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623A -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 - Google Patents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623A
KR20060071623A KR1020040110278A KR20040110278A KR20060071623A KR 20060071623 A KR20060071623 A KR 20060071623A KR 1020040110278 A KR1020040110278 A KR 1020040110278A KR 20040110278 A KR20040110278 A KR 20040110278A KR 20060071623 A KR20060071623 A KR 20060071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 treatment
treatment furnace
temperature
indi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891B1 (ko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40110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8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71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1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a controlled atmosphere or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34Methods of heating
    • C21D1/52Methods of heating with fl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27B9/045Furnaces with controlled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unnel Furna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가열온도 혹은 소재의 온도가 낮은 영역은 직접가열방식을 적용하고 후단부의 상대적으로 고온인 영역은 간접가열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간접가열방식에 의한 열처리로보다 더 양호한 열효율을 발휘하고 저온가열시 발생하는 온도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에 있어서, 가열소재의 이송로 초기에 배치되어, 가열소재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낮은 영역에서 산화성 분위기에서 직접 가열하기 위한 직접가열부; 가열소재의 이송로 후기에 배치되어, 가열소재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높은 영역에서 질소 분위기에서 간접 가열하기 위한 간접가열부; 및 상기 직접가열부 및 상기 간접가열부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상기 직접가열부에서 발생된 폐가스가 상기 간접가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열처리로 등에 이용됨.
열처리로, 직접가열, 간접가열, 폐가스, 재활용

Description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Heat Treatment Furnace with Combined Firing}
도 1a는 종래의 열처리로의 구성도,
도 1b는 상기 도 1a의 단면도,
도 2a는 종래의 열처리로의 가열장치의 구성도,
도 2b는 상기 도 2a의 단면도,
도 2c는 상기 도 2a의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종래의 열처리로에 의한 소재의 일반적인 승온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4b는 상기 도 4a의 역류방지부의 일실시예 내부 단면도,
도 5는 실제적인 열처리로의 조업시 예상되는 소재의 승온곡선을 열처리 방법으로 구분하여 노말라이징(normalizing)의 경우를 나타낸 일실시예 그래프,
도 6은 실제적인 열처리로의 조업시 예상되는 소재의 승온곡선을 열처리 방법으로 구분하여 템퍼링(tempering)의 경우를 나타낸 일실시예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가열소재 410 : 간접가열부
420 : 직접가열부 430 : 역류방지부
431 : 역류방지문 432 : 질소정화노즐
본 발명은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간접가열방식의 열처리로에서 발생되는 열효율 저하 문제와 저온가열시 발생하는 온도제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처리로(heat treatment furnace)는 코일(coil), 강판(plate) 및 선재(wire)등의 반제품 혹은 완제품 소재에 대하여 원하는 야금학적 특징(기계적, 물리적인 물성치)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a는 종래의 열처리로의 구성도이며, 도 1b는 상기 도 1a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a는 종래의 열처리로의 가열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b는 상기 도 2a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상기 도 2a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열처리로는 최종 제품(코일, 강판 및 선재 등)에 대한 향상된 기계적 성질(강도, 인성, 충격치 및 가공성등)을 부여하는 것으 로, 가열대상 소재가 통상 완제품 혹은 반제품이므로 제품 표면의 흠 혹은 스케일(scale)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산화성 분위기의 가열분위기를 형성한 상태에서 가열을 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재의 이동은 롤러 테이블(roller table) 또는 대차를 이용하고, 가열방식은 복사가열관(radiant tube)의 내부에 연소장치인 버너(burner)를 설치하며, 버너 연소에 의해 복사가열관을 가열하고, 가열된 복사관을 통하여 열처리로의 내부온도를 가열하는 간접가열방식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연소에 의한 발생된 폐가스들은 복사관 내부를 통하여 각각의 복사가열관(radiant tube)에서 빠져나가고, 각각의 복사가열관을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스택(stack)으로 방출되게 된다.
한편, 비산화성 분위기의 형성은 통상 질소 혹은 알곤 등의 가스를 가열로 내부에 주입하는 방식을 채용하는데, 가열로는 이들 가스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 충분한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소재의 반입과 반출시 사용하는 문(door)을 2중 구조의 형태를 채택한다.
이러한 간접가열방식은, 비교적 간단한 형태의 구조로서 사용상에 큰 문제는 없으나,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비적인 구성상 제약으로 인하여 온도제어의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열효율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직접화염을 통하여 가열되고, 발생된 폐가스들의 충분한 활용이 가능한 직접가열방식의 가열로와 달리, 복사가열관을 사용하는 간업가열방식은, 비록 폐가스들의 열회수를 각각의 복사가열관에 설치된 열교 환 장치를 통하여 회수(이러한 방식은 최근의 고효율 간접가열방식에서 채용하는 기술임)하거나, 스택으로 방출되기 직전의 열교환장치를 통하여 회수하기는 하지만, 폐가스들의 방출을 위한 배관 라인의 구성과 해당 라인을 통한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보열기구들의 구성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이와 같이, 최근 들어서 간접가열방식의 열효율측면의 상대적인 열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고는 있으나, 복사 열전달기구의 측면과 고온의 폐가스를노내부에서 활용하는 측면에서 간접가열방식은 직접가열방식에 비해 약 1.3 ~ 1.7 배 정도의 열효율 열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설비적인 구성상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간접가열방식은 가열이 단지 복사가열관만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해당 열처리로에 설치되는 복사가열관이 열처리로 길이방향으로 촘촘하게 설치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복사열 전달이 열처리로의 분위기온도를 가열하여 대류에 의한 가열소재의 가열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통상적인 가열온도가 약 900℃에 달하므로 대부분의 전열기구가 복사열 전달이 주류가 되어서 소재의 균일한 가열을 위해서는 해당 가열소재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많은 수의 복사전열관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버너와 복사가열관의 설치가 요구됨에 따른 설비비의 증가가 필수적으로 동반된다.
그러나, 현실적인 의미에서 열처리로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인 설비구성이 요구되는 관계로 열처리로에서 구현하는 가열패턴을 근거로 설비를 구성하여서 가열을 위한 복사가열관과 버너의 용량과 개수를 설정하게 된다.
다음의 표 1은 종래의 열처리로에 설치된 각 가열존(zone)별 버너의 개수와 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4060582559-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처리로에 설치된 버너의 용량과 개수는 가열소재의 가열 초기부분에 많은 수를 할애하고 있으며, 이는 가열초기의 가열소재의 온도를 급격하게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열량의 투입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열처리로에서 설비적인 문제로 야기되는 문제는 온도제어의 정도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도 3은 종래의 열처리로에 의한 소재의 일반적인 승온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열처리로에서 적용하는 열처리 방법은, 통상 850~900℃ 의 분위기 온도로 가열하는 노말라이징(normalizing), 어닐링(annealing)의 경우에는 설치된 버너의 용량대비 약 60~70% 정도의 가동율을 나타내어 큰 문제가 없으나, 가열온도가 250~500℃ 정도를 나타내는 템퍼링(tempering)의 경우에는 버너 용량대비 약 15~20% 정도의 가동율을 나타내어 버너 화염을 제어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비록, 최신의 버너들이 용량대비 가동율이 저하되어도 적절한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기는 하지만, 가열온도가 500℃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염의 불안전성과 사용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서 버너 노즐(burner nozzle) 부위가 연료의 불순물에 의한 막힘 현상의 발생과 이로 인한 복사가열관의 폭팔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열처리로내의 내부온도분포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처리로내의 버너를 부분적으로 소화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기는 하지만, 가열온도 저하에 따른 버너의 가동율 저하로 온도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열온도 혹은 소재의 온도가 낮은 영역은 직접가열방식을 적용하고 후단부의 상대적으로 고온인 영역은 간접가열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간접가열방식에 의한 열처리로보다 더 양호한 열효율을 발휘하고 저온가열시 발생하는 온도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에 있어서, 가열소재의 이송로 초기에 배치되어, 가열소재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낮은 영역에서 산화성 분위기에서 직접 가열하기 위한 직접가열부; 가열소재의 이송로 후기에 배치되어, 가열소재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높은 영역에서 질소 분위기에서 간접 가열하기 위한 간접가열부; 및 상기 직접가열부 및 상기 간접가열부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상기 직접가열부에서 발생된 폐가스가 상기 간접가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를 포함하는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열소재의 온도가 높은 영역은 종래와 같이 간접가열방식을 채용하고, 비교적 가열소재의 온도가 낮은 영역에서는 직접가열방식을 채용하여, 비교적 많은 버너의 개수와 큰 용량을 요구하는 영역을 가열(전열)효율이 높은 방식으로 대체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가열온도가 낮은 템퍼링 조업의 경우는 폐가스에 의한 가열을 함으로써 온도제어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처리로의 전부분을 직접가열방식을 채용하지 않는 이유는,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열처리로에서 처리되는 소재들은 완제품 혹은 반제품의 상 태이므로, 제품 표면의 스케일이나 흠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가열소재의 가열온도를 기준으로 직접가열방식과 간접가열방식을 분할하여 적용하도록 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강철(steel)의 경우는 산화성 분위기에서 가열이 되면, 소재의 Fe 성분과 연소후 발생된 폐가스 중의 O 및 C 성분과 반응하여 고온 스케일이 생성되는데, 통상 소재의 온도가 600℃ 이상에 달하게 되면 고온 스케일이 생성되기 시작할 가능성이 있는 온도가 된다. 따라서 가열소재의 온도가 상온에서 500℃ 정도에 이르기까지는 직접가열방식을 채용하고, 그 이후부터는 질소분위기하의 간접가열을 적용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며, 도 4b는 상기 도 4a의 역류방지부의 일실시예 내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처리로는, 간접가열부(410), 직접가열부(420), 역류방지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역류방지부(430)는 역류방지문(door)(431) 및 질소정화노즐(purging nozzle)(4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열소재(400)(예를 들어, 강판 등)가 열처리로 내부로 진행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직접가열부(420)를 가열소재(400)의 초기 가열부에 배치하고, 상기 간접가열부(410)를 가열소재(400)의 후기 가열부에 배치하였으며, 상기 직접가열부(420)와 상기 간접가열부(410)의 연결부위에 상기 직접가열부(420)에서 발생된 폐가스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가스의 역류방지부(430)를 배치하였다.
상기 역류방지부(430)는 상기 간접가열부(410)로 가열소재(400)가 이송될 때 상기 직접가열부(420)에서 사용된 폐가스가 역류하여 상기 간접가열부(410)의 열처리로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간접가열방식에 의한 제품 표면의 품질을 확보하기 한 것이다.
상기 역류방지부(430)는 상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와 하부에 벽형태의 역류방지문(431)을 배치하고, 그 내부에 가열소재(400)를 질소로 와이핑(wiping)하는 상기 질소정화노즐(432)을 열처리로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치함으로써, 직접가열방식에서 발생한 폐가스의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표 1에는 언급한 바와 같이, 열처리로 초기의 소재 가열을 위한 열량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기 직접가열부(420)에는 다른 가열존(zone)과는 달리 대용량의 버너를 설치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실제적인 열처리로의 조업시 예상되는 소재의 승온곡선을 열처리 방법으로 구분하여 노말라이징(normalizing)과 템퍼링(tempering)의 경우를 나타낸 일실시예 그래프이다.
실시하는 열처리 방법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가열소재의 가열온도 500℃ 까지는 전체적인 가열시간 대비 약 25~27% 정도의 가열시간 혹은 가열로의 길이를 점유하고 있으므로, 이를 표 1에 경우에 근거하여 나타내 보면 가열존 4까지의 적용이 가능하다.
직접가열방식에 의한 가열로의 구성은 통상적인 압연용 가열로에 의한 경우와 유사한 구성을 갖으나, 주의하여야 할 점은 가열소재를 이송하는 장치가 롤러로(roller hearth)이고, 통상적인 롤러로(roller hearth)에는 별도의 냉각장치가 구 비되지 않으므로 직접화염을 맞음으로 인한 손상이 없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버너의 화염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열온도가 극저온으로 약 250℃에 달하는 경우는 간접가열방식 열처리로에서 발생된 폐가스의 자체적인 견인력(draft force)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위한 별도 희석팬(dilution fan)이 구비될 수 있다.
가열방식을 병행한, 즉 직접가열방식과 간접가열방식을 서로 부분적으로 가열온도별로 구분하여 채용하는 열처리로에서, 직접가열방식을 채용하는 열처리로의 길이와 직접가열방식에서 구비되는 구성상태는 가열종류와 가열온도 및 대상 가열소재에 따라서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성요소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직접가열방식과 간접가열방식을 병행하여 가열온도별로 구분, 구성한 열처리로를 이용하여 조업함으로써, 간접가열방식에 의한 열효율 저하와 열처리로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균일하게 설치되는 가열장치(복사가열관, 버너, 관련된 배관라인 및 열교환장치)에 대한 설비비 증가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저온가열(tempering)시 발생되는 온도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극저온 가열(약 200℃ 정도)시의 경우는 간접가열방식에서 사용된 폐가스를 재순환하여서 직접가열방식 열처리로에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온도제어가 손쉬우며, 열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에 있어서,
    가열소재의 이송로 초기에 배치되어, 가열소재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낮은 영역에서 산화성 분위기에서 직접 가열하기 위한 직접가열부;
    가열소재의 이송로 후기에 배치되어, 가열소재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높은 영역에서 질소 분위기에서 간접 가열하기 위한 간접가열부; 및
    상기 직접가열부 및 상기 간접가열부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상기 직접가열부에서 발생된 폐가스가 상기 간접가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
    를 포함하는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직접가열부 및 상기 간접가열부와 연결되는 부위에 배치되는 벽형태의 역류방지문; 및
    상기 역류방지부 내부에 열처리로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치되어, 가열소재를 질소로 와이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소정화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가열부는,
    상기 간접가열부에서 발생된 폐가스를 견인하기 위한 희석팬(dilution fan)
    을 더 포함하여, 가열온도가 실질적으로 낮은 경우 상기 간접가열부에서 사용된 폐가스를 재순환하여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가열부는,
    가열소재에 대한 버너의 화염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단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
KR1020040110278A 2004-12-22 2004-12-22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 KR101148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278A KR101148891B1 (ko) 2004-12-22 2004-12-22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278A KR101148891B1 (ko) 2004-12-22 2004-12-22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623A true KR20060071623A (ko) 2006-06-27
KR101148891B1 KR101148891B1 (ko) 2012-05-29

Family

ID=3716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278A KR101148891B1 (ko) 2004-12-22 2004-12-22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8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2611A (zh) * 2015-08-21 2015-12-02 湖州南浔中盛金属热处理有限公司 一种金属热处理炉
KR20200079032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경량의 차량 부품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7226A (ja) * 1993-01-08 1994-07-26 Sumitomo Metal Ind Ltd 直火焚連続焼鈍炉
JPH08199246A (ja) * 1995-01-20 1996-08-06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焼鈍炉
KR100474816B1 (ko) * 2002-08-29 2005-03-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연속용융아연도금라인의 가열로 외기 차단용 노즐장치 및그것을 이용한 외기 차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2611A (zh) * 2015-08-21 2015-12-02 湖州南浔中盛金属热处理有限公司 一种金属热处理炉
KR20200079032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경량의 차량 부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891B1 (ko) 201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67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a strip of metallic material in a continuous annealing furnace
KR101032825B1 (ko) 박판유리의 곡강화 열처리 장치
JP6423102B2 (ja) 工業炉及びその熱利用方法
US39203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treating articles in a recirculating type furnace
JP5585181B2 (ja) 直火式ローラーハース型連続熱処理炉及びラジアントチューブ式ローラーハース型連続熱処理炉における厚鋼板の熱処理方法
Irfan et al. Thermal stresses in radiant tubes: A comparison between recuperative and regenerative systems
KR20130110060A (ko) 금속 슬랩을 가열하기 위한 방법
KR101148891B1 (ko) 혼합가열방식을 이용한 열처리로
US40690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a workpiece
CN108118131A (zh) 一种高温快速清除热处理炉炉底辊结瘤的方法
CN103025898B (zh) 具有m形带材处理隧道的退火设备
JP2009155691A (ja) 直火型ローラーハース式連続熱処理炉
JPH0196333A (ja) ガス循環装置を備えた連続焼鈍炉
CN2729616Y (zh) 密封箱式多用炉
KR100885884B1 (ko) 소둔로의 가스혼입 방지장치
Jansto Reheat Furnace Operational Parameters Affecting Hot Roll Quality of Microalloyed Long Products
CN215295794U (zh) 便于维修维护的隧道窑
CN101435018B (zh) 一种热镀锌退火工艺和高温退火炉
JPH06322434A (ja) 加熱炉の操業方法及び加熱炉設備
JPH09229351A (ja) 加熱炉の燃焼方法
JP2733885B2 (ja) 鋼帯の連続熱処理方法
Ljungars et al. Boosting heating capacity using new technology
KR100589982B1 (ko) 연속식 열처리장치
Gonzalez et al. Industrial operating experience of the GTE ceramic recuperator
CA11684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hot air bl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