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725A - 가공경화형 저 니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Google Patents
가공경화형 저 니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75725A KR20060075725A KR1020040114606A KR20040114606A KR20060075725A KR 20060075725 A KR20060075725 A KR 20060075725A KR 1020040114606 A KR1020040114606 A KR 1020040114606A KR 20040114606 A KR20040114606 A KR 20040114606A KR 20060075725 A KR20060075725 A KR 200600757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ss
- stainless steel
- austenitic stainless
- weight
- st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r-Ni계 준안정 가공경화형 스테인레스강에 비해 고가의 합금원소인 니켈의 상당량을 망간과 탄소 및 질소로 대체하여, STS304강 대비 고강도 특성을 갖는 Cr-Mn-Ni-C-N계 가공경화형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으로, 중량%로, C 0.05-0.13%, Si 최대 1.0 중량%, Mn 8.0-12.0%, P 0.03%이하, S 0.01%이하, Cr 14.0~16.5%, Ni 0.5~2.5%, Mo 0.5% 이하, N 0.06~0.2%, Cu 2.0%이하, B 0.007%이하이며, 잔부는 철과 통상적인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프레임(혹은, case top)과 같이 용접과 열처리를 요구하지 않는 용도에 적용이 가능하다.
가공경화, 스테인레스, 프레임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고용강화도의 실측값과 예측값을 비교한 그래프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입계강화계수의 실측값과 예측값을 비교한 그래프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항복강도의 실측값과 예측값을 비교한 그래프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80% 냉간압하율에서 측정된 마르텐사이트 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본 발명은 가공경화형 저 Ni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r-Ni계 준안정 가공경화형 스테인레스강에 비해 고가의 합금원소인 니켈의 상당량을 망간과 탄소 및 질소로 대체한 Cr-Mn-Ni-C-N계 가공경화형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공경화형 스테인레스강이란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도를 적당한 수준으로 낮추어 냉간변형중에 오스테나이트상이 가공유기 마텐사이트로 변태하도록 함으로써, 조질압연 등의 냉간가공에 의해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조성한 스테인레스강을 말한다.
가장 보편적인 가공경화형 스테인레스강으로는 STS304, STS301L 규격에 해당하는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들이 있다. 이 강들은 조질압연을 통해 다양한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노트북, 모니터, TV 용도의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프레임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강들은 고가의 합금원소인 니켈을 보통 7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재의 가격이 비싸지게 되어서, 최근에는 Ni의 의존도가 매우 낮은 400계 스테인레스강들이 LCD 프레임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400계 스테인레스강들은 자성을 갖는 페라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LCD 프레임 제작공정 중 프레스 작업시에 발생하는 칩(chip)이 자성을 가지며, 이로 인하여 칩(chip)이 프레스에 부착되어, LCD 프레임의 표면에 찍힘성 표면결함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Cr-Ni계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가격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시된 공지기술로는 미국특허 US 6056917을 들 수 있다. 이 공지기술에서는 니켈을 0.1~2% 중량% 수준으로 감소시킨 대신 망간함량을 5~9 중량% 수준으로 높이고, 크롬을 13~19 중량% 범위로 조성함으로써 Cr-Ni계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비해 저렴하면서 동등 이상의 기계적성질을 갖는 강을 제시하였다.
상기 특허에서는 입계 예민화(sensitization)에 의한 내식성 저하를 억제하 기 위하여 탄소의 상한을 0.1 중량%로 설정하였으며, 구성원소 중 Mn의 함량 상한이 9 중량%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LCD 프레임용 강재는 입계예민화가 문제시 되지 않으므로 0.1 중량%이상의 탄소 첨가가 가능하며, 변형유기 마텐사이트의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Mn의 함량을 9 중량% 이상으로 설정할 경우, LCD 프레임 프레스 공정 중 발생가능한 칩의 자성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요망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LCD 프레임용 적용을 위하여 통상적인 Cr-Ni계 가공경화형 스테인레스강에 비해 저렴하면서, 소둔상태에서 STS304강에 비해 동등 이상의 강도를 보유하고, 변형유기 마텐사이트 생성능이 동등 이하가 되어 LCD 프레임의 제작공정 중 프레스작업시에 발생하는 칩(chip)의 자성을 줄인 Cr-Mn-Ni-C-N계 가공경화형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량%로, C 0.05-0.13%, Si 최대 1.0 중량%, Mn 8.0-12.0%, P 0.03%이하, S 0.01%이하, Cr 14.0~16.5%, Ni 0.5~2.5%, Mo 0.5% 이하, N 0.06~0.2%, Cu 2.0%이하, B 0.007%이하이며, 잔부는 철과 통상적인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가공경화형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68(1+10.5N)1/2로 고용강화도(MPa)를 예측하고, 입계크기에 따른 항복강도의 변화를 8.76+48.8C+14.7N로 계산된 입계강화계수(ky[MPa/mm2/3])로 예측하여 탄소 및 질소 함량과 소둔조직의 입계크기에 따라서 항복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동시에 60(C+N)+ 1.8(2Mn+Cr) +6.1Ni+6.8Cu로 계산된 오스테나이트 안정도 값이 83보다 크게 되도록 조성하여, 변형유기 마텐사이트 생성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경제적인 LCD 프레임용 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서 오스테나이트 형성원소로 첨가되는 고가의 합금원소인 니켈의 대부분을 망간과 질소로 대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자들은 Cr-Mn-Ni-C-N 스테인레스강 판재의 변형유기 마텐사이트 생성능에 미치는 금속학적 인자들을 조사한 결과, Mn와 C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변형유기 마텐사이트 생성능이 저하되어, 변형된 소재의 자성저하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탄소에 의한 항복강도 증가 효과는 탄소가 입계를 강화시키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합금조성의 한정이유를 설명한다.
크롬은 전반적인 합금의 내식성을 항상시키며, 동시에 질소의 고용도를 높이는 원소이다. 그러나 크롬이 과다한 경우는 응고 후 과다한 페라이트의 잔류로 인해서 열간가공성이 취화되므로 그 함량은 16.5%이하로 제한한다.
망간은 질소의 고용도를 높이는 원소이며, 동시에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인 변형유기 마텐사이트 생성능 저하를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는데, 이를 위해서는 합금중에 망간이 8% 이상 함유되어야 한다. 그러나 망간이 12% 이상을 초과하면 함금의 제조시 과도한 고온 스케일 형성 때문에 그 함량은 12%이하로 제한한다.
니켈은 망간과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역할을 하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 안정도 제어를 위해서 0.5% 이상 함유시켜야 한다. 그러나 니켈은 합금원소 중 매우 고가일 뿐 아니라 과다하게 첨가될 때 액상 중 질소의 고용도를 낮추어 기공을 발생시키므로 그 함량은 2.5% 이하로 제한한다.
질소는 높은 강도를 얻는데 매우 중요한 합금원소이며, 동시에 마텐사이트 변태를 억제하는 원소이다. 질소에 의한 기지의 고용강화와 가공경화 효과를 얻기 위해서 0.2% 이하로 제한하며, 질소량이 이보다 클 경우에는 변형저항이 커서 박판 제조에 불리하다.
탄소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높은 고용강화 효과를 주는 동시에 적층결합에너지를 크게 높이는 원소이다.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효과를 위해서 탄소를 0.05% 이상 함유시켜야 한다. 그러나 탄소함량이 과다하면 합금제조 중 과도한 탄소 편석이 판재 두께 중심부에 발생하므로 그 함량은 0.14% 이하로 제한한다.
실리콘은 합금내에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과다하면 페라이트 함량이 높아지고 열간가공성이 저하되므로 1% 이하로 제한한다.
인은 합금내에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과다하면 페라이트 함량이 높아지고 열간가공성이 저하되므로 0.03% 이하로 제한한다.
황은 합금내에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과다하면 페라이트 함량이 높아지고 열간가공성이 저하되므로 0.01% 이하로 제한한다.
몰리브덴은 합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지만 다량의 질소가 첨가된 합금의 경우에는 질소와 반응하여 합금의 재결정을 억제하므로 열간가공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0.5% 이하로 제한한다
구리는 합금의 냉간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나 과다하게 함유되면 고온 취성을 유발하여 열간가공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그 함량은 2% 이하로 제한한다.
보론은 열간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강을 통상적인 열간압연 방법으로 압연함에 있어서 균열에 의한 표면결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미량의 보론을 첨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보론의 함유량이 과다하면 편석 부위의 국부적인 용융점이 낮아져서 열간가공성을 오히려 해치므로 그 함량은 0.007% 이하로 제한한다.
칼슘도 보론과 유사하게 열간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강을 통상적인 열간압연 방법으로 압연함에 있어서 균열에 의한 표면결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미량의 칼슘을 첨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칼슘의 함유량이 과다하면 과다한 개재물의 형성으로 연성이 저하되므로 그 함량은 0.02% 이하로 제한한다.
위에서 언급한 범위로 Cr-Mn-Ni-C-N 스테인레스강을 조성하는 경우 항복강도 가 STS304강에 비하여 동등 이상의 강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항복강도에는 질소 및 탄소 함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항복강도는 Hall-Petch Equation 으로 불리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기술된다.
여기서, sys(MPa)는 항복강도이며, so(MPa)는 고용강화도, ky(MPa/mm3/2
)는 입계강화계수, 그리고 D는 평균입계크기(mm) 이다.
Cr-Mn-Ni-N 강에서 so와 ky는 질소의 함수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질소의 함수로만으로 여겨져 왔던 ky가 탄소와 질소의 함수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강의 중요한 특징은 탄소가 입계를 강화시켜 항복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항복강도에 미치는 탄소와 질소의 영향도는 다음의 수식으로 정량화 된다.
(R2=94.6%)
(R2=87.7%)
LCD 프레임 제작공정 중 프레스 작업시에 발생하는 칩의 자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소재자체의 변형유기 마텐사이트 생성능력이 작아야 한다. 변형유기 마텐사이트는 소재의 오스테나이트 안정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므로 적절한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학식 4]에 의해 계산된 오스테나이트 안정도 값이 83보다 커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 합금이 갖는 특성을 예시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의 합금들을 준비하였다. 이 합금들을 대기압하에서 유도로 용해한 후 30kg 인고트를 주조하였다. 주조된 인고트는 1250oC의 온도에서 재가열한 다음, 두께 3mm까지 열간압연하여 열연판으로 제조하고 이를 소둔 열처리한 다음 두께 0.6mm까지 냉간압연하였다. 0.6mm 두께의 냉간압연판은 소둔온도를 달리하여 입계크기를 변화시켰다. 이러한 과정으로 준비된 냉연소둔판은 산세한 다음 게이지 길이 50mm의 상온인장실험 을 통해서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였으며, 1100oC에서 소둔처리된 시험재의 인장성질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시험재에 대하여[수학식 2]로 계산된 고용강화도 및 [수학식 3]로 계산된 입계강화계수를 실험데이타와 비교하여 도 1과 도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한 시험재에 대하여 소둔온도를 달리하여 입계크기를 변화시킨 모든 조건에서의 항복강도를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그 결과를 실측치와 비교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0.6mmt의 냉간압연판에 존재하는 마텐사이트양을 비교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발명예 4는 STS304강과 유사수준의 마텐사이트를 갖고 있으나, 발명예 7과 8은 오스테나이트 안정도가 커서 변형유기 마텐사이트 변태가 충분히 억제되어 STS304 강에 비하여 마텐사이트가 적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된 강은 STS304강 대비 가격경쟁력을 갖춰 LCD 프레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STS304강 대비 강도가 우수하여 LCD 프레임의 박물화가 가능하다. 또한 높은 오스테나이트 안정도에 기인한 특성으로 LCD 프레임의 제작공정 중 프레스작업시에 발생하는 칩의 자성이 낮아, 자성 칩발생으로 인한 결함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구분 | C | Si | Mn | P | S | Cr | Ni | Mo | Cu | N | B |
발명예1 | 0.068 | 0.54 | 12.1 | 0.018 | 0.004 | 15.44 | 0.94 | 1.45 | 0.25 | 0.0025 | |
발명예2 | 0.086 | 0.51 | 10.0 | 0.018 | 0.003 | 15.40 | 0.97 | 0.08 | 1.52 | 0.15 | 0.0027 |
발명예3 | 0.062 | 0.56 | 12.0 | 0.017 | 0.003 | 15.42 | 0.97 | 1.52 | 0.11 | 0.0025 | |
발명예4 | 0.110 | 0.52 | 8.0 | 0.020 | 0.002 | 15.41 | 1.00 | 0.09 | 1.50 | 0.11 | 0.0027 |
발명예5 | 0.065 | 0.52 | 8.1 | 0.019 | 0.003 | 15.46 | 1.00 | 1.47 | 0.21 | 0.0027 | |
발명예6 | 0.064 | 0.55 | 11.9 | 0.018 | 0.003 | 15.42 | 0.95 | 1.54 | 0.20 | 0.0024 | |
발명예7 | 0.096 | 0.50 | 9.9 | 0.019 | 0.004 | 15.49 | 0.97 | 0.09 | 1.52 | 0.16 | 0.0026 |
발명예8 | 0.120 | 0.50 | 12.0 | 0.020 | 0.002 | 15.40 | 0.94 | 0.08 | 1.52 | 0.11 | 0.0025 |
발명예9 | 0.120 | 0.50 | 12.0 | 0.020 | 0.003 | 15.49 | 0.96 | 0.08 | 1.54 | 0.21 | 0.0026 |
발명예10 | 0.120 | 0.52 | 8.0 | 0.021 | 0.003 | 15.42 | 1.00 | 0.09 | 1.53 | 0.20 | 0.0029 |
비교예1 | 0.068 | 0.56 | 7.8 | 0.019 | 0.003 | 15.20 | 1.01 | 1.52 | 0.11 | 0.0028 | |
비교예2 | 0.064 | 0.53 | 7.8 | 0.019 | 0.003 | 15.45 | 1.01 | 1.50 | 0.11 | 0.0027 | |
비교예3 | 0.120 | 0.59 | 9.9 | 0.024 | 0.004 | 13.92 | 0.09 | 1.24 | 0.07 | 0.0025 | |
비교예4 | 0.066 | 0.60 | 7.9 | 0.025 | 0.003 | 13.92 | 0.08 | 1.75 | 0.07 | 0.0027 | |
비교예5 | 0.120 | 0.61 | 5.0 | 0.022 | 0.002 | 13.98 | 2.76 | 0.09 | 0.50 | 0.11 | 0.0029 |
비교예6 | 0.150 | 0.63 | 7.0 | 0.021 | 0.003 | 15.19 | 0.08 | 1.70 | 0.13 | 0.0027 |
구분 | 항복강도 (MPa) | 인장강도 (MPa) | 연신율 (%) | Experimental ky (MPa/mm3/2) | Predicted ky (MPa/mm3/2) | 오스테나이트 안정도 | 변형유기 마텐 사이트 생성양 |
발명예1 | 443.6 | 779.4 | 52.9 | 16.4 | 15.8 | 106.1 | ⊙ |
발명예2 | 381.2 | 798.0 | 59.9 | 15.6 | 15.2 | 94.1 | ⊙ |
발명예3 | 346.3 | 742.5 | 57.9 | 13.8 | 13.4 | 97.5 | ⊙ |
발명예4 | 368.5 | 983.6 | 63.4 | 15.3 | 15.7 | 86.1 | D |
발명예5 | 429.6 | 865.3 | 61.0 | 14.7 | 15.0 | 89.6 | D |
발명예6 | 399.5 | 752.0 | 55.3 | 14.1 | 14.8 | 102.8 | ⊙ |
발명예7 | 378.3 | 767.7 | 58.2 | 14.7 | 15.8 | 95.0 | ⊙ |
발명예8 | 357.0 | 746.8 | 57.6 | 16.6 | 16.2 | 100.8 | ⊙ |
발명예9 | 430.9 | 785.3 | 54.1 | 17.9 | 17.7 | 107.0 | ⊙ |
발명예10 | 443.9 | 856.5 | 59.6 | 17.8 | 17.6 | 92.4 | ⊙ |
비교예1 | 350.5 | 1057.1 | 53.8 | 13.5 | 13.7 | 82.4 | x |
비교예2 | 352.5 | 1045.3 | 50.2 | 13.9 | 13.5 | 82.7 | x |
비교예3 | 349.2 | 1123.7 | 39.9 | 16.2 | 15.7 | 80.6 | x |
비교예4 | 343.3 | 1200.8 | 31.7 | 12.7 | 13.0 | 73.4 | x |
비교예5 | 361.3 | 1515.7 | 9.7 | 16.3 | 16.2 | 77.0 | x |
비교예6 | 406.7 | 877.1 | 23.3 | 18.2 | 18.0 | 80.7 | x |
⊙: 적음 | D: 보통 | x: 과다 |
Claims (4)
- 중량%로, C 0.05-0.13%, Si 최대 1.0 중량%, Mn 8.0-12.0%, P 0.03%이하, S 0.01%이하, Cr 14.0~16.5%, Ni 0.5~2.5%, Mo 0.5% 이하, N 0.06~0.2%, Cu 2.0%이하, B 0.007%이하이며, 잔부는 철과 통상적인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가공경화형 저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제1항에 있어서,60(C+N)+ 1.8(2Mn+Cr) +6.1Ni+6.8Cu로 계산된 오스테나이트 안정도 값을 83 보다 크게 되도록 조성하여 변형유기 마르텐사이트 생성능을 제어하는 가공경화형 저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제2항에 있어서,168(1+10.5N)1/2로 고용강화도(MPa)를 예측하고, 입계크기에 따른 항복강도의 변화를 8.76+48.8C+14.7N로 계산된 입계강화계수(ky[MPa/mm2/3])로 예측하여 탄소 및 질소 함량과 소둔조직의 입계크기에 따라서 항복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가공경화형 저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프레임에 사용되는 가공경화형 저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4606A KR20060075725A (ko) | 2004-12-29 | 2004-12-29 | 가공경화형 저 니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4606A KR20060075725A (ko) | 2004-12-29 | 2004-12-29 | 가공경화형 저 니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5725A true KR20060075725A (ko) | 2006-07-04 |
Family
ID=3716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4606A KR20060075725A (ko) | 2004-12-29 | 2004-12-29 | 가공경화형 저 니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75725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4679B1 (ko) * | 2007-06-19 | 2009-04-2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오스테나이트 내침식 철계 합금 |
KR101056235B1 (ko) * | 2008-11-25 | 2011-08-11 | 주식회사 포스코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냉연제품의 재질특성 예측방법 |
WO2021215630A1 (ko) * | 2020-04-22 | 2021-10-28 | 주식회사 포스코 | 고강도, 고성형의 저원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EP3978643A4 (en) * | 2019-07-17 | 2022-08-17 | Posco |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STRENG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EP4036268A4 (en) * | 2019-10-29 | 2022-08-24 | Posco |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A HIGHER LIMITING YIELD RATIO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
KR20220134384A (ko) * | 2021-03-26 | 2022-10-0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내화 금속계 고농도 합금에서 고용 강화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내화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
WO2023113206A1 (ko) * | 2021-12-16 | 2023-06-22 | 주식회사 포스코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및 그 제조방법 |
EP4134466A4 (en) * | 2020-06-23 | 2024-04-10 | POSCO Co., Ltd | HIGH STRENG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PRODUCTIVITY AND COST REDUCTION EFF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04
- 2004-12-29 KR KR1020040114606A patent/KR200600757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4679B1 (ko) * | 2007-06-19 | 2009-04-2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오스테나이트 내침식 철계 합금 |
KR101056235B1 (ko) * | 2008-11-25 | 2011-08-11 | 주식회사 포스코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냉연제품의 재질특성 예측방법 |
EP3978643A4 (en) * | 2019-07-17 | 2022-08-17 | Posco |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STRENG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EP4036268A4 (en) * | 2019-10-29 | 2022-08-24 | Posco |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A HIGHER LIMITING YIELD RATIO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
WO2021215630A1 (ko) * | 2020-04-22 | 2021-10-28 | 주식회사 포스코 | 고강도, 고성형의 저원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JP2023522999A (ja) * | 2020-04-22 | 2023-06-01 | ポスコ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 高強度、高成形の低原価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
EP4119693A4 (en) * | 2020-04-22 | 2024-04-24 | Posco | COST-EFFECTIVE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HIGH STRENGTH AND HIGH FORM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EP4134466A4 (en) * | 2020-06-23 | 2024-04-10 | POSCO Co., Ltd | HIGH STRENG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PRODUCTIVITY AND COST REDUCTION EFF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20134384A (ko) * | 2021-03-26 | 2022-10-0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내화 금속계 고농도 합금에서 고용 강화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내화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
WO2023113206A1 (ko) * | 2021-12-16 | 2023-06-22 | 주식회사 포스코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85093B2 (en) | Ultra-high strength maraging stainless steel with salt-water corrosion resistance | |
WO2011122697A1 (ja) | 複相組織ステンレス鋼板及び鋼帯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 |
JP5362582B2 (ja) | 耐食性及び張出成形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 |
EP3705596A1 (en) | Steel material for welding steel pipe having excellent low-temperature toughness, steel material that has undergone post weld heat treat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JP5363922B2 (ja) | 伸びと伸びフランジ性のバランス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 |
JP7524357B2 (ja) | 780MPa級冷間圧延焼鈍二相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EP3722448A1 (en) | High-mn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JP4207334B2 (ja) | 溶接性と耐応力腐食割れ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EP3556892A1 (en) | Low alloy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ductility | |
JP2009120962A (ja) | 延性に優れた高強度低比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5213386B2 (ja) | 成形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薄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50074697A (ko) | 저 니켈 함유 스테인리스강 | |
JP2019151920A (ja) | 高Mn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060075725A (ko) | 가공경화형 저 니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
CN114040990B (zh) | 具有改善的强度的奥氏体不锈钢和用于制造其的方法 | |
US20230272497A1 (en) | Ultra-high strength maraging stainless steel with salt-water corrosion resistance | |
EP2527481B1 (en) | Quench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t press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20170070939A (ko) | 내식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44573B1 (ko) |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
JP2007177303A (ja) | 延性に優れた鋼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80018908A (ko) | 니켈 저감형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0545089B1 (ko) | 가공경화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
KR101650258B1 (ko)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 |
WO2019168172A1 (ja) | 高Mn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7253479B2 (ja) | 高強度鋼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