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402A -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402A
KR20060057402A KR1020040096551A KR20040096551A KR20060057402A KR 20060057402 A KR20060057402 A KR 20060057402A KR 1020040096551 A KR1020040096551 A KR 1020040096551A KR 20040096551 A KR20040096551 A KR 20040096551A KR 20060057402 A KR20060057402 A KR 20060057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ype mobile
slid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9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7402A/ko
Publication of KR2006005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주 표시장치;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보조 표시장치;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주 표시장치 및 상기 보조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주 표시장치 및 상기 보조 표시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 표시장치에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상태 및 동작 과정의 디스플레이를 드라이브하는 주 표시장치 제어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장치에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상태 및 동작 과정의 디스플레이를 드라이브하는 보조 표시장치 제어기; 숫자 및 문자버튼,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키 입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간의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가 단 하나뿐이던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보조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주 디스플레이가 전원 절약 모드에 의해 꺼져 있더라도 보조 디스플레이는 항상 켜져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부가 동작 없이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보조 디스플레이, LCD

Description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dditional Display}
도 1a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
도 1b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평면도,
도 1c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 디스플레이 및 보조 디스플레이가 동일 평면상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보조 디스플레이가 주 디스플레이와 동일 평면상이 아닌 위치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108 :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
200 :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400 : 보조 디스플레이
402 : 주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가 하나뿐인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조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주 디스플레이를 켜지 않아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와 도 1b 및 도 1C는 각각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a와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본체(100)와 커버(108)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문자나 각종 기호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102) 및 음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04)를 전면에 구비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106)를 구비한다. 커버(108)는 본체(100)의 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본체(100)의 전면에 겹쳐지도록 결합되며, 전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수신 정도, 메시지 수신 여부, 배터리 잔량, 날짜 또는 시간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또는 문자나 각종 기호 및 영상 등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0), 음향의 출력을 위한 이어피스(112) 및 특수 기능 실행을 위한 기능키(114)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108)를 위로 슬라이딩시켜 본체(100)의 전면을 개방하여 키패드(102)와 마이크(104)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키패드(102)를 이용하여 문자나 각종 기호를 입력할 수 있고, 마이크(104)와 이어피스(112)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110)가 커버(108)의 전면에 단 하나만이 구비되어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수신 정도, 메시지 수신여부, 배터리 잔량, 날짜 또는 시간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표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110)에만 의존해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커버(108)의 여닫힘 상태 및 전화 통화 여부, 메시지 수신 여부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아무런 입력이 없는 경우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110)의 전원 공급을 적절히 온/오프시킴으로써, 전류 소모를 억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 중 배터리 절약을 위해 디스플레이(110)가 꺼진 경우(이하 전원의 절약 모드라 함), 사용자가 평소에 확인을 자주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수신 정도, 메시지 수신여부, 배터리 잔량, 날짜 또는 시간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표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 하나뿐인 디스플레이(110)를 다시 켜야만 하는데, 디스플레이(110)를 다시 켜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커버(108)를 위로 슬라이딩시키는 등의 부가적인 동작이 필요한 바, 단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표시만을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상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단 하나뿐이던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별도의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함으로써, 주 디스플레이가 꺼져 있더라도 보조 디스플레이는 항상 켜져 있게 하여 부가적 동작 없이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주 표시장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보조 표시장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주 표시장치 및 보조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주 표시장치 및 보조 표시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주 표시장치에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의 디스플레이를 드라이브하는 주 표시장치 제어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보조 표시장치에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의 디스플레이를 드라 이브하는 보조 표시장치 제어기; 숫자 및 문자버튼,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버튼을 구비하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키 입력부; 제어부의 제어 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간의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키 입력부(202), 표시부(204), 프로그램 저장부(206), 메모리(208), 제어부(210), 송/수신부(212)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또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브라우저, I-mode,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키 입력부(202)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키버튼은 통상적으로 12개의 숫자키(0 ~ 9, *, #), 다수의 기능키, 다수의 커서(Cursor) 이동키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204)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안테나 수신 정도, 메시지 수신여부, 배터리 잔량, 날짜 또는 시간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 또는 문자나 각종 기호 및 영상 등을 표시해 준다. 한편, 표시부(204)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06)는 단말기 자체의 기능을 구현하고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한편,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메모리(208)는 제어부(21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 거가 가능하다. 여기서 메모리(208)는 램(RAM), NV(Non Volatile)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저장부, 모드 상태 저장부 및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포함하는데, 데이터 저장부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 데이터 버퍼(Buff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키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문자나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모드 상태 저장부는 키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0, 1, 2, ...)로 저장하는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 모드인지, 발신 모드인지, 저장 모드인지, 통화 모드인지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를 갱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상태 저장 모드 또는 재생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에는 가입자 단말기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가입자 단말기 등록 정보는 이동 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 번호로서, 가입자 정보 저장부는 카드 형태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이동 통신망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내용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10)는 모드 상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근거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내부는 산술논리연산기,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 디코더, 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어부는 주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를 인출하여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어를 실행하며 실행 결과를 다시 주기억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자동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입출력 장치들과도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
송/수신부(212)는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음성 신호와 전기 신호를 증폭하고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디지털 신호 처리부(214), 베이스밴드 변환부(216), 스피커(218), 마이크로폰(220), RF 신호 처리부(222), 안테나(224) 등으로 구성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14)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16)와 주고받는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Encoding)하거나 복호화(Decoding)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14)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16)로부터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216)는 RF 신호 처리부(222)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214), 스피커(218) 및 마이크로폰(220)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216)는 제어부(210)로부터 입력된 송신 메시지 데이터(TX DATA)를 송신 메시지 신호(TXIQ)로 변환해 RF 신호 처리부(222)로 출력하거나, RF 신호 처리부(222)로부터 입력된 수신 메시지 신호(RXIQ)를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로 변환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214)로 출력한다. 그리고 베이스밴드 변환부(216)는 RF 신호 처리부(222)의 전력에 대한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AGC).
스피커(2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16)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22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RF 신호 처리부(222)는 송신 메시지 신호(TXIQ)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해 안테나(224)로 출력하거나, 안테나(224)로부터 인가된 RF 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RXIQ)로 변환해 베이스밴드 변환부(216)로 출력한다. 안테나(224)는 RF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하거나, 공중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RF 신호 처리부(222)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04)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어부(300)는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문자나 숫자 또는 도형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주 표시장치(306) 및 보조 표시장치(314)의 전원을 제어한다.
메모리부(302)는 입력되는 신호의 일시 저장이나 부팅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어부(300)의 처리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제어부(300)의 전반적인 운용 알고리즘이 설정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된다.
주 표시장치 제어기(304)는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 표시장치(306)에 문자나 숫자 및 도형의 디스플레이를 드라이브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주 표시장치(306)는 주 디스플레이(308)와 주 디스플레이(308)의 조명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310)를 구비한다.
보조 표시장치 제어기(312)는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보조 표시장치(314)에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수신 정도, 메시지 수신여부, 배터리 잔량, 날짜 또는 시간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상태의 디스플레이를 드라이브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보조 표시장치(314)는 보조 디스플레이(316)와 보조 디스플레이(316)의 조명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314)를 구비한다. 여기서 주 디스플레이(308) 및 보조 디스플레이(316)는 각각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00) 및 보조 표시장치 제어기(312)의 제어에 의해 보조 표시장치(314)에는 주 표시장치(306)의 전원의 절약 모드와 관계없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수신 정도, 메시지 수신여부, 배터리 잔량, 날짜 또는 시간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상태가 항상 디스플레이된다.
도 4a와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 디스플레이 및 보조 디스플레이가 동일 평면상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보조 디스플레이(400)가 주 디스플레이(402)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보조 디스플레이(400)는 사용자가 평소에 확인을 자주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수신 정도, 메시지 수신여부, 배터리 잔 량, 날짜 또는 시간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항상 표시함으로써, 주 디스플레이(402)가 전원 절약 모드에 의해 꺼져 있어도 부가적인 동작 없이 바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보조 디스플레이(400)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개수가 여러 개가 될 수도 있는데, 도 4c는 보조 디스플레이(400)가 두 개인 것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보조 디스플레이가 주 디스플레이와 동일 평면상이 아닌 위치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보조 디스플레이(500)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측 평면과 측면 상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다. 보조 디스플레이(500)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측평면 상 또는 측면 상에 장착됨으로써, 주머니에서 꺼내어 확인 시 더 눈에 잘 띌 수 있으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자인 변화도 기대할 수가 있다.
이상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도 5b에서 설명한 각 상태도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보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위치는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주 디스플레이의 전원 절약 모드와 관계없이 항상 켜져 있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주 디스플레이처럼 전원 절약 모드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메뉴 선택에 의해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모드를 설정/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프로그램 저장부(206)에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모드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주 디스플레이처럼 전원 절약 모드가 되어 제어부(210)의 전원 제어에 의해 보조 디스플레이 및 백라이트의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선택에 의해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모드를 설정/해제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모드를 설정/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키 입력부(202)를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화면 설정이나 음량/벨소리 설정 또는 일정관리 등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메뉴로 들어가면 표시부(204)에는 도 6A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숫자키 또는 방향키를 사용하여 원하는 메뉴, 즉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메뉴를 선택하면, 도 6B와 같이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키 입력부(202)를 사용하여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모드를 설정하면 도 6C와 같이 일정 시간동안 아무런 입력이 없는 경우 등의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모드에 따라 주 디스플레이(602)와 마 찬가지로 보조 디스플레이(600)의 전원이 제어되어 보조 디스플레이(600)가 꺼지게 된다. 키 입력부(202)를 사용하여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모드를 해제하면 도 6D와 같이 보조 디스플레이(600)의 전원이 주 디스플레이(602)의 전원 절약 모드와 관계없이 항상 켜지도록 설정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별도의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함으로써, 주 디스플레이가 전원 절약 모드에 의해 꺼져 있더라도 보조 디스플레이는 항상 켜져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부가 동작 없이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디스플레이가 항상 켜져 있지 않도록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메뉴를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가 하나뿐 인 종래의 획일적 디자인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하나 이상의 보조 디스플레이를 적용함으로써,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디자인 변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주 표시장치;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보조 표시장치;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주 표시장치 및 상기 보조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주 표시장치 및 상기 보조 표시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 표시장치에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상태 및 동작 과정의 디스플레이를 드라이브하는 주 표시장치 제어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장치에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상태 및 동작 과정의 디스플레이를 드라이브하는 보조 표시장치 제어기;
    숫자 및 문자버튼,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키 입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간의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주 표시장치의 전원 절약 모드 여부와 관계없이, 항시 상기 보조 표시장치의 전원이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편의에 따라 메뉴 설정에 의해, 보조 디스플레이 전원 절약 모드를 설정/해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상태는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수신 정도, 메시지 수신여부, 배터리 잔량, 날짜,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상태는, 상기 보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상태 이외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장치는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개수가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장치는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위치가 상기 주 표시장치가 장착되는 위치와 동일 평면상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표시장치 및 상기 보조 표시장치는 각각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폰, PCS폰, 개인휴대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96551A 2004-11-23 2004-11-23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57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51A KR20060057402A (ko) 2004-11-23 2004-11-23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51A KR20060057402A (ko) 2004-11-23 2004-11-23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402A true KR20060057402A (ko) 2006-05-26

Family

ID=3715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551A KR20060057402A (ko) 2004-11-23 2004-11-23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74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1123A3 (en) * 2009-03-23 2011-01-13 T-Mobile Usa, Inc. Multifunction mobile device having a movable element, such as a display, and associated func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1123A3 (en) * 2009-03-23 2011-01-13 T-Mobile Usa, Inc. Multifunction mobile device having a movable element, such as a display, and associated functions
US8391935B2 (en) 2009-03-23 2013-03-05 T-Mobile Usa, Inc. Multifunction mobile device having a movable element, such as a display, and associated fun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3783A (en) Portable terminal
JP4919531B2 (ja) タッチ・センス・スクリーンを備える通信デバイス
US916083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in wireless terminal with removable case
JP2001352395A (ja) 携帯端末装置
KR1006952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호 작용 가능한 애넌시에이터제공 방법 및 장치
JPH10271192A (ja) 携帯電話端末
KR20060057402A (ko) 보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5659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4482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모 입력 및 처리 방법
JPH08317041A (ja) 携帯電話装置
KR20070050314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표시방법
KR100557564B1 (ko) 폴더형 이동무선 단말기의 경보 구동 제어방법
JP4240567B2 (ja) 電子機器、及び、点灯制御方法
KR20050019174A (ko) 터치스크린 엘씨디를 구비한 단말기의 엘씨디 전원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채택한 단말기
KR20050034796A (ko) 문자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헤드셋
KR10058464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액정디스플레이의 전력을 제어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6346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이메일 주소 입력방법
KR20040099636A (ko)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KR20040033685A (ko) 휴대폰 엘시디 화면 제어방법
JPH10336301A (ja) 電子計算機能およびボタン、パネル内蔵一体型携帯電話機・phs
KR20050107842A (ko) 무선 단말기의 기능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7947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절전모드 전용키를 이용한 절전모드전환방법
JP2002111824A (ja) 携帯電話端末
KR100713472B1 (ko) 휴대단말기의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