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090A -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090A
KR20060080090A KR1020050000636A KR20050000636A KR20060080090A KR 20060080090 A KR20060080090 A KR 20060080090A KR 1020050000636 A KR1020050000636 A KR 1020050000636A KR 20050000636 A KR20050000636 A KR 20050000636A KR 20060080090 A KR20060080090 A KR 20060080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hook
body plate
driv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김상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0090A/ko
Publication of KR20060080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09Coatings prepared by radiation-curing, e.g. using photopolymerisable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81Polyurethanes or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판(20)과, 상기 몸체판(20)의 양단에 구비되어 몸체판(20)과의 사이에 걸레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걸레잡이(24)와, 상기 몸체판(20)과 걸레잡이(24)의 상부를 차폐하고 중앙에 관통공(31)이 형성되는 커버(30)와, 상기 커버(30)의 관통공(31)과 대응되는 몸체판(20)상에 설치되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걸레잡이(24)를 몸체판(20)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구동시키는 중심기어(40)와, 상기 중심기어(40)에 구비되고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연동슬롯(45)을 구비하는 연동링부(43)와, 상기 관통공(31)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연동슬롯(45)을 관통하는 구동봉(57)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30)의 상하부로 승강되면서 상기 중심기어(40)를 회전시키는 구동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에 의하면 걸레를 잡아주기 위한 내부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으며, 걸레의 착탈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는 부분이 외부로 많이 돌출되지 않아 청소기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며, 걸레를 파지하기 위한 힘을 적절하게 설계하여 걸레를 보다 견고하게 잡을 수 있다.
청소기, 걸레, 착탈, 회전, 승강

Description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Floorcloth mounting unit for clean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캡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가 노즐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보인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요부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동링부의 연동슬롯을 따라 구동봉이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몸체판 22: 고정돌기
24: 걸레잡이 26: 래크기어레버
27: 래크기어 29: 연동기어
30: 커버 31: 연통공
33: 가이드리브 34: 승강요홈
36: 걸이부 37: 걸이홈
38: 누름편 40: 중심기어
41: 기어부 43: 연동링부
45: 연동슬롯 50: 구동캡
51: 내측벽 52: 외측벽
53: 링슬롯부 55: 걸이후크
57: 구동봉 59: 복원부재
70: 노즐 72: 흡입파이프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레를 청소기에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는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의 구성이 개략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걸레착탈유니트의 골격을 몸체판(1)이 형성한다. 상기 몸체판(1)은 대략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양단을 따라서는 고정돌기(3)가 다수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3)는 상기 몸체판(1)의 양단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돌기(3)가 구비된 몸체판(1)의 양단에는 걸레잡이(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레잡이(5)는 상기 고정돌기(3)가 형성된 몸체판(1)의 측단부에 각각 하 나씩 구비된다. 상기 걸레잡이(5)는 걸레를 상기 몸체판(1)의 양단에 밀착시켜 파지하게 된다. 상기 걸레잡이(5)의 양단에는 상기 몸체판(1) 양단의 걸레잡이(5)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래크기어레버(7)가 구비된다. 상기 래크기어레버(7)는 하나의 걸레잡이(5)에 두개씩 구비된다. 상기 래크기어레버(7)에는 그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래크기어(7')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판(1)의 중앙에는 중심기어(9)가 구비된다. 상기 중심기어(9)는 상기 양단의 걸레잡이(5)에서 연장된 래크기어레버(7)에 각각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중심기어(9)가 회전함에 의해 상기 래크기어레버(7)가 각각 상기 몸체판(1)에서 멀어지거나 몸체판(1)에 밀착되게 동작된다.
한편, 상기 중심기어(9)와 맞물린 래크기어레버(7)와 그렇지 않은 래크기어레버(7)사이에는 연동기어(1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래크기어레버(7)는 각각 상기 연동기어(11)를 통해 상기 다른 래크기어레버(7)에 상기 중심기어(9)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중심기어(9)에는 구동레버(13)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레버(13)는 일단부가 상기 중심기어(9)와 함께 회전되게 연결된다. 상기 구동레버(13)의 타단부는 상기 몸체판(1)의 일단부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구동레버(13)의 선단부가 구비되는 몸체판(1)의 일측에는 구동페달(15)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페달(15)은 일단부가 상기 몸체판(1)에 힌지핀(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연결되고, 선단부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페달(15)은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선단부가 몸체판(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 로 회전되게 별도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페달(15)의 선단에는 걸이후크(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페달(15)의 일측에는 연동링크(17)가 연결된다. 상기 연동링크(17)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페달(15)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레버(13)의 선단과 일체로 동작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페달(15)의 선단이 승강됨에 의해 상기 연동링크(17)가 상기 구동레버(13)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페달(15)의 선단에 형성된 걸이후크(16)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이 상기 몸체판(1)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몸체판(1)의 상면 일측에는 걸이레버(1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레버(18)에는 걸이후크(16)가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상기 걸이레버(18)는 상기 걸이후크(16)와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스프링(18')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다.
상기 몸체판(1)의 상면에는 커버(19)가 설치되어 상기 몸체판(1) 상면에 구비된 구성을 차폐한다. 하지만, 상기 구동페달(15)이 구비되는 부분에는 페달윈도우(1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구동페달(15)을 사용자가 밟으면, 상기 연동링크(17)가 상기 구동레버(13)를 회동시켜, 상기 구동레버(13)에 의해 상기 중심기어(9)가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중심기어(9)의 시계방향 회전은 상기 래크기어레버(7)가 도 1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걸레잡이(5)가 상기 몸체판(1)의 양단에 밀착되게 한다. 즉, 상기 걸레잡이(5)는 걸레의 가장자리를 끌고 들어가, 상기 몸체판(1)과 걸레잡이(5)의 사이에 걸레의 가장자리가 끼이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3)는 걸레가 상기 몸체판(1)과 걸레잡이(5)사이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구동페달(15)은 상기 몸체판(1)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걸이후크(16)가 상기 걸이레버(18)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페달(15)은 상기 몸체판(1)에 밀착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다. 상기 걸레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페달(15)의 선단이 상부로 돌출되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1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걸이레버(18)를 눌러주면 된다. 걸이레버(18)가 눌러짐에 의해 상기 걸이레버(18)와 걸이후크(18)사이의 결합은 해제되고 상기 구동페달(15)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선단이 들어올려 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레버(13)도 상기 연동링크(17)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중심기어(9)를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걸레잡이(5)가 상기 몸체판(1)에서 떨어지면서 걸레가 몸체판(1)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구동페달(15)을 사용하므로, 상기 구동페달(15)의 동작을 위해 커버(19)에 페달윈도우(19')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페달윈도우(19')를 통해 커버(19)의 내부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부구조가 노출되므로, 페달윈도우(19') 내부로 어린이가 손을 넣게 되면 안전사고를 당할 위험도 있다.
다음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구동페달(15)의 회전이 연동링크(17)와 구동레버(13)를 통해 중심기어(9)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연동링크(17)의 행정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페달(15)이 회전되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커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페달(15)의 선단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올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페달(15)이 상기 커버(19)의 상부로 많이 들어올려지게 되면, 사용자가 구동페달(15)을 밟는 것이 어렵고, 외부의 다른 물체와 충돌하여 구동페달(15)이 파손될 위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구동페달(15)이 들어올려지는 정도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면 연동링크(17)의 행정이 짧아지면서 걸레가 상기 걸레잡이(5)에 의해 견고하게 잡아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걸레를 잡기 위한 내부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걸레를 파지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는 부분이 상부로 지나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걸레를 파지하기 위해 구동되는 부분의 행정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양단에 구비되어 몸체판과의 사이에 걸레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걸레잡이와, 상기 몸체판과 걸레잡이의 상부를 차폐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몸체판상에 설치되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걸레잡이를 몸체판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구동시키는 중심기어와, 상기 중심기어에 구비되고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연동슬롯을 구비하는 연동링부와, 상기 관통공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연동슬롯을 관통하는 구동봉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의 상하부로 승강되면서 상기 중심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의 관통공 가장자리 양단에는 상기 연동슬롯을 관통한 상기 구동보의 선단이 안내되는 승강요홈이 형성된 가이드리브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슬롯은 상기 연동링부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소정의 리이드각과 피치를 가지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레잡이에는 래크기어가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래크기어레버가 각각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래크기어레버는 중심기어 및 연동기어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걸레잡이를 구동한다.
상기 구동캡의 양단에는 걸이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연통공 양단에는 상기 걸이후크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캡의 걸이후크가 커버의 걸이부에 걸어진 상태에서 걸레가 몸체판에 걸레잡이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구동캡과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는 복원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걸이후크와 걸이부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기 복원부재에 의해 구동캡이 동작된다.
상기 걸이부에는 상기 걸이후크가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 에는 상기 걸이홈에서 걸이후크가 해제되게 하는 힘을 전달받는 누름편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에 의하면 걸레를 잡아주기 위한 내부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으며, 걸레의 착탈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는 부분이 외부로 많이 돌출되지 않아 청소기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며, 걸레를 파지하기 위한 힘을 적절하게 설계하여 걸레를 보다 견고하게 잡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캡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몸체판(20)은 걸레착탈유니트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판(20)은 평면도로 볼 때,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판(20)의 양단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고정돌기(22)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22)는 상기 몸체판(20)의 양단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돌기(22)가 구비된 몸체판(20)의 양단에는 걸레잡이(24)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레잡이(24)는 상기 고정돌기(22)가 형성된 몸체판(20)의 측단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걸레잡이(24)는 걸레를 상기 몸체판(20)의 양단에 밀착시켜 파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걸레잡이(24)에는 상기 고정돌기(22)가 삽입 되는 요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은 상기 고정돌기(22)의 직경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걸레가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레잡이(22)에는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반대쪽의 걸레잡이(22)를 향해 연장되게 래크기어레버(26)가 구비된다. 상기 래크기어레버(26)는 하나의 걸레잡이(22)에 두개씩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 래크기어레버(26)가 반드시 하나의 걸레잡이(22)에 두개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걸레잡이(22)는 상기 래크기어레버(26)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래크기어레버(26)는 상기 몸체판(20)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크기어레버(26)의 선단에 상기 걸레잡이(22)가 상기 몸체판(20)의 고정돌기(22)쪽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가지도록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래크기어레버(26)에는 그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을 따라 래크기어(27)가 형성된다. 상기 래크기어(27)는 상기 래크기어레버(26)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걸레잡이(24)의 양단이 동일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래크기어레버(26)가 걸레잡이(24)의 양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래크기어레버(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중심기어(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것과 래크기어레버(26)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것이 있다. 래크기어레버(26)사이에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서 연동기어(29)가 상기 몸체판(20)상에 구비된다.
상기 몸체판(20)의 상부는 커버(3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몸체판(20)뿐만 아니라, 걸레잡이(24)까지 상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30)의 중앙에는 관통공(3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1)은 아래에서 설명될 중심기어(40)의 연동링부(43)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31)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가이드리브(3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3)는 상기 커버(30)의 상면에서 상부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3)의 일면, 즉 상기 관통공(31)의 중심을 향하는 면에는 승강요홈(34)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요홈(34)은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봉(57)의 선단이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리브(33)에 인접한 위치에는 걸이부(36)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36)는 상기 관통공(31)의 중심에서 상기 가이드리브(33)보다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36)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캡(50)의 걸이후크(55)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부(36)는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걸이부(36)의 일측에는 걸이홈(3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37)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리브(33)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37)에는 걸이후크(55)가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상기 걸이부(36)에는 누름편(38)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편(38)은 상기 걸이홈(37)이 형성된 반대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편(38)이 눌러지면 걸이부(36)에 탄성변형이 발생하면서 상기 걸이홈(37)에 걸려 있던 걸이후크(55)가 풀어지도록 한다.
상기 몸체판(20)상에는 상기 래크기어레버(26)를 구동하기 위한 중심기어(40)가 설치된다. 상기 중심기어(40)의 기어부(41)에는 그 외주면을 둘러 상기 래 크기어레버(26)의 래크기어(27)와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부(41)와 일체로 연동링부(43)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링부(43)는 상기 기어부(41)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동링부(43)를 관통하여서는 연동슬롯(45)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45)은 나선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45)은 상기 연동링부(4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연동슬롯(45)의 리이드각과 피치 등은 상기 중심기어(40)의 회전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상기 연동링부(43)는 상기 연통공(31)의 내측 가장자리에 위치된다. 즉, 상기 커버(30)가 상기 몸체판(20)을 차폐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동링부(43)는 상기 연통공(31)내에 위치된다. 이 중 상기 연동슬롯(45)은 상기 가이드리브(33)의 승강요홈(34)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구동캡(50)은 외력에 의해 눌러져서 상하로 승강되도록, 상기 커버(30)의 연통공(31)상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캡(50)의 상면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내측벽(51)과 외측벽(51)이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51)과 외측벽(51)에 의해 링슬롯부(53)가 형성된다. 상기 링슬롯부(53)에는 상기 연동링부(43)가 위치된다.
상기 구동캡(50)의 외측 양단에는 걸이후크(55)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55)는 각각 상기 커버(30)의 걸이부(3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55)는 상기 걸이부(36)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구동캡(50)의 내측벽(51)에는 구동봉(57)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봉(57) 은 그 일단부가 상기 구동캡(50)의 내측벽(51)에 지지된다. 상기 구동봉(57)은 상기 중심기어(40)의 연동링부(43)에 형성된 연동슬롯(45)을 관통하여,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리브(33)의 승강요홈(34)에 안착된다. 상기 구동봉(57)은 상기 구동캡(50)의 내측벽(51)을 관통하여 상기 링슬롯부(53)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봉(57)은 상기 구동캡(50)의 승강운동을 상기 중심기어(40)의 회전운동으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구동캡(50)의 링슬롯부(53)에는 상기 구동캡(50)이 상기 커버(30)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되려는 힘을 제공하는 복원부재(59)가 구비된다. 상기 복원부재(59)는 일단부가 상기 커버(30)측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캡(50)에 지지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이드리브(33)와 이에 대응되는 링슬롯부(53)의 내면에 복원부재(59)의 양단부가 각각 지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걸레착탈유니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의 노즐(70)의 하부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즉, 상기 노즐(70)의 하면에 상기 걸레착탈유니트의 상면이 장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노즐(70)을 걸레착탈유니트상에 위치시키고 흡입파이프(72)를 사용하여 힘을 가해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캡(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걸레잡이(24)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걸레가 걸레잡이(24)에 의해 몸체판(2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는 도 7a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캡(50)은 상기 복원부재(59)의 복원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커버(3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이고, 상기 구동봉(57)이 상기 연동슬롯(45)의 최상부에 위치된다. 물론 상기 구동봉(57)의 선단도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요홈(34)의 최상단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캡(50)을 상기 커버(30)의 상면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구동캡(50)이 복원부재(59)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강한다. 이때, 상기 구동봉(57)은 상기 구동캡(50)과 함께 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봉(57)의 선단은 상기 승강요홈(34)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봉(57)이 상대적으로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중심기어(40)의 연동슬롯(45)을 관통한 상태의 구동봉(57)은 상기 연동슬롯(45)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이 구동봉(57)이 연동슬롯(45)을 통해 안내되면 상기 중심기어(40)가 회전된다.
상기 중심기어(40)가 회전하면 그 기어부(41)의 기어치가 치합되어 있는 래크기어(27)가 형성된 래크기어레버(26)가 이동된다. 상기 래크기어레버(26)가 각각 반대쪽의 걸레잡이(24)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걸레잡이(24)가 상기 몸체판(20)의 측면으로 근접하면서 걸레를 몸체판(20)과 걸레잡이(24)의 사이에 물리게 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걸레잡이(24)와 몸체판(20)의 사이에 걸레의 양단부가 각각 물리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구동캡(50)의 걸이후크(55)는 상기 커버(30)에 형성된 걸이부(36)의 걸이홈(37)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캡(50)은 상기 복원부재(59)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상기 커버(30)에 걸어져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걸레잡이(24)가 상기 몸체판(20)에 보다 밀착되어 걸레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슬롯(45)의 리드각(φ)을 크게 하거나, 피치(h)를 크게 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판(20)에서 걸레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캡(50)이 상기 커버(30)의 상부로 돌출되어야 한다. 즉, 상기 걸이부(36)의 누름편(38)을 눌러주면, 상기 걸이홈(37)에서 상기 걸이후크(55)가 분리되면서, 상기 복원부재(59)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동캡(50)이 상승된다. 이때, 상기 구동캡(50)의 양단에 걸이후크(55)가 있어, 양단의 걸이부(36)를 각각 동작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어느 일측의 걸이부(36)를 동작시키더라도 상기 구동캡(50)이 커버(30)에서 분리되어 상승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일단, 상기 걸이후크(55)가 상기 걸이홈(37)에서 분리되면 상기 구동캡(50)은 상기 복원부재(59)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된다. 이와 같은 구동캡(50)의 상승에 의해 상기 구동봉(57)도 함께 상승된다. 상기 구동봉(57)의 일단은 상기 구동캡(50)과 함께 상승하고, 상기 구동봉(57)의 선단은 상기 가이드리브(33)의 승강요홈(34)을 따라 상승한다.
이와 같이 구동봉(57)이 상승하면서 상기 중심기어(40)의 연동슬롯(45)과 연동되어 상기 중심기어(40)가 회전되게 한다. 상기 중심기어(40)가 회전하면 상기 걸레잡이(24)가 몸체판(2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작되어 걸레가 몸체판(20)에서 분리되게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캡(50)이 그 중앙이 관통되게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구동캡(50)에 관통된 부분이 없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봉(57)이 상기 구동캡(50)에만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중심기어(4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굳이 선단을 상기 승강요홈(34)을 따라 안내되게 할 필요는 없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구동캡이 커버에 대해 승강되고, 상기 구동캡의 승강을 나선형 연동슬롯의 리이드각 및 피치를 적절하게 설계함에 의해 중심기어의 회전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캡은 커버의 상하부로 소정 행정만큼만 승강되므로 커버 내부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구동캡은 승강만 되고, 구동캡의 승강운동은 중심기어의 연동슬롯에 의해 증폭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캡이 커버의 상부로 많이 돌출되지 않아도 되므로 청소기의 노즐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 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중심기어에 형성되는 연동슬롯의 리이드각이나 피치를 적절하게 설계함에 의해 걸레가 몸체판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걸레가 걸레착탈유니트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어 청소가 보다 원활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양단에 구비되어 몸체판과의 사이에 걸레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걸레잡이와,
    상기 몸체판과 걸레잡이의 상부를 차폐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몸체판상에 설치되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걸레잡이를 몸체판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구동시키는 중심기어와,
    상기 중심기어에 구비되고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연동슬롯을 구비하는 연동링부와,
    상기 관통공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연동슬롯을 관통하는 구동봉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의 상하부로 승강되면서 상기 중심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관통공 가장자리 양단에는 상기 연동슬롯을 관통한 상기 구동보의 선단이 안내되는 승강요홈이 형성된 가이드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슬롯은 상기 연동링부의 서로 마 주보는 위치에 소정의 리이드각과 피치를 가지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잡이에는 래크기어가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래크기어레버가 각각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래크기어레버는 중심기어 및 연동기어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걸레잡이를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캡의 양단에는 걸이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연통공 양단에는 상기 걸이후크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캡의 걸이후크가 커버의 걸이부에 걸어진 상태에서 걸레가 몸체판에 걸레잡이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캡과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는 복원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걸이후크와 걸이부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기 복원부재에 의해 구동캡이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에는 상기 걸이후크가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에는 상기 걸이홈에서 걸이후크가 해제되게 하는 힘을 전달받는 누름편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KR1020050000636A 2005-01-04 2005-01-04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KR20060080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636A KR20060080090A (ko) 2005-01-04 2005-01-04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636A KR20060080090A (ko) 2005-01-04 2005-01-04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090A true KR20060080090A (ko) 2006-07-07

Family

ID=3717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636A KR20060080090A (ko) 2005-01-04 2005-01-04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00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180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position of a dishware basket which can be pulled out from the rinsing container of a dishwasher
US20110116861A1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JP4616915B2 (ja) 台車の制動構造
JP2011092441A (ja) 脚及びこれを利用した天板付き家具
EP2303088B1 (en) Combination of wringing mechanism and container
KR20060080090A (ko)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JP5997913B2 (ja) 電動日射遮蔽装置のモーターユニット取付装置
EP0860649A2 (en) Emergency light
JP2008027755A (ja) 配線ダクト用の取付具
KR200277539Y1 (ko) 호스릴
KR102157040B1 (ko) 휠 승강식 립스틱
WO2014077250A1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16101472A (ja) 履物
CN108454688B (zh) 卡合机构及婴儿车
CN215686760U (zh) 一种锅盖组件及压力烹饪器具
CN217390456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CN210748713U (zh) 烹饪器具
CN212307766U (zh) 洗碗机
JPH0537926Y2 (ko)
JP6574339B2 (ja) 上げ下げ窓
CN212438385U (zh) 手柄与锅具
JP7253137B2 (ja) 便座装置
JP7417807B2 (ja) 電気掃除機
CN215686735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3007927U (ja) 机用サイドチェ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