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508A -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508A
KR20060078508A KR1020040118474A KR20040118474A KR20060078508A KR 20060078508 A KR20060078508 A KR 20060078508A KR 1020040118474 A KR1020040118474 A KR 1020040118474A KR 20040118474 A KR20040118474 A KR 20040118474A KR 20060078508 A KR20060078508 A KR 20060078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nds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756B1 (ko
Inventor
민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756B1/ko
Priority to CNB2005100971444A priority patent/CN100490462C/zh
Publication of KR20060078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일체로 형성되고 핸즈프리 이어폰으로 사용이 가능한 스피커부를 제공함으로써 음성통화를 할 때 별도의 핸즈프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해 상기 핸즈프리를 항상 휴대할 필요가 없고 또한 핸즈프리를 휴대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핸즈프리의 분실위험성이 없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입력 음성신호를 전기적 데이터신호로 복조하는 마이크로폰이 구비된 마이크부가 포함되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결합되며 수신된 무선신호를 출력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부가 포함되어 형성된 폴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출력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출력 음성신호를 상기 이어폰에 전달하는 전선 및 상기 폴더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선이 그 내부에 권회(捲回)되어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권회부(捲回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잭, 핸즈프리, 권회부, 센서부, 잠금장치

Description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VAILABLE DEPARTMENT OF SPEAKER BY HANDS FREE}
도 1은 종래의 핸즈프리 장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권회부에 전선이 권회되는 형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권회부에 전선이 상시 권회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상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된 형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권회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에서 제공되는 상기 탄성력 으로 인해 상기 인출된 전선이 상기 전선 통로부를 통하여 상기 권회부로 다시 수납되지 않도록 상기 전선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01 : 카메라장치
200 : 본체부 201 : 키 입력부
202 : 마이크부 300 : 폴더부
301 : 화상표시장치 302 : 리시버
400 : 힌지결합장치 500 : 잭
600 : 핸즈프리 610 : 플러그
620 : 음향 입력부 621 : 마이크 장치
622 : 볼륨조절기 630 : 이어폰
640 : 전선 700 : 스피커부
701 : 이어폰 702 : 전선
703 : 안착부 800 : 권회부
802 : 회전축 803 : 전선 통로부
804 : 결합홈 805 : 릴 스프링
806 : 결합부 810 : 센서부
900 : 잠금장치 901 : 버튼
902 : 몸체부 903 : 스토퍼
904 : 스프링 905 : 고정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일체로 형성되고 핸즈프리 이어폰으로 사용이 가능한 스피커부를 제공함으로써 음성통화를 할 때 별도의 핸즈프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해 상기 핸즈프리를 항상 휴대할 필요가 없고 또한 핸즈프리를 휴대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핸즈프리의 분실위험성이 없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특정인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한 무선 통신장치로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하여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호출메시지를 기지국 호출채널을 통하여 송출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오는 경우에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 내장된 마이크와 리시버를 통하여 상기 음성통화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근래에 개발되어 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핸즈프리를 장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 내장된 마이크와 리시버를 통하지 않고 상기 핸즈프리를 통해서 음성통화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종래의 핸즈프리 장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핸즈프리 장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핸즈프리 장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인엘씨디(Main-Liquid Crystal Display; Main-LCD) 모듈(301) 및 서브엘씨디(Sub-Liquid Crystal Display; Sub-LCD) 모듈(미도시)과 같은 화상표시장치(301)가 마련된 폴더부(300)와 다이얼링키 및 각종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부(201)가 마련된 본체부(200)가 힌지결합부(400)에 의하여 결합되어 그 외관을 형성한다.
즉, 상기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부(200)의 전면에는 각종 데이터정보 및 상기 음성신호를 포함한 동영상을 촬영함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 키패드부(201)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음성통화를 함에 있어 필요한 각종 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되는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송신부(미도시),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및 듀플렉서(15) 등의 장치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상기 음성통화를 수행함에 있어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0)에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신호로 복조하여주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62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폴더 부(300)에는 상기 수신된 통신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리시버(302)가 마련되어 있어 무선단말기 사용자의 무선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핸즈프리 장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전술한 마이크 장치(621)이외에 별도의 핸즈프리(6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잭(50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핸즈프리(600)는 볼륨조절기(622) 및 별도의 마이크 장치(621)를 포함하는 원격제어부(620)와 이어폰(630) 그리고 상기 잭(500)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61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200)에 구비된 잭(500)에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핸즈프리 장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상기 핸즈프리(600)를 장착하여 음성통화를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별도의 핸즈프리(600)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핸즈프리 장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상기 핸즈프리(600)를 장착하여 음성통화를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상기 핸즈프리(600)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핸즈프리(600)를 휴대함으로 인해 상기 핸즈프리(600)를 분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일체로 형성되고 핸즈프리 이어폰으로 사용이 가능한 스피커부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통화를 할 때 별도의 핸즈프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해 상기 핸즈프리를 항상 휴대할 필요가 없고 또한 핸즈프리를 휴대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핸즈프리의 분실위험성이 없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입력 음성신호를 전기적 데이터신호로 복조하는 마이크로폰이 구비된 마이크부가 포함되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결합되며 수신된 무선신호를 출력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부가 포함되어 형성된 폴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출력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출력 음성신호를 상기 이어폰에 전달하는 전선 및 상기 폴더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선이 그 내부에 권회(捲回)되어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권회부(捲回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일체로 형성되고 핸즈프리 이어폰으로 사용이 가능한 스피커부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통화를 할 때 별도의 핸즈프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해 상기 핸즈프리를 항상 휴대할 필요가 없고 또한 핸즈프리를 휴대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핸즈프리의 분실위험성이 없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 음성신호를 전기적 데이터신호로 복조하는 마이크로폰(미도시)이 구비된 마이크부(202)가 포함되어 형성된 본체부(200) 및 상기 본체부(200)에 힌지결합되며 수신된 무선신호를 출력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부(700)가 포함되어 형성된 폴더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부(700)는 상기 출력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701)과, 상기 이어폰(7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출력 음성신호를 상기 이어폰(701)에 전달하는 전선(702) 및 상기 폴더부(300)에 마련되며 상기 전선(702)이 그 내부에 권회(捲回)되어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권회부(捲回部)(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300)에는 상기 이어폰(701)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703)이 더 마련되고 상기 안착홈(703)에는 상기 안착홈(703)과 인접하여 상기 전선(702)이 수납되는 권회부(800)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비되는 권회부(800)를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권회부에 전선이 권회되는 형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회부(800)는 상기 안착홈(703)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전선(702)을 그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801)와, 상기 전선(702)이 상기 케이스(801) 내부를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801)의 일측에 마련된 전선 통로부(803)와, 상기 전선(702)이 상기 케이스(801)의 내부에 권회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선(702)을 권회하는 회전축(802)과, 상기 전선(702)이 상기 케이스(801) 내부에 상시 권회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802)을 상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8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선 통로부(803)에는 상기 전선(702)이 출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8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센서부(810)는 상기 스피커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선(702)이 상기 전선 통로부(803)를 통하여 상기 권회부(800)에서 인출되거나 수납될 시 그 내용을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상기 내용에 따라 상기 전선(702)이 상기 전선 권회부(800)에서 인출될 시 상기 마이크로폰(미도시)의 게인(Gain) 값을 올리고, 상기 전선(702)이 상기 권회부(800)에 수납될 시 상기 마이크로폰(미도시)의 게인(Gain) 값을 낮춘다.
그리고 상기 권회부(800)의 내부에는 상기 전선(702)이 상시 권회되어 수납 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802)을 상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805)가 장착되는데 상기 탄성부재(805)가 장착된 형태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권회부에 전선이 상시 권회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상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된 형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805)는 그 일단이 상기 회전축(802)에 마련된 결합홈(804)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케이스(801)에 마련된 결합부(806)에 결합되는 릴 스프링(805)으로 형성되어 상기 권회부(800)에 상기 전선(702)이 상시 권회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802)을 상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탄성부재(805)는 상기 권회부(800)에 상기 전선(702)이 상시 권회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802)을 상시 회전시킴으로 인해 사용자가 음성통화를 위해 상기 이어폰(701)을 상기 안착부(703, 도 1참조)에서 뽑아낸 후 상기 전선을 놓으면 상기 이어폰(7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전선(702)이 상기 탄성부재(805)의 탄성력으로 인해 다시 상기 권회부(800)의 내부로 수납되어 버린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805)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인출된 전선(702)이 상기 전선 통로부(803)를 통하여 다시 상기 권회부(800)로 수납되지 않도록 상기 전선(702)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장치(900)가 마련되는데, 상기 잠금장치(900)를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권회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에서 제공되는 상기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인출된 전선이 상기 전선 통로부를 통하여 상기 권회부로 다시 수납되지 않도록 상기 전선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폴더부(300)에는 상기 탄성부재(805)에서 제공되는 상기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인출된 전선(702)이 상기 전선 통로부(803)를 통하여 상기 권회부(800)로 다시 수납되지 않도록 상기 전선(702)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장치(900)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장치(900)는 상기 잠금장치(900)의 몸체를 이루는 선형형상의 몸체부(902)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이 일정한 굴곡을 형성하여 그 말단부에 상기 전선(70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스토퍼(903)와, 상기 몸체부(902)의 타단이 상기 굴곡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굴곡을 형성하고 그 말단부에 상기 폴더부(3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몸체부(902)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버튼(901)과, 상기 폴더부(300)에 상기 몸체부(902)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902)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부(905) 및 상기 고정부(905)에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903)가 상기 전선(702)을 눌러 상기 전선(70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외력을 상시 제공하는 스프링(9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잠금장치(900)는 상기 장금장치(900)를 구성하는 상기 버튼(901)을 누르지 않으면 상기 스토퍼(903)에 상기 스프링(904)의 외력이 상기 전달되어 상기 전선(702)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버튼(901)을 누르면 상기 스토퍼(903)에 전달되는 상기 스프링의 외력이 해제되어 상기 전선(702)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일체로 형성되고 핸즈프리 이어폰으로 사용이 가능한 스피커부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통화를 할 때 별도의 핸즈프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해 상기 핸즈프리를 항상 휴대할 필요가 없고 또한 핸즈프리를 휴대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핸즈프리의 분실위험성이 없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입력 음성신호를 전기적 데이터신호로 복조하는 마이크로폰이 구비된 마이크부가 포함되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결합되며 수신된 무선신호를 출력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부가 포함되어 형성된 폴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출력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출력 음성신호를 상기 이어폰에 전달하는 전선 및
    상기 폴더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선이 그 내부에 권회(捲回)되어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권회부(捲回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에는 상기 이어폰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는,
    상기 안착홈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전선을 그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전선이 상기 케이스 내부를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된 전선 통로부와,
    상기 전선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권회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선을 권회하는 회전축과,
    상기 전선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시 권회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상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통로부에는 상기 전선이 출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피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전선 통로부를 통하여 상기 권회부에서 인출되거나 수납될 시 그 내용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내용에 따라 상기 전선 권회부에서 인출될 시 상기 마이크로폰의 게인(Gain) 값을 올리고, 상기 전선이 상기 권회부에 수납될 시 상기 마이크로폰의 게인(Gain) 값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에서 제공되는 상기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인출된 전선이 상기 전선 통로부를 통하여 상기 권회부로 다시 수납되지 않도록 상기 전선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선형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이 일정한 굴곡을 형성하여 그 말단부에 상기 전선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스토퍼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상기 굴곡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굴곡을 형성하여 그 말단부에 상기 폴더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몸체부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버튼과,
    상기 폴더부에 상기 몸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전선을 눌러 상기 전선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외력을 상시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상기 스토퍼에 상기 스프링의 외력이 전달되어 상기 전선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스토퍼에 전달되는 상기 스프링의 외력이 해제되어 상기 전선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118474A 2004-12-31 2004-12-31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474A KR100690756B1 (ko) 2004-12-31 2004-12-31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B2005100971444A CN100490462C (zh) 2004-12-31 2005-12-30 具有免提扬声器部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474A KR100690756B1 (ko) 2004-12-31 2004-12-31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508A true KR20060078508A (ko) 2006-07-05
KR100690756B1 KR100690756B1 (ko) 2007-03-09

Family

ID=3681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474A KR100690756B1 (ko) 2004-12-31 2004-12-31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0756B1 (ko)
CN (1) CN100490462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26B1 (ko) * 2009-11-18 2011-06-20 이영옥 핸즈프리 장치
KR101109020B1 (ko) * 2009-11-18 2012-01-31 이영옥 악세사리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장치
CN110312005A (zh) * 2018-03-27 2019-10-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和电子装置的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8923A (zh) * 2013-05-15 2014-11-19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KR20200067377A (ko) 2018-12-04 2020-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로 연장가능한 케이블과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멀티 어댑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637A (ko) * 1999-04-08 1999-07-05 양웅섭 무선이어폰/마이크를갖는이동통신기기
KR20040051374A (ko) * 2002-12-12 200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겸용 이어폰-마이크가 구비된 휴대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26B1 (ko) * 2009-11-18 2011-06-20 이영옥 핸즈프리 장치
KR101109020B1 (ko) * 2009-11-18 2012-01-31 이영옥 악세사리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장치
CN110312005A (zh) * 2018-03-27 2019-10-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和电子装置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8178A (zh) 2006-07-05
KR100690756B1 (ko) 2007-03-09
CN100490462C (zh)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1933B2 (ja) 開閉式の通信端末およびヒンジ装置
JP4454313B2 (ja) 携帯端末
JPH06292195A (ja) 携帯無線式tv電話
JP2002158758A (ja) 開閉型携帯情報端末
US676891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754681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촬영 모드 감지 방법
US7103395B2 (en) Folding mobi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 while folded
JP2007003009A (ja) 開閉式の通信端末およびヒンジ装置
KR20040085546A (ko)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690756B1 (ko) 핸즈프리로 사용가능한 스피커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0106594A (ja) 携帯型電話装置
JP4393750B2 (ja) 開閉式携帯端末装置
JP2000354094A (ja) 携帯無線機
JP2001238262A (ja) 通信端末装置
KR100436482B1 (ko) 연결바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19974B1 (ko) 지향성 마이크 장치
JP3204262B2 (ja) 携帯無線装置
KR10081927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1622594B1 (ko) 휴대 단말기
JP3204265B2 (ja) 携帯無線装置
JPH09215037A (ja) 携帯用電話機
JPH06292197A (ja) 携帯無線式tv電話
KR10054839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200292156Y1 (ko) 감김방식의 이어마이크로폰을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