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474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474B1
KR102601474B1 KR1020170176764A KR20170176764A KR102601474B1 KR 102601474 B1 KR102601474 B1 KR 102601474B1 KR 1020170176764 A KR1020170176764 A KR 1020170176764A KR 20170176764 A KR20170176764 A KR 20170176764A KR 102601474 B1 KR102601474 B1 KR 10260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ice
flow
uni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396A (ko
Inventor
김도한
김성욱
김성진
박명진
박찬정
심상구
홍영훈
신현수
최인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3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얼음과 냉수를 저장하는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과, 얼음 및 냉수를 생성하여 상기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으로 공급하는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 및 상기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수가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 또는 냉수추출관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에는 상기 냉수추출관으로 냉수가 추출될 때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 내부에서의 진공 발생을 방지하는 진공발생방지부가 형성되는 제빙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을 만드는 장치이다.
제빙기의 종류에는 침지식, 분사식, 유수식 제빙기가 있다. 침지식 제빙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에 연결된 침지부재가 물받이에 담긴 물에 잠기도록 함으로써 얼음이 생생되도록 하는 방식의 제빙기를 말한다. 그리고, 분사식 제빙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에 연결되며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제빙판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얼음생성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방식의 제빙기를 말한다. 또한, 유수식 제빙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에 연결되며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제빙판에 물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얼음생성부에서 얼음이 생생되도록 하는 방식의 제빙기를 말한다.
나아가, 제빙기의 종류에는 물이 유동하는 유동공간의 주위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유동공간의 내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고 스크류부재가 유동공간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유동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얼음을 분리하고 이송시켜서 외부로 배출하는 오거식 제빙기가 있다.
한편, 오거식 제빙기는 냉수와 얼음을 생성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빙기에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냉수를 외부로 추출하거나 얼음을 생성하는 공간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 전환 밸브가 구비된다.
그런데, 얼음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스크류부재가 얼음을 토출구 방향으로 일정시간 회전하여 압축하는 과정에서 압축되어 얼음이 토출되는 공간과 얼음 생성에 필요한 냉수를 공급하는 입수부와의 압력차에 의해 일정 시간 이후 진공이 걸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저장 탱크의 냉수를 추출하는 경우에 유로 전환 밸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어 냉수를 차단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96860호
유로 전환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유로 전환 밸브를 구비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얼음과 냉수를 저장하는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과, 얼음 및 냉수를 생성하여 상기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으로 공급하는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 및 상기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수가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 또는 냉수추출관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에는 상기 냉수추출관으로 냉수가 추출될 때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 내부에서의 진공 발생을 방지하는 진공발생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냉수 유입구와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으로 냉수가 공급되도록 냉수가 유출되는 연결용 유출구 및 상기 냉수추출관으로 냉수가 유동되도록 냉수가 유출되는 냉수 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용 유출구 또는 냉수 유출구로 냉수가 선택적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개폐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진공발생방지부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개폐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에어밴트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수 유입구와 상기 냉수 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용 유출구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냉수 유입구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냉수 유입 유로부와, 상기 냉수 유출구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냉수 배출 유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냉수 배출 유로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용 유출구와 연통되며 냉수가 유동되는 냉수유동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발생방지부는 상기 냉수 유동관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에어밴트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원통 형상의 코일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코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코일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용 유출구와 상기 냉수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기 개폐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은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가 형성된 장치본체와, 상기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연결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되어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나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각부 및 상기 유동공간에 생성된 얼음을 상기 유동공간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분리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이송부는 상기 유동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발생방지부는 상기 냉수추출관으로 냉수가 추출될 때 상기 스크류부재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유동공간에서의 진공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빙 과정 중 유로 전환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구비되는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구비되는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구비되는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공급저장관에 공급가이드부재가 연결되고 공급가이드부재에 연결보조부재에 의해서 이물질제거부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공급가이드부재와 연결보조부재 및 이물질제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구비되는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구비되는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구비되는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일예로서,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 유로전환밸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은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은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으로부터 생성된 얼음과 냉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으로 저장된 냉수를 공급한다.
한편,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은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 또는 취출코크(미도시)로 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서, 펌프(210)는 유로전환밸브(400)를 매개로 하여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펌프(210)를 통해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으로부터 추출된 냉수가 유로전환밸브(400)를 지나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 또는 취출코크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펌프(210)는 저장탱크(220)에 형성된 물저장공간(SW)에 연결되는 공급연결구(222)에 연결관(222a)을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펌프(210)가 구동되면 유로전환밸브(400)로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에 저장되는 냉수가 공급되고, 유로전환밸브(400)를 통과하여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에 저장되는 냉수가 취출코크(미도시) 또는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펌프(210)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에 저장된 냉수는 높이 차에 의하여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20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탱크(22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저장탱크(220)에는 얼음(I)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공간(SI)과,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공간(SW)이 형성된다. 그리고, 얼음저장공간(SI)과 물저장공간(SW)은 칸막이부재(22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한편, 수도나, 물을 여과하도록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의 여과부 등과 같은 물공급원(미도시)의 물이, 물공급원에 연결된 공급관(미도시)을 통해 물저장공간(SW)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탱크(220)의 물저장공간(SW)에 물공급원의 물이 공급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저장탱크(220)에는 얼음저장공간(SI)에 배치되도록 이송부재(2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재(230)는 저장탱크(220)의 외면에 설치되는 이송모터(240)에 연결되어, 이송모터(2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더하여, 저장탱크(220)에는 얼음 배출구(250)가 구비된다. 일예로서, 이송모터(240)의 회전에 의해서 이송부재(230)가 회전되면, 저장탱크(220)의 얼음저장공간(SI)에 저장된 얼음(I)이 저장탱크(220)의 얼음 배출구(250)를 통해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저장탱크(220)는 공급저장관(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저장관(260)은 일측이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급저장관(260)은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된 얼음(I)이 얼음저장공간(SI)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된 냉수가 물저장공간(SW)에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저장탱크(220)에는 공급저장관(260)이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부(226)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공급저장관(260)의 일단은 저장탱크(220)의 물저장공간(SW)에 형성되는 설치부(226)를 관통하여 물저장공간(SW)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공급저장관(260)의 일단에는 얼음(I) 또는 냉수가 배출되는 공급구멍(262)이 저장탱크(220)의 얼음저장공간(SI)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은 얼음 및 냉수를 생성하여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으로 공급한다. 일예로서,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은 도 3 및 도 4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310), 유동부(320), 냉각부(330) 및 분리이송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310)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장치본체(310)에는 유입통과부(310a)와 배출통과부(310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동부(320)에 구비되는 후술할 유입구(321a)가 유입통과부(310a)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20)에 구비되는 후술할 배출구(322a)가 배출통과부(310b)를 통과할 수 있다.
일예로서, 유동부(320)의 유입구(321a)가 유입통과부(310a)를 직접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20)의 배출구(322a)에는 배출연장부재(324)가 연결되며, 배출연장부재(324)가 배출통과부(310b)를 통과하여 유동부(320)의 배출구(322a)가 배출통과부(310b)를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장치본체(310)는 유입통과부(310a)의 일부분과 배출통과부(310b)가 형성되는 상부본체(312)와, 상부본체(312)와 결합되며 유입통과부(310a)의 나머지 부분이 형성되는 하부본체(3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치본체(3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동부(3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입통과부(310a)와 배출통과부(310b)에 연결되는 유입구(321a)와 배출구(322a)가 구비된다. 또한, 유동부(320)에는 유입구(321a)와 배출구(322a)에 연결되는 유동공간(SC)이 형성된다.
일예로서, 유동부(320)는 유입부재(321), 배출부재(322), 유동부재(323) 및 배출연장부재(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입부재(321)은 유동부재(323)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한 유입구(321a)가 유입부재(321)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유입구(321a)는 유로전환밸브(400)와 연결부재(10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입부재(321)에는 드레인구(321b)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드레인구(321b)에는 개폐밸브(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드레인구(321b)의 개폐밸브가 개방되면 유동공간(SC)에 수용된 물이 드레인구(321b)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나아가, 유입부재(321)에는 후술할 분리이송부(340)의 스크류부재(341)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입부재(321)에는 베어링(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부재(322)는 유동부재(32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재(322)에는 상기한 배출구(322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재(322)에는 분리이송부(340)의 스크류부재(341)의 타측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부재(322)에도 베어링(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재(32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C)과 배출구(322a)를 연결하는 나선형상의 연결부(322b)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부재(323)의 일단에는 유입부재(321)가 연결되며 유동부재(323)의 타단에는 배출부재(322)가 연결된다. 한편, 유동부재(323)에는 유동공간(SC)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유동부재(323)는 원통형상일 수 있다.
또한, 유동부재(323)의 유동공간(SC)에는 분리이송부(340)의 스크류부재(341)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배출연장부재(324)는 배출구(322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탱크(220)에 구비되는 공급저장관(260)이 장치본체(310)의 전술한 배출통과부(310b)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배출연장부재(324)가 공급저장관(2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배출구(322a)로부터 배출된 얼음(I) 또는 냉수가 배출연장부재(324)와 공급저장관(260)을 통하여 저장탱크(220)에 공급될 수 있다.
냉각부(330)는 유동부(320)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유입구(321a)를 통해 유동공간(SC)에 유입되어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나 냉수가 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유동부(32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이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I)이 되거나 냉수가 될 수 있다.
일예로서, 냉각부(330)는 냉매공간형성부재(332), 밀폐덮개부재(3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매공간형성부재(332)는 유동부(32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유동부(320)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매공간형성부재(322)와 유동부(300), 예를 들어 유동부재(323) 사이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SR)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와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과의 열교환 경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냉매는 유동부(320)의 유동부재(323)를 통해서만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과 열교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동부(32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의 냉매에 의한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냉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냉매공간형성부재(332)에는 냉매유입구(333a)와 냉매유출구(333b)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냉매공간형성부재(332)에는 냉매유입구(333a)가 연결되는 유입연결구멍(332a)과, 냉매유출구(333b)가 연결되는 유출연결구멍(33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는 냉매유입구(333a)를 통해 냉매유동공간(SR)에 유입되어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한 후 냉매유출구(333b)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밀폐덮개부재(334)는 냉매유동공간(SR)의 양단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냉매공간형성부재(332)와 유동부재(323) 사이에 형성되는 냉매유동공간(SR)의 양단부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도록 밀폐덮개부재(334)가 냉매공간형성부재(332)의 양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밀폐덮개부재(334)는 링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밀폐덮개부재(334)의 형상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리이송부(340)는 유동부(320)의 유동공간(SC)에 생성된 얼음(I)을 유동공간(SC)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송하여 유동부(320)의 배출구(322a)로 이송시킬 수 있다.
분리이송부(340)는 스크류부재(34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부재(341)는 유동부(320)의 유동공간(SC)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부재(341)의 일측은 유동부(320)의 유입부재(321)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스크류부재(341)의 타측은 유동부(320)의 배출부재(322)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20)의 배출부재(322)를 관통한 스크류부재(341)의 타측은 분리이송모터(도시되지 않음)에 기어(도시되지 않음)와 체인(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이송모터에 의해서 스크류부재(341)가 구동, 즉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부재(341)에는 나선형상의 분리이송날(341a)이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상의 분리이송날(341a)에 의해서 유동부(320)의 유동공간(SC)에 나선형상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분리이송모터에 의해서 스크류부재(341)가 회전하면, 유동공간(SC)의 내주면에 생성된 얼음(I)이 스크류부재(341)의 분리이송날(341a)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부(320)의 유동공간(SC)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얼음(I)은 스크류부재(341)의 분리이송날(341a)에 의해서 유동공간(SC)의 나선형상의 유로를 통해 유동부(320)의 배출구(322a)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320)의 배출구(322a)로 이송된 얼음(I)은 배출구(322a)로부터 배출되어, 예컨대 배출연장부재(324)와 공급저장관(260)을 통해 저장탱크(220)에 공급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400)는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에 연결되어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수가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 또는 냉수추출관(102)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로전환밸브(4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유로전환밸브(400)는 일예로서, 하우징(410) 및 개폐유닛(4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4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예로서 제1 하우징(420) 및 제2 하우징(430)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4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420)에는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200)으로부터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 유입구(421)와, 냉수추출관(102)으로 냉수가 유동되도록 냉수가 유출되는 냉수 유출구(422)를 구비한다. 나아가, 제1 하우징(420)은 내부 공간을 가진다.
한편, 제1 하우징(420)에는 냉수 유입구(421)와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냉수 유입 유로부(423)와, 냉수 유출구(422)와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냉수 배출 유로부(42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냉수 유입구(421)로 유입된 냉수는 냉수 유입 유로부(423)로 유동한 후 제1 하우징(42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한다. 이후, 개폐유닛(450)에 의해 선택적으로 냉수의 유동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음용을 위해 냉수가 취출코크(미도시)로 취출되어야 하는 경우 냉수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냉수 배출 유로부(424)를 통해 유동한 후 냉수 유출구(422)를 통해 냉수가 유출된다.
또한, 제1 하우징(420)에는 원통부(42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원통부(425)의 외측에는 O-링으로 이루어지는 실링부재(4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4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냉수가 제1,2 하우징(420,420)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1 하우징(420)에는 상기한 제2 하우징(43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부(426)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결합부(426)는 4개가 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결합부(426)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제1 하우징(420)에는 냉수 배출 유로부(424)의 일부를 형성하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427)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 배출 유로부(424)의 폐쇄는 후술할 개폐부재(460)가 연장부(427)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우징(430)은 제1 하우징(42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한편, 제2 하우징(43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으로 냉수가 공급되도록 냉수가 유출되는 연결용 유출구(431)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하우징(430)에는 연결용 유출구(431)와 연통되며 냉수가 유동되는 냉수 유동관부(432)가 구비될 수 있다. 냉수 유동관부(432)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제2 하우징(430)의 내부공간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430)에는 상기한 제1 하우징(420)의 제1 결합부(426)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43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결합부(426,433)에는 일예로서 나사가 결합되어 제1,2 하우징(420,43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개폐유닛(450)은 하우징(4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연결용 유출구(431) 또는 냉수 유출구(422)로 냉수가 선택적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개폐유닛(450)은 프레임(452), 케이스(454), 승강부재(456), 탄성부재(458) 및 개폐부재(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452)은 하우징(41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일예로서, 프레임(452)은 제1,2 결합부(426,433)에 결합되는 나사에 의해 하우징(4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452)에는 나사결합홀(45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452)은 일예로서, 'ㄷ'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454)는 프레임(452)에 고정 설치되며, 일예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454)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코일 장착홀(454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 장착홀(454a)에는 원통 형상의 코일부(45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454)에는 코일 장착홀(454a)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부재(456)가 설치되는 기둥부(454b)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승강부재(456)는 코일부(455)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코일부(455)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일예로서, 승강부재(456)는 코일부(455)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458)는 일단이 기둥부(454b)에 연결되며 타단이 승강부재(456)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456)가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이동한 후 코일부(455)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승강부재(456)는 탄성부재(458)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서, 탄성부재(458)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코일부(455)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일예로서 승강부재(456)는 개폐부재(460)가 냉수 유동관부(432)의 하단부에 밀착되도록 상승하여 냉수가 냉수 배출 유로부(424)를 통해 흘러 냉수 유출구(422)로 유출되도록 한다.
이후, 코일부(455)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승강부재(456)는 탄성부재(458)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여 개폐부재(460)가 연장부(427)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부(455)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개폐부재(460)는 냉수 유동관부(423)와 연장부(427)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도 있으며, 냉수 유동관부(432)의 하단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탄성부재(458)의 복원력에 의한 개폐부재(460)의 초기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개폐부재(46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승강부재(456)의 끝단에 설치되어 연결용 유출구(431)와 냉수 배출구(4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즉, 승강부재(456)의 승강에 따라 개폐부재(460)가 냉수 유동관부(423)와 연장부(427)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어 연결용 유출구(431)와 냉수 배출구(4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한편, 밀폐부재(460)는 일예로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유로전환밸브(400)에는 냉수추출관(102)으로 냉수가 추출될 때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이 구동되는 경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 내부에서의 진공 발생을 방지하는 진공발생방지부(4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진공발생방지부(470)는 하우징(410) 및 개폐부재(46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에어밴트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410)에 진공발생방지부(470)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에어밴트홈으로 이루어지는 진공발생방지부(470)는 냉수 유동관부(432)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 내부에서의 진공 발생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진공발생방지부(470)가 냉수 유동관부(432)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 내부에서의 진공 발생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냉수의 음용을 위해 취출코크(미도시)로 냉수가 취출되는 경우 개폐부재(460)가 냉수 유동관부(432)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유로전환밸브(400)로 유입된 냉수는 냉수 유출구(422)를 통해 유출되고, 연결용 유출구(431)를 통해서는 어떠한 유체도 유출되지 않는다. 이때,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의 스크류부재(341)가 회전되는 경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의 유동공간(SC) 내부의 유체(얼음, 공기 등)가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의 유동공간(SC)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송된다. 하지만, 유로전환밸브(400)의 연결용 유출구(431)는 개폐부재(46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으로의 유체(냉수, 공기 등)의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의 유동공간(SC)의 일측에 진공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의 유동공간(SC)의 일측에 진공이 발생되면, 이후 개폐부재(460)를 통해 냉수 유동관부(432)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개폐부재(460)가 냉수 유동관부(432)로부터 이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밸브(400)에는 진공발생방지부(470)가 형성되므로 유동공간(SC)에서의 진공 발생을 발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수 유동관부(432)에 에어밴트홈으로 이루어지는 진공발생방지부(470)가 형성되므로 언제나 소량의 유체가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에 제공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냉수 음용을 위해 취출코크(미도시)로 냉수가 취출되도록 개폐부재(460)가 냉수 유동관부(432)를 폐쇄한 상태에서 스크류부재(341)가 회전되더라도 에어밴트홈으로 이루어지는 진공발생방지부(470)를 통해 유체(냉수 또는 공기)가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의 유동공간(SC)으로 공급될 수 있다. 결국,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300)의 내부, 즉 유동공간(SC)에서의 진공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유로전환밸브(4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밴트홈으로 이루어지는 진공발생방지부(470)가 냉수 유동관부(432)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공발생방지부(470)는 개폐부재(460)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에어밴트홈으로 이루어지는 진공발생방지부(470)가 냉수 유동관부(432)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어밴트홈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저장관(260)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급가이드부재(270)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가이드부재(270)에 공급저장관(260)의 일단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공급가이드부재(270)가 공급저장관(26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가이드부재(270)가 공급저장관(26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공급가이드부재(270)는 공급저장관(260)에 형성된 공급구멍(262)으로부터 배출되는 얼음 또는 냉수가 각각 저장탱크(220)의 얼음저장공간(SI)이나 물저장공간(SW)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공급가이드부재(270)에는 공급저장관(260)의 공급구멍(262)과 연통하는 얼음가이드구멍(271)이 저장탱크(220)의 얼음저장공간(SI)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급가이드부재(270)의 얼음가이드구멍(271)의 하단부는 공급저장관(260)의 공급구멍(262)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가이드부재(270)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가이드구멍(271)의 하단부로부터 저장탱크(220)의 얼음저장공간(SI)으로 연장되는 연장가이드부(27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공급저장관(260)을 통해 공급구멍(262)으로 이송된 얼음(I)은 공급저장관(260)의 공급구멍(262)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저장관(260)의 공급구멍(262)으로부터 배출된 얼음(I)은 공급가이드부재(270)의 얼음가이드구멍(271)을 통과하여 연장가이드부(272)에 의해서 가이드됨으로써 저장탱크(220)의 얼음저장공간(SI)에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공급저장관(260)을 통해 공급구멍(262)으로 유동한 냉수는 공급가이드부재(270)의 얼음가이드구멍(271)을 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공급저장관(260)의 공급구멍(262)으로부터 배출된 냉수는 공급가이드부재(270)와 공급저장관(26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저장탱크(220)의 물저장공간(SW)에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공급가이드부재(270)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물질제거부재(280)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될 수 있다. 이물질제거부재(28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저장관(260)의 일단부를 둘러싸도록 공급가이드부재(270)에 연결되는 연결보조부재(290)에 의해서 공급가이드부재(27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제거부재(280)는 연결보조부재(290)에 분리가능하게, 예컨대 걸어맞춤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후술할 이물질제거부재(280)에 구비되는 필터부재(283)를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물질제거부재(280)가 공급가이드부재(27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며, 공급가이드부재(270)에 연결되지 않고, 공급저장관(26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물질제거부재(280)가 공급저장관(260)에 연결되는 경우는 공급가이드부재(270)가 없을 수도 있다.
이물질제거부재(280)는 연결보조부재(290)와 같이 공급저장관(260)의 일단부를 둘러싸는 형상일 수 있다. 이물질제거부재(280)에는 상부가 개방된 통과공간(281)과 통과공간(281)에 연결되는 통과구멍(28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과구멍(282)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예컨대 메쉬형태의 필터부재(28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공급저장관(260)의 공급구멍(262)으로부터 배출된 냉수는 이물질제거부재(280)의 통과공간(281)과 통과구멍(282)을 통과하면서 필터부재(283)에 의해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220)의 물저장공간(SW)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냉수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제빙기 200 :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
300 :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 400 : 유로전환밸브
410 : 하우징 450 : 개폐유닛

Claims (10)

  1. 얼음과 냉수를 저장하는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
    얼음 및 냉수를 생성하여 상기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으로 공급하는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 및
    상기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얼음 및 냉수 저장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수가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 또는 냉수추출관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에는 상기 냉수추출관으로 냉수가 추출될 때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 내부에서의 진공 발생을 방지하는 진공발생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냉수 유입구와,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으로 냉수가 공급되도록 냉수가 유출되는 연결용 유출구 및 상기 냉수추출관으로 냉수가 유동되도록 냉수가 유출되는 냉수 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용 유출구 또는 냉수 유출구로 냉수가 선택적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개폐유닛;
    을 구비하며,
    상기 진공발생방지부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개폐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에어밴트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수 유입구와 상기 냉수 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용 유출구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냉수 유입구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냉수 유입 유로부와, 상기 냉수 유출구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냉수 배출 유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냉수 배출 유로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용 유출구와 연통되며 냉수가 유동되는 냉수유동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발생방지부는 상기 냉수 유동관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에어밴트홈으로 이루어져 언제나 소량의 유체가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의 유동공간에 제공되도록 유지하여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제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원통 형상의 코일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코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코일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용 유출구와 상기 냉수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기 개폐부재;
    를 구비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제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및 냉수 생성유닛은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가 형성된 장치본체;
    상기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연결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되어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나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각부; 및
    상기 유동공간에 생성된 얼음을 상기 유동공간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분리이송부;
    를 포함하는 제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이송부는 상기 유동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류부재를 포함하는 제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방지부는 상기 냉수추출관으로 냉수가 추출될 때 상기 스크류부재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유동공간에서의 진공 발생을 방지하는 제빙기.
KR1020170176764A 2017-06-12 2017-12-21 제빙기 KR102601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51 2017-06-12
KR20170073151 2017-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396A KR20180135396A (ko) 2018-12-20
KR102601474B1 true KR102601474B1 (ko) 2023-11-14

Family

ID=6495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764A KR102601474B1 (ko) 2017-06-12 2017-12-21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4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823B1 (ko) * 2003-06-26 2006-01-11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보일러용 3방향 유로전환밸브
KR100966345B1 (ko) * 2008-03-27 2010-06-2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밸브
KR100998198B1 (ko) * 2010-02-18 2010-12-03 주식회사 태성 순환식 투명얼음 제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2685Y2 (ko) * 1987-02-07 1992-10-08
KR101696860B1 (ko) 2015-06-17 2017-01-1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상수 포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823B1 (ko) * 2003-06-26 2006-01-11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보일러용 3방향 유로전환밸브
KR100966345B1 (ko) * 2008-03-27 2010-06-2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밸브
KR100998198B1 (ko) * 2010-02-18 2010-12-03 주식회사 태성 순환식 투명얼음 제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396A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7117B2 (en) Ice maker
KR102601474B1 (ko) 제빙기
KR102544432B1 (ko) 제빙기
EP3574266A1 (en) Assembly comprising a boiler and a magnetic sludge separator filter
CN216494869U (zh) 多功能饮水机的水箱组件和多功能饮水机
JPH101989A (ja) 浄水器の取水装置用カップリング装置
KR100620955B1 (ko) 초순수 제조장치용 순환형 디스펜서
US20210071928A1 (en) Drained plumbing system for an ice maker
JP3819320B2 (ja) 浄水器
JP2004076831A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CN112107219B (zh) 蒸汽电器
KR101339338B1 (ko) 수전금구용 카트리지
KR101245163B1 (ko) 냉장고용 용수 공급장치
KR200470634Y1 (ko) 배수구로 부터 오염이 차단되는 얼음정수기의 저빙고
WO2022012625A1 (zh) 台式水分配器和制冰组件
KR100324519B1 (ko) 냉장고의 물 공급장치
EP3511658B1 (en) Icemaker
KR100610503B1 (ko) 냉장고
KR0121139Y1 (ko) 냉장고용 음용수의 정수장치
KR100269471B1 (ko) 식기세척기의 일체형 펌프의 시일구조
KR0117191Y1 (ko) 음료공급장치
CN114158935A (zh) 多功能饮水机的水箱组件和多功能饮水机
KR200170037Y1 (ko) 냉장고용 급수밸브
KR980003421A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KR100269470B1 (ko) 식기세척기의 일체형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