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381A - 큐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큐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5381A
KR20060075381A KR1020040114161A KR20040114161A KR20060075381A KR 20060075381 A KR20060075381 A KR 20060075381A KR 1020040114161 A KR1020040114161 A KR 1020040114161A KR 20040114161 A KR20040114161 A KR 20040114161A KR 20060075381 A KR20060075381 A KR 20060075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image
menu
image data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557B1 (ko
Inventor
신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1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557B1/ko
Priority to US11/319,877 priority patent/US20060139473A1/en
Publication of KR20060075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557B1/ko
Priority to US14/281,221 priority patent/US2014025377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카메라 모드로 진입하면, 뷰파인더 모드로 진입하여 카메라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영상 데이터를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로 인가받는 과정과;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OSD 이미지와 상기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 후, 합성된 데이터로 LCD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촬영 요청이 있으면, 상기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촬영을 완료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후, 재촬영 요구가 있는 경우, OSD 메뉴의 설정값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OSD 메뉴의 설정값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새로 인가되는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선택받은 OSD 이미지를 합성하여 LCD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OSD 메뉴의 설정값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 인가되는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새로 변경된 OSD 이미지를 합성하여 LCD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OSD 기능, OSD 이미지, OSD 메뉴, 뷰파인더 영상

Description

큐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OS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QCAMERA}
도 1은 종래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2차 OSD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로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별도로 구비해야 했 던 다수의 전자 기기를 이동 통신 단말기와 복합한 형태, 예컨대 라디오 청취나 TV 시청, MP3 재생 등과 같은 기능들이 복합된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기능을 추가한 카메라폰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여러 가지 기능을 하나의 칩에 탑재하여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제품의 크기와 단가를 낮추는 반도체 기술의 트랜드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도 카메라 관련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단일 전용 백엔드(Back End) IC를 탑재하는 대신,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본연의 기능인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메인 칩셋에 'Q카메라'라고 하는 디지털 카메라 지원 기능을 탑재하기에 이르렀다.
전술한 바와 같이, Q카메라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단일 전용 백엔드 IC를 사용할 때와는 달리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 2차 OSD(Partial OSD)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버레이(Overlay) 기능을 이용하지 못하고, 겹쳐쓰기(Overwrite) 기능을 이용하여 OSD 메뉴를 나타낼 수 밖에 없다.
도 1은 종래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단말기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카메라 모드로 진입되면(S10), 뷰파인더(Viewfinder)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12).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 데이터를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로 하여 LCD 화면을 업데이트한다(S14).
한편,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OSD 메뉴를 통해 설정된 설정값을 나타내는 OSD 이미지를 모두 검색하여 현재 적용되어 있는 설정값을 나타내는 OSD 이미지를 선택하고(S16), 선택된 OSD 이미지와 카메라 센서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Overwrite)후(S18), 합성된 데이터를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로 하여 LCD 화면을 업데이트한다(S20).
상기한 과정 S20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Q카메라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2차 OSD 기능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OSD 메뉴를 통해 설정될 수 있는 모든 설정값에 대한 OSD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7단계의 밝기와 7단계의 음영을 설정할 수 있는 2개의 메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두 49개{(밝기, 음영)이라고 했을 때:(-3, -3), (-3, -2), (-3, -1), (-3, 0), (-3, 1), (-3, 2), (-3, 3), …, (3, -3), (3, -2), (3, -1), (3, 0), (3, 1), (3, 2), (3, 3)}의 OSD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OSD 이미지는, LCD의 크기와 같아야 하므로, LCD의 크기가 220×176이라고 가정했을 때, 하나의 OSD 이미지당 대략 77kbyte의 메모리를 점유하게 되고, 각각의 OSD 이미지를 카메라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기 위해서는 매번 메뉴의 설정값이 바뀔 때마다 220×176만큼 논리적으로 합성해줘야 한다.
이후,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촬영 요구를 입력받으면(S22),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24).
상기한 과정 S24의 판단결과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코딩 데이터인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에 OSD 이미지가 포함되면 안되므로, 적용되어 있는 OSD 이미지를 제거한 후(S26), OSD 이미지가 제거된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촬영을 완료한다(S28).
상기한 과정 S22 내지 과정 S28을 통해 촬영을 마친 후, 재촬영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S30), OSD 메뉴가 적용되어 있으면 LCD 화면에 다시 OSD 이미지가 보여져야 하므로, 상기한 과정 S12로 진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Q카메라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OSD 메뉴를 통해 설정될 수 있는 모든 설정값에 대한 OSD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OSD 이미지의 크기도 LCD 크기와 동일하므로, 한정된 메모리에서 무시하지 못하는 데이터량을 차지하게 되고, 메뉴를 추가하게 되는 경우, 추가한 메뉴의 설정값에 따른 모든 OSD 이미지를 추가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촬영할 때마다 인코딩 데이터에는 OSD 메뉴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OSD 기능을 제거시킨 후에 인코딩을 수행하여 촬영을 완료하고, 재촬영 모드로 진입할 때 OSD 메뉴 설정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시 전체 시스템에 상당한 로드(load)를 주게 되고,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가져올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 변경되는 OSD 이미지만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여 LCD 화면을 업데이트함으로써, 2차 OSD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은, 단말기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카메라 모드로 진입하면, 뷰파인더 모드로 진입하여 카메라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영상 데이터를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로 인가받는 과정과;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OSD 이미지와 상기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 후, 합성된 데이터로 LCD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촬영 요청이 있으면, 상기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촬영을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촬영후, 재촬영 요구가 있는 경우, OSD 메뉴의 설정값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OSD 메뉴의 설정값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새로 인가되는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선택받은 OSD 이미지를 합성하여 LCD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OSD 메뉴의 설정값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 인가되는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새로 변경된 OSD 이미지를 합성하여 LCD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 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OSD 이미지는, 메뉴별로 구비되며, 각 OSD 이미지의 크기는 각각의 메뉴가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는 OSD 메뉴를 통해 설정될 수 있는 모든 설정값에 대한 OSD 이미지를 메뉴별로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하나의 OSD 이미지에 모든 메뉴를 통합하여 표시하지 않고, 해당 메뉴에 대해서만 표시하므로, 7단계의 밝기와 7단계의 음영을 설정할 수 있는 2개의 메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49개의 OSD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밝기 메뉴에 대한 OSD 이미지 7개, 음영 메뉴에 대한 OSD 이미지 7개와 같이 총 14개의 OSD 이미지만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OSD 이미지의 크기를 LCD 크기와 동일하게 갖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각각의 메뉴가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로 OSD 이미지의 크기가 축소된다.
이에 따라, 7단계의 밝기와 7단계의 음영을 설정할 수 있는 2개의 메뉴를 가지고 있으며, LCD의 크기를 220×176이라고 가정했을 때, 종래에는 OSD 이미지의 크기가 LCD 크기와 동일하므로 (220×176)×(7×7)×2 바이트 만큼의 메모리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OSD 이미지의 크기가 각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로 축소되므로, 하나의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를 18×18이라고 가정했을 때, (18×18)×(7×2)×2 바이트 만큼의 메모리만 필요하게 된다.
또한, OSD 이미지를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합성할 때도 LCD 크기인 220×176으로 합성하지 않고, 상태가 변한 OSD 이미지만 선택적으로 합성할 수 있게 되어 합성하는 시간 역시 (220×176)/(18×18)만큼 빨라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단말기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카메라 모드로 진입되면(S40), 바로 뷰파인더 모드로 진입하여 카메라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영상 데이터를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로 인가받고(S42),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44).
상기한 과정 S44의 판단결과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42를 통해 인가받은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로 LCD 화면을 업데이트한다(S46).
한편, 상기한 과정 S44의 판단결과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OSD 이미지와 상기한 과정 S를 통해 인가받은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 후(S48), 합성된 데이터로 LCD 화면을 업데이트한다(S50).
상기한 과정 S48의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OSD 이미지는 LCD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OSD 이미지용 버퍼에 저장되었다가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합성된 후, LCD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촬영 요구를 입력받으면(S52),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촬영을 완료하고(S54), 재촬영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S56), 단말기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OSD 메뉴의 설정값에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S58).
상기한 과정 S58의 판단결과 OSD 메뉴의 설정값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48로 진행하여 새로 인가되는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기존의 OSD 이미지를 합성하여 LCD 화면을 업데이트한다.
상기한 과정 S5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의 촬영 요구에 따라 인코딩되는 데이터는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로, OSD 이미지가 적용되기 전에 인코딩되는 데이터가 결정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촬영때마다 OSD 이미지를 제거하고 다시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 S58의 판단결과 OSD 메뉴의 설정값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 인가되는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새로 변경된 OSD 이미지를 합성하고(S60), 합성된 데이터로 LCD 화면을 업데이트한다(S50).
본 발명의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에 따르면, 실제 변경되는 OSD 이미지만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여 LCD 화면을 업데이트함으로써, 2차 OSD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OSD 이미지로 인한 메모리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변화된 OSD 이미지만 선택적으로 합성하면 되기 때문에 프리뷰 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매촬영시마다 OSD 이미지를 제거하고 다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인한,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해결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Q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OSD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카메라 모드로 진입하면, 뷰파인더 모드로 진입하여 카메라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영상 데이터를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로 인가받는 과정과;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OSD 메뉴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OSD 이미지와 상기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 후, 합성된 데이터로 LCD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촬영 요청이 있으면, 상기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촬영을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큐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후, 재촬영 요구가 있는 경우, OSD 메뉴의 설정값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OSD 메뉴의 설정값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새로 인가되는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선택받은 OSD 이미지를 합성하여 LCD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OSD 메뉴의 설정값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 인가되는 뷰파인더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새로 변경된 OSD 이미지를 합성하여 LCD 화면을 업데 이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이미지는,
    메뉴별로 구비되며, 각 OSD 이미지의 크기는 각각의 메뉴가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 제공 방법.
KR1020040114161A 2004-12-28 2004-12-28 큐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제공 방법 KR10063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61A KR100630557B1 (ko) 2004-12-28 2004-12-28 큐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제공 방법
US11/319,877 US20060139473A1 (en) 2004-12-28 2005-12-28 Method of providing OS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Q-camera
US14/281,221 US20140253778A1 (en) 2004-12-28 2014-05-19 Method of providing os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q-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61A KR100630557B1 (ko) 2004-12-28 2004-12-28 큐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381A true KR20060075381A (ko) 2006-07-04
KR100630557B1 KR100630557B1 (ko) 2006-09-29

Family

ID=3661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161A KR100630557B1 (ko) 2004-12-28 2004-12-28 큐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060139473A1 (ko)
KR (1) KR100630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479A (ko) * 2018-08-08 2021-03-10 구글 엘엘씨 장면의 초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움직임
US12010440B2 (en) 2023-03-15 2024-06-11 Google Llc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to create a super-resolution image of a sce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7925B (zh) * 2016-05-27 2019-12-1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osd菜单的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06131391B (zh) * 2016-08-31 2019-03-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以及装置
CN107958079A (zh) * 2017-12-14 2018-04-24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聚合文件删除方法、系统、装置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9690B2 (ja) * 2003-10-01 2007-08-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479A (ko) * 2018-08-08 2021-03-10 구글 엘엘씨 장면의 초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움직임
KR20220162861A (ko) * 2018-08-08 2022-12-08 구글 엘엘씨 장면의 초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움직임
KR20230038316A (ko) * 2018-08-08 2023-03-17 구글 엘엘씨 장면의 초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움직임
US11611697B2 (en) 2018-08-08 2023-03-21 Google Llc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to create a super-resolution image of a scene
US12010440B2 (en) 2023-03-15 2024-06-11 Google Llc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to create a super-resolution image of a sc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53778A1 (en) 2014-09-11
KR100630557B1 (ko) 2006-09-29
US20060139473A1 (en)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9598C (zh) 照相机和照相机的控制方法
US9237278B2 (en)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210109059A (ko) 촬영 방법, 촬영 장치, 및 이동 단말
US20050231604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80028069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컨텐트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7088965A (ja) 画像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575924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
JP3098991B2 (ja) 電話付きビデオ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20080076469A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JP2003050703A (ja) 携帯型通信装置および携帯型電子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動作制御方法
KR100630557B1 (ko) 큐카메라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제공 방법
JP2004096400A (ja) 撮像装置、画像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1118042A (ja)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9980071690A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신호 처리 방법
KR100620714B1 (ko) 영상 합성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4585B1 (ko) 멀티 미디어 데이터 관리 방법과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5225B1 (ko) 카메라 프리뷰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US20200007785A1 (en) Imaging apparatus
KR20060028637A (ko)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장치 및 이미지레코드
JP2001352479A (ja) 電子カメラ装置
JP7233038B2 (ja) 撮像装置
KR101014116B1 (ko) 카메라폰에서의 프리뷰 화면 조정 방법
JP2012015827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0102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기능 제어방법
KR100562142B1 (ko) 영상 촬영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