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384A - 내화 금속계 고농도 합금에서 고용 강화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내화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 Google Patents
내화 금속계 고농도 합금에서 고용 강화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내화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4384A KR20220134384A KR1020210039984A KR20210039984A KR20220134384A KR 20220134384 A KR20220134384 A KR 20220134384A KR 1020210039984 A KR1020210039984 A KR 1020210039984A KR 20210039984 A KR20210039984 A KR 20210039984A KR 20220134384 A KR20220134384 A KR 202201343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w
- constituent element
- following equation
- calculated
- rcc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7/00—Alloys based on rhenium or a refractory metal not mentioned in groups C22C14/00 or C22C16/00
- C22C27/02—Alloys based on vanadium, niobium, or tantalum
- C22C27/025—Alloys based on vanadium, niobium, or tantalum alloys based on vanad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45—Alloys based on refractory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7/00—Alloys based on rhenium or a refractory metal not mentioned in groups C22C14/00 or C22C16/00
- C22C27/04—Alloys based on tungsten or molybden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7/00—Alloys based on rhenium or a refractory metal not mentioned in groups C22C14/00 or C22C16/00
- C22C27/06—Alloys based on chro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terials By Characteristic Method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금속계 고농도 합금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합금을 설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내화금속계 고농도 합금 (Refractory concentrated alloy, R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온 고강도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Refractory complex concentrated alloy, RCCA)을 설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다음 식을 통해서 합금 구성 원소 순물질의 물성을 가지고 경도 값을 예측하고,
내지
예측된 경도 값을 이용하여 RCCA의 고용 강화를 쉽게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측된 경도 값을 이용하여 RC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함으로써, 고온 강도가 원하는 값으로 제어된 RCCA를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지
예측된 경도 값을 이용하여 RCCA의 고용 강화를 쉽게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측된 경도 값을 이용하여 RC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함으로써, 고온 강도가 원하는 값으로 제어된 RCCA를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화 금속계 고농도 합금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합금을 설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내화 금속계 고농도 합금 (Refractory concentrated alloy, R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Refractory complex concentrated alloy, RCCA)을 설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금은 금속에 다른 금속 또는 원소를 합쳐서 얻는 금속 성질을 띤 물질을 말하며, 원래의 금속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여 개량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성의 합금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내화 금속계 합금은 2000 ℃ 이상의 융점으로 인해 고온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소재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종래의 일반적인 합금과는 다른 원리의 합금으로서 하이엔트로피 합금 및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하이엔트로피 합금(High entropy alloy, HEA)은 여러 개의 금속 원소가 유사한 분율로 구성되어 첨가된 모든 원소가 주 원소로서 작용하는 합금 시스템으로, 합금 내에 유사한 원자 분율로 인하여 높은 혼합 엔트로피가 유발되고 이에 금속간화합물 혹은 중간체화합물 대신에 고온에서 안정한 고용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하이엔트로피 합금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최근에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기존 기지 원소로 둘러싸인 용질과 달리 용질원소간 상호작용이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Complex concentrated alloy, CCA)이 알려지고 있다. CCA는 치환형 고용 원소의 분율이 각 원소별로 5 at% ~ 95 at% 범위까지 확장 가능하며 용질원소간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면서도 미세구조가 단일상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CCA는 고농도 용매상태의 단일상을 나타내거나 금속간 화합물 등의 석출을 동반하는 전통적인 합금들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CCA의 특성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최근 이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RCCA가 1000 ℃ 이상에서 500 MPa 이상의 높은 항복강도를 가지고, 초합금보다 훨씬 더 높은 고용강화 효과를 가진 다는 것이 보고되어, 관련 분야 연구자들이 집중적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체심입방 (Body-centered cubic, BCC) 합금에서 고용강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5 at.% 미만의 소량 용질을 포함하는 희박 합금 (Dilute alloy, DA)에 대해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BCC DA의 고용강화 기구는 면심입방 (Face-centered cubic, FCC) 합금과 달리 나선 전위 (Screw dislocation)에 더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는 BCC 합금에서 나선 전위가 전위 Core의 공간적으로 확장된 특성으로 인해 칼날 전위 (Edge dislocation)에 비해 더 높은 격자 저항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일예로, BCC DA의 고전적인 고용강화 모델인 Suzuki 모델은 나선 전위의 kink 핵생성이 고용강화를 지배함에 기초하여, 용질원자와 나선 전위 코어 사이의 상호작용 에너지 영향을 고려하여 유도되어, 기존 BCC DA에서 고용강화를 예측하는데 활용되었다.
한편, 최근 연구에서는 BCC HEA 혹은 CCA에서 칼날 전위의 이동성이 나선 전위의 이동성과 비슷하게 감소되기 때문에, 나선 전위 뿐만 아니라 칼날 전위가 BCC HEA 혹은 CCA에서 고용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일례로, Misfit volume의 개념을 이용해 다양한 온도의 Mo-Nb-Ta-W과 Mo-Nb-Ta-V-W RHEA들에서 나선 전위의 영향을 고려하여 항복 응력 (Yield Strength)을 잘 예측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칼날 전위의 우세가 RCA 혹은 RHEA에서 일반적인지 또는 특정 RHEA에만 적용될 수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R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RCCA의 특성을 예측기반으로 설계하기 위한 이론적 기준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Modeling solid solution hardening in high entropy alloys, Acta Materialia 85 (2015) 14-23.
Modeling solution hardening in BCC refractory complex concentrated alloys: NbTiZr, Nb1.5TiZr0.5 and Nb0.5TiZr1.5, Acta Materialia 168 (2019) 222-23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화 금속계 고농도 합금 (Refractory concentrated alloy, R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Refractory complex concentrated alloy, RCCA)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RCCA의 고용 강화 예측 방법은,
미세구조가 단일상인 RCCA (Refractory complex concentrated alloy)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상기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이때,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전단 계수 (Shear modulus)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의한 미세구조가 단일상인 RC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상기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이때, RCCA가 BCC 단일상을 형성하기 위해 Ti, V, Cr, Zr, Nb, Mo, Hf, Ta, W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로 구성된 RCCA일 수 있다.
또한, RCCA가 BCC 전율고용체를 형성하는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된 RCC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RCCA의 설계 방법은,
구성원소 순물질의 물성을 기반으로 RCCA 강도 예측을 기반으로 조성을 설계하는 방법으로서,
설계 대상 합금에 요구되는 고용 강화 값을 도출하는 준비 단계; 및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도출된 고용 강화 값을 만족하도록 합금 조성을 산출하고,
이때,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전단 계수 (Shear modulus) 값인 조성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RCCA의 설계 방법은,
구성원소 순물질의 물성을 기반으로 RCCA 강도 예측을 기반으로 조성을 설계하는 방법으로서,
설계 대상 합금에 요구되는 고용 강화 값을 도출하는 준비 단계; 및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도출된 고용 강화 값을 만족하도록 합금 조성을 산출하고,
이때,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경도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인 조성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RCCA가 BCC 단일상을 형성하기 위해 Ti, V, Cr, Zr, Nb, Mo, Hf, Ta, W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로 구성된 RCCA일 수 있다.
또한, RCCA가 BCC 전율고용체를 형성하는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된 RCCA일 수 있다.
이 때, 상온에서 예측된 값은 고온 (800 ℃) 항복강도 값과 양호한 선형적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값이 3.02 이상인 합금 조성만을 선택하여 고온 (800 ℃) 항복강도가 400 MPa인 INCONEL 625 이상인 고온 고강도 RCCA를, 값이 4.5 이상인 합금 조성만을 선택하여 고온 (800 ℃) 항복강도가 600 MPa인 INCONEL 718 이상인 고온 초고강도 RCCA를 설계할 수 있다.
이 때, 상온에서 예측된 값은 고온 (800 ℃) 항복강도 값과 양호한 선형적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값이 2.94 이상인 합금 조성만을 선택하여 고온 (800 ℃) 항복강도가 400 MPa인 INCONEL 625 이상인 고온 고강도 RCCA를, 값이 4.4 이상인 합금 조성만을 선택하여 고온 (800 ℃) 항복강도가 600 MPa인 INCONEL 718 이상인 고온 초고강도 RCCA를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한 RCCA는,
Ti, V, Cr, Zr, Nb, Mo, Hf, Ta, W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가 10 at.% 이상 포함되어 미세구조가 체심입방구조 단일상인 CCA를 구성하여, 고용 강화 효과가 증가됨으로써 강도가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RCCA는,
BCC 전율고용체를 형성하는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BCC 전율 고용체를 형성하는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 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된 RCCA는 고용 강화 효과에 의한 고강도 특성은 유지하면서도 구성엔트로피 증가에 의해 합금의 상 안정성은 더 높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2가지 조성 군에 대해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고용 강화 값을 예측하고,
이때,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shear modulus 값이고, 예측된 값이 3.02 이상인 것이 고온 고강도를 얻기 위해, 4.5 이상인 것이 고온 초고강도를 얻기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가지 조성군에 대해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고용 강화 값을 예측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내화금속계 다성분 합금의 구성원소 순물질의 원자크기, 원자분율, modulus, 조성, 경도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RCCA의 고용 강화를 쉽게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화금속계 다성분 합금의 구성원소 순물질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RC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함으로써, 고용 강화가 원하는 값으로 제어된 CCA를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서 조성 변화에 따라 고용강화, 를 측정한 결과이다. (a) 측정된 비커스 경도, 대 조성 변화, (b) 측정된 전단 계수, 대 원자가 전자농도 (VEC) 변화, (c) 계산된 전단계수, (Hill ROM) 대 변화, (d) 대 조성 변화.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서 (a) 조성변화에 따른 Lattice parameter 값의 변화, (b) 조성 변화에 따른 atomic size misfit parameter, 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서 (a) 조성변화에 따른 측정한 전단계수, 값의 변화, (b) 조성 변화에 따른 modulus misfit parameter, 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서 조성변화에 따라 Labusch 모델을 통해 예측된 고용강화 크기 ()와 측정한 값의 상관관계를 값의 변화((a) , (b) , (c) , (d) )에 따라 도시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 대해 (a) , (b) 와 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 대해 조성변화에 따라 Suzuki 모델을 통해 예측된 고용강화 크기와 측정한 값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결과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과 추가한 63개 RCCA들에 대해 (a) 측정된 와 계산된 값의 관계, (b) 계산된 와 측정된 간 관계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과 추가한 63개 RCCA들에 대해 (a) 측정된 와 계산된 값 사이의 관계, (b) 계산된 와 측정된 간 관계를 보여준다.
도 9는 다양한 RCCA들에서 (a) 상온 경도 대 상온 강도, (b) 상온 경도 대 고온 (800 ℃) 강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서 (a) 조성변화에 따른 Lattice parameter 값의 변화, (b) 조성 변화에 따른 atomic size misfit parameter, 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서 (a) 조성변화에 따른 측정한 전단계수, 값의 변화, (b) 조성 변화에 따른 modulus misfit parameter, 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서 조성변화에 따라 Labusch 모델을 통해 예측된 고용강화 크기 ()와 측정한 값의 상관관계를 값의 변화((a) , (b) , (c) , (d) )에 따라 도시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 대해 (a) , (b) 와 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 대해 조성변화에 따라 Suzuki 모델을 통해 예측된 고용강화 크기와 측정한 값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결과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과 추가한 63개 RCCA들에 대해 (a) 측정된 와 계산된 값의 관계, (b) 계산된 와 측정된 간 관계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과 추가한 63개 RCCA들에 대해 (a) 측정된 와 계산된 값 사이의 관계, (b) 계산된 와 측정된 간 관계를 보여준다.
도 9는 다양한 RCCA들에서 (a) 상온 경도 대 상온 강도, (b) 상온 경도 대 고온 (800 ℃) 강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Ti, V, Cr, Zr, Nb, Mo, Hf, Ta, W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가 10 at.% 이상 포함되어 미세구조가 체심입방구조 단일상인 CCA를 구성하는 RCCA의 특성을 연구한 결과, BCC 상의 고용 강화 효과가 칼날 전위의 영향으로 인해 구성원소의 atomic size misfit parameter, 와 밀접하게 관련됨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다음의 네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실시예 합금들의 상온 경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고용강화 크기 ()를 계산하였다. 둘째, 실시예 합금들의 격자 상수 (Lattice parameter)와 전단계수 (Shear modulus)를 측정하고, atomic size misfit parameter ()와 modulus misfit parameter ()를 계산하였다. 셋째, Labusch 및 Suzuki 고용강화 모델에 적용하여 atomic size misfit parameter ()가 본 발명의 합금들에 고용강화 거동에 주요인자임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atomic size misfit parameter ()를 활용한 간단한 수학식을 통해 내화금속계 고농도 합금 (Refractory concentrated alloy, R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온 고강도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Refractory complex concentrated alloy, RCCA)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RCCA 합금 제조 및 상온경도 측정
내화금속계 2원계 합금을 500 ℃ 이상의 고온에서 형성하는 상으로 분류하면 하기 표 1과 같이 3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하기 표 괄호 안의 값은 두 원소 간 혼합 엔탈피 값을 나타낸다.
Complete solid solution |
HCP-BCC (HCP) | Intermetallic compound |
V-Cr (-2) V-Nb (-1) V-Mo (0) V-W (-1) Cr-Mo (0) Cr-W (1) Nb-Mo (-6) Nb-Ta (0) Nb-W (-8) Mo-Ta (-5) Mo-W (0) Ta-W (-7) |
Ti-V (-2) Ti-Zr (0) Ti-Nb (2) Ti-Mo (-4) Ti-Hf (0) Ti-Ta (1) Ti-W (-6) Zr-Nb (4) Zr-Hf (0) Zr-Ta (3) Nb-Hf (4) Hf-Ta (3) |
Ti-Cr (-7) V-Zr (-4) V-Hf (-2) V-Ta (-1) Cr-Zr (-12) Cr-Nb (-7) Cr-Hf (-9) Cr-Ta (-7) Zr-Mo (-6) Zr-W (-9) Mo-Hf (-4) Hf-W (-6) |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화 금속계 2원계 합금은 혼합열 관계에 따라 1) BCC 완전 고용체, 2) 적어도 하나의 hexagonal-close packed (HCP)상을 포함하는 고용체, 3) 금속간 화합물 형성하는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 1에 굵은 글자로 표기된 총 14 개의 내화금속계 2원 합금 시스템을 모델시스템으로 하여 각 합금 시스템 당 10 at.% 조성 간격으로 나누어 9 개의 합금 (총 126 개 합금)을 실시예 합금으로 제조하여 상온 경도, 격자상수 및 전단계수를 측정하였다. 이 때, Hume-Rothery 법칙을 잘 만족하여 BCC 전율고용체를 형성하는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경우 구성엔트로피 증가 효과가 더해져 더 안정한 BCC 단일상을 형성하기에 용이하다.
부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은 99.9% 이상 고순도 원소를 Ti-gettered Ar 분위기하에서 아크 용융 장비로 제조되었으며, 잉곳을 최소 5 회 이상 뒤집어가면서 녹여서 균질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경도 시험용 시편은 주조된 버튼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두께 2 mm의 판상형태로 만들어, 표면 폴리싱을 통해 가공 후 측정하였다. 경도는 Vickers 미세경도기 (EMCO-TEST DuraScan 70)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1 kg 하중으로 136° Vickers 다이아몬드 피라미드 팁을 사용하여 최종 연마된 단면 표면에서 측정하였다. 이 때, 10 초의 dwell-time을 가지고 총 20 회의 측정결과를 가지고 평균을 구하여 측정하였다. 전단 계수 (Shear modulus) 측정을 위한 초음파 분석은 5 mm 직경 프로브를 사용하여 5800PR (Panametrics, USA)에 의해 수행되었다. 다음으로 격자상수는 D2 Phaser (Bruker) XRD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경도와 전단 계수 (Shear modulus) 값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합금원소의 기본 특성은 하기 표 2과 같다.
Ti | V | Cr | Nb | Mo | Ta | W | |
Hardness (GPa) |
1.12 | 1.00 | 1.34 | 0.97 | 1.75 | 1.21 | 3.60 |
Shear modulus (GPa) |
46.1 | 45.6 | 112.3 | 34.8 | 127.5 | 68.5 | 161.3 |
Atomic size (pm) |
147 | 134 | 128 | 146 | 139 | 146 | 139 |
Melting temperature (K) |
1941 | 2183 | 2180 | 2750 | 2896 | 3290 | 3695 |
VEC | 4 | 5 | 6 | 5 | 6 | 5 | 6 |
상기 표에서 내화원소 순물질의 경도와 전단계수는 본 발명에서 실험적으로 측정된 값이고, 원자크기, 용융온도, Valence electron concentration (VEC) 값은 참고문헌에서 가져온 값이다.
하기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 대해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한 상온 경도, 격자상수 및 전단 계수 값을 보여준다.
Alloy | Hardness (GPa) |
Lattice parameter (Å) |
Shear modulus (GPa) |
Alloy | Hardness (GPa) |
Lattice parameter (Å) |
Shear modulus (GPa) |
W10Ta90 | 2.40 | 3.2937 | 72.75 | Nb10Ti90 | 2.06 | 3.2903 | 35.35 |
W20Ta80 | 3.35 | 3.2784 | 76.08 | Nb20Ti80 | 1.58 | 3.2952 | 30.93 |
W30Ta70 | 3.94 | 3.2634 | 80.59 | Nb30Ti70 | 1.30 | 3.2982 | 29.28 |
W40Ta60 | 4.50 | 3.2487 | 86.51 | Nb40Ti60 | 1.40 | 3.2998 | 29.67 |
W50Ta50 | 4.72 | 3.2343 | 94.02 | Nb50Ti50 | 1.54 | 3.3007 | 31.37 |
W60Ta40 | 5.02 | 3.2203 | 103.32 | Nb60Ti40 | 1.61 | 3.3013 | 33.65 |
W70Ta30 | 4.60 | 3.2067 | 114.61 | Nb70Ti30 | 1.48 | 3.3022 | 35.78 |
W80Ta20 | 4.34 | 3.1935 | 128.09 | Nb80Ti20 | 1.44 | 3.3039 | 37.04 |
W90Ta10 | 4.34 | 3.1807 | 143.96 | Nb90Ti10 | 1.23 | 3.3069 | 36.69 |
W10Nb90 | 2.67 | 3.2942 | 41.39 | Nb10V90 | 2.04 | 3.0699 | 43.72 |
W20Nb80 | 3.35 | 3.2763 | 48.71 | Nb20V80 | 2.54 | 3.1029 | 42.27 |
W30Nb70 | 4.02 | 3.2593 | 58.33 | Nb30V70 | 2.89 | 3.1341 | 41.11 |
W40Nb60 | 4.74 | 3.2434 | 69.91 | Nb40V60 | 3.09 | 3.1636 | 40.17 |
W50Nb50 | 4.94 | 3.2284 | 83.13 | Nb50V50 | 3.13 | 3.1916 | 39.39 |
W60Nb40 | 4.90 | 3.2145 | 97.67 | Nb60V40 | 3.06 | 3.2182 | 38.68 |
W70Nb30 | 4.50 | 3.2016 | 113.20 | Nb70V30 | 2.88 | 3.2434 | 37.99 |
W80Nb20 | 4.18 | 3.1899 | 129.40 | Nb80V20 | 2.56 | 3.2674 | 37.23 |
W90Nb10 | 4.13 | 3.1793 | 145.94 | Nb90V10 | 1.88 | 3.2903 | 36.33 |
Mo10Ta90 | 2.79 | 3.2967 | 67.91 | Mo10Cr90 | 4.13 | 2.9240 | 112.86 |
Mo20Ta80 | 3.73 | 3.2810 | 69.72 | Mo20Cr80 | 5.23 | 2.9576 | 113.24 |
Mo30Ta70 | 4.49 | 3.2642 | 73.69 | Mo30Cr70 | 5.65 | 2.9908 | 113.59 |
Mo40Ta60 | 4.92 | 3.2468 | 79.39 | Mo40Cr60 | 5.86 | 3.0229 | 114.05 |
Mo50Ta50 | 5.29 | 3.2291 | 86.39 | Mo50Cr50 | 5.90 | 3.0530 | 114.79 |
Mo60Ta40 | 5.25 | 3.2117 | 94.28 | Mo60Cr40 | 5.87 | 3.0807 | 115.94 |
Mo70Ta30 | 4.33 | 3.1948 | 102.62 | Mo70Cr30 | 5.72 | 3.1051 | 117.65 |
Mo80Ta20 | 3.72 | 3.1790 | 111.00 | Mo80Cr20 | 4.47 | 3.1256 | 120.08 |
Mo90Ta10 | 2.92 | 3.1646 | 118.99 | Mo90Cr10 | 2.73 | 3.1414 | 123.36 |
Mo10Nb90 | 1.96 | 3.3007 | 36.22 | Mo10V90 | 1.93 | 3.0451 | 50.77 |
Mo20Nb80 | 2.85 | 3.2868 | 40.55 | Mo20V80 | 2.73 | 3.0550 | 56.14 |
Mo30Nb70 | 3.49 | 3.2702 | 46.69 | Mo30V70 | 3.44 | 3.0655 | 63.01 |
Mo40Nb60 | 3.98 | 3.2519 | 54.50 | Mo40V60 | 3.45 | 3.0766 | 71.10 |
Mo50Nb50 | 4.51 | 3.2326 | 63.85 | Mo50V50 | 3.61 | 3.0882 | 80.11 |
Mo60Nb40 | 4.34 | 3.2132 | 74.57 | Mo60V40 | 3.79 | 3.1002 | 89.74 |
Mo70Nb30 | 3.84 | 3.1944 | 86.53 | Mo70V30 | 3.56 | 3.1125 | 99.71 |
Mo80Nb20 | 3.26 | 3.1772 | 99.58 | Mo80V20 | 2.67 | 3.1251 | 109.72 |
Mo90Nb10 | 2.59 | 3.1624 | 113.57 | Mo90V10 | 2.22 | 3.1377 | 119.48 |
W10Mo90 | 1.94 | 3.1511 | 129.03 | Mo10Ti90 | 2.67 | 3.2709 | 40.23 |
W20Mo80 | 2.12 | 3.1522 | 131.85 | Mo20Ti80 | 2.78 | 3.2526 | 39.32 |
W30Mo70 | 2.28 | 3.1540 | 134.68 | Mo30Ti70 | 3.25 | 3.2329 | 41.63 |
W40Mo60 | 2.59 | 3.1560 | 137.60 | Mo40Ti60 | 3.95 | 3.2130 | 46.90 |
W50Mo50 | 2.77 | 3.1584 | 140.66 | Mo50Ti50 | 4.33 | 3.1941 | 54.86 |
W60Mo40 | 2.94 | 3.1608 | 143.92 | Mo60Ti40 | 4.50 | 3.1773 | 65.25 |
W70Mo30 | 3.36 | 3.1632 | 147.44 | Mo70Ti30 | 4.45 | 3.1637 | 77.81 |
W80Mo20 | 3.58 | 3.1654 | 151.28 | Mo80Ti20 | 3.82 | 3.1544 | 92.27 |
W90Mo10 | 3.59 | 3.1673 | 155.50 | Mo90Ti10 | 2.31 | 3.1506 | 108.38 |
Ta10Nb90 | 0.87 | 3.3073 | 38.96 | Cr10V90 | 1.61 | 3.0217 | 40.30 |
Ta20Nb80 | 1.01 | 3.3052 | 43.50 | Cr20V80 | 2.17 | 3.0073 | 39.98 |
Ta30Nb70 | 1.09 | 3.3040 | 47.59 | Cr30V70 | 2.78 | 2.9923 | 44.19 |
Ta40Nb60 | 1.15 | 3.3035 | 51.29 | Cr40V60 | 3.05 | 2.9769 | 51.87 |
Ta50Nb50 | 1.15 | 3.3037 | 54.64 | Cr50V50 | 3.61 | 2.9614 | 62.01 |
Ta60Nb40 | 1.19 | 3.3043 | 57.70 | Cr60V40 | 4.01 | 2.9459 | 73.55 |
Ta70Nb30 | 1.21 | 3.3052 | 60.53 | Cr70V30 | 3.63 | 2.9307 | 85.47 |
Ta80Nb20 | 1.19 | 3.3062 | 63.16 | Cr80V20 | 2.63 | 2.9159 | 96.73 |
Ta90Nb10 | 1.20 | 3.3072 | 65.67 | Cr90V10 | 2.09 | 2.9018 | 106.29 |
Ta10Ti90 | 2.33 | 3.2931 | 27.93 | V10Ti90 | 2.68 | 3.2652 | 38.96 |
Ta20Ti80 | 1.75 | 3.2991 | 20.36 | V20Ti80 | 2.32 | 3.2458 | 37.35 |
Ta30Ti70 | 1.83 | 3.3016 | 20.30 | V30Ti70 | 1.96 | 3.2236 | 36.84 |
Ta40Ti60 | 1.86 | 3.3018 | 25.82 | V40Ti60 | 2.14 | 3.1991 | 37.19 |
Ta50Ti50 | 1.94 | 3.3006 | 35.03 | V50Ti50 | 2.29 | 3.1729 | 38.19 |
Ta60Ti40 | 2.24 | 3.2991 | 46.00 | V60Ti40 | 2.29 | 3.1455 | 39.61 |
Ta70Ti30 | 2.33 | 3.2984 | 56.81 | V70Ti30 | 2.31 | 3.1175 | 41.21 |
Ta80Ti20 | 2.17 | 3.2994 | 65.57 | V80Ti20 | 2.10 | 3.0895 | 42.78 |
Ta90Ti10 | 1.48 | 3.3033 | 70.35 | V90Ti10 | 1.83 | 3.0620 | 44.08 |
RCCA 합금 misfit parameter 계산
다양한 고용강화 모델에서 경도를 예측하는 일반적인 형태는 하기 수학식과 같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서 조성 변화에 따라 고용강화 크기, 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먼저, 도면 1(a)는 조성 변화에 따라 실험적으로 측정된 비커스 경도, 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성변화에 따라 경도는 구성엔트로피가 커지는 가운데 조성 영역 부근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조성 부근에서 가 최대가 된다. 위 식에 따르면 는 값에서 값을 빼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Mo와 같은 일부 시스템은 구성 요소의 경도가 높아 중간 경도를 가지지만, 값은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에 보고된 결과들에 따르면 2원계 합금의 는 구성원소의 경도 값의 ROM을 통해 잘 근사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는 격자 저항 (Lattice resistance) 및 전단 계수 (Shear modulus)와 관계되는 shear instability가 전자구조 (Electron configuration) 혹은 원자가 전자 (Valance electron concentration, VEC)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도 이러한 기준의 적용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서 합금의 전단 계수를 측정하고 VEC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도 1(b)는 실험적으로 측정한 전단계수, 와 VEC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이후 각 합금 원소 순물질 (pure element)의 경도 값을 활용해 Hill ROM 방법을 통해 값을 하기 식을 통해 도출하였다.
본 발명에서 Hill ROM을 선택한 이유는 도면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 합금에서 실험적으로 측정한 와 합금 모원소의 전단계수를 통해 Hill ROM으로 구한 전단계수가 양호한 선형 상관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도면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성 변화에 따른 값 ()을 계산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합금들에 대해 고용강화 모델에 대입할 격자상수 (Lattice parameter, )와 전단 계수 (Shear modulus, ) 값을 측정하였다. 도면 2(a)는 실시예 합금들에 대해 조성변화에 따른 격자상수, 의 변화를, 도면 2(b)는 실험적으로 측정된 값을 바탕으로 조성변화에 따라 계산된 atomic size misfit parameter () 값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tomic size misfit parameter 값은 조성 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고, 측정된 의 크기순서는 구성원소들간 원자 크기 차이 (Atomic size difference)와 양호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그림 3(a)와 (b)는 실시예 합금들에 대해 조성변화에 따라 측정된 값과 그 결과를 통해 계산된 modulus misfit parameter ()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조성 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관계를 가지며, 의 크기 순서는 구성 원소들 사이의 modulus 차이를 따른다.
하기 표 4는 본 발명의 합금시스템들의 50 at.% 조성에서 실험적으로 구한 misfit parameter (와 )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 때, 실시예 합금 모원소 순물질의 원자반경 간 차이 ()와 modulus 차이()도 함께 표시하였다.
System (A-B) | at 50 at.% | Atomic size difference () |
at 50 at.% | Modulus difference () |
W-Ta | -0.0439 | -0.1407 | 0.6178 | 91.99 |
W-Nb | -0.0447 | -0.1434 | 0.9100 | 125.84 |
Mo-Ta | -0.0543 | -0.1592 | 0.6022 | 57.49 |
Mo-Nb | -0.0599 | -0.1604 | 0.8800 | 94.50 |
W-Mo | 0.0075 | 0.0182 | 0.2019 | 33.98 |
Ta-Nb | 0.0011 | -0.0025 | 0.4539 | 34.16 |
Ta-Ti | -0.0040 | 0.0281 | 1.1802 | 24.32 |
Nb-Ti | 0.0023 | 0.0286 | 0.4818 | -9.28 |
Nb-V | 0.0854 | 0.2770 | -0.1728 | -10.30 |
Mo-Cr | 0.0947 | 0.2614 | 0.0789 | 15.33 |
Mo-V | 0.0382 | 0.1145 | 0.7356 | 81.49 |
Mo-Ti | -0.0560 | -0.1334 | 0.9110 | 81.22 |
Cr-V | -0.0523 | -0.1470 | 0.9328 | 66.94 |
V-Ti | -0.0845 | -0.2456 | 0.2730 | 2.99 |
상기 표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의 크기 순서는 반드시 와 일치하지 않는다. 일례로, Mo50Cr50 합금에서 는 가장 크고, 값은 최소 값을 가진다. 만일 두 인자가 유사한 비례관계를 가진다면 두 인자의 상대적 기여를 분리해내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상기 도면 2와 도면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 가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고용강화 모델에 두 값을 넣어서 RCCA에서는 어떤 인자가 고용강화 변화에 크게 기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RCCA 합금의 고용강화 주요인자 규명
이때, 이전 연구를 통하여 weight factor, 값은 나선 전위가 고용강화에 주로 기여하는 경우 값을 가지고, 칼날 전위가 고용강화에 주로 기여하는 경우 값을 가진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도면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서 조성변화에 따라 Labusch 모델을 통해 예측된 고용강화 크기 ()와 측정한 값의 상관관계를 값의 변화((a) , (b) , (c) , (d) )에 따라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east square fitting method를 통해 두 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본 결과, regression coefficient, 값이 값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가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값이 16 이상으로 큰 경우 와 값이 양호한 비례관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 대해 (a), (b) 와 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isfit parameter, 의 경우 양호한 선형 관계를 가지는데 반해 (), misfit parameter, 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
도면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 대해 조성 변화에 따라 SuzuKi 모델을 통해 예측된 고용강화 크기와 측정한 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BCC DA에서 고용강화를 잘 모사한다고 알려진 Suzuki 모델을 적용하여 고용강화 정도를 도시한 결과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CCA에 대해서는 좋은 비례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BCC RCCA의 고용강화가 BCC DA와 달리 칼날 전위의 영향으로 인해 구성원소의 atomic size misfit parameter, 와 밀접하게 관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CCA 합금의 고용 강화 예측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RCA 합금들에 대해서 가 주요 인자로 고용강화 크기를 제어함을 통해 고용강화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다성분 조성 영역으로 고용 수식을 확장하기 위해서 Gypen’s extension method를 적용하면, 는 하기 식과 같이 쓸 수 있다.
또한, 일부 조성 편차가 있을 수 있으나, atomic size misfit parameter, 와 modulus misfit parameter 는 합금 모원소의 특성치를 사용해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간단히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수식에서 비례상수인 를 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 63개 RCCA들을 추가하여 합금 모원소의 물성치들로 계산된 와 측정된 의 상관관계를 도시하였다. (도 7 (a))
하기 표 5는 본 도면에 추가한 63개 RCCA의 경도 값을 정리하여 보여준다.
Alloy composition | Hardness (GPa) | Alloy composition | Hardness (GPa) |
Nb25Mo25Ta25W25 | 4.46 | W20Ta20V20Ti20Cr20 | 5.90 |
V20Nb20Mo20Ta20W20 | 5.42 | W25Ta25V25Ti25 | 5.02 |
Ta20Nb20Hf20Zr20Ti20 | 3.83 | W40Ta20V20Ti20 | 5.46 |
Hf16.6Mo16.6Nb16.6Ta16.6Ti16.6Zr16.6 | 4.95 | W33.3Ta33.3V33.3 | 5.82 |
Hf20Mo20Ta20Ti20Zr20 | 5.31 | W60Ta20V20 | 5.81 |
Ti20Nb20Mo20Ta20W20 | 4.89 | W40Ta20Ti20Cr20 | 5.92 |
Ti16.6V16.6Nb16.6Mo16.6Ta16.6W16.6 | 5.00 | W60Ta20Ti20 | 5.59 |
Hf20Nb20Ta20Ti20Zr20 | 3.28 | W33.3Ta33.3Ti33.3 | 4.83 |
Hf19Mo4.8Nb19Ta19Ti19Zr19 | 3.87 | V33.3Ti33.3Cr33.3 | 4.06 |
Hf18.2Mo9.1Nb18.2Ta18.2Ti18.2Zr18.2 | 4.70 | Ta40Mo10Nb40V10 | 3.39 |
Hf17.4Mo13Nb17.4Ta17.4Ti17.4Zr17.4 | 4.82 | Ta40Mo6.6Nb40V6.6Ti6.6 | 3.19 |
Nb25Ti25V25Mo25 | 4.32 | Ta30Mo20Nb30V20 | 4.51 |
Mo16.6Nb16.6Ta16.6Ti16.6V16.6W16.6 | 4.95 | Ta30Mo16.6Nb30V16.6Ti6.6 | 4.15 |
Cr9.1Mo18.2Nb18.2Ta18.2V18.2W18.2 | 6.62 | Ta30Mo13.3Nb30V13.3Ti13.3 | 3.94 |
Cr16.6Mo16.6Nb16.6Ta16.6V16.6W16.6 | 6.91 | Ta20Mo30Nb20V30 | 5.10 |
Cr28.6Mo14.3Nb14.3Ta14.3V14.3W14.3 | 7.40 | Ta20Mo26.6Nb20V26.6Ti6.6 | 4.90 |
Hf16.6Nb16.6Ta16.6Ti16.6V16.6Zr16.6 | 5.48 | Ta20Mo23.3Nb20V23.3Ti13.3 | 4.63 |
Nb20Ta20Ti20V20W20 | 4.38 | Ta20Mo20Nb20V20Ti20 | 4.23 |
Mo20Nb20Hf20Zr20Ti20 | 4.84 | Ta10Mo40Nb10V40 | 5.11 |
Nb11.1Mo22.2Ti22.2Zr22.2Hf22.2 | 4.25 | Ta10Mo36.6Nb10V36.6Ti6.6 | 4.96 |
Nb27.3Mo18.2Ti18.2Zr18.2Hf18.2 | 4.21 | Ta10Mo30Nb10V30Ti20 | 4.55 |
Nb22.2Mo22.2Ti11.1Zr22.2Hf22.2 | 4.32 | Ta10Mo26.6Nb10V26.6Ti26.6 | 4.43 |
Nb18.2Mo18.2Ti27.3Zr18.2Hf18.2 | 4.05 | Mo46.6V46.6Ti6.6 | 3.87 |
Nb22.2Mo22.2Ti22.2Zr11.1Hf22.2 | 4.34 | Mo43.3V43.3Ti13.3 | 4.00 |
Nb18.2Mo18.2Ti18.2Zr27.3Hf18.2 | 4.14 | Mo40V40Ti20 | 3.96 |
Nb22.2Mo22.2Ti22.2Zr22.2Hf11.1 | 4.60 | Mo36.6V36.6Ti26.6 | 3.89 |
Nb18.2Mo18.2Ti18.2Zr18.2Hf27.3 | 4.13 | Mo33.3V33.3Ti33.3 | 3.75 |
Nb25Mo12.5Ti25Zr25Hf12.5 | 3.92 | Mo25Nb25Ta25V25 | 4.95 |
Nb18.2Mo27.3Ti18.2Zr18.2Hf18.2 | 4.53 | Ta25Nb25Hf25Zr25 | 3.58 |
Hf12.5Nb12.5Ta12.5Ti25Zr37.5 | 2.95 | Nb25Ta25Ti25V25 | 3.11 |
Ti20Zr20Nb20Ta20Mo20 | 4.90 | Nb25Ta25V25W25 | 4.83 |
Mo20Nb20Ta20Ti20V20 | 4.34 | - | - |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미세구조가 단일상인 RC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고용강화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shear modulus 값이다.
도면 7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과 추가한 63개 RCCA 들에 대해 계산된 와 측정된 간 관계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east square fitting method를 통해 선형 피팅을 한 결과 Regression coefficient, 값이 0.970의 우수한 선형적 관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관계식을 보다 단순하게 하고자 기존에 HEA에서 제안된 고용강화 수식과 유사한 형태로 간략화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도면 8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과 63개 RCCA들에 대해 측정한 와 계산된 값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 계산된 값은 양호한 선형적 관계를 나타내며 (), 약 1.232의 기울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의한 미세구조가 단일상인 RC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상기 고용 강화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 8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과 추가한 63개 RCCA 들에 대해 계산된 와 측정된 간 관계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east square fitting method를 통해 선형 피팅을 한 결과 Regression coefficient, 값이 0.969의 우수한 선형적 관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고온 고강도 RCCA 합금 설계 방법
BCC DA에 대한 기존 연구에 따르면 0.2과 0.5 (=융점)사이에서는 Kink glide가 주요 강화 기구로 작동하며, 서로 다른 활주면들로 cross kink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항복강도의 athermal 특성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합금들에 대해서도 상기 도면 3(c)와 (d), 그리고 도면 4(a)의 양호한 선형적 관계를 통해 강도가 kink glide와 다중 슬립시스템 작동으로 인해 온도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있다.
하기 표 6은 다양한 RCCA 합금들에서 상온 항복강도 (Yield strength, YS)와 고온 (800 ℃) 항복강도를 도시하였다.
Alloy | YS @ RT (MPa) | YS @ 800 ℃ (MPa) |
Nb25Mo25Ta25W25 | 1058 | 552 |
V20Nb20Mo20Ta20W20 | 1246 | 846 |
Nb20Cr20Mo10Ta10Ti20Zr20 | 1595 | 983 |
Ta20Nb20Hf20Zr20Ti20 | 929 | 535 |
Nb25Ti25V25Zr25 | 1150 | 187 |
Nb20Ti20V40Zr20 | 918 | 240 |
Cr25Nb25Ti25Zr25 | 1260 | 300 |
Cr20Nb20Ti20V20Zr20 | 1298 | 615 |
W20Ta20V20Ti20Cr20 | 1588 | 1209 |
W25Ta25V25Ti25 | 1405 | 864 |
W60Ta40 | 1034 | 475 |
Pure W | 642 | 93 |
Mo20Nb20Hf20Zr20Ti20 | 1719 | 825 |
Hf20Mo20Ta20Ti20Zr20 | 1600 | 1045 |
Hf16.6Mo16.6Nb16.6Ta16.6Ti16.6Zr16.6 | 1512 | 1007 |
Ti20Nb20Mo20Ta20W20 | 1343 | 674 |
Ti16.6V16.6Nb16.6Mo16.6Ta16.6W16.6 | 1515 | 791.3 |
도면 9는 다양한 RCCA의 (a) 상온 경도 대 상온 항복강도, (b) 상온 항복강도 대 고온 (800 ℃) 항복강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CCA의 상온 경도와 항복강도, 그리고 상온 항복강도와 고온 항복강도는 양호한 선형적 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합금들이 상온 - 800 ℃ 온도대에서 기계적 특성이 온도에 무관한 athermal 특성을 가져 기계적 특성의 급격한 저하 없이 항상성을 가지고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부연하면, 상기 관계들에 의해 합금 구성 원소 순 원소의 특성으로 예측된 값이 고온 (800 ℃) 항복강도 값 ()과 하기 수학식을 만족하기 때문에, 값이 3.02 이상인 합금 조성만을 선택하여 고온 (800 ℃) 항복강도가 400 MPa인 INCONEL 625 이상인 고온 고강도 RCCA를, 값이 4.5 이상인 합금 조성만을 선택하여 고온 (800 ℃) 항복강도가 600 MPa인 INCONEL 718 이상인 고온 초고강도 RCCA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인 값이 고온 (800 ℃) 항복강도 값 ()과 하기 수학식을 만족하기 때문에, 값이 2.94 이상인 합금 조성만을 선택하여 고온 (800 ℃) 항복강도가 400 MPa인 INCONEL 625 이상인 고온 고강도 RCCA를, 값이 4.4 이상인 합금 조성만을 선택하여 고온 (800 ℃) 항복강도가 600 MPa인 INCONEL 718 이상인 고온 초고강도 RCCA를 설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 Ti, V, Cr, Zr, Nb, Mo, Hf, Ta, W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로 구성되며 미세구조가 단일상인 RCCA (Refractory complex concentrated alloy)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상기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계산되고,
이때,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전단 계수 (Shear modulus)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CCA 고용강화 예측 방법.
-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미세구조가 단일상인 RC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상기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계산되고,
이때,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전단 계수 (Shear modulus)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CCA 고용강화 예측 방법.
-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미세구조가 단일상인 RCCA의 고용 강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상기 고용 강화를 예측하고,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계산되고,
이때,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고,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며,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CCA 고용강화 예측 방법.
- Ti, V, Cr, Zr, Nb, Mo, Hf, Ta, W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로 구성되며 고용강화가 제어된 RCCA를 설계하는 방법으로서,
설계 대상 합금에 요구되는 고용 강화 값을 도출하는 준비 단계; 및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도출된 고용 강화 값을 만족하도록 합금 조성을 산출하고,
와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와 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계산되며,
이때,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전단 계수 (shear modulus) 값인 조성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 강화가 제어된 RCCA의 설계 방법.
-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고용강화가 제어된 RCCA를 설계하는 방법으로서,
설계 대상 합금에 요구되는 고용 강화 값을 도출하는 준비 단계; 및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도출된 고용 강화 값을 만족하도록 합금 조성을 산출하고,
와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와 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계산되며,
이때,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전단 계수 (Shear modulus) 값인 조성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 강화가 제어된 RCCA의 설계 방법.
- Ti, V, Cr, Zr, Nb, Mo, Hf, Ta, W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로 구성되며 고용강화가 제어된 RCCA를 설계하는 방법으로서,
설계 대상 합금에 요구되는 고용 강화 값을 도출하는 준비 단계; 및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도출된 고용 강화 값을 만족하도록 합금 조성을 산출하고,
와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
이때,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경도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인 조성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 강화가 제어된 RCCA의 설계 방법.
-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고용강화가 제어된 RCCA를 설계하는 방법으로서,
설계 대상 합금에 요구되는 고용 강화 값을 도출하는 준비 단계; 및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도출된 고용 강화 값을 만족하도록 합금 조성을 산출하고,
와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
이때,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경도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인 조성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 강화가 제어된 RCCA의 설계 방법.
- Ti, V, Cr, Zr, Nb, Mo, Hf, Ta, W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로 구성되며 미세구조가 단일상인 RCCA의 고온 (800 ℃) 항복강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상기 고온 항복강도를 예측하고,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계산되고,
이때,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전단 계수 (Shear modulus) 값을 특징으로 하는 RCCA 고온 항복강도를 예측하는 방법.
-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미세구조가 단일상인 RCCA의 고온 (800 ℃) 항복강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상기 고온 항복강도를 예측하고,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계산되고,
이때,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전단 계수 (Shear modulus) 값을 특징으로 하는 RCCA 고온 항복강도를 예측하는 방법.
- Ti, V, Cr, Zr, Nb, Mo, Hf, Ta, W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로 구성되며 미세구조가 단일상인 RCCA의 고온 (800 ℃) 항복강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상기 고온 항복강도를 예측하고,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와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
이때,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경도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CCA 고온 항복강도를 예측하는 방법.
-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미세구조가 단일상인 RCCA의 고온 (800 ℃) 항복강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상기 고온 항복강도를 예측하고,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와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
이때,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경도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CCA 고온 항복강도를 예측하는 방법.
- Ti, V, Cr, Zr, Nb, Mo, Hf, Ta, W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로 구성되며,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고용 강화 값을 예측하고,
와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계산되고,
이때,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전단 계수 (Shear modulus) 값이고,
예측된 값이 3.0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고강도 RCCA 합금.
-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고용 강화 값을 예측하고,
와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계산되고,
이때, 는 16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 그리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전단 계수 (Shear modulus) 값이고,
예측된 값이 4.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고강도 RCCA 합금.
- V-Cr, V-Nb, V-Mo, V-W, Cr-Mo, Cr-W, Nb-Mo, Nb-Ta, Nb-W, Mo-Ta, Mo-W, Ta-W 2원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조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서 고용 강화 값을 예측하고,
와 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며,
와 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
이때, 와 는 구성 원소 , 의 조성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경도이며, 는 구성 원소 의 원자 분율이고, 와 는 구성 원소 , 의 원자크기이고,
예측된 값이 4.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고강도 RCCA 합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9984A KR102508997B1 (ko) | 2021-03-26 | 2021-03-26 | 내화 금속계 고농도 합금에서 고용 강화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내화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9984A KR102508997B1 (ko) | 2021-03-26 | 2021-03-26 | 내화 금속계 고농도 합금에서 고용 강화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내화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4384A true KR20220134384A (ko) | 2022-10-05 |
KR102508997B1 KR102508997B1 (ko) | 2023-03-09 |
Family
ID=8359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9984A KR102508997B1 (ko) | 2021-03-26 | 2021-03-26 | 내화 금속계 고농도 합금에서 고용 강화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내화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899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5725A (ko) * | 2004-12-29 | 2006-07-04 | 주식회사 포스코 | 가공경화형 저 니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KR20180105857A (ko) * | 2017-03-16 | 2018-10-0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응력 감응 다단변형기구 발현가능 합금 및 그 제조방법 |
KR101959751B1 (ko) * | 2017-10-13 | 2019-03-19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복강도 온도 항상성을 가진 내화성 합금재료 |
KR20200095162A (ko) * | 2019-01-31 | 2020-08-10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Cca의 고용 강화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cca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v계 합금 |
-
2021
- 2021-03-26 KR KR1020210039984A patent/KR1025089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5725A (ko) * | 2004-12-29 | 2006-07-04 | 주식회사 포스코 | 가공경화형 저 니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KR20180105857A (ko) * | 2017-03-16 | 2018-10-0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응력 감응 다단변형기구 발현가능 합금 및 그 제조방법 |
KR101959751B1 (ko) * | 2017-10-13 | 2019-03-19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복강도 온도 항상성을 가진 내화성 합금재료 |
KR20200095162A (ko) * | 2019-01-31 | 2020-08-10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Cca의 고용 강화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cca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v계 합금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Modeling solid solution hardening in high entropy alloys, Acta Materialia 85 (2015) 14-23. |
Modeling solution hardening in BCC refractory complex concentrated alloys: NbTiZr, Nb1.5TiZr0.5 and Nb0.5TiZr1.5, Acta Materialia 168 (2019) 222-236. |
해당 없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8997B1 (ko) | 2023-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3233B1 (ko) | 적층 가공을 위한 고강인성 금속성 유리-기반 복합물 | |
EP1111078B1 (en) | High strength aluminium alloy | |
US20230058823A1 (en) | Bcc dual phase refractory superalloy with high phase st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 |
KR101913029B1 (ko) | 응력 감응 다단변형기구 발현가능 합금 및 그 제조방법 | |
Wang et al. | Effect of C addition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b–Si–Ti based alloys | |
Jiao et al. | Superior mechanical properties of AlCoCrFeNiTi x high-entropy alloys upon dynamic loading | |
US20210262074A1 (en) | Multi nano-precipitate strengthened austenitic steel | |
KR102446488B1 (ko) | 불균일 복합 미세구조 하이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 |
Kim et al. | Rapid assessment of solid solution hardening via atomic size misfit parameter in refractory concentrated alloys | |
Wang et al. | Diffusion behavior and bending fracture mechanism of W/Ti multilayer composites | |
Ji et al. | The effects and utility of homogenization and thermodynamic modeling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S316/IN718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fabricated by laser-based directed energy deposition | |
KR20220134384A (ko) | 내화 금속계 고농도 합금에서 고용 강화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내화 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내화금속계 컴플렉스 고농도 합금 | |
JPH06145854A (ja) | アルミナ化ニッケル単結晶合金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160303649A1 (en) | Light weight high stiffness metal composite | |
Tan et al. |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aves phase-strengthened Fe-Cr-Zr alloys | |
Li et al. |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ductile-layer thickness on the fracture behavior of nickel aluminide microlaminates | |
KR102102520B1 (ko) | 고강도 고연신 컴플렉스 내화금속-규소화합물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 |
Lee et al. | Consolidation behavior of Cu-and Ni-based bulk metallic glass composites | |
KR102225980B1 (ko) | Cca의 고용 강화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고용 강화가 제어된 cca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v계 합금 | |
Li et al. | Performance and evolution of W/steel joint fabricated by selective laser melting | |
KR20200041629A (ko) | 이상을 갖는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59751B1 (ko) | 항복강도 온도 항상성을 가진 내화성 합금재료 | |
Conrath et al. | Properties of a HfC-reinforced nickel-based superalloy in creep and oxidation at 1100 C | |
Odusote et al. | Assessment of the oxidation behavior of a Pt-based alloy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 |
JP2004083951A (ja) | 低熱膨張合金、低熱膨張部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