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6685A -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6685A
KR20060076685A KR1020040115454A KR20040115454A KR20060076685A KR 20060076685 A KR20060076685 A KR 20060076685A KR 1020040115454 A KR1020040115454 A KR 1020040115454A KR 20040115454 A KR20040115454 A KR 20040115454A KR 20060076685 A KR20060076685 A KR 20060076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film
interlayer insulating
semiconductor device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3113B1 (ko
Inventor
김남경
박병준
이창구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115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11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01L21/022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deposition by cyclic CVD, e.g. ALD, ALE, pulsed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75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interconnection or wiring or contact manufacturing 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 후 메탈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침상형 굴곡부에 의한 메탈 콘택 플러그 브릿지(Bridg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침상형 굴곡부를 매립하기 위한 ALD 방식을 이용한 절연물질 박막을 증착시킴으로써, 후속의 메탈 라인 형성 시 콘택 플러그가 브릿지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100 : 반도체 기판 15, 115 : 소자분리막
20, 120 : 게이트 25, 125 : 제 1 층간절연막
30, 130 : 비트라인 35, 135 :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
40, 140 : 제 2 층간절연막 50, 150 : 질화막층
60, 160 : 캐패시터 70, 170 : 희생산화막
80, 180 : 제 3 층간절연막 185 : 박막
90, 200 : 메탈 콘택 플러그 190 : 산화막
195 : 메탈 콘택홀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 후 메탈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침상형 굴곡부에 의한 메탈 콘택 플러그 브릿지(Bridg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패시터 상부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침상형 굴곡부를 매립하는 박막 및 산화막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특히 DRAM(Dynamic Random Acess Memories)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공정을 진행하면서 열처리 단계를 고려해야한다. 그 중에서도 반도체 소자의 메탈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캐패시터 상부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이를 평탄화하는 단계에서의 온도에 따라서 캐패시터의 누설 전류와 신뢰성에 대한 마진은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캐패시터 상부에 형성하는 층간절연막을 저온 증착 방식의 PE-TEOS막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PE-TEOS막은 강한 인장피로도(tensile stress)를 갖는 물질로 마찰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CMP를 이용한 평탄화 공정 시 표면에 스크래치(scractch)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 상에 소자분리막(15)을 형성하고 게이트(20) 및 제 1 층간절연막(125)을 형성한다.
다음에는 제 2층간절연막(40)을 형성한 후 스토리지 노드 콘택 플러그(35)를 형성하고, 캐패시터(60)를 형성하기 위한 질화막층(50) 및 희생산화막(70)을 형성 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메탈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층으로 캐패시터(60) 및 희생산화막(70) 상부에 제 3 층간절연막(8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저온 증착방식을 이용한 PE-TEOS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PE-TEOS막의 부서지기 쉬운(brittle) 특성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침상형의 굴곡부가 발생하게 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메탈 라인 형성을 위한 메탈 콘택 플러그(90)를 형성하는 경우 침상형 굴곡부가 형성된 영역에 콘택 홀이 형성되면서 메탈 콘택 플러그(90)가 서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통전이 되는 브릿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캐패시터의 리프레쉬(refresh)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상형 굴곡부를 매립하기 위한 ALD 방식을 이용한 절연물질 박막을 증착시킴으로써, 후속의 메탈 라인 형성 시 콘택 플러그가 브릿지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은,
소자분리막, 게이트, 제 1층간절연막, 캐패시터, 제 2층간절연막 및 비트라인이 구비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제 3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층간절연막을 CMP 공정으로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제 3층간절연막 상부에 제 3층간 절연막 표면의 침상형 굴곡부를 매립하는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전체 표면 상부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물에 메탈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탈 콘택홀을 매립하는 메탈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소자분리막(115), 게이트(120), 제 1층간절연막(125), 비트라인(130), 제 2 층간절연막(140) 및 스토리지 노드 콘택(135)을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에서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된 하부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질화막층(150)을 형성한 후 캐패시터(160)를 구비하는 희생산화막(170)을 형성한다. 이때, 캐패시터(160)는 HfO3, ZrO3, Al2O3, SrTiO3 또는 (Ba, Sr)TiO3(BST)물질의 각각 및 이들의 혼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상기 구조물 상부에 메탈 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3 층간절연 막(180)을 형성하고, 이를 평탄화 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제 3 층간절연막(180)은 저온 증착 방식을 적용한 PE-TEOS, PE-USG(undoped silicon glass)막 및 SOG(spin on glass)막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1000 ~ 10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캐패시터(160)가 열적 손상을 받아 리프레쉬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는 해결가능하나, 상기 절연막들의 깨지기 쉬운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CMP 공정을 통한 평탄화 과정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상형의 굴곡부가 발생하게 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 3 층간절연막(180) 표면의 침상형 굴곡부를 매립하는 박막(185)을 형성한다. 이때, 박막(185)은 알루미나, 산화막 및 질화막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알루미나는 ALD 또는 PE-ALD 방법을 사용하고, 100 ~ 700℃의 온도, 200 ~ 2000W의 전압 및 100mtorr ~ 30Torr의 압력하에서 10 ~ 10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ALD 방법에 있어서, 반응 소스는 N2O, H2O, H2O2 및 O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가스를 이용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전체 표면 상부에 산화막(190)을 형성하고, 상기 구조물에 메탈 콘택홀(195)을 형성한다. 이때, 산화막(190)은 저온 증착 방식을 적용한 PE-TEOS, PE-USG막 및 SOG막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200 ~ 10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e를 참조하면, 메탈 콘택홀(195)을 매립하는 메탈 콘택 플러그(2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메탈 콘택홀(195)에 베리어 메탈로 TiN, Ti, Ru, Ir, RuOx 및 irOx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플러그 물질로 TiN, Ti, Ru, Ir, RuOx, irOx, W 및 WN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상형 굴곡부를 매립하기 위한 ALD 방식을 이용한 절연물질 박막을 증착시킴으로써, 후속의 메탈 라인 형성 시 콘택 플러그가 브릿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의 리프레쉬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도체 소자의 형성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소자분리막, 게이트, 제 1층간절연막, 캐패시터, 제 2층간절연막 및 비트라인이 구비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제 3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3층간절연막을 CMP 공정으로 연마하는 단계;
    상기 제 3층간절연막 상부에 제 3층간 절연막 표면의 침상형 굴곡부를 매립하는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전체 표면 상부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물에 메탈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탈 콘택홀을 매립하는 메탈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층간절연막은 저온 증착 방식을 적용한 PE-TEOS, PE-USG막 및 SOG막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1000 ~ 10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알루미나, 산화막 및 질화막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는 ALD 또는 PE-ALD 방법을 사용하고, 반응 소스는 N2O, H2O, H2O2 및 O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가스를 이용하면서 100 ~ 700℃의 온도, 200 ~ 2000W의 전압 및 100mtorr ~ 30Torr의 압력 하에서 10 ~ 10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저온 증착 방식을 적용한 PE-TEOS, PE-USG막 및 SOG막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200 ~ 10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020040115454A 2004-12-29 2004-12-29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00673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454A KR100673113B1 (ko) 2004-12-29 2004-12-29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454A KR100673113B1 (ko) 2004-12-29 2004-12-29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685A true KR20060076685A (ko) 2006-07-04
KR100673113B1 KR100673113B1 (ko) 2007-01-22

Family

ID=3716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454A KR100673113B1 (ko) 2004-12-29 2004-12-29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0966B2 (en) 2010-12-27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373B1 (ko) 2013-03-05 2018-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0966B2 (en) 2010-12-27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113B1 (ko) 2007-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879B1 (ko)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이중막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캡슐화된 캐패시터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JP2004349474A (ja)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WO2015190298A1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45113A (ja)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100673113B1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US969814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200633253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764862B2 (en) Method of forming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CN100394585C (zh) 使用无定形碳制造半导体存储器件的电容器的方法
JP2011151137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18453B1 (ko) 이리듐막및백금막의이중막구조의하부전극을갖는캐패시터형성방법
KR100351451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 커패시터제조방법
KR100550644B1 (ko) 반도체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738576B1 (ko) 반도체 장치의 캐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KR100937988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67216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70167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04668B1 (ko) 콘케이브형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31462B1 (ko) 엠티피 구조의 캐패시터를 구비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24808B1 (ko) Harp를 이용한 절연막 형성 방법
KR100463240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47040B1 (ko)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20060074127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20070081713A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136240A (ko) 반도체 장치의 캐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