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495A -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495A
KR20060066495A KR1020040105126A KR20040105126A KR20060066495A KR 20060066495 A KR20060066495 A KR 20060066495A KR 1020040105126 A KR1020040105126 A KR 1020040105126A KR 20040105126 A KR20040105126 A KR 20040105126A KR 20060066495 A KR20060066495 A KR 20060066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ultrapure water
cover
switch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0955B1 (ko
Inventor
임병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에스티
Priority to KR102004010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9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6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for obtaining ultra-pur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4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for obtaining ultra-pur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배양, 화학 실험, 실험 기구 최종 세척, 일반 시약 및 배지 조제, 및 반도체 세척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순수 및 초순수를 제조, 저장하여 사용하기 위한 순수탱크 및 이를 이용한 초순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내측벽의 일측에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 커버 및 이 상부 커버에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의 일측 개방부에 끼워져 설치된 스위치와,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공간부에 내삽되되 하우징 내부의 공간부에 내장된 실리콘과 이 실리콘의 안에 삽설되어 외부로 돌출된 레버 및 하우징 상단 양측의 내측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 커버의 공간부를 지나 커버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관로와 하부에 형성된 돌출 나사부를 포함하는 출구 개폐장치와, 상기 스위치와 출구 개폐장치 하우징 상면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및 상기 레버와 하부 커버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순환형 디스펜서와; 상기 출구 개폐장치의 돌출 나사부에 나합되어 체결되고 내부에 출구를 가지는 콕과; 초순수 제조장치의 일측면에 끼워 둘 수 있고 하면이 상기 순환형 디스펜서의 하면과 콕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 순환형 디스펜서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승강으로 레버 및 실리콘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콕의 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순수, 순환, 디스펜서, 오염 방지, 순도 저하 방지

Description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A circulating type of dispenser for a device generating an ultra pure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스위치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스위치가 눌러져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a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의 홀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가 초순수 제조장치에 설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가 초순수 제조장치에 설치, 장착된 상태를 블록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순환형 디스펜서 11 : 상부 커버
11a : 돌기 12 : 하부 커버
13 : 출구 개폐장치 14 : 실리콘
15 : 레버 16 : 관로
17 : 공간부 18 : 출구
19 : 콕 20 : 스프링 안착돌기
21 : 스프링 30 : 홀더
31 : 후크 40 : 스위치
41 : 스위치 스프링 50 : 초순수 제조장치
51 : 제1 필터 52 : UV 램프
53 : 제2 필터 54 : 위생포트
55 : 제3 필터 56 : 제한밸브
P : 펌프 V1, V2 : 밸브
본 발명은 미생물 배양, 화학 실험, 실험 기구 최종 세척, 일반 시약 및 배 지 조제, 및 반도체 세척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초순수를 제조하는 초순수 제조장치에 설치되어 생성된 초순수의 토출 및 토출 방지를 조절할 수 있는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순수(ultra pure water)는 증류기를 거친 1차 증류수 또는 순수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역삼투압에 의해 정제된 순수를 초순수 제조장치로 유입시켜 초순수를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초순수 제조장치에는 통상 출구단에 디스펜서(dispenser)를 연결, 설치하여 제조된 초순수를 외부로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통상의 초순수 제조장치에 설치된 종래의 디스펜서와 초순수 제조장치의 사이에는 금속제의 3-way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디스펜서와 초순수 제조장치의 사이에 금속제의 3-way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초순수의 토출 시 미량의 금속 성분이 금속제의 3-way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용출되어 토출되는 초순수가 오염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금속제의 3-way 솔레노이드 밸브의 토출 포트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초순수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초순수를 외부로 토출하게 되어 있지만, 토출 포트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제조된 초순수의 흐름도 차단되어 상기 종래의 초순수 제조장치 내를 순환하지 못하고 정체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미순환 정체 현상으 로 인해 정체된 초순수의 순도가 저하되어 오염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초순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초순수의 토출 시 금속 성분의 용출로 인한 초순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구의 폐쇄 시에도 초순수 제조장치 내를 순환하게 하여 초순수의 정체로 인한 순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는 일측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내측벽의 일측에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 커버 및 이 상부 커버에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의 일측 개방부에 끼워져 설치된 스위치와,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공간부에 내삽되되 하우징 내부의 공간부에 내장된 실리콘과 이 실리콘의 안에 삽설되어 외부로 돌출된 레버 및 하우징 상단 양측의 내측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 커버의 공간부를 지나 커버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관로와 하부에 형성된 돌출 나사부를 포함하는 출구 개폐장치와, 상기 스위치와 출구 개폐장치 하우징 상면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및 상기 레버와 하부 커버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순환형 디스펜서와; 상기 출구 개폐장치의 돌출 나사부에 나합되어 체결되고 내부에 출구를 가지는 콕과; 초순수 제조장치의 일측면에 끼워 둘 수 있고 하면이 상기 순환형 디스펜서의 하면과 콕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 순환형 디스펜서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승강으로 레버 및 실리콘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콕의 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 커버의 돌기는 상부 커버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상부 커버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스위치가 상하 이동하면서 좌우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의 일 측면에는 후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스위치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b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스위치가 눌러져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a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의 홀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는 순환형 디스펜서(10)와, 콕(19)과, 홀더(30)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형 디스펜서(10)는 상부 커버(11) 및 하부 커버(12)와, 스위치(40)와, 출구 개폐장치(13)와, 스프링(41), 및 스프링(21)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부 커버(11) 및 하부 커버(12)는 상호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고, 상부 커버(11)는 일측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벽의 일측에는 돌기(1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구 개폐장치(13)는 상부 커버(11) 및 하부 커버(12)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그 하우징(도면부호 미부여) 내부의 공간부(17)에는 실리콘(14)이 내장되고 이 실리콘(14)의 안에 레버(15)가 끼워져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관로(16)가 상기 하우징 상단 양측의 내측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 커버(11, 12)의 공간부를 지나 커버(11, 12)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돌출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41)은 상기 스위치(40)와 출구 개폐장치(13) 하우징 상면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21)은 레버(15)와 하부 커버(1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콕(19)은 출구 개폐장치(13)의 돌출 나사부에 나합되어 체결되고 내부에 제조된 초순수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출구(1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홀더(30)는 초순수 제조장치의 일측면에 끼워 둘 수 있고 하면이 상기 순환형 디스펜서(10)의 하면과 콕(19)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 순환형 디스펜서(10)를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40)는 상부 커버(11)의 일측 개방부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는데, 그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커버(11)의 돌기(11a)는 상부 커버(11)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상부 커버(11)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40)를 승강하면서 일정 각도만큼 좌우로 선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홀더(30)의 일 측면에는 후크(3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후크를 초순수 제조장치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후크(31)에 상 응하는 걸이부(미도시)에 걸어 끼움으로써 본 발명의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의 각 구성부품은 금속제의 스프링(21, 41)과 레버(15)를 제외하고는 모두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레버(15)는 합성수지제로 만들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가 초순수 제조장치에 설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가 초순수 제조장치에 설치, 장착된 상태를 블록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가 초순수 제조장치의 일 측면에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통상적인 초순수 제조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V1)를 개방하고 펌프(P)를 구동하면 증류기를 거친 1차 증류수 또는 순수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역삼투압에 의해 정제된 순수 등은 제1 필터(51), UV 램프(52), 제2 필터(53), 위생포트(54), 및 제3 필터(55)를 거쳐 여과되면서 위생 처리된다. 이와 같이 여과 및 위생 처리된 처리수는 필요시 밸브(V2)를 통해 바로 드레인(drain)시 키거나 콕(19)의 출구(18)를 개방하여 순환형 디스펜서(10)를 통해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콕(19)의 출구(18)를 폐쇄하더라도 밸브(V1)가 개방되어 있고 펌프(P)가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제조된 초순수가 초순수 제조장치(50) 내에 정체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순환하게 되어 순도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56은 제한밸브를 가리키는 것으로 순환되는 초순수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는 스위치(41)의 승강으로 레버(15) 및 실리콘(14)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콕(19)의 출구(18)를 개폐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서 스위치(40)를 아래로 누르면서 일정 각도만큼 선회시키면 스위치(40) 하부의 일측 연장 돌출면이 돌기(11a)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스위치(4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스위치(40)의 하강 및 선회로 인해 레버(15)가 우측 상단이 눌려져 하강하면서 실리콘(14)에 삽설된 레버(15)의 좌측부가 실리콘(14)을 위로 들어 올리면서 콕(19)의 출구(18)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콕(19)의 출구(18)를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상태에서 스위치(40)를 다시 약간 누르면서 상기 스위치(40) 하강시의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나서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스위치(40)는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위로 상승하여 도 2a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에 의하면, 초순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초순수의 토출시 금속 성분의 용출로 인한 초순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출구의 폐쇄 시에도 초순수 제조장치 내를 순환하게 하여 초순수의 정체로 인한 순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측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내측벽의 일측에 돌기(11a)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 커버(11) 및 이 상부 커버(11)에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12)와, 상기 상부 커버(11)의 일측 개방부에 끼워져 설치된 스위치(40)와, 상기 상부 커버(11) 및 하부 커버(12)의 공간부에 내삽되되 하우징 내부의 공간부(17)에 내장된 실리콘(14)과 이 실리콘(14)의 안에 삽설되어 외부로 돌출된 레버(15) 및 하우징 상단 양측의 내측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 커버(11, 12)의 공간부를 지나 커버(11, 12)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관로(16)와 하부에 형성된 돌출 나사부를 포함하는 출구 개폐장치(13)와, 상기 스위치(40)와 출구 개폐장치(13) 하우징 상면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41), 및 상기 레버(15)와 하부 커버(12)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1)을 포함하는 순환형 디스펜서(10)와;
    상기 출구 개폐장치(13)의 돌출 나사부에 나합되어 체결되고 내부에 출구(18)를 가지는 콕(19)과;
    초순수 제조장치의 일측면에 끼워 둘 수 있고 하면이 상기 순환형 디스펜서(10)의 하면과 콕(19)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 순환형 디스펜서(10)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30)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41)의 승강으로 레버(15) 및 실리콘(14)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콕(19)의 출구(18)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1)의 돌기(11a)는 상부 커버(11)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상부 커버(11)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스위치(41)가 상하 이동하면서 좌우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의 일 측면에 후크(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KR1020040105126A 2004-12-13 2004-12-13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KR100620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126A KR100620955B1 (ko) 2004-12-13 2004-12-13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126A KR100620955B1 (ko) 2004-12-13 2004-12-13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495A true KR20060066495A (ko) 2006-06-16
KR100620955B1 KR100620955B1 (ko) 2006-09-19

Family

ID=3716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126A KR100620955B1 (ko) 2004-12-13 2004-12-13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9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3154A (ja) * 2016-12-28 2018-07-05 オルガノ株式会社 採水ディスペンサー、アダプター及び純水製造装置
WO2020105394A1 (ja) * 2018-11-21 2020-05-28 オルガノ株式会社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JP2020081945A (ja) * 2018-11-21 2020-06-04 オルガノ株式会社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JP2020081942A (ja) * 2018-11-21 2020-06-04 オルガノ株式会社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JP2020081943A (ja) * 2018-11-21 2020-06-04 オルガノ株式会社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JP2022169026A (ja) * 2021-04-27 2022-11-09 ヤマト科学株式会社 ディスペンサおよび当該ディスペンサを用いた純水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808B1 (ko) * 1999-10-26 2002-02-28 이종민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KR200311575Y1 (ko) 2002-10-24 2003-05-01 김재옥 콕밸브
KR100494597B1 (ko) * 2003-06-05 2005-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정수수 토출용 푸시버튼 구조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3154A (ja) * 2016-12-28 2018-07-05 オルガノ株式会社 採水ディスペンサー、アダプター及び純水製造装置
WO2020105394A1 (ja) * 2018-11-21 2020-05-28 オルガノ株式会社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JP2020081945A (ja) * 2018-11-21 2020-06-04 オルガノ株式会社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JP2020081942A (ja) * 2018-11-21 2020-06-04 オルガノ株式会社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JP2020081943A (ja) * 2018-11-21 2020-06-04 オルガノ株式会社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KR20210088689A (ko) * 2018-11-21 2021-07-14 오르가노 코포레이션 채수 디스펜서 및 순수제조장치
CN113164891A (zh) * 2018-11-21 2021-07-23 奥加诺株式会社 水采样分配器和纯水制造装置
US11325822B2 (en) 2018-11-21 2022-05-10 Organo Corporation Water dispenser and pure water producing apparatus
CN113164891B (zh) * 2018-11-21 2022-11-04 奥加诺株式会社 水采样分配器和纯水制造装置
JP2022169026A (ja) * 2021-04-27 2022-11-09 ヤマト科学株式会社 ディスペンサおよび当該ディスペンサを用いた純水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0955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5187C2 (ru) Клапан,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ода клапана, картридж и переходник для системы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US7413649B2 (en) Treatment apparatus with modular chemical containing units having one-way valve assemblies
KR100620955B1 (ko)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KR102189170B1 (ko)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EP3733258A1 (en) Filter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elimin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flow-variable bypass flow path
KR101285605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KR20230145972A (ko) 수처리장치
US20100163125A1 (en) Fluid apparatus unit structure
CA2318475A1 (en) Pour-through water treatment dispenser
KR100825936B1 (ko) 콕크
CA2293070A1 (en) Drain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cleansing
JP2014224432A (ja) 便器洗浄装置
KR200360771Y1 (ko) 냉.온 정수기 코크
JP2004324061A (ja) 洗面化粧台の排水構造
JP2004068328A (ja) 浴室の排水ユニット
KR100813112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유로 개폐장치
US9701554B2 (en) Aeration control valve system for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0156714B1 (ko) 정수기용 여과장치
JP3642763B2 (ja) 据置型浄水器
US11484817B1 (en) Filter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elimin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flow-variable bypass flow path
KR102601474B1 (ko) 제빙기
US11059727B2 (en) Fluid treatment tank having air blocker
KR0168277B1 (ko) 정수기의 배수장치
KR960008254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