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677Y1 -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677Y1
KR200208677Y1 KR2020000019582U KR20000019582U KR200208677Y1 KR 200208677 Y1 KR200208677 Y1 KR 200208677Y1 KR 2020000019582 U KR2020000019582 U KR 2020000019582U KR 20000019582 U KR20000019582 U KR 20000019582U KR 200208677 Y1 KR200208677 Y1 KR 200208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elevating
bar
wire
lift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숙자
Original Assignee
조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숙자 filed Critical 조숙자
Priority to KR2020000019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6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677Y1/ko

Links

Landscapes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대의 높이를 사용자가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개의 캐스터(11)가 설치된 베이스(10); 베이스(10)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양측 상부에 와이어고정구(21)가 부착된 지지봉(20); 지지봉(20)내로 끼워지며 상,하부 양측으로 한조의 상승,하강안내롤(31)(32)이 설치된 제1승강봉(30); 지지봉(20)내에 설치되어 제1승강봉(30)을 승강시키는 나사봉(40); 나사봉(4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 제1승강봉(30)내로 끼워지는 제2승강봉(60); 제2승강봉(6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승안내롤(31)을 거쳐 그 양단이 와이어고정구(21)에 고정되어 제1승강봉(30) 상승시 제2승강봉(60)을 동시에 상승시키는 상승와이어(70); 제2승강봉(60)의 상부를 관통하여 하강안내롤(32)을 거쳐 그 양단이 와이어고정구(21)에 고정되어 제1승강봉(30) 하강시 제2승강봉(60)을 동시에 하강시키는 하강와이어(80); 제2승강봉(6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Hight adjuster for prop of projector}
본 고안은 영사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받침대의 높이를 사용자가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영사기 받침대는 구조적으로 받침대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위치를 변경하거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스크린과 받침대의 위치를 동시에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받침대의 높이를 사용자가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받침대의 각도를 사용자가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의 저부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캐스터를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지지봉을 수직을 설치하며, 상기 지지봉내로 제1,2승강봉을 승강가능하게 각각 끼워서 조립하고, 상기 지지봉내에 제1승강봉을 승강시키는 나사봉을 내장하되, 상기 지지봉과 제1,2승강봉에 제1승강봉 승강시 제2승강봉을 동시에 동일한 높이로 승강시키는 상승,하강와이어를 각각 설치하며, 또한 상기 제2승강봉의 상부에는 영사기 받침대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여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1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d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수단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a,4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상승,하강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유동방지롤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a,7b는 유동방지롤의 사시도.
도 8a는 받침대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b는 받침대의 조립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c는 받침대의 각도 조절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베이스 11 : 캐스터
20 : 지지봉 21 : 와이어고정구
30 : 제1승강봉 31 : 상승안내롤
32 : 하강안내롤 40 : 나사봉
50 : 구동수단 60 : 제2승강봉
70 : 상승와이어 80 : 하강와이어
90 : 받침대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는 도 1a 내지 도 8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개의 캐스터(11)가 설치된 베이스(10); 베이스(10)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양측 상부에 와이어고정구(21)가 부착된 지지봉(20); 지지봉(20)내로 끼워지며 상,하부 양측으로 한조의 상승,하강안내롤(31)(32)이 설치된 제1승강봉(30); 지지봉(20)내에 설치되어 제1승강봉(30)을 승강시키는 나사봉(40); 나사봉(4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 제1승강봉(30)내로 끼워지는 제2승강봉(60); 제2승강봉(6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승안내롤(31)을 거쳐 그 양단이 와이어고정구(21)에 고정되어 제1승강봉(30) 상승시 제2승강봉(60)을 동시에 상승시키는 상승와이어(70); 제2승강봉(60)의 상부를 관통하여 하강안내롤(32)을 거쳐 그 양단이 와이어고정구(21)에 고정되어 제1승강봉(30) 하강시 제2승강봉(60)을 동시에 하강시키는 하강와이어(80); 제2승강봉(6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대(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는 도 1a에서와 같이 대략 'H'형으로 형성되어 그 전,후방 양측에는 베이스(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캐스터(11)가 각각 설치되고, 이때 일측 캐스터(11)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스토퍼(12)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봉(20)은 베이스(10)의 중앙 상부에 수직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제1,2승강봉(30)(60)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봉(20)의 내측으로 제1승강봉(30)이 승강가능하게 끼워지고, 제1승강봉(30)의 내측으로는 제2승강봉(60)이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와이어고정구(21)는 도 5에서와 같이 'ㄱ'형으로 절곡형성되어 지지봉(20)의 상부 양측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와이어고정구(21)에는 와이어고정볼트(22)(23)가 각각 설치되고, 와이어고정구(21)의 상부에는 와이어공(24)이 천공된다.
상기 제1승강봉(30)의 내측 하부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나사봉(4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30a)가 설치되므로 나사봉(40)을 돌리면 너트부재(30a)에 의해 제1승강봉(30)이 승강하면서 자연히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제1승강봉(30)의 일측 상,하부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경사면(33a)을 가지는 걸림공(33)이 각각 천공되고, 지지봉(20)의 일측 상부에는 스프링(130)의 탄력을 받으면서 걸림공(33)에 로킹되는 단속봉(131)이 설치된다.
따라서 승강작동시 제1승강봉(30)은 그 상,하부에 형성된 걸림공(33)이 단속봉(131)에 로킹될 때 까지만 상승 또는 하강하고 더 이상의 승강은 차단된다. 그리고, 단속봉(131)을 당기면 로킹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상승안내롤(31)은 도 5에서와 같이 제1승강봉(30)의 상부 양측에 브래킷(31a)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상승안내롤(31)의 상부로 상승와이어(70)가 감긴다.
상기 하강안내롤(32)은 도 5에서와 같이 제1승강봉(30)의 하부 양측에 축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하강안내롤(32)의 하부로 하강와이어(80)가 감긴다.
상기 지지봉(20),제1,2승강봉(30)(60)은 도 6에서와 같이 사각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봉(20),제1승강봉(30)의 상부 각면에는 판스프링(100)의 탄력을 받으면서 제1승강봉(30),제2승강봉(60)의 외면에 밀착되는 한쌍의 유동방지롤(101)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2승강봉(30)(60)의 하부 각면에는 판스프링(110)의 탄력을 받으면서 지지봉(20),제1승강봉(30)의 내면에 밀착되는 유동방지롤(111)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유동방지롤(101)(111)은 승강작동시 제1,2승강봉(30)(6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2승강봉(30)(60)이 원활하게 승강되도록 하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한쌍의 유동방지롤(101)은 도 6,도 7a에서와 같이 판스프링(100)의 상,하 양측에 절곡형성된 롤고정편(100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판스프링(100)은 롤커버(102)에 리벳팅으로 고정되며, 롤커버(102)는 지지봉(20),제1승강봉(30)의 상부에 볼트체결로 고정된다.
상기 유동방지롤(111)은 도 6,도 7b에서와 같이 판스프링(110)의 양측에 절곡형성된 롤고정편(100a)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이때 판스프링(110)은 제1,2승강봉(30)(60)에 직접 리벳팅으로 고정된다.
상기 나사봉(40)은 지지봉(20)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하면서 제1승강봉(3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나사봉(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승강봉(30)의 너트부재(30a)에 나사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구동수단(50)의 일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20)의 일측 상부에 축설되는 구동스프로킷(51), 구동스프로킷(51)을 구동시키는 핸들(52), 나사봉(4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51)과 체인(53)으로 연결되는 가동스프로킷(54), 가동스프로킷(54)과 나사봉(40)을 연결시켜주는 베벨기어(55)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봉(20)의 일측에는 구동스프로킷(51)과 체인(53)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1)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수단(50)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핸들(52)을 돌리면 구동스프로킷(51)이 구동하는 동시에 구동스프로킷(51)과 체인(53)으로 연결된 가동스프로킷(54)이 구동하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베벨기어(55)가 나사봉(40)을 구동시키므로 제1승강봉(30)이 승강하게 된다. 이때, 핸들(52)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제1승강봉(30)이 상승하고, 핸들(52)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제1승강봉(30)이 하강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구동수단(50)의 다른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봉(4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가동스프로킷(54a), 가동스프로킷(54a)과 나사봉(40)을 연결시켜주는 베벨기어(55a), 가동스프로킷(54a)과 체인(53a)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51a), 구동스프로킷(51a)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56), 제1승강봉(30)의 승강작동을 감지하여 모터(56)를 정지시키는 센서(57)로 구성된다. 이때, 센서(57)는 지지봉(2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커버(1)에는 모터(56)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58)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수단(50)의 다른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콘트롤박스(58)에 구비된 상승스위치 또는 하강스위치를 '온'시키면 모터(56)와 구동스프로킷(51a)이 구동하는 동시에 이 구동스프로킷(51a)과 체인(53a)으로 연결된 가동스프로킷(54a)이 구동하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베벨기어(55a)가 나사봉(40)을 구동시키므로 제1승강봉(30)이 승강하게 된다. 이때, 제1승강봉(30)이 설정된 높낮이 만큼 최대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센서(57)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56)를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상기 제2승강봉(60)은 제1승강봉(30)의 승강작동시 상승,하강와이어(70)(80)를 통해 제1승강봉(30)과 동일한 높이로 동시에 승강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2승강봉(60)의 상,하부 양측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와이어공(60a)(60b)이 관통되고, 또한 제2승강봉(60)의 상부 양측에는 하강와이어(80)가 제1,2승강봉(30)(60) 외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편(120)이 나사체결로 부착된다. 이때, 양측 접촉방지편(12)에는 하강와이어(80)가 끼워지는 와이어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상승와이어(70)는 제1승강봉(30)의 상승작동시 제2승강봉(60)을 동시에 동일한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상승와이어(70)는 도 5에서와 같이 제2승강봉(60)의 하부에 천공된 와이어공(60b)을 관통한 상태에서 그 양측이 제1승강봉(30)과 제2승강봉(60) 사이 틈새를 통해 상부로 빠져나온후, 다시 양측 상승안내롤(31)에 각각 감긴 상태에서 그 양단이 와이어고정볼트(22)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제1승강봉(30)이 하강한 상태에서 나사봉(40)을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제1승강봉(30)은 도 4b와 같이 상승하게 되고, 제1승강봉(30)에 고정된 상승안내롤(31)이 동시에 상승하므로, 이때 제2상승봉(6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승안내롤(31)에 감긴 상승와이어(70)에 의해 제2승강봉(60)이 제1승강봉(30)과 동시에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하강와이어(80)는 제1승강봉(30)의 하강작동시 제2승강봉(60)을 동시에 동일한 높이만큼 하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하강와이어(80)는 도 5에서와 같이 제2승강봉(60)의 상부에 천공된 와이어공(60a)을 관통하여 그 양측이 제1승강봉(30)과 지지봉(20) 사이 틈새로 들어가 하강안내롤(32)에 감긴 상태에서 다시 상부로 빠져나온후, 그 양단이 와이어고정구(21)의 와이어공(24)을 관통한 상태에서 와이어고정볼트(23)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4b와 같이 제1승강봉(30)이 상승한 상태에서 나사봉(40)을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제1승강봉(30)은 도 4a와 같이 하강하게 되고, 제1승강봉(30)에 설치된 하강안내롤(32)이 동시에 하강하므로, 이때 제2상승봉(60)의 상부를 관통하여 하강안내롤(32)에 감긴 하강와이어(80)에 의해 제2승강봉(60)이 제1승강봉(30)과 동시에 동일한 높이로 하강하게 된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승강봉(60)의 상단에는 채널형강(61)이 고정되고, 받침대(90)의 저부에는 채널형강(61)에 축볼트(62)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조절구(91)가 부착되며, 상기 각도조절구(91)의 일측에는 호형장공(92)이 형성되고, 호형장공(92)에는 받침대(90)의 회전각도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93)가 끼워져 나사결합된다.
이는 받침대(90)의 경사각도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레버(93)를 풀고 도 8c의 가상선과 같이 받침대(90)의 경사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다시 고정레버(93)를 돌려서 잠그면 받침대(90)는 조절된 경사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들(52)을 시계방향으로 돌리거나 또는 콘트롤박스(58)의 상승스위치를 '온'시켜 모터(56)을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구동스프로킷(51)(51a),체인(53) (53a),가동스프로킷(54)(54a),베벨기어(55)(55a)를 통해 나사봉(40)이 구동하고, 나사봉(40)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30a)에 의해 제1승강봉(30)이 도 4b와 같이 상승함과 동시에 상승와이어(70)에 의해 제2승강봉(60)도 제1승강봉(30)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승강봉(30)은 상부에 형성된 걸림공(33)이 단속봉(131)에 로킹될 때 까지만 상승하게 된다. 즉, 제1승강봉(30)이 최대로 상승하게 되면 단속봉(131)이 경사면(33a)을 따라 걸림공(33)내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로킹이 이루어지므로 더 이상 제1승강봉(30)이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모터(56)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부에 설치된 센서(57)가 제1승강봉 (30)의 상승상태를 감지하여 제1승강봉(30)이 최대한 높이로 상승하면 자동적으로 모터(56)를 정지시킨다.
다음, 핸들(52)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거나 또는 콘트롤박스(58)의 하강스위치를 '온'시켜 모터(56)을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구동스프로킷(51)(51a),체인(53) (53a),가동스프로킷(54)(54a),베벨기어(55)(55a)를 통해 나사봉(40)이 역으로 구동하고, 나사봉(40)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30a)에 의해 제1승강봉(30)이 도 4a와 같이 하강함과 동시에 하강와이어(80)에 의해 제2승강봉(60)도 제1승강봉(30)과 동일한 높이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도 제1승강봉(30)은 하부에 형성된 걸림공(33)이 단속봉(131)에 로킹될 때 까지만 하강하게 된다. 즉, 제1승강봉(30)이 최대로 하강하게 되면 단속봉(131)이 경사면(33a)을 따라 걸림공(33)내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로킹이 이루어지므로 더 이상 제1승강봉(30)이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모터(56)를 이용할 경우에는 하부에 설치된 센서(57)가 제1승강봉 (30)의 하강상태를 감지하여 제1승강봉(30)이 최대한 높이로 하강하면 자동적으로 모터(56)를 정지시킨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받침대(9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고정레버(93)를 풀고 받침대(90)의 경사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다시 고정레버(93)를 돌려서 잠그면 받침대(90)는 조절된 경사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영사기 받침대(9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받침대(90)의 경사각도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영사기 받침대(90)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베이스(10)에 다수개의 캐스터(11)가 설치되므로 받침대 (90)를 편리하게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영사기 받침대의 높이를 사용자가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받침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7)

  1. 수개의 캐스터(11)가 설치된 베이스(10); 베이스(10)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양측 상부에 와이어고정구(21)가 부착된 지지봉(20); 지지봉(20)내로 끼워지며 상,하부 양측으로 한조의 상승,하강안내롤(31)(32)이 설치된 제1승강봉(30); 지지봉(20)내에 설치되어 제1승강봉(30)을 승강시키는 나사봉(40); 나사봉(4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 제1승강봉(30)내로 끼워지는 제2승강봉(60); 제2승강봉 (6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승안내롤(31)을 거쳐 그 양단이 와이어고정구(21)에 고정되어 제1승강봉(30) 상승시 제2승강봉(60)을 동시에 상승시키는 상승와이어(70); 제2승강봉(60)의 상부를 관통하여 하강안내롤(32)을 거쳐 그 양단이 와이어고정구 (21)에 고정되어 제1승강봉(30) 하강시 제2승강봉(60)을 동시에 하강시키는 하강와이어(80); 제2승강봉(6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대(90)를 포함하는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제1,2승강봉(30)(60)은 사각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봉(20),제1승강봉(30)의 상부 각면에는 판스프링(100)의 탄력을 받으면서 제1승강봉(30),제2승강봉(60)의 외면에 밀착되는 한쌍의 유동방지롤(101)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2승강봉(30)(60)의 하부 각면에는 판스프링(110)의 탄력을 받으면서 지지봉(20),제1승강봉(30)의 내면에 밀착되는 유동방지롤(111)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은 지지봉(20)의 일측 상부에 축설되는 구동스프로킷(51), 구동스프로킷(51)을 구동시키는 핸들(52), 나사봉(4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51)과 체인(53)으로 연결되는 가동스프로킷(54), 가동스프로킷(54)과 나사봉(40)을 연결시켜주는 베벨기어(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은 나사봉(4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가동스프로킷(54a), 가동스프로킷(54a)과 나사봉(40)을 연결시켜주는 베벨기어 (55a), 가동스프로킷(54a)과 체인(53a)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51a), 구동스프로킷(51a)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56), 제1승강봉(30)의 승강작동을 감지하여 모터(56)를 정지시키는 센서(5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봉(60)의 상부 양측에는 하강와이어(80)가 제1,2승강봉(30)(60) 외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편(120)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기 받치대 높이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승강봉(30)의 일측 상,하부에는 경사면(33a)을 가지는 걸림공(33)이 각각 천공되고, 지지봉(20)의 일측 상부에는 스프링(130)의 탄력을 받으면서 걸림공(33)에 로킹되는 단속봉(13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봉(60)의 상단에는 채널형강(61)이 고정되고, 받침대(90)의 저부에는 채널형강(61)에 축볼트(62)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조절구(91)가 부착되며, 상기 각도조절구(91)의 일측에는 호형장공(92)이 형성되고, 호형장공(92)에는 받침대(90)의 회전각도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93)가 끼워져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2020000019582U 2000-07-08 2000-07-08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200208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582U KR200208677Y1 (ko) 2000-07-08 2000-07-08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582U KR200208677Y1 (ko) 2000-07-08 2000-07-08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116A Division KR100433038B1 (ko) 2000-07-08 2000-07-08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677Y1 true KR200208677Y1 (ko) 2001-01-15

Family

ID=7305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582U KR200208677Y1 (ko) 2000-07-08 2000-07-08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6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274B1 (ko) 2010-10-13 2011-04-06 이정기 다단 전동 리프트
KR101464113B1 (ko) 2014-09-04 2014-11-21 김기학 포탑 선회 구동기의 정비작업용 거치대
KR101491362B1 (ko) * 2013-12-06 2015-02-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지상시험지원장비용 케이블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274B1 (ko) 2010-10-13 2011-04-06 이정기 다단 전동 리프트
KR101491362B1 (ko) * 2013-12-06 2015-02-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지상시험지원장비용 케이블 거치대
KR101464113B1 (ko) 2014-09-04 2014-11-21 김기학 포탑 선회 구동기의 정비작업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038B1 (ko)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CN203976174U (zh) 折叠式住宅电动楼梯
KR200208677Y1 (ko)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101270303B1 (ko) 무전원시 승강되어지는 셔터의 수동조작장치
JPH0728783B2 (ja) 昇降ベッドの調整装置
JP4543229B2 (ja) 車椅子用昇降機
JP2005119768A (ja) 車椅子用昇降機
KR200249639Y1 (ko) 자전거의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102175558B1 (ko) 비계장치
KR920002379Y1 (ko) 플로어힌지의 위치조절 장치
CN212475920U (zh) 一种自动晾衣架的卷线器
JP2767227B2 (ja) ベッド等における柵の昇降ストッパ機構
KR100673048B1 (ko) 전동 블라인드장치
JP2007176623A (ja) リフター
JP2006176310A (ja) 車椅子用昇降機
KR200279548Y1 (ko) 창의 승강 장치
KR200281380Y1 (ko) 천정부착형 높이조절장치
JPS6330276B2 (ko)
JPS6020800Y2 (ja) 脚立
KR910007694Y1 (ko) 잭 (Jack)
JPH03271440A (ja) 載置式組立建造物
JPH0597348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装置
JPH09278390A (ja) 簡易リフター
JP2000125973A (ja) 昇降座椅子
KR960001508Y1 (ko) 주차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