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846U - 상하조정가능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 - Google Patents

상하조정가능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846U
KR20100007846U KR2020090000956U KR20090000956U KR20100007846U KR 20100007846 U KR20100007846 U KR 20100007846U KR 2020090000956 U KR2020090000956 U KR 2020090000956U KR 20090000956 U KR20090000956 U KR 20090000956U KR 20100007846 U KR20100007846 U KR 201000078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ifter
slider
type sliding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596Y1 (ko
Inventor
최경호
최홍기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진 filed Critical (주)명진
Priority to KR2020090000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9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8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for raising wings before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의 일측을 들어올리거나 하강시켜 창문과 창틀이 정확하게 맞물리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는 리프터(30)에 구비된 조절나사(35)를 노이거나 풀면, 조절블록(34)이 전후진되면서 경사면(32a)을 따라 승강되어 상부리프터(33)를 승강시키므로, 상부리프터(33)에 올려진 창문(4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창문(40)과 창틀(10)의 측면이 정확히 들어도록 고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어, 승강, 회동, 조절나사, 기울기

Description

상하조정가능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up-down adjustable lift type sliding windows and door}
본 고안은 창문의 일측을 들어올리거나 하강시켜 창문과 창틀이 정확하게 맞물리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축물에 창문과 문의 총칭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 창호가 설치되는 틀을 창틀이라 한다. 이러한 창호 중에서 베란다 도어나 기타 창 등에 주로 사용하는 여닫이문은 안내레일이 구비된 창틀에, 로울러가 장착된 창문을 설치하여, 안내레일을 따라 창문을 밀어 여닫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방음성, 단열성 등을 더욱 향상시킨 리프트 타입의 슬라이딩 창호가 개발되었다. 이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틀(10)과, 상기 창틀(10)의 안내레일(11)에 올려지는 리프팅어셈블리(A)와, 상기 리프팅어셈블리(A)에 설치되는 창문(40)과, 상기 창문(40)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리프팅어셈블리(A)를 작동시켜 상기 창문(40)을 승강시키는 승강기 구(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프팅어셈블리(A)는 창틀(10)의 안내레일(11)에 올려지는 슬라이더(20)와, 이 슬라이더(20)에 상대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상부에 상기 창문(40)이 설치되는 리프터(3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20)의 하측에는 안내레일(11)에 올려지는 로울러(21)가 구비되어, 손쉽게 창문(40)을 밀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30)는 중앙부에 형성된 캠홈(31)이 상기 슬라이더(20)의 캠핀(22)에 결합되어, 슬라이더(20)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캠홈(31)이 캠핀(22)을 따라 이동하면서 리프터(30)를 승강시킨다. 상기 승강기구(50)는 상기 창문(40)에 설치된 핸들(51)과, 이 핸들(51)과 상기 슬라이더(20)를 연결하는 링크기구(52)로 구성되어, 핸들(51)을 회전시키면 핸들(51)의 회전운동이 링크기구(52)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슬라이더(2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창문(40)을 열거나 닫기 위해 상기 핸들(51)을 돌리면, 상기 슬라이더(20)가 당겨져 리프터(30)와 이 리프터(30)에 결합된 창문(40)이 상승된다. 따라서, 창문(40)의 하단부가 안내레일(11)에서 이격되어 손쉽게 창문(40)을 여닫을 수 있다. 그리고, 창문(40)을 열거나 닫은 후, 상기 핸들(51)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전술한 바와 반대로 창문(40)이 하강하여, 창문(40) 하단이 안내레일(11)에 밀착되어, 창문(4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뿐 아니라, 뛰어난 방음, 단열성 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슬라이딩창호에는 창문(40)을 닫은 상태에서 창문(40)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60)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장치(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틀(10)에 구비된 고정핀(61)과, 상기 창문(4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61)이 결합되는 결합공(6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합공(62)은 내경이 큰 원형의 삽입부(62a)와, 상기 삽입부(62a)의 지름보다 폭이 좁게 구성되며 삽입부(62a)의 상측으로 연장된 고정부(62b)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핀(61)은 상기 삽입부(62a)에 끼워질 수 있는 원형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상기 결합공(62) 끼워지는 오목홈(6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창문(40)을 닫으면 상기 고정핀(61)이 삽입부(62a)로 끼워지며, 상기 핸들(51)을 돌려 창문(40)을 하강시키면 상기 고정부(62b)가 오목홈(61a)의 양측에 끼워져 창문(40)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60)는 상기 창호들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창문(40)을 닫을 때 다수개의 잠금장치(60)가 한꺼번에 결합되어, 창문(4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슬라이딩창호는 창문(40)을 제작할 때 또는 상기 창틀(10)을 설치할 때, 작업자의 실수 등의 이유로, 창문(40)이나 창틀(10)의 측면이 기울어지게 되는 일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창문(40)과 창틀(10)의 측면이 정확히 들어맞지 않아서 미관을 해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개인 잠금장치(60)의 일부에 구비된 고정핀(61)이 상기 결합공(62)에 맞물리지 않게 되어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어 방범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잠금장치(60)의 고정핀(61)이 상기 결합공(62)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창문(40)이 하강될 경우, 결합공(62)의 고정부(62b)에 의해 상기 고정핀(61)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밀려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문(40)과 창틀(10)이 정확히 들어맞지 않을 경우, 고정핀(61)의 배면에 스페이서를 덧대어 고정핀(61)이 돌출되도록 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고정핀(61)의 고정강도가 낮아져 방범성이 떨어지게 될 뿐 아니라, 창문(40)과 창틀(10)이 정확히 들어맞지 않아 미관을 해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문과 창틀의 측면이 정확히 들어맞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틀(10)과; 상기 창틀(10)의 안내레일(11)에 올려지는 슬라이더(20)와, 상기 슬라이더(20)에 상대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프터(3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20)와 리프터(30)에는 각각 캠홈(31)과 상기 캠홈(31)에 결합되는 캠핀(22)이 구비되어, 슬라이더(20)와 리프터(30)의 상대운동에 따라 리프터(30)가 승강되는 리프팅어셈블리(A)와; 상기 리프터(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창문(40)과; 상기 창문(40)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0)를 전후진시켜 상기 리프터(30)와 창문(40)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50)를 포함하는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30)는 상기 캠홈(31) 또는 캠핀(22)이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경사면(32a)이 형성된 하부리프터(32)와, 상기 하부리프터(32)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면에는 좌우방향의 가이드부(33a)가 형성되어 상면에 상기 창문(40)이 설치되는 상부리프터(33)와, 하부면에는 상기 경사면(32a)에 밀착되는 보조경사면(34a)이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가이드부(33a)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리프터(32)와 상부리프터(33)의 사이에 끼워지는 조절블록(34)과, 상기 상부리프터(33)와 조절블록(34)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조절블록(34)을 전후진시키는 조절나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는 리프터(30)에 구비된 조절나사(35)를 노이거나 풀면, 조절블록(34)이 전후진되면서 경사면(32a)을 따라 승강되어 상부리프터(33)를 승강시키므로, 상부리프터(33)에 올려진 창문(4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창문(40)과 창틀(10)의 측면이 정확히 들어도록 고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10)과; 상기 창틀(10)의 안내레일(11)에 올려지는 슬라이더(20)와, 상기 슬라이더(20)에 상대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프터(3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20)와 리프터(30)에는 각각 캠홈(31)과 상기 캠홈(31)에 결합되는 캠핀(22)이 구비되어, 슬라이더(20)와 리프터(30)의 상대운동에 따라 리프터(30)가 승강되는 리프팅어셈블리(A)와; 상기 리프터(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창문(40)과; 상기 창문(40)에 장착 되며 상기 슬라이더(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0)를 전후진시켜 상기 리프터(30)와 창문(40)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50)를 포함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캠홈(31)은 상기 리프터(30)에 형성되고 상기 캠핀(22)은 슬라이더(20)에 구비되어, 슬라이더(20)의 전후진에 따라, 리프터(30)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창문(40)과 창틀(10)에는 복수개의 잠금장치(6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리프팅어셈블리(A)는 제1 리프팅어셈블리(A1)와 제2 리프팅어셈블리(A2)로 구성되어 상기 창문(40)의 하단 좌우측에 각각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리프터(30), 특히, 상기 제2 리프팅어셈블리(A2)의 리프터(30)는, 상기 캠홈(31)이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경사면(32a)이 형성된 하부리프터(32)와, 상기 하부리프터(32)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면에는 좌우방향의 가이드부(33a)가 형성되어 상면에 상기 창문(40)이 설치되는 상부리프터(33)와, 하부면에는 상기 경사면(32a)에 밀착되는 보조경사면(34a)이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가이드부(33a)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리프터(32)와 상부리프터(33)의 사이에 끼워지는 조절블록(34)과, 상기 상부리프터(33)와 조절블록(34)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조절블록(34)을 전후진시키는 조절나사(3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리프터(32)는 하측에 상기 캠홈(31)이 형성되며, 전후측에는 수직가이드부(32b)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리프터(33)는 상기 하부리프터(32)의 수직가이드부(32b)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승강바(33b)가 전후단부에서 하측으 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부(33a)가 상기 하부리프트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하부리프터(32)와 결합되어 전후진 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리프터(33)의 수직승강바(33b)에는 상하방향의 나사결합공(33c)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결합공(33c)에 결합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창문(40)의 하단면에 고정되며, 상부리프터(33)의 후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절나사(3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33d)이 구비된다.
상기 조절블록(34)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나사(35)가 결합되는 나사결합부(34b)와, 상기 나사결합부(34b)의 양측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리프터(33)의 수직승강바(33b) 양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하부면에 상기 보조경사면(34a)이 형성된 연장부(34c)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경사면(34a)은 상기 연장부(34c)의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조절나사(35)는 상기 상부리프터(33)의 브라켓(33d)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선단부가 상기 조절블록(34)의 나사결합부(34b)에 나사결합되어, 조절나사(35)를 회전시키면 나사산의 작용에 의해 상기 조절블록(34)이 상부리프터(33)의 가이드부(33a)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는, 도 8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문(40)과 창틀(10)의 측면이 평행을 이루지 않을 경우, 도 7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블록(34)이 상기 상부리프터(33)의 가이드 부(33a)를 따라 전후진되면서, 조절블록(34)의 하부면에 형성된 보조경사면(34a)이 하부리프터(32)의 경사면(32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리프터(33)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됨에 따라, 상기 상부리프터(33)에 고정된 창문(40)의 하단 일측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거나 하강시켜, 창문(40)의 상부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켜 창문(40)과 창틀(10)의 측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기울이므로써, 창문(40)의 측면이 창틀(10)의 측면과 정확히 맞물리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기구(50)를 작동시켜 창문(40) 전체를 승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창문(40)과 창틀(10)의 측면이 상호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정확히 상호 맞물리게 되므로, 창문(40)과 창틀(10)이 상호 정확히 들어맞지 않아서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창문(40)과 창틀(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개의 잠금장치(60)가 한꺼번에 모두 결합되어 잠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방범성을 높이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잠금장치(60)가 정확히 잠기지 않음에 따라 창문(40)을 하강시킬 때 잠금장치(6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리프팅어셈블리(A2)의 리프터(30)만 상부리프터(33)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제1 리프팅어셈블리(A1)에 하부리프터(32)와 상부리프터(33), 조절블록(34) 및 조절나사(35)를 구비하여, 제1 리프팅어셈블리(A1)의 상부리프터(3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1 및 제2 리프팅어셈블리(A1,A2)의 높이를 모두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캠홈(31)은 상기 리프터(30)의 하부리프터(32)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캠홈(31)을 상기 슬라이더(20)에 형성하고, 상기 캠핀(22)을 상기 하부리프터(32)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잠금장치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팅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를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조절블록을 도시한 저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Claims (1)

  1. 창틀(10)과; 상기 창틀(10)의 안내레일(11)에 올려지는 슬라이더(20)와, 상기 슬라이더(20)에 상대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프터(3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20)와 리프터(30)에는 각각 캠홈(31)과 상기 캠홈(31)에 결합되는 캠핀(22)이 구비되어, 슬라이더(20)와 리프터(30)의 상대운동에 따라 리프터(30)가 승강되는 리프팅어셈블리(A)와; 상기 리프터(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창문(40)과; 상기 창문(40)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0)를 전후진시켜 상기 리프터(30)와 창문(40)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50)를 포함하는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30)는 상기 캠홈(31) 또는 캠핀(22)이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경사면(32a)이 형성된 하부리프터(32)와, 상기 하부리프터(32)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면에는 좌우방향의 가이드부(33a)가 형성되어 상면에 상기 창문(40)이 설치되는 상부리프터(33)와, 하부면에는 상기 경사면(32a)에 밀착되는 보조경사면(34a)이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가이드부(33a)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리프터(32)와 상부리프터(33)의 사이에 끼워지는 조절블록(34)과, 상기 상부리프터(33)와 조절블록(34)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조절블록(34)을 전후진시키는 조절나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조정가능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
KR2020090000956U 2009-01-29 2009-01-29 상하조정가능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 KR200456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56U KR200456596Y1 (ko) 2009-01-29 2009-01-29 상하조정가능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56U KR200456596Y1 (ko) 2009-01-29 2009-01-29 상하조정가능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46U true KR20100007846U (ko) 2010-08-06
KR200456596Y1 KR200456596Y1 (ko) 2011-11-09

Family

ID=4445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956U KR200456596Y1 (ko) 2009-01-29 2009-01-29 상하조정가능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9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86Y1 (ko) * 2011-08-31 2013-08-28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리프팅장치
KR101372577B1 (ko) * 2012-07-06 2014-03-13 주식회사 대현상공 리프트 창문용 호차 어셈블리
KR20170011243A (ko) 2015-07-22 2017-02-02 탁준모 슬라이드-틸트형 창문
KR20200017091A (ko) 2018-08-08 2020-02-18 (주)명진 리프팅 창호의 슬라이딩 보조장치
KR20200116701A (ko) 2019-04-02 2020-10-13 (주)명진 창호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299Y1 (ko) 2012-02-02 2013-04-12 주식회사 대현상공 높이조절 기능이 개선된 리프트형 창문용 호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5827A (en) 1926-04-29 1926-08-10 Frisque Victor Adjustable threshold
KR200174743Y1 (ko) * 1998-02-09 2000-04-01 안종섭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戶車)
KR100481687B1 (ko) 2002-12-27 2005-04-14 주식회사창대종합건축사사무소 수평조절 블록
KR100629618B1 (ko) * 2005-06-24 2006-09-28 (주)명진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86Y1 (ko) * 2011-08-31 2013-08-28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리프팅장치
KR101372577B1 (ko) * 2012-07-06 2014-03-13 주식회사 대현상공 리프트 창문용 호차 어셈블리
KR20170011243A (ko) 2015-07-22 2017-02-02 탁준모 슬라이드-틸트형 창문
KR20200017091A (ko) 2018-08-08 2020-02-18 (주)명진 리프팅 창호의 슬라이딩 보조장치
KR20200116701A (ko) 2019-04-02 2020-10-13 (주)명진 창호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596Y1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596Y1 (ko) 상하조정가능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
CA2824909C (e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US8281519B2 (en) Sliding door or window
US10648195B2 (en) Side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430220B1 (en) Actuating device for the sash of a sliding window or door
US10968675B2 (en) Lifting system for a liftable sliding leaf
EP2479370B1 (en) Roof window with balcony function
CN106185572B (zh) 一种电梯轿门锁装置
BR112018076422B1 (pt) Dispositivo elevador para a elevação de um batente deslocável de uma janela ou de uma porta, disposição de montagem e janela ou porta
EP2712993B1 (en) Carriage unit for sliding door or window of the lift and slide type
EA039816B1 (ru) Нижнее звено ворот, имеющее откидной роликовый держатель
KR200382496Y1 (ko) 창호의 리프팅장치
KR20110010934U (ko)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
KR101211761B1 (ko)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US11866966B2 (en) Device for constraining the opening of doors or windows
CN108894631B (zh) 铰链锁及具有其的门
KR200410638Y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WO2018025123A1 (en) Lock for doors and/or windows
KR200439694Y1 (ko) 미닫이도어용 이동안내부재의 고정구조
CN204442848U (zh) 户外机柜
JP3173767U (ja) 強度強化昇降コ−ド及び昇降コ−ド適合ストッパーの上下自在型ブラインド
KR100558866B1 (ko) 리어 슬라이딩 도어의 처짐 교정구
JP2001065236A (ja) 欄間扉開閉装置
KR200269331Y1 (ko) 창문용 호차
KR200378613Y1 (ko) 전동 블라인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