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264A -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264A
KR20060070264A KR1020040108939A KR20040108939A KR20060070264A KR 20060070264 A KR20060070264 A KR 20060070264A KR 1020040108939 A KR1020040108939 A KR 1020040108939A KR 20040108939 A KR20040108939 A KR 20040108939A KR 20060070264 A KR20060070264 A KR 2006007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ush
lubricating oil
inner diameter
joi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5327B1 (ko
Inventor
정진현
김상범
전철진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32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9Devices to connect parts of a boom or an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절부 연결구조는, 핀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제 1부재와, 지지플레이트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핀구멍을 갖는 제 2부재와, 서로 정렬된 지지플레이트의 핀구멍과 제 2부재의 핀구멍에 끼워지며 양단이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핀과, 핀의 둘레와 제 2부재의 핀구멍 사이에 배치되는 부시를 구비하고, 핀은 윤활유 저장할 수 있도록 내경을 갖는 중공(中空)체이고, 내경에 저장된 윤활유를 핀과 부시의 사이 및, 부시와 제 2부재의 핀구멍 사이로 급지해주는 윤활유 급지수단을 더 구비하며, 윤활유 급지수단은, 내경과 연통되도록 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윤활유 급지구멍과, 윤활유 급지구멍과 연통되도록 부시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유로와, 연통유로로 유입된 윤활유를 핀과 부시의 사이 및, 상기 부시와 제 2부재의 사이로 급지하도록 부시의 내경과 외경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윤활유 급지 그루브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핀의 중공화시키고, 중공화된 핀의 내부에 윤활유를 충진한 후, 충진된 윤활유가 핀구멍과 핀과 부시의 사이에 급지되게 구성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추가적인 급지를 하지 않고도 핀과 핀구멍간의 마찰접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핀을 중공화시켜 무게를 줄여줌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고, 따라서 동적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ARRANGEMENT FOR CONNECTING JOINT PART IN CONSTRUCTION MACHINE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 1부재 10a: 지지플레이트
12: 핀구멍 20: 제 2부재
22: 핀구멍 30: 핀
30a: 코팅층 32: 내경
34: 외경 38: 캡
38a: 주입홀 38b: 벤트홀
40: 부시 40a: 내경
40b: 외경 42: 더스트시일
60: 스페이서 70: 윤활유 급지수단
72: 윤활유 급지구멍 74: 연통유로
76: 윤활유 급지 그루브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부재를 관절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 스키드 스티어로더 등과 같은 건설기계는 다수의 관절부, 예를 들면 붐과 아암과의 연결부, 아암과 버킷의 연결부 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절부는 일반적으로 관절운동이 요구되는 두 개의 부재(이하, "제 1부재와 제 2부재"라 칭함)에 핀구멍을 형성한 다음, 서로 정렬된 핀구멍에 핀을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관절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관절부의 제 1 및 제 2부재들 사이의 핀 둘레에는 부시와, 스페이서 등이 배치되어 핀과 핀구멍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저감시킨다.
한편, 이러한 각각의 관절부에는 윤활유의 급지가 가능하도록 윤활유 급지용 급지홀이 존재하며, 급지홀을 통하여 정기적인 윤활유 급지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굴삭기의 작업시 고하중과 저속마찰에 의한 윤활유의 유출과 열에 의한 윤활유의 열화손실로 인하여 정기적인 윤활유 보충이 필요하다. 따라서 급지기간이 매일 반복적으로 주입하다보면 차량의 표면이 매우 더러워져 환경에 해롭고, 잦은 윤활유 급지로 인하여 윤활유의 사용량이 많아져 유지비용이 증대되며, 윤활유 급지시간 동안 작업을 할 수 없음으로 장비의 가동율이 떨어진다. 또한 작업자의 실수로 윤 활유 급지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관절부의 건식 마찰에 의한 부시와 핀 사이에 이상 마모가 발생되면서, 제 1부재와 제 2부재의 마모로 인하여 전체 구조물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종래의 건설장비용 관절부의 핀은, 등록특허 제10-0389935호에서와 같이 윤활유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핀의 내부에 윤활유 공급용 관로를 형성하고, 핀의 외부에는 관로로 공급된 윤활유가 부시와 마찰접촉되는 습동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윤활유 그루브를 형성한다.
그런데, 이러한 윤활유 그루브는 핀이 벤딩하중 또는 충격하중이 작용시 응력집중부로 작용되어 핀이 절손될 가능성이 높인다. 또한 핀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인 동합금이나 오일리스 함유 소결베어링을 상대 부시로 사용하는 경우는, 핀의 그루브가 부시를 마모시키는 절삭날로서 작용할수 있어 상대 부시의 마모를 촉진시킬수 있다. 또한 건설기계가 작업시 과도한 벤딩하중과 충격하중이 작용할 때 윤활유 관로와 그루브가 응력집중부로 작용하여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또한 피로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열처리시 급냉에 의한 충격으로 그루브 및 관로에서 열처리 크랙이 발생되어 핀의 수명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절부에는 핀과 부시사이의 마찰과 동시에 측면하중이 작용하면서 마찰이 발생되는 바, 각 부품간의 측면마찰접촉을 저감시키고 및 각 부품간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 1부재와 제 2부재와 핀의 사이에 스페이서 또는 심이 배치된다. 스페이서 또는 심은 강판재를 틈새만큼 삽입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스페이서 또는 심은 부품간에 발생되는 측면 마찰접촉으로 인해 소착 및 마모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핀을 중공화시키고, 중공화된 핀의 내부에 윤활유를 충진한 후, 충진된 윤활유가 핀구멍과 핀과 부시의 사이에 공급되게 구성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추가적인 급지가 필요하지 않은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윤활유의 급지 기간을 연장시킨 상태에서도 핀과 핀구멍간의 마찰접촉을 저감시킬 수 있음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수명이 연장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핀을 중공화시켜 무게를 줄여줌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고, 따라서 동적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는, 핀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제 1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핀구멍을 갖는 제 2부재와, 서로 정렬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핀구멍과 제 2부재의 핀구멍에 끼워지며 양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핀과, 상기 핀의 둘레와 상기 제 2부재의 핀구멍 사이에 배치되는 부시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핀은 윤활유 저장할 수 있도록 내경을 갖는 중공(中空)체이고, 상기 내경에 저장된 윤활유를 상기 핀과 부시의 사 이 및, 상기 부시와 제 2부재의 핀구멍 사이로 급지해주는 윤활유 급지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윤활유 급지수단은, 상기 내경과 연통되도록 상기 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윤활유 급지구멍과, 상기 윤활유 급지구멍과 연통되도록 상기 부시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유로와, 상기 연통유로로 유입된 윤활유를 상기 핀과 부시의 사이 및, 상기 부시와 제 2부재의 사이로 급지하도록 상기 부시의 내경과 외경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윤활유 급지 그루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는, 핀구멍(12)을 갖는 제 1부재(10)와, 핀구멍(22)을 갖는 제 2부재(20)를 구비한다. 제 1부재(10)의 핀구멍(12)과 제 2부재(20)의 핀구멍(22)은 서로 정렬된다. 여기서, 제 1부재(10)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0a)를 구비하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0a)의 사이에 제 2부재(20)가 배치된다. 물론,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0a)에는 핀구멍(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관절부 연결구조는, 서로 정렬된 제 1부재(10)의 핀구멍(12)과 제 2부재(20)의 핀구멍(22)에 끼워지는 핀(30)을 구비한다. 핀(30)은 내경(32)을 갖는 중공(中空)의 파이프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공의 내경(32)에는 윤활유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중공의 내경(32)은 윤활유를 저장하는 윤활유 저장소이다.
여기서, 핀(30)은 탄소강, 합금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그리고 핀(30) 의 내경(32) 지름(d)은 외경(34) 지름(D)의 60%이하로 구성된다. 그리고 핀(30)의 양단은 고정브라켓(36)에 의해 제 1부재(10)의 양쪽 지지플레이트(10a)에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아울러 내경(32)의 트인 양쪽은 캡(38)에 의해 밀폐되는데,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캡(38) 중 어느 하나에는 내경(32)으로 윤활유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홀(38a)이 형성되어 있다. 주입홀(38a)은 마개(39)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캡(38) 중 다른 하나에는 윤활유 주입시 내경(32)에 충전되어 있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벤트홀(38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의 핀(30)은, 작업 중 반복하중과 충격하중이 가해지고, 제 2부재(20)의 핀구멍(22)과 마찰접촉하는 바, 강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우수해야 한다. 특히, 중공의 내경(32)이 형성되는 바, 단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피로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강도가 높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핀(30)은, 내경(32)과 외경(34)이 표면 열처리되어 표면경도가 높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핀(30)의 외경(34)의 표면경도는 HRC 50 ~ 65정도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표면경도가 HRC 50이하인 경우에는 벤딩하중에 의하여 표면 크랙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며, 표면경도가 HRC 65이상인 경우에는 충격하중의 작용시 후술하는 급지구멍(72)에서 크랙이 발생하여 핀(30)이 절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핀구멍(22) 및 후술하는 부시(40)와의 마찰시 마모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핀의 표면경도가 HRC 50이상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핀(30)의 내경(32)의 표면경도는 HRC 35 ~ 60정도의 범위를 갖는다. 이는 표면경도가 HRC 35이하인 경우에는 핀(30)에 하중이 작용시 내경(32)의 인장응력에 의해 상기 내경(32)에서 크랙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내경(32)의 표면경도는 외경(34)의 표면경도인 HRC 65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충격에 대한 저항을 높이기 위함이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내경(32)의 표면경도가 HRC 60이하인 것이 좋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핀(30)은, 후술하는 부시(40)와 마찰접촉하므로 표면 마찰계수가 적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핀(30)은 외경(34)에 마찰계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코팅층(30a)이 형성된다. 코팅층(30a)은 경질 크롬도금, 니켈도금, 질화 열처리에 의한 질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여기서, 경질 크롬도금은 표면경도가 높고 부시(40)와의 마찰접촉시 재질적으로 안정한 크롬산화물이 형성되어 있어서 소착에 의한 마모가 적다. 그리고 질화 화합물은 부시(40)와의 마찰접촉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내식성이 개선되어 핀(30)의 표면에 발청되는 것을 억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절부 연결구조는, 핀(30)의 둘레와 핀구멍(22)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시(40)를 구비한다. 부시(4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30)의 양쪽에 한 쌍이 배치되며, 핀(30)과 핀구멍(22)의 직접적인 마찰접촉을 방지하여, 핀(30)과 핀구멍(22)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각 부시(40)의 양단에는 더스트시일(42)이 배치된다. 더스트시일(42)은 각종 이물질이 핀(30)과 부시(40)의 사이, 그리고 부시(40)와 핀구멍(22)의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부시(40)는 핀(40)보다 탄성계수와 경도가 낮은 재질이 사용되며, 실시예로서, 황동을 부시 형태로 기계가공된 것 또는 동에 흑연, 이황화 몰리브덴 중 어느 하나가 첨가된 동계 소결체로 구성된다. 또한, 부시(40)는 고점도 오일을 함유한 철계 소결베어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관절부 연결구조는, 제 2부재(20)와 제 1부재(10)의 각 지지플레이트(10a)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60)들을 구비한다. 스페이서(60)는 제 2부재(20)와 제 1부재(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줌과 동시에 제 2부재(20)와 제 1부재(10)가 직접적으로 마찰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스페이서(60)는 제 2부재(20)와 제 1부재(10) 사이에서 발생하는 측면 스러스트 마찰접촉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하며 아울러 제 2부재(20)와 제 1부재(10)과의 마찰접촉시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윤활성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스페이서(60)는 부시(40)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스페이서(60)의 재질로서는, 오일을 함유한 동계 또는 철계 소결체가 있으며, 또한 폴리머, 우래탄, 고무, 열처리된 강재 디스크 중 어느 하나가 있다.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스페이서(60)를 대신하여 심(shim)을 사용하여 제 2부재(20)와 제 1부재(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줌과 동시에 간격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절부 연결구조는, 핀(30)의 내경(32)에 저장된 윤활유를 핀(30)과 부시(40)의 사이 및, 부시(40)와 제 2부재(20)의 핀구멍(22) 사이로 급지해주는 윤활유 급지수단(70)을 구비한다.
윤활유 급지수단(7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32)과 연통되도록 핀(30)에 형성되어 있는 윤활유 급지구멍(72)과, 윤활유 급지구멍(72)과 연통되도록 부시(40)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유로(74)와, 연통유로(74)로 유입된 윤활유를 핀(30)과 부시(40)의 사이 및, 부시(40)와 제 2부재(20)의 사이로 급지되도록 상기 부시(40)의 내경(40a)과 외경(40b)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윤활유 급지 그루브(76)로 구성된다. 여기서, 윤활유 급지구멍(72)은 핀(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윤활유 급지수단(70)은 내경(32)의 윤활유 저장소에 저장된 윤활유를 부시(40)의 사이 및, 부시(40)와 제 2부재(20)의 핀구멍(22) 사이로 급지해줌으로써 부시(40)와 핀(30) 및 부시(40)와 제 2부재(20)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시켜주며, 따라서 부시(40)와 핀(30) 그리고 제 2부재(20)의 핀구멍(22)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윤활유 급지수단(70)의 윤활유 급지구멍(72)은 부시(40)의 윤활유 급지 그루브(76)의 폭보다 작아야 하며, 그 형상은 응력집중을 완화하기 위하여 원형보다 타원형이 유리하다. 즉 부시(40)와 핀(30)의 마찰접촉시 윤활유 급지구멍(72)과 부시(40)가 직접적으로 마찰접촉하지 않도록 부시(40)의 윤활유 급지 그루브(76)의 폭보다 윤활유 급지구멍(72)의 외경이 작아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 연결구조의 마모성능 및 내구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표 1과 표 2에서와 같이 시험해보았다.
표 1은 부시(40)의 재질과 핀(30)의 형상에 따라 리그시험한 결과이며, 부시 (40)와 핀(30)의 조립시 1회 윤활유를 급지한 후 하중이 80Mpa이고, 요동시 부시(40)와 핀(30)의 선속도가 1.0m/min이며, 핀(30)이 100o(± 50)범위내에서 요동할 때, 부시(40)와 핀(30)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찰계수가 0.3에 도달하는 시간을 시험시간으로 설정하여 시험한 결과이다.
부시 시험시간 (hr)
재질 표면처리 형상 열처리 표면처리
저탄소 합금강 침탄 고주파 경질크롬도금 10
중공핀 고주파 경질크롬도금 35
6.4 황동 - 고주파 - 48
중공핀 고주파 - 150
철-동계 소결 - 고주파 - 233
중공핀 고주파 - 651
표 1. 부시와 핀의 조합에 다른 리그시험 결과
표 1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부시의 재질을 윤활성이 적은 저탄소 합금강을 침탄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10시간만에 마찰계수가 0.3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중공의 핀에 윤활유를 약 200g정도 충진한 경우에는 약 3배인 35시간만에 마찰계수가 0.3에 도달하여 부시와 핀사이의 마찰계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침탄된 저탄소 합금강보다 상대 핀과의 마찰특성이 좋은 6.4황동 부시를 적용한 경우에는 중공의 핀을 적용한 경우보다 마찰계수가 안정화되어 48시간만에 마찰계수 0.3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부시의 마모량이 침탄된 저합금보다 마모량이 약 2배정도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핀의 내경에 윤활유 200g정도 충진하여 시험한 6.4황동의 경우에는 기존 핀보다 마찰계수 0.3에 도달하는 시간이 150시간으로 3배정도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내부기공을 가지고 있어 오일을 함유하는 철-동계 소결 부시의 경우에는 자체 함유된 오일만으로 6.4황동이나 침탄된 저탄소합금보다 마찰계수 0.3에 도달하는 시간이 233시간으로 중공의 핀을 적용한 6.4황동보다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중공의 내부에 200g의 윤활유를 충진한 경우에는 약 650시간만에 마찰계수 0.3에 도달하여 침탄된 저합금 탄소강보다 약 60배이상의 시간동안 무급지상태에서 시험이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소결 부시와 중공의 핀을 사용한 관절부 연결구조가 가장 긴 시간동안 무급지 상태로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표 2는 스러스트 하중에 대한 각 재질별 스페이서의 내마모특성을 시험한 결과이며, 시험조건은, 볼과 디스크(ball on disk) 시험기에서 시험속도는 1m/min, 시험하중은 700kg, 윤활유 급지는 시험전 1회 판재 디스크에 도포하여 마찰계수 0.3도달시까지 시험후 마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구분 제 2부재, 보스 재질 (볼형상) 스페이서 또는 심 (판재시편) 볼 마모량 (g) 판재마모량 (g)
조합1 저탄소강 냉연강판 16.4 32.6
조합2 저탄소강 폴리머 8.5 14.2
조합3 저탄소강 판재베어링 8.5 10.2
표 2. 스러스트 하중에 대한 각 재질별 스페이서 또는 심의 내마모특성
표 2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스러스트 하중이 작용하는 부위에 가장 적합한 재질 조합은 기존 사용되고 있는 조합인 저탄소강과 냉연간판의 재질보다 마모량측면에서 우수한 저탄소강과 판재베어링, 폴리머 재질로 나타났다. 이것은 강과 강의 마찰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탄소강과 폴리머 재질이 재질에서 우수한 마찰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오일리스 베어링인 판재베어링과 저탄소강의 재질조합이 우수한 마찰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판재 베어링은 황동에 흑연을 압입하여 제작하여 오일을 함유한 오일리스 베어링과 소결함유 베어링으로 제작한 판재베어링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스페이서 또는 심의 재료로는, 오일을 함유한 동계 또는 철계 소결체, 폴리머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는, 핀의 중공화시키고, 중공화된 핀의 내부에 윤활유를 충진한 후, 충진된 윤활유가 핀구멍과 핀과 부시의 사이에 급지되게 구성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추가적인 급지를 하지 않고도 핀과 핀구멍간의 마찰접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핀을 중공화시켜 무게를 줄여줌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고, 따라서 동적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핀구멍(12)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0a)를 갖는 제 1부재(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0a)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핀구멍(22)을 갖는 제 2부재(20)와, 서로 정렬된 상기 지지플레이트(10a)의 핀구멍(12)과 제 2부재(20)의 핀구멍(22)에 끼워지며 양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0a)에 고정되는 핀(30)과, 상기 핀(30)의 둘레와 상기 제 2부재(20)의 핀구멍(22) 사이에 배치되는 부시(40)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핀(30)은 윤활유를 저장할 수 있도록 내경(32)을 갖는 중공(中空)체이고, 상기 내경(32)에 저장된 윤활유를 상기 핀(30)과 부시(40)의 사이 및, 상기 부시(40)와 제 2부재(20)의 핀구멍(22) 사이로 급지해주는 윤활유 급지수단(7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윤활유 급지수단(70)은, 상기 내경(32)과 연통되도록 상기 핀(30)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윤활유 급지구멍(72)과, 상기 윤활유 급지구멍(72)과 연통되도록 상기 부시(40)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유로(74)와, 상기 연통유로(74)로 유입된 윤활유를 상기 핀(30)과 부시(40)의 사이 및, 상기 부시(40)와 제 2부재(20)의 사이로 급지하도록 상기 부시(40)의 내경(40a)과 외경(40b)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윤활유 급지 그루브(7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30)은, 탄소강, 합금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외경(34)의 표면경도가 HRC 50 ~ 65정도의 범위이며, 내경(32)의 표면경도가 HRC 35 ~ 60정도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30)의 외경(34)에는 마찰계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코팅층(30a)이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30a)은 경질 크롬도금, 니켈도금, 질화 열처리에 의한 질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30)의 내경(32)은 양쪽이 트여 있고, 트인 양쪽은 캡(38)에 의해 밀폐되며, 양쪽의 캡(38)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내경(32)으로 윤활유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홀(38a)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내경(32)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벤트홀(38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40)의 양단에는 더스트시일(42)이 배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핀(30)과 부시(40)의 사이, 및 상기 부시(40)와 상기 제 2부재(20)의 사이로 침 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30)의 내경(32)의 지름(d)은 외경(34)의 지름(D)의 60%이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40)는, 황동에 흑연, 이황화 몰리브덴 중 어느 하나가 첨가된 소결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40)는, 고점도 오일을 함유한 소결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40)는, 황동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재(20)와 상기 제 1부재(10)의 각 지지플레이트(10a)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60)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페이서(60)는 오일을 함유한 동계 소결체, 오일을 함유한 철계 소결체, 폴리머, 열처리된 강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KR1020040108939A 2004-12-20 2004-12-20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KR10065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939A KR100655327B1 (ko) 2004-12-20 2004-12-20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939A KR100655327B1 (ko) 2004-12-20 2004-12-20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264A true KR20060070264A (ko) 2006-06-23
KR100655327B1 KR100655327B1 (ko) 2006-12-08

Family

ID=3716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939A KR100655327B1 (ko) 2004-12-20 2004-12-20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3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4824A2 (ko) 2008-12-05 2010-06-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슬라이딩베어링 및 슬라이딩베어링 조립체
WO2011078499A2 (ko) 2009-12-22 2011-06-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슬라이딩 베어링 및 슬라이딩 베어링 조립체
KR20120070642A (ko) * 2010-12-22 2012-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KR20200045256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티엠시 텅스텐 카바이드 및 니켈계 금속을 포함하는 초경 스페이서 제조용 금속 분말 및 초경 스페이서 제조방법
KR20220029009A (ko) * 2020-09-01 2022-03-08 한영숙 중장비용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2352B2 (en) 2015-12-01 2018-11-20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System for lubrication pivot joi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803U (ko) 1974-09-20 1976-03-26
JPS5914526Y2 (ja) 1976-09-27 1984-04-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作業機取付装置
KR100389935B1 (ko) * 2000-11-02 2003-07-10 조영환 산업장비용 그리스핀
KR100993158B1 (ko) * 2001-09-26 2010-11-0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기 연결장치
JP2003221838A (ja) 2001-09-26 2003-08-08 Komatsu Ltd 作業機連結装置
JP2008018916A (ja) * 2006-07-12 2008-01-31 Kazuo Ishizawa 非常点滅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4824A2 (ko) 2008-12-05 2010-06-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슬라이딩베어링 및 슬라이딩베어링 조립체
US9222511B2 (en) 2008-12-05 2015-12-29 Doosan Infracore Co., Ltd. Sliding bearing and sliding bearing assembly
WO2011078499A2 (ko) 2009-12-22 2011-06-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슬라이딩 베어링 및 슬라이딩 베어링 조립체
KR20120070642A (ko) * 2010-12-22 2012-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장치
KR20200045256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티엠시 텅스텐 카바이드 및 니켈계 금속을 포함하는 초경 스페이서 제조용 금속 분말 및 초경 스페이서 제조방법
KR20220029009A (ko) * 2020-09-01 2022-03-08 한영숙 중장비용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5327B1 (ko) 200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337A (en) Composite earth boring bit seal
US7438979B2 (en) Thermal spray membrane contact material, contact member and contact part, and apparatuses to which they are applied
US7604304B2 (en) Crawler, crawler pin, crawler bush, and crawler manufacturing method
US6962458B2 (en) Coupling device for equipment implement
US20040042698A1 (en) Bearing device
JPWO2005019664A1 (ja) すべり軸受組立体及びすべり軸受
US20060171616A1 (en) Hydrodynamic thrust bearing assembly
KR20110100254A (ko) 슬라이딩베어링 및 슬라이딩베어링 조립체
EP1851452A1 (fr) Organe de guidage
US20170227051A1 (en) Dynamic bearing
KR100655327B1 (ko) 건설기계의 관절부 연결구조
CN101858385A (zh) 一种金属基镶嵌式弹性自润滑滑动轴承
KR100881935B1 (ko) 분말 야금 부품을 포함하는 구름 베어링
CN101975226A (zh) 自润滑滚动轴承
JP4619302B2 (ja) すべり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137637Y (zh) 一种钢基耐磨滑动轴承
US20220260115A1 (en) Member For Guiding A Mobile Element In Oscillation Or Rotation
CN210770082U (zh) 具润滑机构的滚珠花键
CN105972084A (zh) 一种轴套
RU59756U1 (ru) Узел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ого упорного подшипника (варианты)
CN117231629B (zh) 一种多层次自润滑关节轴承及其使用方法
JP2008057626A (ja) 軸受装置用のブッシュ
JP4509762B2 (ja) 摺動部材
JP2005069365A (ja) すべり軸受組立体及びすべり軸受
JP4079307B2 (ja) 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