되는 것을 회피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품으로서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CD의 경우를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악의 시청판과 완전판과를 ROM영역(12)에 기로한 CD(11)로서도 상태에 잘 맞아, 사용자를 노린 음악, 예로써 스키장에서 키에 잘들리는 아티스트의 악곡을 복수기록한 CD(11)를 그 스키장에서 배포하든가 인기 높은 가라오케를 복수기록한 CD(11)를 가라오케점에서 배포함으로서 판매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확실하게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으므로 도 5에 나타난 것 같이, 가치점(300)을 통하여 판매루트에 부가하여, 신제품의 체험판 및 제품판을 저장한 CD(11)를 등록사용자에 직접송부할 수 있으며, 또 등록사용자에는 구입완료된 상품과 동일부류의 다른 상품을 송부하여 마음에 드는 경우에 구입할 수가 있다.
또한, CD(11)는 잡지에 첨부하여 배포하여도, 그 잡지를 가치점(300)으로서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또 소프트웨어 상품의 제품판을 통상대로 PC상점등의 전문상점에서 판매하여도 좋으며, 또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 시켜서 판매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항상 과금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사용자 등록만으로 소프트웨어 상품의 제품판의 이용제한을 해제키에 의해 해제하도록 하여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2는 게임프로그램 및 음악, 영상데이터등의 컨텐츠의 부정이용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텐츠 실행장치이다. 도 6은 본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는 도 6에 나타난 것 같이, 복호화부(602)와 유효화부(604)와, 라이센스키관리부(603)와, HB-CD 인터페이스부(606)와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제공되는 컨텐츠로서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는 HB-CD(하이브리드 CD)의 판독전용영역(ROM영역)에 은폐화 처리가 실시된 상태에서 사전에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은폐화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그 내용을 외부에서 참조불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다. 그 밖에, 은폐화 처리로서 복수의 모듈에서 구성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단일의 파일에 통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 경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압축한 단일파일에 통합하여도 된다. 또한, 은폐화 처리로서 그와 같은 단일파일에 통합한 파일을 암호화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복호화부(602)는 해제키가 적당한 경우에, 은폐화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외부에서 참조가능한 상태로 하여 HD(601)에 복호화 완료프로그램(611), 복호화 완료데이터(612)로서 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복호화"란 은폐화 처리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경우에는 암호화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복호화한다고 한다. 또, 은폐화 처리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단일파일에 통합하는 처리인 경우에는 단일파일을 전의 복수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로 전개하는 처리를 말한다. 또, 은폐화 처리에서의 압축처리가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신장처리도 복호화에 포함되게 된다.
유효화부(604)는 HB-CD(605)의 판독전용영역(ROM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유효화 프로그램을 실행하므로서 주기억장치에 생성되는 것이다. 또, 그 유효화 프로그램은 자기가 HB-CD(605)에서 기동되었는가 아닌가를 HB-CD의 고유영역에 기록된 고유데이터를 나타내는 프레임치를 체크함으로서 판단하여, HB-CD(605)이외에서 기동된 경우, 즉 부정복사된 CD등에서 기동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HB-CD(605)에서는 그 제조과정에 있어서 그 고유영역에 ATIP (Absolute Time In Pre-groove)가 생성된다.
ATIP의 속에는 Last Possible Start Time Of Lead Out의 정보가 다이트되어 있다. 그 정보는 Minute, Second, Frame의 각 정보로 되어, 각 정보에 치가 할당되었다. 그중에서 Frame 정보에는 업계단체(Orange Forum)가 각 미디어 벤더 (media vendor)에 대해서 복수의 고유치를 할당하고 있다. 각 미디어 벤더는 할당된 고유치를 자사의 미디어에 할당하고 있다. 따라서, 각 HB-CD의 ATIP의 Last Possible Start Time Of Lead Out의 Frame 정보(이하, "프레임치"라 함)은 미디어의 종류마다 고유의 치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유효화부(604)에서는 HB-CD(605)의 고유영역에 기억된 프레임치를 체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효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주기억장치에 생성된 유효화부 (604)는 복호화 완료프로그램(611)을 실행가능한 상태로 하여, 복호화 완료데이터 (612)를 열람가능한 상태로 하여 휘발성 메모리인 RAM(620)에 복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그 유효화부(604)는 복호화 완료프로그램(611)의 전용의 실용프로그램이며, 그 전용의 실행 프로그램에 의해 복호화 완료프로그램(611)을 실행하는 경우에, 복호화 완료프로그램은 유효화 완료프로그램(621)로서 RAM(620)에 복사된다.
또, 유효화부(603)는 복호화 완료데이터(612)의 전용의 뷰어(viewer) 또는 전용의 플레이어(player)이며, 그 전용의 뷰어 또는 전용의 플레이어에 의해 복호화 완료데이터(612)를 실행할 때에 복호화 완료데이터(612)는 유효화 완료프로그램 (622)으로서 RAM(620)에 복사된다.
또, 유효화부(603)는 그와 같은 전용의 실행프로그램, 전용의 뷰어 또는 전용의 플레이어로 하는 외에, 인터넷상의 서버등에서 유효화키를 취득하여 유효화키를 복호화 완료프로그램(611) 및 복호화 완료데이터(622)에 라이트하여, 각각 유효화 완료프로그램(621), 유효화 완료데이터(622)로 하여, RAM(620)에 라이트하고, 유효화키가 라이트되어 있는 경우에만 유효화 완료프로그램(621)을 실행가능, 유효화 완료데이터(622)를 열람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채용하여도 된다.
라이센스키 관리부(603)는 은폐화 프로그램, 은폐화 데이터의 복호화의 경우에 복호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해제키의 요구 및 취득을 행하는 것이다. HB-CD 인터페이스부(606)는 HB-CD(605)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는 CPU등의 제어장치(도면 생략)와 RAM(620) 또는 ROM등의 기억장치(도면 생략)와, 디스플레이장치등의 출력장치(도면 생략)과, 키보드 또는 마우스등의 입력장치(도면 생략)과, 외부기억장치로서 HD(610)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컴퓨터의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실행프로그램은 설치가능한 형식 또는 실행가능한 형식의 파일로 HB-CD 및 CD-ROM, 프로피(R)디스크(FD), DVD등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제공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프로그램을 인터넷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경유하여 다운로드 시킴으로서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네트워크 경유하여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컨텐츠 실행프로그램은 컨텐츠 실행장치(600)로 상기 기록매체에서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주기억장치에 로드되어, 상기 기능적 구성에서 설명한 각부가 주기억장치에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에 의한 컨텐츠의 실행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HB-CD(606)에 저장된 은폐화 프로그램, 은폐화 데이터의 복호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은폐화 프로그램, 은폐화 데이터의 복호화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라이센스키 관리부(603)는 복호화를 하기 위한 해제키의 요구를 인터넷상의 서버(도면 생략)에 대해서 송신한다(스텝 S701). 그리고, 라이센스키 관리부(603)가 서버에서 해제키를 수신하면(스텝 S702), 복호화부(703)에 의해 해제키의 정당성을 판단한다(스텝 S703). 여기서, 해제키의 정당성이 판단으로서는 예로 써, 수신한 해제키와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사전에 기억되어 있는 키와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여 있는 경우에 정당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수신한 해제키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복호화부(602)에 의해 HB-CD에 기록되어 있는 음폐화 프로그램 및 음폐화 데이터의 복호화 처리를 행하고 (스텝 S704), 복호화 완료프로그램(611) 및 복호화 완료데이터(612)를 HD (610)에 저장한다. 그리고, 복호화부(602)는 수신한 해제키를 HB-CD의 라이트 가능영역(RW영역)에 라이트한다(스텝 S705). 여기서, 복호화 완료프로그램(611), 복호화 완료데이터(612)는 반드시 HD(610)에 저장할 필요는 없으며, 유효화부(604)의 요구에 의해 점차 복호화 처리를 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한편, 스텝 S703에 있어서 수신한 해제키가 부당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복호화부(602)는 해제키가 정당한 것이 아니므로, 은폐화 프로그램 및 은폐화 데이터를 복호화 않되는 취지의 에러메시지를 출력한다(스텝 S706).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음폐화된 컨텐츠가 복호화 되며, 다음에 HB-CD(605)에 기억되어 있는 유효화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유효화부(604)에 의한 컨텐츠의 유효화 처리를 행한다. 도 8은 유효화부(604)에 의한 컨텐츠의 유효화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유효화부(604)는 먼저 Read AT1 명령을 실행한다(스텝 S801). 그러므로, HB-CD(605)의 고유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고유의 식별데이터인 프레임치가 복귀치로서 취득된다(스텝 S802). 그리고, HB-CD(605)에서 취득한 프레임치를 판독하여(스텝 S803), 양자가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 S804).
양 프레임치가 일치하여 있는 경우에는 유효화부(604)는 유효화 프로그램이 제품제공시에 기록되어 있는 HB-CD(605)에서 기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복호화 프로그램(611)의 기동 및 복호화 완료데이터(612)의 열람을 행한다(스텝 S805).
한편, 양 프레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효화부(604)는 부정하게 복사된 기억매체에서 유효화 프로그램이 기동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부정복사의 가능성이 있는 취지의 에러메시지를 출력하여(스텝 S806), 복호화 완료프로그램(611)의 기동 및 복호화 완료데이터(612)의 열람을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 이경우 유효화 프로그램 자체의 실행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에서는 HB-CD(605)에는 컨텐츠가 미리 은폐화되어 기록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참조 불가능하여 복제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유효화 프로그램은 자기 자체가 기록되어 있는 HB-CD(605)만으로는 실행되지 않으므로 HB-CD(605)를 부정하게 복사한 경우에도 컨텐츠를 실행가능한 유효화 상태로 하는 것은 안된다. 또한, 유효화된 컨텐츠는 불휘발성 메모리인 RAM(620)에 저장되나, 그 RAM(620)에서 컨텐츠를 판독하여 실행하는 수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부정복사하든가 부정이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3
본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게임프로그램 및 음악, 영상데이터등의 컨텐츠를 복수로 분할하여 있는 경우에, 분할된 컨텐츠마다 이용제한을 해제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실시의 형태 3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에 나타난 컨텐츠 제공서버(901)은 게임프로그램 및 음악, 영화데이터등의 컨텐츠의 제공 및 해제키를 사용자의 PC(902)와 인터넷등의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컨텐츠 실행장치를 사용자의 PC로 하고 있으나, 그외 게임프로그램을 전용으로 실행하는 게임장치를 컨텐츠 실행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 3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는 HB-CD(902)의 ROM영역에 게임프로그램의 컨텐츠가 복수로 분할되어 저장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나는 것 같이, 게임프로그램은 게임의 진행순으로 제 1 장에서 제 6 장까지의 프로그램으로 분할되며, 또 제 1 장에서 제 6 장의 프로그램은 은폐화 프로그램으로 하여 외부에서 참조불가능한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또, HB-CD(902)의 RW영역에서는 제 1 장의 프로그램을 복호화하여 이용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제 1 장 컨텐츠 해제키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컨텐츠 구입시는 사용자에서는 제 1 장의 프로그램만이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은폐화 상태는 실시의 형태 2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컨텐츠로서 게임프로그램을 예로써 들고 있으나, 음악, 영화데이터의 경우도 동일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 1 장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 2 장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PC(902)에서 인터넷 경유하여 컨텐츠 서버(901)에 제 2 장의 프로그램의 해제키의 요구를 행한다. 그것을 받은 컨텐츠 제공서버(901)는 제 2 장의 프로그램의 해제키를 사용자의 PC(902)에 송신한다. 사용자의 PC(902)에서는 제 2 장의 프로그램의 해제키를 수신하면, 수신한 해제키를 HD-CD(903)의 RW영역에 라이트한다. 그리고, 그 해제키를 사용하여 제 2 장의 은폐화 프로그램을 복호화하여 제 2 장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각장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마다 컨텐츠 제공서버(901)에서 해제키를 수신하여 은폐화 프로그램을 복호화 하도록 되어 있다. 이미 실행완료된 장의 프로그램에 대한 해제키를 삭제되며, 그 때문에 사용에서 실행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10은 본 실시의 형태 3의 컨텐츠 실행장치인 사용자 PC(902)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PC(902)는 도 10에 나타난 것 같이, 관리부 (1004)와, 기록부(1001)와, 복호화부(1002)와, 라이센스키 관리부(1003)와 HB-CD 인터페이스부(606)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관리부(1004)는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와, 유효화부(604)와 동일하게 HB-CD(903)에서 기동되었나 아닌가를 HB-CD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프레임치를 체크함으로서 판단하여, HB-CD(903) 이외에서 기동된 경우, 즉 부정복사된 CD등에서 기동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그 판단처리는 실시의 형태 2의 유효화부(604)에서의 판단처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기록부(1001)는 이미 실행완료한 장의 프로그램에 대한 해제키를 HB- CD(903)의 라이트 가능영역(RW영역)에 은폐화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복호하부(1002)는 컨텐츠 제공서버(901)에서 수신한 각장의 해제키가 정당한 경우에 해제키에 대응하는 장의 은폐화 프로그램을 외부에서 참조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여 HD(도면 생략)등에 일시적으로 보존하고, 복호화된 HD(도면 생략)등에 일시적으로 보존하고, 복호화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이다.
라이센스키 관리부(1003)는 각장의 은폐화 프로그램의 복호화의 경우에 복호화를 가능케하여 이용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요구 및 취득을 행하는 것이다. HB-CD 인터페이스부(606)은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와 동일하게 HB-CD (605)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3의 컨텐츠 실행장치(901)도 통상의 컨퓨터의 구성으로 하는 외에, 게임전용의 게임장치로서 구성하여도 된다.
다음,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의 형태 3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의한 컨텐츠 실행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사용자 PC(902)(컨텐츠 실행장치)에 의한 각장의 컨텐츠의 복호화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프로차트이다.
현재, 제 n-1 장까지의 게임프로그램의 이용이 완료하며, 다음 제 n 장의 게임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먼저, 라이센스키 관리부(1003)에 의해 여기에서 이용을 개시하는 제 n 장의 프로그램의 해제키의 요구를 컨텐츠 제공서버 (901)에 인터넷을 통하여 송신한다(스텝 S1101).
컨텐츠 제공서버(901)에서는 제 n 장의 프로그램의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하면, 그 해제키를 송신함으로 사용자 PC(902)의 라이센스 관리부(1102)에 의해 제 n 장의 프로그램의 해제키를 수신한다(스텝 S1102).
사용자 PC(902)에서는 복호화부(1002)에 의해 수신한 제 n 장 컨텐츠 해제키의 정당성을 판단한다(스텝 S1103). 그리고, 제 n 장 컨텐츠 해제키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서버(901)에서 수신하고,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제 n 장의 해제키를 HB-CD(903)의 RW영역에 라이트한다(스텝 S1104). 계속하여 기록부(1001)은 이용이 완료한 제 n-1 장의 해제키를 RW영역에서 삭제한다(스텝 S1105). 계속하여 기록부(1001)은 이용이 완료한 제 n-1 장의 해제키를 RW영역에서 삭제한다(스텝 S1105).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이용이 완료한 장의 컨텐츠는 사용자 PC에서는 참조 불가능하게 되며, 또 실행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복호화부(1002)에 의해 HB-CD(903)의 RW영역에 라이트된 제 n 장의 해제키를 사용하여 제 n 장의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실행한다(스텝 S1106).
또한, 본 실시의 형태 3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는 이용이 종료한 장의 컨텐츠에 대한 해제키의 전부를 삭제하고 있으나, 계속하여 프로그램을 실행되지 않도록 일부의 장의 컨텐츠에 프로그램을 실행되지 않도록 일부의 장의 컨텐츠에 대한 해제키만을 은폐화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6 장의 컨텐츠를 복호화한 경우, 제 1 장의 컨텐츠에 대한 해제키만을 상세한 상태에서 제 2 장에서 제 5 장까지의 컨텐츠에 대한 해제키를 RW영역에서 삭제않고 남긴 상태로 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제 1 장에서 컨텐츠를 계속하여 실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3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는 컨텐츠 실행장치로 해 제키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취득하여 은폐화 상태로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여, 이미 실행완료된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의 해제키를 RW영역에서 삭제하여 있으므로 컨텐츠의 이용종료시에는 분할된 일부의 컨텐츠 뿐만이 이용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컨텐츠의 부정한 재이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실시의 형태 4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게임프로그램 및 음악, 영상데이터등의 컨텐츠의 중고판매에서의 컨텐츠의 부정이용을 방지하는 한편, 중고판매의 촉진을 도모하기 위해 일정기간 경과후 또는 소정회수 이용후의 컨텐츠의 이용의 경우에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키의 판매가격을 감액하여 제공하고, 해제키와 장치고유데이터에서 특정환경해제키를 생성하여 HB-CD에 기록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실시의 형태 4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에 나타난 것 같이, 컨텐츠 제공서버(1201)는 게임프로그램 및 음악, 영상데이터등의 컨텐츠 및 해제키를 판매점, 가치점 또는 중고판매점의 서버(1202)(컨텐츠 실행장치) 및 사용자의 PC(컨텐츠 실행장치)(1203, 1204)에의 송신을 행하는 것이다. 컨텐츠 제공서버(1201), 판매점, 가치점 또는 중고판매점의 서버(1202)(컨텐츠 실행장치) 및 사용자의 PC(컨텐츠 실행장치)(1203, 1204)는 각각 인터넷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사용자 PC를 컨텐츠 실행장치로서 사용하고 있으나, 그외의 프로그램을 전용으로 실행 하는 게임장치를 컨텐츠 실행장치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의 형태 4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는 도 12에 나타난 것과 같이 판매점, 가치점 또는 중고판매점에서 게임프로그램 및 음악, 영상데이터등의 컨텐츠가 기록된 HB-CD(1207)를 구입한 사용자 A가 사용자 PC(1203)로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에 컨텐츠 제공서버(1201)에서 컨텐츠의 복호화를 위한 해제키를 구입한다.
그리고, 사용자 A가 컨텐츠의 이용을 완료하고, HB-CD(1207)를 사용자 B에 양도한 경우, 사용자 B가 자기의 사용자(1204)를 사용자 B에 양도한 경우, 사용자 B가 자기의 사용자 PC(1204)로 그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B가 컨텐츠 제공서버(1201)에서 해제키를 구입한다. 이때의 구입가격은 사용자 A의 해제키보다 감액되어 있다.
또는 사용자 A가 컨텐츠의 이용을 완료하고, HB-CD(1207)를 판매점, 가치점 또는 중고판매점에 매각한 경우, 판매점, 가치점 또는 중고판매점이 그 컨텐츠를 이용가능하게 하기 위하여는 판매점, 가치점 또는 중고판매점이 컨텐츠 제공서버 (1201)에서 해제키를 구입한다. 이때의 구입가격은 사용자 A의 해제키보다 감액되어 있다.
그리고, 구입한 해제키와 사용자 PC(1204)에 고유의 장치고유데이터로 된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특정환경해제키를 생성한 컨텐츠 실행장치 이외의 컨텐츠 실행장치에서는 HB-CD(1207)에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이 없게 되어 컨텐츠의 부정이용을 방지하고 있다.
또, 컨텐츠 제공서버(1201)는 HD-CD(1207)의 고유데이터(프레임치)에 대응시 켜 그 HB-CD(1207)의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메일어드레스를 이력데이터로서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 B 또는 판매점, 가치점 또는 중고판매점에서 해제키의 요구가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서버(1201)는 사용자 이용이력 데이터베이스(1206)를 참조하여,최초의 구입자인 사용자 A의 사용자 PC에 포인트 정보를 송신한다. 그에 따라, 컨텐츠의 중고판매가 촉진되게 된다.
도 13은 본 실시의 형태 3의 컨텐츠 실행장치인 서버(1202), 사용자 PC (1203,1204)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버(1202), 사용자 PC(1203, ,1204)는 도 13에 나타난 것 같이, 관리부(1304)와, 기록부(1301)와, 복호화부 (1302)와, 라이센스키 관리부(1303)와, HB-CD 인터페이스부(606)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관리부(1304)는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의 유효화부(604)와 동일하게 HB-CD(605)에서 기동되었는가 아닌가를 HB-CD의 고유데이터를 나타내는 프레임치를 체크함으로써 판단하고, HB-CD(605) 이외에서 기동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그 처리판단은 실시의 형태 2의 유효화부(604)에서의 판단처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기록부(1301)는 해제키에서 생성된 특정환경 해제키와 HB-CD(1207)의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메일어드레스를 HB-CD(1207)의 RW영역에 기록하는 것이다.
복호화부(1302)는 컨텐츠 제공서버(1201)에서 수신한 해제키가 정당한 경우에 HB-CD(1207)에 저장되어 있는 음폐화 프로그램을 외부에서 참조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라이센스키 관리부(1303)은 은폐화 프로그램의 복호화의 경우에 복호화를 가능케 하기 위한 해제키의 요구 및 취득을 행하는 것이다. 또, 라이센스키 관리부 (1303)는 취득한 해제키와 컨텐츠 실행장치의 장치고유 데이터에서 장치에 특화한 특정환경해제키를 생성한다.
HB-CD 인터페이스부(606)는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와 동일하게 HB-CD(605)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다.
HB-CD(1207)에는 고유영역에 프레임치, ROM영역에는 은폐화 프로그램이 미리 기록되며, RW영역에는 특정환경해제키, 이용사용자의 메일어드레스가 라이트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4의 컨텐츠 실행장치(901)도 통상의 컴퓨터의 구성으로 하는 외에, 게임전용의 게임장치로서 구성하여도 된다.
다음, 이상과 구성된 본 실시의 형태 4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의한 컨텐츠 실행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판매점, 가치점 또는 중고판매점의 서버(컨텐츠 실행장치)(1200) 및 사용자의 PC(컨텐츠 실행장치)(1203, 1204)에 의한 각장의 컨텐츠의 복호화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라이센스키 관리부(1303)에 의해, 해제키의 요구와, HB-CD 고유데이터 (프랫슈치)와, 이들 HB-CD(1207)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메일어드레스를 컨텐츠 제공서버(1201)에 송신한다(스텝 S1401).
라이센스키 관리부(1303)는 컨텐츠 제공서버(1201)에서 해제키를 수신하면 (스텝 S1402), 자기의 장치고유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1403). 여기서, 장치고유데이터로서는 장치, HD, CPU등의 연속번호등이 해당한다. 해제키는 컨텐츠 제공서버(1201)의 관리자등에서 구입하면 송신되어 오나, 그 해제키의 구입가격은 초기회의 이용시의 해제키의 가격보다 2회째의 이용시의 해제키의 가격이 저가로 되어 있다. 또,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해제키의 구입가격이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 라이센스키 관리부(1303)는 수신한 해제키와 취득한 장치고유데이터를 사용하여 특정환경해제키를 생성한다(스텝 S1404). 그 특정환경해제키는 해제키와 장치고유데이터에 관련한 것이면 좋으며, 그 생성방법에 대하여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다.
다음, 기록부(1301)에 의해 생성된 특정환경해제키와 사용자의 메일어드레스를 HB-CD(1207)의 RW영역에 보존한다(스텝 S1405). 그리고, 복호화부(1302)에 의해 특정환경키의 정당성을 판단한 후 정당하면 RW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은폐화 프로그램에 복호화 처리를 실시하고, 복호화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스텝 S1306).
한편, 컨텐츠 제공서버(1201)에서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행하여 진다. 도 15는 컨텐츠 서버(1207)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수준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컨텐츠 제공서버(1201)에서는 판매점, 가치점 또는 중고판매점의 서버(1202) 및 사용자 PC(1203, 1204)등의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해석키의 요구, HB-CD 고유데이터(플래슈치), 사용자의 메일어드레스를 수신하면(스텝 S1501) 요구가 있던 컨텐츠 실행장치에 해제키를 송신한다(스텝 S1502).
그리고, 사용자 이용이력 데이터베이스(1206)에 수신한 HB-CD 고유데이터(플 래슈치)에 대응시켜 수신하는 메일어드레스를 이용이력으로서 기록한다(스텝 S 1503).
도 16은 사용자 이용이력 데이터베이스(1206)의 1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에 나타난 것 같이 HV-CD 고유데이터(프레임치)에 대응하여 그 HB-CD(1206)의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메일어드레스가 이력으로서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 사용자 이용이력 데이터베이스(1206)에서 HB-CD(1207)의 컨텐츠의 첫회 이용시의 사용자의 메일어드레스를 판독하여, 그 메일어드레스의 사용자에 포인트 정보를 송신하고(스텝 S1504) 포인트 환원을 행한다. 예로써, 도 12에 있어서 사용자 A가 첫회 이용시의 사용자이며, 사용자 A가 컨텐츠를 기록한 HB-CD (1206)를 사용자 B에 양도하여 사용자 B가 해제키의 요구를 행할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서버(1201)는 첫회 이용시의 사용자 A에 대해서 포인트 환원을 행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 4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컨텐츠의 2회째 이후의 이용시에 해제키의 구입가격은 감소시키고 있으나, 컨텐츠 제공시부터 일정시간 경과후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제키의 구입가격은 감소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서버(1201)에 있어서, 사용자 이용이력 데이터베이스(1206), 또한 컨텐츠의 이용시일을 기록하여 놓고, 첫회의 이용일시부터 미리 정해 놓은 기간경과후에 해제키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 해제키의 구입가격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4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는 사용자 PC(1203)(컨텐츠 실행장치)의 장치고유데이터에서 특정환경해제키를 생성하여 RW영역에 기록하고 있으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컨텐츠와 동일하게 컨텐츠를 미리 복수의 컨텐츠로 분 할하여 HB-CD(1207)에 기록하여 놓고, 분할된 컨텐츠의 일부의 이용을 종료하여 다음의 일부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 여기에서 이용하는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해제키를 구입하여 실행가능하게 함으로써, 분할컨텐츠의 복수회의 이용을 제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일부의 컨텐츠에 대하여는 해제키의 구입에 의해 이용제한을 해제가능하게 하여 실행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을 이용하며, 다른 컨텐츠에 대하여는 이용제한 해제불가능하게 하여, 실행가능한 상태로 않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4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특정환경 해제키를 컨텐츠를 실행하는 장치에 고유의 정보인 장치고유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HB-CD(1207)의 RW영역에 라이트되어 있으므로 특정환경해제키를 생성한 컨텐츠 실행장치 이외의 컨텐츠 실행장치에서는 별도의 컨텐츠 제공서버에 액세스하여 해제키를 수신하며, 그 장치의 장치고유데이터를 사용하여 새로운 특정환경해제키를 생성하지 않는 한, HB-CD(1207)에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할 수가 없다. 그 때문에, HB-CD(1207)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부정이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 4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는 해제키의 구입액이 이용할 때마다 저가로 되므로, 컨텐츠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가 있다. 또, 이용할 때마다의 해제키의 차액이 중고의 컨텐츠의 가치로 볼 수 있으므로, 중고컨텐츠의 유통가격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5
실시의 형태 5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게임프로그램 및 음악, 영상데이터등의 컨텐츠를 HB-CD에서 인스털한 경우에 HB-CD에 기록되어 있는 라이센스수를 감소하며, 컨텐츠를 인스털하지 않은 경우에 HB-CD에 기록되어 있는 라이센스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도 17은 본 실시의 형태으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컨텐츠 제공서버(1701)는 게임프로그램 및 음악, 영상데이터등의 컨텐츠의 해제키를 사용자 PC(1702)(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는 것이다. 컨텐츠 제공서버(1701)와 사용자 PC(1702)는 인터넷등의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5에서도 사용자 PC를 컨텐츠 실행장치로서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게임프로그램을 전용으로 실행하는 게임장치를 컨텐츠 실행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PC(1702,1703)와 같이 컨텐츠를 HB-CD(1705)에서 인스털하면, HB-CD(1705)의 RW영역의 라이센스수를 감소시켜 사용자 PC(1704)와 같이 컨텐츠를 인스털하지 않으면 HB-CD(1705)의 RW영역의 라이센스수를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도 18은 본 실시의 형태 5의 컨텐츠 실행장치인 사용자 PC(1702)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PC(1702)는 도 18에 나타난 것 같이, 관리부 (1804)와, 복호화부(1802)와, 라이센스키 관리부(1803)와, HB-CD 인터페이스부 (606)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관리부(1804)는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의 유효화부(604)와 동일하게 HB-CD(1705)에서 기동되었나 아닌가를 HB-CD의 고유데이터를 나타내는 프레임치를 체크함으로써 판단하여, HB-CD(1705) 이외에서 기동되는 경우, 즉 부정복사된 CD등에서 기동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그 판단처리는 실시의 형태 2의 유효화부(604)에서의 판단처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복호화부(1802)는 해제키가 정당한 경우에, HB-CD의 은폐화 프로그램을 복호화하는것이다.
라이센스키 관리부(1803)는 은폐화 프로그램의 복호화의 경우에 복호화를 가능케하는 하기 위한 해제키의 요구 및 취득을 행하는 것이다. 또, 라이센스키 관리부(1003)은 HB-CD(1701)의 RW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라이센스수의 증감을 행한다.
HB-CD 인터페이스부(6006)은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와 동일하게 HB-CD(605)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다.
HB-CD(1705)에는 고유영역에 프레임치, ROM영역에는 은폐화 프로그램이 이미 기록되어, RW영역에는 라이센스수, 라이센스(해제키)가 라이드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5의 컨텐츠 실행장치(1702)도 통상의 컴퓨터의 구성으로 하는 외에, 게임전용의 게임장치로서 구성하여도 된다.
다음,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의 형태 5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의한 컨텐츠 실행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사용자 PC(1702)의 라이센스키 관리부 (1803)에 의한 컨텐츠의 라이센스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라이센스키 관리부(1803)는 인스털이 행하여졌나 아닌가를 판단하여(스텝 S1901), 행하여져 있는 경우에는, HB-CD(1705)의 RW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라이센스 수를 1만큼 감소한다(스텝 S1902). 또, 라이센스키 관리부(1803)는 비인스털이 행하여졌나 아닌가를 판단하여(스텝 S1903), 행하여져 있는 경우에는 RW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라이센스수를 1만큼 증가한다(스텝 S1904).
또, 라이센스수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PC(1702)에 컨텐츠 제공서버(1701)에 대해서 라이센스의 요구를 행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서버(17 01)는 추가분의 해제키를 사용자 PC(1702)에 송신한다. 사용자 PC(1702)에서는 HB-CD(1705)의 라이센스수에 추가분의 라이센스수를 감산하여 라이트한다.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5의 컨텐츠 제공시스템에서는 HB-CD에 기록된 컨텐츠를 인스털했을 때에, 컨텐츠의 라이센스수를 감소시켜 있으므로 1개의 컨텐츠를 복수의 기기에 부정하게 인스털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인스털된 컨텐츠를 비인스털 했을 때에, HB-CD에 기록되어 있는 라이센스수를 증가시켜 있으므로 라이센스를 구입한 동일인의 사용자가 형편에 의해 컨텐츠를 별도의 기기에 이행하는 것을 라이센스의 제약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6
실시의 형태 6의 컨텐츠 대여시스템은 컨텐츠의 임대시에 임대점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의 설정을 행함으로서, 컨텐츠의 임대회수를 정확하게 관리하여 임대허락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다.
도 20은 본 실시의 형태 6의 컨텐츠 대여시스템에서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에 나타난 라이센스서버(2004)와 컨텐츠 해제장치(2001)는 인터넷등의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라이센스서버(2004)는 게임프로그램, 음악, 영상데이터등의 컨텐츠가 기록된 HB-CD(2003)를 임대점에 제공하는 컨텐츠의 제공원에 설치되어, 컨텐츠에 대한 한정 해제키를 발행하는 것이다.
그 한정 해제키는 일정기간에만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키이며, 이용가능기한이 설정되어 있다.
컨텐츠 해제장치(2001)는 임대점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컨텐츠의 임대시에 라이센스서버(2004)에 액세스하여, 임대대상의 컨텐츠의 한정 해제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한정 해제키를 HB-CD(2003)의 RW영역에 라이트하는 것이다.
임대점은 그 컨텐츠에 대한 한정 해제키를 라이트한 HB-CD(2003)를 대여한다. HB-CD(2003)의 임대를 받은 사용자는 사용자 PC(2002)(컨텐츠 실행장치)에 의해 HB-CD(2003)에 기록된 컨텐츠를 재생실행하나, 제정 해제키에 설정된 이용가능기한을 경과한 경우에는 컨텐츠의 이용기간이 종료하여, 컨텐츠의 실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HB-CD(2003)을 임대점에 반환된다.
임대점에 있어서 반환된 HB-CD(2003)을 재대여하는 경우에는 컨텐츠 해제장치(2001)는 라이센스서버(2004)에 액세스하여 새로운 이용가능기한이 설정된 한정 해제키를 취득하여, HB-CD(2003)의 RW영역에 라이트하고, 사용자에 대여한다. 여기서, 라이센스서버(2004)는 임대점의 컨텐츠 해제장치(2001)에서 한정 해제키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 HB-CD(2003)의 프레임치등의 고유데이터, 송부한 한정 해제키 및 그외의 임대일 시, 임대점의 컨텐츠 해제장치(2001)의 IP어드레스등의 식별데이 터를 라이센스이력 데이터베이스(2006)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의 임대회수를 일괄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6에서도 사용자 PC를 컨텐츠 실행장치로서 사용하고 있으나, 그의 게임프로그램을 전용으로 실행하는 게임장치를 컨텐츠 실행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컨텐츠 해제장치(2001)는 통상의 컴퓨터의 구조이다.
도 21은 본 실시의 형태 6의 컨텐츠 해제장치(2001)는 도 21에 나타난 것 같이, 관리부(2001)와, 기록부(2001)와, 라이센스키 관리부(2103)와, HB-CD 인터페이스부(606)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관리부(2104)는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의 유효화부(604)와 마찬가지로 HB-CD(2003)에서 기동되었나 아닌가를 HB-CD의 고유데이터를 나타내는 프레임치를 체크함으로써 판단하여 HB-CD(2003) 이외에서 기동된 경우, 즉 부정복사된 CD등에서 기동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그 판단처리는 실시의 형태 2의 유효화부(604)에서의 판단처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라이센스키 관리부(2103)는 컨텐츠의 임대시에 라이센스서버(2004)에 대해서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송신하고, 라이센스서버(2004)에서 발행되는 한정 해제키를 수신하는 것이다.
기록부(2101)는 라이센스키 관리부(2103)에 의해 수신하여 한정 해제키를 HB-CD(2003)의 RW영역에 라이트하는 것이다.
도 22는 컨텐츠 실행장치인 사용자 PC(2002)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PC(2002)는 도 22에 나타낸 것 같이, 관리부(2204)와, 복호화부 (2402)와, 유효화부(2006)와, HB-CD 인터페이스부(606)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관리부(2204)는 컨텐츠 해제장치(2001)의 관리부(2104)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복호화부(2202)는 HB-CD(2003)에 기록되어 있는 은폐화 프로그램을 참조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여 HD(도면 생략)등에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것이다.
유효화부(2206)은 HD-CD(2003)의 RW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유효화 프로그램을 실행하므로써 주기억장치상에 생성되는 것이다. 또, 그 유효화 프로그램은 HB-CD(2003)의 RW영역에 컨텐츠 해제장치(2001)에 의해 라이트된 한정 해제키를 판독하여, 게임프로그램등의 컨텐츠를 이용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HB-CD 인터페이스부(606)는 실시의 형태 2의 컨텐츠 실행장치(600)와 동일하게 HB-CD(605)에 대한 리드처리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다.
HB-CD(2003)에는 고유영역에 프레임치, ROM영역에는 은폐화 프로그램과 유효화 프로그램이 사전에 기록되며, RW영역에는 컨텐츠 해제장치(2001)에 의해 한정 해제키가 라이트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한정 해제키에는 컨텐츠의 이용가능기한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의 형태 6의 컨텐츠 대여시스템에 의한 컨텐츠 해제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컨텐츠로서 게임프로그램등을 임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그외 음악데이터, 영상데이터등의 컨텐츠의 경우도 동일하다.
임대점에서도 사용자에 컨텐츠가 기록된 HB-CD(2003)를 대출하는 경우에, 컨 텐츠 해제장치(2001)에 의해 한정 해제키를 라이센스서버(2004)에서 취득한다. 도 23은 임대점의 컨텐츠 해제장치(2001)에 의한 한정 해제키의 취득처리 및 HB-CD(2003)에의 라이트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그러면, 먼저 라이센스키 관리부(2103)에 의해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라이센스서버(2004)에 송신한다(스텝 S2301). 그리고, 라이센스키 관리부(2103)은 라이센스서버(2004)에서 발행된느 한정 해제키를 수신한다(스텝 S2302).
다음, 기록부(2101)는 라이센스키 관리부(2103)에 의해 수신한 한정 해제키를 HD-CD(2003)의 RW영역에 기록한다(스텝 S2303).
이에 따라, 컨텐츠의 일시적인 이용제한이 해제가능하게 된다.
다음, 사용자 PC(2002)에 의해, 그와 같이 한정 해제키가 기록된 HB-CD (2003)의 컨텐츠의 실행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는 사용자 PC(2002)에 의한 컨텐츠 실행처리의 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유효화부(2206)는 먼저 HB-CD(2003)의 RW영역에서 한정 해제키를 판독한다(스텝 S2401). 그리고, 현재일시가 판독한 한정 해제키에 설정되어 있는 이용가능기한보다 이전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 S2402).
그리고, 이용가능기한 보다 이전인 경우에는 프로그램이 아직 이용가능하다고 판단하며, 복호화부(2202)에 의해 HB-CD(2003)에 기록된 은폐화 프로그램을 외부에 참조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고(스텝 S2403), 유효화부(2206)에 의해 복호화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스텝 S2404).
한편, 스텝S2402에 있어서, 현재일시가 이용가능기한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유효화부(2206)에 의해 이용가능기한 완료인 취지의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여(스텝 S2405), 은폐화 프로그램의 복호화 및 실행을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용가능기한이 경과후의 HB-CD(2003)은, 임대점에 반환되나, 임대점에서 이용 종료끝의 HB-CD(2003)를 대여하는 경우에는, 도 23에 나타난 컨텐츠 해제장치(2001)에 의한 한정 해제키의 취득처리를 행하고, 새로운 한정 해제키를 HB-CD(2003)에 라이트처리를 행한 후, 사용자에 대여하지 않으면 사용자PC(2002)로 컨텐츠의 실행을 행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6의 컨텐츠 대여시스템에서는, 컨텐츠 해제장치 (2001)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를 HB-CD (2003)의 RW영역에 기억하며, 사용자 PC(2002)에 의해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에 한정 해제키의 이용가능기한과 현재 일시에 의해 컨텐츠가 이용가능한가 어떤가를 판단하여 있으므로, 컨텐츠의 임대회수 및 임대료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가 있어 임대허락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컨텐츠의 대여를 받는 사용자측에서 라이센스서버(2004)에 인터넷을 통하여 액세스하여 한정 해제키를 취득할 필요가 없으며, 실행시에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된다.
또, 실시의 형태 6의 컨테츠 대여시스템에서, 이용가능기한만에 의해 컨텐츠가 이용 가능한가를 아닌가를 판단하고 있으므로, 이용회수의 카운트등을 HB-CD (2003)의 RW영역에 라이트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 PC(2002)는 HB-CD (2003)에의 기록드라이브등을 기록기구가 필요없게 되어, 간이한 구성으로 컨텐츠를 이용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6의 변형형태
상기 실시의 형태 6에서는, 한정 해제키에 컨텐츠의 이용가능기한이 설정되어 있었으나, 그외 한정 해제키에 이용가능회수가 설정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 PC(2002)에서는 프로그램등의 컨텐츠를 실행할때 마다 HB-CD의 RW영역에 기록된 한정 해제키의 이용가능회수를 감소시키는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도 25는 한정 해제키에 컨텐츠의 이용가능회수가 설정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사용자 PC(2002)(컨텐츠 실행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PC(2002)는 도 25에 나타나는 것 같이, 관리부(2204)와, 기록부(2501)와, 복호화부(2202)와, 유효화부(2506)와, HB-CD인터페이스부(2507)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리부(2204)와 복호화부(2202)는 도 22에 나타난 사용자 PC(2002)와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였으므로 동일부호를 부치고 설명을 생략한다.
HB-CD(2003)에는, 고유영역에 프레임치, ROM영역에는 은폐화 프로그램과 유효프로그램이 사전에 기록되며, RW영역에는 컨텐츠 해제위치(2001)에 의해 한정 해제키가 라이트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한정해제에는 컨텐츠의 이용가능회수가 설정되어 있다.
기록부(2501)는 사용자 PC(2002)에 이해 컨텐츠로서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마다, HB-CD(2003)의 ROW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유효화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서 주기억 장치상에 생성되며, HB-CD(2003)의 RW영역에 컨텐츠 해제장치(2001)에 의해 라이트된 한정 해제키를 판독하여 게임프로그램등의 컨텐츠의 이용여부를 판단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한정 해제키에 컨텐츠의 이용가능회수가 설정되어 있어, 컨텐츠의 실행시마다 이용가능회수가 기록부(2501)에 의해 1개씩 감소시킴으로, 유효화부 (2206)는 이용 가능회수가 0보다 큰가 아닌가에 따라 컨텐츠가 이용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있다.
다음, 사용자 PC(2002)에 의해, 그와 같이 한정 해제키가 기록된 HB-CD (2003)의 컨텐츠의 실행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은 사용자 PC(2002)에 의한 컨텐츠 실행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유효화부(2506)는, 먼저 NB-CD(2003)의 RW영역에서 한정 해제키를 판독한다(스텝 S2601), 그리고, 한정 해제키에 설정되어 있는 이용가능회수가 O보다 큰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S2602).
그리고, 이용가능회수가 0보다 큰 경우에는, 프로그램 또는 실행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복호화부(2202)에 의해 HB-CD(2003)에 기록된 은폐화 프로그램을 외부에서 참조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고(스텝 S2606), 유효화부(2506)에 의해 복호화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스텝 S2604). 그리고, 유효화부(2506)에 의해, HB-CD (2003)의 RW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한정 해제키의 이용가능회수를 1만 감소하여 기록한다(스텝 S2605).
한편, 스텝 S2602에 있어서, 이용가능회수가 0인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이미 이용가능회수분을 실행완료로 판단하여, 유효화부(2206)에 의해 이용가능회수를 초월한 취지의 에러메시지를 출력하고(스텝 S2606), 은폐화 프로그램의 복호화 및 실행을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용가능기한이 경과후의 HB-CD(2003)는, 임대점에 반환되나, 임대점에서의 이용종료완료의 HB-CD(2003)를 대여하는 경우에는, 도 23에 나타난 컨텐츠 해제상태(2001)에 의한 한정 해제키의 취득처리를 행하여, 새로운 한정 해제키를 HB-CD(2003)에 라이트처리를 행한 후, 사용자에 대여하지 않으면 사용자 PC (2002)로 컨텐츠의 실행을 행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6의 변형형태의 컨텐츠 대여시스템에서는, 컨텐츠 해제장치(2001)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를 HB-CD(2003)의 RW영역에 기록하고, 사용자PC(2002)에 의해,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에 한정 해제키의 이용가능회수에 의해 컨텐츠가 이용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있으므로, 컨텐츠의 임대회수 및 임대료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가 있어, 임대허락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6 및 그 변형형태에서는, 컨텐츠 해제장치(2001)가 임대시에 라이센스서버(2004)에 액세스하여 한정 해제키를 취득하여, HB-CD(2003)에 라이트하여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였으나, HB-CD(2003)의 판매가격에 복수회의 한정 해제키의 수령자격을 부여하여, 그 복수회를 종료한 시점에서 라이센스서버 (2004)에 액세스하여 새로운 복수회분의 한정키를 취득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실시의 형태 6 및 그 변형형태에서는, 임대점의 컨텐츠해제장치(2001)가 라이센스서버(2004)에 액세스하여 한정 해제키를 취득하여 있었으나, HB-CD(2003)를 대여된 사용자의 사용자 PC(2002)측에서 인터넷으로 라이센스서버(2004)에 액세스하여, 제한해제키를 취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의 형태 6 및 그 변형형태에서는, 임대점의 컨텐츠 해제장치 (2001)이 라이센스서버(2004)에 액세스하여 한정 해제키를 취득하고 있으나, 라이센스서버(2004)에 액세스않고 컨텐츠 해제장치(2001)이 한정 해제키를 생성하여, 생성된 한정 해제키를 HB-CD(2003)의 RW영역에 기록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제1, 제5, 및 제6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장치를 호출하여 해제키를 라이트만 함으로써, 사용자는 배포된 디스크형 기억매체내에 기록된 상품을 이용할 수가 있어, 특정의 상점에 갈 필요없이, 마음에 든 사람이 제품판의 상품을 손에 넣을 수가 있다. 따라서, 상품의 판매루트를 확대할 수가 있어, 상품의 이용가능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제2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형 기억매체에는 드라이브 장치에 설정한 채로 기동가능한 상품을 기록함으로써, 예로써 소프트웨어를 PC에 인스털하여 상태가 나빠도 치워버리지 않고, 그대로 기동하여 이용할 수가 있는 상품을 배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익숙하지 않아도 안심하고 이용가능케 할 수가 있어, 사용자의 범위를 넓힐 수가 있다.
또, 제3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형 기억매체에는, 해제키로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상품을 선택가능케 함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이용할 수가 있는 다종다양한 상품을 배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종다양한 상품을 용이하게 입수할 수가 있다.
또, 제4 및 제8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형 기억매체에는 배포장소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부여하여, 그 식별자의 입수를 조건으로 상품의 이용제한을 해제함으로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배포장소를 특정할 수가 있어, 그 배포장소의 정보를 활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판매점에 백마진을 지불하는 것이며, 사용자에 대한 통계등도 취할 수가 있다.
또, 제7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등록을 조건으로 상품의 이용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자 등록을 스스로 그리고 확실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가 있다.
또, 제9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다종다양한 상품을 기억하여 놓고 배포할 수가 있어, 임의로 상품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제10 발명에 의하면, 과금수속을 조건으로 상품의 이용제한을 해제할 수가 있어, 사용자에게 과금료를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개발비용등을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또, 제11 및 제12 발명에 의하면, 제공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부정복수하든가 부정이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13, 제14, 및 제15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이용 종료시에는 분할된 일부의 컨텐츠만이 이용 않되는 상태로 되어 컨텐츠의 부정한 재이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16 및 제17 발명에 의하면, 해제키의 구입액이 이용될 수록 저가로 되므로, 컨텐츠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이용마다의 해제키의 차액이 중고의 컨텐츠의 가격으로 볼 수도 있으므로, 중고 컨텐츠의 유통가격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18 발명에 의하면, 첫회의 구입사용자 자신이 컨텐츠의 재사용을 희망하므로서, 컨텐츠의 재이용의 촉진을 도모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19 발명에 의하면, 해제키의 구입액이 이용시마다 저가로 되므로, 컨텐츠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중고컨텐츠의 유통가격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20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소정회수 이용후에, 해제키의 구입액이 저가로 되어, 컨텐츠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21 발명에 의하면, 소정기간 경과후에 해제키의 구입액이 저가로 되어, 컨텐츠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22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장치고유의 정보를 가진 키로 해제할 수가 있어, 다른 기기로의 컨텐츠의 이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23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컨텐츠를 복수의 기기에 부정하게 인스털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24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일단 인스털한 경우에도 비인스털하므로 인하여 라이센스수가 증가하므로, 라이센스를 구입한 동일인의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서는 컨텐츠를 다른 기기에 이행하는 것을 라이센스의 제약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25, 제26 및 제27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수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가 있어, 컨텐츠이용자의 편이로 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28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컨텐츠를 복수의 기기에 부정하게 인스털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29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일단 인스털한 경우에도 비인스털하므로 인하여 라이센스수가 증가하므로, 라이센스를 구입한 동일인의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 컨텐츠를 다른 기기에 이행하는 것을 라이센스의 제약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30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대여하는 측에서 한정 해제키에 의해 컨텐츠를 임대회수 및 임대료(저작권 사용료)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가 있어, 임대허락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대여를 받은 사용자측에서 라이센스 취득 때문에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라이센스를 취득할 필요가 없게 되어, 컨텐츠 실행의 경우에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31, 제32, 제35 및 제36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서버측에서 한정 해제 키의 요구가 있던 경우에, 그 이력정보를 기록할 수가 있으므로, 라이센스 서버측에서도, 컨텐츠의 임대회수 및 임대료(제작권 사용료)를 정확하게 일괄관리할 수가 있어, 임대허락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고 효과를 나타낸다. 또, 이들의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대여를 받은 사용자측에서 라이센스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한정 해제키와 같은 라이센스를 취득할 필요가 없게 되어, 컨텐츠 실행의 경우에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된다.
또, 제33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렌털료(저작권 사용료)를 이용하가능기한에 따라 정확하게 관리할 수가 있고, 렌털 허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33 발명에 의하면, 이용회수의 카운트등을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할 필요가 없으므로 컨텐츠 실행장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기구가 필요 없게 되고 간이한 구성으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34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렌털회수 및 렌털료(저작권 사용료)를 이용가능회수에 따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고 렌털 허락을 원만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1)

  1. 해제키를 기록함으로써 이용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상품, 및 상기 소프트웨어 상품에 관련된 컨텐츠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해제키의 기록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추기(追記) 또는 개서(改書)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를 배포하는 공정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상기 해제키를 기록할 수 있는 드라이브장치가 접속된 단말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상품의 제공을 관리하는 서버장치를 호출하는 공정과,
    상기 해제키가 요구되었을 때에 상기 서버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해제키를 인도하는 공정과,
    상기 단말장치에서 수령한 상기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하는 공정과,
    상기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 상품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상품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는 상기 드라이브장치에 세트한 상태로 기동가능한 상품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는 상기 드라이브장치에 세트한 상태로 기동가능한 상품이 다수 기록되고, 상기 해제키는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상품을 선택가능하게 준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는 배포장소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식별자의 입수를 조건으로 상기 해제키를 상기 단말장치에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제공방법.
  5. 해제키를 기록함으로써 이용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상품, 및 상기 소프트웨어 상품에 관련된 컨텐츠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해제키의 기록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상기 해제키를 기록할 수 있는 드라이브장치에 접속된 단말장치와,
    상기 해제키를 보존하고 상기 상품의 제공을 관리하는 서버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호출되어 요구되었을 때에 상기 단말장치 에 상기 해제키를 인도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시키고, 상기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 상품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제공시스템.
  6. 네트워크를 통해서 호출가능하게 접속되고, 해제키를 기록함으로써 이용제한을 해제할 수 있도록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 상품을 관리하는 서버장치로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는 해제키를 기록함으로써 이용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상품, 및 상기 소프트웨어 상품에 관련된 컨텐츠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해제키의 기록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해제키를 보존하는 보존수단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가 세트된 드라이브장치가 접속된 단말장치로부터 호출된 것을 확인하는 접속확인수단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세트가 확인된 단말장치로부터 요구되었을 때에 상기 해제키를 인도해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제어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 상품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사용자 등록을 조건으로 상기 해제키를 상기 단말장치에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부여되어 있는 배포장소의 식별자의 입수를 조건으로, 상기 해제키를 상기 단말장치에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다수의 상품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상품에 대응하는 상기 해제키를 상기 단말장치에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키에 의해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상품에 대응하는 과금료를 결정하는 과금결정수단과, 상기 해제키를 요구하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과금료를 회수하기 위한 수속를 행하는 과금수속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장치.
  11. 네트워크에 접속된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의 실행이 종료된 후에 상기 컨텐츠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해제키의 요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는 송신공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로부터 상기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하여 실행대상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었던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는 키 송신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요구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전회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하는 키 취득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키 취득공정에 의해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컨텐츠 복호화를 해서 실행하는 복호화 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수신한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공정과,
    상기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12. 네트워크에 접속된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 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는,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의 실행이 종료된 후에 상기 컨텐츠를 재차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 해제키의 요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요구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전회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하는 키 관리수단과,
    상기 키 관리수단에 의해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해서 실행하는 복호화 수단과,
    상기 수신한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기록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해서 실행대상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었던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는 키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의 매체 식별정보와, 상기 매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를 이용한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대응시켜서 기록한 이용이력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이용이력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처음에 사용한 사용자의 컨텐츠 실행장치에 포인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
  14.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있어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 영역에 기록된 컨텐츠의 실행이 종료된 후에 상기 컨텐츠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해제키의 요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와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요구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의 전회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된 가격으로 구입해서,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하는 키 관리수단과,
    상기 키 관리수단에 의해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컨텐츠 복호화해서 실행하는 복호화 수단과,
    상기 수신한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기록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키 관리수단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의 소정회수의 실행이 종료된 후에 상기 컨텐츠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해제키의 요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요구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전번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한 가격으로 구입해서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키 관리수단은, 소정기간 경과후에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해제키의 요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고유정보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요구한 해제키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전번의 해제키 수신시보다 감액된 가격으로 구입해서,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키 관리수단은 또한, 상기 구입한 해제키를 수신한 후에 수신한 상기 해제키와 장치 고유정보에 따라 특정환경 해제키를 생성하고,
    상기 복호화 수단은, 상기 특정환경 해제키가 생성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해서 실행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특정환경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장치.
  18.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인스톨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를 감소시키는 라이센스 관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관리수단은 또한, 인스톨된 상기 컨텐츠를 언인스톨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상기 라이센스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관리수단은 또한, 컨텐츠 제공서버에 대해 상기 라이센스수의 추가를 요구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추가분의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된 라이센스수를 추가분의 라이센스수 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장치.
  21. 네트워크에 접속된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는,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 대해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의 추가를 요구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추가분의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된 라이센스수를 추가분의 라이센스수 만큼 증가시키는 키 관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의 추가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추가분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었던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
  22. 네트워크에 접속된 컨텐츠 제공서보로부터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 대해,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의 추가를 요구하는 키 요구공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의 추가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추가분의 해제키를 요구가 있었던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 송신하는 키 송신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추가분의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된 라이센스수를 추 가분의 라이센스수 만큼 증가시키는 키 관리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23.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방법에 있어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인스톨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의 라이센스수를 감소시키는 라이센스 관리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관리공정은 또한, 인스톨된 상기 컨텐츠를 언인스톨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상기 라이센스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방법.
  25. 사용자에게 대여하는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하는 컨텐츠 해제장치에 있어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해제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에, 네트워크에 접속된 라이센스 서버에 대해, 상기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송신해서 상기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상기 한정 해제키를 수신하는 키 관리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한정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해제장치.
  27.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하여 대여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장치에 있어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할 때에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실행가능한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유효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화 수단은 상기 컨텐츠를 실행할 때에, 현재 일시가 한정 해제키에 설정된 컨텐츠의 이용가능기한에 포함되는가의 여부를 판단해서, 현재 일시가 상기 이용가능기한에 포함되는 경우에 실행가능하다고 판단해서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실행한 경우에, 상기 한정 해제키에 설정된 컨텐츠의 이용가능회수를 감소시키는 기록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유효화 수단은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한정 해제키는 상기 이용가능회수가 0보다 큰가의 여부를 판단해서 상기 이용가능회수가 0보다 큰 경우에 실행가능하다고 판단해서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실행장치.
  30. 라이센스 서버와 네트워크로 접속된 컨텐츠 해제장치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하여 컨텐츠를 대여하고, 대여된 컨텐츠를 컨텐츠 실행장치에 의해 실행하는 컨텐츠 대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해제 장치는,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전용 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상기 라이센스 서버에 송신해서, 상기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상기 한정 해제키를 수신하는 키 관리수단과,
    수신한 상기 한정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역에 기록하는 기록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라이센스 서버는,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로부터 상기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한정 해제키를 요구가 있었던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는,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할 때에, 상기 한정 해제키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실행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실행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유효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대여시스템.
  31. 라이센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접속된 컨텐츠 해제장치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제한을 해제하여 컨텐츠를 대여하고 대여된 컨텐츠를 컨텐츠 실행장치에 의해 실행하는 컨텐츠 대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에서 추기 또는 개서 가능한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판독 전용영역에 기록된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이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상기 라이센스 서버에 송신하는 키 요구공정과,
    상기 라이센스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로부터 상기 한정 해제키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한정 해제키를 요구가 있었던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에 송신하는 키 송신공정과,
    상기 컨텐츠 해제장치에서, 상기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상기 한정 해제키를 수신한 경우에, 수신한 상기 한정 해제키를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의 기록가능영 역에 기록하는 기록공정과,
    상기 컨텐츠 실행장치에서, 상기 디스크형 기억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실행할 때에, 상기 한정 해제키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실행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실행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유효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대여방법.
KR1020060042914A 2002-02-27 2006-05-12 상품제공방법, 상품제공시스템, 서버장치, 컨텐츠제공시스템, 컨텐츠 대여시스템, 컨텐츠 실행장치, 컨텐츠해제장치, 컨텐츠 제공방법, 컨텐츠 실행방법 및 컨텐츠대여방법 KR20060080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50906 2002-02-27
JP2002050906 2002-02-27
JP2003030822A JP2003323515A (ja) 2002-02-27 2003-02-07 商品提供方法、商品提供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貸与システム、コンテンツ実行装置、コンテンツ解除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実行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貸与方法
JPJP-P-2003-00030822 2003-02-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995A Division KR20030071527A (ko) 2002-02-27 2003-02-26 상품제공방법, 상품제공시스템, 서버장치, 콘텐츠제공시스템, 콘텐츠 대여시스템, 콘텐츠 실행장치, 콘텐츠해제장치, 콘텐츠 제공방법, 콘텐츠 실행방법 및 콘텐츠대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141A true KR20060080141A (ko) 2006-07-07

Family

ID=295520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995A KR20030071527A (ko) 2002-02-27 2003-02-26 상품제공방법, 상품제공시스템, 서버장치, 콘텐츠제공시스템, 콘텐츠 대여시스템, 콘텐츠 실행장치, 콘텐츠해제장치, 콘텐츠 제공방법, 콘텐츠 실행방법 및 콘텐츠대여방법
KR1020060042914A KR20060080141A (ko) 2002-02-27 2006-05-12 상품제공방법, 상품제공시스템, 서버장치, 컨텐츠제공시스템, 컨텐츠 대여시스템, 컨텐츠 실행장치, 컨텐츠해제장치, 컨텐츠 제공방법, 컨텐츠 실행방법 및 컨텐츠대여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995A KR20030071527A (ko) 2002-02-27 2003-02-26 상품제공방법, 상품제공시스템, 서버장치, 콘텐츠제공시스템, 콘텐츠 대여시스템, 콘텐츠 실행장치, 콘텐츠해제장치, 콘텐츠 제공방법, 콘텐츠 실행방법 및 콘텐츠대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323515A (ko)
KR (2) KR200300715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4180A (ja) * 2003-12-15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電子機器端末、及び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US8370216B2 (en) 2005-03-04 2013-02-05 Amazon Technologies, Inc. Personalized preloading of digital content
US20060217996A1 (en) * 2005-03-23 2006-09-28 E2Interactive, Inc. D/B/A E2Interactive, Inc. Point-of-sale activation of media device account
CA2608705A1 (en) * 2005-05-17 2006-11-23 Telcordia Technologies, Inc. Secure virtual point of service for 3g wireless networks
JP4506738B2 (ja) * 2005-10-0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ホログラムシート
US20080288343A1 (en) * 2007-05-15 2008-11-20 Tp Lab Method and System to Process Digital Media Product Codes
JP5058697B2 (ja) * 2007-07-19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31292B1 (ko) * 2010-07-20 201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서비스 소비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JP6402965B2 (ja) * 2013-12-06 2018-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イセンス管理サーバー、ライセンスシステム、ライセンス管理サーバー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314486A1 (en) * 2015-04-22 2016-10-27 Hubbert Smith Method and system for storage devices with partner incentives
CN110366724B (zh) 2017-03-30 2023-03-31 株式会社OPTiM 计算机系统、许可证管理方法以及记录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527A (ko) 2003-09-03
JP2003323515A (ja) 200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0141A (ko) 상품제공방법, 상품제공시스템, 서버장치, 컨텐츠제공시스템, 컨텐츠 대여시스템, 컨텐츠 실행장치, 컨텐츠해제장치, 컨텐츠 제공방법, 컨텐츠 실행방법 및 컨텐츠대여방법
US7685636B2 (en) System, service, and method for enabling authorized use of distributed content on a protected media
JP4750038B2 (ja) 物理媒体上のマルチディアコンテンツを配信して再生するシステム、方法、およびサービス
US200600205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ata distribution and retrieval using encrypted media
US20090259684A1 (en) Digital content library service
JP2003515799A (ja) コンテンツの配布方法及び装置
US20120185308A1 (en) Method of protecting copyright of digital publication and the system therefor
JP2006331410A (ja) サーバから記録媒体へのコンテンツダウンロード方法及びこれに適した記録媒体
JP3332361B2 (ja) データ著作権保護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変換装置、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524523B2 (ja) 記憶媒体、ダウンロード方法及び端末装置
JP2001229229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配信システム、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およびこの配信システムから配信された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閲覧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584249B2 (en)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digital content
US20050241002A1 (en) Software program storage medium, software program rights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software program rights
JP2002032135A (ja) ソフトウェア配布システムおよびソフトウェア配布方法
TW200917782A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digital content
JP2003532952A (ja) フレキシブルなコンテンツの配布方法及び装置
JP2002353953A (ja) 利用形態制御機能を持つ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形態制御方法,提供者装置用プログラム,利用者装置用プログラム,提供者装置用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利用者装置用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およびコンテンツの部分販売システム
KR100698903B1 (ko) 저작권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컨텐츠 생성방법, 실행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2002132735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パッケージメディア用デジタル錠の施錠及び解錠システム
JP2002041818A (ja)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708089B1 (ko) 사운드 트랙 컨텐츠 애드 온 시스템 및 방법
JP2005326903A (ja) コンテンツの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システム、記録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67328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レンタルシステム、同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記録装置、同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再生装置、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記録用ソフトウエア及び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再生用ソフトウエ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