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518A -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 Google Patents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518A
KR20060065518A KR1020050119359A KR20050119359A KR20060065518A KR 20060065518 A KR20060065518 A KR 20060065518A KR 1020050119359 A KR1020050119359 A KR 1020050119359A KR 20050119359 A KR20050119359 A KR 20050119359A KR 20060065518 A KR20060065518 A KR 20060065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uff
blood pressure
pressure monitor
li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6807B1 (ko
Inventor
요시히코 사노
히로시 키시모토
히로미치 카로
요시노리 츠루미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41Details of apparatus construction, e.g. pump units or housings therefor, cuff pressurising systems, arrangements of fluid conduits or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33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ntis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혈압계용 커프스(130A)는, 생체 (300)에의 장착시에 두께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 1의 주머니와, 두께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 2의 주머니를 포함하는 공기대(150A)를 구비한다. 제 1의 주머니는 제 1의 팽창/수축 공간(157a)을 갖고 있고, 제 2의 주머니는, 제 2의 팽창/수축 공간(157b)을 갖고 있다. 제 2의 주머니는 제 1의 주머니의 생체측 표면에 단층의 수지 시트(153)를 중첩시키고, 그 주연을 제 1의 주머니의 생체측 표면에 용착함에 의해 형성된다. 제 1의 주머니와 수지 시트(153)와의 용착부(156)는 제 1의 팽창/수축 공간(157a)의 폭방향의 양단부 내측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높은 압박 성능 및 조혈 성능을 갖는, 커프스 폭의 협소화에 적합한 혈압계용 커프스로 할 수 있다.
혈압계, 커프스

Description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Cuff for Blood Pressure Monitor and Blood Pressure Monitor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용 커프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혈압 측정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도 2중에 도시한 V-V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6은 도 5중에 도시한 영역(Ⅵ)의 확대도.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폭방향의 모식 단면도.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동맥을 압박 조혈한 상태를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폭방향의 모식 단면도.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 스를 이용하여 생체를 압박한 때의 체표면에서의 압력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2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개략 단면도.
도 9는 도 8중에 도시한 영역(Ⅸ)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3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개략 단면도.
도 11은 도 10중에 도시한 영역(XI)의 확대도.
도 12의 A는 종래예 1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폭방향의 모식 단면도.
도 12의 B는 종래예 1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동맥을 압박 조혈한 상태를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폭방향의 모식 단면도.
도 12의 C는 종래예 1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생체를 압박한 때의 체표면에서의 압력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13의 A는 종래예 2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폭방향의 모식 단면도.
도 13의 B는 종래예 2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동맥을 압박 조혈한 상태를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폭방향의 모식 단면도.
도 13의 C는 종래예 2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생체를 압박한 때의 체표면에서의 압력 분포를 도시한 도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생체를 압박함에 의해 동맥을 조혈(阻血; avascularization; 무혈관화)하는 유체대(流體袋)를 구비한 혈압계용 커프스(cuff)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통상, 혈압치의 측정에 있어서는, 생체 내부에 위치하는 동맥을 압박하기 위한 유체대를 내포하는 커프스를 생체의 체표면(體表面)에 휘감고, 휘감은 유체대를 팽창·수축시킴에 의해 동맥 내에 생기는 동맥압 맥파(脈波)의 검출을 행하고, 이로써 혈압치의 측정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커프스란, 내강(內腔)을 갖는 띠 모양의 구조물로서 생체의 일부에 휘감음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기체나 액체 등의 유체를 내강에 주입함에 의해 상하지(上下肢)의 동맥압 측정에 이용되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커프스는, 유체대와 이 유체대를 생체에 휘감기 위한 권부 부재를 포함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이고, 특히 손목이나 상완(上腕)에 휘감겨져서 장착되는 커프스는, 완대(腕袋) 또는 맨젯(Manchette)라고도 불리는 경우도 있다.
근래, 혈압계는, 병원 등의 의료 시설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 매일의 건강 상태를 아는 장치로서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혈압계에 대한 취급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려는 요청이 강하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커프스의 소형화가 추진되고 있다. 커프스의 소형화에 있어서는, 상 완 길이가 짧은 사람이라도 최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고려하는 것이나, 손목에 장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폭방향(즉, 커프스가 휘감겨지는 피측정 부위(예를 들면 손목이나 상완 등)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협소화가 필요하다.
혈압계용 커프스의 폭을 협소화 하는 경우에는, 동맥을 충분히 압박 조혈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문제로 된다. 폭이 넓은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한 경우에는, 커프스에 의해 덮이는 피측정 부위의 축방향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동맥을 압박 조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커프스 폭을 좁게 하는 경우에는, 이에 수반하여 커프스로 덮이는 피측정 부위의 축방향의 길이도 짧아지기 때문에, 충분히 동맥을 압박 조혈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점에 관해,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의 A 내지 C는, 종래예 1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생체 내부에 위치하는 동맥을 압박 조혈한 경우의 조혈 성능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12의 A는, 종래예 1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모식도이고, 도 12의 B는, 종래예 1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동맥을 압박 조혈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의 C는 종래예 1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생체를 압박한 때의 체 표면에 있어서의 압력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2의 A 및 B에서는 공기대를 덮는 커버체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예 1의 혈압계용 커프스(130D)는, 2장의 수지 시트(151, 152)를 중첩시켜 그 주연(周緣)을 용착함에 의해 형성된 공기대(150D)와, 이 공기대(150D)의 외주면에 접착 부재로서의 양면 테이프(171)를 이용하여 접착된 가요성 부재로서의 컬러(160)를 구비한다. 공기대(150D)는 내부에 팽창/수축 공간(157)(이하 팽축 공간이라 함)을 갖고 있고,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상술한 용착에 의해 형성되는 용착부(156)가 위치하고 있다. 장착시에 있어서, 공기대(150D)는 생체(300)의 체표면과 컬러(16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공기대(150D)의 폭을 L1이라고 한다.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D)의 팽축 공간(157) 내에 가압 공기를 보내넣어, 공기대(150D)를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D)가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고, 생체(300)를 압박하는 압박 작용면(158)이 풍선 형상으로 팽창한다. 이때, 컬러(160)의 고정에 의해, 공기대(150D)가 외측 즉 생체(300)와는 반대측으로 팽창하는 것이 제한됨과 함께, 생체(300)측으로만 공기대(150D)가 팽창하도록 됨에 의해, 생체(300)가 공기대(150D)에 의해 압박되고, 생체(300)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301)이 압박 조혈되게 된다.
동맥(301)을 완전하게 폐색시키기 위해서는, 생체(300)의 체표면에 가하여지는 공기대(150D)에 의한 압력이 소정의 크기 이상일 것이 필요하다. 즉, 동맥(301)을 완전하게 폐색시키기 위해 필요한 생체(300)의 체표면에서의 압력을 PA라고 한 경우에는,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표면에서의 압력 분포 곡선(200)이 이 압력(PA)을 상회하는 영역에서만 동맥(301)이 폐색하게 된다. 여기서, 이 공기대 (150D)의 팽창에 수반하여 폐색하는 동맥(301)의 연장 방향의 거리(이하, 동맥 폐색 거리라고 칭한다)를 L2라고 한다.
혈압치는, 압박 조혈시에 있어서의 동맥(301) 내의 중추(中樞)측의 압력(P2)에 의해 표시된다. 혈압계에서는 이 동맥(301) 내의 중추측의 압력(P2)을 공기대(150D) 내의 압력(P1)의 변화로서 판독함에 의해, 혈압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동맥(301) 내의 압력(P2)과, 공기대(150D) 내의 압력(P1)의 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정밀도 좋게 혈압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필요하고, 그를 위해서는, 상술한 동맥 폐색 거리(L2)를 충분히 확보할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예 1의 혈압계용 커프스(130D)에 내포되는 공기대(150D)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공기대(150D)가 풍선 형상으로 팽창하기 때문에, 공기대(150D)의 폭(L1)에 대해 동맥 폐색 거리(L2)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없고, 측정 정밀도의 저하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이 문제는, 혈압계용 커프스(130D)의 폭(L1)을 협소화시킨 경우에 특히 현저하게 나타나고, 조혈 성능의 저하에 수반하는 측정 정밀도의 저하는 매우 큰 문제로 되어 있다.
이 커프스 폭의 협소화에 수반하는 조혈 성능의 저하의 방지가 도모된 혈압계용의 커프스로서, 예를 들면 특개평2-107226호 공보에 개시된 혈압계용 커프스나, 특개2001-224558호 공보에 개시된 혈압계용 커프스가 알려져 있다. 이들 공보에 개시된 혈압계용 커프스는, 커프스 내에 배치되는 유체대로서의 공기대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단부에 거싯(gusset)을 마련하여, 공기대가 팽창한 때에 이 거싯이 늘어남에 의해 공기대가 폭방향에 있어서 보다 균등하게 팽창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특히, 상술한 특개2001-224558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공기대 폭에 대해 동맥 폐색 거리를 매우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커프스 폭의 협소화를 위해서는 필수의 기술로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 특개2001-224558호 공보에 개시된 혈압계용 커프스에 관해, 종래예 2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의 A 내지 C는, 종래예 2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생체 내부에 위치하는 동맥을 압박 조혈한 경우의 조혈 성능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13의 A는 종래예 2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모식 단면도이고, 도 13의 B는 종래예 2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동맥을 압박 조혈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의 C는 종래예 2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생체를 압박한 때의 체표면에서의 압력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3의 A 및 B에서는 공기대를 덮는 커버체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예 2의 혈압계용 커프스(130E)는 2장의 수지 시트(151, 152)를 중첩시켜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형성된 주머니와, 2장의 수지 시트(153, 154)를 중첩시켜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형성된 주머니를, 다시 중첩시켜 용착함에 의해 형성된 공기대(150E)와, 이 공기대(150E)의 외주면에 접착 부재로서의 양면 테이프(171)를 이용하여 접착된 가요성 부재로서의 컬러(160)를 구비한다. 공기대(150E)는 내부에 2층의 팽축 공간(157a, 157b)을 갖고 있고, 이들 2층의 팽축 공간(157a, 157b)은 연통구멍(159)을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공기대(150E)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상술한 용착에 의해 형성된 용착부(156a1, 156a2)가 위치하고 있다. 장착시에, 공기대(150E)는 생체(300)의 체표면과 컬러(16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E)의 팽축 공간(157a, 157b) 내에 가압 공기를 보내넣어, 공기대(150E)를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E)가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팽창한다. 상기 공기대(150E)에는 폭방향의 양단부에 거싯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거싯이 공기대(150E)의 두께 방향으로 신장함에 의해, 공기대(150E)의 생체(300)에의 압박 작용면(158)이 개략 평면적으로 팽창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공기대(150E)의 폭방향의 양단부 및 그 부근에서도 공기대(150E)의 폭방향의 중앙부와 마찬가지로 팽창하고, 생체(300)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301)을 보다 균등하게 압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종래예 2의 혈압계용 커프스(130E)에 내포되는 공기대(150E)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공기대(150E)의 압박 작용면(158)이 개략 평면적으로 팽창하게 되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예 1의 혈압계용 커프스(130D)에 내포되는 공기대(150D)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보다도, 공기대의 폭(L1)에 대해 동맥 폐색 거리(L2)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커프스 폭을 협소화한 경우에도 정밀도 좋게 혈압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예 2의 혈압계용 커프스(130E)에 내포되는 공기대(150E)의 구조는, 정밀도 좋게 혈압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것이지만, 많은 수지 시트를 필요로 하고, 또한 이들 많은 수지 시트를 몇 회로 나누어 접합 처리함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제조가 번잡해지고, 또한 고비용화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높은 압박 성능 및 조혈 성능을 갖는, 커프스 폭의 협소화에 적합한 혈압계용 커프스 및 그것을 구비한 혈압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는, 유체가 출입함에 의해, 팽창시에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고, 수축시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수축하는 유체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유체대는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 1의 팽축 공간을 내부에 갖는 제 1의 주머니와,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두께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 2의 팽축 공간을 갖는 제 2의 주머니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의 주머니는, 상기 제 1의 주머니의 생체측 표면에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를 중첩시키고, 그 주연을 상기 생체측 표면에 접합함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의 주머니와 상기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와의 접합부는, 상기 제 1의 팽축 공간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내측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유체대의 팽창시에, 제 1의 팽축 공간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내측에 마련된 접합부를 기점(基点)으로,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가 팽창하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의 유체대의 팽창이 크게 확보되게 된다. 그 때문에, 생체의 넓은 범위에서 일양하게 강하게 생체를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체대의 폭에 대해 동맥 폐색 거리를 길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매우 간소한 구성으로 높은 조혈 성능이 실현된 혈압계용 커프스 로 할 수 있고, 커프스 폭의 협소화에 적합한 혈압계용 커프스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상기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상기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가, 상기 제 1의 주머니의 상기 생체측 표면을 형성하는 부재보다도 고신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가 유체대의 폭방향에서 보다 평면적으로 팽창하게 되기 때문에, 더욱 동맥 폐색 거리를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고정밀도로 혈압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상기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상기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의 재질이, 연질 염화비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또는 올레펜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재질의 시트형상 부재를 이용함에 의해, 신축성이 풍부한 유체대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본 발명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상기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상기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의 재질과, 상기 제 1의 주머니의 상기 생체측 표면을 형성하는 부재의 재질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동일한 재질의 시트형상 부재를 이용하여 제 1의 주머니와 제 2의 주머니를 형성함에 의해, 이들의 접합을 용착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염가로 고성능의 혈압계용 커프스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상기 제 2의 주머니의 일부 가 되는 상기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의 두께가, 상기 제 1의 주머니의 상기 생체측 표면을 형성하는 부재의 두께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동일한 재질의 시트형상 부재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의 주머니를 형성한 경우에도,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를 다른 시트형상 부재에 비하여 고신축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의 주머니가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를 중첩시키고, 그 주연을 접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혈압계용 커프스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상기 제 1의 팽축 공간과 상기 제 2의 팽축 공간이 연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거한 혈압계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혈압계용 커프스와, 상기 유체대를 팽축시키는 팽축부와, 상기 유체 주머니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와, 상기 압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압력 정보에 의거하여 혈압치를 산출하는 혈압치 산출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커프스 폭을 협소화시킨 경우에도 정밀도 좋게 혈압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장착이 용이하고 또한 고성능의 혈압계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 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손목식의 혈압계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혈압계(100)는, 장치 본체(110)와 커프스(130)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10)의 표면에는, 표시부(111)와 조작부(11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장치 본체(110)에 상술한 커프스(130)가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용 커프스(130)는, 천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머니 모양의 커버체(140)와, 이 커버체(140)의 내부에 배치된 유체대로서의 공기대(150)와, 커버체(1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장착 상태에서 공기대(150)의 외측에 위치하고, 해당 커프스를 손목에 임시 장착시키기 위한 만곡 탄성의 컬러(160)를 주로 하여 구비한다. 이들 커버체(140), 공기대(150) 및 컬러(160)는 커프스(130)의 휘감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재되어 있다.
커버체(140)는, 장착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고, 신축성에 우수한 천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커버(142)와, 내측 커버(142)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신축성이 부족한 천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커버(141)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내측 커버(142)와 외측 커버(141)를 중첩시켜 그 주연을 봉합함에 의해 주머니 모양으로 형 성되어 있다. 커버체(140)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의 내주면측에는, 면 파스너(velcro fastener; 165)가 마련되어 있고, 커버체(140)의 길이 방향의 다른쪽 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면 파스너(165)와 계합하는 면 파스너(166)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면 파스너(165, 166)는 피측정 부위인 손목에 커프스(130)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혈압계(100)를 손목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공기대(150)는, 시트형상 부재인 수지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된 주머니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팽축 공간(157)을 갖고 있다. 공기대(150)의 내주면은 손목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 작용면(158)으로서 기능한다. 팽축 공간(157)은, 후술하는 장치 본체(110)의 혈압 측정용 에어계(系)(121)와, 튜브(120)를 통하여 접속된다(도 3 참조). 또한, 공기대(150)의 상세한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공기대(150)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의 재질로서는, 신축성이 풍부하고 용착 후에 팽축 공간(157)으로부터의 누기(漏氣)가 없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이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수지 시트의 최적의 재질로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연질 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올레펜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TPE-O), 생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공기대(150)의 외측에는, 고리형상으로 둘러감김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가요성 부재인 컬러(160)가 배치되어 있다. 컬러(160)는, 공기대(150) 외측 벽부(壁部)의 외표면에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 컬러(160)는 자신의 고리형상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 되어 있고, 장착 상태에서 공기대(150)가 생체에 대해 꽉 고정하도록 작용한 것이다. 이 컬러(160)는 충분한 탄성력을 발현하도록,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부재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10)는 상술한 공기대(150)에 튜브(120)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혈압 측정용 에어계(121)와, 혈압 측정용 에어계(121)에 관련하여 마련된 발진 회로(125), 펌프 구동 회로(126) 및 밸브 구동 회로(127)를 포함한다. 이들 각 구성 요소는 공기대(150)를 팽축시키기 위한 팽축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장치 본체(110)는 각 부분을 집중적으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113)와, CPU(113)에 소정의 동작을 시키는 프로그램이나 측정된 혈압치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부(114)와, 혈압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1)와, 측정을 위한 각종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112)와, 조작부(112)로부터의 전원 0N의 지시에 의해 CPU(11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15)를 포함한다. CPU(113)는 혈압치를 산출하기 위한 혈압치 산출부로서 기능한다.
혈압 측정용 에어계(121)는, 공기대(150) 내의 압력(이하, 「커프스압」이라고 한다)에 의해 출력치가 변화하는 압력 센서(122)와, 공기대(15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123)와, 공기대(150)의 공기를 배출 또는 봉입(封入)하기 위해 개폐되는 밸브(124)를 갖는다. 압력 센서(122)는 커프스압을 검지하기 위한 압력 검 지부로서 기능한다. 발진 회로(125)는 압력 센서(122)의 출력치에 따른 발진 주파수의 신호를 CPU(113)에 출력한다. 펌프 구동 회로(126)는 펌프(123)의 구동을 CPU(113)로부터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된다. 밸브 구동 회로(127)는 밸브(124)의 개폐 제어를 CPU(113)로부터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행한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혈압 측정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 순서도에 따른 프로그램은, 메모리부(114)에 미리 기억되고, CPU(113)가 메모리부(114)로부터 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에 의해 혈압 측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험자(被驗者)가 혈압계(100)의 조작부(112)의 조작 버튼을 조작하고 전원 0N하면 혈압계(100)의 초기화가 된다(스텝 S101). 다음에, CPU(113)는 측정 가능 상태가 되면, 펌프(123)를 구동 시작하고, 공기대(150)의 커프스압을 서서히 상승시킨다(스텝 S102). 서서히 가압하는 과정에서 혈압 측정을 위한 소정 레벨까지 커프스압이 도달하면, CPU(113)는 펌프(123)를 정지하고, 다음에 폐쇄되어 있던 밸브(124)를 서서히 열고, 공기대(150)의 공기를 서서히 배기하고, 커프스압을 서서히 감압시킨다(스텝 S103).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커프스압의 미속(微速) 감압 과정에서 혈압을 측정한다.
다음에, CPU(113)는 공지의 순서로 혈압(최고 혈압치, 최저 혈압치)을 산출한다(스텝 S104). 구체적으로는, 커프스압이 서서히 감압하는 과정에서, CPU(113)는 발진 회로(125)로부터 얻어지는 발진 주파수에 의거하여 맥파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맥파 정보에 의해 혈압치를 산출한다. 스텝 S104에서 혈압치가 산 출되면, 산출된 혈압치를 표시부(111)에 표시한다(스텝 S105).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측정 방식은, 공기대의 감압시에 맥파를 검출하는 이른바 감압 측정 방식에 의거한 것이지만, 공기대의 가압시에 맥파를 검출하는 이른바 가압 측정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100) 및 혈압계용 커프스(130)는, 혈압계용 커프스(130) 내에 배치되는 공기대(150)의 구조에 특징을 갖고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대(150)의 구조에 관해, 각 실시예마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도 2중에 도시한 V-V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중에 도시한 영역(Ⅵ)의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A)는, 내측 커버(142) 및 외측 커버(141)로 이루어지는 커버체(140)의 내부에, 유체대로서의 공기대(150A)와, 공기대(150A)의 외주면에 접착 부재로서의 양면 테이프(171)를 통하여 접착된 가요성 부재로서의 컬러(160)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대(150A)는 3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대(150A)는 혈압계용 커프스(130A)가 손목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대(150A)의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1의 주머니와, 혈압계용 커프스(130A)가 손목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대(150A)의 두께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의 주머니를 포함한다. 제 1의 주머니는 2장의 수지 시트(151, 152)에 의해 형 성되고, 내부에 제 1의 팽축 공간(157a)을 갖고 있다. 제 2의 주머니는 2장의 수지 시트(152, 153)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 2의 팽축 공간(157b)을 갖고 있다. 이들 제 1의 팽축 공간(157a)과 제 2의 팽축 공간(157b)은 수지 시트(152)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연통구멍(159)에 의해 연통하고 있다.
수지 시트(153)는 공기대(150A)의 내측 벽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1)는 공기대(150A)의 외측 벽부를 형성하고 있다. 공기대(150A)의 내측 벽부의 손목측의 표면은, 손목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 작용면(158)으로서 기능한다.
이상의 구성의 공기대(150A)는, 예를 들면,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수지 시트(151, 152)를 적층하고,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제 1의 주머니를 형성하고, 또한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약간 폭이 좁은 수지 시트(153)를 상술한 제 1의 주머니와 적층하고, 수지 시트(153)의 주연을 제 1의 주머니의 수지 시트(152)의 외표면의 소정 위치에 용착함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예 2의 혈압계용 커프스(130E)에 내포되는 공기대(150E)(도 13의 A 내지 C 참조)에 비하여, 적은 매수의 수지 시트에 의해 2층의 적층된 팽축 공간을 갖는 공기대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시트의 매수의 감소에 수반하여 용착 개소도 적어도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공기대(150A)는 상술한 종래예 2에서 나타낸 공기대(150E)보다도 간단하고 또한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제 1의 팽축 공간(157a)을 갖는 제 1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2장의 수지 시트(151, 152)는 중첩되어 그 주연이 용착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A)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용착부(156a)가 위치하고 있 다. 이에 대해, 제 2의 팽축 공간(157b)을 갖는 제 2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2장의 수지 시트(152, 153)의 접합부인 용착부(156b)는 제 1의 주머니 내부에 형성된 제 1의 팽축 공간(157a)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수지 시트(152, 153)의 용착부(156b)는 제 1의 팽축 공간(157a)이 위치한 영역(W)(도 5 참조)의 양단보다도 각각 중앙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지 시트(152, 153)의 용착부(156b)는 수지 시트(151, 152)의 용착부(156a)의 내측 단부보다도, 더욱 내측에 마련되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지 시트(152)의 양단부에서, 용착부(156a)와 용착부(156b)가 소정의 거리로서 이간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로서는 대강 제 1의 주머니의 팽축 공간(157a)의 폭(도 5중의 부호 W로 나타내여지는 폭)의 5%이상 25% 이하가 알맞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혈압계용 커프스(130A)로 한 경우에는, 높은 압박 성능 및 조혈. 성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점에 관해,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생체 내부에 위치하는 동맥을 압박 조혈한 경우의 조혈 성능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7의 A는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폭방향의 모식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동맥을 압박 조혈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의 C는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하여 생체를 압박한 때의 체표면에서의 압력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의 A 및 B에서는 공기대를 덮는 커버체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압계용 커프스(130A)가 생체(3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공기대(150A)는 생체(300)의 체표면과 컬러(16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생체(300)의 체표면상에서, 공기대(150A)의 제 1의 주머니가 생체(300)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제 2의 주머니가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A)의 팽축 공간(157a) 내에 가압 공기를 보내넣고, 공기대(150A)를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A)가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팽창한다. 이때, 제 1의 주머니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2)는 생체(300)측을 향하여 풍선 형상으로 팽창한다. 또한, 연통구멍(159)을 통하여 제 1의 팽축 공간(157a)으로부터 제 2의 팽축 공간(157b)으로 가압 공기가 유입하기 때문에, 제 2의 주머니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3)도 마찬가지로 생체(300)측을 향하여 풍선 형상으로 팽창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A)에 내포되는 공기대(150A)에서는, 제 1의 주머니와 제 2의 주머니의 용착부(156b)가, 제 1의 주머니 내부에 형성된 팽축 공간(157a)의 폭방향의 양단부보다도 내측에 소정의 거리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2의 주머니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3)는, 이 용착부(156b)를 기점으로 팽창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술한 종래예 1의 혈압계용 커프스(130D)에 내포되는 공기대(150D)(도 12의 A 내지 C 참조)에 비하여, 도면중에 도시한, 제 1의 주머니가 팽창할 때의 용착부(156b)의 생체 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t)가 발생하고, 제 2의 주머니의 팽창시의 생체 방향으로의 공기대의 신장이 또한 허용되게 된다.
따라서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체(300)의 체표면상에서의 압력 분포가 생체(300)의 축방향에서 균일화하고, 혈압계용 커프스(130A)가 감겨진 손목의 넓은 범위에서 일양하게 강하게 생체를 압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공기대(150A)의 폭(L1)에 대해 동맥 폐색 거리(L2)를 길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혈압치의 측정 정밀도의 향상이 실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A)에 내포되는 공기대(150A)에서는,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수지 시트(153)가, 제 1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1, 152)보다도 고신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지 시트(153)를 다른 수지 시트(151, 152)보다도 고신축성으로 함에 의해, 제 2의 주머니의 폭방향의 양단부까지 충분히 가압 공기가 골고루 미치게 되고, 생체(300)를 보다 평면적으로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수지 시트(153)를 제 1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1, 152)보다도 고신축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이들 3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를 동일한 재질로 하며, 또한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수지 시트(153)를 다른 수지 시트(151, 152)보다도 얇게 하거나, 또는,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수지 시트(153)의 재질을 다른 수지 시트(151, 152)의 재질과 다른 보다 신축성이 높은 것으로 하는 것 등이 고려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A)에 내포되는 공기대(150A)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의해, 간소한 구성으로 높은 압박 성능 및 조혈 성능이 실현된 혈압계용 커프스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프스 폭의 협소화 에 적합한 혈압계용 커프스로 할 수 있고, 고성능이고 또한 장착 작업이 용이한 혈압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2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중에 도시한 영역(Ⅸ)의 확대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A)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B)에 내포되는 공기대(150B)는,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A)에 내포되는 공기대(150A)의 생체측 외표면에 다시 단층의 수지 시트(154)를 부가한 구성을 갖고 있다.
공기대(150B)는, 혈압계용 커프스(130B)가 손목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대(150B)의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1의 주머니와, 혈압계용 커프스(130B)가 손목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대(150B)의 두께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의 주머니를 포함한다. 제 1의 주머니는 3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 1의 팽축 공간(157a, 157b)을 갖고 있다. 수지 시트(152)에 의해 구획된 제 1의 팽축 공간(157a, 157b)은 수지 시트(152)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연통구멍(159a)을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제 2의 주머니는 2장의 수지 시트(153, 154)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 2의 팽축 공간(157c)을 갖고 있다. 생체측에 위치하는 제 1의 팽축 공간(157b)과 제 2의 팽축 공간(157c)은 수지 시트(153)의 소정 위 치에 마련된 연통구멍(159B)에 의해 연통하고 있다.
수지 시트(154)는, 공기대(150B)의 내측 벽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1)는 공기대(150B)의 외측 벽부를 형성하고 있다. 공기대(150B)의 내측 벽부의 손목측의 표면은, 손목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 작용면(158)으로서 기능한다.
이상의 구성의 공기대(150B)는,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 1에 나타낸 공기대(150A)에,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폭이 좁은 수지 시트(154)를 적층하고, 수지 시트(154)의 주연을 제 1의 주머니의 수지 시트(153)의 외표면의 소정 위치에 용착함에 의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B)에 내포되는 공기대(150B)에서는, 제 2의 팽축 공간(157c)을 갖는 제 2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2장의 수지 시트(153, 154)의 접합부인 용착부(156c)가, 제 1의 주머니 내부에 형성된 제 1의 팽축 공간(157a, 157b)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수지 시트(153, 154)의 용착부(156c)는, 제 1의 팽축 공간(157a)이 위치하는 영역(W1)(도 8 참조)의 양단보다도 각각 중앙부측에 마련되고, 또한, 제 1의 팽축 공간(157b)이 위치하는 영역(W2)(도 8 참조)의 양단보다도 각각 중앙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의 주머니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4)가, 이 용착부(156c)를 기점으로 팽창하게 되고,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효과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이 효과를 이루게 된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3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10중에 도시한 영역(XI)의 확대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A)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C)에 내포되는 공기대(150C)는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A)에 내포되는 공기대(150A)의 제 1의 주머니를 4장의 수지 시트를 이용하여 2층의 팽축 공간을 갖는 공기대로서 구성한 것이다.
공기대(150C)는, 혈압계용 커프스(130C)가 손목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대(150C)의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1의 주머니와, 혈압계용 커프스(130C)가 손목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대(150C)의 두께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의 주머니를 포함한다. 제 1의 주머니는 4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 154)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 1의 팽축 공간(157a, 157b)을 갖고 있다. 수지 시트(152, 153)에 의해 구획된 제 1의 팽축 공간(157a, 157b)은 수지 시트(152, 153)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연통구멍(159a)을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제 2의 주머니는 2장의 수지 시트(154, 155)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 2의 팽축 공간(157c)을 갖고 있다. 생체측에 위치하는 제 1의 팽축 공간(157b)과 제 2의 팽축 공간(157c)은 수지 시트(154)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연통구멍(159B)에 의해 연통하고 있다.
수지 시트(155)는, 공기대(150C)의 내측 벽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1)는 공기대(150C)의 외측 벽부를 형성하고 있다. 공기대(150C)의 내측 벽부의 손목측의 표면은, 손목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 작용면(158)으로서 기능한다.
이상의 구성의 공기대(150C)는,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수지 시트(151, 152)를 중첩시켜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형성된 주머니와,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수지 시트(153, 154)를 중첩시켜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형성된 주머니를, 또한 중첩시켜 용착함에 의해 형성된 제 1의 주머니에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폭이 좁은 수지 시트(155)를 적층하고, 수지 시트(155)의 주연을 제 1의 주머니의 수지 시트(154)의 외표면의 소정 위치에 용착함에 의해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130C)에 내포되는 공기대(150C)에서는, 제 2의 팽축 공간(157c)을 갖는 제 2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2장의 수지 시트(154, 155)의 접합부인 용착부(156b)가, 제 1의 주머니 내부에 형성된 제 1의 팽축 공간(157a, 157b)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수지 시트(154, 155)의 용착부(156b)는 제 1의 팽축 공간(157a, 157b)이 위치하는 영역(W)(도 10 참조)의 양단보다도 각각 중앙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의 주머니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5)가, 이 용착부(156b)를 기점으로 팽창하게 되고,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이루게 된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수지 시트 끼리의 접합을 모두 용착으로 행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반드시 용착으로 접합될 필요는 없고,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등의 접합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복수의 수지 시트를 적층하여 용 착함에 의해 제 1의 주머니를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반드시 복수매의 수지 시트를 이용하여 제 1의 주머니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1장의 통형상의 시트를 이용하여 공기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은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공기대에 컬러를 접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반드시 접착 등을 함에 의해 이들을 고착할 필요는 없고,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이들을 고착하여도 좋고, 또는 전혀 고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피측정 부위로서 손목을 상정한 손목식의 혈압계에 이용되는 혈압계용 커프스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상완식의 것이나 손가락식(指式)의 것 등 어떤 형식의 혈압계용 커프스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여 나타내어 왔지만, 이것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한정으로 취하면 않되고, 발명의 정신과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 분명히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압박 성능 및 조혈 성능을 갖는 혈압계용 커프스 및 그것을 구비한 혈압계를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커프스 폭의 협소화에 적합한 혈압계용 커프스 및 그것을 구비한 혈압계로 할 수 있다.

Claims (8)

  1. 유체가 출입함에 의해 팽창시에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고, 수축시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수축하는 유체대를 구비한 혈압계용 커프스로서,
    상기 유체대는, 해당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 1의 팽축 공간을 내부에 갖는 제 1의 주머니와, 해당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두께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 2의 팽축 공간을 갖는 제 2의 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주머니는, 상기 제 1의 주머니의 생체측 표면에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를 중첩시키고, 그 주연을 상기 생체측 표면에 접합함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의 주머니와 상기 존속의 시트형상 부재와의 접합부가, 상기 제 1의 팽축 공간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상기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가, 상기 제 1의 주머니의 상기 생체측 표면을 형성하는 부재보다도 고신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상기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의 재질이, 연질 염화비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또는 올레펜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상기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의 재질과, 상기 제 1의 주머니의 상기 생체측 표면을 형성하는 부재의 재질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주머니의 일부가 되는 상기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의 두께가, 상기 제 1의 주머니의 상기 생체측 표면을 형성하는 부재의 두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주머니는,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를 중첩시키고, 그 주연을 접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팽축 공간과 상기 제 2의 팽축 공간이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8. 유체가 출입함에 의해, 팽창시에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고, 수축시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수축하는 유체대를 포함하는 혈압계용 커프스와,
    상기 유체대를 팽축시키는 팽축부와,
    상기 유체 주머니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와,
    상기 압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압력 정보에 의거하여 혈압치를 산출하는 혈압치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대는 상기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 1의 팽축 공간을 내부에 갖는 제 1의 주머니와, 상기 혈압계용 커프스를 생체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두께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 2의 팽축 공간을 갖는 제 2의 주머니를 가지며,
    상기 제 2의 주머니는, 상기 제 1의 주머니의 생체측 표면에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를 중첩시키고, 그 주연을 상기 생체측 표면에 접합함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의 주머니와 상기 단층의 시트형상 부재와의 접합부가, 상기 제 1의 팽축 공간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KR1020050119359A 2004-12-10 2005-12-08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KR100666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58773 2004-12-10
JP2004358773A JP4742576B2 (ja) 2004-12-10 2004-12-10 血圧計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518A true KR20060065518A (ko) 2006-06-14
KR100666807B1 KR100666807B1 (ko) 2007-01-09

Family

ID=3590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359A KR100666807B1 (ko) 2004-12-10 2005-12-08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50030B2 (ko)
EP (1) EP1669024A1 (ko)
JP (1) JP4742576B2 (ko)
KR (1) KR100666807B1 (ko)
CN (1) CN1785116A (ko)
CA (1) CA2529324A1 (ko)
RU (1) RU2314745C2 (ko)
TW (1) TWI2860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8887A1 (en) * 2001-02-26 2012-09-20 Gerdt David W Hydrostatic finger cuff for blood wave form analysis and diagnostic support
US20060111637A1 (en) * 2004-11-23 2006-05-25 Jacober Jeffrey M Wrist-mount blood pressure monitor with auditory feature
JP4595573B2 (ja) * 2005-02-04 2010-12-0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血圧計
JP4552919B2 (ja) * 2006-10-05 2010-09-29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および血圧計
JP2010522610A (ja) * 2007-03-28 2010-07-08 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液体充填カフを備える動脈圧測定機
JP5151801B2 (ja) * 2008-08-22 2013-02-2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5159549B2 (ja) * 2008-10-03 2013-03-06 シチズ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生体圧迫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血圧測定装置
US8408163B2 (en) * 2008-10-07 2013-04-02 William Huo Collar used for pet training
WO2011005538A2 (en) * 2009-06-23 2011-01-13 Boris Leschinsky Methods and devices for remote ischemic preconditioning and near-continuous blood pressure monitoring
MX2012005515A (es) 2009-11-11 2012-10-01 Kaz Europe Sa Manguito para monitor para tomar la presion arterial.
WO2012059907A1 (en) * 2010-11-01 2012-05-10 Greisas, Peggy Universal blood pressure cuff
JP5633447B2 (ja) * 2011-03-24 2014-12-0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の製造方法
JP2012200410A (ja) * 2011-03-25 2012-10-22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US9028419B2 (en) * 2011-08-29 2015-05-12 Welch Allyn, Inc. Blood pressure cuff
KR101350935B1 (ko) 2012-02-16 2014-01-1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압 측정용 신축성 고무링 커프
JP5998601B2 (ja) * 2012-04-16 2016-09-2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手首式血圧計
WO2014121805A1 (en) * 2013-02-08 2014-08-14 Up-Med Gmbh Blood pressure measuring system comprising a kinking-proof shell
JP6172218B2 (ja) 2015-06-24 2017-08-0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流体袋、血圧測定用カフ、血圧計、および血圧測定方法
JP6558119B2 (ja) * 2015-07-24 2019-08-1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流体袋、流体袋製造方法、血圧測定用カフ、および血圧計
CN105078431B (zh) * 2015-10-10 2018-02-23 杨胜周 穿戴式血压计袖带、其血压计及使用方法
JP2018102744A (ja) 2016-12-27 2018-07-05 オムロン株式会社 袋状構造体、カフ及び血圧計
JP6884573B2 (ja) * 2016-12-27 2021-06-09 オムロン株式会社 袋状構造体、血圧計用カフ及び血圧計
JP6772058B2 (ja) * 2016-12-28 2020-10-21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計および血圧測定方法並びに機器
US20180338693A1 (en) * 2017-05-24 2018-11-29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Use of a multi-compartment bladder in a finger cuff
JP7154932B2 (ja) * 2018-10-15 2022-10-18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7175720B2 (ja) * 2018-11-09 2022-11-21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7175738B2 (ja) * 2018-12-13 2022-11-21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7094876B2 (ja) * 2018-12-27 2022-07-0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用カフの製造方法
JP7094875B2 (ja) * 2018-12-27 2022-07-0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7278814B2 (ja) * 2019-03-15 2023-05-2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カフユニット、カフ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血圧測定装置
JP6718000B1 (ja) * 2019-06-27 2020-07-08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血圧計
CN112472057A (zh) * 2020-12-18 2021-03-12 云镶医疗器械(云南)有限公司 一种腕带、电子血压计及生命体征监护仪
CN112515648B (zh) * 2020-12-18 2023-06-27 云镶医疗器械(云南)有限公司 一种具有连接件的腕带、电子血压计及生命体征监护仪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5967B (sv) * 1983-10-25 1986-08-04 Romanowski Richard Anordning for astadkommande och uppretthallande av vetske- och gasutarmade omraden i kroppsdelar och/eller for astadkommande av forband och/eller for mekanisk fixering av kroppsdelar
JPS6346133A (ja) * 1986-08-13 1988-02-27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のカフ帯
JPS6356003A (ja) * 1986-08-26 1988-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イクロ波アンテナ装置
JPH0234144A (ja) * 1988-07-26 1990-0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圧計のカフ帯
JP2840075B2 (ja) * 1988-10-15 1998-12-24 松下電工株式会社 手首血圧計のカフ帯
JP3363847B2 (ja) * 1999-09-06 2003-01-08 日本コーリン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3452016B2 (ja) 2000-02-17 2003-09-29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
JP3922087B2 (ja) * 2001-05-07 2007-05-3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手首式血圧計用カフ
JP4430268B2 (ja) 2001-07-27 2010-03-10 テルモ株式会社 カ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血圧計
JP2003144398A (ja) * 2001-11-12 2003-05-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体情報計測装置
JP3975807B2 (ja) * 2002-04-01 2007-09-12 松下電工株式会社 生体情報計測装置
JP3692117B2 (ja) * 2003-01-24 2005-09-07 コーリンメディカル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血圧測定用圧迫帯
JP2004283320A (ja) * 2003-03-20 2004-10-14 Colin Medical Technology Corp 二重カ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4083A (en) 2006-07-16
JP4742576B2 (ja) 2011-08-10
TWI286069B (en) 2007-09-01
RU2005138460A (ru) 2007-06-20
CA2529324A1 (en) 2006-06-10
RU2314745C2 (ru) 2008-01-20
EP1669024A1 (en) 2006-06-14
US7250030B2 (en) 2007-07-31
US20060129049A1 (en) 2006-06-15
KR100666807B1 (ko) 2007-01-09
JP2006158876A (ja) 2006-06-22
CN1785116A (zh)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807B1 (ko)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KR100739267B1 (ko) 혈압계용 커프스, 혈압계, 생체 압박 장치 및 생체 정보측정 장치
JP4595525B2 (ja) 血圧計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計
JP5145930B2 (ja) 血圧計用カフおよび血圧計
TWI286070B (en) Sphygmomanometer cuff and sphygmomanometer
TWI424831B (zh) 血壓計用腕帶及血壓計
US11432729B2 (en) Blood pressure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cuff and blood pressure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EP1637071A1 (en) Cuff for blood pressure monitor
US11272853B2 (en) Bag-shaped structure used in a cuff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WO2023008104A1 (ja) 電子血圧計および血圧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4