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411A -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411A
KR20060071411A KR1020067004507A KR20067004507A KR20060071411A KR 20060071411 A KR20060071411 A KR 20060071411A KR 1020067004507 A KR1020067004507 A KR 1020067004507A KR 20067004507 A KR20067004507 A KR 20067004507A KR 20060071411 A KR20060071411 A KR 2006007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adherend
tape
releaseab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이찌 나까다
에이지 미즈노
히데끼 류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6007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characterized by perforations in the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tape or sheet losing adhesive strength when being stretched, e.g. stretch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연신성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한면에 고정된 감압성 접착층을 포함하며, 한쪽 단부는 테이프의 세로 방향과 평행하게 나뉘어져 있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연신성 기재층, 감압성 접착층

Description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RELEASABLE ADHESIVE TAPE}
본 발명은 결합면을 따라 잡아당김으로써 피착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개량체에 관한 것이다.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는 크게 두 가지의 공지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한 유형의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는 특수 접착제를 사용하고, 다른 유형은 특수 기재층 (즉, 접착제 지지용의 특수 기재 재료)을 사용한다.
후자 유형의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는 단순히 결합면을 따라 전단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피착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는 연신성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로도 불리운다. 이러한 유형의 접착 테이프는 신장성 기재층, 및 이 기재층 상에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접착 강도를 나타내는 감압성 (pressure sensitive) 접착층을 포함한다.
도 1은 피착체에 접착된 연신성 유형의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를 신장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종래기술에서의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측단면도이다. 도 1 (a)는 제거 조작의 초기 단계를 나타내고, 도 1 (b)는 제거 조작의 마지막 단계를 나타낸다.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1)은 기재층 (2) 상에 제공된 감압 성 접착층 (3)을 포함하고, 접착층 (3)을 통해 피착체 (5)(예를 들어, 벽 표면)에 접착된다. 도 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1)을 신장시키기 위해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1)의 당김용 탭 (pulling tab)(4)를 잡아당기는 경우, 적당한 전단력 (F1)이 피착체 (5)에 가해져, 접착 테이프 (1)의 접착층 (3)과 피착체 (5) 간의 경계면 분리가 야기된다. 도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 조작의 마지막 단계에서 피착체 (5) 상의 접착층 표면은 면적이 매우 작아져, 접착 테이프를 피착체 (5)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피착체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장력 (F2)가 발생한다. 따라서, 잡아당김 조작의 마지막 단계에서 큰 장력이 피착체에 가해질 때, 피착체는 결합 표면에서 박리 제거되어 표면을 손상시키는, 소위 “표면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피착체에 접착될 때의 접착 테이프의 접착 강도를 떨어뜨리지 않고도, 표면 박리에 기인하는 피착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요구사항을 완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접착 테이프는 존재하지 않는다. 피착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테이프의 단부로 갈수록 서서히 너비가 감소하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가 특허 참고 문헌 1 및 2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는 피착체 상에 남겨지는 잔류 접착층을 야기할 수 있는 제거 조작의 마지막 단계에서의 기재층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가 기재층의 손상을 회피하여 피착체 상에 남겨지는 잔류 접착층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테이프의 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기 때문에, 접착 테이프로서 충분한 접착 면적을 보장하기는 어 렵다. 따라서, 접착 테이프의 접착능이 부득이하게 감소된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시 충분한 접착능을 나타내고, 피착체가 박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장성 기재층 및 이 기재층의 적어도 한면 상에 제공되는 감압성 접착층을 포함하고, 단부가 세로 방향으로 나뉘어진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기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에서, 단부를 세로 방향으로 나눔으로써, 제거 조작의 마지막 단계 동안에 피착체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해지는 장력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착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단지 단부만을 세로 방향으로 나누기 때문에, 충분한 접착 표면적이 보장될 수 있어, 접착 테이프의 높은 접착능이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는 사용시에는 적절한 접착능을 나타내고, 사용후에는 피착체의 손상이 야기되는 것 없이 피착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피착체에 접착된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를 신장시켜 제거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개략 대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가 신장되는 경우의 박리의 마지막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몇몇 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a' 내지 4e'은 도 4a 내지 4e의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측면도이며;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몇몇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제 본 발명을 이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이들 실시양태에 제한되지 않음을 당업자들은 쉽게 인지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팅된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이후 간단히 “접착 테이프”로 지칭함)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a)는 상부 평면도이고, 도 2 (b)는 테이프의 세로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1)은 기재층 (2), 및 기재층의 한면 상에 제공되고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접착 강도를 나타내는 감압성 접착층 (3)을 포함한다.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1)은 당김용 탭 (4)를 잡아당김으로써 신장되어 피착체 (5)로부터 제거될 때, 피착체 (5)에 대한 접착 강도가 손실되는, 신장성 유형의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이다. 본 발명에서, 당김용 탭 (4)의 반대편 단부에는 테이프의 세로 방향으로 절단된 영역 (6)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1)은 잡아당길 때의 테이프의 신장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기재층 (2)는 일반적으로 연신성 재료로 형성된다. 기재층 (2)는 바람직하게는 가소적 연신성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재층이 고무와 같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이는 박리 완결시에 본래 길이로 탄성적으로 되돌아와 손 등의 인간 신체를 때릴 수 있고, 따라서 어느 정도의 위험성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가소적 연신성인 기재층은 고도로 연신성인 중합체 시트 재료를 포함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높은 인장 강도, (2)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세로 방향에서 50 내지 120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7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700%의 파단시 신도, (3) 신장 후의 탄성 회복율이 약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3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미만인 사실상 비탄성율, 및 (4) 하한이 약 2500 psi (17.2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000 psi (20.7 MPa) 이상, 상한이 약 72500 psi (500 MPa)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50000 psi (345 MPa)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30000 psi (34.5 내지 207 MPa)의 범위인 영의 탄성율 (Young's modulus)을 갖는다.
영의 탄성율이 너무 낮은 중합체 시트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기재층은 가소성을 잃고, 고무와 같이 될 것이다. 또한, 기재층은 충분히 높은 인장 강도를 가져야 하고,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가 결합된 표면으로부터 제거되기 전에 파괴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재층의 인장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4000 psi (27.6 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300 psi (36.5 MPa)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300 psi (43.4 MPa)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용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전형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부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가소제를 갖거나 갖지 않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등의 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및 공중합체 등의 비닐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등의 모든 가소재, 및 가소성 (연성) 재료 및 탄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기재층은 단층 또는 다층 필름, 부직 필름, 다공성 필름, 발포 필름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은 수개의 분리된 층, 탄성 재료의 적층체 및 가소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양호한 100% 이상의 신도 및 50% 미만의 낮은 탄성 회복율을 나타내내기만 한다면, 교대 적층된 탄성 재료 및 가소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가 필요한 경우 상기 층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재층은 충전제를 함유하는 필름, 예컨대 탄산칼슘으로 충전된 폴리올레핀과 같은 충전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형성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선형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형성된다.
기재층은 임의의 공지된 필름 형성법, 예를 들어 압출법, 동시 압출법, 용매 사출 성형법, 부직 섬유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기재층은 실시될 가공 및 취급성을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 내지 250 ㎛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기재가 10 ㎛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강력 접착제 (aggressive adhesive)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기재가 250 ㎛ 초과의 두께를 갖는 경우, 피착체로부터 제거하는 데 불필요하게 큰 박리력이 요구되는 경향이 있어, 접착 테이프의 제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람직한 두께 범위에서, 얇은 기재층이 두꺼운 기재층보다 더 쉽게 제거되는 경향이 있다.
도 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압성 접착층 (3)(이후 간단히 “접착층”으로 지칭함)이 기재층 (2) 상에 배치된다.
접착층 (3)은 본 발명의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특정 적용에 좌우되는 특정 접착 특성인 임의의 접착 강도를 갖는 감압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접착 특성은 ASTM D 903-83 및 박리각이 180 °이고 박리 속도가 12.7 cm/분인 PSTC-1 및 PSTC-3에 따라 측정하여 약 13 N/dm 내지 약 200 N/dm, 바람직하게는 약 25 N/dm 내지 약 100 N/dm의 범위이다. 접착제가 보다 높은 수준의 박리 접착 강도를 갖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기재층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감압성 접착제에는 천연 고무, 올레핀, 실리콘,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우레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점착성증가 첨가제를 함유하는 고무 접착제, 및 다른 엘라스토머, 및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와 같은 점착성증가 첨가제를 갖거나 갖지 않는 아크릴 접착제가 포함된다. 이러한 감압성 접착제는 여러 방법, 예를 들어 조사법, 용액법, 현탁법 또는 유화법을 사용하여 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교형 접착제, 특히 높은 전단 강도를 제공하는 가교형 감압성 접착제가 사용된다. 가장 바람직한 접착제는 화학적 가교제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고, 에너지 조사로 가교되는 접착제이다.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접착제는 낮은 이탈력 (debonding force)을 제공하고, 당겨지고 신장될 때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는 약 25 ㎛ 내지 약 1000 ㎛, 바람직하게는 약 50 ㎛ 내지 약 400 ㎛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한 두께의 범위 내에서, 접착층이 두꺼울수록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가 낮은 각도에서 잡아당길때 더 쉽게 제거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제거 절차를 이용하여 측정한, 예를 들어 90 ° 이상의 박리각에서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이탈력 (예를 들어, 180 °에서의 이탈력)은 접착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제거에서의 상기 기재한 경향은 일반적인 접착 테이프 제거의 경우와 명백하게 대조된다.
어떠한 이론에 의해 구속되는 것 없이, 접착층의 두께가 작아질수록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이탈력이 커지는 경향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가 유리하게 결합 표면에 대해 35 ° 미만의 낮은 각에서 잡아당김으로써 제거되는 경우, 접착층은 단일 코팅된 접착 테이프의 경우에는 기재층과 피착체에 의해, 또는 이중 코팅된 접착 테이프의 경우에는 기재층과 두 피착체에 의해 제한되어 불가피하게 유의한 신장에 노출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접착층 (또는 각각의 접착층)은 강제적으로 수축되어, 횡단면적 (즉, 결합 표면에 수직인 부분의 면적)이 감소한다. 얇은 접착층, 즉 얇은 접착층 두께와 너비를 사용한 제품의 횡단면적은 이미 두꺼운 접착층의 제품보다 작다. 따라서, 접착 테이프가 소정의 힘에 의해 잡아당겨질 때, 상기 언급한 부분에 가해지는 응력 (인장 응력), 즉 단위 면적 당 힘은 두꺼운 접착층보다 얇은 접착층에서 더 높다. 따라서, 얇은 접착층의 경우, 두꺼운 접착층보다 높은 수준에서 경화가 진행되고, 내변형성이 더 커진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접착층의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박리에 요구되는 힘이 커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1)에는 당김용 탭 (4)의 반대편 단부에 세로 방향에 따라, 즉 접착 테이프의 연신 방향을 따라 나뉘어진 영역 (6)(예를 들어, 슬릿)이 제공된다. 나뉘어진 영역의 수는 둘 이상일 수 있고, 따라서 하나 이상의 슬릿이 접착 테이프의 단부에 존재한다. 슬릿은 접착 테이프를 너비 방향으로 동등하게 나뉘도록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뉘어진 영역 (6)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가, 표면 상에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발포체, 종이, 섬유 등과 같은 비교적 낮은 강도의 수지로 제조된 벽지를 갖는 벽체에 도포된 후 피착체로부터 제거될 때, 표면 박리 등으로 인한 벽 표면 손상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되는 것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재한 피착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가능한 메카니즘은 이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는 유리하게는 결합 표면에 대해 35 ° 미만의 낮은 각도에서 잡아당김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를 나타내는 하기 도 1 (a)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당김용 탭 (4)가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 접착층 (3)과 피착체 (5) 사이의 경계면에서 전단 응력이 발생한다. 상기 전단 응력은 박리가 개시되는 접착층 (3)의 최저부에서 최대가 된다. 도 1 (a)에서, 전단 응력은 박리 위치 (박리 라인: P)로 집중된다. 접착층이 박리 라인 (P)에서 박리 제거되는 시점에서, 전단 응력이 해제되고, 박리 라인 (P)는 제거를 위해 위로 전개된다. 도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의 마지막 단계에서, 박리 라인 (P)는 당김용 탭 (4)의 반대편 단부로 이동한다. 접착 테이프 (1)을 결합 표면에 대해 낮은 각에서 잡아당기더라도, 피착체 (5)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힘의 성분이 존재한다. 도 1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결합 표면의 면적은 너무 작아지고, 이에 따라 피착체 (5)의 단위 표면적 당 힘 (즉, 인장 응력)이 매우 높아져, 피착체 (5)의 표면 박리로 인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 (1)의 단부에 나뉘어진 영역 (6)을 제공함으로써, 제거의 마지막 단계에서 응력이 수개의 영역 (해칭된 영역 (hatched region))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렇게 수개의 영역에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피착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나뉘어진 영역 (6)의 가능한 형태에는 접착 테이프 (1)의 단부에 나이프와 같은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접착 테이프 (1)의 세로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슬릿으로 구성된 형태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 (a) 내지 (e) 및 (a') 내지 (e')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능한 형태의 나뉘어진 영역을 나타내었다. 도 4 (a) 내지 (e)는 각각의 경우의 테이프의 하부의 도면이다. 도 4 (a') 내지 (e')은 각각 도 4 (a) 내지 (e)의 경우에서 테이프의 단부의 측면으로부터 관찰되는 나뉘어진 영역의 측면도이다. 도 4 (a)는 영역을 나누기 위해 슬릿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4 (b)는 영역을 나누기 위해 노치가 사용되는 경우이고, 도 4 (c)는 영역을 나누기 위해 슬롯이 제공된 경우이고, 도 4 (d)는 영역을 나누기 위해 홈이 제공된 경우이고, 도 (e)는 영역을 나누기 위해 일련의 구멍을 제공한 경우이다.
또한, 도 5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몇몇 양태에 따른 접착 테이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는 테이프의 세로 방향으로만 나뉘어질 필요가 있다. 테이프는 도 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의 세로 방향에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나뉘어질 수 있거나, 또는 도 5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의 세로 방향에 평행하지 않게 나뉘어질 수 있다.
나뉘어진 영역의 길이는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전형적으로 1.5 내지 20.0 m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mm 이다.
도 2 및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세로 방향에서 사실상 동일한 너비를 가지며, 따라서 단부의 너비가 점차 줄어드는 동일한 크기의 기존 형태 테이프에 비해 보다 넓은 결합 표면적을 갖는다. 본원에서, 슬릿은 상기 기재된 결합 표면적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데, 왜냐하면 슬릿은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단부만을 두께 방향으로 나누기 때문이다.
이형가능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당김용 탭 (4)는 접착 테이프 (1)에서 접착층이 없는 영역을 제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별법으로, 접착층이 테이프의 전면에 제공되는 접착 테이프 (1)의 경우에는, 비-접착성 탭은 접착층 (3)의 단부에 제공되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비-접착성 탭은 중합체 재료 또는 종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재층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이들의 특정 용도에 따라 기재층의 한 면 뿐만이 아니라 이들의 양면에 제공되는 접착층으로 형성되어, 이중 코팅된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접착층은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릴리스 라이너 (release liner, 나타내지 않음)로 피복할 수 있다.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상기 기재된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임의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제조에서, 접착제를 기재층에 직접 코팅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별법으로, 접착층을 별도로 형성하고, 이후 기재층에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코팅 또는 적층 공정 이전에 1개 이상의 하기 방법, 즉 코로나 방전법 (corona discharge method), 플라즈마 방전법, 불꽃 처리법, 전자 빔 조사법, UV 조사법, 산 에칭법 및 화학적 프라이머 처리법을 사용하여 기재층을 예비 처리해서 기재층과 접착층 사이의 접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비 처리는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반응성 화학 접착 촉진제 또는 저분자량인 기타 반응성 종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수행할 수 있다. 중합체 필름이 기판으로 사용될 때, 코로나 방전을 사용한 예비처리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수득된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는 적합한 수단, 예컨대 나이프를 사용하여 한쪽 단부에서 절단되어 슬릿을 형성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에 대한 나뉘어진 영역을 형성한다.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사용할 때까지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접착층을 릴리스 라이너로 피복할 수 있다.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사용 방법>
본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부재, 예컨대 벽 테피스트리, 자동차의 사이드 몰딩, 파우치의 고정과 같은 고정 용도, 및 도로 표지판, 자동차 표지판, 교통 표지판 또는 반사 시트와 같은 표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상자 형태 용기를 서로 접착하고 이후 분리하는 접합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상자, 용기, 예컨대 음식 용기, 음료 용기의 밀봉, 기저귀의 밀봉, 외과용 멸균 천의 밀봉 등과 같은 밀봉 용도에 사용될 수도 있다. 가격표, 용기의 식별 라벨 등과 같은 제거 가능한 라벨에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반창고 등과 같은 의약 용도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통상적인 적용 절차에 따라 상기 기재된 다양한 용도에서 피착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동일한 크기의 기존 형태와는 달리, 이러한 이형가능한 감압 접착 테이프는 피착체의 적절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유사 크기의 기존 형태와 비교해서 보다 큰 결합 표면적을 가지며, 따라서 보다 단단하게 피착체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세로 방향으로 힘 (전단 응력)을 가했을 때 피착체에 대하여 쉽게 이동되지 않는다. 즉,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가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 또한 모두 감소한다.
이후,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결합 표면에 대하여 낮은 각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결합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잡아당겨 피착체로부터 제거한다. 이러한 형태의 전단 응력에 대한 초기 저항은 높다. 이러한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충분히 큰 외력을 가하면 상기 기재층이 변형되기 시작한다. 기재층이 전단 응력에 항복하면, 상기 접착층은 신장되고 배향되어, 단면적의 감소로 인해 신장 방향으로 경화된다. 이후, 이러한 경화 효과 때문에 응력이 경계면으로 이동하여 분리를 일으킨다.
접착 테이프 제거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응력이 피착체의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거의 마지막 단계에서의 응력은 여러 영역 (해칭된 영역)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응력이 피착체의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질 때 관찰되는 소위 표면 박리를 막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제거 과정 중에 피착체를 파손시키기 어려우므로, 이러한 테이프는 발포체 형태의 벽지와 같이 약한 재료의 표면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거의 최종 단계에 필요한 힘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줄어든다. 따라서, 제거시 충격이 감소한다. 게다가,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1 접착물 및 제2 접착물을 결합시킬 때, 예컨대 벽에 후크를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될 때, 제거시에 피착체의 갑작스럽게 날아가는 위험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이롭게는 35°미만의 낮은 각도에서 잡아당겨 크게 연신시켜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분리는 명백히 접착층과 피착체 사이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며, 피착체에 잔류 접착층이 남지 않는다.
반대로, 접착 테이프가 높은 각도, 즉 35°를 초과하는 각에서 잡아당기면, 기재층이 연신되지 않고, 접착층은 필라멘트로 변형되며 단단한 형태로 부러지는 것이 관찰된다. 이러한 경우, 잔류 접착층은 피착체 표면에 남게 될 수 있거나 피착체의 표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박리 메카니즘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특허 명세서 제 3063915호를 참조한다.
이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을 기재할 것이다.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당업자들은 쉽게 알 것이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스미또모 쓰리엠 기가꾸 (Sumitomo 3M Co.,)에서 시판되는 "코맨드 (COMMANDTM) 탭 (모델 제 CMR3호)"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의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동일한 간격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길이 3 mm의 슬릿 2개를 당김용 탭 반대쪽의 접착 테이프 단부에 형성하여 제작하였다.
상기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제거를 이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실온 (25℃)에서 피착체에 가압하에 접착시켜 시험 샘플을 얻었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제조된 매우 약한 벽지 (RH-8315, 루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Rumon Co. Ltd) 제조)를 피착체로서 사용하였다. 접착 테이프의 프레스-접합을 위해 10 kg 롤러를 사용하였으며,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한면에서만 앞뒤로 굴렸다.
이후, 시험 샘플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고,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당김용 탭을 피착체 표면에 대하여 약 5°외측으로 500 mm/분의 속도로 잡아당겼다. 피착체의 파손 (즉,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로 피착체 단편의 이동)을 일으키기 않고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피착체로부터 성공적으로 제거하였다.
또한, 상기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서의 유지력 시험을 가속화 조 건하에서 JIS Z 1524에 따라 수행하였다.
먼저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JIS G 4305에 따라 2 kg 롤러를 사용하여 가압 하에 스테인레스강 표준 판에 접합시키고, 특별한 후크를 시험 샘플로서 사용되는 스테인레스강 표준 판에 붙였다.
이후, 상기 시험 샘플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이후에, 40℃에서 일정한 정적 적재물 80 kg을 후크에 가하였다. 이후, 30시간 이후에 이형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 대한 스테인레스강 표준 판의 이동을 측정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 샘플은 계속 적재물을 보유하였다.
<비교예>
본 비교예에서는,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상기 기재된 "코맨드 탭"의 단부를 양쪽에서 절단하여 급격한 테이퍼 (테이퍼 각: 53°)를 제공하여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끝쪽으로 너비가 점차 줄어들어 결합 표면적이 15% 감소하고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기재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비교예의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 대하여, 상기 기재된 실시예와 동일한 제거 및 유지력 시험을 수행하였다. 박리 시험에서 피착체의 파손은 관찰되지 않았다. 유지력 시험에서는, 스테인레스강 표준 판이 이동하여 이형가능한 감압성 접착제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적재물과 함께 떨어졌다.

Claims (6)

  1. 연신성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한면에 코팅된 감압성 접착층
    을 포함하며, 테이프의 단부가 테이프의 세로 방향으로 나뉘어져 있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가 슬릿에 의해 나뉘어져 있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가 노치에 의해 나뉘어져 있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에 슬롯이 제공되어 상기 단부가 나뉘어져 있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에 홈이 제공되어 상기 단부가 나뉘어져 있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에 일련의 구멍이 제공되어 상기 단부가 나뉘어져 있는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KR1020067004507A 2003-09-05 2004-09-02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KR200600714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14221 2003-09-05
JP2003314221A JP2005082657A (ja) 2003-09-05 2003-09-05 再剥離性接着テ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411A true KR20060071411A (ko) 2006-06-26

Family

ID=3430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507A KR20060071411A (ko) 2003-09-05 2004-09-02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275602A1 (ko)
EP (1) EP1660603A1 (ko)
JP (1) JP2005082657A (ko)
KR (1) KR20060071411A (ko)
AU (1) AU2004272568A1 (ko)
CA (1) CA2537418A1 (ko)
WO (1) WO2005026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1108B2 (ja) * 2004-12-16 2012-06-27 株式会社ニトムズ 延伸剥離テープ
CN101563432B (zh) 2006-11-02 2014-12-03 艾利丹尼森公司 用于可洗膜的乳液粘合剂
JP5129994B2 (ja) * 2007-06-27 2013-01-30 株式会社ニトムズ 延伸剥離テープ
JP5255871B2 (ja) * 2008-03-17 2013-08-07 株式会社ニトムズ 剥離可能な粘着テープ
JP5238308B2 (ja) * 2008-03-24 2013-07-17 株式会社ニトムズ 剥離可能な粘着テープ
JP5238346B2 (ja) * 2008-05-15 2013-07-17 株式会社ニトムズ 剥離可能な粘着テープ
WO2010117771A1 (en) * 2009-03-30 2010-10-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movable adhesive label containing inherently shrinkable polymeric film
EP2415042B1 (en) 2009-03-30 2017-03-29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movable adhesive label containing polymeric film layer having water affinity
CN101880511B (zh) * 2009-05-08 2015-08-26 尼托母斯股份有限公司 可剥离的粘接带
JP5483713B2 (ja) * 2010-05-12 2014-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EP3173054B1 (en) * 2013-10-30 2018-04-25 KCI Licensing, Inc. Dressing with diffrentially sized perforations
JP6223922B2 (ja) * 2014-07-23 2017-11-01 日東電工株式会社 伸長性粘着シート
JP6633340B2 (ja) * 2015-10-14 2020-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ブ付き粘着製品
EP4085115A4 (en) * 2019-12-31 2024-0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E ADHESIVE ARTICLE WITH A SLIT PATTERN
WO2024079599A1 (en) * 2022-10-12 2024-04-18 Solventum Intellectual Properties Company Article comprising adhesive and method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7485A (en) * 1986-05-05 1987-03-03 Nelson Roy E Packaging tape
DE4428587C2 (de) * 1994-08-12 1996-06-13 Beiersdorf Ag Klebfolienstreifen
JPH0925460A (ja) * 1995-07-11 1997-01-28 Yamamoto Kogyosho:Kk 粘着テープ
DE19842865A1 (de) * 1998-09-19 2000-03-30 Beiersdorf Ag Klebfolienstreifen
DE19938693A1 (de) * 1999-08-14 2001-02-22 Beiersdorf Ag Klebfolienstreifen und seine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6280A1 (en) 2005-03-24
US20060275602A1 (en) 2006-12-07
AU2004272568A1 (en) 2005-03-24
EP1660603A1 (en) 2006-05-31
CA2537418A1 (en) 2005-03-24
JP2005082657A (ja)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815B1 (ko) 접착제 조성물, 접착 테이프 및 접착 구조체
EP0716672B1 (en) Removable foam adhesive tape
JP3878988B2 (ja) 調節された連続剥離を含む剥離可能接着テープ
US20070077418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rticle
TWI392716B (zh) 貼著構件及光學組件之貼著方法
KR20060071411A (ko)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JP2007169421A (ja) 再剥離性粘着テープ及び物品取り付けキット
KR20190037333A (ko) 접착식 장착 장치
TW201803957A (zh) 用於剝離離型安裝之膜背襯
CN101379156A (zh) 制品支承结构和制品附连套件
KR20040030442A (ko) 이방 특성을 갖는 자체-접착성 물질의 스탬핑 제품 제조용용도
JP2005509722A (ja) 打抜き加工接着剤製品の製造方法
TW201840427A (zh) 用於拉伸離型安裝之膜背襯
JP2005509723A (ja) 打抜き加工感圧性接着剤製品の製造方法
JPWO2020059791A1 (ja) 両面粘着テープ
KR102233172B1 (ko) 양면 점착 폼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JP5026666B2 (ja) 粘着剤組成物
JP2000053929A (ja) 粘着性シールテープ
JP2021167420A (ja) 粘着テープおよび接着体
JPWO2020195884A1 (ja) 接着体、接着体の組立て方法、および接着体の解体方法
KR20210135230A (ko) 적층 필름, 점착 테이프 및 접착체
JP2002225190A (ja) 感圧性接着シート用剥離シート材および該剥離シート材を有する感圧性接着シート
MXPA98001047A (en) Removable adhesive tape with sequential control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