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028B1 -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028B1
KR100684028B1 KR1020050097373A KR20050097373A KR100684028B1 KR 100684028 B1 KR100684028 B1 KR 100684028B1 KR 1020050097373 A KR1020050097373 A KR 1020050097373A KR 20050097373 A KR20050097373 A KR 20050097373A KR 100684028 B1 KR100684028 B1 KR 100684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amplification gain
amplification
rssi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윤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7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028B1/ko
Priority to CNA2006101406963A priority patent/CN196847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04B1/123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 신호 감도 세기(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별로 서로 다른 증폭 이득을 가지는 증폭 이득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RF부와, 인가된 증폭 이득에 따라 음성 신호에 대한 증폭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RF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상응하는 증폭 이득을 상기 증폭 이득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수신 신호 감도 세기별로 서로 다른 증폭 이득을 가지는 증폭 테이블을 구비하여,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라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증폭 이득을 가변시킴으로써 TDMA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휴대폰, 오디오 게인, 증폭 이득, RSSI, 수신신호감도세기

Description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AUDI0 SIGNAL PROCESSING METHOD BY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증폭 이득 테이블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메모리
120 : 제어부 121 : 이동 통신 처리부
122 : RSSI 측정부 123 : 증폭 이득 제어부
130 : RF부 140 : 음성 처리부
150 : 스피커 160 : 마이크로폰
170 : 키입력부 180 : 표시부
190 : 가입자 식별 모듈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신호 처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파 환경에 따라 음성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증폭이득을 조절하여 음질을 최적화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GSM은 유럽 및 기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디지털 이동전화 시스템이다. GSM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변종으로서, 이것은 TDMA, CDMA와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3개의 디지털 무선전화기술 중 하나이다. GSM은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압축한 다음, 그것을 두 개의 다른 사용자 데이터와 함께 한 채널을 통해 보내는데, 각각의 데이터는 나름대로의 고유한 시간대에 보내진다. GSM은 900 MHz와 1800 MHz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다.
GSM은 유럽에서는 무선전화에 있어 사실상의 표준이다. GSM은 전세계적으로 1억 20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가지고 있으며 120 개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많은 GSM 네트웍 운영자들이 외국의 운영자들과 로밍 규약을 맺고 있기 때문에, 외국을 여행할 때에도 사용자들은 자신의 휴대폰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한편, GSM 단말기는 TDMA의 통신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데이터 송신 구간과 데이터 수신 구간을 번갈아 가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GSM 단말기는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송신 구간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과 데이터 수신 구간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에는 큰 차이가 생기게 된다. 즉, 데이터 송신 구간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이 데이터 수신 구간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보다 월등히 커짐에 따라 일정한 주파수의 TDMA 노이즈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TDMA 노이즈는 GSM 단말기가 약전계의 전파환경에 위치하여 송신 전력이 더욱 커지게 되면 더욱 심해져서 통화품질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한편, 종래의 GSM 단말기는 음성 신호를 처리할 때 고정된 증폭 이득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고정된 증폭 이득은 GSM 단말기가 정상 전파 환경에 있을 때를 모델링하여 고정된 값이 사용됨에 따라 약전계의 전파 환경에서의 통화 품질 저하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GSM 단말기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신호를 처리할 때 전파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음성 처리를 수행하여 최적화된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음성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수신 신호 감도 세기(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별로 서로 다른 증폭 이득을 가지는 증폭 이득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RF부와, 인가된 증폭 이득에 따라 음성 신호에 대한 증폭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RF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상응하는 증폭 이득을 상기 증폭 이득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증폭 이득은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volume control gain)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증폭 이득은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정비례하는 값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감도 세기를 측정하는 RSSI 측정부와, 상기 RSSI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상응하는 증폭 이득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에 인가하는 증폭 이득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수신 신호 감도 세기(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별로 서로 다른 증폭 이득을 가지는 증폭 이득 테이블을 구축하는 제 1 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상응하는 증폭 이득을 상기 증폭 이득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해당 증폭 이득을 이용한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감도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상응하는 증폭 이득을 상기 증폭 이득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해당 증폭 이득을 이용하여 음성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증폭 이득은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정비례하는 값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GSM 단말기로서, 수신 신호 감도 세기(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별로 음성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서로 다른 증폭 이득을 가지는 증폭 이득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110)와,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증폭 이득을 음성 처리부(140)에 설정하는 제어부(120)와, RF부(130)와, 제어부(120)에 의해 설정되는 증폭 이득에 따라 증폭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140)와, 스피커(150)와, 마이크로폰(160)과, 버튼으로 구성되는 키입력부(170)와,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메뉴 항목을 화면창을 통해 제공하는 표시부(180)와, 가입자 식별 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110)는 수신 신호 감도 세기별로 음성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서로 다른 증폭 이득을 가지는 증폭 이득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메모리(110)의 증폭 이득 테이블에 저장되는 증폭 이득은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른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volume control gain)이 해당된다.
또한, 메모리(110)는 제어부(120)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임시 저장하거나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10)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 및 전화번호 테이블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110)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등으로 구성된다.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증폭 이득 테이블이 가지는 수신 신호 감도 세기별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은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라 TDMA 잡음을 고려하여 줄일 수 있도록 결정된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 감도 세기가 강한 곳에서는 TDMA 잡음 성분이 전체 음성 신호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미약하므로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을 크게 하여 음성 신호의 음량을 크게 하도록 결정된다.
한편, 수신 신호 감도 세기가 약한 곳에서는 TDMA 잡음 성분이 전체 음성 신호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작지 않음에 따라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을 크게 하면 TDMA 잡음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음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수신 신호 감도 세기가 약한 곳에서는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을 줄여서 TDMA 잡음 성분이 증폭되는 비율을 줄이도록 설정된다.
도 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증폭 이득 테이블의 특성을 그래프로 표시한 일 예시도이다. 그래프에서는 정확한 실험값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RSSI와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간의 정비례 관계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의 그래프에서 RSSI가 -85dBm에 가까울수록 수신 신호 감도 세기가 약한 곳으로 전파 수신 환경이 매우 좋지 않은 상태이고, RSSI가 -105dBm에 가까울수록 수신 신호 감도 세기가 강한 곳으로 전파 수신 환경이 매우 좋은 상태이다.
PGA 이득은 +6dB와 -6dB의 사이값을 가지는데 +6dB는 PGA 이득이 가장 작은 상태이고 -6dB는 PGA 이득이 가장 큰 상태를 나타낸다.
볼륨 제어 이득에서 -24dB는 볼륨이 거의 소거되는 정도의 볼륨 제어 레벨이고 0dB는 볼륨을 최상으로 크게 했을 때의 볼륨 제어 레벨이다.
따라서, 그래프를 보면 RSSI가 -85dBm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여 수신 신호 감도 세기가 약한 상태에서는 PGA 이득이 +6dB쪽에 가깝게 위치하여 PGA 이득이 낮은 값을 갖게 되고, 역시 볼륨 제어 이득도 -24dB쪽에 가깝게 위치하여 볼륨 제어 이득이 낮은 값을 갖게 되어 있다.
즉, RSSI가 -85dBm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여 전파 수신 환경이 좋지 않아 음성 신호의 수신이 열악한 상태에서는 PGA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을 낮은 값으로 하여 TDMA 잡음도 적은 증폭 이득을 가지고 증폭되게 함으로써 TDMA 잡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그래프를 보면 RSSI가 -105dBm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여 수신 신호 감도 세기가 강한 상태에서는 PGA 이득이 -6dB쪽에 가깝게 위치하여 PGA 이득이 높은 값을 갖게 되고, 역시 볼륨 제어 이득도 -0dB쪽에 가깝게 위치하여 볼륨 제어 이득 이 높은 값을 갖게 되어 있다.
즉, RSSI가 -105dBm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여 전파 수신 환경이 좋아 음성 신호의 수신이 양호한 상태에서는 PGA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을 높은 값으로 하여 TDMA 잡음이 증폭된다고 하더라도 음성 신호의 증폭에 의해 TDMA 잡음의 영향이 미약해지게 할 수 있다.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증폭 이득 테이블을 구축하는 일예로서 RSSI가 -85dBm일 때 PGA 이득을 임의의 값 3dB으로 설정한다고 할 경우(도 2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수치적으로 일치하는 예는 아님) 그 3dB를 정수 i로 지정한 상태에서 RSSI가 -90dBm이면 i - 1(dB), RSSI가 -95dBm이면 i - 2(dB), RSSI가 -100dBm이면 i - 3(dB), RSSI가 -105dBm이면 i - 4(dB)를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RSSI가 -85dBm 에서 -105dBm 사이의 값을 가질 때 볼륨 제어 이득은 -6dB 스케일(scale)을 가지고 0dB 에서 -24dB의 범위내에서 가변되는 값을 가지게 구현할 수 있다. 즉, RSSI의 세기에 따라 RSSI가 강한 환경에서 약한 환경으로 올수록 0dB, -6dB, -12dB, -18dB, -24dB의 순서로 볼륨 제어 이득이 설정되게 할 수 있다.
어떠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볼륨 제어 이득이 0dB 에서 -24dB의 범위내에서 동작하지 않고 -6dB에서 -24dB 사이의 값을 가지거나, -0dB에서 -18dB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상황에 맞게 -6dB에서 -24dB를 가지는 경우에는 -6dB, -12dB, -18dB, -24dB 중의 어느 하나의 값을 갖도록 설정하고, -0dB에서 -18dB를 가지는 경우에는 -0dB, -6dB, -12dB, -18dB 중의 어느 하나 의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RF부(130)에 수신된 수신 신호의 감도 세기를 측정하여 그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증폭 이득 테이블에서 선정된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을 음성 처리부(140)에 출력하여 음성 처리부(140)에서의 음성 신호 증폭을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처리부(121)와, RSSI 측정부(122)와, 증폭 이득 제어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통신 처리부(121)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자원을 활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공지의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동작함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RSSI 측정부(122)는 RF부(130)를 통해 수신된 기지국의 무선신호의 수신 신호 감도 세기를 측정한다.
증폭 이득 제어부(123)는 RSSI 측정부(122)를 통해 측정된 기지국의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라 해당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상응하는 PGA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을 메모리(110)에서 찾아 음성 처리부(140)에 인가한다.
증폭 이득 제어부(123)에 의해 인가된 PGA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은 음성 처리부(140)에서 음성 처리를 수행할 때 사용된다.
RF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된다. RF부(130)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채널로 수신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대역 하강 변환하고 데이터의 종류를 구별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 처리부(140)로 출력한다.
RF부(130)에서 제어부(120)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신호 및 시그널링 신호들이 된다. 그리고 음성 처리부(140)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음성 호가 설정된 경우에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된다.
또한 RF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음성 처리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대역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40)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음성 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MIC)(160)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140)는 RF부(13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K)(150)로 출력하고, 스피커(SPK)(150)는 이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40)는 제어부(120)의 증폭 이득 제어부(123)으로부터 인가되는 PGA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을 인가받아 그 인가된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에 따라 PGA 증폭 및 볼륨 제어를 수행한다.
증폭 이득 제어부(123)로부터 인가되는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은 RSSI에 따라 서로 다른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이 인가됨에 따라 음성 처리부(140) 는 하나의 고정된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을 가지고 음성 신호에 대한 증폭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RSSI에 따라 가변적인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을 가지고 음성 신호에 대한 증폭을 수햄함으로써 TDMA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음성 처리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키입력부(170)는 일반적으로 키 매트릭스 구조로 구성이 된다. 키입력부(17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키 데이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표시부(180)는 단말기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변화를 표시한다. 또한 수신 단문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이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등과 같은 표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190)은 주로 유럽에서 사용이 되고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SIM)(190)에는 국제 이동 통신 가입자 번호(IMSN :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Number)와 개인 식별 번호(PIN :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를 저장한다.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190)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안에 삽입할 수 있는 카드의 형태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신 신호 감도 세기(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별로 서로 다른 PGA 이득 및 볼 륨 제어 이득을 가지는 증폭 이득 테이블을 구축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1).
증폭 이득 테이블은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상응하는 최적의 PGA 이득 및 볼륨 이득을 시뮬레이션하여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110)에 하드 코딩되는 것이다.
증폭 이득 테이블이 메모리(110)에 구축된 상태에서 제어부(120)의 RSSI 측정부(122)는 RF부(13)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RSSI를 측정한다(S2).
RSSI 측정부(122)에 의해 RSSI가 측정되면 증폭 이득 제어부(123)는 측정된 RSSI에 해당하는 PGA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을 메모리(110)에 저장된 증폭 이득 테이블에서 검색한다(S3).
증폭 이득 제어부(123)는 증폭 이득 테이블에서 PGA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이 검색되면 그 검색된 PGA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을 음성 처리부(140)에 인가한다(S4).
음성 처리부(140)는 증폭 이득 제어부(123)로부터 인가된 PGA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을 사용하여 음성 신호에 대한 증폭을 수행함으로써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150)를 통해 재생한다(S5).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많은 구체적인 변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렇지만,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는 다른 많은 기타 실시예들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들어간다는 것을 관련 분야의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수신 신호 감도 세기(RSSI)별로 서로 다른 PGA 이득 및 볼륨 제어 이득을 가지는 증폭 테이블을 구비하여,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라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PGA 이득이나 볼륨 제어 이득과 같은 증폭 이득을 가변시킴으로써 TDMA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신 신호 감도 세기가 약한 곳에 위치하여 전파 수신 환경이 좋지 않아 음성 신호의 수신이 열악한 상태에서는 PGA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을 낮은 값으로 하여 TDMA 잡음도 적은 증폭 이득을 가지고 증폭되게 함으로써 TDMA 잡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신 신호 감도 세기가 강한 곳에 위치하여 전파 수신 환경이 좋아 음성 신호의 수신이 양호한 상태에서는 PGA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을 높은 값으로 하여 TDMA 잡음이 증폭된다고 하더라도 음성 신호의 증폭에 의해 TDMA 잡음의 영향이 미약해지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T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TDMA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설정된 수신 신호 감도 세기(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별로 서로 다른 증폭 이득을 가지는 증폭 이득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RF부와,
    인가된 증폭 이득에 따라 음성 신호에 대한 증폭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RF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감도 세기를 측정하는 RSSI 측정부와,
    상기 RSSI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상응하는 증폭 이득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에 인가하는 증폭 이득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증폭 이득 테이블은 일정한 비율로 가변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감도 세기와 일정한 비율로 가변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폭 이득값이 각각 대응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감도 세기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신 감도 세기가 측정되어 음성 신호의 수신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태가 될수록 TDMA 잡음도 상대적으로 낮은 증폭이득에 의해 증폭되도록 상기 각 수신 신호 감도 세기와 상기 각 증폭 이득이 매칭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폭 이득은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volume control gain)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삭제
  4. 삭제
  5. TDMA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TDMA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설정된 수신 신호 감도 세기(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별로 서로 다른 증폭 이득을 가지는 증폭 이득 테이블을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감도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상응하는 증폭 이득을 상기 증폭 이득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해당 증폭 이득을 이용하여 음성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증폭 이득 테이블은 일정한 비율로 가변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감도 세기와 일정한 비율로 가변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폭 이득값이 각각 대응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감도 세기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신 감도 세기가 측정되어 음성 신호의 수신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태가 될수록 TDMA 잡음도 상대적으로 낮은 증폭이득에 의해 증폭되도록 상기 각 수신 신호 감도 세기와 상기 각 증폭 이득이 매칭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처리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증폭 이득은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 이득과 볼륨 제어 이득(volume control gain)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처리 방법.
KR1020050097373A 2005-10-17 2005-10-17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4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373A KR100684028B1 (ko) 2005-10-17 2005-10-17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CNA2006101406963A CN1968473A (zh) 2005-10-17 2006-09-30 基于接收信号强度的语音处理方法及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373A KR100684028B1 (ko) 2005-10-17 2005-10-17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028B1 true KR100684028B1 (ko) 2007-02-20

Family

ID=3807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373A KR100684028B1 (ko) 2005-10-17 2005-10-17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4028B1 (ko)
CN (1) CN19684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570B1 (ko) * 2007-12-28 201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Gsm 단말기의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160139776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659735B2 (en) 2017-09-11 2020-05-19 Hanwha Techwin Co., Ltd.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urveillanc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069A (ko) * 2014-05-08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451A (ko) * 1995-06-21 1997-01-29 구자홍 셀룰라폰의 음량레벨 보상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59594A (ko) * 1997-12-31 1999-07-26 전주범 음량조절휴대폰
KR20000066018A (ko) * 1999-04-12 2000-11-15 김영환 출력레벨이 자동 조절되는 cdma 휴대전화기의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56449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팬택 출력이득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451A (ko) * 1995-06-21 1997-01-29 구자홍 셀룰라폰의 음량레벨 보상방법 및 그 장치
KR0142916B1 (ko) * 1995-06-21 1998-08-01 구자홍 셀룰라폰의 음량레벨 보상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59594A (ko) * 1997-12-31 1999-07-26 전주범 음량조절휴대폰
KR20000066018A (ko) * 1999-04-12 2000-11-15 김영환 출력레벨이 자동 조절되는 cdma 휴대전화기의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56449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팬택 출력이득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570B1 (ko) * 2007-12-28 201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Gsm 단말기의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160139776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72188B1 (ko) * 2015-05-28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659735B2 (en) 2017-09-11 2020-05-19 Hanwha Techwin Co., Ltd.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urveilla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8473A (zh)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4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393398B1 (ko) 셀방식무선전화에서현재시각을생성하는시스템및방법
KR100819882B1 (ko) 듀얼 모드 듀얼 밴드 단말기의 대기 통화 방사 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8244603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268237B1 (ko) 무선단말기의 통화성공 가능성 표시장치 및방법
KR100684028B1 (ko) 수신 신호 감도 세기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JPH11298343A (ja) 携帯通信装置
KR101450570B1 (ko) Gsm 단말기의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06952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이용하여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방법
CN101326850A (zh) 全球导航卫星系统接收机
KR10026317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호출음제어방법
KR20070080011A (ko)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어폰의 이어 마이크 폰구현 방법 및 회로
JP2005333182A (ja) フィルタ装置、携帯無線通信端末
KR19990037141A (ko) 알람 장치
JPH1093503A (ja) 送信出力節減装置
JPH06132881A (ja) デジタル移動電話装置
JP2005020217A (ja) 携帯無線端末
KR20060023235A (ko) 외부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430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서비스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6322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류소모량을 표시하기 방법
KR1006437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속도에 따른 볼륨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69276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량 조절 방법 및 장치
JP5292117B2 (ja) 無線通信装置
KR100270706B1 (ko) 무선호출기가 내장된 디지털 무선전화기의 이중대역 안테나접속장치
KR10026786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