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6027A - 전동 블라인드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블라인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6027A
KR20060076027A KR1020040115714A KR20040115714A KR20060076027A KR 20060076027 A KR20060076027 A KR 20060076027A KR 1020040115714 A KR1020040115714 A KR 1020040115714A KR 20040115714 A KR20040115714 A KR 20040115714A KR 20060076027 A KR20060076027 A KR 20060076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otor
lever
winding ro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3048B1 (ko
Inventor
권오원
최기훈
Original Assignee
권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원 filed Critical 권오원
Priority to KR1020040115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048B1/ko
Publication of KR2006007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줄(3)과 경사줄(7)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4)와; 상기 승강줄(3)의 상단이 횡으로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경사줄(7)이 외주면에 얹어져 걸어지며, 리드스크류(20)와 이송너트(24)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4)의 구동력으로 리드스크류(20)에 대해 회전하면서 직선운동하는 이송감김봉(22)과; 상기 슬레이트(1)중 최상부의 것에 의해 상승감지레버(34)가 직접 밀어올려져 슬레이트(1)가 최상부로 상승된 것을 감지하는 상승감지기구와; 상기 이송감김봉(22)을 횡으로 관통하는 승강줄(3)이 이송감김봉(22)에서 다 풀려나옴에 의해 하강감지레버(40)가 동작되어 슬레이트(1)가 하부로 완전히 하강된 것을 감지하는 하강감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체 부품이 집약되어 위치되므로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고, 하나의 모터로 슬레이트의 승강과 경사조절이 가능하여 부품수가 최소화되며, 슬레이트의 승강완료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모터의 구동에 무리가 없고 슬레이트의 승강이 정확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전동, 블라인드, 슬레이트, 위치, 감지

Description

전동 블라인드장치{Electromotive blind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블라인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감지기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상승감지기구를 구성하는 상승감지레버와 스위치구동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슬레이트의 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슬레이트가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슬레이트 3: 승강줄
5: 언더바아 7: 경사줄
9: 스페이서바아 10: 고정프레임
12: 모터베이스 14: 구동모터
16: 구동축 18: 스크류베이스
20: 리드스크류 22: 이송감김봉
24: 이송너트 26: 보조베이스
30: 기판 31: 상승감지스위치
32: 하강감지스위치 34: 상승감지레버
36: 스위치구동레버 38: 이동가이드핀
40: 하강감지레버 42: 승강줄관통부
43: 스위치접촉돌기 45: 복원링
46: 캠
본 발명은 전동 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를 사용하여 슬레이트의 각도와 승강을 수행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창에는 사생활보호, 선택적 채광, 난방 등을 위해 커텐이나 블라인드장치를 설치한다. 특히, 블라인드장치는 채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등 편리한 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블라인드장치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슬레이트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슬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하부의 슬레이트부터 상승시켜 차례로 적층되게 하여 채광량을 조절하기 도 한다.
한편, 상기 슬레이트의 각도조절과 승하강동작을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도 제공되었는데, 슬레이트의 구동이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대적으로 편리한 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전동 블라인드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슬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 완료시점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살펴서 판단하여야 했다. 따라서, 슬레이트의 상승완료 및 하강완료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할 경우 슬레이트의 승하강 상태가 정확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슬레이트의 승강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센서는 슬레이트의 최상단 상승위치와 최하단 하강위치에 각각 설치되어야 하고, 센서의 감지값을 전달할 수 있는 전선이 길게 연장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설치 영역이 넓어져 설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슬레이트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과 슬레이트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을 각각의 모터로부터 전달받았다. 따라서, 종래의 전동 블라인드장치는 상대적으로 부품수가 많고 제조원가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레이트의 구동을 위한 구성과 슬레이트 승강위치의 감지를 위한 구성이 집약되어 구비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구동모터로 슬레이트의 승강과 경사조절이 가능한 전동 블라인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레이트의 승강동작의 완료시점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슬레이트가 사다리 모양의 경사줄에 의해 수평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지지되고, 슬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된 승강줄에 의해 슬레이트가 승강되고 상기 경사줄에 의해 경사가 조절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줄과 경사줄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줄의 상단이 횡으로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경사줄이 외주면에 얹어져 걸어지며, 리드스크류와 이송너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리드스크류에 대해 회전하면서 직선운동하는 이송감김봉과; 상기 슬레이트중 최상부의 것에 의해 상승감지레버가 직접 밀어올려져 슬레이트가 최상부로 상승된 것을 감지하는 상승감지기구와; 상기 이송감김봉을 횡으로 관통하는 승강줄이 이송감김봉에서 다 풀려나옴에 의해 하강감지레버가 동작되어 슬레이트가 하부로 완전히 하강된 것을 감지하는 하강감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 상승감지기구 및 하강감지기구는 모터베이스상에 설치된다.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모터베이스와 별도로 구성된 스크류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베이스와 스크류베이스는 고정프레임에 장착된다.
상기 모터베이스와 스크류베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이송감김봉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베이스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승감지기구는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기판상에 실장된 상승감지스위치와, 상기 모터베이스를 관통하여 하단부가 최상단의 슬레이트와 마주보게 모터베이스상에 승강가능하게 걸쳐지는 상승감지레버와, 상기 상승감지레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상승감지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모터의 반대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구동레버를 원위치시키는 복원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원링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송감김봉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하는 구동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구동축의 스토퍼에 걸어지는 연동돌기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스위치구동레버의 선단에 구비된 캠팔로워를 구동하는 캠이 구비된다.
상기 하강감지기구는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기판상에 실장된 하강감지스위치와, 상기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감김봉에 상단이 연결된 승강줄이 이송감김봉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위치에 따라 일단부가 구동되어 타단부가 상기 하강감지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하강감지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강감지레버는 상기 하강감지스위치의 스위치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원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하강감지레버의 일단부에는 상기 승강줄이 관통하는 승강줄관통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슬레이트가 사다리 모양의 경사줄에 의해 수평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지지되고, 슬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된 승강줄에 의해 슬레이트가 승강되고 상기 경사줄에 의해 경사가 조절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에 있어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베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승강줄과 경사줄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크류베이스에 설치된 리드스크류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축에 일체로 회전되고 직선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직선이송되어 상기 승강줄이 감아지고 풀어지며 경사줄이 구동되게 하는 이송감김봉과; 상기 슬레이트중 최상부의 것에 의해 상승감지레버가 직접 밀어올려져 슬레이트가 최상부로 상승된 것을 감지하는 상승감지기구와; 상기 이송감김봉을 횡으로 관통하는 승강줄이 이송감김봉에서 다 풀려 승강줄이 이송감김봉에서 연장되는 위치가 달라짐에 의해 하강감지레버가 동작되어 슬레이트가 하부로 완전히 하강된 것을 감지하는 하강감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승감지기구는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기판상에 실장된 상승감지스위치와, 상기 모터베이스를 관통하여 하단부가 최상단의 슬레이트와 마주보게 모터베이스상에 걸쳐지는 상승감지레버와, 상기 상승감지레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상승감지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구동레버와,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구동레버의 선단에 구비된 캠팔로워를 구동하는 캠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반대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구동레버를 원위 치시키는 복원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강감지기구는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기판상에 실장된 하강감지스위치와, 상기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줄이 관통하는 승강줄관통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감김봉에 상단이 연결된 승강줄이 이송감김봉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위치에 따라 승강줄관통부가 구동되어 타단부가 상기 하강감지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하강감지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강감지레버는 상기 하강감지스위치의 스위치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원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블라인드장치는 전체 부품이 집약되어 위치되므로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고, 하나의 모터로 슬레이트의 승강과 경사조절이 가능하여 부품수가 최소화되며, 슬레이트의 승강완료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모터의 구동에 무리가 없고 슬레이트의 승강이 정확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블라인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블라인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부분절결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a 및 도 2b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슬레이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승감지레버와 스위치구동레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슬레이트(1)는 얇은 판상으로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방형이다. 상기 슬레이트(1)는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그 사이 간격의 조절과 설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슬레이트(1)는 수평이 되게 설치된다.
상기 슬레이트(1)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승강줄(3)이 설치되는데, 상기 승강줄(3)의 하단은 최하단의 슬레이트(1) 하부에 구비되는 언더바아(5)에 고정된다. 상기 승강줄(3)의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감김봉(22)을 횡으로 관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승강줄(3)은 상기 슬레이트(1)의 승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슬레이트(1)의 각도 조정을 위해 경사줄(7)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줄(7)은 사다리모양으로 만들어 진 것으로, 각각의 슬레이트(1)를 일정 간격으로 지지하면서 경사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경사줄(7)의 최하단은 상기 언더바아(5)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경사줄(7)은 양단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수직줄의 사이를 다수개의 수평줄이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사줄(7)과 승강줄(3)은 슬레이트(1)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도면부호 9는 스페이서바아로서 본 발명의 장치가 2장의 유리사이에 설치될 때, 유리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블라인드장치가 설치되는 유리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프레임(10)은 스페이서바아(9)와 같은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블라인드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대략 횡단면이 H자 형상인데,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는 절결하였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양단은 상기 스페이서바아(9)에 지지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단부에는 모터베이스(12)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베이스(12)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모터베이스(12)의 일측에는 승강줄통공(1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승강줄통공(13)을 관통하여서는 하나의 승강줄(3)이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감김봉(22)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모터베이스(12)에는 또한 경사줄통공(13')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줄통공(13')은 상기 경사줄(7)의 양단을 구성하는 수직줄의 상단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경사줄통공(13')은 상기 경사줄(7)의 수직줄 사이 간격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줄(5)과 경사줄(7)이 서로 인접하여 있어 승강줄통공(13)과 경사줄통공(13')이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모터베이스(12)에는 구동모터(1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4)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14)의 회전축(14')에는 구동축(16)이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16)은 구동모터(14)의 회전력을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감김봉(22)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축(16)은 적어도 일부, 즉 이송감김봉(22)과 결합되는 부분이 봉형상이 아닌 각기둥형으로 된다. 상기 구동축(16)의 일단에는 원통부(17)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17)에는 스토퍼(1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모터베이스(12)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타단부에는 스크류베이스(18)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베이스(18)에는 리드스크류(20)가 설치된다. 상기 리드스크류(20)는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0)는 그 일단부가 스크류베이스(18)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16)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송감김봉(22)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봉으로, 일단은 상기 구동축(16)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16)은 상기 이송감김봉(22)의 일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이송감김봉(22)의 타단은 리드스크류(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이송감김봉(22)중 리드스크류(2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에는 이송너트(24)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너트(24)는 상기 리드스크류(20)의 나사부와 치합되는 나사부가 내경면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송감김봉(22)과 함께 구동모터(14)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리드스크류(20)를 따라 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베이스(18)와 모터베이스(12)의 사이에는 보조베이스(26)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베이스(26)는 상기 이송감김봉(22)의 길이가 긴 경우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베이스(26)에는 승강줄(3)과 경사줄(7)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이제, 슬레이트(1)의 상승과 하강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상승감지기구와 하강감지기구의 구성을 각각 설명한다.
상기 모터베이스(12)에는 기판(30)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30)에는 상승감지스위치(31)와 하강감지스위치(32)가 실장된다. 상기 상승감지스위치(31)는 상기 슬레이트(1) 전체가 최상부로 상승된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고, 상기 하강감지스위치(32)는 상기 슬레이트(1) 전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펼쳐진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스위치(31,32)에는 각각 스위치스프링(31',32')이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 스프링(31',32')은 감지스위치(31,32)의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직접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버튼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모터베이스(12)에는 상승감지레버(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승감지레버(34)는 상기 경사줄통공(13')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상승감지레버(34)는 상기 모터베이스(12)를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그 상단에는 걸이돌기(3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돌기(35)에는 가이드경사(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35')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위치구동레버(36)와 연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승감지레버(34)는 상기 모터베이스(12)를 관통하여 상기 걸이돌기(35)가 모터베이스(12)의 상면에 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스위치구동레버(36)는 상기 기판(30)의 상방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구동레버(36)는 상기 상승감지스위치(31)의 스위치스프링(31')을 눌러주는 것으로, 그 일측에 구동공(36')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구동공(36')의 중앙에는 상기 스위치스프링(31')의 선단이 위치된다. 상기 스위치구동레버(36)의 선단에는 캠팔로워(37)가 형성된다. 상기 캠팔로워(37)는 아래에서 설명될 복원링(45)의 캠(46)에 안내되어 스위치구동레버(36)를 최초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스위치구동레버(36)가 상기 모터베이스(12)에 대해 일정한 행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채널(38)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채널(38)은 상기 스위치구동레버(36)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횡으로 가로질러서는 이동가이드핀(38')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가이드핀(38')은 그 양단이 상기 모터베이스(12)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채널(38)과 이동가이드핀(38')에 의해 상 기 스위치구동레버(36)의 이동범위가 규제된다.
상기 모터베이스(12)에는 또한 하강감지레버(40)가 구비된다. 상기 하강감지레버(40)는 힌지핀(40')을 중심으로 시이소오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핀(40')은 상기 모터베이스(12)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강감지레버(40)는 도 2b에서 평면도 방향으로 볼 때, 대략 '┛'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강감지레버(40)의 일단부에는 승강줄관통부(42)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줄관통부(42)를 관통하여서는 상기 승강줄통공(13)을 관통하여 상기 이송감김봉(22)으로 연장되는 승강줄(3)이 통과한다. 상기 승강줄관통부(42)는 평상시에 상기 승강줄통공(13)과 일부만이 연통되도록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상기 하강감지레버(40)의 타단에는 스위치접촉돌기(43)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접촉돌기(43)는 상기 하강감지스위치(32)의 스위치스프링(32')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강감지레버(40)는 상기 스위치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한편, 상기 구동축(16)의 원통부(17)에는 복원링(45)이 설치된다. 상기 복원링(45)은 링형상으로 상기 원통부(1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복원링(45)의 일측에는 연동돌기(45')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돌기(45')는 상기 스토퍼(17')에 걸어져 복원링(45)이 구동축(16)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원링(45)에는 또한 상기 연동돌기(45')가 형성된 반대쪽에 캠(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46)은 상기 스위치구동레버(36)의 캠팔로워(37)와 선택적으로 연동되어 스위치구동레버(36)를 초기위치로 이동되게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블라인드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슬레이트(1)의 경사각도의 조절과 승강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슬레이트(1)는 상기 승강줄(3)이 상기 이송감김봉(22)에서 모두 풀어진 상태에서,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경사줄(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4)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슬레이트(1)의 경사 각도가 달라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4)에 의해 이송감김봉(22)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송감김봉(22)에 상단이 얹어져 걸어져 있는 경사줄(7)중 일측 단부의 수직줄은 상승되고 타측 단부의 수직줄은 하강되면서 슬레이트(1)의 각도가 조절된다. 슬레이트(1)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기 위해서는 구동모터(14)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슬레이트(1)를 승강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슬레이트(1)의 승강은 상기 승강줄(3)이 상기 이송감김봉(22)에 얼마나 감겨져 있는냐에 따라 결정된다. 즉, 승강줄(3)이 이송감김봉(22)에 거의 다 감겨지면 슬레이트(1)는 전체가 차례로 적층되어 최상부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또한 승강줄(3)이 이송감김봉(22)에서 다 풀어지면 슬레이트(1)는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가진 상태로 펼쳐져 있게 된다. 물론 승강줄(3)이 반쯤 이송감김봉(22)에 감겨져 있다면, 슬레이트(1)는 전체 창의 절반만을 가릴 수 있도록 일부는 적층되고 나머지는 펼쳐져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슬레이트(1)가 승강됨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트(1) 모두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설명한다. 슬레이트(1) 전체가 모두 적층되어 상부로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는 최상부의 슬레이트(1)에 의해 상승감지레버(34)가 밀어올려진다. 상기 상승감지레버(34)가 밀어올려지면 걸이돌기(35)의 가이드경사(35')에 의해 상기 스위치구동레버(36)의 일단부가 안내되면서, 스위치구동레버(36)가 이동된다.
상기 스위치구동레버(36)는 상기 캠팔로워(37)가 상기 구동모터(14) 방향으로 향하도록 이동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구동레버(36)가 이동되면 상기 구동공(36')에 의해 상기 스위치스프링(31')이 눌러져 상승감지스위치(31)의 버튼이 눌러진다. 이와 같이 되면 슬레이트(1)가 최상부로 이동된 것이 감지되고, 상기 구동모터(14)의 동작은 정지된다.
다음으로, 슬레이트(1)가 최상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다시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구동레버(36)가 원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구동모터(14)가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면 상기 이송감김봉(22)에 감겨 있던 승강줄(3)은 풀어지기 시작하고, 상기 언더바아(5)가 하부로 하강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최상부의 슬레이트(1)에서 그 하부의 있는 슬레이트(1)가 벌어지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승강줄(3)이 풀어져 나오면 연속적으로 하부에 있는 슬레이트(1)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슬레이트(1)가 펼쳐진다.
이때, 상기 구동축(16)이 구동모터(14)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원통부(17)의 스토퍼(17')가 상기 복원링(45)의 연동돌기(45')에 걸어지면 복원링(45)이 구동축(16)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복원링(45)이 회전하면 상기 캠(46)이 상기 캠팔로 워(37)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캠(46)에 의해 캠팔로워(37)가 밀리면서 스위치구동레버(36)가 이동된다. 물론, 상기 스위치구동레버(36)의 일단을 지지하고 있던 상승감지레버(34) 역시 더 이상 슬레이트(1)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므로 하강되어 더 이상 스위치구동레버(36)의 일단을 지지하지 않게 된다.
상기 승강줄(3)이 이송감김봉(22)에서 완전히 풀어지면, 슬레이트(1)가 모두 펼쳐진 상태, 즉 상기 언더바아(5)가 최하부로 내려간 상태가 된다. 이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승강줄(3)이 이송감김봉(22)에서 일부라도 감겨 있는 상태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감김봉(22)의 외경면 일측에서 접선방향으로 승강줄(3)이 연장된다. 이때, 상기 승강줄(3)은 이송감김봉(22)에서 풀려나와, 하강감지레버(40)의 승강줄관통부(42)와 모터베이스(12)의 승강줄통공(13')을 차례로 지나 하부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줄(3)이 상기 승강줄관통부(42), 즉 상기 하강감지레버(40)를 움직이지 않는다. 하지만, 승강줄(3)이 이송감김봉(22)에서 완전히 풀어지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줄(3)이 이송감김봉(22)의 중심위치에서 하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줄(3)이 상기 승강줄관통부(42)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승강줄(3)에 의해 상기 하강감지레버(40)가 힌지핀(4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위치접촉돌기(43)가 상기 하강감지스위치(32)의 스위치스프링(32')을 눌러 버튼이 눌러지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슬레이트(1)가 최하부까지 하 강된 것이 감지되고, 상기 구동모터(14)의 구동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하강감지레버(4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은 상기 스위치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수행된다. 즉, 상기 승강줄(3)이 이송감김봉(22)에 감겨지기 시작하면 승강줄(3)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상기 스위치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감지레버(4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14)가 회전하면 상기 이송감김봉(22)은 상기 리드스크류(20)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이송감김봉(22)의 일단부에 구비된 이송너트(24)가 상기 리드스크류(20)에 대해 이송감김봉(22)과 함께 회전함에 의해 이송감김봉(22)은 상기 리드스크류(20)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구동축(16)은 상기 구동모터(14)의 회전축(14')과 함께 회전하는데, 상기 이송감김봉(22)은 상기 구동축(16)에 대해 회전하면서 구동축(16)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감김봉(22)이 구동모터(14)에 의해 회전되면서 리드스크류(20)에 대해 직선이동됨에 의해 상기 이송감김봉(22)의 외주면에는 승강줄(3)이 겹쳐짐이 없이 차례로 감겨진다.
한편, 상기 이송감김봉(22)에는 상기 경사줄(7)이 얹어져 걸어져 있으므로, 일단 상기 구동모터(14)가 구동되면 경사줄(7)이 함께 동작되어 상기 슬레이트(1)의 경사각도가 달라진다. 이는 승강줄(3)을 구동시켜 슬레이트(1)를 승강시킬 때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이송감김봉(22)이 회전되면 슬레이트(1)는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 단이 상승되고 좌측 단이 하강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슬레이트(1)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경사가 형성된 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도시된 실시예는 고정프레임(10)에 모든 부품이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0)이 복층 유리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하지만, 고정프레임(10)이 복층 유리 사이가 아닌 창문의 상단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구성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즉, 내부에 설치된 부품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고정프레임(10)이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창문을 구성하는 부품의 내부에 모터베이스(12)와 스크류베이스(18)등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터베이스(12)와 스크류베이스(18)를 일체화하고 보조베이스(26)를 이들 상에 구비되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프레임(10)이 없이도 전체가 하나의 유니트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블라인드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슬레이트의 구동을 위한 구성과 슬레이트의 승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 모터베이스에 집약되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전동 블라인드장치의 구성이 간단한 유니트로 구성될 수 있어 제조 및 조립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송감김봉을 동작시켜 승강줄과 경사줄을 구동하는데, 상기 이송감김봉은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만으로 승강줄과 경사줄을 동작시킬 수 있어 구성부품수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기판에 설치된 상승 및 하강감지스위치를 승강줄의 동작에 따른 기구적구성의 구동에 의해 온오프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구성으로 슬레이트의 승하강완료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전동 블라인드장치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슬레이트가 사다리 모양의 경사줄에 의해 수평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지지되고, 슬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된 승강줄에 의해 슬레이트가 승강되고 상기 경사줄에 의해 경사가 조절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줄과 경사줄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줄의 상단이 횡으로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경사줄이 외주면에 얹어져 걸어지며, 리드스크류와 이송너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리드스크류에 대해 회전하면서 직선운동하는 이송감김봉과;
    상기 슬레이트중 최상부의 것에 의해 상승감지레버가 직접 밀어올려져 슬레이트가 최상부로 상승된 것을 감지하는 상승감지기구와;
    상기 이송감김봉을 횡으로 관통하는 승강줄이 이송감김봉에서 다 풀려나옴에 의해 하강감지레버가 동작되어 슬레이트가 하부로 완전히 하강된 것을 감지하는 하강감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 상승감지기구 및 하강감지기구는 모터베이스상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모터베이스와 별도로 구성된 스크류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베이스와 스크류베이스는 고정프레임에 장착됨 을 특징으로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베이스와 스크류베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이송감김봉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베이스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감지기구는,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기판상에 실장된 상승감지스위치와,
    상기 모터베이스를 관통하여 하단부가 최상단의 슬레이트와 마주보게 모터베이스상에 승강가능하게 걸쳐지는 상승감지레버와,
    상기 상승감지레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상승감지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모터의 반대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구동레버를 원위치시키는 복원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링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송감김봉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하는 구동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구동축의 스토퍼에 걸어지는 연동돌기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스위치구동레버의 선단에 구비된 캠팔로워를 구동하는 캠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감지기구는,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기판상에 실장된 하강감지스위치와,
    상기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감김봉에 상단이 연결된 승강줄이 이송감김봉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위치에 따라 일단부가 구동되어 타단부가 상기 하강감지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하강감지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강감지레버는 상기 하강감지스위치의 스위치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원위치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감지레버의 일단부에는 상기 승강줄이 관통하는 승강줄관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
  9. 슬레이트가 사다리 모양의 경사줄에 의해 수평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지지되고, 슬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된 승강줄에 의해 슬레이트가 승강되고 상기 경사줄에 의해 경사가 조절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에 있어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베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승강줄과 경사줄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크류베이스에 설치된 리드스크류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축에 일체로 회전되고 직선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직선이송되어 상기 승강줄이 감아지고 풀어지며 경사줄이 구동되게 하는 이송감김봉과;
    상기 슬레이트중 최상부의 것에 의해 상승감지레버가 직접 밀어올려져 슬레이트가 최상부로 상승된 것을 감지하는 상승감지기구와;
    상기 이송감김봉을 횡으로 관통하는 승강줄이 이송감김봉에서 다 풀려 승강줄이 이송감김봉에서 연장되는 위치가 달라짐에 의해 하강감지레버가 동작되어 슬레이트가 하부로 완전히 하강된 것을 감지하는 하강감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감지기구는,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기판상에 실장된 상승감지스위치와,
    상기 모터베이스를 관통하여 하단부가 최상단의 슬레이트와 마주보게 모터베이스상에 걸쳐지는 상승감지레버와,
    상기 상승감지레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상승감지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구동레버와,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구동레버의 선단에 구비된 캠팔로워를 구동하는 캠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반대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구동레버를 원위치시키는 복원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
  1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감지기구는,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기판상에 실장된 하강감지스위치와,
    상기 모터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줄이 관통하는 승강줄관통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감김봉에 상단이 연결된 승강줄이 이송감김봉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위치에 따라 승강줄관통부가 구동되어 타단부가 상기 하강감지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하강감지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강감지레버는 상기 하강감지스위치의 스위치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원위치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블라인드장치.
KR1020040115714A 2004-12-29 2004-12-29 전동 블라인드장치 KR100673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714A KR100673048B1 (ko) 2004-12-29 2004-12-29 전동 블라인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714A KR100673048B1 (ko) 2004-12-29 2004-12-29 전동 블라인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286U Division KR200378613Y1 (ko) 2004-12-29 2004-12-29 전동 블라인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027A true KR20060076027A (ko) 2006-07-04
KR100673048B1 KR100673048B1 (ko) 2007-01-24

Family

ID=3716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714A KR100673048B1 (ko) 2004-12-29 2004-12-29 전동 블라인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0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43498A (zh) * 2023-04-19 2023-07-18 浙江宏电环保股份有限公司 复合防火保温板生产装置及生产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967B1 (ko) 2014-08-13 2016-01-29 주식회사 뫼베플러스 접이식 수평덧창 및 수평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43498A (zh) * 2023-04-19 2023-07-18 浙江宏电环保股份有限公司 复合防火保温板生产装置及生产工艺
CN116443498B (zh) * 2023-04-19 2024-05-14 浙江宏电环保股份有限公司 复合防火保温板生产装置及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048B1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038B1 (ko)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101822678B1 (ko) 횡형 블라인드
KR880008784A (ko) 승강베드
EP0804674B1 (en) An end stop devic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window screening arrangement
KR100673048B1 (ko) 전동 블라인드장치
KR200378613Y1 (ko) 전동 블라인드장치
US20100122493A1 (en) Apparatus for sash window
KR100667347B1 (ko)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20100007846U (ko) 상하조정가능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
KR200476751Y1 (ko) 광센서에 의한 전동 블라인드 승강 제어장치
KR102160421B1 (ko) 복층유리용 자동블라인드장치
CZ294872B6 (cs) Stínicí zařízení
KR101270303B1 (ko) 무전원시 승강되어지는 셔터의 수동조작장치
KR101917767B1 (ko) 전동식 블라인드
JP4577563B2 (ja) 障害物検知装置
KR101079222B1 (ko) 전동 블라인드의 승, 하강을 위한 자동 제어장치
KR200208677Y1 (ko)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JP2020114974A (ja) 電動ブラインド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378596Y1 (ko)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JP2002155684A (ja) ブラインドのストッパー装置
JP2679919B2 (ja) 昇降装置
JP2000220366A (ja) 電動ブラインド
KR101917769B1 (ko) 전동식 블라인드
JP2755533B2 (ja) ブラインドの昇降コードストッパー装置
KR100679997B1 (ko) 바텐 승하강시 수평 밸런스 유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