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6154A -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6154A
KR20060076154A KR1020050046387A KR20050046387A KR20060076154A KR 20060076154 A KR20060076154 A KR 20060076154A KR 1020050046387 A KR1020050046387 A KR 1020050046387A KR 20050046387 A KR20050046387 A KR 20050046387A KR 20060076154 A KR20060076154 A KR 20060076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guide
horizontal
movement
lifting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5920B1 (ko
Inventor
김차규
김선집
Original Assignee
김차규
김선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규, 김선집 filed Critical 김차규
Priority to KR102005004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92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B60D1/46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comprising a lifting mechanism, e.g. for coupling while l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프레임(110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1쌍의 고정가이드(2900)와; 상기 1쌍의 고정가이드(2900) 사이에 나란히 배치된 제2횡이동가이드(1300)와; 상기 고정가이드(2900)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횡이동부재(1400)와; 상기 제2횡이동가이드(1300)를 따라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횡이동부재(1500)와; 상기 제1횡이동부재(1400)에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가이드부재(2000)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2000)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이동부재(1600)와; 상기 제2횡이동부재(1500)를 개재하여 고정가이드(2900)와 제1횡이동부재(1400) 또는 수직가이드부재(2000)를 연결하는 횡이동부재 전동수단과; 상기 제2횡이동부재(1500)와 고정가이드(2900) 사이에 연결된 제1왕복구동수단(1700)과; 상기 수직이동부재(1600)를 구동하기 위한 제3왕복구동수단(2600)과; 상기 수직이동부재(1600)를 따라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와; 상기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에 설치된 리프팅포크(1900)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2횡이동부재의 이동량에 비해 제1횡이동부재의 이동량을 2배로 할 수 있어 왕복구동수단의 행정이 짧아도 소정의 횡방향 이송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구동 동력이 적게 소요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THE SIDE LIFT DEVICE OF TOW CAR}
도 1은, 종래의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에서 횡방향 이동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에서 1차 횡방향 이송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에서 2차 횡방향 이송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에서 하강 이송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200... 제1횡이동가이드
1300... 제2횡이동가이드
1400... 제1횡이동부재
1500... 제2횡이동부재
1600... 수직이동부재
1700... 제1왕복구동수단
1800... 리프팅포크 설치부재
1900... 리프팅포크
2000... 수직가이드부재
2200... 연결프레임
2400... 제2왕복구동수단
2500... 와이어로프
2600... 제3왕복구동수단
2800... 제5왕복구동수단
2900... 고정가이드
3000... 제6왕복구동수단
3100... 제7왕복구동수단
3500... 제4왕복구동수단
본 발명은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구동시 작은 동력이 요구되며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견인차량은 노상에 불법으로 주정차되어 있는 다른 차량이나 고장난 차량을 견인하여 소정의 장소에 이동시키는 차량으로서, 견인차량의 뒤쪽에서 피견인차량의 앞쪽이나 뒤쪽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피견인차량이 앞뒤로 촘촘하게 세워져 있는 경우에는 견인차량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하므로 견인작업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측면에서 리프트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견인차량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예가 한국등록실용산안공보 제028070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그 구체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팅 장치는, 견인차량의 차체프레임(P)에 피견인차량의 바퀴를 지지하여 들어 올리는 한 쌍의 리프팅유닛(100,200)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리프팅유닛(100,200)은,
상기 차체프레임(P)의 상부에 그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좌우이송기구에 의해 메인프레임(110)을 따라 차체프레임(P)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송프레임(120)과;
*상기 좌우이송프레임(120)에 상하이송기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130)와;
상기 리프터(130)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한 쪽 선단들이 리프터(13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다른 선단들은 길이가 가변되는 폭 조절부재(145)로 연결된 1쌍의 지지아암(140) 및;
상기 1쌍의 지지아암(140)의 각 하단에 수평이송기구에 의해 차체프레임(P)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견인차량의 바퀴를 양쪽에서 받쳐 지지하는 1쌍의 리프트바(150)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팅 장치에서는, 리프팅유닛(100,200) 전체가 차체프레임(P)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 동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아암(140)이나 리프트바(150)가 들어올리는 부분이 바퀴자체이기 때문에, 바퀴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에 대응하기 위한 지지구조가 필요하여 구조 자체가 복잡해지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구동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구동동력도 적게 유지할 수 있는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장치의 행정이 짧아도 수직 및 횡방향의 소정의 이동량을 얻을 수 있는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는,
차체프레임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상기 차체프레임에 대하여 횡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횡이동부재와, 상기 수직이동부재에 설치된 리프팅포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차체프레임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를 따라 왕복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횡이동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를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제2횡이동가이드와;
상기 제1횡이동가이드를 따라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횡이동부재와;
상기 제2횡이동가이드를 따라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횡이동부재와;
상기 제2횡이동부재를 개재하여 제1횡이동가이드와 제1횡이동부재를 연결하는 횡이동부재 전동수단과;
상기 제2횡이동부재를 구동하는 제1왕복구동수단과;
상기 제1횡이동가이드를 구동하는 제2왕복구동수단과;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는,
차체프레임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상기 차체프레임에 대하여 횡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횡이동부재와, 상기 수직이동부재에 설치된 리프팅포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제1수직이동부재와 제2수직이동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는 상기 제1횡이동부재에 설치된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는 제1수직이동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횡이동부재와 제1수직이동부재 사이에는 왕복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횡이동부재와 제2수직이동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를 개재하여 연결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는,
차체프레임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1쌍의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를 따라 왕복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1횡이동가이드와;
상기 1쌍의 고정가이드 사이에 나란히 배치된 제2횡이동가이드와;
상기 제1횡이동가이드를 따라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횡이동부재와;
상기 제2횡이동가이드를 따라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횡이동부재와;
상기 제1횡이동부재에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가이드부재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제2횡이동부재를 개재하여 고정가이드와 제1횡이동부재 또는 수직가이드부재를 연결하는 횡이동부재 전동수단과;
상기 제2횡이동부재를 구동하는 제1왕복구동수단과;
상기 제1횡이동가이드를 구동하는 제2왕복구동수단과;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구동하는 제3왕복구동수단과;
*상기 수직이동부재에 설치된 리프팅포크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쌍의 고정가이드에 설치된 각각의 제1횡이동가이드는 연결프레임을 개재하여 고정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이동부재 전동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횡이동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횡이동부재에 설치된 와이어 가이드를 개재하여 연결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동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제1수직이동부재와 제2수직이동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는 상기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는 제1수직이동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횡이동부재와 제1수직이동부재 사이에는 제3왕복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횡이동부재와 제2수직이동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를 개재하여 체인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에는 제4왕복구동수단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연결이동수단이 상기 제4왕복구동수단의 상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와 상기 리프팅포크 설치부재에 각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팅포크는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5왕복구동수단에 의해 연동되어 연속적으로 신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횡이동가이드는 2개가 이웃하여 배치되되, 미끄럼 상대이동하 는 소정거리를 두고 신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체프레임에는 길이방향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과 고정가이드 사이에는 가이드롤러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프레임과 고정가이드 사이에는 제6왕복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팅포크 설치부재와 리프팅포크 사이에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7왕복구동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는, 횡방향 이동부재와 승강부재, 및 길이방향 이동부재로 구분되어 있다. 횡방향, 승강방향, 및 길이방향은 견인차량을 기준으로 설정된 방향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의 횡방향 이동부재는, 차체프레임(110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1쌍의 고정가이드(2900)와, 상기 고정가이드(29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횡이동가이드(1200)와; 차체프레임(110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1쌍의 제1횡이동가이드(1200) 사이에 배치된 제2횡이동가이드(1300)와, 상기 제1횡이동가이드(1200)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횡이동부재(1400)와, 상기 제2횡이동가이드 (1300)에 가로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횡이동부재(15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제1횡이동가이드(1200)는 연결프레임(220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상기 고정가이드(2900)의 안쪽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가이드(2900)의 가이드 홈과 상기 제1횡이동가이드(1200) 사이에는 롤러(1290)가 설치되어 있어 상호 구름이동이 자유롭다.
*또한, 상기 제1횡이동가이드(120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쪽에 가이드 홈(1250)이 형성되어 있고, 제1횡이동부재(1400)에는 상기 가이드 홈(125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1410)가 설치되어 있어, 상대 이동이 자유롭다. 또한, 상기 제1횡이동가이드(1200)는 롤러와 가이드 홈을 통해 2개가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호 연동되면서 신축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쌍의 제1횡이동가이드(1200) 사이에서, 제2횡이동가이드(1300)가 연결프레임(2200)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횡이동부재(1500)는 상기 제2횡이동가이드(1300)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횡이동부재(1400)와 제2횡이동부재(1500) 사이에는 횡이동부재 전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횡이동부재 전동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횡이동부재(14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횡이동부재(1500)에 설치된 가이드(1510)를 개재하여 연결프레임(2200)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로프(25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2500)는 제1횡이동부재(1400)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 횡방향 왕복에 대하여 각각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횡이동부재(1500)와 연결프레임(2200) 사이에는 제1왕복구동수단(170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2횡이동부재(1500)를 연결프레임(220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왕복구동수단(1700)으로서 유압실린더가 2개 이상 병렬로 설치되면 이송속도와 이송길이를 2배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상기 제1왕복구동수단(1700)이 1개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다음,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승강부재는, 크게 수직가이드부재, 수직이동부재, 및 리프팅포크 설치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1횡이동부재(1400)에는 수직가이드부재(2000)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서로는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이동부재(1600)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2000)를 따라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수직이동부재(1600)는 서로 이웃하는 제1수직이동부재(1610)와 제2수직이동부재(1620)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1610)는 상기 수직가이드부재(20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1620)는 제1수직이동부재(161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수직가이드부재(2000), 제1수직이동부재(1610), 및 제2수직이동부재(1620)는 가이드 홈과 롤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횡이동부재(1400)의 상부 바닥과 제1수직이동부재(1610) 사이에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제3왕복구동수단(260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수직이동부재(1610)에는 스 프로킷(2710)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제1횡이동부재(1400)와 제2수직이동부재(1620) 사이에는 상기 스프로킷(2710)을 개재하여 체인(2720)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1620)는 제3왕복구동수단(2600)의 신축량에 비해 2배 크기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1620)에는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가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1620)와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 사이에는 가이드 홈과 롤러가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1620)의 바닥에는 제4왕복구동수단(3500)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동수단으로서, 상기 제4왕복구동수단(3500)의 상단에는 스프로킷(3600)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체인(2920)이 상기 스프로킷(3600)을 통해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1620)과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리프팅포크(1900)가 상기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를 따라 차량의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프팅포크(1900)와 상기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 사이에 제7왕복구동수단(31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프팅포크(1900)는 다단(도면에서는 3단)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5왕복구동수단(2800)에 의해 연동되어 신축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팅포크(1900)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에 유압실린더를 연결하고, 이 유압실린더와 제3단에 별도의 유압실린더를 연결하여 동시에 신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5왕복구동수단(2800)은 리프팅포크(19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대신, 유압실린더와 같은 제5왕복구동수단(2800)이 제1단과 제2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제2단에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단과 제3단 사이에는 상기 롤러를 개재하여 와이어로프(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상기 차체프레임(1100)에는 길이방향 가이드홈(1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1110)과 고정가이드(2900) 사이에는 가이드롤러(2910)가 개재되어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상기 차체프레임(1100)과 고정가이드(2900) 사이에는 제6왕복구동수단(3000)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가이드(2900)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리프트장치 전체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이러한 길이방향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가이드(2900)를 결합프레임(3400)으로 한번에 고정하고 상기 결합프레임(3400)에 가이드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차체프레임(1100)의 가이드홈(1110)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가 설치된 견인차량을 피견인차량의 측면쪽에 배치한다. 그리고, 견인차량에 설치된 아우트리거를 신장시켜서 지면에 견고하게 지지한다.
다음, 제1왕복구동수단(1700)을 작동시켜서 제2횡이동부재(1500)를 고정가이드(2900)에 형성된 제2횡이동가이드(1300)를 따라 피견인차량의 횡방향 바깥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횡이동부재(1500)를 개재하여 제1횡이동가이드(1200)(또는, 연결프레임(2200))와 제1횡이동부재(140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2500)에 의해, 제1횡이동부재(1400)가 측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횡이동부재(1400)는 제2횡이동부재(1500) 이동량의 2배의 이동량만큼 이동한다. 또한, 제1횡이동부재(1400)와 결합되어 있는 수직가이드부재(2000), 수직이동부재(1600), 및 리프팅포크(1900)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횡이동부재(1400)가 소정거리 이동한 후, 또는 이동과 동시에, 고정가이드(2900)와 제1횡이동가이드(1200) 사이에 설치된 제2왕복구동수단(2400)에 의해 제1횡이동가이드(1200)가 측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횡이동가이드(1200)는 롤러와 가이드 홈을 통해 2개가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2개의 제1횡이동가이드(1200)가 서로 미끄럼 상대이동하는 일정한 길이를 둔 상태에서 상호 연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신축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미끄럼 상대이동하는 일정길이 만큼은 가장 안쪽의 제1횡이동가이드(1200)만 신장되고, 그 길이를 지나는 순간 걸림편(1270)이 서로 걸려서 이웃하는 제1횡이동가이드가 신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수직가이드부재(2000), 수직이동부재(1600), 및 리프팅포크(1900)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횡이동부재(1400)와 제1수직이동부재(1610) 사이의 제3왕복구동수단(2600)이 작동하여 제1수직이동부재(1610)가 하 강하게 된다. 이 경우, 일단상기 제1횡이동부재(1400)에, 타단이 제2수직이동부재(1620)에 연결된 체인(2720)에 의해 제2수직이동부재(1620)가 제1수직이동부재(1610)보다 2배의 이동량을 가지고 내려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왕복구동수단(2600)이 짧은 행정을 가지고 있어도 원하는 높이로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하강이동 후, 또는 하강이동과 동시에 리프팅포크(1900)가 하강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1620)와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 사이에 연결된 제4왕복구동수단(35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때, 연결 구조상 제4왕복구동수단(3500) 이동량의 2배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하강하기 때문에, 제4왕복구동수단(3500)의 행정이 짧아도 소정 길이만큼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의 하강 길이는 리프팅포크(1900)가 차량의 하단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다단으로 구성된 리프팅포크(1900)가 제5왕복구동수단(2800)에 의해 연동되어 연속적으로 신장된다.
그리고, 다시 제4왕복구동수단(3500)을 구동시켜서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를 상승 이동시키면, 리프팅포크(1900)에 의해 피견인차량이 지지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상기 제3왕복구동수단(2600) 및/또는 제4왕복구동수단(3500)을 구동시켜서 피견인차량을 소정의 높이(견인차량의 적재대 이상의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이어서, 제1왕복구동수단(1700)과 제2왕복구동수단(2400)을 작동시킴으로써, 피견인차량을 견인차량의 적재대 위로 후퇴시킨다.
다음, 상기 제4왕복구동수단(3500)을 통해 피견인차량을 하강시켜서 견인차량의 적재대 위에 피견인차량을 안착시킨다.
한편, 리프트장치에 의해 피견인차량을 견인차량에 안착시킨 후, 제6왕복구동수단(3000)을 구동시켜서 고정가이드(2900)를 이동시킴으로써 피견인차량을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와 리프팅포크(1900) 사이에 설치된 제7왕복구동수단(3100)에 의해 한 쌍의 리프팅포크(19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들을 나타낼 뿐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수정, 또는 응용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만일, 상기 리프팅장치의 리프팅포크(1900)를 견인차량의 측면으로 더 뽑을 수 있도록 하면, 피견인차량의 측면 뿐만 아니라 앞면이나 뒷면쪽에서도 리프팅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횡이동가이드(1200) 없이 제1횡이동부재(1400)가 고정가이드(2900)를 따라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여러가지 왕복구동수단은 유압실린더 외에 이송나사 등 통상적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횡방향 이송과 수직방향 이송이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므로 구동동력이 적게 소요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리프팅포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구조가 간단하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제2횡이동부재의 이동량에 비해 제1횡이동부재의 이동량을 2배로 할 수 있고, 제1수직이동부재의 이동량에 비해 제2수직이동부재의 이동량을 2배로 할 수 있는 등 유압실린더의 행정이 짧아도 피견인차량을 소정의 횡방향 위치와 높이에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제1횡이동가이드가 안테나식으로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리프팅포크를 횡방향으로 용이하게 왕복이송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차체프레임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상기 차체프레임에 대하여 횡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횡이동부재와, 상기 수직이동부재에 설치된 리프팅포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재(1600)는 서로 이웃하는 제1수직이동부재(1610)와 제2수직이동부재(162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1610)는 상기 제1횡이동부재에 설치된 수직가이드부재(20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1620)는 제1수직이동부재(161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횡이동부재(1400)와 제1수직이동부재(1610) 사이에는 왕복구동수단(26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횡이동부재(1400)와 제2수직이동부재(1620) 사이에는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1610)를 개재하여 연결이동수단(272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포크(1900)는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를 개재하여 수직이동부재(160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1620)에는 제4왕복구동수단(3500)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연결이동수단(2920)이 상기 제4왕복구동수단(3500)의 상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1620)와 상기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포크(1900)는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5왕복구동수단(2800)에 의해 연동되어 연속적으로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110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이동부재(1600), 제1횡이동부재(1400), 및 리프팅포크(1900)가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와 리프팅포크(1900) 사이에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7왕복구동수단(310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KR1020050046387A 2005-05-31 2005-05-31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KR10061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87A KR100615920B1 (ko) 2005-05-31 2005-05-31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87A KR100615920B1 (ko) 2005-05-31 2005-05-31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901A Division KR100502978B1 (ko) 2004-12-29 2004-12-29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154A true KR20060076154A (ko) 2006-07-04
KR100615920B1 KR100615920B1 (ko) 2006-08-28

Family

ID=3716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387A KR100615920B1 (ko) 2005-05-31 2005-05-31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9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261B1 (ko) * 2007-07-26 2008-04-17 왕종문 견인차용 리프팅 장치
KR101657035B1 (ko) 2016-04-15 2016-09-13 에이컴주식회사 엘이디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463B1 (ko) 2018-06-27 2021-03-02 조민서 차량을 적재하여 주차 및 출차를 실행하는 지능형 차량이송로봇
KR102169680B1 (ko) 2019-01-03 2020-10-23 주식회사 코아스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261B1 (ko) * 2007-07-26 2008-04-17 왕종문 견인차용 리프팅 장치
WO2009014377A1 (en) * 2007-07-26 2009-01-29 Jong Mun Wang Lifting device for tow car
KR101657035B1 (ko) 2016-04-15 2016-09-13 에이컴주식회사 엘이디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5920B1 (ko)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19239A1 (fr) Système de levage à transmission par tige de liaison
KR100615920B1 (ko)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AU2018209160A1 (en) Telescoping jib comprising a rod guying system for a mobile crane and guying method therefor
US7823698B2 (en) Three stage mast
CN109748216B (zh) 车载液压升降机构
CN107717950A (zh) 一种方便移动的自动化机械手
KR100920774B1 (ko)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KR102088089B1 (ko) 주차타워의 높이조절식 충격완화장치의 작동방법
CN108331395B (zh) 空间可调节的停车装置、停车系统及停车方法
KR101510681B1 (ko) 시저스 리프트
KR100502978B1 (ko)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KR101206931B1 (ko) 거푸집 판넬 리프트
CN202273689U (zh) 隧道防水板铺挂装置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101478780B1 (ko) 차량 정비용 리프팅 장치
CN105307970A (zh) 用于地面运输工具的提升架
CN211081186U (zh) 横向停车立体停车架用车辆吊装机构及立体停车架
CN210342816U (zh) 一种安全性高的双层立体车库
CN108708746B (zh) 一种钢筋安装设备
KR102094865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597370B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KR20040065446A (ko) 노변용 2단 주차장치
CN102134958B (zh) 一种可移动式机械设备及工作梯
CN220884187U (zh) 一种平板清障车
CN113212477B (zh) 一种营运隧道病害治理作业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