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661A -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661A
KR20060073661A KR1020040112496A KR20040112496A KR20060073661A KR 20060073661 A KR20060073661 A KR 20060073661A KR 1020040112496 A KR1020040112496 A KR 1020040112496A KR 20040112496 A KR20040112496 A KR 20040112496A KR 20060073661 A KR20060073661 A KR 20060073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1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3661A/ko
Publication of KR2006007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입력부,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 제어부, 표시부, 진동자, 스피커 및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어부는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에서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단계; (b) 제어부는 상기 단계 (a)에서 검출된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접하게 됨으로써 수신 가능 상태에서 수신 불능 상태로 저하되는 수신 신호 세기의 범위(이하,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라 한다)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도록 유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미약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평상시 보다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는 것을 줄임으로 써, 동일하게 충전된 배터리로 구동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내장형 안테나, Intenna, 수신 신호의 세기, 경고 메시지,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Warning Message about the Received-Signal-Strength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수신 신호 세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의 표시부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이동통신 단말기 302: 키입력부
304: 마이크로폰 306: 메모리부
308: 프로그램 메모리 310: 모드상태 저장부
312: 데이터 메모리 314: 제어부
316: 마이크로프로세서 318: 디지털 신호 처리부
320: 베이스밴드 변환부 322: 송수신부
324: RF 신호 처리부 325: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
326: 안테나 328: 표시부
329: 진동자 330: 스피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를 구비하여 현재 측정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장형 안테나 또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외장형 안테나에는 리트랙터블 안테나(Retractable Antenna) 또는 고정형 안테나(Fixed Antenna) 등이 있고, 내장형 안테나는 특히 인테나(Intenna: Internal Antenna)라고 칭한다.
내장형 안테나는 외장형 안테나에 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면에서 콤팩 트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신호의 수신에 있어서는 외장형 안테나에 비해 불리한 측면을 가지게 된다. 특히, 내장형 안테나는 외장형 안테나에 비해 신체 접촉에 의한 영향을 더 크게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된 경우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접촉되지 않은 경우의 수신 신호의 세기 보다 약 5 ~ 10 dB 정도 저하되는 특성이 있다. 즉,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의 전파 환경과 같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한 원인 이외에, 사용자와의 신체 접촉에 의한 원인으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영향을 받게 된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 신호 세기 표시 바(RSSI bar: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bar)를 표시부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보다 약할 때에는 '통화권 이탈'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내장형 안테나의 경우에, 종래 기술과 같이 전파 환경과 같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한 원인에 의해서만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보다 약한 것 같이 표시부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사용자와의 신체 접촉에 의한 원인으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보다 약한 경우에 사용자가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도 있음을 누락한 디스플레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를 구비하여 현재 측정되는 수신 신호 의 세기가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키입력부,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 제어부, 표시부, 진동자, 스피커 및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어부는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에서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단계; (b) 제어부는 상기 단계 (a)에서 검출된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접하게 됨으로써 수신 가능 상태에서 수신 불능 상태로 저하되는 수신 신호 세기의 범위(이하,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라 한다)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숫자, 문자 또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문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 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경고 메시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경고 메시지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게 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고 메시지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수신 신호 세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신 신호의 세기가 -90 dBm을 초과하는 지역을 수신 양호 범위라 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90 dBm 이하 -100 dBm 이상인 지역을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라 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100 dBm 미만의 지역을 수신 불능 범위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만약 -95 dBm의 값을 임계값으로 설정하였다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95 dBm 이하인 경우에 '통화권 이탈'이라는 메시지만을 표시부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와의 신체 접촉에 의한 원인으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보다 약한 경우에 사용자가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는 정보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와의 신체 접촉에 의해 수신 신호의 세기가 약 5 ~ 10 dB 정도 저하되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신체 비접촉 상태에서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80 ~ -85 dBm인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 상태로 되면 수신 신호의 세기가 -90 dBm으로 저하되게 된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전파 환경 지역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도 1에서의 A점(-87 dBm)인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가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약 10 dB 정도 더 감소하여 도 1에서의 B점(-97 dBm)으로 저하된다. 반면에, 현재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어 있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도 1에서의 C점(-96 dBm)인 경우에, 사용자가 신체를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하면 수신 신호의 세기가 약 10 dB 정도 더 증가하여 도 1에서의 D점(-86 dBm)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 신호의 세기의 범위를 수신 양호 범위와 수신 불능 범위로 양분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 신 단말기의 신체 접촉 특성을 고려하여, 수신 양호 범위와 수신 불능 범위를 나누는 임계값 부근을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로 설정하여,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접하게 됨으로써 수신 가능 상태에서 수신 불능 상태로 저하되는 수신 신호 세기의 범위를 말한다. 도 1에서는 -90 dBm에서부터 -100 dBm 까지의 범위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접하게 됨으로써 수신 양호 상태에서 수신 불능 상태로 저하될 수 있는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가 된다.
통상, 수신 신호의 세기가 -90 dBm 이하의 지역을 약전계 지역이라고 하는데 이와 같은 약전계 지역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약한 신호를 수신하려고 평상시 보다 더 많은 전력을 신호의 수신에 소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동일하게 충전한 배터리로 구동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평상시 보다 단축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도록 유도하여 위와 같은 전력 소비를 줄임으로써, 동일하게 충전된 배터리로 구동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의 표시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표시부 화면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약하니 이동통신 단말기를 멀리 해 보세요 !'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접촉에 의한 수신 신호의 감소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경고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멀리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며 알람, 램프 또는 진동 등의 단순한 출력 표시로도 대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시에 제조자가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것 이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시에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를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키입력부(302), 마이크로폰(304), 메모리부(306), 제어부(314), 송수신부(322), 표시부(328), 진동자(329) 및 스피커(33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306)는 프로그램 메모리(308), 모드 상태 저장부(310) 및 데이터 메모리(312)를 포함하고, 제어부(314)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6), 디지털 신호 처리부(318) 및 베이스밴드 변환부(320)를 포함하며, 송수신부(322)는 RF 신호 처리부(324),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325) 및 안테나(32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한다.
키입력부(302)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키,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 및 방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 버튼을 누를 때 눌려진 키 버튼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생성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16)로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키입력부(302)는 사용자로 하여금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마이크로폰(304)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14)로 전달한다.
프로그램 메모리(308)는 이동통신망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토콜 소프트웨어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는 한편,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325)에서 측정되는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경고 메시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물론, 경고 메시지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 해서는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에 대한 데이터도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경고 메시지 프로그램은 운영체제(OS)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 있는데, 'C' 프로그램 언어나 객체 지향형의 'C++', 'JAVA' 등의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할 수 있다.
모드 상태 저장부(310)는 키입력부(302)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0, 1, 2, ...)로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316)는 이동통신 단말기(300)가 대기 모드인지, 수신 모드인지, 발신 모드인지, 통화 모드인지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310)를 갱신한다.
데이터 메모리(312)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 데이터 버퍼(Buff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키입력부(302)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수신되는 문자나 이미지(Image)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6)는 모드 상태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근거로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316)는,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325)에서 측정되는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경고 메시지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표시부(328)를 통한 시각적 경고 메시지, 진동자(329)를 통한 촉각적 경고 메시지 또는 스피커 (330)를 통한 청각적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18)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3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320)와 음성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베이스밴드 변환부(320)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320)는 RF 신호 처리부(324)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318), 스피커(330) 및 마이크로폰(304)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F 신호 처리부(324)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6)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고주파 신호에 싣는 변조 과정을 수행하여 안테나(326)를 통해 전파 공간으로 송출하거나, 안테나(326)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 신호를 복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1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325)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구성 요소로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부(314)로 전송한다.
안테나(326)는 RF 신호 처리부(324)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RF 신호 처리부(324)로 전달한다.
표시부(328)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대기 상태에서 배터리(Battery)의 사 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각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동작 모드를 표시하며, 또한 키입력부(302)를 통한 입력 사항과, 송수신부(322)를 통한 전송 사항 및 제어부(314)의 제어 사항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표시부(328)는 이동통신 단말기(300)가 현재 수신 하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325)에서 측정하는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수치화하는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계산된 수치를 표시부(328)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자(329)는 제어부(314)의 제어를 받아,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촉각을 자극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진동자는 이동통신 단말기(300)가 현재 수신 하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리듬의 진동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도록 유도한다.
스피커(330)는 제어부(314)의 제어를 받아,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스피커(33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가 현재 수신 하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경고음 또는 기 저장된 경고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도록 유도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의 메뉴에서, 경고 메시지 출력 메뉴를 선택하여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를 설정하고 경고 메시지 출력 기능을 실행시킨다(S402).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경고 메시지 출력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디폴트) 기능으로 구비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S402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경고 메시지 출력 기능이 실행되면, 제어부(314)는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325)에서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검출한다(S404).
제어부(314)는 S404 단계에서 검출된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S402 단계에서 설정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406).
S406 단계에서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표시부(328), 진동자(329) 또는 스피커(330)를 통하여 시각적, 촉각적 또는 청각적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S408).
S406 단계에서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및 S408 단계에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 경우에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시간 간격인 측정 간격 시간동안을 대기하였다가, 측정 간격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시 S404 단계 이후의 단계를 반복한다(S41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신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도록 유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 상태에서 미약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평상시 보다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동일하게 충전된 배터리로 구동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즈프리나 이어폰 등의 수단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가 가까이 있지 않아도 통화가 가능한 향후의 이동통신 환경에서 원활한 통화 유도와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키입력부,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 제어부, 표시부, 진동자, 스피커 및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에서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계 (a)에서 검출된 상기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접하게 됨으로써 수신 가능 상태에서 수신 불능 상태로 저하되는 수신 신호 세기의 범위(이하,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라 한다)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진동자를 통하여 기 설정된 특정 리듬의 진동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경고 메시지를 촉각적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음 또는 경고 음성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경고 메시지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a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의 메뉴에서, 상기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 출력 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고자 하는 수신 신호 세기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식을 상기 표시부를 통한 시각적 경고 메시지, 상기 진동자를 통한 촉각적 경고 메시지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한 청각적 경고 메시지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7.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숫자, 문자 또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문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 정된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신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경고 메시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상기 경고 메시지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 이내인 경우에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게 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고 메시지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 범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시에 제조자가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범위이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시에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하는 범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 출력부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경고 메시지를 촉각적인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자 또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청각적인 경고음 또는 경고 음성 메시지로 출력하는 스피커 중의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함께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현재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112496A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73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496A KR20060073661A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496A KR20060073661A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661A true KR20060073661A (ko) 2006-06-28

Family

ID=3716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496A KR20060073661A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36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633A (ko) * 2014-01-16 2016-08-22 애플 인크. 레인지-비종속 근접도 결정
WO2018226459A1 (en) * 2017-06-09 2018-12-13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deterring signal attenuation from phased-array antenna system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633A (ko) * 2014-01-16 2016-08-22 애플 인크. 레인지-비종속 근접도 결정
US10080103B2 (en) 2014-01-16 2018-09-18 Apple Inc. Range-free proximity determination
WO2018226459A1 (en) * 2017-06-09 2018-12-13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deterring signal attenuation from phased-array antenna systems
US10630325B2 (en) 2017-06-09 2020-04-21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deterring signal attenuation from phased-array antenna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44603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622788B1 (ko) 휴대전화기
TW200412118A (en) Mobile phone being capable of informing radiation power to user
US6301469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ntenna mode in portable telephone
JPH07143555A (ja) 無線選択呼出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6007366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84028B1 (ko)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018527A (ko) 이동통신 무선 단말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JP5029339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JP3946066B2 (ja) 携帯電話機、制御プログラム
JP5386818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JP2003018245A (ja) 無線機および制御回路
KR101045358B1 (ko) 위치확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50321B1 (ko) 수신신호전계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242314B1 (ko) 보조 휴대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에서 보조 휴대장치 호출방법
KR100557564B1 (ko) 폴더형 이동무선 단말기의 경보 구동 제어방법
JP2002271260A (ja) 移動体通信機器用外部装置
KR100597480B1 (ko) 단말기 상태 표시 장치
KR101107189B1 (ko) 반복 모닝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483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변경방법
KR2005007947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절전모드 전용키를 이용한 절전모드전환방법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CN112040519A (zh) 一种确定重选条件的方法及终端设备
KR200400954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주변 소음 정도에 따른 진동모드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57402A (ko)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